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2938A - 자화수 생성장치 - Google Patents

자화수 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2938A
KR20180082938A KR1020170089550A KR20170089550A KR20180082938A KR 20180082938 A KR20180082938 A KR 20180082938A KR 1020170089550 A KR1020170089550 A KR 1020170089550A KR 20170089550 A KR20170089550 A KR 20170089550A KR 20180082938 A KR20180082938 A KR 20180082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magnetic body
cap
water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원
이동건
Original Assignee
이상원
이동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원, 이동건 filed Critical 이상원
Priority to KR1020170089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2938A/ko
Publication of KR20180082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29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1/4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8Devices for applying magnetic or electric fiel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자화수 생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자화수 생성장치는, 본체; 및 본체에 마련되어 물을 포함하는 자화 대상물을 자화시키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화수 생성장치{MAGNETIC WATER GENER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화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석을 이용하여 통과되는 물을 자화시킬 수 있는 자화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는 일반 가정이나 공장, 농장 등지에서 쓰레기를 비롯한 각종 폐기물들이 많이 방출되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자정(自淨) 능력이 있는 물도 심하게 오염되어 직접 식수로 이용할 수 없음은 물론, 강이나 바다 등의 생태계를 많이 파손하는 실정임은 이미 주지된 사실이다.
그리고 일단 오염된 물을 깨끗하게 하기 위한 정수의 공정으로 여러 가지 장치와 방법을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지금도 더 효율적인 정수를 위한 연구가 꾸준하게 수행되고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정수의 몇 가지 방법을 살펴보면, 활성오니나 미생물을 이용하는 생물학적 방식, 화학반응을 이용하는 화학적 방식 그리고 전자나 초음파를 이용하는 물리적인 방식을 사용하거나 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정수방식에 의해서는 안정적인 정수가 이루어지지 않을 뿐 아니라 정수에 소요되는 가동비가 많아 정수효율을 높일 수 없었다.
즉, 종래의 활성오니나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방식은 미생물이 오염물질을 분해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국제적으로 많은 나라에서 이용하고 있으나, 이는 미생물의 소화성 물질에 유효농도라는 한계성이 있으므로 오물이 고농도로 함유된 상태에서는 그 처리가 미흡하고, 알칼리나 산성을 띠고 있는 오폐수의 경우는 전처리가 필요하며, 시간과 온도 등의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됨은 물론 설치면적이 넓어야 하므로 건설비가 많이 소요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화학적 처리방식은 반응속도가 빠르고 공정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생물학적 처리가 어려운 유기물을 분해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단독으로 폐수를 처리하기에는 설치비와 유지비가 너무 고가여서 전술한 생물학적 정수방식의 전처리나 후처리로만 사용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전자나 초음파를 이용하는 물리적인 방식은 생물학적 방식이나 화학적 방식으로 처리가 곤란한 벤젠 화합물이나 할로겐 화합물 등 난분해성 물질을 분해하는 공정에 응용되지만 막대한 시설비와 유지비에 비해 그 효과가 미비한 수준이므로 널리 이용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종래에 영구자석을 이용한 자화장치가 개시되었다.
자화장치에 의해 처리되는 물을 자화수라고 하는데, 물 자체가 자성을 띤다는 의미는 아니며, 자기장에 의하여 물 분자의 배열이 바뀌어져서 통상의 물과 다른 물 분자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서, 자기장에 의하여 물 분자를 특이한 구조로 변형시킨 상태의 물을 말한다. 다만, 이러한 특성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는 없으며, 일정기간 유지되었다가 다시 원상태로 환원된다.
자기장의 자기력선은 N극으로부터 나와 S극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자기장을 전기 전도체인 물이 직각 방향으로 통과하는 경우, 자기력선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기전력이 생겨 미세전류가 흐르게 되고 그 반대의 방향으로 전자가 흐른다. 이 전자는 물이 흐르는 힘에 의해 흘러 간다.
물 분자는 보통 서로 붙어서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다. 낮은 에너지 상태에서는 큰 클러스터가 되어 운동에너지가 낮다. 강력한 자장 에너지 형성 시 물의 분자는 플러스 극성을 가진 수소원자와 마이너스 극성을 가진 산소원자가 서로 붙어서 회전, 신축, 진동 등의 운동을 일으키며 미립자화, 활성화되어 진다. 이때 물분자의 분자 집단(클러스터)수치가 작아지면서 인접하는 클러스터들이 서로 당기어 구조화를 이룬다. 즉, 물 분자는 자석에 의한 자기장을 통과하면서 회전, 신축, 진동 등의 운동을 일으키고 물 분자의 클러스터가 미립자화되고 활성화되게 되는데, 이러한 원리를 이용한 것이 자화장치이다.
다시 말하면, 자화장치는 물이 자기장을 이동할 때 산소와 수소의 결합이 분리와 재결합의 과정을 거치면서 물분자가 작아지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물분자를 세밀화하고, 살균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수도관의 스케일 또는 녹 등을 제거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도록 하는 장치를 말한다.
따라서, 물을 자석의 자장 속으로 통과시키면 물의 분자구조가 이온 활성화되어 미네랄이 풍부한 약알칼리성의 6각형 구조를 가지는 자화수로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자석을 이용한 자화장치는 단시간에 많은 양의 자화수를 얻을 수 있어 일반 가정에서는 물론이고 식품공장 및 목욕탕, 축산 및 식물재배용 등 여러 분야에서 생활용수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자화장치에 관한 선행기술이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37393호 "자화기를 이용한 자화육각수 제조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물의 분자 구조를 자기작용에 의해 물의 표면 장력을 적게 변화시켜 물속에 함유된 각종 미네랄성분이 인체에 유용하게 작용할 수 있고, 자력 세기가 큰 영구자석(12000가우스)을 이용하여 N극과 N극, S극과 S극을 스페이서를 개재하여 서로 대향되게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자장의 세기와 자속밀도를 크게 해서 온수 순환수를 자화기에 통과시켜 순환수의 표면장력이 적은 자화육각수로 변화시킬 수 있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2136호(신천식) 2006. 03. 16.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자석을 이용하여 통과되는 물을 자화시킬 수 있는 자화수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체;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물을 포함하는 자화 대상물을 자화시키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자화수 생성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제1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이격 배치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자성체는, 상기 제1 바디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1 자성체 및 상기 제2 바디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2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제2 바디에 결합 되는 결합 부재; 및 상기 제1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결합 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제2 바디에 마련된 제2 결합홈에 단부가 나가 결합 되고,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제2 바디와 서로 마주보는 영역에 마련되는 파이프 부재의 외경에 맞게 상기 탄성체에 의해 탄력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자성체는 상기 제1 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는 제1 수용바디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2 자성체는 상기 제2 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는 제2 수용바디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와류부가 마련된 용기 바디 및 상기 용기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는 캡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성체는, 상기 용기 바디의 내벽에 마련되는 바디 자성체, 상기 캡부의 중앙부에 마련되며 상기 용기 바디의 유입구로 유입되는 상기 자화 대상물이 접촉되는 캡 자성체 및 상기 캡 자성체와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캡부에 마련되는 사이드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 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며 마그네슘볼, 토르말린볼 및 미네랄볼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된 광물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물질부는 상기 용기 바디의 바닥부에 마련된 지지 블록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체에 마련되는 자성체에 의해 물을 포함하는 자화 대상물을 자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화수 생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바디와 제2 바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화수 생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캡 바디의 영역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캡 자성체와 사이드 자성체의 다른 배치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사이드 자성체의 다른 배치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용기 바디에 마련되는 와류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사이드 자성체의 개략적인 배치도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사이드 자성체의 개략적인 다른 배치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화수 생성장치에 채용된 제2 자성체의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2 자성체와 이에 대응되는 제1 자성체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제1 자성체와 제2 자성체의 다른 배치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화수 생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바디와 제2 바디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자화수 생성장치(1)는, 본체(10)와, 본체(10)에 마련되는 자성체와, 본체(10)의 구성품을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30)와, 본체(10)에 마련되어 결합 부재(30)에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체(40)와,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며 내부에 자성체가 수용되는 제1 수용바디(50)와 제2 수용바디(60)를 구비한다.
본체(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1 바디(11)와 제2 바디(13)를 포함한다.
본체(10)의 제1 바디(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중앙부가 반원 형태로 절개된 형상을 갖고, 상측부와 하측부에는 결합 부재(30)와 탄성체(40)가 삽입되는 제1 결합홈(12)이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결합홈(1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단부가 다른 부분보다 좁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10)의 제2 바디(1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중앙부가 반원 형태로 절개된 형상을 갖고, 상측부와 하측부에는 결합 부재(30)와 탄성체(40)가 삽입되는 제2 결합홈(14)이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결합홈(14)에는 나사산이 마련되어 결합 부재(30)의 단부가 나사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2 결합홈(14)의 폭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홈(12)의 좌측 단부와 동일할 수 있고, 이 좌측 단부를 제외한 제1 결합홈(12)의 영역은 제2 결합홈(14) 보다 넓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바디(11)와 제2 바디(13)는 체결 부재에 의해 서로 결합 될 수 있고, 제1 바디(11)는 내부에 마련되는 탄성체(40)에 의해 제2 바디(13)의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 예는 제1 바디(11)와 제2 바디(13)의 사이에 배치되는 파이프와 같은 부재에 견고하게 결합 될 수 있다.
자성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용바디(50)와 제2 수용바디(60)의 내부에 마련되어 파이프와 같은 부재의 내부를 흐르는 자화 대상물인 물에 자력을 가해 자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자성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용바디(50)의 내부에 마련되는 제1 자성체(21)와, 제2 수용바디(60)의 내부에 마련되는 제2 자성체(22)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자성체(21)와 제2 자성체(22)는 서로 같은 극을 가져 양자 간에 척력이 발생 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극을 가져 양자 간에 인력이 발생 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의 도 8과 도 9에 도시된 자석 배치는 본 실시 예의 제1 자성체(21)와 제2 자성체(22)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결합 부재(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단부가 제2 바디(13)의 제2 결합홈(14)에 결합 되어 제1 바디(11)와 제2 바디(13)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결합 부재(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단부가 헤드 형상을 가져 다른 부분보다 큰 부피를 가질 수 있고, 좌측 단부는 제2 결합홈(14)에 나사 결합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헤드 형상의 결합 부재(3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40)의 일측부가 지지 될 수 있다.
탄성체(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1)의 제1 결합홈(12)에 수용되어 일측부가 제2 바디(13)의 제2 결합홈(14)에 결합 된 체결 부재의 타측부를 탄성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본 실시 예는 탄성체(40)의 탄성력에 의해 제1 바디(11)와 제2 바디(13)의 사이에 배치되는 파이프와 같은 부재에 자성체 또는 제1 수용바디(50)와 제2 수용바디(60)를 밀착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탄성체(40)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
제1 수용바디(5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1)의 내부에 일측부가 삽입되며 내부에 제1 자성체(21)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수용바디(50)는 제1 자성체(21)를 밀폐하도록 제1 자성체(21)를 수용할 수 있고, 일측부가 분리되어 제1 자성체(21)를 교체할 수도 있다.
제2 수용바디(6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바디(13)의 내부에 일측부가 삽입되며 내부에 제2 자성체(22)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수용바디(60)는 제2 자성체(22)를 밀폐하도록 제2 자성체(22)를 수용할 수 있고, 일측부가 분리되어 제2 자성체(22)를 교체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화수 생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캡 바디의 영역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캡 자성체와 사이드 자성체의 다른 배치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사이드 자성체의 다른 배치도이고,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용기 바디에 마련되는 와류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사이드 자성체의 개략적인 배치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자화수 생성장치(1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와, 본체(100)에 마련되는 자성체(200)와, 본체(100)에 마련되는 광물질부(3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바디(110)와, 용기 바디(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는 캡부(120)를 포함한다.
본체(100)의 용기 바디(110)의 상단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에 나사산이 마련된 유입구(111)가 마련되고, 그 바닥부에는 광물질부(300)가 결합 되는 지지 블록(112)이 마련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유입구(111)의 내벽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홈이 마련된 와류부(113)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와류부(113)는 유입구(111)의 내벽에 홈을 마련하여 마련될 수도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홈이 마련된 와류 바디를 별도로 마련하여 유입구(111)에 끼워 맞춤 또는 나사 결합시켜서 마련될 수도 있다.
본체(100)의 캡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11)에 결합 되는 캡 바디(121)와, 캡 바디(121)에 결합 되어 유입구(111)를 막는 커버(122)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캡 바디(121)는 유입구(111)에 나사 또는 끼워 맞춤 결합 될 수 있고, 커버(122)는 캡 바디(121)에 마련된 홈에 끼워 맞춤 결합 될 수 있다.
자성체(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바디(121)와 용기 바디(110)에 각각 마련되어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자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자성체(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바디(110)의 내벽에 마련되는 바디 자성체(210)와, 캡 바디(121)의 중앙부에 마련되는 캡 자성체(220)와, 이 캡 자성체(220)와 이격 배치되도록 캡 바디(121)에 마련되는 사이드 자성체(230)를 포함한다.
바디 자성체(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바디(110)의 내벽에 마련되며, 용기 바디(110)를 사용자가 흔들었을 때 바디 자성체(210)에 부딪히는 물을 자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바디 자성체(210)는 용기 바디(110)의 내벽에 마련된 돌기나 홈에 삽입 결합 될 수 있다.
캡 자성체(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11)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도록 캡 바디(121)에 마련되며, 유입구(111)로 유입되는 물은 캡 자성체(220)의 외벽을 타고 용기 바디(1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캡 자성체(220)는 유입구(111)의 내벽에 마련된 하우징이나 내벽 돌기나 내벽홈에 걸리거나 끼워 맞춰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캡 자성체(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은 극을 갖도록 한 쌍의 자석이 배치되며 각각의 자석 간에 척력이 작용하여 음용수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극을 갖는 한 쌍의 자석이 배치되며 각각의 자석 간에 인력이 작용하여 조리용 또는 세탁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사이드 자성체(230)는 전술한 도면으로 배치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캡 자성체(220)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마련될 수도 있고,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캡 자성체(220)는, 도 6의 (a)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바디(121)에 배치되지 않고 사이드 자성체(230)의 위치와 개수를 다르게 마련할 수도 있다. 도 6의 (a)와 (d)의 배치 구조는 조리용 또는 세탁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도 6의 (b)의 배치 구조는 음용수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사이드 자성체(2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자성체(220)와 이격 배치되도록 캡 바디(121)에 복수로 마련되어 캡 자성체(220)와 같이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자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사이드 자성체(230)는, 도 4 및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자석이 같은 극을 가져 각각의 자석 간에 척력이 작용할 수도 있고,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자석이 서로 다른 극을 가져 각각의 자석 간에 인력이 작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사이드 자성체(230)는,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0도의 각도로 배치되어 N극이 중앙부로 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사이드 자성체(23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자석 간에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복수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전술한 자성체(200)는 캡 바디(121)가 아닌 용기 바디(110)의 유입구(111)에 마련될 수도 있다.
광물질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바디(110)의 바닥부에 마련된 지지 블록(112)에 결합 되어 용기 바디(11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을 인체에 좋은 기능을 갖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광물질부(300)는 외부 하우징이 지지 블록(112)에 나사 결합 또는 끼워 맞춤 결합 될 수 있고, 내부에 수용된 광물질이 용기 바디(110)에 저장된 물과 접촉되도록 복수의 홀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광물질부(300)는 마그네슘볼, 토르말린볼, 미네랄볼 및 매직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전술한 물병은 물론 샤워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샤워기 헤드에 전술한 와류부(113)와 자성체(200)를 마련할 수도 있고, 샤워기 바디에 전술한 와류부(113)와 자성체(130)를 마련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화수 생성장치에 채용된 제2 자성체의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2 자성체와 이에 대응되는 제1 자성체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제1 자성체와 제2 자성체의 다른 배치도이다.
본 실시 예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수용바디(6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자성체(22)에 근접되게 보강 자성체(61)와 고정링(62)을 더 마련한 점에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즉 본 실시 예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자성체(22)의 후방에 접하도록 보강 자성체(61)가 마련된다. 이 보강 자성체(61)는 자력을 흡수하여 “A” 방향의 자력을 높일 수 있고, “B” 방향은 자력을 감소시켜 불필요한 자력을 보호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보강 자성체(61)는 주철을 포함하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고정링(62)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자성체(61)의 후방에 배치되어 보강 자성체(61)와 제2 자성체(22)의 이탈을 막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고정링(62)은 탄성력을 가져 제2 수용바디(60)의 내벽에 마련된 홈에 끼워 맞춤 결합 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링(62)의 후방에 바디 커버(63)를 탈착 가능하게 끼워 맞춤 결합시키거나 나사 결합 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 예는,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성체(21)와 제2 자성체(22)를 원통형 형상으로 마련할 수도 있고,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할 수도 있다. 이때 제1 자성체(21)와 제2 자성체(22) 간에는,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력이 작용할 수도 있고,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력이 작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성체(21)와 제2 자성체(22)를 복수로 마련할 수도 있고,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수로 마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도 10 내지 도 12에 관련된 내용은 제1 자성체(21)와 제1 수용바디(50)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a : 자화수 생성장치
10,100 : 본체
20,200 : 자성체
30 : 결합 부재
40 : 탄성체
50 : 제1 수용바디
60 : 제2 수용바디
110 : 용기 바디
120 : 캡부
300 : 광물질부

Claims (1)

  1. 와류부가 마련된 용기 바디 및 상기 용기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는 캡부가 구비된 본체;
    상기 용기 바디의 내벽에 마련되는 바디 자성체, 상기 캡부의 중앙부에 마련되며 상기 용기 바디의 유입구로 유입되는 자화 대상물이 접촉되는 캡 자성체 및 상기 캡 자성체와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캡부에 마련되는 사이드 자성체가 구비된 자성체; 및
    상기 용기 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며 마그네슘볼, 토르말린볼 및 미네랄볼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된 광물질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물질부는 상기 용기 바디의 바닥부에 마련된 지지 블록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고,
    상기 와류부는 상기 캡부와 결합 되는 상기 용기 바디의 유입구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 생성장치.
KR1020170089550A 2017-07-14 2017-07-14 자화수 생성장치 KR201800829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550A KR20180082938A (ko) 2017-07-14 2017-07-14 자화수 생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550A KR20180082938A (ko) 2017-07-14 2017-07-14 자화수 생성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4253 Division 2017-01-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938A true KR20180082938A (ko) 2018-07-19

Family

ID=63058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550A KR20180082938A (ko) 2017-07-14 2017-07-14 자화수 생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293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136Y1 (ko) 2005-12-28 2006-03-23 신천식 자화수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136Y1 (ko) 2005-12-28 2006-03-23 신천식 자화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i et al. Magnetic water treatment in environmental management: A review of the recent advances and future perspectives
KR101983061B1 (ko) 수처리기
KR200466544Y1 (ko) 자화육각수용 자석봉 및 이를 이용한 자화처리기
KR20120045186A (ko) 자기이온활성수 제조장치
KR100938441B1 (ko) 자화처리기
KR100820944B1 (ko) 자화처리장치
KR101935009B1 (ko) 자화수 생성장치
Liu et al. Highly efficient removal of ammonia nitrogen from wastewater by dielectrophoresis-enhanced adsorption
KR20180082938A (ko) 자화수 생성장치
KR20110111860A (ko) 기능성 볼을 내장한 자화수 처리장치
KR100773300B1 (ko) 정수장치용 교환자극형 진동분해기
KR101256949B1 (ko) 인체에 유익한 n극이 활성화된 자화처리기
KR200381587Y1 (ko) 자화수 생성기
KR200422477Y1 (ko) 관로용 자화 정화장치
KR100760618B1 (ko) 관로용 자화 정화장치
KR20190034914A (ko) 인체에 유익한 회전 전자에너지를 이용한 자화수 생성 용기
KR20110018518A (ko) 자성체를 이용한 정수장치
JP3188955U (ja) 活水器
KR20230020640A (ko) 오폐수 처리시스템의 분해조
WO2016010412A1 (en) An apparatus for treating water using magnetic field
KR20100034585A (ko) 자력봉 및 그를 사용하는 자화수기
KR20200109020A (ko) 자화수 생성 및 살균장치
KR20240066864A (ko) 휴대형 자화수 생성 장치
RU228234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навозных стоков
KR20100090862A (ko) 유도코일을 구비하는 오에이치 라디칼 생성용 수중 플라즈마 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