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8617B1 - 복합잔디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복합잔디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8617B1
KR101948617B1 KR1020170009077A KR20170009077A KR101948617B1 KR 101948617 B1 KR101948617 B1 KR 101948617B1 KR 1020170009077 A KR1020170009077 A KR 1020170009077A KR 20170009077 A KR20170009077 A KR 20170009077A KR 101948617 B1 KR101948617 B1 KR 101948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turf
grass
sewing
artificial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9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5490A (ko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주)대원그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원그린 filed Critical (주)대원그린
Priority to KR1020170009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8617B1/ko
Publication of KR20180085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5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20Industrial for civil engineering, e.g. geotextiles
    • D10B2505/202Artificial gras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E01C2013/086Combination of synthetic and natural gr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잔디 시공방법에 대한 것으로, 운동장과 같은 시설에 시공되는 인조잔디 매트에 천연잔디를 식생하여 천연잔디의 유실을 방지하며, 인조잔디와 어울어져 효율적인 천연잔디의 식생이 가능하도록 하는 복합잔디 시공방법이다.
이를 위해, 시공현장의 기초를 다지는 토목공사단계(S10), 토목공사가 완료된 시공현장에 인조잔디를 배치하는 인조잔디 포설단계(S20), 시공현장에 포설된 각각의 인조잔디의 모서리를 잊는 인조잔디 재봉단계(S30), 시공현장에 적용되는 운동종목에 따라 라인을 형성하는 라인작업단계(S40), 포설된 인조잔디상에 규사를 배토하는 규사 인필단계(S50), 규사가 인필된 인조잔디상에 천연잔디를 식재하는 천연잔디 식재단계(S60), 천연잔디가 식재된 인조잔디상에 규사를 추가로 배토하는 규사 추가 인필단계(S70) 및 추가로 배토된 규사가 천연잔디와 인조잔디의 빈공간에 메워지도록 하는 다지기 단계(S80)로 구성되는 복합잔디 시공방법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복합잔디 시공방법{METHOD OF INSTALLING COMBINED THUF STRUCTURE}
본 발명은 복합잔디 시공방법에 대한 것으로, 학교운동장 및 실외체육시설과과 같은 시설에 시공되는 인조잔디 매트에 천연잔디를 식생하여 천연잔디의 유실을 방지하며, 인조잔디와 어울어져 효율적인 천연잔디의 식생이 가능하도록 하는 복합잔디 시공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운동장과 같은 곳에 사계절 잔디의 효과를 나타나도록 하기 위해 인공재료를 이용한 인조잔디가 오래전부터 시공되어오고 있다.
이와 같은 인조잔디는 계절에 상관없이 시각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잔디깎이와 같은 후속 관리가 필요하지 않아 많은 곳에서 시공되어 왔다.
그러나, 인조잔디의 경우 태양의 복사열을 흡수하여 집열한 후 이를 방출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화상을 입거나 열섬현상이 발생되게 되어, 많은 양의 물을 인조잔디에 분사해주어야 하며, 하절기와 같이 기온이 높을 경우 그 분사양도 증가하게 된다.
또한, 인조잔디의 재질에 따라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발생할 우려도 있어, 천연재료를 이용한 인조잔디를 개발하는 등의 비용적인 부분에서 많은 문제가 있었다.
이에 인조잔디와 천연잔디가 공존하는 복합잔디가 부각되었고, 다양한 방법으로 그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복합잔디의 대표적인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28162호(인조잔디 투수탄성 포장체와 그 제조 방법 및 시공 방법, 2011년 03월 17일 공개)는 인조잔디 매트에 잔디씨를 내포하도록 식재한 후 이를 현장에 포설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잔디씨를 내포하도록 하는 기술은 그 발아율에 따라 천연잔디의 분포가 달라지게 되며, 잔디씨발아법의 경우 그 효율이 적어 반복적인 잔디씨의 파종 및 집중적인 관리가 요구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생장이 완료된 잔디를 식생시키는 방법이 각광을 받고 있으나, 대부분 시공시 매트에 잔디를 파종한 상태에서 설치하게 되어, 시공상의 문제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11334호(인조잔디 파일 식모형 복합잔디구조체, 2012년 10월 10일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8758호(천연잔디구장, 그 기초지반 조성방법 및 그 기초지반에 식재되는 천연잔디 식재방법, 2011년 09월 28일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시공성이 우수하며, 시공시 천연잔디의 유실이 적어 추가로 모종작업 등을 시행하는 불편함을 최소화 하는 복합잔디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인조잔디와 천연잔디를 복합으로 적용하는 복합잔디 시공방법에 있어서, 시공현장의 기초를 다지는 토목공사단계(S10); 토목공사가 완료된 시공현장에 인조잔디를 배치하는 인조잔디 포설단계(S20); 시공현장에 포설된 각각의 인조잔디의 모서리를 잇는 인조잔디 재봉단계(S30); 시공현장에 적용되는 운동종목에 따라 라인을 형성하는 라인작업단계(S40); 포설된 인조잔디상에 규사를 배토하는 규사 인필단계(S50); 규사가 인필된 인조잔디상에 천연잔디를 식재하는 천연잔디 식재단계(S60); 천연잔디가 식재된 인조잔디상에 규사를 추가로 배토하는 규사 추가 인필단계(S70); 및 추가로 배토된 규사가 천연잔디와 인조잔디의 빈공간에 메워지도록 하는 다지기 단계(S8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잔디 시공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인조잔디 포설단계(S20)는 토목공사가 완료된 바닥면에 중앙라인을 표시한 후 중앙라인 위에 흰색 색상의 센터라인이 들어있는 롤을 펼친 후 표시된 중앙라인과 흰색 색상의 센터라인이 일치하게 배치한 후, 인조잔디의 단부를 센터라인과 일치되도록 배치한 후 또다른 인조잔디의 단부를 앞서 설치된 인조잔디와 센터라인에 일치하도록 처음 배치된 인조잔디위에 펼쳐주게 되며, 상기 인조잔디 재봉단계(S30)는 겹쳐진 모서리 부분의 재봉 작업을 위해 겹쳐진 부분을 집게를 이용하여 들어올린 후 재봉작업에 앞서 인조잔디 파일이 재봉라인에 걸리지 않도록 에어컴프레셔를 이용하여 강풍을 공급하여 인조잔디 파일의 방향을 아래로 향하게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인조잔디 재봉단계(S30)는 전체 재봉이 끝나면 양쪽 끝부분을 2중으로 재봉작업으로 처리하여, 재봉된 부분이 뜯어지지 않도록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게 되며, 상기 인조잔디 재봉단계(S30)는 각각의 모서리 단부가 맞닿아 재봉되는 재봉작업이 끝나면 겹쳐져 있는 인조잔디를 재봉선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펼친 후 재봉라인이 표시나지 않도록 롤러를 이용하여 다림작업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라인작업단계(S40)는 인조잔디가 정확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기본이 되는 센터라인, 사이드라인 및 앤드라인은 흰색인조잔디가 들어있는 롤을 배치하게 되며, 상기 센터라인, 사이드라인 및 앤드라인을 배치한 후, 골 박스라인, 패널티박스 라인 및 센터서클은 잔디깍기를 이용하여 라인의 폭에 맞추어 인조잔디의 파일을 제거하게 되며, 센터라인, 사이드라인 및 앤드라인에 배치된 흰색인조잔디가 들어있는 롤형상의 인조잔디와 기 설치된 인조잔디는 핫멜트머신을 이용하여 접착하여 연결하게 된다.
또한, 상기 규사 인필단계(S50)는 건조 상태의 규사를 3회 이상 나누어서 배토기를 사용하여 10mm 내지 20mm의 두께로 전면에 고르게 포설되도록 하되, 매회 포설 시 마다 브러쉬를 이용하여 브러싱하여 규사가 인조잔디틈새에 충분히 안정되게 포설 되도록 하며, 상기 천연잔디 식재단계(S60)는 인조잔디의 천연잔디 식생공간에 맞춰 천연잔디를 같은 크기로 잘라낸 후 식생공간에 맞춰 끼워넣기 하여 식재하게 되는데, 상기 식생공간은 4cm×4cm의 크기로 형성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토목공사단계(S10)와 다지기 단계(S80)는 진동롤러를 이용하여 배토된 규사를 고르게 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잔디 시공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보다 잘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복합잔디 시공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현장시공성이 우수하며, 시공시 천연잔디의 유실이 적고, 인조잔디에 천연잔디를 고르게 분포시켜 식생시킴으로써, 추가작업에 따른 공정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합잔디 시공방법에 따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토목공사단계(S10)의 시공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 포설단계(S20)의 시공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 재봉단계(S30)의 시공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작업단계(S40)의 시공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규사인필단계(S50) 및 규사 추가 인필단계(S70)의 시공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잔디 식재단계(S60)의 시공예이다.
도 8은 천연잔디 식재단계(S60)에 따라 식재된 모습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의 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시공된 복합잔디의 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당업자가 본 발명의 복합잔디 시공방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합잔디 시공방법에 따른 순서도이고, 도 2 내지 도 8은 각 시공단계별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시공된 복합잔디의 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잔디 시공방법은 시공현장의 기초를 다지는 토목공사단계(S10), 토목공사가 완료된 시공현장에 인조잔디를 배치하는 인조잔디 포설단계(S20), 시공현장에 포설된 각각의 인조잔디의 모서리를 잊는 인조잔디 재봉단계(S30), 시공현장에 적용되는 운동종목에 따라 라인을 형성하는 라인작업단계(S40), 포설된 인조잔디상에 규사를 배토하는 규사 인필단계(S50), 규사가 인필된 인조잔디상에 천연잔디를 식재하는 천연잔디 식재단계(S60), 천연잔디가 식재된 인조잔디상에 규사를 추가로 배토하는 규사 추가 인필단계(S70) 및 추가로 배토된 규사가 천연잔디와 인조잔디의 빈공간에 메워지도록 하는 다지기 단계(S80)로 구성된다.
상기 토목공사단계(S10)는 시공현장에 규사를 고르게 배토하고 분포시킨 후, 진동롤러를 이용하여 지형을 평평하게 만들어주는 과정으로, 후 작업시 적용되는 인조잔디 포설시 포설되는 인조잔디가 고르고 평평하게 작업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작업면을 평탄화 하는데 진동롤러를 적용함으로써, 배토된 규사간의 빈공간을 최대한 줄여주도록 하여, 설치가 완료후 전 지역에 걸쳐 고르게 평탄화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설치 후 외부 요인인 빗물 또는 충격 등에 의해 표면이 함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진동롤러를 이용하여 배토된 규사가 고르게 평탄화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토목공사단계(S10) 후 평탄화된 설치장소에 인조잔디를 배치하기 위한 인조잔디 포설단계(S20)는 토목공사가 완료된 바닥면에 중앙라인을 표시한 후 중앙라인 위에 흰색 색상의 센터라인이 들어있는 롤을 펼친 후 표시된 중앙라인과 흰색 색상의 센터라인이 일치하게 배치한 후, 인조잔디의 단부를 센터라인과 일치되도록 배치한 후 또다른 인조잔디의 단부를 앞서 설치된 인조잔디와 센터라인에 일치하도록 처음 배치된 인조잔디위에 펼쳐준다.
상기 단계(S20)에서 일개의 인조잔디를 현장에 배치한 후, 또다른 인조잔디를 기배치된 인조잔디의 상측에 배치하고 각각의 모서리부분을 연장하기 위한 인조잔디 재봉단계(S30)는 겹쳐진 모서리 부분의 재봉 작업을 위해 겹쳐진 부분을 집게를 이용하여 들어올린 후 재봉작업에 앞서 인조잔디 파일이 재봉라인에 걸리지 않도록 에어컴프레셔를 이용하여 강풍을 공급하여 인조잔디 파일의 방향을 아래로 향하게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게 된다.
재봉라인이 일정하게 나오도록 집게를 이용하여 양쪽으로 느슨해지지 않게 당기고 재봉기의 진행방향으로 차례대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집게는 카펫에 사용되는 카펫집게가 대표적으로 적용되기는 하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인조잔디 메트를 잡을 수 있는 것이면 무엇이든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전체 재봉이 끝나면 양쪽 끝부분을 약 3m 정도를 2중으로 재봉작업으로 처리하여, 재봉된 부분이 뜯어지지 않도록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게 된다.
각각의 모서리 단부가 맞닿아 재봉되는 재봉작업이 끝나면 겹쳐져 있는 인조잔디를 재봉선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펼친 후 재봉라인이 표시나지 않도록 롤러를 이용하여 다림작업을 한다. 이때 롤러는 고온 또는 상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계절별로 척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다림질 작업이 마무리된 후 또다른 일개의 인조잔디를 앞선 작업과 마찬가지로 센터라인에 일측 단부가 일치하도록 겹쳐지게 배치한 후 재봉작업을 시행하고 또다시 재봉선을 중심으로 펼친 후 롤러를 이용하여 다림질 작업을 시행하게 된다.
이때, 센터라인을 중심으로 재봉작업을 시행한 후 반대측으로 연속하여 펼쳐 포설작업을 하게 되고, 센터라인을 중심으로 일측면의 작업이 완료되면, 센터라인의 반대측에도 동일한 순서로 작업을 시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단계(S30)에서 포설이 완료된 인조잔디에 운동장의 특성에 따라 라인을 형성하는 라인작업단계(S40)은 인조잔디가 정확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기본이 되는 센터라인, 사이드라인 및 앤드라인은 흰색인조잔디가 들어있는 롤을 배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센터라인, 사이드라인 및 앤드라인의 위치에 흰색인조잔디가 들어있는 롤을 배치한 후 기타라인인 골 박스라인, 패널티박스 라인 및 센터서클은 잔디깍기를 이용하여 라인의 폭에 맞추어 인조잔디의 파일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흰색인조잔디가 들어있는 롤형상의 인조잔디와 기 설치된 인조잔디는 핫멜트머신을 이용하여 접착하여 연결하게 된다.
상기 단계(S40) 후 포설된 인조잔디 상에 규사를 배토하여 포설하기 위한 규사인필단계(S50)은 건조 상태의 규사를 3회 이상 나누어서 배토기를 사용하여 10mm 내지 20mm의 두께로 포설한다.
여기서, 포설되는 규사가 10mm 미만으로 포설될 경우, 천연잔디를 식재할 때, 뿌리부분이 외부로 돌출되어 식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포설되는 규사가 20mm를 초과하여 포설될 경우 천연잔디가 너무 깊게 식재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최적의 규사 포설높이는 15mm가 되도록 포설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높이로 규사가 전면에 고르게 포설되도록 하되, 매회 포설 시 마다 브러쉬를 이용하여 브러싱하여 규사가 인조잔디틈새에 충분히 안정되게 포설되어야 후작업 되는 천연잔디가 식재될 때 똑바로 서게 한다.
상기 단계(S50)후 천연잔디를 인조잔디에 식재하는 천연잔디 식재단계(S60)는 인조잔디의 천연잔디 식생공간에 맞춰 천연잔디를 같은 크기로 잘라낸 후 식생공간에 맞춰 끼워넣기 하여 식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식생공간은 4cm×4cm의 크기로 형성하게 되며, 이와 같은 규격의 식생공간은 천연잔디의 포설작업이 용이하여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천연잔디가 식재된 후 인조잔디와 상기 인조잔디가 포설된 지표상에 뿌리가 안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규격보다 작을 경우 천연잔디를 식재해야 하는 수가 증가하게 되어 작업의 효율이 떨어지게 되고, 이보다 클 경우 인조잔디와 천연잔디의 분포가 비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천연잔디의 식재 넓이가 클 경우, 식재된 천연잔디가 안착되기 전에 인조잔디로 부터 이탈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천연잔디 식재작업 시 천연잔디의 뿌리부분이 밖으로 드러나지 않도록 잘 덮어주며, 식생공간에 인조단지 파일사가 간섭되지 않도록 인조잔디를 잘 세워서 심어준다.
상기 단계(S60)후 식재된 천연단지를 덮어주기 위한 규사를 추가로 배토하는 규사 추가 인필단계(S70)는 천연잔디를 심은 다음 규사를 7mm~8mm 높이 만큼 추가 인필한다.
이때, 규사를 고르게 배토하여 식재된 천연잔디의 뿌리를 보다 잘 덮어주도록 하게 된다.
상기 단계(S70) 후 추가 인필된 규사를 다져주기 위한 다지기단계(S80)은 잔디뿌리가 드러나지 않도록 추가 인필한 규사를 진동 롤러를 이용하여 잔디를 땅에 단단히 고정 시켜줌과 동시에 전체적인 면적을 평평하게 만들어준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이 마무리 된 후 천연잔디가 뿌리내려 매트에 잘 착근하도록 물을 공급해서 궁극적으로 천연잔디가 인조잔디 매트의 그물망 사이로 뿌리가 빠져나가 서로 연결되도록 관리하게 되며, 이와 같은 일련의 방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복합잔디 시공방법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S10 : 토목공사단계
S20 : 인조잔디 포설단계
S30 : 인조잔디 재봉단계
S40 : 라인작업단계
S50 : 규사 인필단계
S60 : 천연잔디 식재단계
S70 : 규사 추가 인필단계
S80 : 다지기 단계

Claims (10)

  1. 인조잔디와 천연잔디를 복합으로 적용하는 복합잔디 시공방법에 있어서,
    시공현장의 기초를 다지는 토목공사단계(S10);
    토목공사가 완료된 시공현장의 바닥면에 중앙라인을 표시한 후 중앙라인 위에 흰색 색상의 센터라인이 들어있는 롤을 펼친 후 표시된 중앙라인과 흰색 색상의 센터라인이 일치하게 배치한 후, 인조잔디의 단부를 센터라인과 일치되도록 배치한 후 또다른 인조잔디의 단부를 앞서 설치된 인조잔디와 센터라인에 일치하도록 처음 배치된 인조잔디위에 펼쳐주어 인조잔디를 배치하는 인조잔디 포설단계(S20);
    시공현장에 포설된 각각의 인조잔디의 모서리를 이어 재봉한 후, 전체 재봉이 끝나면 양쪽 끝부분을 2중으로 재봉작업으로 처리하여, 재봉된 부분이 뜯어지지 않도록 하는 인조잔디 재봉단계(S30);
    시공현장에 적용되는 운동종목에 따라 라인을 형성하기 위해 센터라인, 사이드라인 및 앤드라인은 흰색인조잔디가 들어있는 롤를 배치한 후, 골 박스라인, 패널티박스 라인 및 센터서클은 잔디깍기를 이용하여 라인의 폭에 맞추어 인조잔디의 파일을 제거하게 되며, 센터라인, 사이드라인 및 앤드라인에 배치된 흰색인조잔디가 들어있는 롤형상의 인조잔디와 기 설치된 인조잔디는 핫멜트머신을 이용하여 접착하여 연결 라인작업단계(S40);
    포설된 인조잔디상에 건조 상태의 규사를 3회 이상 나누어서 배토기를 사용하여 10mm 내지 20mm의 두께로 전면에 고르게 포설되도록 하되, 매회 포설 시 마다 브러쉬를 이용하여 브러싱하여 규사가 인조잔디틈새에 충분히 안정되게 포설 되도록 하는 규사 인필단계(S50);
    규사가 인필된 인조잔디상에 4cm×4cm의 크기로 형성되는 인조잔디의 천연잔디 식생공간에 맞춰 천연잔디를 같은 크기로 잘라낸 후 식생공간에 맞춰 끼워넣기 하여 식재하는 천연잔디 식재단계(S60);
    천연잔디가 식재된 인조잔디상에 천연잔디를 덮어주기 위해 7㎜~8㎜ 높이의규사를 추가로 배토하는 규사 추가 인필단계(S70); 및 추가로 배토된 규사가 천연잔디와 인조잔디의 빈공간에 메워지도록 하는 다지기 단계(S8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잔디 시공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잔디 재봉단계(S30)는 겹쳐진 모서리 부분의 재봉 작업을 위해 겹쳐진 부분을 집게를 이용하여 들어올린 후 재봉작업에 앞서 인조잔디 파일이 재봉라인에 걸리지 않도록 에어컴프레셔를 이용하여 강풍을 공급하여 인조잔디 파일의 방향을 아래로 향하게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잔디 시공방법.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잔디 재봉단계(S30)는 각각의 모서리 단부가 맞닿아 재봉되는 재봉작업이 끝나면 겹쳐져 있는 인조잔디를 재봉선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펼친 후 재봉라인이 표시나지 않도록 롤러를 이용하여 다림작업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잔디 시공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 제3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목공사단계(S10)와 다지기 단계(S80)는 진동롤러를 이용하여 배토된 규사를 고르게 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잔디 시공방법.
KR1020170009077A 2017-01-19 2017-01-19 복합잔디 시공방법 KR101948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077A KR101948617B1 (ko) 2017-01-19 2017-01-19 복합잔디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077A KR101948617B1 (ko) 2017-01-19 2017-01-19 복합잔디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490A KR20180085490A (ko) 2018-07-27
KR101948617B1 true KR101948617B1 (ko) 2019-02-15

Family

ID=63078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077A KR101948617B1 (ko) 2017-01-19 2017-01-19 복합잔디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86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606B1 (ko) * 2020-01-21 2021-06-24 (주)대원그린 Pe계 유니소재로 제작된 복합잔디매트 및 이의 시공방법
WO2022053721A1 (es) * 2020-09-09 2022-03-17 Mondo Tufting, S.A. Moqueta de césped artificial para pistas de pádel y procedimiento de instalació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1334A (ko) 2011-03-31 2012-10-10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파일 식모형 복합잔디구조체
KR101068758B1 (ko) 2011-04-25 2011-09-28 이정환 천연잔디구장, 그 기초지반 조성방법 및 그 기초지반에 식재되는 천연잔디 식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490A (ko) 2018-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96003027A1 (fr) Structure en feuille pour la croissance des plantes, structure en feuille pour la croissance du gazon naturel, procede pour faire pousser du gazon et procede pour poser des structures en feuille portant du gazon
KR101157531B1 (ko) 생태복원을 위한 잔디식재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RU2234207C2 (ru) Газон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озеленения искусственных или естественных участков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KR101948617B1 (ko) 복합잔디 시공방법
KR100900478B1 (ko) 고정바를 갖는 식생매트 및 시공방법
JP6750343B2 (ja) 緑化用マット
KR100621174B1 (ko) 녹지조성을 위한 씨앗 발아용 네트
KR101819423B1 (ko) 인조잔디 식재를 결합한 천연잔디의 시공방법
KR101482203B1 (ko) 사면 녹화 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4239186B2 (ja) 植生マット
JPH08228512A (ja) 芝等の植物を育成するための植物育成シート構造体及び天然芝シート構造体並びに人工芝構造体
US11134621B1 (en) Eco-friendly netting and methods of growing and harvesting sod using the same
JP2006503593A (ja) カーペット型の芝生栽培用フィルム
JP2002363991A (ja) 硬質急斜面用緑化工
JP2017012034A (ja) 草コモ緑化シート、及び施工方法
JP2021032026A (ja) 護岸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KR102589179B1 (ko) 하이브리드 잔디 시공방법
RU15288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орьбы с многолетними сорными растениями "гербамат"
JP2647620B2 (ja) 天然芝生のマット構造体
JPH10292379A (ja) 仕切材付き緑化マット
KR102472349B1 (ko) 매트리스 개비온 철망조립체를 이용한 친환경 시공방법
KR101374688B1 (ko) 다층 격자구조망을 이용한 법면녹화 시공방법
JPH0978586A (ja) 法面保護緑化用マット
RU19507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крепления поверхности грунта
JPH07114604B2 (ja) 天然芝と人工芝とが混成した混成芝生の施工方法と、その施工方法に使用する人工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