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322B1 - 해사 장력 균일화를 위한 연사기용 원통 - Google Patents

해사 장력 균일화를 위한 연사기용 원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322B1
KR101947322B1 KR1020180093850A KR20180093850A KR101947322B1 KR 101947322 B1 KR101947322 B1 KR 101947322B1 KR 1020180093850 A KR1020180093850 A KR 1020180093850A KR 20180093850 A KR20180093850 A KR 20180093850A KR 101947322 B1 KR101947322 B1 KR 101947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cylinder
airflow
inlet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열
Original Assignee
김일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열 filed Critical 김일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7/00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 D01H7/02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for imparting permanent twist
    • D01H7/04Spindles
    • D01H7/16Arrangements for coupling bobbins or like to spindl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3/00Other common constructional features, details or accessories
    • D01H13/10Tens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사 장력 균일화를 위한 연사기용 원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사기에서 원사가 감겨 있는 하측 보빈으로부터 해사되는 실이 그 하부에서 마찰되어 장력 차가 발생하는 현상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원사 보빈(21)을 수직 형태로 수용하고 상기 원사 보빈(21)에서 해사된 원사(21')를 상측에 위치한 내부 장력조절기(23)로 안내하도록 마련된 수직의 원통(20)에 있어서, 연사기의 크릴부에서 해사된 원사(11')의 회전시 발생한 회전 기류를 상기 원통(2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원통(20)의 하부에 하나 또는 다수 개의 기류유입구(20a)가 형성된 해사 장력 균일화를 위한 연사기용 원통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해사 장력 균일화를 위한 연사기용 원통{CIRCULAR CYLINDER OF TWISTER FOR REREELING EQUALIZATION}
본 발명은 해사 장력 균일화를 위한 연사기용 원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사기에서 원사가 감겨 있는 하측 보빈에서 해사되는 원사과 해사되지 안은 원사 간 발생하는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하는 해사 장력 균일화를 위한 연사기용 원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섬유 생산 공정은, 원료를 투입하여 용융, 압축, 토출을 거치면서 머리카락의 1/10 굵기의 필라멘트를 요구하는 특성에 맞게 수 백가닥을 모아 한 올의 원사를 생산하고, 이러한 원사에 접속성을 부여하여 취급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요구하는 특성에 맞는 강도를 얻기 위하여 실에 꼬임을 부여하는데, 이러한 목적으로 제작된 설비를 통상 연사기(Twister)라고 칭한다.
연사기는 두 가닥 이상의 원사를 합연사하는 투포원 연사기나 케이블코오드 연사기가 있으며, 이와 같은 연사기는, 한 가닥의 원사는 연사기 설비의 상단부(크릴)에서 공급되고 다른 한 가닥의 원사는 연사기 설비의 하단부에 위치한 원통(CIRCULAR CYLINDER OR POT) 내에서 공급되어 두 가닥의 원사가 만나 합사되어 상연 꼬임이 형성된다.
이때 상부 크릴에서 공급된 원사는 스핀들 모터의 회전에 의해서 원통 주위를 회전, 바루닝(ballooning)이 형성되면서 공급되고, 원통내의 원사는 원통 상부의 통사용 구멍을 나와 인너 텐셔너(Inner Tentioner;내부 장력 조절기)를 거쳐 공급된다.
더 구체적으로, 종래 기술의 연사 공정은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크릴부(10)의 상측 원사 보빈(11)에서 공급되는 한 가닥의 제1원사(11')와, 직립하고 있는 원통(CIRCULAR CYLINDER OR POT)(20) 내부의 하측 원사 보빈(21)에서 공급되는 다른 한 가닥의 제2원사(21')는 연사를 부여하기 위한 장치인 코드 레규레이터(24)에서 연사된 후, 캡스턴(25)를 거쳐 연사 권취 보빈(30)에서 권취한다. 직립하고 있는 하측 원사 보빈(21)에서 공급되는 제2원사(21')는 가이드로울러를 경유한 후 내부 장력 조절기(23)를 거친 후 상기 코드 레규레이터(24)에 도달된다.
이때 하측 원사 보빈(21)이 수직으로 서 있는 상태에서 제2원사가 그 상부로 해사되기 때문에, 제2원사가 해사될 때 상부 위치와 하부 위치의 장력에 차이가 발생한다.
즉,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원통(20)내의 제2원사는 스핀들에 의해 회전하면서 하측 원사 보빈(21)에서 해사된 후 원통(20) 상부 중앙의 통사용 구멍을 나와 내부 장력조절기(23)를 거쳐 공급되는데, 제2원사가 빠져 나오는 통사용 구멍이 좁기 때문에 제2원사가 하측 원사 보빈(21)에서 해사될 때 도 2의 (a)와 같이 하측 원사 보빈(21)의 상부에서 해사되는 제2원사의 장력과, 도 2의 (b)와 같이 하측 원사 보빈(21)의 하부에서 해사되는 제2원사의 장력이 차이가 발생하는데, 이는 (b)의 경우 제2원사가 해사되는 하단부에서 해사된 원사와 해사되지 않은[하측 원사 보빈(21)에 감겨 있는] 원사 간에 서로 마찰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하측 원사 보빈(21)의 상단부는 마찰 발생이 없으므로 해사시의 제2원사(21') 장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반면, 하단부는 마찰 발생에 의해서 해사시의 제2원사(21')장력이 높으므로 해사 위치에 따른 장력 차이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은 마찰 발생시, 마찰로 인한 원사의 집속성이 방해되어 필라멘트가 퍼지는 현상을 초래하고, 또한 마찰에 의해서 퍼진 필라멘트가 엉키는 현상이 발생하며, 하측 원사 보빈(21)의 해사 위치(상단부 및 하단부)에 따른 권취 장력 차이로 인해 제품 불량률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마찰에 의해서 사층이 흐트러지는 현상과 함께 두 가닥의 실이 동시에 풀려나가는 등, 이러한 해사시의 마찰 발생은 여러가지 문제점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보빈에서 해사 위치에 따른 해사시의 장력 차이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마찰 발생을 억제할 필요성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09035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090358호
상기의 종래 기술이 내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사기에서 원사가 감겨 있는 하측 보빈으로부터 원사가 해사될 때 보빈의 하부에서 발생하는 마찰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해사 장력 균일화(보빈 하부의 마찰력 감소)를 위한 연사기용 원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사 장력 균일화(보빈 하부의 마찰력 감소)를 위한 연사기용 원통은, 원사 보빈을 수직 형태로 수용하고 상기 원사 보빈에서 해사된 제2원사를 상측에 위한 내부 장력조절기로 안내하도록 마련된 수직의 원통에 있어서, 연사기의 크릴부에서 해사된 제1원사가 상기 원통의 주변에서 회전시 발생한 회전 기류를 상기 원통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원통의 하부에 하나 또는 다수 개의 기류유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원통은, 상기 기류유입구가 다수 개인 경우 상하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원통은, 상기 기류유입구가 상기 원통의 최하단부에서 상측으로 200mm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원통은, 상기 기류유입구가 수직 직선부와 상기 수직 직선부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한 원호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호부는 상기 제1원사가 해사되는 방향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사 장력 균일화를 위한 연사기용 원통에 의하면, 보빈으로부터 원사가 해사될 때, 하부에서 발생하는 마찰력, 즉 보빈에서 풀린 원사와 풀리지 않은 원사 간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원사의 집속성을 유지하여 필라멘트의 퍼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그로 인해 필라멘트의 엉킴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빈의 상부와 하부의 해사 장력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사층의 흐트러짐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마찰로 인해 두 가닥 이상의 원사가 동시에 풀려 나가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해사시의 장력 불균일에 따른 미세한 기계적 오류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권취된 연사의 품질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연사기의 연사 공정을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연사기의 원통내의 해사 공정을 보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사기용 원통의 구조도이다.
도 4a는 도 3의 'A'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3의 'B-B'선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c는 도 4b의 'C'부의 확대도 및 그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사기용 원통의 기류유입구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연사기용 원통의 기류유입구 부분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연사기용 원통의 기류유입구 부분의 조립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3 및 도 4를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따른 연사기용 원통의 구조도이고, 도 4a는 도 3의 'A'부를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3의 'B-B'선을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4c는 도 4b의 'C'부의 확대도 및 그의 평면도로서, 앞서 설명한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동일한 도면 부호와 동일한 명칭을 부여하였으며, 또한 이미 설명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사 장력 균일화를 위한 연사기용 원통(20)은, 하측 원사 보빈(21)을 수직으로 수용하고 상기 하측 원사 보빈(21)에서 해사된 제2원사(21')를 상측에 위치한 내부 장력조절기(23)로 안내하기 위해 원통형 관이 수직으로 입설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원통(20)의 하부에는 외부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켜 기류를 형성할 수 있는 구멍 형태의 기류유입구(20a)가 하나 또는 다수 개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사기 상부의 크릴부(10)에서 공급되는 제1원사(11')는 스핀들 모터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원통(20)의 외측 주변을 회전하여 바루닝(ballooning)을 형성하면서 연사를 위한 코드 레규레이터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제1원사(11')가 바루닝(ballooning)을 형성하면서 원통(20) 외측 주변에는 회전 기류가 발생하고, 회전 기류는 상기 기류 유입구(20a)를 통해 원통 (20) 내부로 유입되어 제2원사(21')가 해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2원사(21')가 원통(20)의 내벽과 하측 원사 보빈(21) 사이로 유입된 기류와 함께 해사되므로, 해사되는 제2원사(21')를 유입된 회전 기류가 들어올리는 작용을 수행함으로써 해사된 제2원사(21')와 해사되지 않은 보빈(21) 상의 제2원사(21') 간에 발생하는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기류유입구(20a)는 원통(20)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부에 배치되고, 하나 또는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마찰이 최고로 높이 발생하는 지점을 고려할 때 기류유입구(20a)가 하나인 경우에는 원통(20)의 최하단부에서 상측으로 약 100mm 높이의 지점에 설치할 수 있다.
만약 기류유입구(20a)를 2개 또는 2개 이상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할 수 있으며, 이때 마찰력의 크기가 하측 원사 보빈(21)의 최하부에서 가장 크게 발생하고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점을 고려하여 상하로 이격 배치된 다수의 기류 유입구(20a)는 상측에 위치할수록 점차 크기를 작게 형성하여 회전 기류의 유입량을 줄이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원사 보빈(21)의 상하 전체 구간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최대한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다만, 원사 보빈(21)의 하단에서 상측으로 약 200mm를 벗어나면 거의 마찰력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상기 기류유입구(20a)가 한 개이든지 다수 개이든지 상기 원통(20)의 최하단부에서 상측으로 200mm 범위 내에 배치하는 것이 좋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기류유입구(20a)를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으로 형성하기 위해 상기 기류유입구(20a)는 수직 직선부(20a')와 상기 수직 직선부(20a')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한 원호부(20a")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상기 원호부(20a")의 원호 방향을 상기 원사 보빈(21)에서 제2원사(21')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배치하면, 제1원사(11')에 의해 발생한 회전 기류가 좀 더 효과적으로 원통(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호부(20a")와 상기 원통(20) 표면은 삼각 형태의 돌출벽(20b)으로 연결하여 폐쇄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기류유입구(20a)가 원통(20) 표면에서 들린 상태가 되어 기류 유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원통(20)의 외측에서 회전하는 제1원사(11')는 스핀들 모터의 회전에 의해서 원통(20) 주위를 회전하는데, 이때 제2원사(21')가 회전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원사(11')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발생한 원통(20) 외측 기류를 반대 방향으로 전환시킨 후 원통(20) 내측으로 유입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도시한 예와 같이 기류유입구(20a)의 앞 부분, 즉 기류유입구(20a)의 수직 직선부(20a')를 기준으로 상기 원호부(20a")의 반대 측에는 원통(20) 외면에서 돌출된 기류 반사판(4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 4c의 확대도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원통(20) 외측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기류는 기류 반사판(40)에 의해 반사되어 기류유입구(20a)를 통해서 원통(20) 내측으로 유입되고, 이때 원통(20) 내측으로 유입된 기류는 제2원사(21')가 해사되는 방향과 동일하게 시계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사기용 원통의 기류유입구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원통(20)에 형성된 기류유입구(20a)는 동일 수평선 상에서 다수 개가 일정한 각도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기류유입구(20a)는 예시한 바와 같이 원통(20) 하단에서 동일한 높이에서 3개가 120°각도로 이격 배치될 수 있는데, 물론 설치 수량은 현장의 여건에 따라 적의 조절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류유입구(20a)는 수직 직선부(20a') 및 원호부(20a")에 의해서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원호부(20a")는 원통(20)의 표면 외측으로 들려서 돌출되게 하고, 이때 돌출된 원호부(20a")와 상기 원통(20) 표면은 삼각 형태의 돌출벽(20b)으로 연결하여 폐쇄시킨다, 이 경우 상기 기류유입구(20a)가 원통(20) 표면에서 들린 상태가 되어 기류가 흐르는 방향을 마주하게 되므로 기류 유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기류유입구(20a)의 앞 부분에 기류 반사판(40)을 설치하여 제1원사(11')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기류를 기류유입구(20a) 측으로 반사시키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원통(20) 내부 공간으로의 기류 유입이 너무 과다한 경우에 실이 풀리면서 원통 내측에 접촉되어 악영양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기류유입구(20a)로의 기류 유입량은 필요에 따라 조절될 필요가 있는데, 이하에서는 기류유입구(20a)의 개폐 구조에 관한 바람직한 형태를 제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연사기용 원통의 기류유입구 부분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연사기용 원통의 기류유입구 부분의 조립 사시도로서, 상기 기류유입구(20a)를 개폐할 수 있게 한 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기류유입구(20a)는 개폐판(220)에 의해서 개폐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기류가 유입되게 하거나 반대로 기류가 유입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기류유입구(20a)는 상기 원통(20)의 하부에 배치된 원판(210) 상에 형성되고, 상기 개폐판(220)은 상기 원판(210)의 중심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개폐판(220)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기류유입구(20a)를 개폐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개폐판(220)의 회전 동작에 의해서 상기 기류유입구(20a)의 폐쇄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즉 기류유입구(20a)를 완전히 개방하는 경우 기류 유입량을 최대량으로 할 수 있고, 기류유입구(20a)의 폐쇄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기류 유입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원판(210)의 가장자리와 상기 원통(20) 표면 사이에는 지지벽(230)이 형성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지지벽(230)은 제2원사의 회전 방향(해사 방향)으로 점차 높아지게 하면, 원판(210)이 원통(20) 표면에서 경사지게 배치되며, 이에 따라 기류유입구(20a)를 개방했을 때 기류 유입시 기류가 제2원사의 해사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원판(210)의 앞 부분에 기류 반사판(40)을 설치하여 제1원사(11')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기류를 기류유입구(20a) 측으로 반사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원판(210) 및 지지벽(230)은 상호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지지벽(230)의 하단에 결속부(240)를 적어도 2개 이상 형성하여 상기 원통(20)에서 착탈 가능하게 마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결속부(240)는 도시한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스냅링 결속 구조와 같이 다양한 구조를 통해서 원통(20)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크릴부
11 : 상측 원사 보빈
11' : 제1원사
20 : 원통(Circular cylinder or Pot)
20a : 기류유입구
20a' : 수직 직선부
20a" : 원호부
20b : 돌출벽
21 : 하측 원사 보빈
21' : 제2원사
23 : 내부 장력조절기
24 : 코드 레규레이터(연사 부여 장치)
25 : 캡스턴(Capstan)
30 : 연사 권치 보빈
40 : 기류 반사판
210 : 원판
220 : 개폐판
230 : 지지벽
240 : 결속부

Claims (11)

  1. 원사 보빈을 수직 형태로 수용하고 상기 원사 보빈에서 해사된 제2원사를 상측에 위치한 내부 장력조절기로 안내하도록 마련된 수직의 원통에 있어서,
    연사기의 크릴부에서 해사된 제1원사가 상기 원통의 주변에서 회전시 발생한 회전 기류를 상기 원통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해 상기 원통의 하부에 하나 또는 다수 개의 기류유입구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원사가 풀리는 실의 표면 마찰이 감소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사 장력 균일화를 위한 연사기용 원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유입구가 다수 개인 경우 상하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거나, 동일 수평선 상에서 등각으로 이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사 장력 균일화를 위한 연사기용 원통.
  3. 제 2항에 있어서,
    상하로 이격 배치된 기류유입구는 상측에 위치할수록 크기가 점차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사 장력 균일화를 위한 연사기용 원통.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유입구는 상기 원통의 최하단부에서 상측으로 200mm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사 장력 균일화를 위한 연사기용 원통.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유입구는 수직 직선부와 상기 수직 직선부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한 원호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호부는 상기 제2원사가 회전하는 방향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사 장력 균일화를 위한 연사기용 원통.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직선부를 기준으로 상기 원호부의 반대 측에는 제1원사에 의해 발생한 회전 기류를 상기 기류유입구 측으로 반사시키는 기류 반사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사 장력 균일화를 위한 연사기용 원통.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부는 원통의 표면 외측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원호부와 상기 원통 표면은 삼각 형태의 돌출벽으로 연결되되 상기 기류유입구의 앞 부분에는 제1원사에 의해 발생한 회전 기류를 상기 기류유입구 측으로 반사시키는 기류 반사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사 장력 균일화를 위한 연사기용 원통.
  8.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유입구는 개폐판에 의해서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사 장력 균일화를 위한 연사기용 원통.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유입구는 상기 원통의 하부에 배치된 원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개폐판은 상기 원판의 중심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상기 기류유입구를 개폐하는 동시에 기류유입구의 폐쇄량을 조절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원판의 가장자리와 상기 원통 표면 사이에는 지지벽이 형성되되, 상기 지지벽은 제2원사의 회전 방향으로 점차 높아지게 되어 상기 원판이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사 장력 균일화를 위한 연사기용 원통.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 및 지지벽은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벽은 상기 원통에서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사 장력 균일화를 위한 연사기용 원통.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의 전방에는 제1원사에 의해 발생한 회전 기류를 상기 기류유입구 측으로 반사시키는 기류 반사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사 장력 균일화를 위한 연사기용 원통.
KR1020180093850A 2017-11-14 2018-08-10 해사 장력 균일화를 위한 연사기용 원통 KR1019473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51335 2017-11-14
KR1020170151335 2017-11-14
KR1020180022274 2018-02-23
KR20180022274 2018-02-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7322B1 true KR101947322B1 (ko) 2019-02-12

Family

ID=65369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850A KR101947322B1 (ko) 2017-11-14 2018-08-10 해사 장력 균일화를 위한 연사기용 원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732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1277U (ko) * 1988-09-29 1990-04-10
JPH0334070U (ko) * 1989-08-12 1991-04-03
JP2000303274A (ja) * 1999-04-22 2000-10-31 Murata Mach Ltd 多重撚糸機
JP2001145799A (ja) * 1999-11-22 2001-05-29 Toshiba Corp 脱水装置
KR20010090357A (ko) 2000-03-25 2001-10-18 구광시 연사기용 보빈커버플레이트
KR20010090358A (ko) 2000-03-25 2001-10-18 구광시 타이어코드용 원사의 연사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1277U (ko) * 1988-09-29 1990-04-10
JPH0334070U (ko) * 1989-08-12 1991-04-03
JP2000303274A (ja) * 1999-04-22 2000-10-31 Murata Mach Ltd 多重撚糸機
JP2001145799A (ja) * 1999-11-22 2001-05-29 Toshiba Corp 脱水装置
KR20010090357A (ko) 2000-03-25 2001-10-18 구광시 연사기용 보빈커버플레이트
KR20010090358A (ko) 2000-03-25 2001-10-18 구광시 타이어코드용 원사의 연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27192B2 (ja) エラストマー糸の高速ビーム巻き取り機
US3732682A (en) Methods of and apparatus for twisting and stranding cable pairs in a tandem operation
US20180237988A1 (en) Stranding machine
JP2012020837A (ja) 毛羽伏せ装置、張力付与ユニット、及び自動ワインダ
US10011924B2 (en) Method for operating a spindle of a two-for-one twisting or cabling machine and associated two-for-one twisting or cabling machine
JP5356778B2 (ja) 紡糸巻取機
JP2019131400A (ja) スプライシング装置に用いられるスプライシング角柱体
KR101947322B1 (ko) 해사 장력 균일화를 위한 연사기용 원통
US4391087A (en) Twisting apparatus
US2560848A (en) Yarn take-up disk for double twist spindles
CN110565230A (zh) 一种整经机用张力机构
US4098063A (en) High speed fly-off strander
CN109930251B (zh) 解捻张力均衡所需的捻线机用圆筒
CN203960463U (zh) 用于纱线整经的纱管支撑架
CN104060363B (zh) 用于纱线整经的纱管支撑架
US2715811A (en) Flier for multiple twist twisters
KR100881957B1 (ko) 합연사 장치
US455232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snarl-free thread reserves
CN209226302U (zh) 一种防跳线导轮装置
KR100260221B1 (ko) 2중연사기 및 2중연사방법
KR200452405Y1 (ko) 연사기
KR100827552B1 (ko) 지사제조용 연사장치
US2508502A (en) Winding crepe thread
CN210796779U (zh) 一种整经机用张力机构
JP2006188345A (ja) 撚糸機等の巻取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