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8518A - 자성체를 이용한 정수장치 - Google Patents

자성체를 이용한 정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8518A
KR20110018518A KR1020090076015A KR20090076015A KR20110018518A KR 20110018518 A KR20110018518 A KR 20110018518A KR 1020090076015 A KR1020090076015 A KR 1020090076015A KR 20090076015 A KR20090076015 A KR 20090076015A KR 20110018518 A KR20110018518 A KR 20110018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ater
magnetic
magnetic body
magnetic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6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장수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장수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장수로
Priority to KR1020090076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8518A/ko
Publication of KR20110018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85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1/4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 C02F1/48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located on the outer wall of the treatment device, i.e. not in contact with the liquid to be treated, e.g.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 B01F27/1125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with vanes or blades extending parallel or oblique to the stirrer ax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3Coaxial constructions, e.g. a cartridge located coaxially within ano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2Fluid flow conditions
    • C02F2301/026Spiral, helicoidal, rad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성체를 이용한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자화처리를 위한 물이 수용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측벽을 따라 형성되며, N극이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자성체; 및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물을 순환시키는 회전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체를 이용한 정수장치가 제공된다.
하우징, 자성체, N극, 회전체, 기능성볼

Description

자성체를 이용한 정수장치{WATER PURIFIER USING MAGNETIC BODY}
본 발명은 자성체를 이용한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과정에서 N극에 의하여 자화된 자화수를 얻을 수 있으며, 다양한 기능성볼에 의하여 물분자가 활성화되도록 하기 위한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는 일반 가정이나 공장, 농장 등지에서 쓰레기를 비롯한 각종 폐기물들이 많이 방출되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자정(自淨) 능력이 있는 물도 심하게 오염되어 직접 식수로 이용할 수 없음은 물론, 강이나 바다 등의 생태계를 많이 파손하는 실정임은 이미 주지된 사실이다.
그리고 일단 오염된 물을 깨끗하게 하기 위한 정수의 공정으로 여러 가지 장치와 방법을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지금도 더 효율적인 정수를 위한 연구가 꾸준하게 수행되고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정수의 몇 가지 방법을 살펴보면, 활성오니나 미생물을 이용하는 생물학적 방식, 화학반응을 이용하는 화학적 방식 그리고 전자나 초음파를 이용하는 물리적인 방식을 사용하거나 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정수방식에 의해서는 안정적인 정수가 이루어지지 않을 뿐 아니라 정수에 소요되는 가동비가 많아 정수효율을 높일 수 없었다.
즉, 종래의 활성오니나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방식은 미생물이 오염물질을 분해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국제적으로 많은 나라에서 이용하고 있으나, 이는 미생물의 소화성 물질에 유효농도라는 한계성이 있으므로 오물이 고농도로 함유된 상태에서는 그 처리가 미흡하고, 알칼리나 산성을 띠고 있는 오폐수의 경우는 전처리가 필요하며, 시간과 온도 등의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됨은 물론 설치면적이 넓어야 하므로 건설비가 많이 소요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화학적 처리방식은 반응속도가 빠르고 공정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생물학적 처리가 어려운 유기물을 분해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단독으로 폐수를 처리하기에는 설치비와 유지비가 너무 고가여서 전술한 생물학적 정수방식의 전처리나 후처리로만 사용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전자나 초음파를 이용하는 물리적인 방식은 생물학적 방식이나 화학적 방식으로 처리가 곤란한 벤젠 화합물이나 할로겐 화합물 등 난분해성 물질을 분해하는 공정에 응용되지만 막대한 시설비와 유지비에 비해 그 효과가 미비한 수준이므로 널리 이용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종래에 영구자석을 이용한 자화장치가 개시되었다.
자화장치에 의해 처리되는 물을 자화수라고 하는데, 물 자체가 자성을 띤다는 의미는 아니며, 자기장에 의하여 물 분자의 배열이 바뀌어져서 통상의 물과 다 른 물 분자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서, 자기장에 의하여 물 분자를 특이한 구조로 변형시킨 상태의 물을 말한다. 다만, 이러한 특성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는 없으며, 일정기간 유지되었다가 다시 원상태로 환원된다.
자기장의 자기력선은 N극으로부터 나와 S극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자기장을 전기 전도체인 물이 직각 방향으로 통과하는 경우, 자기력선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기전력이 생겨 미세전류가 흐르게 되고 그 반대의 방향으로 전자가 흐른다. 이 전자는 물이 흐르는 힘에 의해 흘러 간다.
물 분자는 보통 서로 붙어서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다. 낮은 에너지 상태에서는 큰 클러스터가 되어 운동에너지가 낮다. 강력한 자장 에너지 형성 시 물의 분자는 플러스 극성을 가진 수소원자와 마이너스 극성을 가진 산소원자가 서로 붙어서 회전, 신축, 진동 등의 운동을 일으키며 미립자화, 활성화되어 진다. 이때 물분자의 분자 집단(클러스터)수치가 작아지면서 인접하는 클러스터들이 서로 당기어 구조화를 이룬다. 즉, 물 분자는 자석에 의한 자기장을 통과하면서 회전, 신축, 진동 등의 운동을 일으키고 물 분자의 클러스터가 미립자화되고 활성화되게 되는데, 이러한 원리를 이용한 것이 자화장치이다.
다시 말하면, 자화장치는 물이 자기장을 이동할 때 산소와 수소의 결합이 분리와 재결합의 과정을 거치면서 물분자가 작아지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물분자를 세밀화하고, 살균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수도관의 스케일 또는 녹 등을 제거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도록 하는 장치를 말한다.
따라서, 물을 자석의 자장 속으로 통과시키면 물의 분자구조가 이온 활성화 되어 미네랄이 풍부한 약알칼리성의 6각형 구조를 가지는 자화수로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자석을 이용한 자화장치는 단시간에 많은 양의 자화수를 얻을 수 있어 일반 가정에서는 물론이고 식품공장 및 목욕탕, 축산 및 식물재배용 등 여러 분야에서 생활용수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자화장치에 관한 선행기술이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37393호 "자화기를 이용한 자화육각수 제조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물의 분자 구조를 자기작용에 의해 물의 표면 장력을 적게 변화시켜 물속에 함유된 각종 미네랄성분이 인체에 유용하게 작용할 수 있고, 자력 세기가 큰 영구자석(12000가우스)을 이용하여 N극과 N극, S극과 S극을 스페이서를 개재하여 서로 대향되게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자장의 세기와 자속밀도를 크게 해서 온수 순환수를 자화기에 통과시켜 순환수의 표면장력이 적은 자화육각수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만, 근래의 연구 결과 『자기와 자기가 생체에 미치는 영향(Magnetism and its effects on the living system), 1974년, 데이비스(Albert Roy Davis)』에 따르면, 자석의 N극에서 생성된 자화수는 인체에 유익한 효과가 있는 반면 S극에서 생성된 자화수는 일반적으로 유해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구체적으로 자석의 N극에서 생성되는 자화수는 일의 능률의 증가, 암 세포 증식의 억제, 대사 작용의 향상, 통증의 감소, 알레르기의 진정 및 수면의 촉진 등 인체에 유익하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위의 선행기술은 인체에 유해한 S극에서도 N극과 동일하게 자화수가 생성되므로 인체에 미치는 유익한 효과가 절감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정수과정에서 N극에 의하여 자화된 자화수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다양한 성분의 기능성볼에 의한 미네랄 조절, 항균 조절 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정수장치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내부에 자화처리를 위한 물이 수용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측벽을 따라 형성되며, N극이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자성체; 및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물을 순환시키는 회전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체를 이용한 정수장치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첫째, 하우징 내부를 향하여 자성체의 N극이 향하도록 하여, 회전체에 의해 유동하는 물에 N극에 의한 자기력이 작용하여 용이하게 N극수를 얻을 수 있다.
둘째, 자성체가 다수개로 구비되도록 하고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도록 하여 순환하는 물에 일정한 패턴으로 강한 자기력이 가해지도록 하여 물입자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어 세밀화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셋째, 자성체의 내측면이 안쪽으로 볼록하도록 형성하여 자기력의 크기 변화가 더욱 두드러지게 형성되도록 하여 자화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다.
넷째, 회전체 내부에 기능성볼이 채워지도록 하여 기능성볼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에 의한 물분자의 이온화, 활성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를 이용한 정수장치의 일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치(1)는 내부에 자화처리를 위한 물이 수용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측벽을 따라 형성되며, N극이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자성체(20); 및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물을 순환시키는 회전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자화수를 얻기 위한 장치에 해당하는 것이며, 특히 자석의 N극에 의해 자화처리되는 N극수를 얻도록 하는 장치에 해당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석에 의해 처리되는 자화수에서, N극에 의한 특성과 S극에 의한 특성은 서로 상이한 부분이 많으며, N극에 의해 자화처리된 물의 경우, 점도가 증가하고 표면장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물의 구조가 치밀해지고 암세포의 증식이 억제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대사작용이 향상되고, 통증의 감소와 같은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장치(1)는 그 자체로 독자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수기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정수의 대상이 되는 물이 저장된다. 상기 하우징(10)은 다각형 형상의 용기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저장된 일정량의 물을 자화처리하고 배출시키며, 다시 유입된 물을 반복하여 처리 및 배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 내부로 물이 유입되기 위한 입수구와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구는 상기 하우징(10)에 직접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구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성체(20)는 상기 하우징(10)의 측벽을 따라 형성되며, 상가 하우징(10)의 원주 둘레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자성체(20)는 통상의 영구자석과 같은 원리로 제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정수장치(1)에 효과적으로 적용되기 위하여 외부형상은 특정 형태,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에 밀착되도록 형성되거나, 물의 자화처리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자성체(20)는 상기 하우징(10)의 둘레를 따라 결합되며, 극 방향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중앙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자성체(20)에 의한 N극이 상기 하우징(10)의 중앙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성체(20)는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치우쳐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원주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으나, 상기 하우징(10) 둘레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자성체(20)가 상기 하우징(10) 내부의 물을 완전히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자성체(20)는 통상의 영구자석(永久磁石, permanent magnet)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자성체(20)의 재료로는 높은 투자율(透磁率)을 지닌 물질과 는 반대로 잔류자기가 클 뿐 아니라 보자력(保磁力)이 큰 것으로 형성되고, 텅스텐강, 크롬강, KS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MK강, 알루니코(알루미늄·니켈·코발트·구리의 합금), 신KS강, 큐니페(구리·니켈·철의 합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체(30)는 상기 하우징(10)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 내부의 물을 순환시킨다. 상기 회전체(30)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40)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40)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중앙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별도로 구비된 구동수단(70)에 의해 회전되게 된다.
상기 회전체(30)는, 대체로 넓은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의 물이 상기 회전축(40)에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회전체(30)는 다소 굴곡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물의 상하이동을 위하여 약간 뒤틀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그 정도는 비교적 약하게 형성되어, 대부분의 물이 상기 회전축(40)의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0) 내부의 물은 상기 회전체(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하우징(10) 내부를 순환하며, 극성을 띠는 물 입자는 상기 자성체(20)에 의한 자기력의 영향을 반복하여 받게 된다. 상기 자성체(20)는 N극 방향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중앙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 내부의 물에는 반복하여 N극이 작용하게 된다. 이 경우, S극에 의한 자기력의 영향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다고는 할 수 없으나, 대부분은 물이 N극에 의한 자기력에 접하여 흐르게 되므로 물은 대부분 N극에 의한 자기력에 의하여 처리되며 양호한 상태의 N극수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를 이용한 정수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치(1)에서, 상기 하우징(1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자성체(20)는 다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측벽에서 동일한 간격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자성체(20)의 형상은 상기 하우징(10)과 동일한 원호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자성체(20)는 다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10)의 측벽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결합된다. 상기 자성체(20)는 다수개로 구비되며, 모두 동일한 형태 및 자기력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자성체(20)는 상기 하우징(10)과 별도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와 달리, 상기 하우징(10)의 측벽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10)에서 상기 자성체(20)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배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치(1)를 도시한 도면에서는, 상기 자성체(20)가 상기 하우징(10)과 별도로 형성된 형태만이 도시되어 있으며, 제조의 용이성을 위하여 이와 같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성체(20)가 상기 하우징(10)과 별도로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자성체(20)를 상기 하우징(10)의 측벽 둘레에 고정함에 있어서, 원심방향 또는 구심방향으로의 이동이 없도록 고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자성체(20)가 모두 동일한 형태 와 자기력을 갖도록 형성되므로, 서로 같은 크기의 척력이 작용하여 특별히 조정하지 않더라도 일정한 간격을 이루며 배열되게 된다.
상기 자성체(20)는 상기 하우징(10)의 원주 둘레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자성체(20)에 가장 근접했을 때의 물 입자에 가장 큰 자기력이 작용하게 되며, 물의 입자가 상기 자성체(20)의 사이에 위치했을 때, 가장 약한 자기력이 작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를 순환하는 물에는 큰 자기력과 작은 자기력이 반복하여 작용하게 되고, 자기력의 변화에 따라 물입자에 충분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세분화하여 조밀화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자성체(20)는 상기 하우징(10)과 동일한 원호를 이루도록 형성되는데, 즉 상기 자성체(20)의 내측면은 상기 하우징(10)의 내측면의 형태와 일치하도록 형성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자성체(20)에서 N극의 자기력선의 방향은 대부분 상기 하우징(10)의 중심을 향하게 되며, 상기 자성체(20)에 근접하여 지나는 물에는 대부분 N극이 수직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자성체(20)는 상기 하우징(10) 내부의 물에 큰 자기력을 작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물 입자의 운동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자기력을 전달할 수 있으므로 자화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를 이용한 정수장치를 도시 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치(1)는, 상기 하우징(1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자성체(20)는 다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측벽에서 동일한 간격을 이루도록 형성되거나 서로 밀착되게 형성되며, 상기 자성체(20)는 횡단면의 형상은 일정하고,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자성체(20)는 중앙부분이 두껍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얇게 형성된다.
상기 자성체(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중앙 부분이 내측으로 볼록하도록 형성된다. 즉, 중앙 부분이 더 두껍고 양쪽 가장자리 부분으로 갈수록 얇게 형성된다.
상기 자성체(20)가 중앙 부분이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자성체(20)를 지나는 물 입자에 작용하는 자기력의 크기 변화가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되며, 더욱 확실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체(20)의 형태적 특성에 의하여 자기력의 변화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상기 자성체(20)는 서로 밀착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게 되고, 본 발명인 자성체(20)를 이용한 정수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서 형태, 배열의 제약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20)를 이용한 정수장치(1)에 있어 서, 상기 하우징(10)은, 동심축을 갖는 내측하우징(10a)과 외측하우징(10b)으로 나뉘어 형성되고, 상기 자성체(20)는 상기 내측하우징(10a) 및 외측하우징(10b) 사이에 개재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은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하우징(10a) 및 외측하우징(10b)으로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하우징(10a)과 외측하우징(10b)은 모두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동심축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성체(20)는 상기 내측하우징(10a)과 외측하우징(10b)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자성체(20)의 원심방향으로의 이격이 없도록 꼭 맞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측하우징(10a)의 내부에 물이 수용되게 되며, 상기 외측하우징(10b)은 상기 자성체(20)를 특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를 이용한 정수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치(1)에서, 상기 회전체(30)는 상기 내부하우징(10) 내부 중앙에서 회전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30) 내부에는 수용부(31)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31)에 기능성볼(50)이 채워진다.
또한, 상기 회전체(30)에는 다수의 관통공(32)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32)을 통하여 물이 상기 기능성볼(50)과 접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 내부에는 중앙에서 축회전하는 회전축(40)이 형성된다. 상 기 회전체(30)는 상기 회전축(40)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내부에 상기 수용부(31)가 형성되어, 상기 기능성볼(50)이 채워지게 된다.
상기 회전체(30)에 형성되는 관통공(32)은 상기 기능성볼(50)이 외부로 이탈됨이 없이 물입자와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기능성볼(50)보다 작게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기능성볼(50)은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라믹볼(ceramic ball)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원적외선의 파장은 유기화합물 분자와 쉽게 공진하며, 생체 내로 잘 흡수되고 생체 내의 분자를 활성화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원적외선은 물분자의 진동 상태와 공명하여 물분자를 이온화하고 활성화시키고, 물속에 녹아 있는 유해물질을 분리, 방출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인체에 필요한 여러 성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볼(50)에 의하여 물분자의 활성화, 세균발생 저지, 물입자의 세밀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자성체(20)와 더불어 최적의 상태의 음용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를 이용한 정수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도시된 정수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치(1)에서,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는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 상부를 개폐하도록 나사결합되는 덮개(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은 상부가 완전히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덮개(60)가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은 세척을 위하여 내부가 노출될 필요가 있으며, 조립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덮개(60)와 나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60)에는 상기 회전축(40)을 구동하는 구동수단(70)이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40)과 회전체(30)가 연동되도록 결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를 이용한 정수장치의 일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를 이용한 정수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를 이용한 정수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를 이용한 정수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를 이용한 정수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도시된 정수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정수장치 10 : 하우징
10a : 내측하우징 10b : 외측하우징
20 : 자성체 30 : 회전체
31 : 수용부 32 : 관통공
40 : 회전축 50 : 기능성볼
60 : 덮개 70 : 구동수단

Claims (8)

  1. 내부에 자화처리를 위한 물이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측벽을 따라 형성되며, N극이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자성체;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물을 순환시키는 회전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체를 이용한 정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자성체는 다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서 동일한 간격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자성체의 형상은 상기 하우징과 동일한 원호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체를 이용한 정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자성체는 다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서 동일한 간격을 이루도록 형성되거나 서로 밀착되게 형성되며,
    상기 자성체는 횡단면의 형상은 일정하고,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체를 이용한 정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중앙부분이 두껍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체를 이용한 정수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동심축을 갖는 내측하우징과 외측하우징으로 나뉘어 형성되고,
    상기 자성체는 상기 내측하우징 및 외측하우징 사이에 개재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체를 이용한 정수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내부하우징 내부 중앙에서 회전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 내부에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에 기능성볼이 채워지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체를 이용한 정수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에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물이 상기 기능성볼과 접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체를 이용한 정수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는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상부를 개폐하도록 나사결합되는 덮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체를 이용한 정수장치.
KR1020090076015A 2009-08-18 2009-08-18 자성체를 이용한 정수장치 KR201100185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015A KR20110018518A (ko) 2009-08-18 2009-08-18 자성체를 이용한 정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015A KR20110018518A (ko) 2009-08-18 2009-08-18 자성체를 이용한 정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518A true KR20110018518A (ko) 2011-02-24

Family

ID=43776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6015A KR20110018518A (ko) 2009-08-18 2009-08-18 자성체를 이용한 정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851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256B1 (ko) * 2011-04-29 2014-08-07 이주철 자화장치
CN110589941A (zh) * 2019-09-30 2019-12-20 北京中创龙源环保科技有限公司 水磁化处理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256B1 (ko) * 2011-04-29 2014-08-07 이주철 자화장치
CN110589941A (zh) * 2019-09-30 2019-12-20 北京中创龙源环保科技有限公司 水磁化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9715B1 (ko) 기능성 정수장치
KR101515330B1 (ko) 무동력 버블 자화수 샤워기
KR20120045186A (ko) 자기이온활성수 제조장치
KR100938441B1 (ko) 자화처리기
KR200466544Y1 (ko) 자화육각수용 자석봉 및 이를 이용한 자화처리기
KR20110018518A (ko) 자성체를 이용한 정수장치
KR100820944B1 (ko) 자화처리장치
KR20110111860A (ko) 기능성 볼을 내장한 자화수 처리장치
KR100773300B1 (ko) 정수장치용 교환자극형 진동분해기
JP2007521954A (ja) プロポリスを用いた水処理装置
KR101256949B1 (ko) 인체에 유익한 n극이 활성화된 자화처리기
KR101948864B1 (ko) 인체에 유익한 자화 에너지를 이용한 생체 활성 육각수 제조기
KR20190034914A (ko) 인체에 유익한 회전 전자에너지를 이용한 자화수 생성 용기
KR101935009B1 (ko) 자화수 생성장치
KR20120053542A (ko) 활수화 장치
KR101670408B1 (ko) 농축수산용 음용수 정화장치
AU20143964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magnetized water
JP2005296713A (ja) 除菌装置
KR20180082938A (ko) 자화수 생성장치
CN206720811U (zh) 强磁场水处理装置
WO2016010412A1 (en) An apparatus for treating water using magnetic field
CN206720812U (zh) 强磁场水处理器
KR20190100027A (ko) 인체에 유익한 자화 에너지를 이용한 생체 활성 육각수 제조기
KR20100034585A (ko) 자력봉 및 그를 사용하는 자화수기
JP2000107765A (ja) 磁気処理水生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