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8864B1 - 인체에 유익한 자화 에너지를 이용한 생체 활성 육각수 제조기 - Google Patents

인체에 유익한 자화 에너지를 이용한 생체 활성 육각수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8864B1
KR101948864B1 KR1020180019359A KR20180019359A KR101948864B1 KR 101948864 B1 KR101948864 B1 KR 101948864B1 KR 1020180019359 A KR1020180019359 A KR 1020180019359A KR 20180019359 A KR20180019359 A KR 20180019359A KR 101948864 B1 KR101948864 B1 KR 101948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body
water
cap
magnet memb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9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원
Original Assignee
이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원 filed Critical 이상원
Priority to KR1020180019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8864B1/ko
Priority to PCT/KR2018/003718 priority patent/WO201905948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1/4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인체에 유익한 자화 에너지를 이용한 생체 활성 육각수 제조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인체에 유익한 자화 에너지를 이용한 생체 활성 육각수 제조기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가 마련된 베이스 바디; 베이스 바디에 마련되는 복수의 와류편; 베이스 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는 자석 부재; 및 베이스 바디에 결합되는 캡부를 포함하고, 베이스 바디에는 자석 부재의 외벽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절개홀이 마련되고, 절개홀이 마련된 영역의 자석 부재에는 N극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체에 유익한 자화 에너지를 이용한 생체 활성 육각수 제조기{MAGNETIC WATER GENERATING APPARATUS USING A MAGNETIC ENERGY}
본 발명은, 육각수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와류에 의해 유입되는 물을 회전시킴과 아울러 물과 자석의 N극의 접촉량을 최대화시킨 인체에 유익한 자화 에너지를 이용한 생체 활성 육각수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는 일반 가정이나 공장, 농장 등지에서 쓰레기를 비롯한 각종 폐기물들이 많이 방출되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자정(自淨) 능력이 있는 물도 심하게 오염되어 직접 식수로 이용할 수 없음은 물론, 강이나 바다 등의 생태계를 많이 파손하는 실정임은 이미 주지된 사실이다.
그리고 일단 오염된 물을 깨끗하게 하기 위한 정수의 공정으로 여러 가지 장치와 방법을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지금도 더 효율적인 정수를 위한 연구가 꾸준하게 수행되고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정수의 몇 가지 방법을 살펴보면, 활성오니나 미생물을 이용하는 생물학적 방식, 화학반응을 이용하는 화학적 방식 그리고 전자나 초음파를 이용하는 물리적인 방식을 사용하거나 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정수방식에 의해서는 안정적인 정수가 이루어지지 않을 뿐 아니라 정수에 소요되는 가동비가 많아 정수효율을 높일 수 없었다.
즉, 종래의 활성오니나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방식은 미생물이 오염물질을 분해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국제적으로 많은 나라에서 이용하고 있으나, 이는 미생물의 소화성 물질에 유효농도는 한계성이 있으므로 오물이 고농도로 함유된 상태에서는 그 처리가 미흡하고, 알칼리나 산성을 띠고 있는 오폐수의 경우는 전처리가 필요하며, 시간과 온도 등의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됨은 물론 설치면적이 넓어야 하므로 건설비가 많이 소요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화학적 처리방식은 반응속도가 빠르고 공정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생물학적 처리가 어려운 유기물을 분해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단독으로 폐수를 처리하기에는 설치비와 유지비가 너무 고가여서 전술한 생물학적 정수방식의 전처리나 후처리로만 사용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전자나 초음파를 이용하는 물리적인 방식은 생물학적 방식이나 화학적 방식으로 처리가 곤란한 벤젠 화합물이나 할로겐 화합물 등 난분해성 물질을 분해하는 공정에 응용되지만 막대한 시설비와 유지비에 비해 그 효과가 미비한 수준이므로 널리 이용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종래에 영구자석을 이용한 자화장치가 개시되었다.
자화장치에 의해 처리되는 물을 자화수라고 하는데, 물 자체가 자성을 띤다는 의미는 아니며, 자기장에 의하여 물 분자의 배열이 바뀌어져서 통상의 물과 다른 물 분자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서, 자기장에 의하여 물 분자를 특이한 구조로 변형시킨 상태의 물을 말한다. 다만, 이러한 특성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는 없으며, 일정기간 유지되었다가 다시 원상태로 환원된다.
자기장의 자기력선은 N극으로부터 나와 S극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자기장을 전기 전도체인 물이 직각 방향으로 통과하는 경우, 자기력선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기전력이 생겨 미세전류가 흐르게 되고 그 반대의 방향으로 전자가 흐른다. 이 전자는 물이 흐르는 힘에 의해 흘러 간다.
물 분자는 보통 서로 붙어서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다. 낮은 에너지 상태에서는 큰 클러스터가 되어 운동에너지가 낮다. 강력한 자장 에너지 형성 시 물의 분자는 플러스 극성을 가진 수소원자와 마이너스 극성을 가진 산소원자가 서로 붙어서 회전, 신축, 진동 등의 운동을 일으키며 미립자화, 활성화되어 진다. 이때 물분자의 분자 집단(클러스터)수치가 작아지면서 인접하는 클러스터들이 서로 당기어 구조화를 이룬다. 즉, 물 분자는 자석에 의한 자기장을 통과하면서 회전, 신축, 진동 등의 운동을 일으키고 물 분자의 클러스터가 미립자화되고 활성화 되게 되는데, 이러한 원리를 이용한 것이 자화장치이다.
다시 말하면, 자화장치는 물이 자기장을 이동할 때 산소와 수소의 결합이 분리와 재결합의 과정을 거치면서 물분자가 작아지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물분자를 세밀화하고, 강한 자기장에 의해 대장균, 녹농균 등 정균 및 살균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수도관의 스케일 또는 녹 등을 신축 건물에는 방지할 수 있고 오래된 거물에는 제거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도록 하는 장치를 말한다.
따라서, 물을 자석의 자장 속으로 통과시키면 물의 분자구조가 이온 활성화되어 미네랄이 풍부한 약알칼리성의 6각형 구조를 가지는 자화수로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자석을 이용한 자화장치는 단시간에 많은 양의 자화수를 얻을 수 있어 일반 가정에서는 물론이고 식품공장에서는 신선도을 얻을 수 있고, 목욕탕과 축산에 적용 시 용존 산소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식물재배용에는 미생물 발효에 도움을 주는 등 여러 분야에서 생활용수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자화수의 효능에 관련된 내용은 전무식 박사의 저서 "6각수의 수수 께끼"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자화장치에 관한 선행기술이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37393호 "자화기를 이용한 자화육각수 제조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물의 분자 구조를 자기작용에 의해 물의 표면 장력을 적게 변화시켜 물속에 함유된 각종 미네랄성분이 인체에 유용하게 작용할 수 있고, 자력 세기를 이용하여 N극과 N극, S극과 S극을 스페이서를 개재하여 서로 대향되게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자장의 세기와 자속밀도를 크게 해서 온수 순환수를 자화기에 통과시켜 순환수의 표면장력이 많은 자화육각수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전술한 선행기술에는 자석을 이용하여 자화수를 생성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지만 인체에 유익한 N극의 에너지를 최대화시키는 데에는 부족한 점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3-0029322호(임재열) 2003. 04. 14.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와류에 의해 유입되는 물을 회전시킴과 아울러 물과 자석의 N극의 접촉량을 최대화시켜 N극 에너지를 극대화한 인체에 유익한 자화 에너지를 이용한 생체 활성 육각수 제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가 마련된 베이스 바디; 상기 베이스 바디에 마련되는 복수의 와류편; 상기 베이스 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는 자석부; 및 상기 베이스 바디에 결합되는 캡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바디에는 상기 자석부의 외벽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절개홀이 마련되고, 상기 절개홀이 마련된 영역의 상기 자석부에는 N극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에 유익한 자화 에너지를 이용한 생체 활성 육각수 제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절개홀은 상기 베이스 바디에 한 쌍이 등 간격으로 이격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절개홀은 상기 복수의 와류편에 의해 막혀 상기 베이스 바디의 높이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캡부는,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측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는 캡 바디; 및 상기 캡 바디의 외측 상면부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캡 지지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캡 지지바에는 결합홈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베이스 바디에 복수의 와류편을 마련하여 베이스 바디를 통과하는 물에 와류를 발생시켜 물의 통과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고, 베이스 바디에 마련된 절개홀을 통해 자석부의 N극과 물을 직접 접촉시켜 인체에 유익한 N극 에너지를 최대화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바디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에 의해 조리수와 샤워기 헤드 등의 장착 대상물에 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에 유익한 자화 에너지를 이용한 생체 활성 육각수 제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복수의 캡 지지바에 결합홈이 마련되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한 쌍으로 연결한 것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가 조리수에 적용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는 샤워기 헤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N극 에너지를 극대화한 자화수 생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체에 유익한 자화 에너지를 이용한 생체 활성 육각수 제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에 유익한 자화 에너지를 이용한 생체 활성 육각수 제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복수의 캡 지지바에 결합홈이 마련되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한 쌍으로 연결한 것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가 조리수에 적용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는 샤워기 헤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체에 유익한 자화 에너지를 이용한 생체 활성 육각수 제조기(1)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11)가 마련된 베이스 바디(10)와, 베이스 바디(10)에 마련되는 복수의 와류편(20)과, 베이스 바디(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자석부와, 베이스 바디(10)에 결합되는 캡부(40)를 구비한다.
베이스 바디(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 있고 하부는 막혀 있고 상부는 개방된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바디(10)의 하측부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대(11)가 이격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지지대(11)는 본 실시 예를 착용 대상물의 내부에 장착 시 본 실시 예를 지지함과 아울러 본 베이스 바디(10)의 하부를 통해 물을 원활하게 유입시켜 복수의 날개편의 방향으로 공급시키는 역할(도 5 참조)을 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바디(10)의 상측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플랜지(12)가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서 스토퍼 플랜지(12)는 베이스 바디(10)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캡부(40)의 하강 높이를 제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바디(10)의 벽부에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0)의 길이 방향으로 절개홀(13)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절개홀(13)은 베이스 바디(10)의 내부에 마련된 자석부를 직접 물에 접촉시켜 자석부의 N극을 물에 접촉되는 양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절개홀(13)은 베이스 바디(10)에 한 쌍이 등 간격으로 이격 마련될 수 있고, 베이스 바디(10)에 마련된 복수의 와류편(20)에 의해 단속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미 도시되었지만 베이스 바디(10)의 저면부에는 통과홀이 마련될 수 있고, 이 통과홀을 통해 체결 부재가 자석 부재(30)의 저면부에 마련된 나사홈에 나사 결합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체결 부재를 자석 부재(30)로부터 분리한 후 통과홀로 공구를 삽입시켜 자석 부재(30)를 베이스 바디(10)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와류편(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0)의 외벽에 복수로 마련되어 베이스 바디(10)를 통과하는 물이 와류편(20)을 타고 통과되게 함으로써 물의 통과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는 물과 자석 부재(30)가 서로 접촉할 수 있는 시간을 증가시켜 자화수의 생성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와류편(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0)의 외벽에 베이스 바디(10)의 하단부부터 상단부까지 연속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 바디(10)에 마련될 절개홀(1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류편(20)에 의해 막혀져 절개홀(13)은 복수의 구간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자석 부재(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0)의 내부에 마련되며 복수의 절개홀(13)을 통해 베이스 바디(10)의 외벽을 통과하는 물과 접촉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자석 부재(30)의 N극은 절개홀(13)의 방향으로 배치되어 인체에 유익한 N극에서 발생되는 에너지에 의한 자화수의 생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자석 부재(30)는 베이스 바디(10)의 내부에 복수로 마련될 수 있고, 별도의 하우징을 구비하여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자석 부재(30) 자체 또는 자석 부재(30)가 수용되는 하우징의 하측부에는 나사홈이 마련되어 베이스 바디(10)의 통과홀을 통하여 체결되는 나사 등의 체결 부재에 자석 부재(30) 자체 또는 자석 부재(30)가 수용되는 하우징은 위치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는 자석 부재(30)의 N극만이 절개홀(13)을 통해서 배출되게 할 수 있고, 이는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는 1930년도에 밝혀진 사실 즉 자력선은 S극에서 나와 중간 지점으로 들어가고, 다시 중간 부분에서 자력선이 나와 N극으로 들어간다는 증명된 사실을 기초로 한 것이다. 이는 김현원 박사의 저서 "내 몸에 가장 좋은 물"에 기재되어 있다.
캡부(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0)의 상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 되어 베이스 바디(10)의 개방된 상단부를 밀폐한다.
본 실시 예에서 캡부(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0)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 되는 캡 바디(41)와, 캡 바디(41)의 상면부에 마련되는 한 쌍의 캡 지지바(42)를 포함한다.
캡부(40)의 한 쌍의 캡 지지바(42)는, 본 실시 예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수(J)의 내부에 장착 시 조리수(J)의 상부로 물이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조리수(J)의 내측 천장부에 공간을 마련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캡 지지바(42)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43)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결합홈(43)에는 본 실시 예를 다층으로 적층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배치되는 본 실시 예의 한 쌍의 지지대(11)가 하부에 배치되는 본 실시 예의 결합홈(43)에 삽입 되어 양자의 적층 구조를 쉽게 할 수 있고 그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인체에 유익한 자화 에너지를 이용한 생체 활성 육각수 제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인체에 유익한 자화 에너지를 이용한 생체 활성 육각수 제조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에 개구부(110)가 마련되고 타측부가 개방된 용기 본체(100)와, 개구부(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는 마개 캡(200)과, 용기 본체(100)의 벽부에 마련되는 자석 부재(300)와, 용기 본체(100)의 타측부에 결합 되어 용기 본체(100)를 밀폐하며 용기 본체(100)의 내부에 저장되는 액체를 회전시켜 자석 부재(300)에 접촉되게 하여 자화수를 생성시키는 와류 생성부(400)와, 용기 본체(100)에 마련되는 정수부(500)를 구비한다.
용기 본체(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리하게 휴대하고 이동할 수 있도록 용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용기 본체(100)의 상단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10)가 마련되고, 용기 본체(100)의 하단부는 개방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용기 본체(100)의 개방된 하단부는 용기 본체(100)의 하측부에 결합 되는 와류 생성부(400)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용기 본체(100)의 내부에 저장되는 액체 예를 들어 물이나 음료수, 차 등은 와류 생성부(400)에 의해 용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회전되어 와류를 일으킬 수 있다.
마개 캡(2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00)의 개구부(110)의 외주면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마개 캡(200)에는 손잡이나 고리 형태의 걸림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자석 부재(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00)의 벽부인 측벽부에 마련되되어 용기 본체(100)의 내부에 수용된 물을 자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자석 부재(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00)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일체로 마련될 수 있고, 용기 본체(100)의 높이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자석 부재(300)는 120도의 각도로 배치되어 N극이 중앙부로 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자석 부재(300)는 자석 간에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복수로 마련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자석 부재(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N극이 용기 본체(100)의 내벽에 배치되게 하고, S극이 용기 본체(100)의 내벽과 외벽 사이의 공간부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N극과 S극의 경계면이 용기 본체(100)의 내벽에 의해 구획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자석 부재(300)에 별도의 결합홈을 마련할 수도 있고, 금속 하우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와류 생성부(4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00)의 하측부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어 용기 본체(100)의 내부에 저장된 액체에 와류를 일으켜 액체가 자석 부재(300)의 영향을 더 많이 받도록 하여 자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와류 생성부(4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00)의 하측부에 결합 되어 용기 본체(100)의 개방된 하부 영역을 막는 베이스 바디(410)와, 베이스 바디(410)에 마련되며 단부가 용기 본체(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전축(421)이 구비된 회전 모터(420)와, 회전축(421)에 마련되며 단부가 회전축(421)의 단부 보다 높게 배치되는 제1 회전대(430)와, 회전축(421)에 마련되고 단부가 회전축(421)의 단부 보다 높게 배치되며 제1 회전대(430)와 이격 배치되는 제2 회전대(440)와, 제1 회전대(430)와 제2 회전대(440)의 단부에 각각 마련되며 제1 회전대(430) 및 제2 회전대(440)의 직경 보다 크게 마련되는 확장 헤드(450)를 포함한다.
와류 생성부(400)의 베이스 바디(410)는, 용기 본체(100)의 하측부에 나사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바디(410)의 외벽에는 용기 본체(100)의 내부에 저장된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와류 생성부(400)의 회전 모터(420)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410)의 내부에 마련되며, 외부 전원이나 베이스 바디(410)에 마련된 배터리에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회전 모터(420)에는 용기 본체(100)의 내부로 삽입 되는 지지축이 마련되며, 회전 모터(420)의 작동에 의해 지지축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회전 모터(420)와 베이스 바디(410)가 접하는 영역에는 용기 본체(100)의 내부에 있는 액체가 베이스 바디(4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실링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회전 모터(420)는 6000 내지 9000rpm으로 회전되어 자화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전술한 rpm으로 용기 본체(100)의 내부에 저장된 액체를 회전시켜 자석 부재(300)의 N 극과 접촉시킴으로써 인체에 유익한 우회전 에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다.
와류 생성부(400)의 제1 회전대(430)와 제2 회전대(4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대(430)는 제2 회전대(440) 보다 높게 마련될 수 있고, 제2 회전대(440)가 제1 회전대(430) 보다 높게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제1 회전대(430)와 제2 회전대(440)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와류를 더 효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와류 생성부(400)의 확장 헤드(4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대(430)와 제2 회전대(440)의 단부에 마련되어 용기 본체(100)의 내부에 저장된 액체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와류를 더 효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는 전술한 회전 모터(420)의 이상이나 결함 시 등에 사용자의 손을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용기 본체(100)를 회전시켜 흔듦으로써 효과가 지속되는 자화수를 사용할 수 있다.
정수부(5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00)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는 저장 바디(510)와, 저장 바디(510)에 마련되는 복수의 개구홀(520)과, 저장 바디(510)의 하측부에 탈착 가능하게 저장 바디 캡(530)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저장 바디(510)에는 수소볼 또는 미네랄볼을 포함하는 광물질이 수용되고, 와류 생성부(400)에 의해 생성되는 와류에 의해 용기 본체(100)의 내부에 있는 액체는 광물질에 더 많이 접촉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체에 유익한 자화 에너지를 이용한 생체 활성 육각수 제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N극 에너지를 극대화한 자화수 생성장치는, 자석 부재(300)를 용기 본체(100)의 벽부에 비대칭으로 복수로 마련함과 아울러 용기 본체(100)의 바닥부와 와류 생성부(400)의 베이스 바디(410)에도 마련한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이스 바디에 복수의 와류편을 마련하여 베이스 바디를 통과하는 물에 와류를 발생시켜 물의 통과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고, 베이스 바디에 마련된 절개홀을 통해 자석부의 N극과 물을 직접 접촉시켜 인체에 유익한 N극 에너지를 최대화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바디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에 의해 조리수와 샤워기 헤드 등의 장착 대상물에 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인체에 유익한 자화 에너지를 이용한 생체 활성 육각수 제조기
10 : 베이스 바디
11 : 지지대
12 : 스토퍼 플랜지
13 : 절개홀
20 : 와류편
30 : 자석부
40 : 캡부
41 : 캡 바디
42 : 캡 지지바
43 : 결합홈
J : 조리수
S : 샤워기 헤드

Claims (5)

  1.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가 마련된 베이스 바디;
    상기 베이스 바디에 마련되는 복수의 와류편;
    상기 베이스 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는 자석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바디에 결합되는 캡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바디에는 상기 자석 부재의 외벽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절개홀이 마련되고, 상기 절개홀이 마련된 영역의 상기 자석 부재에는 N극이 배치되고,
    상기 절개홀은 상기 복수의 와류편에 의해 막혀 상기 베이스 바디의 높이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측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는 캡 바디 및 상기 캡 바디의 외측 상면부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캡 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캡 지지바에는 결합홈이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 바디의 저면부에는 통과홀이 마련되고, 상기 통과홀을 통해 체결 부재가 자석 부재의 저면부에 마련된 나사홈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바디는 복수의 층으로 적층되고 복수의 층 중 상부층에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는 하부층에 배치되는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측부에는 스토퍼 플랜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에 유익한 자화 에너지를 이용한 생체 활성 육각수 제조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19359A 2017-09-25 2018-02-19 인체에 유익한 자화 에너지를 이용한 생체 활성 육각수 제조기 KR101948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359A KR101948864B1 (ko) 2018-02-19 2018-02-19 인체에 유익한 자화 에너지를 이용한 생체 활성 육각수 제조기
PCT/KR2018/003718 WO2019059481A1 (ko) 2017-09-25 2018-03-29 인체에 유익한 자화 에너지를 이용한 생체 활성 육각수 제조기 및 자화수 생성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359A KR101948864B1 (ko) 2018-02-19 2018-02-19 인체에 유익한 자화 에너지를 이용한 생체 활성 육각수 제조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764A Division KR20190100027A (ko) 2019-01-31 2019-01-31 인체에 유익한 자화 에너지를 이용한 생체 활성 육각수 제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8864B1 true KR101948864B1 (ko) 2019-02-15

Family

ID=65367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359A KR101948864B1 (ko) 2017-09-25 2018-02-19 인체에 유익한 자화 에너지를 이용한 생체 활성 육각수 제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886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45186A (ko) 자기이온활성수 제조장치
KR101948864B1 (ko) 인체에 유익한 자화 에너지를 이용한 생체 활성 육각수 제조기
KR102082823B1 (ko) 인체에 유익한 회전 전자에너지를 이용한 자화수 생성 용기
KR100820944B1 (ko) 자화처리장치
KR20090076736A (ko) 자화처리기
KR20190100027A (ko) 인체에 유익한 자화 에너지를 이용한 생체 활성 육각수 제조기
KR100773300B1 (ko) 정수장치용 교환자극형 진동분해기
JP4851400B2 (ja) ナノバブル含有磁気活水を用いた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並びにナノバブル含有磁気活水製造装置
KR101256949B1 (ko) 인체에 유익한 n극이 활성화된 자화처리기
KR101935009B1 (ko) 자화수 생성장치
KR20110111860A (ko) 기능성 볼을 내장한 자화수 처리장치
KR20110018518A (ko) 자성체를 이용한 정수장치
KR101830499B1 (ko) 정수용 항균 캡슐
KR20180082938A (ko) 자화수 생성장치
WO2007140716A1 (fr) Équipement de traitement électrochimique de l'eau
AU20143964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magnetized water
KR200381587Y1 (ko) 자화수 생성기
CN201183768Y (zh) 一种污水处理装置
JP3188955U (ja) 活水器
WO2019059481A1 (ko) 인체에 유익한 자화 에너지를 이용한 생체 활성 육각수 제조기 및 자화수 생성 용기
KR20020004144A (ko) 오폐수처리 장치
KR20230020640A (ko) 오폐수 처리시스템의 분해조
CN204737765U (zh) 铁铜电解装置
KR200403414Y1 (ko) 정수장치용 교환자극형 자화분해기
KR101493681B1 (ko) 음용수 생산을 위한 자화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