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9495B1 - 개구부용 슬라이딩 오픈 커버 장치 - Google Patents

개구부용 슬라이딩 오픈 커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9495B1
KR101949495B1 KR1020180161801A KR20180161801A KR101949495B1 KR 101949495 B1 KR101949495 B1 KR 101949495B1 KR 1020180161801 A KR1020180161801 A KR 1020180161801A KR 20180161801 A KR20180161801 A KR 20180161801A KR 101949495 B1 KR101949495 B1 KR 101949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ide wall
wheel
opening
receiv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1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동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케이엠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케이엠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케이엠이엔지
Priority to KR1020180161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94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54Non-circular covers, e.g. hexagonal, elliptic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1/00Cessp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구부용 슬라이딩 오픈 커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개구부용 슬라이딩 오픈 커버 장치는, 지하구조물 내부와 연통되는 개구부(11)가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11)의 둘레로 그레이팅(70) 안착이 가능한 안착턱(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턱(12)의 단부를 따라 상향 돌출된 내부측벽(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측벽(13)의 외측에는 바퀴(31) 지지가 가능하도록 판상의 레일바닥부(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레일바닥부(14)의 둘레에는 내부측벽(13) 상단보다 높이가 높게 상향 돌출된 외부측벽(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두 레일바닥부(14)에는 바퀴수용홀(16)이 서로 평행하게 각각 복수 개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일측 외부측벽(15)에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고, 내부에 걸림홈(21)이 형성되어 있는 잠금고리(20)와; 저부에 상기 바퀴수용홀(16)에 수용되고, 외력에 의해 바퀴수용홀(16)으로부터 빠져나와 레일바닥부(14)를 따라 굴러가도록 이루어진 바퀴(31)가 설치되어 있고, 측벽(32)은 상기 외부측벽(15)과 내부측벽(13) 사이에 끼워지며, 측벽(32) 하부 둘레에는 상기 바퀴수용홀(16)에 바퀴(31)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바닥부(14) 상면에 밀착되는 압착돌기(33)가 설치되어 있고, 상부 중앙에는 점검구(34)가 상기 개구부(11)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타측 상부에는 손잡이설치홈(3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설치홈(36)의 측벽면에는 축관통홀(36a)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30)와; 상기 축관통홀(36a)을 관통하여 일측 단부는 상기 손잡이설치홈(36) 내부에 위치하고, 타측 단부는 손잡이설치홈(36) 외부의 커버(30) 하부에 위치하는 회전축부(41)와, 상기 회전축부(41)의 일측 단부와 연결된 채 절곡된 절곡부(42)와, 상기 양측의 절곡부(42)를 연결하며, 중앙에 레버(43a)가 연결되어 있는 손잡이부(43)로 구성되어, 회전축부(41)의 회전에 따라 레버(43a)가 선택적으로 상측으로 회전하는 손잡이장치(40)와; 상기 회전축부(41)에 연결된 채 상기 손잡이설치홈(36) 측벽면에 밀착되어 축관통홀(36a)을 통해 내부 공기가 손잡이설치홈(36)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부재(50)와; 상기 회전축부(41)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회전축부(41)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도록 이루어져 있되, 일측에는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잠금고리(20)의 걸림홈(21)에 끼워져 커버(30)의 이동을 방지하는 후크부(61)가 형성되어 있는 걸쇠(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덮개가 슬라이딩 이동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자 1인 작업시 안전성을 확보한 채 개폐 가능하도록 함과 더불어, 레일과 같은 외부 돌출 구조가 발생치 않게 함은 물론, 내부와 외부의 차단이 원할히 이루어져 지하구조물에서 발생하는 악취나 유해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개구부용 슬라이딩 오픈 커버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개구부용 슬라이딩 오픈 커버 장치{Sliding open cover apparatus for open part}
본 발명은 집수조에 구비되는 맨홀 등의 개구부를 밀폐시키거나 개방시키는 커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라이딩 오픈 방식으로 개폐 작동되도록 이루어진, 개구부용 슬라이딩 오픈 커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수조의 겨우 수조당 2군데 이상의 맨홀이 존재하며, 이러한 맨홀은 수조 내부의 점검을 위해 출입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집수조 특성상 폐수의 성상으로 인해 흄 및 가스들이 포집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탈취 배관을 설치하여 이를 제거하고 있으나, 일정량의 유해 가스가 맨홀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오기도 한다.
이로 인해 근래에 수조 외부에서 화기 작업 중 맨홀에서 방출된 가스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여 많은 인명 피해를 입히기도 하였다.
이러한 맨홀의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오픈 커버 장치에 관한 기술로, "안전 발판부가 구비된 지하매설 작업탱크용 진입커버"(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88986호, 특허문헌 1)에는 함체 형상의 구조를 갖는 커버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경우 작업자 진입 커버는 메인 커버에 힌지 결합되며, 메인 커버는 맨홀 입구를 전체적으로 덮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 1에서 작업자 진입 커버보다 큰 중량물을 내외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메인 커버를 맨홀로부터 분리하여 견인하여야 하는데, 무게가 큰 메인 커버를 사람이 들어올리고자 할 경우 작업자 단독으로는 불가능하며, 복수의 인원이 들어올려야 하며, 이 경우 메인 커버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추락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중장비로 들어올리기도 하였으나, 이 경우 메인커버를 개방시키고자 할 때마다 크레인과 같은 견인 장비를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견인 장비의 수급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유지 보수 작업에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소와 관련된 기술로, "판넬 조립형 물탱크의 맨홀 뚜껑 개폐장치"(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0184호, 특허문헌 2)에는 맨홀 뚜껑이 설치될 위치에 슬라이딩 레일을 설치하고, 맨홀 뚜껑이 레일에 체결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구성이 공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경우 레일을 따라 맨홀 뚜껑을 밀어 개폐시키도록 이루어져 적은 힘으로 뚜껑을 개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와 같은 기술의 경우 맨홀 뚜껑이 설치될 베이스프레임의 외측으로 레일이 돌출되어 위치하기 때문에 보행자, 차량 등의 하중이 가해지는 환경에는 쉽게 파손되거나, 보행자나 차량에 불편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소와 관련된 기술로 "개폐가 용이한 슬라이딩 맨홀 뚜껑"(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98257호, 특허문헌 3)에는 베이스 프레임의 외주면에 롤러가 설치되는 한편, 덮개는 롤러에 의해 지지되어 롤링이 가능하도록 절곡된 구성이 공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의 경우 특허문헌 2와 달리 개구부의 외측으로 레일이 미돌출되어 레일 돌출로 인한 문제의 해소가 가능하다 할 것이다.
그러나, 롤러가 외부로 돌출됨에 따라 커버와 베이스프레임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내부에 유해가스나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용도의 지하 구조물의 덮개로는 적합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KR 10-1188986 (2012.09.28) KR 20-0360184 (2004.08.17) KR 10-2009-0098257 (2009.09.17)
본 발명의 개구부용 슬라이딩 오픈 커버 장치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덮개가 슬라이딩 이동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자 1인 작업시 안전성을 확보한 채 개폐 가능하도록 함과 더불어, 레일과 같은 외부 돌출 구조가 발생치 않게 함은 물론, 내부와 외부의 차단이 원할히 이루어져 지하구조물에서 발생하는 악취나 유해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개구부용 슬라이딩 오픈 커버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덮개의 저부에 바퀴가 설치되고, 베이스프레임의 레일 상에는 바퀴가 수용되는 홈이 형성되어 슬라이딩 이동시에만 바퀴가 홈에서 빠져나올 수 있게 함으로써 바퀴가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베이스프레임과 덮개 사이에 완전한 기밀이 유지될 수 있게 하여 슬라이딩 개폐의 편리성과 기밀성의 두 가지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 작업자가 덮개를 잡아당기기 위한 레버가 평상시 덮개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함과 더불어, 작업시에만 회전 돌출하여 사용 편리성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특히, 베이스프레임 일측 벽면에 장홈이 형성되는 한편, 커버에는 고정봉이 장홈에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고정봉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있으며, 마감캡이 설치되어 작업자 외의 사람이 손잡이를 돌려 커버를 오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 내부측벽의 전후에 가이드부재 설치되고, 가이드부재 상부에 패킹이 설치됨으로써 개방시 이동 방향을 가이드함과 더불어, 닫힌 상태에서 2중으로 견고하게 밀폐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개구부용 슬라이딩 오픈 커버 장치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하구조물 내부와 연통되는 개구부(11)가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11)의 둘레로 그레이팅(70) 안착이 가능한 안착턱(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턱(12)의 단부를 따라 상향 돌출된 내부측벽(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측벽(13)의 외측에는 바퀴(31) 지지가 가능하도록 판상의 레일바닥부(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레일바닥부(14)의 둘레에는 내부측벽(13) 상단보다 높이가 높게 상향 돌출된 외부측벽(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두 레일바닥부(14)에는 바퀴수용홀(16)이 서로 평행하게 각각 복수 개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일측 외부측벽(15)에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고, 내부에 걸림홈(21)이 형성되어 있는 잠금고리(20)와; 저부에 상기 바퀴수용홀(16)에 수용되고, 외력에 의해 바퀴수용홀(16)으로부터 빠져나와 레일바닥부(14)를 따라 굴러가도록 이루어진 바퀴(31)가 설치되어 있고, 측벽(32)은 상기 외부측벽(15)과 내부측벽(13) 사이에 끼워지며, 측벽(32) 하부 둘레에는 상기 바퀴수용홀(16)에 바퀴(31)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바닥부(14) 상면에 밀착되는 압착돌기(33)가 설치되어 있고, 상부 중앙에는 점검구(34)가 상기 개구부(11)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타측 상부에는 손잡이설치홈(3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설치홈(36)의 측벽면에는 축관통홀(36a)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30)와; 상기 축관통홀(36a)을 관통하여 일측 단부는 상기 손잡이설치홈(36) 내부에 위치하고, 타측 단부는 손잡이설치홈(36) 외부의 커버(30) 하부에 위치하는 회전축부(41)와, 상기 회전축부(41)의 일측 단부와 연결된 채 절곡된 절곡부(42)와, 상기 양측의 절곡부(42)를 연결하며, 중앙에 레버(43a)가 연결되어 있는 손잡이부(43)로 구성되어, 회전축부(41)의 회전에 따라 레버(43a)가 선택적으로 상측으로 회전하는 손잡이장치(40)와; 상기 회전축부(41)에 연결된 채 상기 손잡이설치홈(36) 측벽면에 밀착되어 축관통홀(36a)을 통해 내부 공기가 손잡이설치홈(36)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부재(50)와; 상기 회전축부(41)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회전축부(41)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도록 이루어져 있되, 일측에는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잠금고리(20)의 걸림홈(21)에 끼워져 커버(30)의 이동을 방지하는 후크부(61)가 형성되어 있는 걸쇠(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은 상기 바퀴수용홀(16)이 형성된 두 레일바닥부(14) 사이에 위치하는 일측의 외부측벽(15)에 수평방향보다 수직방향 길이가 긴 형태의 장홈(1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30)의 측벽(32) 일측에는 상기 바퀴수용홀(16)에 바퀴(31)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장홈(17)을 관통하는 고정봉(35)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고정봉(35) 외주면에는 나사산(35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30)의 외부측벽(15)을 관통하는 고정봉(35)에 고정볼트(35b)가 나사결합되며, 저부에 상기 고정봉(35)에 고정볼트(35b)가 체결된 상태에서 고정봉(35)과 고정볼트(35b)의 상부가 끼워지는 끼움홈(101)이 형성되어 있으며, 끼워진 상태에서 상면은 상기 커버(30) 상면과 동일한 수평면을 이루는 마감캡(100)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30)의 저면에는 상기 바퀴수용홀(16)에 바퀴(31)가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바퀴수용홀(1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인접한 내부측벽(13)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밀착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8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두 가이드부재(80)의 사이에는 상기 내부측벽(13)의 상면에 밀착되는 내부밀착돌기(9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덮개가 슬라이딩 이동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자 1인 작업시 안전성을 확보한 채 개폐 가능하도록 함과 더불어, 레일과 같은 외부 돌출 구조가 발생치 않게 함은 물론, 내부와 외부의 차단이 원할히 이루어져 지하구조물에서 발생하는 악취나 유해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개구부용 슬라이딩 오픈 커버 장치가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덮개의 저부에 바퀴가 설치되고, 베이스프레임의 레일 상에는 바퀴가 수용되는 홈이 형성되어 슬라이딩 이동시에만 바퀴가 홈에서 빠져나올 수 있게 함으로써 바퀴가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베이스프레임과 덮개 사이에 완전한 기밀이 유지될 수 있게 하여 슬라이딩 개폐의 편리성과 기밀성의 두 가지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업자가 덮개를 잡아당기기 위한 레버가 평상시 덮개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함과 더불어, 작업시에만 회전 돌출하여 사용 편리성이 제공된다.
특히, 베이스프레임 일측 벽면에 장홈이 형성되는 한편, 커버에는 고정봉이 장홈에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고정봉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있으며, 마감캡이 설치되어 작업자 외의 사람이 손잡이를 돌려 커버를 오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내부측벽의 전후에 가이드부재 설치되고, 가이드부재 상부에 패킹이 설치됨으로써 개방시 이동 방향을 가이드함과 더불어, 닫힌 상태에서 2중으로 견고하게 밀폐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구부용 슬라이딩 오픈 커버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개구부용 슬라이딩 오픈 커버 장치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단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손잡이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고정봉이 장홈에서 빠져나오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커버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커버의 이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점검구의 개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에서 고정볼트 및 마감캡이 구비된 예를 나타낸 부분절단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개구부용 슬라이딩 오픈 커버 장치의 성능을 나타내기 위한 실험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개구부용 슬라이딩 오픈 커버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개구부용 슬라이딩 오픈 커버 장치는 크게 베이스프레임(10), 잠금고리(20), 커버(30), 손잡이장치(40), 패킹부재(50) 및 걸쇠(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베이스프레임(10)은 지하구조물 내부와 연통되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1)가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지하구조물은 맨홀, 지하 매립 탱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하여, 베이스프레임(10)은 개구부(11)의 둘레에 그레이팅(70) 안착이 가능한 안착턱(12)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안착턱(12)의 외측 단부를 따라 상향 돌출된 내부측벽(1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부측벽(13)의 외측에는 바퀴(31) 지지가 가능하도록 판상의 레일바닥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레일바닥부(14)의 둘레에는 내부측벽(13) 상단보다 높이가 높게 상향 돌출된 외부측벽(15)이 형성되어 있다.
내부측벽(13)보다 외부측벽(15) 높이가 높게 이루어지는 것은 커버(30)가 설치된 상태에서 커버(30) 상단 높이가 외부측벽(15) 높이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서로 마주보는 두 레일바닥부(14)에는 바퀴수용홀(16)이 서로 평행하게 각각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바퀴수용홀(16)은 커버(30)에 설치되는 바퀴(31)의 숫자와 동일한 개수로 해당 바퀴(31)의 위치에 대응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베이스프레임(10)이 내부측벽(13)과 외부측벽(15)이 이중 측벽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은 사용자가 커버(30)를 이동시킬 때, 바퀴(31)가 개구부(11)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바퀴(31)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내부측벽(13)은 도면상에서 바퀴수용홀(16)이 형성되어 있는 양측 2개소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그런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부측벽(13)을 이용하여 이중으로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면과 같이 내부측벽(13)이 네 변에 모두 형성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잠금고리(2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일측 외부측벽(15)에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고, 내부에 걸림홈(21)이 형성되어 있어 걸림홈(21)을 통해 걸쇠(60)가 선택적으로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잠금고리(20)는 "∩" 형상으로 이루어진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걸쇠(60)가 걸릴 수 있게 걸림홈(21)이 형성되는 구성이라면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커버(30)는 도 1,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저부에 상기 바퀴수용홀(16)에 수용되고, 외력에 의해 바퀴수용홀(16)으로부터 빠져나와 레일바닥부(14)를 따라 굴러가도록 이루어진 바퀴(31)가 설치되어 있다.
더하여, 커버(30)의 측벽(32)은 상기 외부측벽(15)과 내부측벽(13) 사이에 끼워진다.
이때, 커버(30)의 측벽(32)은 최대한 외부측벽(15)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부측벽(15)과의 거리는 손잡이장치(40)를 이용하여 커버(30)의 일측을 들어올릴 때 경사지게 들어올려짐이 가능할 정도의 여유만 있으면 된다.
만일, 커버(30)의 측벽(32)이 외부측벽(15)과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틈새로 이물질이 쉽게 끼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커버(30)의 기본적인 형태는 사각 단면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수도 있으나, 바퀴(31)의 움직임에 따라 바퀴(31)가 레일바닥부(14) 위에 올려졌을 때, 내부측벽(13)에 의해 이동이 제한받지 않을 수 있도록 도면과 같이 윗면이 수평면을 이루고, 그 단부에 측벽(32)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커버(30)는 측벽(32) 하부 둘레에 상기 바퀴수용홀(16)에 바퀴(31)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바닥부(14) 상면에 밀착되는 압착돌기(33)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압착돌기(33)는 일종의 고무 패킹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커버(30)의 자중에 의해 레일바닥부(14)에 밀착되며, 이로 인해 개구부(11)를 통해 빠져나오는 악취나 가스가 압착돌기(33)에 의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커버(30)의 상부 중앙에는 점검구(34)가 상기 개구부(11)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7에는 점검구(34)가 힌지에 의해 회전하여 개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점검구(34)의 둘레를 이루는 커버(30) 상측에는 개구된 구멍 둘레에는 지지턱(34b)이 형성되고, 점검구(34)의 하부 둘레를 따라 패킹(34a)이 설치되어 점검구(34)를 닫은 상태에서 내부 악취가 가스가 밖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커버(30)의 상측 표면의 타측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설치홈(3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설치홈(36)의 측벽면에는 축관통홀(36a)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손잡이장치(4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회전축부(41), 절곡부(42), 손잡이부(43)로 구성된다.
회전축부(41)는 도시된 것처럼 상기 축관통홀(36a)을 관통하여 일측 단부는 상기 손잡이설치홈(36) 내부에 위치하고, 타측 단부는 손잡이설치홈(36) 외부의 커버(30) 하부에 위치한다.
절곡부(42)는 상기 회전축부(41)의 일측 단부와 연결된 채 절곡되어 구성되고, 손잡이부(43)는 양측의 절곡부(42)를 연결하며, 중앙에 레버(43a)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가 레버(43a)를 잡아당기거나 밀게 되면 레버(43a)가 회전축부(41)를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는 구성으로, 이에 따라 레버(43a)가 상측으로 회전하여 돌출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패킹부재(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부(41)에 연결된 채 상기 손잡이설치홈(36) 측벽면에 밀착되어 축관통홀(36a)을 통해 내부 공기가 손잡이설치홈(36)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패킹부재(50)의 설치 위치는 손잡이설치홈(36) 내측일 수도 있고, 도시된 것처럼 손잡이설치홈(36) 외측의 커버(30) 하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패킹부재(50)는 고무 등의 밀폐 가능한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걸쇠(60)는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부(41)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회전축부(41)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걸쇠(60)는 일측에는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잠금고리(20)의 걸림홈(21)에 끼워져 커버(30)의 이동을 방지하는 후크부(6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서 도면기호 17은 베이스프레임(10)의 외부측벽(15)에 형성된 장홈(17)이며, 도면기호 35는 고정봉(35)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은 상기 바퀴수용홀(16)이 형성된 두 레일바닥부(14) 사이에 위치하는 일측의 외부측벽(15)에 수평방향보다 수직방향 길이가 긴 형태의 장홈(1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30)의 측벽(32) 일측에는 상기 바퀴수용홀(16)에 바퀴(31)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장홈(17)을 관통하는 고정봉(35)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장홈(17)과 고정봉(35)을 설치하는 것은, 커버(30)를 이동시켜 개구부(11)를 오픈시킬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30)를 베이스프레임(10)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유동시키게 되므로, 커버(30)의 측벽부(32)가 베이스프레임(10)의 외부측벽(15)에 완전히 맞닿는 구조를 이루지 못하게 되는 바, 커버(30)로 하여금 개구부(11)를 개방시키도록 움직인 후, 다시 닫히도록 하는 과정에서 잠금고리(20)와 걸쇠(60)가 정확히 서로 결합되는 위치로 위치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즉, 커버(30)가 베이스프레임(10)의 오른쪽 외부측벽(15) 측으로 밀착되고, 반대편과는 간격이 형성되도록 움직이게 될 경우 자칫 잠금고리(20)와 걸쇠(60)가 서로 결합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어느 한 쪽에 틈이 커져 이물질이 채워지게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런데, 도시된 것처럼 장홈(17)과 고정봉(35)이 끼워지는 구조를 이루게 되면 정확히 센터에 맞춰 설치되고, 이로 인해 잠금고리(20)와 걸쇠(60)의 체결이 원할히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처럼 고정봉(35)과 장홈(17)이 꽉 끼워맞춰져 밀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경우 개구부(11) 개방을 위해 커버(30) 일측을 들어올릴 때, 잘 들어올려지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장홈(17)은 수직측의 길이가 수평측의 길이보다 길게 이루어져 커버(30)를 들어올릴 때 고정봉(35)이 장홈(17)의 이격된 거리만큼의 여유에 따라 자연스럽게 들어올려짐이 가능해지게 된다.
이러한 고정봉(35)과 장홈(17)이 형성됨에 따라 실제 개구부에 출입해야 할 담당자 외의 사람이 커버(30)를 이동시키는 것을 억제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봉(35) 외주면에는 나사산(35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30)의 외부측벽(15)을 관통하는 고정봉(35)에 고정볼트(35b)가 나사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 외의 사람이 손잡이장치(40)를 회전시켜 걸쇠(60)와 잠금고리(20)의 체결이 해제되는 경우에도 고정볼트(35b)가 고정봉(35)을 고정시켜 커버(30)의 들어올려짐과 이동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외부측벽(15)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 고정봉(35)으로 인한 접촉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지중에 매립되어 있는 경우 고정볼트(35b)의 조작이 불가능해지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저부에 상기 고정봉(35)에 고정볼트(35b)가 체결된 상태에서 고정봉(35)과 고정볼트(35b)의 상부가 끼워지는 끼움홈(101)이 형성되어 있으며, 끼워진 상태에서 상면은 상기 커버(30) 상면과 동일한 수평면을 이루는 마감캡(10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마감캡(100)이 구비되는 경우 접촉 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볼트(35b)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작업자 외의 사람이 고정볼트(35b)를 해체하는 것까지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을 살펴보면, 상기 커버(30)의 저면에는 상기 바퀴수용홀(16)에 바퀴(31)가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바퀴수용홀(1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인접한 내부측벽(13)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밀착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8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고, 두 가이드부재(80)의 사이에는 상기 내부측벽(13)의 상면에 밀착되는 내부밀착돌기(9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가이드부재(80)는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바퀴수용홀(16)들을 연장하느 길이 방향과 나란히 형성된 내부측벽(13)에만 형성되도록 하여 커버(30)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며, 이 경우 가이드부재(80)가 미설치된 내부측벽(13)에 대응되서는 커버(30) 저부에 보조밀착돌기(91)가 도면과 같이 형성되어 완전한 이중 밀폐 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커버(30)를 이동시킬 때 최대한 일직선상으로 정확히 이동하게 되어 개구부(11) 오픈 후 커버(30)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킬 때 정확도가 높아지게 된다.
또한, 커버(30)의 측벽부(32) 하단과 레일바닥부(14)와의 밀착 외에 내부밀착돌기(90)를 통한 밀착이 이루어져 개구부(11) 내부의 가스나 악취의 외부 유출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개구부용 슬라이딩 오픈 커버 장치의 설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보면, 걸쇠(60)의 후크부(61)가 잠금고리(20)의 걸림홈(21)에 끼워져 있고, 커버(30)의 측벽(32)은 베이스프레임(10)의 내부측벽(13)과 외부측벽(15) 사이에 위치한 채 하부의 압착돌기(33)가 레일바닥부(14)에 밀착되어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더하여, 바퀴수용홀(16)에는 커버(30)에 연결된 바퀴(35)의 하부가 끼워져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사용자가 레버(43a)를 잡아당기김에 따라 회전축부(41), 절곡부(42), 손잡이부(43)가 축관통홀(36a)을 축으로 회전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축관통홀(36a)에는 도시된 것처럼 패킹부재(50)가 설치되어 축관통홀(36a)을 통한 가스 누출을 억제한다.
이와 같이 회전축부(41)가 회전하게 됨에 따라 걸쇠(60)의 후크부(61)가 잠금고리(20)의 걸림홈(21)에서 빠져나오게 되어 커버(30)의 들어올림이나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4에는 도 3과 같은 작동에 이어 사용자가 커버(30)를 상측으로 잡아당기면서 후방으로 살짝 이동시킨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아래 도면 확대된 부분을 살펴보면, 고정봉(35)이 장홈(17) 외측에서 외부측벽(15)과 내부측벽(13) 사이 공간으로 이동하고, 바퀴(35) 역시 바퀴수용홀(16) 상에서 도면의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 것을 알 수 있다.
도면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바퀴수용홀(16)의 길이는 바퀴(35)의 직경보다 길게 이루어져 있어야 도면과 같은 움직임이 가능하다 하겠다.
도 5에는 도 2의 상태에서부터 도 4의 상태 및 더 나아가 도 6의 상태에 이르는 과정이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위에서 두번째 도면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장홈(17)의 상하 유격과, 커버(30)의 측벽(32)이 외부측벽(15)과 이격되어 있는 구조로 인해 레버(43a)를 잡고 일측 상방으로 잡아당겼을 때 경사진 움직임이 가능해지게 된다.
이어 계속 잡아당기게 되면 위에서 바퀴(35) 후단이 바퀴수용홀(16)에 걸리기 전 및 커버(30)의 측벽(32)이 베이스프레임(10)의 내부측벽(13)에 닿기 전까지 계속 이동하게 되며, 네번째 도면과 같이 바퀴(35) 후단이 바퀴수용홀(16)에 걸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계속 잡아당기게 되면 바퀴(35)가 바퀴수용홀(16) 후단을 지렛다 삼아 상향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마지막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바퀴(35)가 레일바닥부(14) 상에 올라탔을 때는 바퀴(35)의 회전에 의해 아주 쉽게 커버(30)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내부측벽(13)의 높이는 바퀴(35)가 레일바닥부(14) 위로 완전히 올라온 상태에서 도면과 같이 커버(30)의 측벽(32) 하단보다 낮은 높이가 되도록 하여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도 5의 과정이 끝난 후 개구부(11)가 개방된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개구부용 슬라이딩 오픈 커버 장치의 밀폐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커버(30)를 이동시켜 개구부(11)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개구부(11) 내부에 연기가 나는 향을 투입한 다음, 커버(30)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켜 개구부(11)를 닫고, 1시간 동안 외부로 연기가 나오는지를 시각 및 후각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외부로 연기가 새어나오지 않았으며, 커버(30)를 열자 개구부(11)를 통해 다량의 연기가 빠져나오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9는 이러한 실험에 따른 상태를 사진으로 나타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은 동력 장치를 활용하지 않고 수작업으로 적은 힘으로 매우 간편하게 지하구조물의 개구부를 개방 및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이로 인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력식 인양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유지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수작업으로 개방시키는 방식임에도 불구하고 매우 견고하게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어 악취 및 유해가스로 인한 사고 역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구부용 슬라이딩 오픈 커버 장치는 하수관 맨홀, 지하탱크 점검구 등 다양한 구조물에 적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10 : 베이스프레임 11 : 개구부
12 : 안착턱 13 : 내부측벽
14 : 레일바닥부 15 : 외부측벽
16 : 바퀴수용홀 17 : 장홈
20 : 잠금고리 21 : 걸림홈
30 : 커버 31 : 바퀴
32 : 측벽 33 : 압착돌기
34 : 점검구 34a : 패킹
34b : 지지턱 35a : 나사산
35b : 고정볼트 35 : 고정봉
36 : 손잡이설치홈 36a : 축관통홀
40 : 손잡이장치 41 : 회전축부
42 : 절곡부 43 : 손잡이부
43a : 레버 50 : 패킹부재
60 : 걸쇠 61 : 후크부
70 : 그레이팅 80 : 가이드부재
90 : 내부밀착돌기 100 : 마감캡
101 : 끼움홈

Claims (5)

  1. 개구부용 커버 장치에 있어서,
    지하구조물 내부와 연통되는 개구부(11)가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11)의 둘레로 그레이팅(70) 안착이 가능한 안착턱(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턱(12)의 단부를 따라 상향 돌출된 내부측벽(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측벽(13)의 외측에는 바퀴(31) 지지가 가능하도록 판상의 레일바닥부(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레일바닥부(14)의 둘레에는 내부측벽(13) 상단보다 높이가 높게 상향 돌출된 외부측벽(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두 레일바닥부(14)에는 바퀴수용홀(16)이 서로 평행하게 각각 복수 개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일측 외부측벽(15)에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고, 내부에 걸림홈(21)이 형성되어 있는 잠금고리(20)와;
    저부에 상기 바퀴수용홀(16)에 수용되고, 외력에 의해 바퀴수용홀(16)으로부터 빠져나와 레일바닥부(14)를 따라 굴러가도록 이루어진 바퀴(31)가 설치되어 있고, 측벽(32)은 상기 외부측벽(15)과 내부측벽(13) 사이에 끼워지며, 측벽(32) 하부 둘레에는 상기 바퀴수용홀(16)에 바퀴(31)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바닥부(14) 상면에 밀착되는 압착돌기(33)가 설치되어 있고, 상부 중앙에는 점검구(34)가 상기 개구부(11)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타측 상부에는 손잡이설치홈(3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설치홈(36)의 측벽면에는 축관통홀(36a)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30)와;
    상기 축관통홀(36a)을 관통하여 일측 단부는 상기 손잡이설치홈(36) 내부에 위치하고, 타측 단부는 손잡이설치홈(36) 외부의 커버(30) 하부에 위치하는 회전축부(41)와, 상기 회전축부(41)의 일측 단부와 연결된 채 절곡된 절곡부(42)와, 상기 양측의 절곡부(42)를 연결하며, 중앙에 레버(43a)가 연결되어 있는 손잡이부(43)로 구성되어, 회전축부(41)의 회전에 따라 레버(43a)가 선택적으로 상측으로 회전하는 손잡이장치(40)와;
    상기 회전축부(41)에 연결된 채 상기 손잡이설치홈(36) 측벽면에 밀착되어 축관통홀(36a)을 통해 내부 공기가 손잡이설치홈(36)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부재(50)와;
    상기 회전축부(41)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회전축부(41)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도록 이루어져 있되, 일측에는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잠금고리(20)의 걸림홈(21)에 끼워져 커버(30)의 이동을 방지하는 후크부(61)가 형성되어 있는 걸쇠(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개구부용 슬라이딩 오픈 커버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은 상기 바퀴수용홀(16)이 형성된 두 레일바닥부(14) 사이에 위치하는 일측의 외부측벽(15)에 수평방향보다 수직방향 길이가 긴 형태의 장홈(1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30)의 측벽(32) 일측에는 상기 바퀴수용홀(16)에 바퀴(31)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장홈(17)을 관통하는 고정봉(35)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용 슬라이딩 오픈 커버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봉(35) 외주면에는 나사산(35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30)의 외부측벽(15)을 관통하는 고정봉(35)에 고정볼트(35b)가 나사결합되며,
    저부에 상기 고정봉(35)에 고정볼트(35b)가 체결된 상태에서 고정봉(35)과 고정볼트(35b)의 상부가 끼워지는 끼움홈(101)이 형성되어 있으며, 끼워진 상태에서 상면은 상기 커버(30) 상면과 동일한 수평면을 이루는 마감캡(100)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용 슬라이딩 오픈 커버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30)의 저면에는 상기 바퀴수용홀(16)에 바퀴(31)가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바퀴수용홀(1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인접한 내부측벽(13)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밀착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8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용 슬라이딩 오픈 커버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가이드부재(80)의 사이에는 상기 내부측벽(13)의 상면에 밀착되는 내부밀착돌기(9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용 슬라이딩 오픈 커버 장치.
KR1020180161801A 2018-12-14 2018-12-14 개구부용 슬라이딩 오픈 커버 장치 KR101949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801A KR101949495B1 (ko) 2018-12-14 2018-12-14 개구부용 슬라이딩 오픈 커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801A KR101949495B1 (ko) 2018-12-14 2018-12-14 개구부용 슬라이딩 오픈 커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9495B1 true KR101949495B1 (ko) 2019-02-18

Family

ID=65561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801A KR101949495B1 (ko) 2018-12-14 2018-12-14 개구부용 슬라이딩 오픈 커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94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38869A (zh) * 2020-11-30 2021-03-23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佛山供电局 一种电缆井盖
CN114164927A (zh) * 2021-12-20 2022-03-11 安徽鸿德玻璃钢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玻璃钢污水池盖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184Y1 (ko) 2004-06-15 2004-08-25 주식회사서흥산업기계 판넬 조립형 물탱크의 맨홀 뚜껑 개폐장치
KR20090098257A (ko) 2008-03-13 2009-09-17 (주)경동기술공사 개폐가 용이한 슬라이드 맨홀 뚜껑
KR101188986B1 (ko) 2010-05-10 2012-10-08 김윤완 안전 발판부가 구비된 지하매설 작업탱크용 진입커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184Y1 (ko) 2004-06-15 2004-08-25 주식회사서흥산업기계 판넬 조립형 물탱크의 맨홀 뚜껑 개폐장치
KR20090098257A (ko) 2008-03-13 2009-09-17 (주)경동기술공사 개폐가 용이한 슬라이드 맨홀 뚜껑
KR101188986B1 (ko) 2010-05-10 2012-10-08 김윤완 안전 발판부가 구비된 지하매설 작업탱크용 진입커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38869A (zh) * 2020-11-30 2021-03-23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佛山供电局 一种电缆井盖
CN114164927A (zh) * 2021-12-20 2022-03-11 安徽鸿德玻璃钢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玻璃钢污水池盖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9495B1 (ko) 개구부용 슬라이딩 오픈 커버 장치
US8651767B1 (en) Rotatable wheel box service panel door and equalizer
US5727351A (en) Manhole insert and tether and method
KR101074499B1 (ko) 맨홀 뚜껑용 개폐장치
US7216459B1 (en) Access hatch cover assembly with lift-assist assembly and method therefor
US8622652B1 (en) Overflow and underflow doors
KR20150129489A (ko) 배수구 덮개
KR102300247B1 (ko) 맨홀의 방수용 속뚜껑
KR100834000B1 (ko) 맨홀덮개 잠금장치
US11753238B2 (en) Receptacle cover
KR101229425B1 (ko) 절첩식 맨홀 뚜껑 장치
KR20100008815U (ko) 상수도 계량기실용 맨홀장치
KR20210043333A (ko) 맨홀 및 제수변의 뚜껑 잠금장치
KR100775126B1 (ko) 맨홀덮개 잠금장치
KR200406468Y1 (ko) 레미콘 차량의 폐수 수납함
KR102362221B1 (ko) 상향식 개폐 도어가 구비되는 공동구용 환기 겸용 비상탈출구
KR101897261B1 (ko) 지하시설물 점검용 개폐장치
JP2018155026A (ja) 蓋装置
JP3322524B2 (ja) 地下構造物用蓋
JP3809498B2 (ja) 給油所用ガード装置
KR20200048664A (ko) 맨홀 사다리
KR101119465B1 (ko) 개폐보조수단이 구비된 원형맨홀덮개
JP2019039253A (ja) 止水板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JP2020090801A (ja) 持ち運び式止水板装置
ITMI20030328U1 (it) Coperchio di sicurezza per i tombini della rete fognar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