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8985B1 - 치과용 수복재 코어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수복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치과용 수복재 코어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수복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8985B1
KR101948985B1 KR1020160152824A KR20160152824A KR101948985B1 KR 101948985 B1 KR101948985 B1 KR 101948985B1 KR 1020160152824 A KR1020160152824 A KR 1020160152824A KR 20160152824 A KR20160152824 A KR 20160152824A KR 101948985 B1 KR101948985 B1 KR 101948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weight
alumina
composition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5232A (ko
Inventor
이상혁
Original Assignee
이상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혁 filed Critical 이상혁
Priority to KR1020160152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8985B1/ko
Publication of KR20180055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5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K6/0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0017
    • A61K6/0276
    • A61K6/0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20Protective coatings for natural or artificial teeth, e.g. sealings, dye coatings or varni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31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non-metallic elements or compounds thereof, e.g. carbon
    • A61K6/836Gl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4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metals or allo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수복재 코어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수복재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알루미나 분말 50 내지 90 중량%와 세리아로 안정화된 지르코니아 분말 10 내지 50 중량%로 구성되되, 상기 세리아로 안정화된 지르코니아 분말은 세리아 13 내지 18 mol%와 지르코니아 82 내지 87 mol%가 혼합되어 얻어진 치과용 수복재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치과용 수복재 코어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수복재의 제조 방법{Composition for Preparing Cores of Dental Prosthetics and a Method for Preparing Dental Prosthetic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치과용 수복재 코어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수복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손상된 치아를 수복할 때 여러 사항을 고려하여 적절한 재료를 선택하는 것은 중요하다. 현재 치과용으로 사용 중인 합금, 아말감, 콤포짓트 레진 및 세라믹 재료 등의 물성은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나, 심미성, 기능성 및 생체적합성 등을 모두 충족시키는 이상적인 치과 수복용 재료는 아직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치과용 합금은 심미성이 낮아 전치부에 사용하기는 어려울 뿐 아니라 금속 이온 용출에 따른 생체위해성 문제가 있으며, 치과용 콤포짓트 레진의 경우 심미성은 우수하나 기계적 강도가 다소 부족하고 미반응 모노머의 유출에 의한 생체위해성 문제가 제기되기도 한다. 심미성과 생체적합성이 우수한 치과용 세라믹 재료는 최근에 기계적 특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된 신소재 제품이 소개되면서 그 사용은 크게 증가하고 있다.
In-Ceram system 제조사(Vita Zahnfabrik, Bad Sackingen, Germany)는 기본 구조물 형성을 위해 결정상인 알루미나(Al2O3) 입자를 사용하여 신기술인 slip-casting 과정을 이용하여 개선된 기계적 강도를 얻으려고 시도하였다. 1989년 소개된 In-Ceram Alumina는 전치부의 3-unit FPD에 사용한 최초의 전부-세라믹 수복물이다. 이 방법으로 조밀하게 응축된 알루미나(70-80 wt%)를 1,120℃에서 10시간 소결하여 다공성인 내화성 구조를 얻을 수 있으며, 1,100℃에서 4시간 2차 열처리하여 란타늄산화물계 글래스를 모세관 작용으로 알루미나 다공성 구조로 침투시켜 기공을 제거하여 균열의 잠재적인 부위를 제한하고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알루미나와 글래스의 열팽창계수 차이에 따른 잔류 압축응력은 추가로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구조물의 심미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장석 포세린으로 비니어링 처리를 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2-단계 공정으로 236-600 ㎫의 굴곡강도와 3.1-4.6 ㎫m0.5의 파괴인성 등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In-Ceram Alumina system의 우수한 특성으로 유사한 세라믹 제품을 개발하려는 많은 시도가 있었으나, 아직 상용화된 것은 없는 실정이다. In-Ceram Alumina의 경우 실제 보철물 제작과정에서 코어인 알루미나 슬러리의 소결시간과 유리침투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본 출원인은 알루미나 코어의 물성을 약화시키지 않으면서, 알루미나 코어에의 침투력을 높여 치과용 수복재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글래스 조성물을 개발하여 출원한 바 있다.
본 발명은 알루미나에 세리아(CeO2)로 안정화된 지르코니아(ZrO2)를 혼합하여 치과용 수복재의 코어를 제조함으로써 굴곡 강도가 향상된 치과용 수복재 등을 개시한다.
[선행기술문헌]
명칭: 치과용 글래스 조성물 및 글래스 침투 세라믹 수복재
발명자: 김명호, 이상혁
공개번호: 한국 공개특허 제10-2013-001128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치과용 수복재 코어 제조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코어 제조용 조성물을 이용한 치과용 수복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여타의 목적이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알루미나(Al2O3) 분말과 세리아(CeO2)로 안정화된 지르코니아(ZrO2) 분말을 50:50, 60:40, 65:35 및 70:30, 75:25(알루미나:안정화 지르코니아)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치과용 수복재 코어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금속 몰드에서 적정 크기로 성형한 후, 적정 소결 온도로 열처리하여 소결한 코어를 제조하고 여기에 글래스 조성물을 도포하여 이를 침투·피복시켜 치과용 수복재를 제조하였을 때, 코어 제조에 알루미나 분말만을 단독으로 사용하여 치과용 수복재를 제조하였을 때보다 알루미나와 안정화 지르코니아를 혼합하여 사용하였을 때가 그 혼합 중량비를 불문하고 굴곡 강도에 있어 뚜렷하게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굴곡 강도는 치과용 수복재의 품질을 평가하는 중요한 척도 중 하나로서, 굴곡 강도가 높다는 것은 치과용 수복재의 내구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에 따라 장기간 사용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일 측면에 있어서 치과용 수복재 코어 제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치과용 수복재 코어 제조용 조성물은 알루미나 분말과 세리아로 안정화된 지르코니아 분말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치과용 수복재 코어 제조용 조성물에서 알루미나 분말과 세리아로 안정화된 지르코니아 분말의 혼합비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아래의 실시예를 고려할 때 알루미나 분말 50 내지 90 중량%와 안정화 지르코니아 분말 10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나 분말 50 내지 75 중량%와 안정화 지르코니아 분말 25 내지 50 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나 분말 70 중량%와 안정화 지르코니아 분말 30 중량%로 이루어지는 경우이다.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듯이, 알루미나 분말 50 내지 75 중량%와 안정화 지르코니아 분말 25 내지 50 중량%의 혼합물로 치과용 수복재를 제조할 경우 모든 혼합비에서 알루미나 분말만을 단독으로 사용하여 치과용 수복재를 제조할 경우에 비하여 굴곡 강도가 뚜렷하게 높으며, 특히 알루미나 분말 70 중량%와 안정화 지르코니아 분말 30 중량%의 혼합물로 치과용 수복재를 제조할 경우 굴곡 강도가 다른 혼합비율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았다.
본 발명의 치과용 수복재 코어 제조용 조성물에서, 세리아로 안정화된 지르코니아 분말은 세리아 13 mol%와 지르코니아 87 mol%와 혼합하여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세리아를 13, 16 및 18 mol%로 사용하여 안정화 지르코니아 분말을 얻고 이를 이용하여 치과용 수복재를 제조하였을 때 굴곡 강도에 있어 지르코니아 안정화를 위하여 13 mol%의 세리아를 사용하였을 때가 치과용 수복재의 굴곡 강도가 특별히 높았음을 알 수 있다.
세리아로 안정화된 지르코니아 분말은 이들을 혼합한 후 적정 시간 동안 열처리, 구체적으로는 1 내지 3시간 동안 1400℃ 내지 1600℃ 범위의 온도에서 열처리하고 급냉과 분쇄를 1회 이상 반복하여 얻어질 수 있다. 구체적인 공정 조건은 아래의 실시예에 개시된 바를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과용 수복재 코어 제조용 조성물은 치과용 수복재의 제조를 위하여 알루미나와 안정화 지르코니아 분말의 균일한 혼합과 이후의 공정인 성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일정 시간 동안 습식 교반 등의 적절히 전처리 후 사용할 수 있다. 아래의 실시예에서는 고순도 알루미나 용기에 넣고 볼밀에서 2시간 이상 습식 교반하여 치과용 수복재의 제조에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치과용 수복재 코어 제조용 조성물에서 알루미나 분말과 안정화 지르코니아 분말의 평균 입경은 1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입경이 12.0㎛를 초과할 경우 강도 저하나 마모 내성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의 치과용 수복재 코어 제조용 조성물을 이용한 치과용 수복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치과용 수복재의 제조 방법은 (a) 전술한 바의 치과용 수복재 코어 제조용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b) 이 코어 제조용 조성물을 열처리하여 치과용 수복재의 코어를 준비하는 단계, 및 (c) 이 코어에 글래스 조성물을 도포하고 열처리하여 소결·침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상기 (b) 단계는 사용에 적절한 형상으로 성형하고 소결에 적절한 온도에서 열처리하여 코어를 소결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소결온도는 알루미나의 녹는점이 2,050℃이고, 지르코니아 녹는점이 2,700℃이며, 세리아의 녹는점이 1,950℃인 점을 고려하여 1,000℃ 내지 1,800℃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으며, 깊고 균일한 소결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서 소결 온도까지 천천히 온도를 높이고 소결 온도에서 일정 시간 유지한 후 천천히 냉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의 실시예에서는 코어를 성형한 후 500℃의 도재 소성로에서 약 3분간 건조시킨 후 건조된 시편을 60℃/min의 속도로 1,150℃까지 가열하고 1,150℃에서 15분간 유지한 후 5분 동안 500℃까지 냉각시켜 소결된 코어를 얻었다.
또 본 발명의 방법에서, 상기 (c) 단계는 글래스 조성물을 코어에 피복시키고 침투시켜 치과용 수복재의 강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글래스 조성물은 본 출원인이 출원한 한국 공개특허 제10-2013-001128호에서 <실시예 4>로 개시된 조성물로 열팽창계수가 커서 압축응력이 높고 점도가 낮아 코어에로의 침투력이 우수하여 결과적으로 치과용 수복재의 강도를 높일 수 있는 조성물로 38.0 중량%의 산화란타늄(La2O3), 19 중량%의 실리카(SiO2)와 알루미나(Al2O3), 16 중량%의 산화붕소(B2O3), 4 중량%의 산화나트륨, 2 중량%의 산화칼슘(CaO) 및 2.0 중량%의 산화마그네슘(MgO)로 이루어진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상기 (c) 단계는 이러한 조성의 글래스 조성물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한국 공개특허 제10-2013-001128호에서 제시된, 산화 마그네슘이 첨가된 임의의 란타늄계 글래스 조성물을 사용하여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구체적으로 글래스 조성물은 35 내지 45 중량%의 산화란타늄(La2O3), 14 내지 24 중량%의 실리카(SiO2), 14 내지 24 중량%의 알루미나(Al2O3), 12 내지 21 중량%의 산화붕소(B2O3), 2 내지 6 중량%의 산화나트륨, 1 내지 3 중량%의 산화칼슘(CaO), 및 0.5 내지 2.5 중량%의 산화마그네슘(MgO)로 조성될 수 있다. 기타 더 구체적인 사항은 상기 한국 공개특허 제10-2013-001128호를 참조할 수 있으며, 이 문헌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 간주 된다.
글래스 조성물은 상기 조성으로 혼합한 후 그 혼합물을 가열과 냉각을 반복하여 미세물을 만든 후 볼밀(Ball mill), 플라네타리 밀(Planetary mill) 등 당업계에 공지된 방식으로 분말화하여 얻을 수 있다. 이 경우도 더 구체적인 사항은 상기 한국 공개특허 제10-2013-001128호를 참조할 수 있다.
글래스 조성물을 준비한 후에는 이를 증류수와 혼합하여 코어에 도포하고 글래스 조성물의 코어에로의 깊고 균일한 침투와 또한 글래스 조성물 자체의 깊고 균일한 소결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서, 상기 (b) 단계의 코어 소결에서와 마찬가지로, 일정 소결 온도까지 천천히 온도를 높이고 소결 온도에서 일정 시간 유지한 후 천천히 냉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의 소결 온도도 글래스 조성물의 각 구성성분의 녹는점을 고려하여 적절한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는데, 통상 1,000℃ 내지 1,800℃ 범위가 될 것이다. 아래의 실시예에서는 글래스 조성물을 증류수와 혼합하여 코어에 도포한 후, 도재 소성로에서 500℃에서 약 5분간 건조시킨 후 80℃/min의 가열속도로 1,150℃까지 가열하고 1,150℃에서 25분간 유지한 후 5분 동안 500℃까지 냉각시켜 글래스 조성물을 소결시킴과 함께 코어 내부로 침투시켰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의 치과용 수복재의 제조 방법으로 얻어진 치과용 수복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치과용 수복재는 전술한 바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됨으로써, 코어와 코어에 피복된 글래스로 이루어지되, 코어는 알루미나 분말과 세리아로 안정화된 지르코니아 분말이 혼합되고 일정한 형상으로 성형된 후 소결되어 이루어진 것이고 글래스는 그 코어에 도포되어 열처리에 의하여 소결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때 글래스가 소결될 때 코어로 침투되어 코어의 강도가 높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치과용 수복재는 전술하나 바와 같이, 그 코어가 알루미나 분말 50 내지 90 중량%와 안정화 지르코니아 10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나 분말 50 내지 75 중량%와 안정화 지르코니아 25 내지 50 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나 분말 70 중량%와 안정화 지르코니아 30 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안정화 지르코니아도 전술한 바와 같이, 세리아 13 mol%와 지르코니아 87 mol%와 혼합하고 적정 시간 동안 열처리 구체적으로는 1 내지 3시간 동안 1400℃ 내지 1600℃ 범위의 온도에서 열처리하여 얻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치과용 수복재 코어의 제조에 알루미나 분말과 세리아로 안정화된 지르코니아 분말을 혼합 사용함으로써 굴곡 강도가 높아 결과적으로 내구성이 향상되고 상대적으로 장기간이 사용이 가능한 치과용 수복재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세리아로 안정화된 지르코니아 첨가량에 따른 치과용 수복재의 굴곡 강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치과용 수복재 코어 제조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치과용 수복재의 제조
< 실시예 1> 글래스 조성물의 제조
38.0 중량%의 산화란타늄(La2O3), 19 중량%의 실리카(SiO2), 19 중량%의 알루미나(Al2O3), 16 중량%의 산화붕소(B2O3), 4 중량%의 산화나트륨(Na2O), 2 중량%의 산화칼슘(CaO) 및 2.0 중량%의 산화마그네슘(MgO)을 혼합하여, 글래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안정화 지르코니아 제조
평균 입자 크기가 9.14㎛인 지르코니아(ZrO2)(CF-Super, Z-Tech Co., USA) 분말에 상-안정화제로 평균 입자 크기가 9.80㎛인 세리아(CeO2)(Unocal Molycop, USA)를 13, 16 또는 18 mol%로 첨가하여 혼합한 후 1600℃에서 2시간 동안 열처리하고, 30℃/min 속도로 25℃까지 냉각시킨 후 볼밀로 분쇄하여 알루미나와 혼합되어 코어 제조에 사용할 안정화 지르코니아 분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치과용 수복재 코어 제조용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3-1> 치과용 수복재 코어 제조용 조성물의 제조예 1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세리아 사용 함량을 달리한 세 가지의 각 안정화 지르코니아 분말을 알루미나(Al2O3) 분말과 70:30(알루미나:안정화 지르코니아)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3 가지의 세라믹 코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순도 99.99%이고 평균 입자 크기가 6.98㎛인 알루미나 분말(AM-21, Sumitomo Co., Japan) 70 중량%와 상기 <실시예 2>에 얻어진 각 안정화 지르코니아 분말 30 중량%를 혼합하여 세라믹 코어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2> 코어 제조용 조성물의 제조예 2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세리아 13 mol%가 첨가되어 제조된 안정화 지르코니아 분말을 사용하되, 알루미나 분말과의 혼합 비율을 50:50, 60:40, 65:35 및 70:30, 75:25(알루미나:안정화 지르코니아)의 중량비로 하여 세라믹 코어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4> 치과용 수복재의 제조
먼저 상기 <실시예 3>의 각 코어 제조용 조성물을 고순도 알루미나 용기에 넣고 볼밀에서 2시간 이상 습식 교반하였다.
다음 습식 교반한 혼합 분말을 2.5mm × 2.5mm × 25mm 크기의 금속 몰드에 넣어 프레스로 2톤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코어 시편을 성형한 후 500℃의 도재 소성로에서 약 3분간 건조시켰다. 건조된 시편을 60℃/min의 속도로 1,150℃까지 가열하고 1,150℃에서 15분간 유지한 후 5분 동안 500℃까지 냉각시켜 소결된 복합체 코어 시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코어 시편 상부에 상기 <실시예 1>의 글래스 조성물을 증류수와 혼합하여 1:1의 무게비로 도포한 후, 도재 소성로에서 500℃에서 약 5분간 건조시킨 후 80℃/min의 가열속도로 1,150℃까지 가열하고 1,150℃에서 25분간 유지한 후 5분 동안 500℃까지 냉각시켜 글래스를 코어 내부로 침투시켰다. 글래스 침투 시편 표면을 SiC 연마지로 연마하여 잔류하는 과량의 글래스상을 제거하여 글래스 침투 치과용 수복재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 실시예 > 치과 수복재의 비교 제조
알루미나와 안정화 지르코니아 혼합 분말 대신 알루미나 단독 분말만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치과용 수복재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된 복합체 분말을 2.5mm × 2.5mm × 25mm 크기의 금속 몰드에 넣어 프레스로 2톤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코어 시편을 성형한 후 500℃의 도재 소성로에서 약 3분간 건조시켰다. 건조된 시편을 60℃/min의 속도로 1,150℃까지 가열하고 1,150℃에서 15분간 유지한 후 5분 동안 500℃까지 냉각시켜 소결된 코어 시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코어 시편 상부에 상기 <실시예 1>의 글래스 조성물을 증류수와 혼합하여 1:1의 무게비로 도포한 후, 도재 소성로에서 500℃에서 약 5분간 건조시킨 후 80℃/min의 가열속도로 1,150℃까지 가열하고 1,150℃에서 25분간 유지한 후 5분 동안 500℃까지 냉각시켜 글래스를 코어 내부로 침투시켰다. 글래스 침투 시편 표면을 SiC 연마지로 연마하여 잔류하는 과량의 글래스상을 제거하여 글래스 침투 치과용 수복재 시편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 굴곡 강도 실험
치과용 수복재의 품질을 나타내는 척도 중 하나인 굴곡 강도를 ISO 6872:2008에 따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스팬 거리가 20mm 인 지그를 이용한 3 점 굴곡시험법으로 만능시험기(Instron 4465, USA)에서 1mm /min의 하중속도로 하중을 가하며 측정한 파괴 하중 값으로 굴곡강도(flexural strength)를 계산하였다. 각 실험군 당 10개 시편을 측정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세리아 사용 함량을 달리한 세 가지의 각 안정화 지르코니아 분말과 알루미나 분말을 70:30(알루미나:지르코니아) 중량비로 사용하여 제조한 치과용 수복재에 대한 굴곡 강도 측정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고, 세리아 13 mol%가 첨가되어 제조된 안정화 지르코니아 분말을 사용하되, 알루미나 분말과의 혼합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치과용 수복재에 대한 굴곡 강도 측정 결과를 첨부된 [도 1]에 나타내었으며, 알루미나 분말과 안정화 지르코니아(세리아 13 mol%로 안정화된 지르코니아) 혼합 사용하여(70:30 중량비로 사용) 제조한 치과용 수복재와 알루미나를 단독 사용하여 제조한 치과용 수복재의 굴곡 강도 측정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6111974330-pat00001
Figure 112016111974330-pat00002
상기 [표 1]의 결과를 참조하여 보면, 13 mol%의 세리아로 안정화된 지르코니아 분말을 사용하여 치과용 수복재를 제조할 경우가 16 mol% 및 18% 세리아로 안정화된 지르코니아 분말을 사용하였을 때보다 굴곡 강도가 뚜렷하게 높았으며, 또 첨부된 [도 1]에서 확인되듯이 안정화 지르코니아 분말을 알루미나 분말과 혼합 사용할 때가 알루미나 분말만을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보다 혼합비를 불문하고 굴곡 강도가 높았으며, 특히 30 중량비로 알루미나 분말과 혼합 사용할 때(70:30 = 알루미나:안정화 지르코니아)가 다른 혼합비에 비해 굴곡 강도가 뚜렷하게 높았다. 또 [표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13 mol%의 세리아가 사용되고 안정화 지르코니아 분말이 30 중량비로 알루미나 분말과 복합 사용될 때가 알루미나 분말을 단독 사용될 때보다 굴곡 강도가 또한 매우 높게 나타났다.

Claims (8)

  1. 알루미나 분말과 세리아로 안정화된 지르코니아 분말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알루미나 분말은 70 중량%이고, 상기 안정화 지르코니아 분말은 30 중량%이며,
    상기 세리아로 안정화된 지르코니아 분말은 세리아 13mol%와 지르코니아 87 mol%가 혼합되어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수복재 코어 제조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a) 제1항 기재의 코어 제조용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코어 제조용 조성물을 열처리하여 치과용 수복재의 코어를 준비하는 단계, 및
    (c) 상기 코어에 글래스 조성물을 도포하고 열처리하여 그 글래스 조성물을 소결·침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과용 수복재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조성물은 35 내지 45 중량%의 산화란타늄(La2O3), 14 내지 24 중량%의 실리카(SiO2), 14 내지 24 중량%의 알루미나(Al2O3), 12 내지 21 중량%의 산화붕소(B2O3), 2 내지 6 중량%의 산화나트륨, 1 내지 3 중량%의 산화칼슘(CaO), 및 0.5 내지 2.5 중량%의 산화마그네슘(MgO)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조성물은 38.0 중량%의 산화란타늄(La2O3), 19 중량%의 실리카(SiO2)와 알루미나(Al2O3), 16 중량%의 산화붕소(B2O3), 4 중량%의 산화나트륨, 2 중량%의 산화칼슘(CaO) 및 2.0 중량%의 산화마그네슘(MgO)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것으로서, 코어와 코어에 피복된 글래스로 이루어진 치과용 수복재.
KR1020160152824A 2016-11-16 2016-11-16 치과용 수복재 코어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수복재의 제조 방법 KR101948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824A KR101948985B1 (ko) 2016-11-16 2016-11-16 치과용 수복재 코어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수복재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824A KR101948985B1 (ko) 2016-11-16 2016-11-16 치과용 수복재 코어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수복재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232A KR20180055232A (ko) 2018-05-25
KR101948985B1 true KR101948985B1 (ko) 2019-05-02

Family

ID=62299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824A KR101948985B1 (ko) 2016-11-16 2016-11-16 치과용 수복재 코어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수복재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89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1025B1 (ko) * 2019-12-31 2022-03-31 주식회사 이지세라믹연구회 3d 프린터를 이용한 치과 보철물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2878A (en) * 1989-06-30 1993-08-03 Hoya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inorganic biomaterial
KR101395862B1 (ko) * 2011-07-21 2014-05-16 (주) 메덴트솔루션 치과용 글래스 조성물 및 글래스 침투 세라믹 수복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232A (ko) 201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8052B1 (ko) 소결 거동이 조정된 다층 산화물 세라믹체
JP6393328B2 (ja) 酸化物セラミックの焼結動力学の制御
JP2019048179A (ja) 歯科目的のための予備焼結ブランク
JP5072657B2 (ja) アルミノシリケートガラスおよびセラミックス系歯冠陶材用の色調調整組成物
JP7491956B2 (ja) ジルコニア焼結体の製造方法
JPH10113355A (ja) 陶材内冠の製造方法
US10047013B2 (en) Zirconia-based monophase and multiphase materials
Liu et al. The effect of graded glass–zirconia structure on the bond between core and veneer in layered zirconia restorations
JP5943537B2 (ja) 特に歯科医学的に適用するための着色セラミックス焼結体の製造法
CN106966600B (zh) 一种牙科纳米级微晶玻璃及其生产方法
CN105669190A (zh) 一种用于牙科修复的高强度氧化锆陶瓷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948985B1 (ko) 치과용 수복재 코어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수복재의 제조 방법
Santos et al. Mechanical properties of Y-TPZ ceramics obtained by liquid phase sintering using bioglass as additive
JP2022525738A (ja) 着色された歯科用ジルコニア物品の製造方法
Madeira et al. Influence of sintering pressure on the microstructure and tribological properties of low temperature fast sintered hot-pressed Y-TZP
KR20180101787A (ko) 복합 소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20117495A (ja) 高速焼結対応高透過ジルコニアブランク
KR101395862B1 (ko) 치과용 글래스 조성물 및 글래스 침투 세라믹 수복재
US7387761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glass infiltrated metal oxide infrastructure
Guedes et al. Processing and characterization of alumina/LAS bioceramics for dental applications
JP2007126360A (ja) セラミックス歯冠用陶材組成物
JP2006290854A (ja) ウイスカー強化歯科用セラミックス及びその常圧製造法
Kraipok et al. Effect of PEG-based binder concentration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lithium disilicate glass-ceramics prepared by low-pressure injection moulding
JPH01145064A (ja) 無機生体材料の製造方法
Ibrahim et al. Penetration of Liquid Glass Phase into Porous (3Y-TZP/Al2O3) Composi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