KR101950164B1 - Peeling device for gink go nuts - Google Patents
Peeling device for gink go nut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50164B1 KR101950164B1 KR1020170035595A KR20170035595A KR101950164B1 KR 101950164 B1 KR101950164 B1 KR 101950164B1 KR 1020170035595 A KR1020170035595 A KR 1020170035595A KR 20170035595 A KR20170035595 A KR 20170035595A KR 101950164 B1 KR101950164 B1 KR 1019501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nk
- endothelium
- separating
- air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5/00—Machines for hulling, husking or cracking nuts
- A23N5/08—Machines for hulling, husking or cracking nuts for removing fleshy or fibrous hulls of nu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은행 분리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은행 분리장치는: 외피가 탈피된 은행을 고압 에어에 의해 내피를 박리하는 내피박리부 및 은행에 남은 잔여 내피를 분리하는 내피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 분리장치.An invention relating to a bank separating apparatus is disclosed. The disclosed bank separating apparatus comprises: an endothequinolytic section for separating an endothelium by high-pressure air from a bank from which a sheath has been removed; and an endothelium separation section for separating the remaining endothelium remaining in the bank.
Description
본 발명은 은행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은행의 외피 및 내피를 자동으로 탈피할 수 있는 은행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nk separa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nk separating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separating an envelope and an inner wall of a bank.
은행은 혈액순환 개선에 탁월한 효과가 있고, 고혈압, 기침, 야뇨증, 현기증, 피부병 치료에 좋으며, 정력감퇴, 신경쇠약, 전신 피로회복에 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은행은 일반 식품으로 사용되기 보다는 가공식품용이나 약용으로 더욱 많이 사용되고 있었으나, 웰빙시대에 접어들면서 기능성 식품, 특히 간식 및 술 안주로서 그 수요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Banks have an excellent effect on improving blood circulation, and are good for treating hypertension, cough, nocturnal enuresis, dizziness, dermatosis, and it is known to be helpful for restoring energy, nervous breakdown and fatigue. Accordingly, the bank has been used more as a processed food or medicinal rather than as a general food, but as the well-being period approaches,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functional foods, especially snacks and alcoholic beverages.
이러한 은행은 알맹이와 겉껍질에 해당하는 외과피와 중과피 및 속껍질에 해당하는 내종피로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 속껍질까지 모두 제거한 은행알맹이를 식용으로 사용하고 있다.These banks are made up of spercussions, which correspond to the granules and crusts, and endosperm, which correspond to the crocuses and the skin, and are generally used for edible purposes.
은행의 중과피와 내종피를 제거하는 일반적 방식으로는 중과피가 건조된 상태에서 불에 구워 중과피와 내종피를 수동으로 제거하거나, 중과피를 깨뜨려 탈피시키고, 내종피가 부착된 상태에서 불에 구운 다음 손으로 은행알맹이를 비벼 내종피를 제거하고 있다.As a general method to remove bankocardia and endothelium from banks, it is necessary to manually remove the medium and the endocardium by burning the medium in a dried state, or to break the medium by breaking it off, baking it in a state where the endocardia is attached, To remove the endosperm.
이러한 수작업은 생산성의 현저히 저하됨으로 최근에는 은행의 껍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계장치가 안출되고 있다.Such manual work has resulted in a significant decrease in productivity, and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mechanism for automatic removal of bank shells.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공보 제0419672호(2006.06.16., 고안의 명칭 : 은행껍질 탈피장치)가 있다.
A related prior art is the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419672 (2006.06.16, designation: bank peeling device).
본 발명의 목적은 은행의 외피 및 내피를 자동으로 탈피할 수 있고, 은행의 크기 및 모양에 관계없이 모든 형태의 은행을 탈피할 수 있으며, 외피 뿐만 아니라 내피까지 완벽하게 탈피할 수 있어 상품성이 우수한 은행을 제공할 수 있는 은행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nk capable of automatically breaking off the envelope and endothelium of a bank and capable of breaking out all types of banks regardless of the size and shape of the bank, To provide a bank separator capable of providing a bank.
본 발명에 따른 은행 분리장치는: 외피가 탈피된 은행을 고압 에어에 의해 내피를 박리하는 내피박리부 및 은행에 남은 잔여 내피를 분리하는 내피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nk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ndothelium exfoliating section for exfoliating the endothelium by high pressure air; and an endothelium separating section for separating the remaining endothelium from the bank.
또한, 상기 내피박리부는 컨베이어부와, 상기 컨베이어부에 구비되고 은행이 투입되어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동되는 은행의 이동을 안내하는 터널부 및 상기 터널부에 의해 안내되는 은행에 에어를 공급하여 내피를 박리하는 에어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ndothelium-exfoliating part includes a conveyor part, a tunnel part provided in the conveyor part and guiding the movement of the bank which is inserted by the bank and moved by the conveyor part, and a tunnel part which is guided by the tunnel part, And an air blowing section for blowing off the air.
또한, 상기 터널부는 상기 컨베이어부의 상부에 사선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unnel part may be obliquely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veyor part.
또한, 상기 터널부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확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분사부는 상기 확장부와 대응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extension portions are formed in the tunnel portion, and the air injection portion is provid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extension portion.
또한, 상기 내피분리부는 상기 내피박리부로부터 전달되는 은행이 투입되고, 외력에 의해 회전되며, 은행의 내피와 알맹이를 분리하는 분리드럼 및 상기 분리드럼에 의해 분리되지 않은 내피와 알맹이를 에어에 의해 분리하는 에어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ndothelial separator may include a separating drum for separating the inner skin of the bank and the outer skin, and an inner skin and a lump that are not separated by the separating drum, And an air separation unit for separating the air from the air.
또한, 상기 에어분리부는 내피를 부양시키도록 에어를 분사하는 부양부 및 상기 부양부에 의해 부양된 내피를 흡입하는 흡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air separation unit includes a lifting portion for spraying air to float the inner skin, and a suction portion for sucking the inner skin lifted by the lifting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은행 분리장치는 은행의 외피 및 내피를 자동으로 탈피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bank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automatically separating the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a bank,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또한, 본 발명은 선별부에 의해 은행의 크기 및 모양에 관계없이 모든 형태의 은행을 분류하여 외피를 원활하게 파쇄할 수 있는 파쇄부 위치로 전달할 수 있어 모든 형태의 은행을 불량 없이 탈피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 kinds of banks can be classified by the sorting unit regardless of the size and shape of the bank, and the bank can be delivered to the crusher position where the crust can be smoothly broken, .
또한, 본 발명은 선별부의 회전방향에 의해 은행을 세워 균일한 형태로 파쇄부에 전달함으로 불량 없이 탈피가 가능하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k is set up in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sorting unit and delivered to the crushing unit in a uniform form, so that it is possible to peel off without fail.
또한, 본 발명은 파쇄부에 의해 은행 외피의 중간부위가 파쇄되고, 충돌부에 의해 충돌되어 은행의 외피를 분리함으로써, 외피가 분리되지 않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bank envelope is broken by the crushing portion, and collision is caused by the collision portion, thereby separating the bank envelope, thereby preventing failure that the envelope is not separated.
또한, 본 발명은 터널부를 따라 이송되는 은행이 컨베이어부와 접촉되고, 고압의 에어에 의해 내피를 박리하고, 은행에 붙은 잔여 내피까지 철저히 분리할 수 있어 상품성이 우수한 은행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k transported along the tunnel portion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nveyor portion, the endothelium can be peeled off by the high-pressure air, and the endothelium can be thoroughly separated to the remaining endothelium attached to the bank,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 분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 분리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 분리장치의 파쇄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 분리장치의 파쇄부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 분리장치의 파쇄부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 분리장치의 외피분리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 분리장치의 외피분리부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 분리장치의 외피분리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 분리장치의 내피박리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A-A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 분리장치의 내피박리부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 분리장치의 내피분리부를 보인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bank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view of a bank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illustrating a crushing unit of a bank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a crushing section of a bank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operation of a crushing unit of a bank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 casing separating unit of a bank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of a casing separating unit of a bank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sing separating unit of a bank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showing an inner skin peeling unit of a bank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11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inner skin peeling unit of the bank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n inner separator of a bank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은행 분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bank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 분리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 분리장치의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 분리장치의 파쇄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 분리장치의 파쇄부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 분리장치의 파쇄부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 분리장치의 외피분리부를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 분리장치의 외피분리부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 분리장치의 외피분리부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 분리장치의 내피박리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A-A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 분리장치의 내피박리부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 분리장치의 내피분리부를 보인 도면이다.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bank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a bank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of a bank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lan view of a crushing unit of a bank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operation of a crushing unit of a bank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lan view of a casing separating unit of a bank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lan view of the separating unit of the bank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n inner skin peeling unit of a bank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9, and FIG. 11 is a cros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view showing an inner separator of a bank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 분리장치(10)는 공급부(100), 외피탈피부(200) 및 내피탈피부(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to 12, a
공급부(100)는 일정량의 은행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외피탈피부(200)로 은행은 공급하는 컨베이어벨트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공급부(100)는 하부에서 상부로 은행이 이송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고, 컨베이어벨트에는 일정량의 은행을 공급하도록 컨베이어벨트의 폭보다 좁은 걸림리브(110)가 형성된다. 즉,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벨트에는 걸림리브(110)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걸림리브(110)에 은행이 올려져 이송된다. 이때, 걸림리브(110)가 컨베이어벨트의 폭보다 좁으므로 양측으로 흘러내기게 되어 일정한 은행을 공급할 수 있다.The
외피탈피부(200)는 은행의 외피를 탈피하는 것으로서, 공급부(100)에 의해 공급된 은행의 외피를 파쇄하는 파쇄부(210) 및 파쇄부(210)에 의해 파쇄된 은행의 외피를 분리하는 외피분리부(240)를 포함한다.The
파쇄부(210)는 은행의 규격을 선별하는 선별부(220)를 포함한다. 선별부(220)는 상호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1,2선별롤러(222,224)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2선별롤러(222,224)는 도 3 내지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평롤러로 이루어지며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간격이 넓어진다.The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선별롤러(222,224)는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회전축이 편심되어 제1,2선별롤러(222,224)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넓어진다. 즉, 은행이 투입되는 측은 D1의 간격을 지니고, 투입측에서 벌어지는 일측은 D2의 간격을 지닌다.As shown in FIG. 4, the first and
그리고, 제1,2선별롤러(222,224) 중 어느 하나에는 은행을 일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재(225)가 구비된다. 이송부재(225)는 제1선별롤러(222) 또는 제2선별롤러(224)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나선리브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선별롤러(224)의 둘레면에 이송부재(225)가 형성되며, 이송부재(225)에 의해 은행은 일측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따라서, 은행은 크기별로 선별되어 하부의 파쇄부(210)로 전달될 수 있다. 최초에는 크기가 작은 은행이 제1,2선별롤러(222,224)를 통과하고, 크기가 큰 은행은 이송부재(225)에 의해 일측방향으로 이송되면서, 해당 크기의 간격에서 통과되어 파쇄부(210)로 전달된다.One of the first and
그리고, 제1,2선별롤러(222,224)는 제1,2선별롤러(222,224)의 사이 공간을 기준으로 각각 은행의 배출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은행을 일정형태로 세워지게 하여, 파쇄부(210)에 의해 정확한 부위를 파쇄하기 위함이다.The first and
파쇄부(210)는 제1,2선별롤러(222,224)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호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1,2파쇄롤러(212,214)를 포함한다. 제1,2파쇄롤러(212,214)는 제1,2선별롤러(222,224)와 동일하게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간격이 넓어진다. The crushing
제1,2파쇄롤러(212,214)의 둘레면에는 파쇄기어치(215)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파쇄기어치(215)는 은행 외피의 중간을 파쇄한다.On the peripher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rushing
제1,2파쇄롤러(212,214)와 제1,2선별롤러(222,224)는 단일 파쇄구동부(230)에 의해 구동된다. 파쇄구동부(230)는 제1,2파쇄롤러(212,214), 제1,2선별롤러(222,224)에 각각 결합되고, 상호 치합되는 파쇄구동기어(232) 및 파쇄구동기어(232) 중 어느 하나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파쇄구동모터(234)를 포함한다.The first and second crushing
즉,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롤러에는 파쇄구동기어(232)가 구비되어 총 4개의 파쇄구동기어(232)가 사각형태로 배열되고, 상호 각각 치합된다. 이로 인해 파쇄구동모터(234)에 의해 하나의 파쇄구동기어(232)가 회전되면, 3개가 함께 연동된다. 그리고, 상부에 위치되는 제1,2선별롤러(222,224)는 제1,2선별롤러(222,224)의 사이 공간을 기준으로 각각 은행의 배출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제1,2파쇄롤러(212,214)는 제1,2파쇄롤러(212,214)의 사이 공간을 기준으로 각각 은행의 배출방향과 대응되게 회전된다. 즉, 제1,2선별롤러(222,224)는 은행을 상부로 밀어올리고, 제1,2파쇄롤러(212,214)는 은행을 하부로 밀어내리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4, each of the rollers is provided with a crushing
외피분리부(240)는 도 6 내지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파쇄부(210)에 의해 외피가 파쇄된 은행을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발산시키는 회전부(250) 및 회전부(250)에 의해 발산되는 은행이 부딪치도록 회전부(250)의 둘레에 구비되는 충돌부(260)를 포함한다. 회전부(250)는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252) 및 회전판(252)에 구비되어 은행의 발산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254)를 포함한다. 가이드부재(254)는 회전판(252)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As shown in FIGS. 6 to 8, the
회전판(252)의 중앙부로 외피의 중간이 파쇄된 은행이 공급되고, 회전판(252)의 회전에 의해 은행에 원심력이 작용되어 회전판(252)으로 발산되게 된다. 이때, 가이드부재(254)는 회전판(252)의 중심에서 회전판(252)의 방사방향으로 연장되어 은행의 발산을 안내한다. 이처럼 발산된 은행은 충돌부(260)에 부딪혀 은행의 알맹이와 외피를 분리시킨다.The center of the
충돌부(260)에는 탄성력을 갖는 분리향상부재(262)가 구비된다. 분리향상부재(262)는 은행의 충돌시 반발력을 향상시켜 외피와 알맹이의 분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내피탈피부(300)는 은행의 내피를 박리하는 내피박리부(310) 및 은행에 붙은 잔여 내피를 분리하는 내피분리부(320)를 포함한다. 은행의 내피는 얇은 막으로 형성된다.The
내피박리부(310)는 도 9 내지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부(312)와, 컨베이어부(312)에 구비되고, 은행이 투입되어 컨베이어부(312)에 의해 이동되는 은행의 이동을 안내하는 터널부(314) 및 터널부(314)에 의해 안내되는 은행에 에어를 공급하여 내피를 박리하는 에어분사부(317)를 포함한다.9 to 11, the
터널부(314)는 하면이 개구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는 은행이 투입되는 투입호퍼(315)가 형성된다. 그리고, 터널부(314)는 컨베이어부(312)의 상부에 사선으로 구비된다. 이로 인해 투입호퍼(315)를 통해 터널부(314)의 내부로 투입된 은행은 컨베이어부(312)에 의해 터널부(314)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컨베이어부(312)와 마찰되어 내피가 박리된다.The
또한, 에어분사부(317)에서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 은행의 내피가 박리된다.Further, the inner surface of the bank is peeled off by the air jetted from the
이때, 터널부(314)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확장부(316)가 형성되고, 에어분사부(317)는 확장부(316)와 대응되게 구비된다. 즉,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은행이 확장부(316)에 도달하면, 에어분사부(317)에서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 은행이 대회전을 하게 되며, 낙차에 의해 내피가 원활하게 박리되며,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 진행이 정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에어분사부(317)위에 고압이 발생하게 되므로 은행의 진행이 저해될 수 있는데, 확장부(316)에 의해 압력을 낮추어 줌으로써, 원활한 진행을 가능하게 한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이러한, 확장부(316)와 에어분사부(317)는 터널부(314)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된다.The
내피분리부(320)는 내피박리부(310)로부터 전달되는 은행이 투입되고, 외력에 의해 회전되며, 은행의 내피와 알맹이를 분리하는 분리드럼(322) 및 분리드럼(322)에 의해 분리되지 않은 내피와 알맹이를 에어에 의해 분리하는 에어분리부(324)를 포함한다.The
분리드럼(322)은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바가 원통형으로 배치되어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바는 은행이 이탈되지 않는 간격으로 배치되고, 분리드럼(322)의 하부에는 은행의 알맹이에서 분리된 내피를 수거하는 수거덕트(323)가 구비된다.The
분리드럼(322)이 회전되면, 은행은 분리드럼(322) 내에서 반복적으로 낙하되면서 알맹이와 내피가 분리된다.When the
에어분리부(324)는 내피를 부양시키도록 에어를 분사하는 부양부(325) 및 부양부(325)에 의해 부양된 내피를 흡입하는 흡입부(326)를 포함한다. The
부양부(325)는 분리드럼(322)으로부터 배출되는 은행의 하부에서 에어를 분사하고, 분사된 에어에 의해 가벼운 내피를 부양시킨다. 그리고, 부양부(325)의 상부에는 흡입부(326)가 구비되어 부양한 내피를 흡입하여 수거한다.The lifting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 분리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bank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은행은 공급부(100)에 의해 공급된다. 공급부(100)는 상부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컨베이어벨트로 이루어지고, 컨베이어벨트에는 컨베이어벨트의 폭보다 좁은 걸림리브(110)가 구비되어 외피탈피부(200)로 일정량의 은행을 공급한다.The bank is supplied by the
공급부(100)에 의해 공급된 은행은 선별부(220)에 의해 크기별로 분류되어 파쇄부(210)로 전달된다.The banks supplied by the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은행은 제1,2선별롤러(222,224)로 공급되고, 제1,2선별롤러(222,224)의 회전에 의해 제2선별롤러(224)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이송부재(225)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제1,2선별롤러(222,224)의 사이 간격을 통해 하부의 파쇄부(210)로 낙하한다. 이때, 제1,2선별롤러(222,224)는 사이 공간을 기준으로 각각 은행의 배출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므로,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은행은 세워지면서 분류된다.3 to 5, the bank is supplied to the first and
이처럼 선별부(220)에 의해 선별되어 크기별로 해당위치에서 낙하된 은행은 제1,2파쇄롤러(212,214)에 의해 외피가 파쇄된다. 제1,2파쇄롤러(212,214)의 둘레면에는 파쇄기어치(215)가 형성되어 은행 외피의 중간부위가 파쇄된다.The bank that has been selected by the
이러한 제1,2선별롤러(222,224)와 제1,2파쇄롤러(212,214)는 단일 파쇄구동부(230)에 의해 구동된다. 즉,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1,2선별롤러(222,224), 제1,2파쇄롤러(212,214)에 구비되는 파쇄구동기어(232)가 상호 맞물려 구비되고, 파쇄구동모터(234)가 하나의 파쇄구동기어(232)를 회전시키면 모든 파쇄구동기어(232)가 회전되고, 제1,2선별롤러(222,224)는 사이 공간을 기준으로 상부로 회전되고, 제1,2파쇄롤러(212,214)는 사이 공간을 기준으로 하부로 회전된다. 이로 인해 하나의 파쇄구동모터(234)를 구비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first and
은행의 중간부위가 파쇄된 은행은 외피분리부(240)로 전달되어 외피가 분리된다.The bank of which the middle part of the bank is broken is delivered to the
이는 도 6 내지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부위가 파쇄된 은행은 회전판(252)의 중앙부로 투입되고, 회전판(252)의 회전에 의해 은행은 가이드부재(254)를 따라 회전판(252)의 둘레에 구비되는 충돌부(260)로 발산되고, 충돌부(260)에 부딪힌 은행은 충격에 의해 알맹이와 외피가 분리된다.6 to 8, the bank having the intermediate portion broken is inserted in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이때, 충돌부(260)에는 탄성력을 갖는 분리향상부재(262)가 구비된다. 분리향상부재(262)는 탄성력을 가지므로, 반발력에 의해 은행의 알맹이와 외피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외피가 제거된 은행은 내피탈피부(300)로 전달되어 내피가 탈피된다. 이는 내피박리부(310)에 의해 내피를 박리하고, 내피분리부(320)에 의해 박리되고 난 은행에 남은 잔여 내피를 분리한다.The bank with the sheath removed is delivered to the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도 9 내지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가 제거된 은행이 투입호퍼(315)를 통해 터널부(314)로 투입되고, 터널부(314)에 투입된 은행은 컨베이어부(312)에 의해 터널부(314)를 따라 이송된다. 이때, 터널부(314)를 따라 이송되는 은행은 컨베이어부(312)와 접촉되어 터널부(314) 내에서 구르면서 내피가 박리된다. 그리고, 터널부(314)에는 복수개의 확장부(316)가 구비되고, 확장부(316)에 대응되도록 에어분사부(317)가 구비되어 확장부(316)에 도달한 은행은 에어의 분사력에 의해 내피가 박리되고, 확장부(316)내에서 대회전되어 내피 박리효율이 향상된다.9 to 11, the bank having the outer sheath removed is charged into the
그리고, 확장부(316)에 의해 터널부(314)의 압력을 낮추어줌으로써, 에어분사부(317)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에어에 의해 은행의 진행이 정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원활한 박리작업이 가능하다.By lowering the pressure of the
터널부(314)는 컨베이어부(312)의 상부에 사선으로 구비됨으로써, 컨베이어부(312)와 은행의 접촉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박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터널부(314)로부터 내피가 박리된 은행은 내피분리부(320)로 전달되어 은행의 알맹이에 남은 잔여 내피를 분리시킨다.The bank whose inner skin has been peeled off from the
이는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박리된 은행이 회전되는 분리드럼(322)으로 투입되어 은행이 상부에서 하부로 낙하되는 것을 반복하면서 은행에 남은 잔여 내피가 분리된다. 분리된 내피는 분리드럼(322)의 하부에 구비되는 수거덕트(323)에 의해 수거된다.As shown in FIG. 12, the separated bank is inserted into the
그리고, 분리드럼(322)으로부터 이탈된 은행은 에어분리부(324)에 의해 최종적으로 잔여내피를 제거한다. 이는 부양부(325)에서 분리드럼(322)으로부터 이탈된 은행에 에어를 분사시켜 내피를 부양시키고, 부양부(325)에 의해 부양된 내피는 흡입부(326)에 의해 흡입되어 제거된다.Then, the bank that is separated from th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 분리장치에 의하면, 은행의 외피 및 내피를 자동으로 탈피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선별부에 의해 은행의 크기 및 모양에 관계없이 모든 형태의 은행을 분류하여 외피를 원활하게 파쇄할 수 있는 파쇄부 위치로 전달할 수 있어 모든 형태의 은행을 불량 없이 탈피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bank separating apparatu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escape the envelope and the inner wall of the bank, thereby improving the productivity. In addition, Type bank can be classified into a crushing site where the crust can be broken smoothly, so that all types of banks can be removed without failing.
또한, 본 발명은 터널부를 따라 이송되는 은행이 컨베이어부와 접촉되고, 고압의 에어에 의해 내피를 박리하고, 은행에 붙은 잔여 내피까지 철저히 분리할 수 있어 상품성이 우수한 은행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k transported along the tunnel portion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nveyor portion, the endothelium can be peeled off by the high-pressure air, and the endothelium can be thoroughly separated to the remaining endothelium attached to the bank, hav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 : 은행 분리장치 100 : 공급부
110 : 걸림리브 200 : 외피탈피부
210 : 파쇄부 212 : 제1파쇄롤러
214 : 제2파쇄롤러 215 : 파쇄기어치
220 : 선별부 222 : 제1선별롤러
224 : 제2선별롤러 225 : 이송부재
230 : 파쇄구동부 232 : 파쇄구동기어
234 : 파쇄구동모터 240 : 외피분리부
250 : 회전부 252 : 회전판
254 : 가이드부재 260 : 충돌부
262 : 분리향상부재 300 : 내피탈피부
310 : 내피박리부 312 : 컨베이어부
314 : 터널부 315 : 투입호퍼
316 : 확장부 317 : 에어분사부
320 : 내피분리부 322 : 분리드럼
323 : 수거덕트 324 : 에어분리부
325 : 부양부 326 : 흡입부10: bank separator 100:
110: Retraction rib 200: External skin
210: crushing section 212: first crushing roller
214: second crushing roller 215: crusher
220: sorting unit 222: first sorting roller
224: second sorting roller 225: conveying member
230: crush drive unit 232: crush drive gear
234: crushing drive motor 240:
250: rotating part 252:
254: guide member 260:
262: separation enhancing member 300: intestinal perforation skin
310: inner skin peeling section 312: conveyor section
314: tunnel part 315: input hopper
316: Extension part 317: Air jet part
320: an inner skin separator 322: a separation drum
323: collection duct 324: air separation unit
325: lifting portion 326: suction portion
Claims (6)
상기 내피박리부는 컨베이어부; 상기 컨베이어부에 구비되고 은행이 투입되어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동되는 은행의 이동을 안내하는 터널부; 및 상기 터널부에 의해 안내되는 은행에 에어를 공급하여 내피를 박리하는 에어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널부는 상기 컨베이어부의 상부에 사선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 분리장치.
An endothelium-exfoliating part for exfoliating the endothelium by high-pressure air, And an endothelial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remaining endothelium remaining in the bank,
The endothelium-exfoliating part comprises a conveyor part; A tunnel part provided in the conveyor part and guiding the movement of the bank which is inserted by the bank and moved by the conveyor part; And an air jetting section for supplying air to the bank guided by the tunnel section to peel off the endothelium,
Wherein the tunnel part is obliquely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veyor part.
상기 터널부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확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분사부는 상기 확장부와 대응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 분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extension portions are formed in the tunnel portion;
Wherein the air injection unit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expansion unit.
상기 내피분리부는 상기 내피박리부로부터 전달되는 은행이 투입되고, 외력에 의해 회전되며, 은행의 내피와 알맹이를 분리하는 분리드럼; 및
상기 분리드럼에 의해 분리되지 않은 내피와 알맹이를 에어에 의해 분리하는 에어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 분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parating drum for separating the inner skin of the bank from the inner skin; a separating drum for separating the bank from the inner skin; And
And an air separation unit that separates the inner skin and the lump separated by the separation drum by air.
상기 에어분리부는 내피를 부양시키도록 에어를 분사하는 부양부; 및
상기 부양부에 의해 부양된 내피를 흡입하는 흡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 분리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air separating portion includes a lifting portion for spraying air to float the inner skin; And
And a suction unit for sucking the endothelium lifted by the lifting uni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5595A KR101950164B1 (en) | 2017-03-21 | 2017-03-21 | Peeling device for gink go nut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5595A KR101950164B1 (en) | 2017-03-21 | 2017-03-21 | Peeling device for gink go nut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06761A KR20180106761A (en) | 2018-10-01 |
KR101950164B1 true KR101950164B1 (en) | 2019-02-22 |
Family
ID=63877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35595A KR101950164B1 (en) | 2017-03-21 | 2017-03-21 | Peeling device for gink go nut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50164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81680A (en) | 2020-12-09 | 2022-06-16 | 정상용 | Device for automatically peeling ginkgo berry shell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7224B1 (en) | 2007-03-09 | 2007-11-28 | 정재환 | System for pulverizing a nutshell of a gingko nut and method thereof |
US20160286848A1 (en) | 2015-04-01 | 2016-10-06 | Jose Borrell S.A. | Peeling Machine For Peeling Nuts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05961B1 (en) * | 1996-12-30 | 1999-07-01 | 주영 | The apparatus and the method for processing the jingko nuts |
KR20140108069A (en) * | 2013-02-28 | 2014-09-05 | 배광용 | Peeling machine for peanut |
KR101624408B1 (en) * | 2014-07-17 | 2016-05-26 | 최승락 | Nutshell peeling off apparatus of ginkgo nut |
-
2017
- 2017-03-21 KR KR1020170035595A patent/KR10195016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7224B1 (en) | 2007-03-09 | 2007-11-28 | 정재환 | System for pulverizing a nutshell of a gingko nut and method thereof |
US20160286848A1 (en) | 2015-04-01 | 2016-10-06 | Jose Borrell S.A. | Peeling Machine For Peeling Nuts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81680A (en) | 2020-12-09 | 2022-06-16 | 정상용 | Device for automatically peeling ginkgo berry shell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06761A (en) | 2018-10-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50163B1 (en) | Peeling device for gink go nuts | |
CA2934203C (en) | Apparatus and process for wet crushing mined oil sand | |
CN207911995U (en) | A kind of groundnut sheller | |
KR101418531B1 (en) | Method of peeling off seed and apparatus of peeling off seed | |
KR101397338B1 (en) | Crusher for food-waste | |
US8469075B2 (en) | Coating film peeling apparatus for resin material | |
KR101950164B1 (en) | Peeling device for gink go nuts | |
CN106385965B (en) | A kind of sugarcane impurity separation machine | |
JP6215322B2 (en) | Grinding of pulverized material in a vertical roller mill | |
CN205043842U (en) | Ganoderma lucidum slicing machine | |
KR101786425B1 (en) | Apparatus for processing food wastes | |
CN104305480A (en) | Pepper husking device | |
CN112078058B (en) | Broken wall cleaning integrated equipment for plastic product recovery | |
CN216327656U (en) | Surface sand blasting device for refrigerator tray production | |
JP5538273B2 (en) | Bag removal machine | |
KR101698587B1 (en) | Onion peeling machine | |
KR20090004839U (en) | Apparatus for producing feed from skin of a garlic | |
SE531263C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materials | |
CN109499791B (en) | Centrifuge residual material clearing device | |
CN106914443A (en) | A kind of flaying machine | |
CN216165023U (en) | Automatic nut shelling device for nut production line | |
KR20040092022A (en) | Pre-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recycling waste-vinyl | |
KR200470384Y1 (en) | A clamshell pulverizer | |
CN109395802B (en) | Brown rice processing device | |
JP2012040535A (en) | Husking treatment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