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970B1 -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 시공 공법 및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 - Google Patents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 시공 공법 및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970B1
KR101947970B1 KR1020180159590A KR20180159590A KR101947970B1 KR 101947970 B1 KR101947970 B1 KR 101947970B1 KR 1020180159590 A KR1020180159590 A KR 1020180159590A KR 20180159590 A KR20180159590 A KR 20180159590A KR 101947970 B1 KR101947970 B1 KR 101947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module
base
driving
roof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호명
Original Assignee
우호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호명 filed Critical 우호명
Priority to KR1020180159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79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3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specially adapted for roof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02B10/1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 시공 방법은, 경사지도록 위치되면서 복수 개의 돌출부들이 평행하면서 경사지도록 형성된 지붕에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을 시공하는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 시공 방법에 있어서, (a) 방수부가 돌출부에 대응하도록 돌출부의 상면에 부착되는 단계; (b) 하부 고정부가 돌출부에 결합되어 방수부에 접촉되고, 고정 베이스 및 상부 고정부를 돌출부의 상측에 위치시키는 단계; (c) 하부 체결부가 고정 베이스, 하부 고정부, 방수부, 돌출부 및 지붕 지지부의 상부 플랜지를 관통하여 위치되고, 상부 고정부를 지붕에 고정시키는 단계; (d) 마감부가 하부 고정부 및 지붕에 걸쳐 도포되는 단계; (e)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의 하부가 상부 고정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단계; 및 (f) 상부 체결부가 상부 고정부 및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의 하부를 관통하여 위치되고,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을 지붕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 시공 공법 및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METHOD FOR CONSTRUCTING STRUCTURE FOR INSTALLING SOLAR MODULE}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 시공 공법 및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지붕에 태양광 모듈을 안정적으로 설치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는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 시공 공법 및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화석 에너지는 점점 고갈되어 가고 있고 오염물질을 배출한다. 이러한 화석 에너지를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는 대체 에너지가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이 각광받고 있다. 태양광 발전은 광전 변환기, 즉 태양 전지를 이용하여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이용하는 발전 방식으로써, 별도의 연료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 대기오염 또는 폐기물을 유발하지 않는다.
한편, 태양 전지는 야외에서 사용되는 경우 다양한 환경에 노출되기에, 태양 전지의 최소 단위인 셀(cell)은 필요한 단위 용량으로 상호 간에 연결되어 태양광 모듈로 구성된다. 태양광 모듈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원활한 수광을 위하여 건축물의 지붕 또는 옥상 등에 설치되는데, 태양광 모듈의 안전한 설치를 위해 별도의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이 구비된다.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앵글을 조립하여 형성되고, 태양광 모듈을 고정시켜 설치한다.
한편, 건축물의 지붕은 일반적으로 한 쌍의 금속판들 사이에 합성수지 발포제(예를 들어, 스티로폼, 폴리우레탄 폼 등), 미네랄울, 글라스 울 등과 같은 단열재가 충진되어 제작된 샌드위치 패널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샌드위치 패널은 용이하게 제작 및 시공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저렴한 제조 비용을 필요로 하며, 우수한 단열성능을 갖는다. 샌드위치 패널이 건축물의 지붕을 구성할 때, 샌드위치 패널에는 지붕의 경사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 개의 돌출부가 상호 간에 이격되어 형성되고, 돌출부에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이 설치될 수 있다.
하지만,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은 지붕을 이루는 샌드위치 패널에 설치되기 어렵고, 설치에 따른 상당한 작업 시간을 필요로 한다. 또한,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하여 샌드위치 패널에는 타공 작업이 이루어지어 샌드위치 패널의 방수성이 저하되기도 한다.
또한, 태양광 모듈이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에 설치되고 강한 바람에 노출된 경우, 태양광 모듈과 설치용 구조물을 연결하는 볼트 및 너트는 바람을 견디지 못하고 풀려, 태양광 모듈은 설치용 구조물로부터 이탈되기도 한다. 볼트 및 너트가 풀리지 않더라도, 바람은 태양광 모듈을 손상시켜 설치용 구조물로부터 이탈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 시공 공법 및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건축물의 지붕에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으면서 지붕의 방수성을 확보할 있도록 하는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 시공 공법 및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 시공 공법 및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외부 환경의 변화에 따라 태양광 모듈의 기울기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 시공 공법 및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 시공 공법 및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 시공 방법은, 경사지도록 위치되면서 복수 개의 돌출부들이 평행하면서 경사지도록 형성된 지붕에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을 시공하는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 시공 방법에 있어서, (a) 방수부가 돌출부에 대응하도록 돌출부의 상면에 부착되는 단계; (b) 하부 고정부가 돌출부에 결합되어 방수부에 접촉되고, 고정 베이스 및 상부 고정부를 돌출부의 상측에 위치시키는 단계; (c) 하부 체결부가 고정 베이스, 하부 고정부, 방수부, 돌출부 및 지붕 지지부의 상부 플랜지를 관통하여 위치되고, 상부 고정부를 지붕에 고정시키는 단계; (d) 마감부가 하부 고정부 및 지붕에 걸쳐 도포되는 단계; (e)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의 하부가 상부 고정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단계; 및 (f) 상부 체결부가 상부 고정부 및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의 하부를 관통하여 위치되고,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을 지붕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은, 경사지도록 위치되면서 복수 개의 돌출부들이 평행하면서 경사지도록 형성된 지붕에 설치되고, 태양광 모듈이 설치되는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에 있어서,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 지붕의 돌출부를 따라 위치되어 돌출부에 대응되고, 상호 간에 이격된 베이스부;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돌출부 및 베이스부가 삽입되어 베이스부를 지붕에 고정시키며, 각각 베이스부를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어 위치되는 고정부;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 베이스부에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위치되고, 경사진 지붕의 하측에 위치될수록 긴 길이를 가져 수평 평면을 형성하는 상면을 갖는 수직부;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수직부에 결합되어 수직부를 연결하여 수평방향으로 위치되고, 베이스부와 평행한 방향 또는 베이스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치되는 수평부; 및 수평부의 상면에 위치되어 수평부에 결합되고, 태양광 모듈에 결합되어 태양광 모듈을 지지하며, 태양광 모듈을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하는 설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지붕은 C형강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지붕 지지부에 지지되고, 지붕 지지부는 상호 간에 이격되어 평행하도록 위치된 한 쌍의 플랜지들, 및 플랜지들의 종단에 연결되어 플랜지들과 직교하는 웨브를 포함하며, 고정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돌출부에 대응되도록 위치되고, 베이스부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고정 베이스; 고정 베이스의 상면으로부터 각각 상측으로 연장되어 베이스부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을 형성하고, 그 사이에 베이스부가 삽입되는 한 쌍의 상부 고정부; 고정 베이스의 하면으로부터 각각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호 간에 이격되고 돌출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형성하며, 그 사이에 돌출부가 삽입되는 한 쌍의 하부 고정부; 상부 고정부 및 베이스부를 관통하여 베이스부를 상부 고정부들 사이에서 고정시키는 상부 체결부; 고정 베이스, 하부 고정부, 돌출부 및 지붕 지지부의 상측 플랜지를 관통하여 돌출부를 하부 고정부들 사이에서 고정시키는 하부 체결부; 부틸 방수 테이프로 이루어지되, 지붕의 상면과 하부 고정부의 하면 사이에 위치되는 방수부; 및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되, 하부 고정부 및 지붕에 걸쳐 위치되는 마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치부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 수평부의 상면에서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제 1 수직 설치부;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 수평부의 상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위치되고 제 1 수직 설치부로부터 이격되며, 제 1 수직 설치부보다 긴 제 2 수직 설치부;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 제 1 수직 설치부의 상면 및 제 2 수직 설치부의 상면에 위치되어 제 1 수직 설치부와 제 2 수직 설치부를 연결하는 제 1 연결 설치부; 및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제 1 연결 설치부와 교차하도록 위치되어 제 1 연결 설치부들을 연결하고, 태양광 모듈에 결합되는 제 2 연결 설치부를 포함하되, 수직부는 제 1 수직 설치부와 제 2 수직 설치부 사이에 위치되며, 제 1 연결 설치부의 상면에는 상호 간에 이격되면서 제 1 연결 설치부의 상면에 직교하는 한 쌍의 지지 고정부가 형성되고, 제 2 연결 설치부는 C형강으로 이루어지되, 지지 고정부에 지지된 상태로 고정되어, 제 1 연결 설치부의 상면에 위치되고 태양광 모듈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 수평부들을 연결하면서 수평방향으로 수평부와 교차하도록 위치되는 수평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설치부는, 각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고, 수평부의 상면 및 수평 연결부의 상면에 위치되어 태양광 모듈 주위에서 상호 간에 이격된 복수 개의 지지부; 각각 태양광 모듈의 가장자리면에 힌지 연결되고 지지부에 설치되며, 태양광 모듈을 지지하면서 지지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구동부; 및 태양광 모듈에 위치되어, 태양광 모듈에 가해지는 바람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되, 감지부가 설정치 이상의 태양광 모듈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할 때, 구동부는 감지부에 의해 지지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태양광 모듈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의 일면에 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가이드 공간의 내측면에는 지지부의 타면에 대응하도록 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톱니로 이루어진 가이드 기어가 형성되며, 지지부의 양측면에는 각각 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개구가 형성되고, 구동부는, 가이드 공간에 삽입되어 가이드 기어에 맞물리고, 양 종단면의 중심에는 가이드 개구에 삽입되는 기어 샤프트가 형성된 구동 기어부; 제 1 종단이 태양광 모듈의 가장자리면에 힌지 연결되고, 제 2 종단이 구동 기어부의 기어 샤프트의 제 1 종단에 힌지 연결되며, 변형가능한 구동 연결부; 및 구동 기어부의 기어 샤프트의 제 2 종단에 연결되어 기어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 몸체부를 포함하되, 구동 몸체부가 기어 샤프트를 회전시켜 구동 기어부를 기어 샤프트를 축으로 하여 회전시킬 때, 구동 기어부는 가이드 기어에 맞물린 상태로 지지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고, 구동 연결부는 변형되면서 태양광 모듈을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 연결부는,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1 종단이 태양광 모듈의 가장자리면에 힌지 연결되고, 길이방향을 따른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제 2 종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 개구가 형성된 제 1 연결 몸체; 및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1 종단이 기어 샤프트에 힌지 연결되고, 제 2 종단부에는 삽입 개구에 대응하도록 삽입 돌기가 형성된 제 2 연결 몸체를 포함하되, 삽입 돌기가 삽입 개구에 삽입되어, 제 1 연결 몸체 및 제 2 연결 몸체는 상호 간에 연결되고, 구동 몸체부가 구동 기어부를 지지부를 따라 이동시킬 때, 제 1 연결 몸체 및 제 2 연결 몸체 중 적어도 하나는 이동하거나 삽입 돌기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는, 기어 샤프트의 제 1 종단부가 삽입된 가이드 개구에 대응되도록 지지부에 설치되어 기어 샤프트의 제 1 종단부에 접촉되며, 구동 몸체부에 연결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하되, 구동 몸체부가 작동할 때, 차단부는 가이드 개구로부터 이격되어 구동 기어부를 가이드 개구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차단부는, 기어 샤프트의 제 1 종단부가 삽입된 가이드 개구에 인접하도록 지지부에 설치되고, 가이드 개구와 평행한 차단 베이스부; 차단 베이스부와 직교하도록 연결되어 가이드 개구를 향하도록 지지부의 측면에서 상호 간에 이격되어 위치되는 복수 개의 차단 몸체부; 및 차단 베이스부 및 구동 몸체부에 연결되고, 차단 베이스부를 가이드 개구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차단 구동부를 포함하되, 차단 구동부는 차단 베이스부에 의해 차단 몸체부를 가이드 개구와 교차하도록 위치시키고, 구동 몸체부가 작동할 때, 차단 구동부는 차단 베이스부를 지지부 상에서 이동시켜 차단 몸체부를 가이드 개구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부는, 기어 샤프트의 제 2 종단부의 외주면 상에 위치되어 지지부와 구동 몸체부 사이에 위치되고, 차단 구동부 및 구동 몸체부에 연결되며, 구동 몸체부가 작동할 때 구동 기어부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 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가속 감지부가 한도치 이상의 구동 기어부의 가속도를 측정할 때, 차단 구동부는 차단 베이스부를 이동시켜 차단 몸체부를 가이드 개구와 교차시켜, 기어 샤프트의 제 1 종단부를 차단 몸체부들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 시공 공법 및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은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건축물의 지붕에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고, 지붕의 방수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한다.
(2) 외부 환경의 변화에 따라 태양광 모듈의 기울기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 시공 공법 및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이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의 베이스부가 지붕에 고정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에서 설치부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에서 설치부의 지지부 및 구동부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에서 설치부의 구동부의 차단부의 작동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100)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100)의 베이스부(101)가 지붕(1)에 고정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100)은 베이스부(101), 고정부(102), 수직부(103), 수평부(104) 및 설치부(105)를 포함하여, 지붕(1)에 설치되고 태양광 모듈(10)과 결합되어, 태양광 모듈(10)을 지붕(1)에 설치된 상태로 유지한다. 여기서, 지붕(1)은 건축물에서 경사지도록 위치되고, 복수 개의 돌출부(1a)를 갖는 샌드위치 패널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복수 개의 지붕 지지부(2)에 지지되어 건축물의 일부를 형성한다. 여기서, 지붕 지지부(2)는 C형강으로 이루어지되, 상호 간에 이격되어 평행하도록 위치된 한 쌍의 플랜지(2a)들 및 플랜지(2a)들의 종단에 연결되어 플랜지(2a)들과 직교하는 웨브(2b)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a)는 각각 지붕(1)의 경사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호 간에 평행하게 이격된다. 또한, 태양광 모듈(10)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태양광에 노출되어 태양광을 수집하고, 태양광에 따른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태양광 모듈(10)은 복수 개의 단위 셀들로 이루어지되, 단위 셀의 개수에 따라 상이한 출력값의 전력을 출력하고 접속반에 연결되어 전력을 전달한다.
베이스부(101)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 사각형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지붕(1)의 돌출부(1a)를 따라 위치되어 돌출부(1a)에 대응된다. 여기서, 베이스부(101)는 상호 간에 평행하도록 이격될 수 있고, 태양광 모듈(10)의 폭 또는 길이를 고려한 간격만큼 이격될 수 있다.
고정부(102)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베이스부(101)에 대응하도록 베이스부(101)를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된다. 여기서, 고정부(102)에는 지붕(1)의 돌출부(1a) 및 베이스부(101)가 삽입되고, 고정부(102)는 돌출부(1a) 및 베이스부(101)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즉, 고정부(102)는 베이스부(101)를 지붕(1)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부(102)는 고정 베이스(121), 상부 고정부(122), 하부 고정부(123), 상부 체결부(124), 하부 체결부(125), 방수부(126) 및 마감부(127)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베이스(12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돌출부(1a)에 대응하도록 위치된다. 여기서, 고정 베이스(121)는 베이스부(101)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다.
상부 고정부(122)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고정 베이스(121)의 상면으로부터 각각 상측으로 연장되어, 베이스부(101)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을 형성한다. 상부 고정부(122)들 사이에는 베이스부(101)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부(101)의 측면은 상부 고정부(122)를 마주하되 상부 고정부(122)에 접촉될 수 있고, 베이스부(101)의 하면은 고정 베이스(121)를 마주한다.
하부 고정부(123)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고정 베이스(121)의 하면으로부터 각각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호 간에 이격된다. 여기서, 하부 고정부(123)는 돌출부(1a)에 대응되는 형상을 형성한다. 돌출부(1a)는 하부 고정부(123)들 사이에 삽입되어, 하부 고정부(123)들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102)는 지붕(1)의 상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부 체결부(124)는 상부 고정부(122) 및 베이스부(101)를 관통하여 고정되고, 상부 고정부(122) 및 베이스부(101)와 교차하도록 위치된다. 즉, 상부 체결부(124)는 고정부(102)를 베이스부(101)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한다. 여기서, 상부 체결부(124)는 볼트와 너트의 조합 또는 직결피스와 너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체결부(125)는 고정 베이스(121), 하부 고정부(123), 돌출부(1a) 및 지붕 지지부(2)의 상부 플랜지(2a)를 관통하여 고정된다. 즉, 하부 체결부(125)는 고정부(102)를 지붕(1)에 고정시킨다. 여기서, 하부 체결부(125)는 볼트와 너트의 조합 또는 직결피스와 너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수부(126)는 지붕(1)의 상면과 하부 고정부(123)의 하면 사이에 위치된다. 여기서, 지붕(1)과 고정부(102) 사이는 방수부(126)에 의해 밀폐된다. 방수부(126)는 부틸 방수 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감부(127)는 하부 고정부(123) 및 지붕(1)에 걸쳐 위치된다. 이러한 마감부(127)는 실리콘(silicon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감부(127)는 방수부(126)와 조합하여 지붕(1)과 고정부(102) 사이에 대한 방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수직부(103)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각각 사각형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직부(103)는 베이스부(101)에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위치된다. 여기서, 수직부(103)는 베이스부(101)의 상면에 위치되고, 상호 간에 이격된다.
특히, 수직부(103)는 지붕(1)에서 위치에 따라 상이한 길이를 갖는다. 본 실시예의 수직부(103)는 경사진 지붕(1)의 하측에 위치될수록 긴 길이를 갖는다. 이로 인해, 수직부(103)의 상면은 수평 평면을 형성하도록 베이스부(101)에 결합되어 지붕(1)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수직부(103)는 제 1 수직 연결부(131) 및 제 2 수직 연결부(133)를 포함한다.
제 1 수직 연결부(131)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수직부(103)의 하면으로부터 각각 하측으로 연장되어 베이스부(101)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을 형성한다. 제 1 수직 연결부(131)들 사이에는 베이스부(101)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부(101)의 측면은 제 1 수직 연결부(131)를 마주하고, 베이스부(101)의 상면은 수직부(103)의 하면을 마주한다. 한편, 볼트 또는 직결피스는 제 1 수직 연결부(131) 및 베이스부(101)를 관통하여 너트에 체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수직부(103)는 베이스부(101)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 2 수직 연결부(133)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수직부(103)의 상면으로부터 각각 상측으로 연장되어 구체적으로 후술될 수평부(104)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을 형성한다. 또한, 수직부(103)에서 제 2 수직 연결부(133)의 배치는 수평부(104)의 배열 방향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수평부(104)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각각 사각형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평부(104)는 수직부(103)들을 연결하면서 수직부(103)에 결합되고 수평방향으로 위치된다. 여기서, 수평부(104)는 수직부(103)의 제 2 수직 연결부(133)들 사이에 삽입되어 수직부(103)들의 상면에 위치되고, 상호 간에 이격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수평부(104)는 베이스부(10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치되어 수직부(103)들을 연결하면서 수직부(103)들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양광 모듈(10)의 배열을 고려하여 베이스부(101)와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되어 수직부(103)들을 연결하면서 수직부(103)들에 결합될 수 있다.
설치부(105)는 수평부(104)의 상면에 위치되어 수평부(104)에 결합되고, 태양광 모듈(10)에 결합되어 태양광 모듈(10)을 지지한다. 여기서, 태양광 모듈(10)은 설치부(105)에 의해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설치부(105)는 제 1 수직 설치부(151), 제 2 수직 설치부(153), 제 1 연결 설치부(155) 및 제 2 연결 설치부(157)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수직 설치부(151)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각각 사각형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수직 설치부(151)는 각각 수평부(104)의 상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결합된다.
또한, 제 1 수직 설치부(151)의 하면에는 제 1 설치 연결부(1511)가 형성된다. 제 1 설치 연결부(1511)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제 1 수직 설치부(151)의 하면으로부터 각각 하측으로 연장되어 수평부(104)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을 형성한다. 제 1 설치 연결부(1511)들 사이에는 수평부(104)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수평부(104)의 측면은 제 1 설치 연결부(1511)를 마주하고, 수평부(104)의 상면은 제 1 수직 설치부(151)의 하면을 마주한다. 한편, 볼트 또는 직결피스는 제 2 설치 연결부(1511) 및 수평부(104)를 관통하여 너트에 체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1 수직 설치부(151)는 수평부(104)에 고정될 수 있다.
제 2 수직 설치부(153)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각각 사각형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수직 설치부(153)는 각각 제 1 수직 설치부(151)에 대응되면서 수평부(104)의 상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제 1 수직 설치부(151)와 제 2 수직 설치부(153) 사이에는 수직부(103)가 위치되고, 제 1 수직 설치부(151)는 제 2 수직 설치부(153)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면서, 남쪽에 근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수직 설치부(153)의 하면에는 제 2 설치 연결부(1531)가 형성된다. 제 2 설치 연결부(1531)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제 2 수직 설치부(153)의 하면으로부터 각각 하측으로 연장되어 수평부(104)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을 형성한다. 제 2 설치 연결부(1531)들 사이에는 수평부(104)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수평부(104)의 측면은 제 2 설치 연결부(1531)를 마주하고, 수평부(104)의 상면은 제 2 수직 설치부(153)의 하면을 마주한다. 한편, 볼트 또는 직결피스는 제 2 설치 연결부(1531) 및 수평부(104)를 관통하여 너트에 체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2 수직 설치부(153)는 수평부(104)에 고정될 수 있다.
제 1 연결 설치부(155)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각각 사각형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연결 설치부(155)는 각각 수직부(103) 및 수평부(104)에 대응되도록 위치되고, 제 1 수직 설치부(151)의 상면 및 제 2 수직 설치부(153)의 상면에 결합되어 제 1 수직 설치부(151)와 제 2 수직 설치부(153)를 연결한다. 여기서, 제 1 연결 설치부(155)는 제 1 수칙 설치부(151)에 근접할수록 점점 하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위치된다.
한편, 제 1 연결 설치부(155)의 상면에는 각각 제 1 수직 설치부(151) 및 제 2 수직 설치부(153)에 대응되는 한 쌍의 고정 지지부(1551)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지지부(155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 1 연결 설치부(155)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 1 연결 설치부(155)의 상면과 직교한다.
제 1 연결 설치부(155)는 제 1 수직 설치부(151) 및 제 2 수직 설치부(153)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호 간에 평행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 2 연결 설치부(157)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C 형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 2 연결 설치부(157)는 제 1 연결 설치부(155)와 교차하도록 위치되어 제 1 연결 설치부(155)들을 연결하고, 제 1 연결 설치부(155)의 상면에 위치된다. 또한, 제 2 연결 설치부(157)는 각각의 제 1 연결 설치부(155)의 상면에서 한 쌍의 고정 지지부(1551)에 각각 대응하도록 위치된다. 태양광 모듈(1)은 제 2 연결 설치부(157)에 위치되어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 2 연결 설치부(157)가 C형강으로 이루어지기에, 제 2 연결 설치부(157)의 하측 플랜지는 제 1 연결 설치부(155)의 상면에 접촉되어 고정되고 제 2 연결 설치부(157)의 웨브는 고정 지지부(1551)에 접촉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제 2 연결 설치부(157)는 고정 지지부(1551)에 지지된 상태로 제 1 연결 설치부(155)의 상면에 위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볼트 또는 직결피스는 고정 지지부(1551) 및 제 2 연결 설치부(157)의 웨브를 관통하여 너트에 체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2 연결 설치부(157)는 제 2 연결 설치부(155)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태양광 모듈(10)은 제 2 연결 설치부(157)의 상측 플랜지에 위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태양광 모듈(10)은 제 1 연결 설치부(155)에 따라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되어 위치된다.
또한, 수직부(103)가 제 1 수직 설치부(151)와 제 2 수직 설치부(153)에 위치된 상태에서 수평부(104)를 지지하기에, 태양광 모듈(10)은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100)은 태양광 모듈(10)을 지붕(1)에서 소정의 높이(예를 들어, 5미터 이하)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태양광을 안정적으로 수집하도록 기울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태양광 모듈(10)은 건축물의 지붕(1)에서 주변 건축물로부터 제한받지 않고 태양광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즉,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100)은 태양광 모듈(10)에 대한 태양광의 입사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직부(103) 및 수평부(104)는 상호 간에 조합하여 지붕(1)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태양광 모듈(10)의 유지 보수를 위한 작업자의 이동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100)에 설치된 태양광 모듈(10)을 용이하게 유지 보수할 수 있다.
또한,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100)에서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삽입되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즉,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100)은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특히, 고정부(102)는 베이스부(101)를 지붕(1)에 고정시킴으로써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100)을 지붕(1)에 고정시킨다. 여기서, 고정부(102)와 지붕(1) 사이에는 방수부(126)가 적용되고, 마감부(127)는 고정부(102)와 지붕(1)에 걸쳐 위치된다. 이로 인해, 지붕(1)과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100) 사이에 대한 방수 기능이 제공되어,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100)은 안정적으로 지붕(1)에 설치될 수 있고, 설치에 따른 지붕(1) 및 건축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100)은 하기와 같이 시공 방법에 의해 지붕(1)에 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시공 방법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방수부(126)가 지붕(1)의 돌출부(1a)에 대응하도록 부착되는 단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방수부(126)는 돌출부(1a)의 상면에 부착되고, 돌출부(1a)들 사이의 상면에도 추가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어서, 하부 고정부(123)가 돌출부(1a)에 결합되어 고정 베이스(121) 및 상부 고정부(122)를 돌출부(1a)의 상측에 위치시키는 단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1a)는 하부 고정부(123)들 사이에 삽입되고, 하부 고정부(123)는 방수부(126)에 접촉되어 밀착될 수 있다.
이어서, 하부 체결부(125)가 고정 베이스(121), 하부 고정부(123), 방수부(126), 돌출부(1a) 및 지붕 지지부(2)의 상부 플랜지(2a)를 관통하여 위치되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하부 체결부(125)는 돌출부(1a)에 고정될 수 있어, 상부 고정부(122)를 지붕(1)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마감부(127)가 하부 고정부(123) 및 지붕(1)에 걸쳐 도포되는 단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하부 고정부(123)와 지붕(1) 사이는 마감부(127)에 의해 밀폐된다. 이로 인해, 하부 체결부(125)가 돌출부(1a)를 관통하여 위치되더라도, 마감부(127)는 방수부(126)와 조합하여 지붕(1)에서 하부 체결부(125)가 관통한 부분에 대한 방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베이스부(101)가 상부 고정부(122)에 결합되는 단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부(101)는 상부 고정부(122)들 사이에 위치된다. 한편, 베이스부(101)에 수직부(103), 수평부(104) 및 설치부(105)가 연결된 경우, 베이스부(101)는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100)의 하부를 형성하고,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100)은 지붕(1)에 위치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어서, 상부 체결부(124)가 상부 고정부(122) 및 베이스부(101)를 관통하여 위치되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베이스부(101)는 상부 고정부(122)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100)은 지붕(1)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300)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300)에서 설치부(306)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300)에서 설치부(306)의 지지부(361) 및 구동부(362)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300)에서 설치부(306)의 구동부(362)의 차단부(3627)의 작동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300)은 베이스부(301), 고정부(302), 수직부(303), 수평부(304), 수평 연결부(305) 및 설치부(306)를 포함하여, 지붕(1)에 설치되고 태양광 모듈(10)과 결합되어, 태양광 모듈(10)을 지붕(1)에 설치된 상태로 유지한다. 여기서, 지붕(1)은 건축물에서 경사지도록 위치되고, 복수 개의 돌출부(1a)를 갖는 샌드위치 패널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복수 개의 지붕 지지부(2; 도 2 참조)에 지지되어 건축물의 일부를 형성한다. 여기서, 지붕 지지부(2)는 C형강으로 이루어지되, 상호 간에 이격되어 평행하도록 위치된 한 쌍의 플랜지(2a; 도 2 참조)들 및 플랜지(2a)들의 종단에 연결되어 플랜지(2a)들과 직교하는 웨브(2b; 도 2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a)는 각각 지붕(1)의 경사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호 간에 평행하게 이격된다. 또한, 태양광 모듈(10)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태양광에 노출되어 태양광을 수집하고, 태양광에 따른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태양광 모듈(10)은 복수 개의 단위 셀들로 이루어지되, 단위 셀의 개수에 따라 상이한 출력값의 전력을 출력하고 접속반에 연결되어 전력을 전달한다.
베이스부(301)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 사각형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지붕(1)의 돌출부(1a)를 따라 위치되어 돌출부(1a)에 대응된다. 여기서, 베이스부(301)는 상호 간에 평행하도록 이격될 수 있고, 태양광 모듈(10)의 폭 또는 길이를 고려한 간격만큼 이격될 수 있다.
고정부(302)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베이스부(301)에 대응하도록 베이스부(101)를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된다. 여기서, 고정부(302)에는 지붕(1)의 돌출부(1a) 및 베이스부(301)가 삽입되고, 고정부(102)는 돌출부(1a) 및 베이스부(301)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즉, 고정부(302)는 베이스부(301)를 지붕(1)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부(302)는 제 1 실시예의 고정부(10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에,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자 한다.
수직부(303)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각각 사각형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직부(303)는 베이스부(301)에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위치된다. 여기서, 수직부(303)는 베이스부(301)의 상면에 위치되고, 상호 간에 이격된다.
특히, 수직부(303)는 지붕(1)에서 위치에 따라 상이한 길이를 갖는다. 본 실시예의 수직부(303)는 경사진 지붕(1)의 하측에 위치될수록 긴 길이를 갖는다. 이로 인해, 수직부(303)의 상면은 수평 평면을 형성하도록 베이스부(301)에 결합되어 지붕(1)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수직부(303)는 제 1 수직 연결부(331) 및 제 2 수직 연결부(333)를 포함한다.
제 1 수직 연결부(331)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수직부(303)의 하면으로부터 각각 하측으로 연장되어 베이스부(301)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을 형성한다. 제 1 수직 연결부(331)들 사이에는 베이스부(301)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부(301)의 측면은 제 1 수직 연결부(131)를 마주하고, 베이스부(301)의 상면은 수직부(103)의 하면을 마주한다. 한편, 볼트 또는 직결피스는 제 1 수직 체결부(331) 및 베이스부(301)를 관통하여 너트에 체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수직부(303)는 베이스부(301)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 2 수직 연결부(333)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수직부(303)의 상면으로부터 각각 상측으로 연장되어 구체적으로 후술될 수평부(304)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을 형성한다. 또한, 수직부(303)에서 제 2 수직 연결부(333)의 배치는 수평부(304)의 배열 방향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수평부(304)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각각 사각형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평부(304)는 수직부(303)들을 연결하면서 수직부(303)에 결합되고 수평방향으로 위치된다. 여기서, 수평부(304)는 수직부(303)의 제 2 수직 연결부(333)들 사이에 삽입되어 수직부(303)들의 상면에 위치되고, 상호 간에 이격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수평부(304)는 베이스부(30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치되어 수직부(303)들을 연결하면서 수직부(103)들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양광 모듈(10)의 배열을 고려하여 베이스부(301)와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되어 수직부(303)들을 연결하면서 수직부(103)들에 결합될 수 있다.
수평 연결부(305)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각각 사각형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평 연결부(305)는 수평부(304)들을 연결하면서 수평방향으로 수평부(304)와 교차하도록 위치된다. 여기서, 수평 연결부(305)는 수평부(304)들 사이에 위치되고, 수평 연결부(305) 사이에는 수직부(303)가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수평 연결부(305)는 수평부(304)와 조합하여 수평 평면을 형성한다.
설치부(306)는 수평부(304) 및 수평 연결부(305)의 상면에 위치되고, 태양광 모듈(10)에 결합되어 태양광 모듈(10)을 지지한다. 여기서, 설치부(306)는 태양광 모듈(10)의 기울기를 외부 환경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설치부(306)는 지지부(361), 구동부(362) 및 감지부(36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361)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361)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지지부(361)는 수평부(304) 및 수평 연결부(305)의 상면에 위치되고, 태양광 모듈(10) 주위에서 상호 간에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361)는 태양광 모듈(10)의 가장자리면에 대응하도록 위치된다. 특히, 태양광 모듈(10)이 평판(planar plate)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태양광 모듈(10)은 수평부(304)들 사이 및 수평 연결부(305)들 사이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며, 지지부(361)는 4개로 이루어진 태양광 모듈(10)의 가장자리면들의 각각에 적어도 하나씩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후술될 구동부(362)의 구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씩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수평부(304) 상에 위치된 2개의 지지부(361)들 사이에는 수직부(303)가 위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태양광 모듈(10)은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361)에는 가이드 공간(3611), 가이드 기어(3613) 및 가이드 개구(3615)가 형성된다.
가이드 공간(3611)은 지지부(361)의 일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되, 지지부(361)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
가이드 기어(3613)는 지지부(361)의 타면에 대응하도록 가이드 공간(3611)의 내측면에서 가이드 공간(36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복수 개의 톱니들로 이루어진다. 즉, 가이드 기어(3613)는 가이드 공간(111)의 내측면에서 랙(rack) 기어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가이드 개구(3615)는 지지부(361)의 양측면에 각각 지지부(361)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가이드 개구(3615)는 지지부(361)의 양측면을 통해 가이드 공간(3611)을 개방시킨다.
구동부(362)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태양광 모듈(10)과 지지부(361)를 연결한다. 여기서, 구동부(362)는 지지부(361)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며, 태양광 모듈(10)의 가장자리면에 힌지 연결되고, 지지부(361)에 설치된다. 또한, 구동부(362)는 태양광 모듈(10)을 지지하면서 지지부(361)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태양광 모듈(1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태양광 모듈(10)의 기울기는 구동부(362)에 유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태양광 모듈(10)의 가장자리면은 4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구동부(362)는 태양광 모듈(10)의 가장자리면을 각각 하측으로 위치시켜 4개의 방향으로 태양광 모듈(10)을 기울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구동부(362)는 태양광 모듈(10)을 다양한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362)는 구동 기어부(3621), 구동 연결부(3623) 및 구동 몸체부(3625)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기어부(3621)는 가이드 공간(3611)에 삽입되어, 가이드 기어(3613)에 맞물린다. 여기서, 구동 기어부(3621)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톱니들을 갖는다. 또한, 구동 기어부(3621)에는 구동 기어부(3621)의 양 종단면의 중심을 관통한 형태로 기어 샤프트(3621a)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동 기어부(3621)는 랙 기어의 형태로 이루어진 가이드 기어(3613)를 고려하여 피니언(pinion) 기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 기어부(3621)가 가이드 공간(111)에 삽입되어 가이드 기어(3613)에 맞물릴 때, 기어 샤프트(3621a)의 양 종단부는 각각 가이드 개구(3615)에 삽입되어 가이드 개구(3615)를 통해 가이드 공간(3611)의 외부에 돌출된다. 기어 샤프트(3621a)가 가이드 개구(3615)에 삽입됨으로써, 구동 기어부(3621)는 가이드 공간(3611)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구동 기어부(3621)는 가이드 기어(3613)와 맞물린 상태로 기어 샤프트(3621a)를 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기어 샤프트(3621a)는 구동 기어부(3621)와 함께 회전하면서 가이드 개구(3615)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구동 기어부(3621)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회전된다.
한편, 구동 기어부(3621)가 가이드 공간(3611)에 삽입된 상태에서, 개방된 지지부(361)의 일면은 지지 커버(361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지지 커버(3610)는 지지부(361)의 일면에 대하여 착탈가능하다.
구동 연결부(3623)는 바아(bar)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태양광 모듈(10)의 가장자리면과 구동 기어부(3621)를 연결한다. 여기서, 구동 연결부(3623)의 제 1 종단은 태양광 모듈(10)의 가장자리면에 힌지 연결되고, 구동 연결부(3623)의 제 2 종단은 구동 기어부(3621)의 기어 샤프트(3621a)의 제 1 종단에 힌지 연결된다. 또한, 구동 연결부(3623)는 태양광 모듈(10)의 가장자리면으로부터 연장되어 기어 샤프트(3621a)와 직교한다.
구동 기어부(3621)가 가이드 공간(3611)에 삽입되어 회전하여 가이드 공간(3611)을 따라 이동할 때, 구동 연결부(3623)는 구동 기어부(3621)에 의해 이동하면서 변형된다. 여기서, 구동 연결부(3623)는 구부러질 수도 있고, 길어지거나 짧아질 수도 있다. 이로 인해, 태양광 모듈(10)은 회동되어 다양한 기울기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구동 연결부(3623)는 제 1 연결 몸체(3623a) 및 제 2 연결 몸체(362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연결 몸체(3623a)는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 1 연결 몸체(3623a)에서 제 1 종단은 태양광 모듈(10)의 가장자리면에 힌지 연결되고, 제 2 종단부에는 제 1 연결 몸체(3623a)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 개구(3623a')가 형성된다. 또한, 제 1 연결 몸체(3623a)는 태양광 모듈(10)의 가장자리면에서 제 1 연결 몸체(3623a)의 길이방향을 따른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제 2 연결 몸체(3623b)는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 2 연결 몸체(3623b)의 제 1 종단이 구동 기어부(3621)의 기어 샤프트(3621a)의 제 1 종단에 힌지 연결되고, 제 2 연결 몸체(3623b)는 기어 샤프트(3621a)와 직교하도록 위치된다.
또한, 제 2 연결 몸체(3623b)의 종단부에는 삽입 개구(3623a')에 대응되도록 삽입 돌기(3623b')가 형성된다. 삽입 돌기(3623b')가 삽입 개구(3623a')에 삽입되어, 제 1 연결 몸체(3623a)와 제 2 연결 몸체(3623b)는 상호 간에 연결된다. 또한, 제 1 연결 몸체(3623a)와 제 2 연결 몸체(3623b)는 다양한 길이 및 다양한 각도로 형성하도록 변형되는 구동 연결부(3623)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 기어부(3621)가 회전하여 이동할 때, 제 2 연결 몸체(3623b)는 구동 기어부(3621)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 돌기(3623b')는 삽입 개구(3623a')에 삽입된 상태이기에, 제 1 연결 몸체(3623a) 및 제 2 연결 몸체(3623b) 중 적어도 하나는 이동하거나, 삽입 돌기(3623b')를 축으로 하여 회동될 수 있다. 또한, 태양광 모듈(10)은 제 1 연결 몸체(3623a)에 연결되어, 이동하면서 회동하여 기울기의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 몸체부(3625)는 구동 기어부(3621)의 기어 샤프트(3621a)의 제 2 종단에 연결되어, 기어 샤프트(3621a)를 회전시킨다. 기어 샤프트(3621a)가 구동 몸체부(3625)에 의해 회전될 때, 구동 기어부(3621)는 가이드 기어(3613)에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되어 가이드 기어(3613)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예를 들어, 구동 몸체부(3625)가 기어 샤프트(3621a)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구동 기어부(3621)는 회전하여 상향 이동되는 반면에, 구동 몸체부(3625)가 기어 샤프트(3621a)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구동 기어부(3621)는 회전하여 하향 이동된다. 한편, 구동 몸체부(3625)는 구동 몸체부(3625)가 기어 샤프트(3621a)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구동 기어부(3621)는 회전하여 상향 이동될 수 있고, 구동 몸체부(3625)가 기어 샤프트(3621a)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구동 기어부(3621)는 회전하여 하향 이동될 수 있다. 또한, 구동 몸체부(3625)는 구동 기어부(3621)를 이동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구동 몸체부(3625)는 모터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기어 샤프트(3621a)의 제 2 종단에 연결되어 지지부(361)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동 기어부(3621)가 구동 몸체부(3625)에 의해 회전되어 이동함으로써, 태양광 모듈(10)은 구동 연결부(3623)에 의해 회동하여 다양한 기울기로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구동부(362)는 차단부(3627) 및 가속 감지부(36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단부(3627)는 기어 샤프트(3621a)의 제 1 종단부가 삽입된 가이드 개구(3615)에 대응하도록 지지부(361)에 설치되고, 기어 샤프트(3621a)의 제 1 종단부에 접촉된다. 또한, 차단부(3627)는 구동 몸체부(3625)에 연결된다.
구동 몸체부(3625)가 작동되지 않고 구동 기어부(3621)의 이동이 이루어지 않을 때, 차단부(3627)는 기어 샤프트(3621a)의 제 1 종단부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도 6(b) 참조). 이로 인해, 구동 기어부(3621)는 안정적으로 이동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구동 몸체부(3625)가 작동될 때, 차단부(3627)는 이동하여 가이드 개구(3615)로부터 이격되고, 기어 샤프트(3621a)의 제 1 종단부로부터 이격되기도 한다(도 6(a) 참조). 여기서, 구동 기어부(3621)는 구동 몸체부(3625)에 의해 지지부(361)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시 구동 몸체부(3625)가 작동되지 않으면, 차단부(3627)는 기어 샤프트(3621a)의 제 1 종단부에 접촉되도록 가이드 개구(3615)에 대응하도록 이동된다.
또한, 차단부(3627)는 차단 베이스부(3627a), 차단 몸체부(3627b) 및 차단 구동부(3627c)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 베이스부(3627a)는 기어 샤프트(3621a)의 제 1 종단부가 삽입된 가이드 개구(3615)에 인접하도록 지지부(361)에 설치되고, 가이드 개구(3615)와 평행하도록 위치된다.
차단 몸체부(3627b)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차단 베이스부(3627a)와 직교하도록 연결되어 가이드 개구(3615)에 대응하도록 지지부(361)의 측면에 위치된다. 여기서, 차단 베이스부(3627a)는 차단 몸체부(3627b)를 가이드 개구(3615)에 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고, 차단 몸체부(3627b)는 가이드 개구(3615)와 교차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차단 몸체부(3627b)는 가이드 개구(3615)와 교차하여 기어 샤프트(3621a)의 제 1 종단부에 접촉되어 구동 기어부(3621)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차단 몸체부(3627b)는 상호 간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차단 몸체부(3627b)는 차단 베이스부(3627a)와 조합하여 빗 형태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차단 구동부(3627c)는 차단 베이스부(3629a) 및 구동 몸체부(3625)에 연결된다. 여기서, 차단 구동부(3627c)는 차단 몸체부(3627b)를 가이드 개구(3615)로부터 이격시킨다. 이로 인해, 기어 샤프트(3621a)의 제 1 종단부는 차단 몸체부(3627b)로부터 이격되어, 구동 기어부(3621)는 가이드 개구(3615)를 따라 이동가능하다.
가속 감지부(3629)는 기어 샤프트(3621a)의 제 2 종단부의 외주면 상에 위치되어, 구동 몸체부(3625)와 지지부(361) 사이에 위치되고, 차단 구동부(3627c) 및 구동 몸체부(3625)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가속 감지부(3629)는 구동 몸체부(3625)가 작동할 때 구동 기어부(3621)의 가속도를 측정한다.
가속 감지부(3629)가 한도치 이상의 구동 기어부(3621)의 가속도를 측정할 때, 차단 구동부(3627c)는 차단 베이스부(3627a)를 이동시켜 차단 몸체부(3627b)를 가이드 개구(3615)와 교차시킨다(도 6(b) 참조). 또한, 차단 몸체부(3627b)들 사이에는 기어 샤프트(3621a)의 제 1 종단부가 위치되고, 기어 샤프트(3621a)는 차단 몸체부(3627b)에 접촉된다. 여기서, 구동 기어부(3621)의 가속도의 한도치는 구동 몸체부(3625)에 제어될 수 없는 구동 기어부(3621)의 이동이 이루어질 때 구동 기어부(3621)의 가속도를 의미하고, 예를 들어, 구동 기어부(3621)의 낙하 또는 급격한 회전이 이루어질 때 구동 기어부(3621)의 가속도일 수 있다. 따라서, 가속 감지부(3629)는 차단부(3627)와 조합하여 구동 기어부(3621)를 더 이상 이동되지 않도록 하여, 예상치 못한 구동 기어부(3621)의 이동으로 인한 구동 기어부(3621)의 지지부(361)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감지부(363)는 태양광 모듈(10)에 위치되어, 태양광 모듈(10)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한다. 특히, 태양광 모듈(10)에는 바람에 의한 압력이 가해지고, 감지부(363)는 바람에 의한 압력을 감지한다. 여기서, 감지부(363)에는 압력에 대한 설정치가 설정되고, 압력의 설정치는 바람에 의해 태양광 모듈(10)의 손상 및 이탈을 유발할 수 있는 압력을 의미한다.
한편, 감지부(363)는 설정치 이상의 압력을 감지할 때, 구동부(362)를 작동시켜 태양광 모듈(10)의 기울기를 조절한다. 여기서, 감지부(363)는 설정치보다 낮은 태양광 모듈(10)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할 때까지 구동부(362)를 작동시킨다.
또한, 구동부(362)의 작동을 살펴보면, 구동 몸체부(3625)는 기어 샤프트(3621a)를 이용하여 구동 기어부(3621)를 회전시켜 지지부(361)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구동부(362)는 태양광 모듈(10)을 수평 방향으로 위치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한편, 감지부(363)는 설정치보다 낮은 압력을 감지할 때, 구동 몸체부(3625)를 이용하여 구동 기어부(3621)의 회전 및 이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또한, 감지부(363)는 태양광 모듈(10)에 입사되는 태양광의 입사량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363)는 설정치보다 낮은 입사량을 감지할 때, 설정치 이상으로 태양광이 태양광 모듈(10)에 입사되도록 구동부(362)를 작동시켜 태양광 모듈(10)의 기울기를 조절한다. 여기서, 태양광 모듈(10)의 기울기 조절은 감지부(363)가 설정치보다 낮은 압력을 감지하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구동부(362)의 가속 감지부(3629)가 한도치 이상의 구동 기어부(3621)의 가속도를 측정할 때, 감지부(363)는 알림 신호를 생성하여 태양광 모듈(10)의 관리자에게 전송하기도 한다. 또한, 구동부(362)가 소정의 시간 동안에 작동되더라도 압력 변화가 감지부(363)에 의해 감지되지 않을 때, 감지부(363)는 알림 신호를 생성하여 태양광 모듈(10)의 관리자에게 전송하기도 한다.
본 실시예의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300)은 태양광 모듈(10)을 지붕(1)에서 소정의 높이(예를 들어, 5미터 이하)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태양광을 안정적으로 수집하도록 기울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태양광 모듈(10)은 건축물의 지붕(1)에서 주변 건축물로부터 제한받지 않고 태양광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즉,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300)은 태양광 모듈(10)에 대한 태양광의 입사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직부(303) 및 수평부(304)는 상호 간에 조합하여 지붕(1)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태양광 모듈(10)의 유지 보수를 위한 작업자의 이동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300)에 설치된 태양광 모듈(10)을 용이하게 유지 보수할 수 있다.
또한,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300)에서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삽입되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즉,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300)은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특히, 고정부(302)는 베이스부(301)를 지붕(1)에 고정시킴으로써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300)을 지붕(1)에 고정시킨다. 여기서, 고정부(302)와 지붕(1) 사이에는 방수부가 적용되고, 마감부는 고정부(302)와 지붕(1)에 걸쳐 위치된다. 이로 인해, 지붕(1)과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300) 사이에 대한 방수 기능이 제공되어,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300)은 안정적으로 지붕(1)에 설치될 수 있고, 설치에 따른 지붕(1) 및 건축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300)의 설치부(306)는 감지부(363)를 통해 태양광 모듈(10)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구동부(362)를 작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362)는 태양광 모듈(10)의 가장자리면에 힌지 연결되고, 지지부(361)에 설치된다. 구동부(362)에서 구동 몸체부(3625)는 구동 기어부(3621)를 지지부(361)를 따라 이동시킨다. 이로 인해, 태양광 모듈(10)의 기울기는 조절되고, 감지부(363)에 감지되는 압력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300)은 설치부(306)에 의해 외부 환경, 특히 태양광 모듈(10)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태양광 모듈(10)의 기울기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363)가 바람에 의해 태양광 모듈(10)에 가해지는 설정치 이상의 압력을 감지할 때,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300)에서 태양광 모듈(10)의 기울기는 조절될 수 있다. 감지부(363)가 바람에 의해 태양광 모듈(10)에 가해지는 설정치보다 압력을 감지할 때까지 태양광 모듈(10)의 기울기 조절은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태양광 모듈(10)은 손상이나 이탈되지 않은 상태로 도달되고, 심지어 구동부(362)에 의해 지지부(361)의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300)은 태양광 모듈(10)을 강한 바람이 가해지더라도 손상되거나 이탈되지 않을 수 있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300: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
101, 301: 베이스부
102, 302: 고정부
103, 303: 수직부
104, 304: 수평부
105, 306: 설치부
305: 수평 연결부
361: 지지부
362: 구동부
3621: 구동 기어부
3623: 구동 연결부
3625: 구동 몸체부
3627: 차단부
3629: 가속 감지부
363: 감지부

Claims (10)

  1. 삭제
  2. 경사지도록 위치되면서 복수 개의 돌출부들이 평행하면서 경사지도록 형성된 지붕에 설치되고, 태양광 모듈이 설치되는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에 있어서,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 지붕의 돌출부를 따라 위치되어 돌출부에 대응되고, 상호 간에 이격된 베이스부;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돌출부 및 베이스부가 삽입되어 베이스부를 지붕에 고정시키며, 각각 베이스부를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어 위치되는 고정부;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 베이스부에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위치되고, 경사진 지붕의 하측에 위치될수록 긴 길이를 가져 수평 평면을 형성하는 상면을 갖는 수직부;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수직부에 결합되어 수직부를 연결하여 수평방향으로 위치되고, 베이스부와 평행한 방향 또는 베이스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치되는 수평부; 및
    수평부의 상면에 위치되어 수평부에 결합되고, 태양광 모듈에 결합되어 태양광 모듈을 지지하며, 태양광 모듈을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하는 설치부를 포함하되,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 수평부들을 연결하면서 수평방향으로 수평부와 교차하도록 위치되는 수평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설치부는,
    각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고, 수평부의 상면 및 수평 연결부의 상면에 위치되어 태양광 모듈 주위에서 상호 간에 이격된 복수 개의 지지부;
    각각 태양광 모듈의 가장자리면에 힌지 연결되고 지지부에 설치되며, 태양광 모듈을 지지하면서 지지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구동부; 및
    태양광 모듈에 위치되어, 태양광 모듈에 가해지는 바람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며,
    감지부가 설정치 이상의 태양광 모듈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할 때, 구동부는 감지부에 의해 지지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태양광 모듈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지붕은 C형강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지붕 지지부에 지지되고, 지붕 지지부는 상호 간에 이격되어 평행하도록 위치된 한 쌍의 플랜지들, 및 플랜지들의 종단에 연결되어 플랜지들과 직교하는 웨브를 포함하며,
    고정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돌출부에 대응되도록 위치되고, 베이스부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고정 베이스;
    고정 베이스의 상면으로부터 각각 상측으로 연장되어 베이스부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을 형성하고, 그 사이에 베이스부가 삽입되는 한 쌍의 상부 고정부;
    고정 베이스의 하면으로부터 각각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호 간에 이격되고 돌출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형성하며, 그 사이에 돌출부가 삽입되는 한 쌍의 하부 고정부;
    상부 고정부 및 베이스부를 관통하여 베이스부를 상부 고정부들 사이에서 고정시키는 상부 체결부;
    고정 베이스, 하부 고정부, 돌출부 및 지붕 지지부의 상측 플랜지를 관통하여 돌출부를 하부 고정부들 사이에서 고정시키는 하부 체결부;
    부틸 방수 테이프로 이루어지되, 지붕의 상면과 하부 고정부의 하면 사이에 위치되는 방수부; 및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되, 하부 고정부 및 지붕에 걸쳐 위치되는 마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
  4. 삭제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지지부의 일면에 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가이드 공간의 내측면에는 지지부의 타면에 대응하도록 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톱니로 이루어진 가이드 기어가 형성되며, 지지부의 양측면에는 각각 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개구가 형성되고,
    구동부는,
    가이드 공간에 삽입되어 가이드 기어에 맞물리고, 양 종단면의 중심에는 가이드 개구에 삽입되는 기어 샤프트가 형성된 구동 기어부;
    제 1 종단이 태양광 모듈의 가장자리면에 힌지 연결되고, 제 2 종단이 구동 기어부의 기어 샤프트의 제 1 종단에 힌지 연결되며, 변형가능한 구동 연결부; 및
    구동 기어부의 기어 샤프트의 제 2 종단에 연결되어 기어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 몸체부를 포함하되,
    구동 몸체부가 기어 샤프트를 회전시켜 구동 기어부를 기어 샤프트를 축으로 하여 회전시킬 때, 구동 기어부는 가이드 기어에 맞물린 상태로 지지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고, 구동 연결부는 변형되면서 태양광 모듈을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구동 연결부는,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1 종단이 태양광 모듈의 가장자리면에 힌지 연결되고, 길이방향을 따른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제 2 종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 개구가 형성된 제 1 연결 몸체; 및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1 종단이 기어 샤프트에 힌지 연결되고, 제 2 종단부에는 삽입 개구에 대응하도록 삽입 돌기가 형성된 제 2 연결 몸체를 포함하되,
    삽입 돌기가 삽입 개구에 삽입되어, 제 1 연결 몸체 및 제 2 연결 몸체는 상호 간에 연결되고,
    구동 몸체부가 구동 기어부를 지지부를 따라 이동시킬 때, 제 1 연결 몸체 및 제 2 연결 몸체 중 적어도 하나는 이동하거나 삽입 돌기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
  8. 제6항에 있어서, 구동부는,
    기어 샤프트의 제 1 종단부가 삽입된 가이드 개구에 대응되도록 지지부에 설치되어 기어 샤프트의 제 1 종단부에 접촉되며, 구동 몸체부에 연결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하되,
    구동 몸체부가 작동할 때, 차단부는 가이드 개구로부터 이격되어 구동 기어부를 가이드 개구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
  9. 제8항에 있어서, 차단부는,
    기어 샤프트의 제 1 종단부가 삽입된 가이드 개구에 인접하도록 지지부에 설치되고, 가이드 개구와 평행한 차단 베이스부;
    차단 베이스부와 직교하도록 연결되어 가이드 개구를 향하도록 지지부의 측면에서 상호 간에 이격되어 위치되는 복수 개의 차단 몸체부; 및
    차단 베이스부 및 구동 몸체부에 연결되고, 차단 베이스부를 가이드 개구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차단 구동부를 포함하되,
    차단 구동부는 차단 베이스부에 의해 차단 몸체부를 가이드 개구와 교차하도록 위치시키고,
    구동 몸체부가 작동할 때, 차단 구동부는 차단 베이스부를 지지부 상에서 이동시켜 차단 몸체부를 가이드 개구로부터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
  10. 제9항에 있어서, 구동부는,
    기어 샤프트의 제 2 종단부의 외주면 상에 위치되어 지지부와 구동 몸체부 사이에 위치되고, 차단 구동부 및 구동 몸체부에 연결되며, 구동 몸체부가 작동할 때 구동 기어부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 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가속 감지부가 한도치 이상의 구동 기어부의 가속도를 측정할 때, 차단 구동부는 차단 베이스부를 이동시켜 차단 몸체부를 가이드 개구와 교차시켜, 기어 샤프트의 제 1 종단부를 차단 몸체부들 사이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
KR1020180159590A 2018-12-12 2018-12-12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 시공 공법 및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 KR101947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590A KR101947970B1 (ko) 2018-12-12 2018-12-12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 시공 공법 및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590A KR101947970B1 (ko) 2018-12-12 2018-12-12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 시공 공법 및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7970B1 true KR101947970B1 (ko) 2019-02-13

Family

ID=65366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590A KR101947970B1 (ko) 2018-12-12 2018-12-12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 시공 공법 및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797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68621A (zh) * 2019-11-22 2020-02-07 常熟市福莱德连接器科技有限公司 一种快速搭建太阳能板安装架
KR102333509B1 (ko) * 2021-05-11 2021-12-01 장혜지 태양광구조물을 기존 철골구조물에 설치시 t-para볼트를 이용한 설치방법
KR102370840B1 (ko) * 2021-06-16 2022-03-07 재욱강업(주) 조립식 지붕패널에 누수가 방지되게 하는 태양광모듈의 설치구조
KR102411085B1 (ko) * 2021-09-27 2022-06-22 위원 태양광 패널 고정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패널 시공 방법
KR102428020B1 (ko) * 2022-02-18 2022-08-01 김주홍 태양광패널 설치용 지지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7136B2 (ja) * 1994-02-08 2001-08-13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ラー熱記録方法
KR100888352B1 (ko) * 2008-06-28 2009-03-10 권만용 태양전지판 지붕설치공법 및 그 장치
JP2012127117A (ja) * 2010-12-15 2012-07-05 Swallow Kogyo Kk 外装パネルの取付装置
JP2014015794A (ja) * 2012-07-10 2014-01-30 Okuchi Kensan Kk 面状物品の架台用桟
KR101566952B1 (ko) 2014-05-20 2015-11-06 쓰리아이전기 주식회사 지상용 태양광 발전설비
JP2017223108A (ja) 2013-07-30 2017-12-21 京セラ株式会社 太陽電池装置
CN208094492U (zh) 2017-12-26 2018-11-13 灌南县悦诚牧业有限公司 一种用于养殖业的空气净化器供电用光伏发电装置
KR101921831B1 (ko) 2017-09-12 2018-11-23 문충모 태양광 발전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7136B2 (ja) * 1994-02-08 2001-08-13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ラー熱記録方法
KR100888352B1 (ko) * 2008-06-28 2009-03-10 권만용 태양전지판 지붕설치공법 및 그 장치
JP2012127117A (ja) * 2010-12-15 2012-07-05 Swallow Kogyo Kk 外装パネルの取付装置
JP2014015794A (ja) * 2012-07-10 2014-01-30 Okuchi Kensan Kk 面状物品の架台用桟
JP2017223108A (ja) 2013-07-30 2017-12-21 京セラ株式会社 太陽電池装置
KR101566952B1 (ko) 2014-05-20 2015-11-06 쓰리아이전기 주식회사 지상용 태양광 발전설비
KR101921831B1 (ko) 2017-09-12 2018-11-23 문충모 태양광 발전장치
CN208094492U (zh) 2017-12-26 2018-11-13 灌南县悦诚牧业有限公司 一种用于养殖业的空气净化器供电用光伏发电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68621A (zh) * 2019-11-22 2020-02-07 常熟市福莱德连接器科技有限公司 一种快速搭建太阳能板安装架
CN110768621B (zh) * 2019-11-22 2022-04-05 常熟市福莱德连接器科技有限公司 一种快速搭建太阳能板安装架
KR102333509B1 (ko) * 2021-05-11 2021-12-01 장혜지 태양광구조물을 기존 철골구조물에 설치시 t-para볼트를 이용한 설치방법
KR102370840B1 (ko) * 2021-06-16 2022-03-07 재욱강업(주) 조립식 지붕패널에 누수가 방지되게 하는 태양광모듈의 설치구조
KR102411085B1 (ko) * 2021-09-27 2022-06-22 위원 태양광 패널 고정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패널 시공 방법
KR102428020B1 (ko) * 2022-02-18 2022-08-01 김주홍 태양광패널 설치용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7970B1 (ko)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 시공 공법 및 태양광 모듈 설치용 구조물
US10309690B2 (en) Discrete attachment point apparatus and system for photovoltaic arrays
EP2893633B1 (en) Solar energy panel mounting structure
KR101444818B1 (ko) 공장 지붕용 태양광 모듈 거치대
KR200412251Y1 (ko) 태양발전을 위한 태양광 모듈 구조물
JP4795649B2 (ja) 太陽光発電装置
EP2264377A2 (en) Apparatus for two-way tracing and concentrating sunlight of roof installation type
JP2006278738A (ja) 太陽光発電装置
JP2004211372A (ja) ソーラーパネルの設置構造
KR101842502B1 (ko) 구조 개선된 거멀 접이식 샌드위치 지붕 판넬 설치용 태양광 발전 시스템 고정장치
KR101971897B1 (ko) 태양광 패널 조립체
JP5868209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排水構造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6453170B2 (ja) 太陽電池パネル支持架台及び太陽光発電装置
JPH09177270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該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取付方法
JP4659072B2 (ja) 太陽電池の据え付け構造および据え付け方法
KR101160614B1 (ko) 태양광 발전용 트랙킹장치
KR102151999B1 (ko) 태양광 모듈용 지지 구조물
JP5881121B2 (ja) パネル設置構造
KR101569653B1 (ko) 태양광 모듈 설치용 강판 지붕 구조물
KR101842156B1 (ko) 방음터널용 태양광 패널 구조체
JP2013170351A (ja) 枠体、この枠体を備え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設置構造並びに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設置方法
JP2009079448A (ja) 建築物とこの建築物の施工方法
JP2023038079A (ja) 建物
KR101495104B1 (ko) 태양광 발전모듈 지지 브라켓
JP2006120959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