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384B1 - Mg계 재료 형성재료, Mg계 재료 형성방법 및 신규화합물 - Google Patents

Mg계 재료 형성재료, Mg계 재료 형성방법 및 신규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384B1
KR101947384B1 KR1020160121343A KR20160121343A KR101947384B1 KR 101947384 B1 KR101947384 B1 KR 101947384B1 KR 1020160121343 A KR1020160121343 A KR 1020160121343A KR 20160121343 A KR20160121343 A KR 20160121343A KR 101947384 B1 KR101947384 B1 KR 101947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based material
magnesium
forming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1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7830A (ko
Inventor
히데아키 마치다
마사토 이시카와
히로시 스도
Original Assignee
기소세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소세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기소세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37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7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3/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2 or 12 of the Periodic Table
    • C07F3/02Magnes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3/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2 or 12 of the Periodic Table
    • C07F3/003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2 or 12 of the Periodic Table without C-Metal linkag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06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deposition of metallic material
    • C23C16/18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deposition of metallic material from metallo-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55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introducing gases into reaction chamber or for modifying gas flows in reaction chamber
    • C23C16/45523Pulsed gas flow or change of composition over time
    • C23C16/45525Atomic layer deposition [ALD]
    • C23C16/45553Atomic layer deposition [ALD] characterized by the use of precursors specially adapted for AL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Chemical Vapour Deposition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과제)본 발명은, 액체의 Mg 착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수단)비스(N,N'-디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미디네이트)마그네슘이다.

Description

Mg계 재료 형성재료, Mg계 재료 형성방법 및 신규화합물{Mg BASED MATERIAL, A METHOD FOR FORMING Mg BASED MATERIAL AND NOVEL COMPOUND}
본 발명은 Mg계 재료 형성기술에 관한 것이다.
금속 마그네슘, 마그네슘 합금, 산화마그네슘, 질화마그네슘, 붕소화마그네슘 등의 재료(材)(예를 들면, 막(膜))는, 각종 분야에서 요구되고 있다. 상기 분야는 반도체의 분야이다. Mg은, 예를 들면 청색 LED용의 질화갈륨에 있어서 활성층(活性層)의 도핑재료(doping材料)로서 사용되고 있다. 상기 분야는 자성재(磁性材)(예를 들면, 자기 저항 메모리)의 분야이다. MgO는, 예를 들면, 차세대 메모리(예를 들면, MRAM)의 재료에 불가결(不可缺)하다. 상기 분야는 합금(예를 들면, 기능성 합금)의 분야이다. MgTi합금막은 조광미러(調光 mirror)로서의 가능성이 높다. 상기 분야는 에너지 저장의 분야이다. 상기 분야는 초전도(超傳導)의 분야이다.
화학기상성장방법(CVD법) 또는 원자층 제어 성장방법(ALD법)에 의하여 Mg계 막(예를 들면, Mg막, MgO막, Mg32막, MgB2막 등)이 형성된다. 이 경우에 원료물질로서, 예를 들면 β-디케토네이토 마그네슘 착물(β-diketonato magnesium 錯物), 시클로펜타디에닐계 마그네슘 착물(cyclopentadienyl系 magnesium 錯物) 등이 제안되어 있다.
원료화합물에, O(산소원자)를 가지는 β-디케토네이토 마그네슘 착물이 사용되었을 경우, O가, 형성된 막의 내부에 삽입되고 있다. 이 때문에 막이 MgO막인 경우에는 큰 문제가 일어나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목적으로 하는 막이, 원래 산소(O)를 가지지 않는 막인 경우에는 문제가 우려된다.
시클로펜타디에닐계 마그네슘 착물(예를 들면, 비스(시클로펜타디에닐)마그네슘; MgCp2)은 O(산소원자)를 가지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착물이 사용되었을 경우, O가, 기본적으로는 막의 내부에 삽입되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시클로펜타디에닐계 마그네슘 착물은 분해온도가 높다. 따라서 C(탄소원자)가 막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이 우려된다.
O(산소원자)를 가지지 않는 Mg 착물로서, Mg2(μ-NPr 2)2[(PrN)2CNPr 2]2가 제안(비특허문헌1)되어 있다. Mg2(μ-NPr 2)2[(PrN)2CNPr 2]2는 고체(융점 : 120도)이다. 따라서 MgCp2가 사용되었을 경우와 마찬가지 문제가 우려된다.
상기 비특허문헌1은 Mg(PrNCEtNPr)2(thf)2 = 비스(N,N'-디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미디네이트)마그네슘(thf) 부가체(附加體)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 착물은, thf(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기인하여 O(산소원자)를 가진다. 따라서 β-디케토네이토 마그네슘 착물이 사용되었을 경우와 마찬가지의 문제가 우려된다. 상기 화합물은 고체(융점 : 290도 분해)이다. 따라서 MgCp2가 사용되었을 경우와 마찬가지의 문제가 우려된다.
J.Chem.Soc.,Dalton Trans., 1997, pp957-963
고순도 Mg은 얻기 어렵다. 현재, 고순도 Mg을 얻을 수 있는 증류 가능한 액체(25도, 1기압의 조건하)의 마그네슘 화합물은 제안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증류가 가능한 액체의 Mg 착물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액체의 Mg 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고품질인 Mg계 재료(재료는, 예를 들면 막이다. 물론, 막에 한정되지 않는다)의 형성이 용이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검토가 예의 추진되어 왔다.
그 결과, 액체의 비스(N,N'-디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미디네이트)마그네슘 {Mg[i-C37NC(C25)N-i-C37]2}를 원료로 하여 CVD법(또는 ALD법)에 의하여 고품질인 Mg계 재료의 형성이 가능한 것을 찾아내기에 이르렀다.
또한 상기 화합물은, 예를 들면 N,N'-디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를 원료로 하여, 저렴하게 합성할 수 있는 것도 알았다.
또한 비스(N,N'-디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미디네이트)마그네슘 {Mg[i-C37NC(C25)N-i-C37]2}는 액체(25도, 1기압의 조건하)이었다. 상기 Mg화합물은, 간단한 증류 조작에 의하여 고순도품(高純度品)이 얻어졌다. 이것으로부터, 상기 화합물이 사용되었을 경우, CVD법(또는 ALD법)에 의하여 고품질의 막이 얻어지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지견에 의거하여 본 발명이 달성되었다.
본 발명은,
비스(N,N'-디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미디네이트)마그네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화합물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액체(25도, 1기압의 조건하)의 비스(N,N'-디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미디네이트)마그네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화합물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Mg계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재료로서,
비스(N,N'-디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미디네이트)마그네슘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g계 재료 형성재료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Mg계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재료로서, 액체(25도, 1기압의 조건하)의 비스(N,N'-디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미디네이트)마그네슘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g계 재료 형성재료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상기 Mg계 재료 형성재료로서, 바람직하게는 용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g계 재료 형성재료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상기 Mg계 재료 형성재료로서, 상기 용매가, 바람직하게는 탄화수소계 화합물의 군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g계 재료 형성재료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상기 Mg계 재료 형성재료로서, 상기 용매가, 바람직하게는 N,N'-디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미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g계 재료 형성재료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상기 Mg계 재료 형성재료를 실(室)로 수송하는 공정과,
상기 실에 수송된 비스(N,N'-디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미디네이트)마그네슘의 분해에 의하여 기판 상에 Mg계 재료가 형성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g계 재료 형성방법을 제안한다.
비스(N,N'-디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미디네이트)마그네슘은 액체(25도, 1기압의 조건하)이다. 상기 화합물은 O(산소원자)를 가지고 있지 않다. 상기 화합물은, N,N'-디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를 원료로 하여, 간단하고 또한 저비용으로 얻어졌다. 게다가 간단한 증류 조작으로 고순도품이 얻어졌다.
상기 화합물은 기화하기 쉽다. 상기 화합물의 가스의 수송을 안정하게 할 수 있다. 성막 효율이 좋다. 따라서 CVD법(또는 ALD법) 등의 수단에 의하여 고품질의 재료(예를 들면, 막)가 저렴한 비용으로 얻어졌다. 예를 들면 고품질의 금속 Mg막이 형성되었다. 또는 고품질의 Mg합금막이 형성되었다. 형성된 막에 O가 포함되어 있다고 해도, O함유량은 극히 적었다.
도1은 CVD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2는 CVD 장치의 개략도이다.
제1발명은 신규화합물이다. 상기 화합물은 비스(N,N'-디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미디네이트)마그네슘이다. 상기 화합물은 액체(25도, 1기압의 조건하)이다.
제2발명은 Mg계 재료 형성재료이다. 상기 Mg계 재료는 Mg계 막이다. 상기 재료는 막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막의 개념보다 두꺼운 것이더라도 좋다. 상기 Mg계 막은, 예를 들면 금속Mg막이다. 상기 Mg계 막은, 예를 들면 Mg금속합금막이다. 상기 Mg계 막은 MgX(X는 비금속원소(예를 들면, N, B 등(특히, O 이외의 원소)) 또는 반도체 원소) 막이다. 상기 Mg계 재료 형성재료는 비스(N,N'-디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미디네이트)마그네슘을 구비한다. 「구비한다」이기 때문에, 상기 Mg계 재료 형성재료는, 비스(N,N'-디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미디네이트)마그네슘만이더라도 좋다. 그러나 다른 화합물을 구비하는(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CVD법(또는 ALD법)의 실시에 있어서, 목적화합물을 수송할 때에, 용매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상기 Mg계 재료 형성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용매를 더 구비한다(포함한다). 상기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탄화수소계 화합물(직쇄상(直鎖狀), 분기쇄상(分岐鎖狀), 환상(環狀) 어느 타입의 것이더라도 좋다)의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다. 상기 탄화수소계 화합물은 탄소수 5∼40의 탄화수소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5∼21의 탄화수소계 화합물이다. 예를 들면 펜탄(C512), 헥산(C614), 헵탄(C716), 옥탄(C818), 노난(C920), 데칸(C1022), 운데칸(C1124), 도데칸(C1226), 트리데칸(C1328), 테트라데칸(C1430), 펜타데칸(C1532), 헥사데칸(C1634), 헵타데칸(C1736), 옥타데칸(C1838), 노나데칸(C1940), 이코산(C2042), 헤네이코산(C2144)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바람직한 것은 탄소수가 5∼10인 탄화수소이다. 그것은, 분해온도가 높고 안정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저렴하다. 상기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N,N'-디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미딘이다.
제3발명은 Mg계 재료 형성방법이다. 예를 들면 CVD법(또는 ALD법)에 의하여 Mg계 재료(Mg계 막)가 형성되는 방법이다. 상기 방법은, 상기 Mg계 재료 형성재료를 실(室)로 수송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실에 수송된 비스(N,N'-디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미디네이트)마그네슘의 분해에 의하여 기판 상에 Mg계 재료가 형성되는 공정을 구비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Mg계 재료 형성재료가 실로 수송되고, 상기 실로 수송된 비스(N,N'-디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미디네이트)마그네슘이 분해됨으로써, 기판 상에 Mg계 재료가 형성되는 방법이다. 상기 실은, 예를 들면 성막실(成膜室)(분해실 또는 반응실이라고도 불린다)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진 Mg계 재료(예를 들면 막)는, 불순물로서의 O, C성분이 극히 적은 것이었다. O, C 등의 불순물성분은 XPS(X선광전자분광법)에 의해서는 검출할 수 없었다. 즉 순도가 높았다.
또한 성막 과정에 있어서의 지장이 일어나기 어려운 것이었다. 예를 들면 상기 원료(x(g))를 기화·분해하여 성막작업을 하였다. 상기 원료의 0.7x(g)가 소비된 후에 성막작업을 정지했다. 원료용기와 성막실을 연결하는 배관의 내부를 관찰했다. 상기 배관의 내부의 폐쇄(상기 원료의 고화에 의한 폐쇄)는 확인되지 않았다.
상기 비특허문헌은 본 발명을 개시하지 않고 있다. 상기 비특허문헌은 비스(N,N'-디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미디네이트)마그네슘을 개시하지 않고 있다. 상기 비특허문헌의 Scheme 2(958page)에도 비스(N,N'-디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미디네이트)마그네슘의 개시는 없다. Mg[(PrN)2CNPr 2]2(thf)의 개시가 있는 것에 불과하다. 이 화합물은 고체(융점 ; 144도)이다. 비스(N,N'-디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미디네이트)마그네슘이 액체인 것은, 상기 비특허문헌으로부터는 도저히 상상도 할 수 없었다. 또한 상기 비특허문헌은 성막기술(예를 들면, CVD법이나 ALD법)을 개시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비특허문헌으로부터 용이하게 발명할 수 없었다고 본 발명자는 확신하고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든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특징이 크게 손상되지 않는 한, 각종 변형예나 응용예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비스(N,N'-디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미디네이트)마그네슘의 합성방법I〕
반응은 불활성가스 분위기하에서 이루어졌다. 0.5mol의 N,N'-디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가 1000ml의 디에틸에테르에 용해되었다. 이 용액이 -40도로 냉각되었다. 0.5mol의 에틸리튬을 함유하는 벤젠용액이, 상기 용액에 서서히 적하(滴下)되었다. 이 후에 실온에서 4시간의 교반이 이루어졌다. 이 반응혼합액이, 0.25mol의 브롬화 마그네슘(MgBr2)이 600ml의 디에틸에테르에 현탁된 용액에, 서서히 적하되었다. 이 후에 24시간의 교반이 이루어졌다. 용매 유거(留去; 증발시켜 제거함) 후, 1500ml의 노르말 헥산이 가하여졌다. 불용물(不溶物)이 여과되었다. 용매 유거 후, 감압(0.1torr)증류가 이루어졌다. 비등점은 80도이었다. 액체(25도, 1기압의 조건하)의 비스(N,N'-디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미디네이트)마그네슘이 수율 78%로 얻어졌다.
얻어진 비스(N,N'-디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미디네이트)마그네슘의 순도는 높았다. 금속불순물 분석(ICP-AES)에 의한 분석치(단위는 μg/g)는, 다음과 같았다. Si< 10, Na< 5, Fe< 5, Zn< 5, Ti< 5, Cu< 5, Cr< 5, Cd< 5, Mn< 5, Co< 5, Ni< 5 (모두가 검출 한계치 미만).
〔Mg재료의 형성〕
[실시예1]
도1은 성막장치의 개략도이다. 도1중에서 1은 원료용기이다. 2는 기판을 지지하여 가열하는 기판가열기이다. 3은 성막챔버(분해반응로)이다. 4는 기판이다. 5는 유량제어기이다. 6은 샤워헤드이다. 7은 캐리어 가스(수소 또는 Ar, N2 등 불활성가스)이다. 10은 성막시에 성막챔버(3)내로 유입하는 첨가가스(예를 들면, Ar, N2 등의 불활성가스 및 H2, NH3 등의 환원성가스)이다.
도1의 장치가 사용되어 성막작업이 이루어졌다. 우선, 비스(N,N'-디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미디네이트)마그네슘을 원료용기(1)내에 넣었다. 원료용기(1)에 부착된 히터(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의하여 90도로 가열되었다. 수소가스(캐리어가스)가 20ml/분의 비율로 공급되어 버블링(bubbling)이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비스(N,N'-디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미디네이트)마그네슘이 수소가스와 함께 성막챔버(3)내로 인도되었다. 성막챔버(3)의 벽, 샤워헤드(6), 원료용기(1)로부터 샤워헤드(6)까지의 배관은 110도로 가온(加溫)되어 있다. 펌프(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의하여 성막챔버(3)내는 진공으로 배기되었다. 성막챔버(3)와 펌프와의 사이에 설치된 압력조정밸브(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의하여 성막챔버(3)내는 원하는 압력(예를 들면, 1kPa)으로 조정되어 있다. 기판(4)은 기판가열기(2)에 의하여 280도로 가열되어 있다. 10분 후에 기판(4) 상에 막(금속 Mg박막)이 형성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형성된 막은 면내 균일성이 우수했다. 상기 막이 XPS에 의하여 조사되었다. 그 결과, 막중의 C, O량은 검출한계치 미만이었다.
[실시예2]
상기 실시예1과 같은 조건(단, 작업시간은 48시간)으로 작업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두께가 두꺼운 Mg재(材)가 얻어졌다.
얻어진 Mg의 순도는 높았다. 금속불순물 분석(ICP-AES)에 의한 분석치(단위는 μg/g)는, 다음과 같았다. Si< 10, Na< 5, Fe< 5, Zn< 5, Ti< 5, Cu< 5, Cr< 5, Cd< 5, Mn< 5, Co< 5, Ni< 5 (모두가 검출한계치 미만).
[실시예3]
도1의 장치가 사용되었다. 캐리어가스(7)로서 10sccm의 Ar가스가, 성막시 첨가가스(10)로서 40sccm의 Ar가스와 20sccm의 NH3가스와 80sccm의 H2가스가 사용된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이루어졌다. 성막시간은 30분간이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형성된 막은 금속Mg막이었다. 상기 막은 면내 균일성이 우수했다. 상기 막이 XPS에 의하여 조사되었다. 그 결과, 막중의 C, O량은 검출한계치 미만이었다.
[실시예4]
도1의 장치가 사용되었다. 캐리어가스(7)로서 25sccm의 Ar가스가, 성막시 첨가가스(10)로서 100sccm의 Ar가스와 500sccm의 NH3가스와 50sccm의 H2가스가 사용된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이루어졌다. 성막시간은 20분간이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형성된 막은 금속Mg막이었다. 상기 막은 면내 균일성이 우수했다. 상기 막이 XPS에 의하여 조사되었다. 그 결과, 막중의 C, O량은 검출한계치 미만이었다.
[실시예5]
도2는 성막장치의 개략도이다. 도2중, 1은 원료용기이다. 2는 기판가열기이다. 3은 성막챔버이다. 4는 기판이다. 6은 샤워헤드이다. 8은 기화기이다. 9는, 원료용기(1)로부터 기화기(8)에 원료를 압송(壓送)하는 원료압송용 가스(예를 들면, He, Ar 등의 불활성가스)이다. 10은, 성막시에 성막챔버(3)내로 유입되는 첨가가스(예를 들면, Ar, N2 등의 불활성가스 및H2, NH3 등의 환원성가스)이다. 11은 원료압송용 가스(9)의 압력제어기이다. 12는 액체유량제어기이다. 액체유량제어기(12)는, 기화기(8)로의 원료액체의 압송유량을 제어한다.
도2의 장치가 사용되어 성막작업이 이루어졌다. 우선, 비스(N,N'-디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미디네이트)마그네슘의 데칸 용액을 원료용기(1)내에 넣었다. 원료압송용 가스(9)로서 N2가스가 사용되고, 원료압송용 가스압력제어기(11)에 의하여 0.1MPa로 조정되었다. 액체유량제어기(12)에 의하여 비스(N,N'-디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미디네이트)마그네슘의 데칸 용액이 0.1mg/min이 되도록 조정되어, 압송되었다. 이에 따라 비스(N,N'-디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미디네이트)마그네슘의 데칸 용액이 기화기(8)로 반송되었다. 기화기(8)로 반송된 비스(N,N'-디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미디네이트)마그네슘은, 캐리어가스로서 50sccm의 Ar가스와 함께 성막챔버(3)내로 인도되었다. 성막시 첨가가스(10)로서, Ar가스 40sccm, NH3가스 20sccm, H2가스 80sccm도 성막챔버(3)내에 공급되었다. 성막챔버(3)의 벽, 샤워헤드(6), 원료용기(1)로부터 샤워헤드(6)까지의 배관은 110도로 가온되어 있다. 펌프(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의하여 성막챔버(3)내는 진공으로 배기되었다. 성막챔버(3)와 펌프와의 사이에 설치된 압력조정밸브(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의하여 원하는 압력(예를 들면, 1kPa)으로 조정되어 있다. 기판(4)은 기판가열기(2)에 의하여 290도로 가열되어 있다. 기판(4) 상에 막(금속Mg박막)이 형성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형성된 막은 면내 균일성이 우수했다. 상기 막이 XPS에 의하여 조사되었다. 그 결과, 막중의 C, O량은 검출한계치 미만이었다.
[실시예6]
실시예5에 있어서, 데칸(C1022) 대신에, N,N'-디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미딘이 사용된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이루어졌다. 기판(4) 상에 막(금속Mg박막)이 형성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형성된 막은 면내 균일성이 우수했다. 상기 막이 XPS에 의하여 조사되었다. 그 결과, 막중의 C, O량은 검출한계치 미만이었다.
〔질화Mg재료의 형성〕
[실시예7]
도1의 장치가 사용되어 성막작업이 이루어졌다. 우선, 비스(N,N'-디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미디네이트)마그네슘을 원료용기(1)내에 넣었다. 원료용기(1)에 부착된 히터(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의하여 90도로 가열되었다. 질소가스(캐리어가스)가 20ml/분의 비율로 공급되어 버블링이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비스(N,N'-디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미디네이트)마그네슘이 질소가스와 함께 성막챔버(3)내로 인도되었다. 성막챔버(3)의 벽, 샤워헤드(6), 원료용기(1)로부터 샤워헤드(6)까지의 배관은 110도로 가온되어 있다. 성막시 첨가가스(10)로서 40sccm의 NH3가스가 공급되었다. 펌프(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의하여 성막챔버(3)내는 진공으로 배기되었다. 성막챔버(3)와 펌프와의 사이에 설치된 압력조정밸브(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의하여 성막챔버(3)내는 원하는 압력(예를 들면, 1kPa)으로 조정되어 있다. 기판(4)은 기판가열기(2)에 의하여 550도로 가열되어 있다. 10분 후에 기판(4) 상에 막(질화Mg박막)이 형성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형성된 막은 면내 균일성이 우수했다. 상기 막이 XPS에 의하여 조사되었다. 그 결과, 막중의 C, O량은 검출한계치 미만이었다.
1 원료용기
2 기판가열기
3 성막챔버
4 기판
5 유량제어기
6 샤워헤드
7 캐리어가스
8 기화기
9 원료압송용 가스
10 성막시 첨가가스
11 원료압송용 가스 압력 제어기
12 액체유량제어기

Claims (6)

  1. Mg계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재료로서,
    25℃에서 액체인 비스(N,N'-디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미디네이트)마그네슘을 구비하고,
    XPS(X선광전자분광법)에 의하여, O, C의 불순물성분이 검출되지 않는 고순도의 Mg계 재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g계 재료 형성재료.
  2. 제1항에 있어서,
    용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g계 재료 형성재료.
  3. 제2항에 있어서,
    용매가 탄화수소계 화합물의 군(群)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g계 재료 형성재료.
  4. 제2항에 있어서,
    용매가 N,N'-디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미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g계 재료 형성재료.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Mg계 재료 형성재료를 실(室)로 수송하는 공정과,
    상기 실로 수송된 비스(N,N'-디이소프로필프로피온아미디네이트)마그네슘의 분해에 의하여 기판상에 Mg계 재료가 형성되는 공정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g계 재료 형성방법.
  6. 삭제
KR1020160121343A 2015-09-28 2016-09-22 Mg계 재료 형성재료, Mg계 재료 형성방법 및 신규화합물 KR1019473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89559 2015-09-28
JP2015189559A JP6655838B2 (ja) 2015-09-28 2015-09-28 Mg系材形成材料、Mg系材形成方法、及び新規化合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830A KR20170037830A (ko) 2017-04-05
KR101947384B1 true KR101947384B1 (ko) 2019-02-13

Family

ID=58493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1343A KR101947384B1 (ko) 2015-09-28 2016-09-22 Mg계 재료 형성재료, Mg계 재료 형성방법 및 신규화합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655838B2 (ko)
KR (1) KR101947384B1 (ko)
TW (1) TWI633061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1716A (ja) * 2002-11-15 2006-04-06 プレジデント・アンド・フェロウズ・オブ・ハーバード・カレッジ 金属アミジナートを用いる原子層の析出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09394A1 (de) * 1989-12-12 1991-06-13 Merck Patent Gmbh Heterocyclische metallorganische verbindungen
GB9423614D0 (en) * 1994-11-23 1995-01-11 Ass Octel Organometallic complexes of aluminium, gallium and indium
WO2013051670A1 (ja) * 2011-10-07 2013-04-11 気相成長株式会社 コバルト系膜形成方法、コバルト系膜形成材料、及び新規化合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1716A (ja) * 2002-11-15 2006-04-06 プレジデント・アンド・フェロウズ・オブ・ハーバード・カレッジ 金属アミジナートを用いる原子層の析出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hamidi Srinivas et al, J. Chem. Soc., Dalton Trans., 1997, 957-96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711963A (zh) 2017-04-01
TWI633061B (zh) 2018-08-21
KR20170037830A (ko) 2017-04-05
JP6655838B2 (ja) 2020-02-26
JP2017066043A (ja) 2017-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5405B2 (en) Deposition of molybdenum thin films using a molybdenum carbonyl precursor
KR101841811B1 (ko) 코발트계 막 형성 방법, 코발트계 막 형성 재료 및 신규 화합물
US9994954B2 (en) Volatile dihydropyrazinly and dihydropyrazine metal complexes
US10745430B2 (en) Molybdenum silylcyclopentadienyl and silylallyl complexes and use thereof in thin film deposition
US9121093B2 (en) Bis-ketoiminate copper precursors for deposition of copper-containing films and methods thereof
US20170107623A1 (en) Zirconium, hafnium, titanium precursors and deposition of group 4 containing films using the same
US11634441B2 (en) Group 5 metal compound for thin film deposition and method of forming group 5 metal-containing thin film using same
WO2013015947A2 (en) Heteroleptic (allyl)(pyrroles-2-aldiminate) metal-containing precursors, their synthesis and vapor deposition thereof to deposit metal-containing films
US20200331944A1 (en) Compound
US20210061833A1 (en) Lanthanoid compound, lanthanoid-containing thin film and formation of lanthanoid-containing thin film using the lanthanoid compound
JP6452090B2 (ja) 鉄系膜形成材料および鉄系膜形成方法
KR20160082350A (ko) 유기 13족 전구체 및 이를 이용한 박막 증착 방법
EP3397790B1 (en) Cobalt-containing film forming compositions, their synthesis, and use in film deposition
KR101947384B1 (ko) Mg계 재료 형성재료, Mg계 재료 형성방법 및 신규화합물
JP7332211B2 (ja) 新規化合物および製造方法
JP2022068022A (ja) 形成方法、形成材料、及び新規化合物
CN117186126A (zh) 金属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17116667A1 (en) Iron-containing film forming compositions, their synthesis, and use in film de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