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0147B1 - 만두 제조 장치를 이용한 만두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만두 제조 장치를 이용한 만두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0147B1
KR101950147B1 KR1020180108707A KR20180108707A KR101950147B1 KR 101950147 B1 KR101950147 B1 KR 101950147B1 KR 1020180108707 A KR1020180108707 A KR 1020180108707A KR 20180108707 A KR20180108707 A KR 20180108707A KR 101950147 B1 KR101950147 B1 KR 101950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mpling
rotor
guide roller
dumplings
convey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영모
Original Assignee
마영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영모 filed Critical 마영모
Priority to KR1020180108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1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B08B1/0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8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 B26D7/088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by cleaning or lubric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384Cutting-out; Stamping-out using rotating dru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만두를 동시에 제조하고, 위생적으로 만두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만두 제조 장치를 이용한 만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만두 제조 장치를 이용한 만두 제조 방법{DUMPLING MANUFACTURING METHOD USING DUMPLING MANUFACTURING EQUIPMENT}
본 발명은 만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만두피 반죽과 만두소 재료를 공급하면서 만두를 제조할 수 있는 만두 제조 장치를 이용한 만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만두는 밀가루나 메밀가루 반죽으로 껍질을 만들고, 그 속에 고기, 두부, 김치 등으로 버무린 소를 넣고 찌거나 튀긴 음식으로서, 대부분 만두 성형(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된다.
이러한 만두제조는 대부분 사람의 수작업에 의하여 만두를 만들어 섭취하였으나 생산성이 떨어지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종래에는 국내 실용신안 등록공고 제1996-0002259호 등과 같이 기계적으로 만두를 성형할 수 있는 장치들이 고안되어 대량으로 만두를 생산하고 있다.
종래의 만두 제조장치는 밀가루 반죽과 만두소를 각각 별도의 반죽호퍼와 만두소호퍼에 공급하면 반죽은 자동으로 반죽 이동스크루에 의하여 노즐 쪽으로 압출되어 노즐을 통하여 성형롤러 측으로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만두소는 만두소 이동장치에 의해 노즐 끝부분까지 이어진 이동 파이프 속으로 이동되어 노즐을 통해 나오는 만두피 반죽 튜브의 내부로 연속적으로 공급되어 반죽 튜브 내부에 속이 꽉 찬 상태로 성형롤러 쪽으로 연속 공급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반죽튜브는 성형롤러에 의해 빚어져 만두를 생산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만두성형기로는 만두의 크기가 일정하여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 및 식습관을 반영하지 못하여 선택의 폭을 좁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점성을 가지는 반죽 튜브가 롤러에 고착되어 기계의 고장을 유발하거나 만두의 위생 상에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만두 제조 방법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만두를 동시에 제조하고, 위생적으로 만두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만두 제조 장치를 이용한 만두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만두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만두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만두소 재료를 세척 및 손질하여 다진 후, 만두소 재료 공급부에 수용하는 단계와; 만두피 재료가 되는 밀가루를 반죽하여 만두피 반죽 수용부에 수용하는 단계와; 만두소 재료 공급부에 저장된 만두소 재료를 만두소 수용부에 공급함과 아울러 섞어주어 만두소를 형성한 후, 만두소 이송관을 통해 공급하는 단계와; 만두피 반죽 수용부에 수용된 만두피 반죽을 만두피 반죽 이송관을 통해 만두피 반죽 튜브의 형태로 공급함과 동시에, 만두소 이송관에서 토출되는 만두소가 만두피 반죽 튜브에 수용되어 만두 줄기를 형성하도록 토출시키는 단계와; 토출되는 만두 줄기를 블레이드가 구비된 로터를 통해 반달 모양으로 컷팅하여 만두를 제조하는 단계와; 제조된 만두를 냉각시키는 단계와; 냉각된 만두에 이물이 유입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와; 이물 유입 여부 검사를 거친 만두를 만두 포장 장치를 통해 포장하는 단계와; 포장된 만두 완제품에 금속이 유입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만두 제조 장치는,
만두소를 수용하는 만두소 수용부와; 일단부는 만두소 수용부의 하부에 연결되어 연장되고, 타단부는 개구되어 만두소를 토출하는 만두소 이송관과; 만두피를 제조하기 위한 반죽을 수용하는 만두피 반죽 수용부와; 일단부는 만두피 반죽 수용부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만두소 이송관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타단부는 개구되되 상기 만두소 이송관의 타단부의 외주연을 소정 간격을 가지고 감싸도록 형성되어 만두피 반죽 튜브를 토출하는 만두피 반죽 이송관과; 상기 만두소 이송관의 타단부와 상기 만두피 반죽 이송관의 타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롤링되면서, 상기 만두소 이송관의 타단부에서 토출되는 만두소가 상기 만두피 반죽 이송관의 타단부에서 토출되는 만두피 반죽 튜브의 내부에 수용되어 형성되는 만두 줄기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와; 상기 가이드롤러의 상부에 배치되어 롤링되며, 상기 만두 줄기를 반달형의 만두 모양으로 컷팅하는 블레이드가 구비된 로터와; 상기 로터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롤러 및 상기 로터에 세척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가이드롤러 및 상기 로터가 롤링할 때, 상기 가이드롤러 및 상기 로터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롤러 및 상기 로터를 세척하며, 상기 가이드롤러의 폭과 상응하는 폭을 가지는 브러시;를 포함하며,
상기 만두소 재료 공급부는,
상기 만두소 수용부에 만두소 재료를 투입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재료 투입부와, 상기 만두소에 접한 진동체의 고유진동수가 만두소의 밀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여 상기 만두소 수용부에 수용된 만두소의 밀도를 감지해주는 밀도센서부와, 상기 만두소 수용부에 수용된 만두소의 색상을 감지해주는 카메라가 구비된 색상센서부를 포함하여, 상기 만두소의 밀도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재료 투입부의 토출구에 구비된 밸브를 제어하여 투입되는 만두소 재료의 양을 제어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로터 상에 반달형태로 복수 개가 형성되되, 상기 로터 외주면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된 반달형 블레이드의 호의 길이(r1)가 타측에 형성된 반달형 블레이드의 호의 길이(r2)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만두 줄기를 서로 다른 크기의 만두로 컷팅 제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로터의 상부에 가림판이 배치되어, 상기 로터에 분사되는 세척액이 상방으로 튀는 것을 방지해주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와 로터의 일측에 구비된 초음파 세척부를 통해 상기 가이드롤러 및 상기 로터 중 적어도 하나에 초음파를 조사하여 세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를 이용한 만두 제조 방법은, 다양한 크기의 만두를 동시에 제조하고, 위생적으로 만두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만두 제조 장치의 만두가 토출되는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만두 제조 장치의 가이드롤러, 로터, 브러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만두 제조 장치의 로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만두 제조 장치의 만두소 수용부와 만두 재료 투입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1)는 냉동 만두 제조 공정 중에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1)는 만두소 재료와 만두피 반죽을 공급하여 자동으로 만두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이다. 만두 제조 장치(1)는 냉동 만두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냉동 만두 제조 공정은 크게 만두 재료 손질 및 공급, 만두 제조, 냉동, 포장, 불량 검사의 공정 과정을 포함하여 진행된다. 먼저 만두 재료는 만두소가 되는 각종 야채, 육류, 해산물 등이 각각 세척 및 손질되어 다져지고, 복수 개의 만두소 재료 공급부에 각각 수용될 수 있다. 한편, 만두피의 재료가 되는 밀가루는 반죽되어 만두피 반죽 수용부(20)에 공급될 수 있다. 이후 만두 제조 장치(1)를 작동시키면, 만두소 재료 공급부(미도시)에서 만두소 재료가 만두소 수용부(10)로 공급되고 섞여서 만두소가 형성되어 만두소 이송관(11)을 통해 공급되며, 만두피 반죽 수용부(20)에 수용된 만두피 반죽이 만두피 반죽 이송관(21)을 통해 반죽 튜브의 형태로 동시 공급되면서 만두소가 만두 튜브에 수용되어 외부로 토출되며 이를 만두 모양으로 가공하여 만두를 제조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제조된 만두는 만두 이송 장치를 통해 이송되어 냉각장치를 통과하면서 냉각될 수 있다. 냉각 완료된 만두들은 냉각장치에서 토출되어 만두에 이물이 유입되었는지 여부 등을 검사하는 1차 만두 불량 검사가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에 만두 포장 장치를 통해 포장되며, 이후 포장된 냉동만두 완제품을 금속 유입 여부 등의 이물질 검사를 포함하는 2차 만두 불량 검사가 수행됨으로써, 일련의 만두 제조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1)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만두 제조 장치(1)의 만두소 수용부(10)와 만두 재료 투입부(4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만두 제조 장치(1)는 만두소 재료 공급부, 만두소 수용부(10), 만두소 이송관(11), 만두피 반죽 수용부(20), 만두피 반죽 이송관(21), 가이드롤러(30), 로터(31), 세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만두소 재료 공급부는 만두소 수용부(10)의 상부에 복수개로 구비되어 만두소 수용부(10) 내부로 만두소 재료를 공급할 수 있다. 만두소 재료 공급부는 만두소 재료 투입부(40), 밀도센서부(41), 색상센서부(42), 제어부(미도시)를 포함 수 있다.
만두소 재료 투입부(40)는 만두소 수용부(10)에 만두소 재료를 투입하는 것으로써,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재료 투입부(40)에서 재료가 토출되는 토출구에는 밸브(미도시)가 구비되어 개폐가 제어되면서 재료 투입량이 조절될 수 있다.
밀도센서부(41)는 만두소 수용부(10)에 수용된 만두소의 밀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두소의 밀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진동을 이용한 것이 있다. 만두소에 접한 진동체의 고유진동수가 만두소의 밀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진동체의 등가질량이 접해 있는 만두소의 밀도에 따라 달라지는 성질을 응용한 것이다. 진동체를 외부에서 전자적으로 구동하여 그 진동을 전기적으로 검출하여 증폭하고, 고유 진동수로 발진하는 회로가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주파수의 변화를 출력하는 방식으로서 만두소의 밀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색상센서부(42)는 만두소 수용부(10)에 수용된 만두소의 색상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색상센서부(42)는 카메라로 구성되어 만두소를 촬영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는 재료 투입부(40)의 토출구에 구비되는 밸브를 제어하여 만두소의 밀도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만두소 수용부(10)로 투입되는 만두소 재료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재료 투입부(40)는 만두소 재료 중에 다진 양파를 투입할 수 있고, 제2 재료 투입부(40')는 다진 부추를 투입할 수 있고, 제3 재료 투입부(40'')는 다진 고기를 투입할 수 있다. 제어부는 밀도센서부(41)의 만두소 밀도 데이터를 기초로, 밀도가 높으면 만두소의 수분함유량이 적다는 것을 파악하여, 수분이 많은 양파가 수용된 제1 재료 투입부(40)의 밸브를 조절하여 양파의 투입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색상센서부(42)의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RGB 색상 분석을 통해 만두소 재료의 함유량을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만두소 재료 중에 부추가 들어간 경우, 부추는 주로 초록색을 가지므로 만두소 촬영 데이터에서 초록색상이 많이 검출되면, 만두소에 부추가 많이 함유된 것으로 판단하여, 부추가 수용된 제2 재료 투입부(40)의 밸브를 제어하여 부추의 투입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만두소 수용부(10)는 만두소를 수용하는 부재일 수 있다. 만두소 수용부(10)의 내부에는 스티어러(12)가 회전되어서 만두소가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만두소 수용부(10)의 하부는 개구되어 만두소 이송관(11)에 연결될 수 있다.
만두소 이송관(11)은 만두소 수용부(10)에서 만두소를 공급받아서 외부로 토출하는 통로일 수 있다. 만두소 이송관(11)의 일단부는 만두소 수용부(10)의 하부에 연결되어 연장되고, 타단부는 개구되어 만두소를 토출할 수 있다. 만두소 이송관(11)과 만두소 수용부(10)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펌프(13)가 배치되어 만두소 수용부(10)에서 만두소를 펌핑하여 외부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만두피 반죽 수용부(20)는 만두피를 제조하기 위한 반죽을 수용하는 부분일 수 있다. 만두피 반죽 이송관(21)은 만두피 반죽을 이송하기 위한 통로일 수 있다. 만두피 반죽 이송관(21)의 일단부는 만두피 반죽 수용부(2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만두피 반죽 이송관(21)이 만두피 반죽 수용부(20)에 연결된 부분에는 펌프(22)가 배치되어 만두피 반죽을 이송하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잇다.
만두피 반죽 이송관(21)은 만두소 이송관(11)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그의 타단부는 개구되어 만두소 이송관(11)의 타단부의 외주연을 소정 간격을 가지고 감싸도록 형성되어 만두피 반죽 튜브를 토출할 수 있다.
이로써, 만두소 이송관(11)과 만두피 반죽 이송관(21)에서 각각의 만두소와 만두피 반죽 튜브가 동시에 토출되면서, 만두소는 만두피 반죽 튜브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만두 줄기를 형성하며 토출될 수 있다.
도 3은 만두 제조 장치(1)의 만두가 토출되는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만두 제조 장치(1)의 로터(31)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롤러(30)는 회전되면서, 만두소 이송관(11)의 타단부에서 토출되는 만두소가 만두피 반죽 이송관(21)의 타단부에서 토출되는 만두피 반죽 튜브의 내부에 수용되어 형성되는 만두 줄기를 가이드하며 이송시키는 롤러일 수 있다.
로터(31)는 가이드롤러(30)의 상부에 배치되어 롤링되며, 만두 줄기를 반달형의 만두 모양으로 컷팅하는 블레이드(310, 311)가 구비되어 만두 줄기를 컷팅하여 만두로 성형할 수 있다.
블레이드(310, 311)는 로터(31) 상에 반달형태로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310, 311)는 로터(31) 외주면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된 반달형 블레이드(310)와 타측에 형성된 반달형 블레이드(311)로 구분되며 서로의 크기가 다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터(31) 외주면의 일측에 형성된 반달형 블레이드(310)의 호의 길이(r1)가 타측에 형성된 반달형 블레이드(311)의 호의 길이(r2)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일 공정만으로도 다양한 크기의 만두를 제조할 수 있어서, 수요자의 기호 및 식성을 반영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만두 제조 장치(1)의 가이드롤러(30), 로터(31), 브러시(33)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5를 참조하면, 세척부는 가이드롤러(30) 및 로터(31)를 세척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특히, 세척부는 가이드롤러(30)나 로터(31)에 축적되는 만두피 반죽을 제거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세척부는 분사노즐(32), 브러시(33), 가림판(35), 초음파 세척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만두를 지속적으로 제조하면, 만두피 반죽 잔여물이 가이드롤러(30)나 로터(31)에 부착될 수 있다. 만두피 반죽 잔여물이 남아 있으면, 만두를 제조할 때 잔여물이 만두에 부착되어 외관 및 위생을 해칠 수 있으므로 제거의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하여, 분사노즐(32)은 로터(31)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가이드롤러(30) 및 로터(31)에 세척액을 분사하여 만두피 반죽 잔여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분사노즐(32)은 형태 변형이 가능하되, 일 형태에서 유지될 수 있는 호스의 단부에 구비되어, 가이드롤러(30) 및 로터(31)의 다양한 부분에 세척액을 분사할 수 있다.
브러시(33)는 가이드롤러(30) 및 로터(31)가 롤링할 때, 가이드롤러(30) 및 로터(31)의 사이에 삽입되어 가이드롤러(30) 및 로터(31)를 세척할 수 있다. 브러시(33)는 가이드롤러(30)의 폭(d1)과 상응하는 폭(d2)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 브러시(33)는 가이드롤러(30)가 회전됨에 따라 그 폭(d1)의 전부를 브러싱할 수 있다. 브러시(33)는 형태 변형이 가능하되, 일 형태에서 유지될 수 있는 호스의 단부에 구비되어, 가이드롤러(30) 및 로터(31)의 다양한 부분을 브러싱 할 수 있도록 위치 설정될 수 있다. 특히, 브러시(33)는 가이드롤러(30)와 로터(31)의 사이에 위치 설정되어 두 개의 부재를 동시에 세척할 수 있다.
가림판(35)은 로터(31)의 상부에 배치되어 로터(31)에 분사되는 세척액이 상방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는 부재일 수 있다. 세척액이 상방으로 튀면 작업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가림판(35)이 구비될 수 있다.
초음파 세척부(34)는 가이드롤러(30) 및 로터(31) 중 적어도 하나를 세척하기 위해 초음파를 조사하는 부분일 수 있다. 초음파 세척은 비교적 쉽게 떨어지는 이물질에 유효하게 사용되며, 내부 깊숙이 보이지 않거나 손이 닿지 않는 미세한 틈 사이의 곳까지 단시간 내에 세척이 가능할 수 있다. 이로써, 가이드롤러(30)나 로터(31)의 모서리 부분 등의 세척이 어려운 부분도 세척이 가능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만두 제조 장치
10: 만두소 수용부
11: 만두소 이송관
12: 스티어러
13: 펌프
20: 만두피 반죽 수용부
21: 만두피 반죽 이송관
22: 펌프
30: 가이드롤러
31: 로터
310, 311: 블레이드
32: 분사노즐
33: 브러시
34: 초음파 세척부
35: 가림판
40, 40' 40": 재료 투입부
41: 밀도센서부
42: 색상센서부

Claims (5)

  1. 만두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만두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만두소 재료를 세척 및 손질하여 다진 후, 만두소 재료 공급부에 수용하는 단계와; 만두피 재료가 되는 밀가루를 반죽하여 만두피 반죽 수용부에 수용하는 단계와; 만두소 재료 공급부에 저장된 만두소 재료를 만두소 수용부에 공급함과 아울러 섞어주어 만두소를 형성한 후, 만두소 이송관을 통해 공급하는 단계와; 만두피 반죽 수용부에 수용된 만두피 반죽을 만두피 반죽 이송관을 통해 만두피 반죽 튜브의 형태로 공급함과 동시에, 만두소 이송관에서 토출되는 만두소가 만두피 반죽 튜브에 수용되어 만두 줄기를 형성하도록 토출시키는 단계와; 토출되는 만두 줄기를 블레이드가 구비된 로터를 통해 반달 모양으로 컷팅하여 만두를 제조하는 단계와; 제조된 만두를 냉각시키는 단계와; 냉각된 만두에 이물이 유입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와; 이물 유입 여부 검사를 거친 만두를 만두 포장 장치를 통해 포장하는 단계와; 포장된 만두 완제품에 금속이 유입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만두 제조 장치는,
    만두소를 수용하는 만두소 수용부와; 일단부는 만두소 수용부의 하부에 연결되어 연장되고, 타단부는 개구되어 만두소를 토출하는 만두소 이송관과; 만두피를 제조하기 위한 반죽을 수용하는 만두피 반죽 수용부와; 일단부는 만두피 반죽 수용부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만두소 이송관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타단부는 개구되되 상기 만두소 이송관의 타단부의 외주연을 소정 간격을 가지고 감싸도록 형성되어 만두피 반죽 튜브를 토출하는 만두피 반죽 이송관과; 상기 만두소 이송관의 타단부와 상기 만두피 반죽 이송관의 타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롤링되면서, 상기 만두소 이송관의 타단부에서 토출되는 만두소가 상기 만두피 반죽 이송관의 타단부에서 토출되는 만두피 반죽 튜브의 내부에 수용되어 형성되는 만두 줄기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와; 상기 가이드롤러의 상부에 배치되어 롤링되며, 상기 만두 줄기를 반달형의 만두 모양으로 컷팅하는 블레이드가 구비된 로터와; 상기 로터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롤러 및 상기 로터에 세척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가이드롤러 및 상기 로터가 롤링할 때, 상기 가이드롤러 및 상기 로터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롤러 및 상기 로터를 세척하며, 상기 가이드롤러의 폭과 상응하는 폭을 가지는 브러시;를 포함하며,
    상기 만두소 재료 공급부는,
    상기 만두소 수용부에 만두소 재료를 투입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재료 투입부와, 상기 만두소에 접한 진동체의 고유진동수가 만두소의 밀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여 상기 만두소 수용부에 수용된 만두소의 밀도를 감지해주는 밀도센서부와, 상기 만두소 수용부에 수용된 만두소의 색상을 감지해주는 카메라가 구비된 색상센서부를 포함하여, 상기 만두소의 밀도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재료 투입부의 토출구에 구비된 밸브를 제어하여 투입되는 만두소 재료의 양을 제어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로터 상에 반달형태로 복수 개가 형성되되, 상기 로터 외주면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된 반달형 블레이드의 호의 길이(r1)가 타측에 형성된 반달형 블레이드의 호의 길이(r2)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만두 줄기를 서로 다른 크기의 만두로 컷팅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만두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의 상부에 가림판이 배치되어, 상기 로터에 분사되는 세척액이 상방으로 튀는 것을 방지해주는 것을 포함하는 만두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와 로터의 일측에 구비된 초음파 세척부를 통해 상기 가이드롤러 및 상기 로터 중 적어도 하나에 초음파를 조사하여 세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만두 제조 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180108707A 2018-09-12 2018-09-12 만두 제조 장치를 이용한 만두 제조 방법 KR101950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707A KR101950147B1 (ko) 2018-09-12 2018-09-12 만두 제조 장치를 이용한 만두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707A KR101950147B1 (ko) 2018-09-12 2018-09-12 만두 제조 장치를 이용한 만두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0147B1 true KR101950147B1 (ko) 2019-02-19

Family

ID=65528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707A KR101950147B1 (ko) 2018-09-12 2018-09-12 만두 제조 장치를 이용한 만두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01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9516A (ko) 2019-12-20 2021-06-30 (주)사람들 짜조 제조설비
KR20240015231A (ko) 2022-07-26 2024-02-05 최상업 회오리 형상 만두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만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3149A (ja) * 2005-04-20 2006-1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ウェーハ洗浄装置及びウェーハ洗浄方法
US20140335256A1 (en) * 2013-05-07 2014-11-13 Eileen McKillop Heat-treatment of milk
KR20150021666A (ko) * 2013-08-21 2015-03-03 김경란 청결과 코팅이 도모되는 환약성형부를 갖는 제환기
KR20160123519A (ko) * 2015-04-16 2016-10-26 박노춘 만두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3149A (ja) * 2005-04-20 2006-1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ウェーハ洗浄装置及びウェーハ洗浄方法
US20140335256A1 (en) * 2013-05-07 2014-11-13 Eileen McKillop Heat-treatment of milk
KR20150021666A (ko) * 2013-08-21 2015-03-03 김경란 청결과 코팅이 도모되는 환약성형부를 갖는 제환기
KR20160123519A (ko) * 2015-04-16 2016-10-26 박노춘 만두 제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9516A (ko) 2019-12-20 2021-06-30 (주)사람들 짜조 제조설비
KR20240015231A (ko) 2022-07-26 2024-02-05 최상업 회오리 형상 만두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만두
KR20240040065A (ko) 2022-07-26 2024-03-27 최상업 회오리 형상 만두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만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0147B1 (ko) 만두 제조 장치를 이용한 만두 제조 방법
US7344299B2 (en) Mixing system and process
EP1788893A1 (en) Breadcrumb manufacturing system and method
US5664489A (en) Food breading apparatus
CA1289001C (en) Method of continuously processing fish and apparatus thereof
WO2002041715A2 (en) Flavouring system and method
US20040231299A1 (en) Flavoring system and method
US20110097459A1 (en) Reduced-size apparatus for applying food coating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09846332A (zh) 一种带有洗锅功能的全自动蒸煮设备及其工作方法
US20080112259A1 (en) Mixing system and process
CN109846333A (zh) 一种带有补偿功能的全自动蒸煮设备及其工作方法
CA2643289A1 (en) Automated application of an antimycotic composition to sliced foodstuffs and an antimycotic application apparatus
US7021469B2 (en) Apparatus for feeding particulate products to a user machine
KR102344148B1 (ko) 핫도그 제조장치
CN109770700A (zh) 一种新型的全自动蒸煮设备及其工作方法
JP2007055640A (ja) 定量ソフト充填装置及び定量ソフト充填装置を用いた定量ソフト充填方法
JPH02135041A (ja) パンケーキ等の自動製造・供給装置
US20220151251A1 (en) System for treating whole meat material and grinding whole meat material into ground meat product
CN106078888B (zh) 可消毒和烘干的槟榔自动切籽机
KR20200015130A (ko) 또띠아용 반죽볼 성형기의 롤링 유니트
CN210695917U (zh) 一种粉丝加工用粉丝成型机构
JP2011099754A (ja) 切り出し秤量装置
CN107624876B (zh) 自动化食品卤制生产线及方法
JP2001080601A (ja) 納豆原料用煮豆の納豆包装用容器単位当りの所定重量測定兼納豆容器詰装置
KR101950143B1 (ko) 곡물 탈수 장치를 이용한 볶음밥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