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9265B1 - 홍수방어벽 - Google Patents

홍수방어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9265B1
KR101949265B1 KR1020180072827A KR20180072827A KR101949265B1 KR 101949265 B1 KR101949265 B1 KR 101949265B1 KR 1020180072827 A KR1020180072827 A KR 1020180072827A KR 20180072827 A KR20180072827 A KR 20180072827A KR 101949265 B1 KR101949265 B1 KR 101949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flood
rainwater
planting
inn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진
Original Assignee
김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진 filed Critical 김명진
Priority to KR1020180072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92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2009/007Flood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기 온도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여 식재되는 식물의 과열로 인한 고사를 방지할 수 있는 홍수방어벽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홍수방어벽은, 홍수 범람을 방지하기 위한 홍수방어벽에 있어서, 범람수를 막고 식물을 식재하여 생장시키기 위한 복수의 식재부; 상기 식재부 사이에 배치되어 범람수를 막기 위한 복수의 방벽부; 및 상기 식재부와 상기 방벽부를 지지하기 위한 기초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홍수방어벽{FLOOD WALL}
본 발명은 홍수방어벽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하천의 홍수 범람을 방지하기 위한 홍수방어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계절이 뚜렷하고 여름철에 강우가 집중되는 우리나라는 아열대 기후로 변환되어 강우가 집중되는 장마철에는 폭우가 발생된다. 특히 단시간의 급격한 폭우로 인하여 하천의 제방이 범람함으로써 막대한 침수 피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과거에는 홍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강이나 하천의 뚝이나 제방에 모래주머니를 쌓아 홍수를 방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홍수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워 제방을 높게 만들거나 고정식 홍수방어벽을 사용하게 되었다.
하천의 제방은 홍수 피해 방지 목적 이외에 인근 주민의 휴식 및 산책로 등으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특히 근래에 주민들의 휴식 공간에 대한 요구가 커지는 경향에 따라 제방의 고유 기능은 물론 경관적인 측면도 중요시되고 있다.
하지만, 주로 콘크리트 등으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홍수방어벽의 경우에, 자연 경관을 해치고, 하천을 가시적으로 분리하여 시야가 차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홍수방어벽이나 제방의 조경을 위하여 화분을 설치하는 경우가 있으나, 기온이 높은 여름철 등에 지상으로 노출되는 화분이 과열되어 식물이 고사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강수량이 충분할 때에는 화분의 식물에 수분이 원활하게 공급되지만, 강수량이 충분하지 못한 경우에는 수분 공급이 부족하여 생장이 제한되거나 고사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계절에 따라 강수량의 차이가 큰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가 더욱 심하게 나타난다.
본 발명은 식재되는 식물의 과열로 인한 고사를 방지할 수 있는 홍수방어벽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수량 변화에 무관하게 식물에 항시 충분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홍수방어벽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연 경관의 해침을 방지할 수 있는 홍수방어벽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홍수방어벽은, 홍수 범람을 방지하기 위한 홍수방어벽에 있어서, 범람수를 막고 식물을 식재하여 생장시키기 위한 복수의 식재부; 상기 식재부 사이에 배치되어 범람수를 막기 위한 복수의 방벽부; 및 상기 식재부와 상기 방벽부를 지지하기 위한 기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재부는, 상부가 개방된 상자 형상의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및 상기 내부케이스의 사이에 완충 공간이 형성되어 빗물이 유입될 수 있고, 상기 내부케이스의 내부에 흙이 투입되어 식물이 식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완충 공간을 상하부로 분할하도록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 결합되는 포집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포집판은 상기 완충 공간의 빗물이 일측으로 포집될 수 있도록 일부가 경사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 및 상기 내부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완충 공간의 상단을 감싸고, 빗물 유입을 위한 빗물유입구가 관통 형성되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밸브를 가지고 상기 밸브에 연결되는 핸들의 조작에 의해 상기 완충 공간의 빗물을 상기 내부케이스의 내부로 공급하거나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빗물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벽부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식재부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양단이 상기 식재부에 각각 밀결합되는 차수판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 하부의 상기 기초부에, 상기 케이스와 마주하도록 함몰 형성되는 배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배수부와 통하며, 상기 배수부에는 배수관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홍수방어벽은, 외기 온도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여 식재되는 식물의 과열로 인한 고사를 방지할 수 있고, 강수량 변화에 무관하게 식물에 항시 충분한 수분을 공급함으로써 식물 생장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투명벽을 사용하여 자연 경관을 최대한 해치치 않고 쾌적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홍수방어벽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홍수방어벽의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홍수방어벽의 화분박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홍수방어벽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홍수방어벽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홍수방어벽의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홍수방어벽의 화분박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홍수방어벽의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4에서 경사판은 도시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홍수방어벽은, 식재부, 방벽부 및 기초부(200)를 포함한다.
식재부는 식물 생장 및 재배을 위한 것으로서 식물 식재를 위한 화분박스(110)를 포함한다. 화분박스(110)는 상부가 개방된 상자 형상의 케이스(120), 케이스(120)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케이스(120)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케이스(130)를 포함한다. 내부케이스(130)는 상하부가 개방되는 형태로서 상기 케이스(120)와 마주하는 측면판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120) 및 내부케이스(130)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을 완충 공간(S)이라 칭하기로 한다.
내부케이스(130)의 내부, 즉 식재 공간에는 배양토나 상토 등의 식재를 위한 흙이 채워져 식물이 재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120)의 상단과 내부케이스(130)의 상단 사이가 커버(140)에 의해 덮히고, 커버(140)에 관통 형성되는 빗물유입구(141)를 통하여 빗물이 완충 공간(S)으로 유입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커버(140)에 그물망이 형성되거나, 커버(140)가 구비되지 않고 완전히 개방되는 등, 빗물이 유입될 수 있는 어떠한 수단이라도 구비될 수 있다.
케이스(120)와 내부케이스(130)의 사이에는 포집판(150)이 결합되는데, 완충 공간(S)은 포집판(150)에 의해 상하부가 유체 역학적으로 공간 분할된다. 따라서, 빗물은 완충 공간(S)의 상부에만 저장된다. 포집판(150)은 완충 공간(S)을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저장된 빗물이 일측으로 모일 수 있도록 양측의 포집판(150)이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화분박스(110)에는 빗물제어부가 구비되는데, 빗물제어부는 화분박스(110) 일측에 설치되는 핸들(161) 및 핸들(161)에 연결되는 밸브에 의해 조작된다. 빗물제어부는 완충 공간(S)에 저장되는 빗물의 배출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핸들(161)에 의한 밸브 조작에 의해 빗물이 완충 공간(S)으로부터 배출되지 않고 저장되거나, 저장된 빗물이 식재 공간으로 공급되거나, 또는 화분박스(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밸브에 의하여 유체의 유로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은 이미 널리 주지된 관용기술에 불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빗물제어부는 완충 공간(S)에 저장된 빗물의 용이한 배출을 위하여 포집판(150)의 경사진 하부 측에 배치되며, 이로 인하여 완충 공간(S)에 저장된 빗물을 일측 하부로 유도하여 모두 배출시킬 수 있다.
화분박스(110)는 기초부(200) 상에 배치되는데, 기초부(200)는 하천 제방 등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초부(200)는 콘크리트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홍수 범람에 의한 하중에 견디고 내수성이 있는 어떠한 재질이라도 가능하다.
기초부(200)에는 화분박스(110)의 하단 형상에 대응하도록 함몰부가 함몰 형성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함몰부에 화분박스(110)가 끼움 결합되어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초부(200)와 화분박스(110)가 서로 요철 형상으로 대응하여 끼움 결합되거나, 강제 고정을 위한 핀 및 핀의 삽입 고정을 위한 구멍에 의해 고정되거나, 시멘트 등의 접착 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등, 기초부(200)와 화분박스(110) 사이의 고정은 이미 알려진 다양한 상호 고정 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화분박스(110)의 하부와 마주하는 기초부(200)에는 배수부(210)가 소정 깊이로 함몰 형성되고, 케이스(120)의 하부는 배수부(210)와 마주하도록 관통된다. 또한, 배수부(210)는 기초부(200)를 관통하는 배수관(220)과 유체역학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화분박스(110)의 빗물은 배수부(210) 및 배수관(22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이때 빗물은 배수부(210)에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배수부(210)에는 자갈층(211)이 구비되어 빗물이 막히지 않고 배수관(220)을 통하여 원할히 배출될 수 있으며, 케이스(120)와 배수부(210)의 사이에는 부직포가 구비되어 흙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복수의 화분박스(110)는 기초부(200) 상에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서로 이웃하는 화분박스(110)의 사이는 각각 차수판(310)에 의해 폐쇄된다. 차수판(310)은 케이스(120)의 어디에도 결합될 수 있으나, 차수판(310)의 일단 및 타단이 각각 범람 측(즉, 하천과 가까운 쪽)의 케이스(120)들의 모서리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화분박스(110)와 차수판(310)이 하천 측에서 편평하게 연결되어 하천 범람 시 홍수방어벽과 접하는 물이 저항을 덜 받고 자연스럽게 흐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수판(310)은 투명 재질이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반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일 수 있다. 특히, 차수판(310)이 투명 재질인 경우에 차수판(310)을 통하여 반대편의 모습을 볼 수 있고 광투과가 가능하므로 자연 경관을 해치지 않고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홍수방어벽이나 제방의 조경을 위하여 화분이 설치되는 경우에, 기온이 높은 여름철 등에 지상으로 노출되는 화분이 과열되어 식물이 고사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강수량이 충분할 때에는 화분의 식물에 수분이 원활하게 공급되지만, 강수량이 충분치 못한 경우에는 수분 공급이 부족하여 생장이 제한되거나 고사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주로 콘크리트 등으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홍수방어벽의 경우에, 자연 경관을 해치고, 하천을 가시적으로 분리하여 시야가 차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에, 외기 온도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여 식재되는 식물의 과열로 인한 고사를 방지할 수 있고, 강수량 변화에 무관하게 식물에 항시 충분한 수분이 공급되어 식물 생장에 매우 유리하다.
또한, 투명한 벽을 사용하여 자연 경관을 해치지 않고 쾌적한 시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10: 화분박스 120: 케이스
130: 내부케이스 140: 커버
141: 빗물유입구 150: 경사판
161: 핸들 200: 기초부
210: 배수부 211: 자갈층
220: 배수관 310: 차수판

Claims (7)

  1. 홍수 범람을 방지하기 위한 홍수방어벽에 있어서,
    범람수를 막고 식물을 식재하여 생장시키기 위한 복수의 식재부;
    상기 식재부 사이에 배치되어 범람수를 막기 위한 복수의 방벽부; 및
    상기 식재부와 상기 방벽부를 지지하기 위한 기초부
    를 포함하고, 상기 식재부는,
    상부가 개방된 상자 형상의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케이스
    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및 상기 내부케이스의 사이에 완충 공간이 형성되어 빗물이 유입될 수 있고, 상기 내부케이스의 내부에 흙이 투입되어 식물이 식재되며,
    상기 완충 공간을 상하부로 분할하도록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 결합되는 포집판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포집판은 상기 완충 공간의 빗물이 일측으로 포집될 수 있도록 일부가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방어벽.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및 상기 내부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완충 공간의 상단을 감싸고, 빗물 유입을 위한 빗물유입구가 관통 형성되는 커버
    를 더 포함하는 홍수방어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판에 의해 상하부로 분할되는 상기 완충 공간의 상부 완충 공간 하측에 설치되는 밸브를 가지고 상기 밸브에 연결되는 핸들의 조작에 의해 상기 완충 공간의 빗물을 상기 내부케이스의 내부로 공급하거나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빗물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홍수방어벽.
  6. 제1항, 제4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벽부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식재부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양단이 상기 식재부에 각각 밀결합되는 차수판
    을 포함하는 홍수방어벽.
  7. 제1항, 제4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하부의 상기 기초부에, 상기 케이스와 마주하도록 함몰 형성되는 배수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배수부와 통하며, 상기 배수부에는 배수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방어벽.
KR1020180072827A 2018-06-25 2018-06-25 홍수방어벽 KR101949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827A KR101949265B1 (ko) 2018-06-25 2018-06-25 홍수방어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827A KR101949265B1 (ko) 2018-06-25 2018-06-25 홍수방어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9265B1 true KR101949265B1 (ko) 2019-02-19

Family

ID=65528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827A KR101949265B1 (ko) 2018-06-25 2018-06-25 홍수방어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92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479B1 (ko) * 2021-12-10 2022-04-27 (주)대도엔텍 화단형 홍수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798B1 (ko) * 2012-09-04 2013-04-29 (주)에스엔비 화단형 홍수벽
KR200469308Y1 (ko) * 2013-04-19 2013-10-04 권대운 신속설치가 가능한 건축물 입구 우수유입 방지 물막이 장치
KR20130111131A (ko) * 2012-03-30 2013-10-10 주식회사현우그린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
KR20150110193A (ko) * 2014-03-24 2015-10-02 주식회사 모아에코텍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1131A (ko) * 2012-03-30 2013-10-10 주식회사현우그린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
KR101257798B1 (ko) * 2012-09-04 2013-04-29 (주)에스엔비 화단형 홍수벽
KR200469308Y1 (ko) * 2013-04-19 2013-10-04 권대운 신속설치가 가능한 건축물 입구 우수유입 방지 물막이 장치
KR20150110193A (ko) * 2014-03-24 2015-10-02 주식회사 모아에코텍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479B1 (ko) * 2021-12-10 2022-04-27 (주)대도엔텍 화단형 홍수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14070B1 (ja) 人工土壌構造体及びその形成方法
KR101459622B1 (ko) 식생용 포트와 이 포트를 이용한 수생식물 재배방법
KR101393021B1 (ko)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
JP2007159482A (ja) 緑化システム
CN108951816B (zh) 生态树池系统及施工方法
CN111236275B (zh) 一种鱼鳞坑与截流沟综合径流拦蓄系统及其建造方法
KR101949265B1 (ko) 홍수방어벽
KR101215777B1 (ko) 지중 관?배수 시스템
WO2024174557A1 (zh) 一种河口吹沙成堤沙土种植绿植前快速洗脱盐系统
KR100669228B1 (ko) 우수범람방지를 위한 건축단지내 배수로 구조물
KR100649103B1 (ko) 친환경적인 상수원지 제방 녹화 구조물
KR100542739B1 (ko) 하천의 과대한 유량을 수용할 수 있는 하천옹벽
KR101440988B1 (ko)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을 이용한 침투형 빗물저류 시스템
KR100946760B1 (ko) 간척지 나무 식재방법
KR100806259B1 (ko) 우수차집장치
CN109944294A (zh) 一种西南丘陵地区坡地路带沟雨水收集与再利用系统
Kowalik Water management in the Vistula delta (Poland)
KR101322248B1 (ko) 담수블록을 이용한 배수시스템
CN110959328B (zh) 一种崩岗区丘陵谷地的植物蓄固沙系统
CN208981309U (zh) 一种穿孔式防护膜径流拦截结构
CN210470496U (zh) 一种消落带植被恢复过程中的保水抗旱防护系统
JP2023044149A (ja) 雨水貯留浸透緑地の排水構造
KR100379624B1 (ko) 부력방지와 안정적 담수위를 유지하는 수자원 지하비축시설의 시공방법
JP2020020213A (ja) 雨水貯留施設
JP2006238809A (ja) 地下灌漑排水用暗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