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6622B1 -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 - Google Patents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6622B1
KR101946622B1 KR1020170121774A KR20170121774A KR101946622B1 KR 101946622 B1 KR101946622 B1 KR 101946622B1 KR 1020170121774 A KR1020170121774 A KR 1020170121774A KR 20170121774 A KR20170121774 A KR 20170121774A KR 101946622 B1 KR101946622 B1 KR 101946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source unit
glass
unit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은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은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은시스템
Priority to KR1020170121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6622B1/ko
Priority to PCT/KR2017/012576 priority patent/WO201905945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22Scoring using a focussed radiation beam, e.g. lase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Glass cutting tables; Apparatus for transporting or handling sheet glass during the cutting or breaking ope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3Apparatus for opening score lines in 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7Controlling or reg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10Glass-cutting tools, e.g. scoring to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10Glass-cutting tools, e.g. scoring tools
    • C03B33/102Glass-cutting tools, e.g. scoring tools involving a focussed radiation beam, e.g. la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oxicology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는 유리 - 상기 유리는 일면을 이루는 제1 평면 및 상기 유리의 타면을 이루는 제2 평면을 포함함. - 에 지문을 인식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감지수단이 안착되는 배치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에 있어서, 상기 유리를 가공하기 위한 소정의 레이저를 방출하여 상기 유리의 상기 제1 평면을 가공하는 광원부; 상기 유리가 안착되어 상기 유리가 가공되는 과정에서 상기 유리가 위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유리를 고정하는 스테이지부; 상기 유리의 상기 제1 평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비전; 및 상기 비전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기초로 상기 광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유리에 상기 제1 평면으로부터 함몰되는 복수의 주요홈을 가공하는 제1 광원부; 상기 제1 광원부에 의해 가공되지 않은 상기 제1 평면 및 복수의 상기 주요홈으로부터 함몰되는 추가홈을 가공하는 제2 광원부; 및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에 의해 가공되지 않은 제1 평면, 상기 주요홈, 상기 추가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함몰되는 미세홈을 가공하는 제3 광원부;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 {Under glass laser processing equipment}
본 발명은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에 관한 것으로, 유리에 지문을 인식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감지수단이 안착되는 배치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레이저 가공 장비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의 대부분의 전자기기는 소정의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전자기기에서 송출되는 정보를 개시하는 수단들을 탑재하고 있다. 정보를 개시하는 수단으로는 소리를 통한 청각적 정보 개시 수단 혹은 영상을 통한 시각적 정보 개시 수단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사용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개시하는 수단으로는 시각적 정보 개시 수단이 많은 비율로 활용되고 있다. 예전부터 시각적 정보 개시 수단은 주로 TV, 컴퓨터 모니터, 휴대폰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으나, 최근에 가장 많은 수요가 증가되고 있는 분야는 휴대폰 분야이다.
휴대폰 분야에서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시각적 정보 개시 수단(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이 단순한 정보 개시 기능과 더불어 정보를 전달 받는 기능을 수행할 있도록 발전해왔다. 이는 사용자에게 큰 편리함을 주었고, 다른 전자기기에도 동일한 경향으로 발전되도록 영향을 주었다.
다만, 휴대폰에 사용되는 시각적 정보 개시 수단이 수행할 수 있는 정보를 전달 받는 기능은 제한적이었다. 예를 들면, 시각적 정보 개시 수단을 가압하는지 여부 혹은 가압되는 정도와 같은 간단한 정보를 수신 받는 것이 전부였다. 사용자는 이보다 더욱 복잡한 정보(예를 들면, 지문 정보)를 전달받는 것을 희망하고 있으나, 현존하는 시각적 정보 개시 수단에 의해서는 더욱 복잡한 정보를 전달받는 것을 불가능하다. 따라서, 기존의 시각적 정보 개시 수단에 더욱 복잡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는 수단을 결합하는 방법이 떠오르고 있다.
기존의 시각적 정보 개시 수단(이하, 디스플레이)에 더욱 복잡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는 수단(이하, 센서)을 결합하는 방법으로는, 디스플레이의 유리에 홈을 형성해, 상기 홈에 상기 센서를 안착시키는 방법이다. 디스플레이의 유리에 형성되는 홈은 매우 미세한 홈으로서, 통상적인 기계적인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없다. 이를 위해 화학적인 방법(예를 들면, 식각액)이 활용되고 있다.
다만, 기존의 방법은 화학 약품이 활용된다는 점에서 환경오염이 심하고, 화학 처리에 따른 세척 과정이 수행된다는 점에서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생산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화학 약품을 사용하지 않고 레이저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의 유리에 센서가 안착될 수 있는 홈을 형성할 수 있는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는 유리 - 상기 유리는 일면을 이루는 제1 평면 및 상기 유리의 타면을 이루는 제2 평면을 포함함. - 에 지문을 인식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감지수단이 안착되는 배치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에 있어서, 상기 유리를 가공하기 위한 소정의 레이저를 방출하여 상기 유리의 상기 제1 평면을 가공하는 광원부; 상기 유리가 안착되어 상기 유리가 가공되는 과정에서 상기 유리가 위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유리를 고정하는 스테이지부; 상기 유리의 상기 제1 평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비전; 및 상기 비전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기초로 상기 광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유리에 상기 제1 평면으로부터 함몰되는 복수의 주요홈을 가공하는 제1 광원부; 상기 제1 광원부에 의해 가공되지 않은 상기 제1 평면 및 복수의 상기 주요홈으로부터 함몰되는 추가홈을 가공하는 제2 광원부; 및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에 의해 가공되지 않은 제1 평면, 상기 주요홈, 상기 추가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함몰되는 미세홈을 가공하는 제3 광원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배치공간 내에서 열 단위로 상기 유리에 상기 주요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광원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광원부에 의해 상기 주요홈의 가공 정도에 따라 상기 제2 광원부가 추가홈을 가동하도록 상기 제2 광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광원부가 상기 유리에 제1 열의 주요홈 및 제2 열의 주요홈을 가공하였을 경우, 상기 제2 광원부가 상기 제1 열의 주요홈 및 상기 제2 열의 주요홈의 사이에 상기 추가홈을 가공하도록, 상기 제2 광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광원부는, 제1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광원부에서 방출되는 레이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레이저를 방출하고, 상기 제3 광원부는, 제1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2 광원부에서 방출되는 레이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레이저를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광원부는, 상기 제1 평면 상의 배치공간을 규정하는 가상의 선인 경계라인을 따라서 위치 이동되어, 상기 미세홈을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전은, 미세홈이 가공되는데 요구되는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에 의해 가공되지 않은 상기 제1 평면의 면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전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에 의해 가공되지 않은 상기 제1 평면의 면적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3 광원부의 이동 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 방향으로 상기 스테이지부와 상기 광원부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되는 작업영역 내에 물체가 진입되는지 여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작업영역 내에 물체가 진입되는지 여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직교하는 제3 방향으로 작업영역 내에 물체가 진입되는지 여부 및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직교하며 상기 제3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4 방향으로 작업영역 내에 물체가 진입되는지 여부에 대한 진입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제공된 상기 진입 정보를 기초로, 상기 광원부의 가동 여부를 제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부 중에서 레이저를 발광하는 상기 광원부가 움직이려는 방향이, 상기 작업영역 내에 진입된 물체가 진입된 방향과 반대되는 경우, 상기 광원부의 가동이 중단되도록, 상기 광원부를 제어하고, 상기 작업영역 내에 진입된 물체가 진입된 방향과 같은 경우, 상기 광원부가 가동되도록, 상기 광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체가 임의의 방향으로 상기 작업영역 내에 진입되었을 때, 상기 광원부 중에서 레이저를 발광하는 상기 광원부가 안전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레이저를 발광하는 상기 광원부가 움직이려는 방향이 상기 임의의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이더라도, 상기 광원부가 가동되도록, 상기 광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체가 임의의 방향으로 상기 작업영역 내에 진입되었을 때, 상기 광원부 중에서 레이저를 발광하는 상기 광원부가 위험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레이저를 발광하는 상기 광원부가 움직이려는 방향이 상기 임의의 방향과 같은 방향이더라도, 상기 광원부의 가동이 중지되도록, 상기 광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위험 정보를 송출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체가 상기 임의의 방향으로 상기 작업영역 내에 진입되었을 때, 상기 광원부 중에서 레이저를 발광하는 상기 광원부가 중간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사용자가 위험 정보를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에 따르면, 환경 오염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조 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생산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에서 가공되는 유리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에 제공되는 제1 광원부 및 제2 광원부에 의해서 유리에 배치공간이 형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에 제공되는 제 1 광원부 및 제2 광원부에 의해서 유리에 배치공간이 형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에 제공되는 제3 광원부에 의해서 유리에 배치공간이 형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에 제공되는 스테이지부 및 센서부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에 제공되는 스테이지부를 가상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에 제공되는 스테이지부를 가상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에 제공되는 스테이지부를 가상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또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에 제공되는 스테이지부를 가상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또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유리(20)에 지문을 인식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감지수단이 안착되는 배치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에 있어서, 상기 유리(20)를 가공하기 위한 소정의 레이저를 방출하여 상기 유리(20)의 상기 제1 평면을 가공하는 광원부(100), 상기 유리(20)가 안착되어 상기 유리(20)가 가공되는 과정에서 상기 유리(20)가 위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유리(20)를 고정하는 스테이지부(200), 상기 유리(20)의 상기 제1 평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비전 및 상기 비전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기초로 상기 광원부(10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리(20)는 디스플레이에 활용되는 유리(20)일 수 있다.
또한, 유리(20)는 디스플레이 자체일 수 있다.
또한, 유리(20)는 통상으로 사용되는 의미의 유리(2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플라스틱 및 금속 등 통상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모든 물질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여기서, 감지수단은 지문을 인식하는 기능을 포함하지 않는 감지수단일 수 있다.
즉 다시 말하면, 상술한 지문을 인식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감지수단은 하나의 일례로서, 본 발명에 따르는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장비는 유리(20)에 미리 정해진 정보 값을 감지하는 감지수단 혹은 감지하는 기능이 없는 별개의 부품이 안착될 수 있는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스테이지부(200)는 고정부(21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유리(20)는 상기 고정부(210)에 의해 상기 스테이지부(20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광원부(100)는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로부터 전달되는 빛을 상기 유리(20)로 안내하는 스캐너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고체 레이저, 기체 레이저 등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레이저일 수 있다.
상기 스캐너는 여러 종류의 렌지 및 유리(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광원부(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에 제공되는 이동 수단(500)에 의해 X축, Y축 또는 Z축을 따라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100)는 제1 광원부, 제2 광원부 및 제3 광원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발광부는 제1 발광부, 제2 발광부 및 제3 발광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스캐너는 제1 스캐너, 제2 스캐너 및 제3 스캐너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원부, 상기 제2 광원부 및 제3 광원부는 서로 연결되어 있어, 함께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광원부(100)의 발광 여부, 발광량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테이지부(20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전을 제어하고, 상기 비전으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송신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부(100)의 위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후술하는 변수들의 값을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본 명서세에서 서술하는 정보 혹은 기타 통상의 레이저 가공 장비에 사용되는 정보에 대해서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언더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는 본체부(1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상기 광원부(100), 상기 스테이지부(200), 상기 비전 및 상기 이동 수단(500)은 상기 본체부(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부(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에서 가공되는 유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에서 가공되는 유리(20)는 일면을 이루는 제1 평면(21) 및 상기 유리(20)의 타면을 이루는 제2 평면(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평면(21)과 상기 제2 평면(26)은 제1 거리(d1)만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평면(21)과 상기 제2 평면(26)은 평형을 이룰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 평면(21)과 상기 제2 평면(26)은 소정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유리(20)는 미리 정해진 깊이(d2)로 상기 감지수단이 안착될 수 있는 배치공간(S2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리 정해진 깊이(d2)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에 미리 입력되어 설정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정해진 깊이(d2)는 사용자의 사용 목적 및 상기 감지수단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정해진 깊이(d2)는 상기 제1 거리(d1)보다 짧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에 의해 상기 유리(20)에 상기 배치공간(S20)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에 제공되는 제1 광원부 및 제2 광원부에 의해서 유리에 배치공간이 형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광원부(110)는 레이저를 방출하여, 상기 유리(20)에 상기 제1 평면(21)으로부터 함몰되는 복수의 주요홈을 가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광원부(110)는 위치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례로, 도 3(a), 도 3(b) 및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광원부(110)는 하측 방향으로 직선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하측 방향은 일 예로서 단지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에 방향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광원부(110)는 주요홈이 시작되려는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광원부(110)는 제1 발광부가 레이저를 방출하면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 발광부의 레이저 방출과 상기 제1 광원부(110)의 위치 이동은 시간 간격을 두고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광원부(110)의 이동 속도, 상기 제1 발광부의 발광량은 상기 미리 정해진 깊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후술하는 내용 중에서 반복되는 경우, 생략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원부(110)의 위치 이동 및 상기 제1 발광부의 가동에 의해, 상기 배치공간(S20) 내부에 상기 제1 평면(21) 상으로부터 함몰되는 제1 주요홈(H110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주요홈(H110a)의 적어도 일부의 깊이는 미리 정해진 깊이(d2, 도2 참조)일 수 있다.
상기 제1 광원부(110)는 상기 제1 주요홈(H110a)의 단부를 형성하는 과정을 마친 후 위치 이동을 정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1 광원부(110)는 레이저를 방출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 광원부(110)는 상기 유리(20)가 가공되지 않을 정도로 약한 에너지의 레이저를 발광할 수 있다.
상기 제2 광원부(120)는 상기 제1 광원부(110)에 의해 가공되지 않은 상기 제1 평면(21) 및 복수의 상기 주요홈으로부터 함몰되는 추가홈을 가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광원부(120)는 제2-1 광원부(121) 및 제2-2 광원부(12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1 광원부(121)는 제2-1 발광부 및 제2-1 스캐너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2 광원부(122)는 제2-2 발광부 및 제2-2 스캐너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1 광원부(121)는 상기 제1 광원부(110)를 기준으로 제2-2 광원부(122)와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추가홈을 형성하기 위해 제2-1 광원부(121)는 위치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례로, 도 3(b),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주요홈(H110a)을 형성하는 과정을 마친 상기 제1 광원부(110)는 상기 제1 주요홈(H110a)과 인접한 제2 주요홈(H110b)을 형성하기 위하여 우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치공간(S20) 내에서 열 단위로 상기 유리(20)에 상기 주효홈이 형성되도록 제1 광원부(110)를 제어할 할 수 있다.
여기서, 우측 방향은 일 예로서 단지 사용되는 것으로, 이에 방향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광원부(110)가 위치 이동되는 것에 따라, 상기 제2-1 광원부(121), 상기 제2-2 광원부(122) 및 상기 제2-3 광원부(100)도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100)가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1 광원부(110)는 상기 제2 주요홈(H110b)이 형성되려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제2-1 광원부(121)는 제1 추가홈(H120a)이 형성되는 위치와 상하 방향으로만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광원부(110)에 의해 생성되는 제1 주요홈(H110a) 및 제2 주요홈(H110b)의 크기와 상기 제2-1 광원부(121)에 의해 생성되는 제1 추가홈(H120a)의 너비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도 3(c) 및 도 3(d)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광원부(110)는 상측 방향으로 직선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측 방향은 일 예로서 단지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에 방향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광원부(110)는 상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면서, 상기 제1 발광부에 의해 레이저를 조사하여, 제2 주요홈(H110b)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주요홈(H110b)은 제1 주요홈(H110a)과 동일한 너비 및 깊이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 주요홈(H110a)과 제2 주요홈(H110b)은 서로 인접될 수 있다.
상기 제1 광원부(110)에 의해 상기 제2 주요홈(H110b)이 생성되기 시작할 때, 상기 제2-1 발광부는 가동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1 발광부는 상기 제2-1 광원부(121)가 상기 제1 추가홈(H120a)이 형성되려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발광되기 시작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광원부(110)에 의해 상기 주요홈의 가공 정도에 따라 상기 제2 광원부(120)가 추가홈을 가동하도록 상기 제2 광원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추가홈(H120a)은 상기 제1 주요홈(H110a)과 상기 제2 주요홈(H110b)이 형성된 부분에 대해서만, 상기 제2-1 광원부(121)의 상측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추가홈(H120a)은 상기 제1 주요홈(H110a)과 상기 제2 주요홈(H110b)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가공돌기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광원부(110)가 상기 유리(20)에 제1 열의 주요홈 및 제2 열의 주요홈을 가공하였을 경우, 상기 제2 광원부(120)가 상기 제1 열의 주요홈 및 상기 제2 열의 주요홈의 사이에 상기 추가홈을 가공하도록, 상기 제2 광원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가공돌기는 제1 광원부(110)에 의해 가공되지 않은 제1 평면(21), 제1 주요홈(H110a)의 일부 및 제2 주요홈(H110b)의 일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1 광원부(121)는 상기 배치공간(S20)의 밑면을 평평하게 형성하기 위하여, 좌우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광원부(100)가 상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제2 주요홈(H110b) 및 제1 추가홈(H120a)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1 광원부(121)는 좌우 방향으로 빠르게 진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1 광원부(121)의 진동 속도 등은 상기 제1 주요홈(H110a)의 크기, 상기 제1 추가홈(H120a)의 크기, 상기 광원부(100)의 이동속도 등을 고려하여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산출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제2-1 광원부(121)에 의해 상기 제1 추가홈(H120a)이 형성되면, 도 4(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 주요홈(H110a), 상기 제2 주요홈(H110b) 및 상기 제1 추가홈(H120a)의 밑면은 평평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100)의 상측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은, 상기 제2 주요홈(H110b) 및 상기 제1 추가홈(H120a)의 가공정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100)는 정지하지 않고 계속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2 주요홈(H110b)을 가공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제1 추가홈(H120a)을 가공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2 주요홈(H110b) 또는 상기 제1 추가홈(H120a)의 가공 정도에 따라 상기 광원부(100)는 상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었다가 정지했다가 다시 상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100)는 상기 제1 추가홈(H120a)의 단부를 형성하는 과정을 마친 후 위치 이동을 정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2-1 광원부(121)는 레이저를 발광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2-1 광원부(121)는 상기 유리(20)가 가공되지 않을 정도로 약한 에너지의 레이저를 발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광원부(110)는 상기 제2-1 광원부(121)가 레이저를 발광하지 않기 전에 발광하지 않을 수 있거나, 약한 에너지의 레이저를 발광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도 3(d) 및 도 3(e)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주요홈(H110b) 및 상기 제1 추가홈(H120a)을 형성하는 과정을 마친 상기 광원부(100)는 상기 제2 주요홈(H110b)과 인접한 제3 주요홈(H110c)을 형성하기 위하여 우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100)는 상기 제3 주요홈(H110c)이 형성되려는 위치와 상기 제1 광원부(110)가 대응되는 위치인 동시에, 상기 제2 추가홈(H120b)이 형성되려는 위치와 제2-2 광원부(122)가 상하 방향으로만 대응되는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3 주요홈(H110c)의 너비 및 높이는 제1 주요홈(H110a) 및 제2 주요홈(H110b)의 너비 및 높이와 동일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추가홈(H120b)의 너비 및 높이는 제2 추가홈(H120b)의 너비 및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도 3(e) 및 도 3(f)를 참조하면, 상기 상기 제1 광원부(110)는 하측 방향으로 직석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광원부(110)가 상기 배치공간(S20) 상에서 위치 이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평면(21) 상에 상기 제3 주요홈(H110c)이 가공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서술은 상술한 범위에서 생략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원부(110)에 의해 상기 제3 주요홈(H110c)이 생성되기 시작할 ?, 상기 제2-2 발광부는 가동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2 발광부는 상기 제2-2 광원부(122)가 상기 제2 추가홈(H120b)이 형성되려는 위차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발광되기 시작할 수 있다.
상기 제2 추가홈(H120b)은 상기 제2 주요홈(H110b)과 상기 제3 주요홈(H110c)이 형성된 부분에 대해서만, 상기 제2-2 광원부(122)가 하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추가홈(H120b) 형성 과정에 대한 서술은 상기 제1 추가홈(H120a) 형성 과정과 동일한 범위에서 생략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은 상기 배치공간(S20)의 크기에 따라 반복될 수 있다.
또한, 반복 횟수는 상기 제1 평면(21) 상 상기 배치공간(S20)의 넓이 및 상기 주요홈 및 상기 추가홈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치공간(S20)의 크기 및 반복 횟수 등에 따라 상기 주요홈 및 상기 추가홈의 크기도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변경 사항은 제어부에 의해 자동적으로 산출될 수 있거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에 제공되는 제3 광원부에 의해서 유리에 배치공간이 형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제3 광원부(130, 도 3 참조)는 상기 제1 광원부(110, 도 3 참조) 및 상기 제2 광원부(120, 도 3 참조)에 의해 가공되지 않은 제1 평면(21), 상기 주요홈, 상기 추가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함몰되는 미세홈(H130)을 가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광원부는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주요홈 및 추가홈 형성 공정을 마친 후, 상기 비전을 이용하여 상기 유리(20)가 배치 공간을 확보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전은 상기 제1 표면 상에 형성되어 있는 홈의 깊이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3 광원부(130)는 상기 제1 평면(21) 상의 배치공간(S20)을 규정하는 가상의 선인 경계라인(L20)을 따라서 위치 이동되어, 상기 배치공간(S20) 내부 방향으로 상기 유리(20) 상에 미세홈(H13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전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3 발광부의 광량 또는 상기 제3 광원부(130)의 이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비전에 의해 감지된 상기 유리(20)에 함몰된 깊이가 상기 배치공간(S20)의 미리 정해진 깊이와의 차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광원부(130)의 광량 또는 상기 광원부의 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3 광원부(130)가 한 지점에 있을 때, 형성되는 미세홈(H130)이 어디로부터 함몰되는지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광원부(130)의 광량 또는 상기 광원부의 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미세홈(H130)이 어디로부터 함몰되는지는 상기 비전에 의해 실시간 검측될 수 있다.
또한, 미세홈(H130)이 어디로부터 함몰되는지는 상기 비전에 검측된 정보와 상기 제3 광원부(130)의 이동 속도 및 상기 제3 발광부의 광량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상기 제어부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광원부(130)가 한 지점에 있을 경우, 상기 유리(20)로부터 함몰되는 부분 중에서 상기 제1 광원부(110) 및 상기 제2 광원부(120)에 의해 가공되지 않은 제1 평면(21)이 차지하는 비율에 기초로 상기 광원부(100)의 광량 또는 상기 광원부의 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비전은 미세홈(H130)이 가공되는데 요구되는 상기 제1 광원부(110) 및 상기 제2 광원부(120)에 의해 가공되지 않은 상기 제1 평면(21)의 면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전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제1 광원부(110) 및 상기 제2 광원부(120)에 의해 가공되지 않은 상기 제1 평면(21)의 면적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3 광원부(130)의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 평면(21)이 차지하는 비율이 많을수록 상기 광원부(100)의 광량이 세지거나 상기 광원부의 이동 속도가 느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광원부(130)가 한 지점에 있을 경우, 상기 유리(20)로부터 함몰되는 부분 중에서, 상기 주요홈이 차지하는 비율에 기초로 상기 제3 광원부(130)의 광량 또는 상기 광원부의 이동 속도들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광원부(130)가 한 지점에 있을 경우, 상기 유리(20)로부터 함몰되는 부분 중에서, 상기 추가홈이 차지하는 비율에 기초로 상기 제3 광원부(130)의 광량 또는 상기 광원부의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방법은 병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광원부(130)가 한 지점에 있을 경우, 상기 유리(20)로부터 함몰되는 부분 중에서, 상기 제1 평면(21)이 차지하는 비율이 50%, 상기 주요홈이 차지하는 비율이 30% 및 상기 추가홈이 차지하는 비율이 20%일 경우 각각의 비율을 고려하여 상기 제3 광원부(130)의 광량 또는 상기 광원부의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2 광원부(120)는 제1 평면(21)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광원부(110)에서 방출되는 레이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레이저를 방출하고 상기 제3 광원부(130)는 제1 평면(21)을 기준으로 상기 제2 광원부(120)에서 방출되는 레이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레이저를 방출할 수 있다.
상기 미세홈(H130)을 형성하는 공정이 완료되면, 상기 유리(20) 상에 상기 배치공간(S20)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 - 상기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는 레이저를 방출하는 광원부(100); 유리(20)가 안착되는 스테이지부(200); 유리(20)의 일 평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비전; 및 상기 비전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기초로 상기 광원부(100)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100)는, 제1 광원부(110), 제2 광원부(120) 및 제3 광원부(130)를 구비함. - 를 이용하여 유리(20) - 상기 유리(20)는 일면을 이루는 제1 평면(21) 및 상기 유리(20)의 타면을 이루는 제2 평면(26)을 포함함. -에 지문을 인식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감지수단이 안착되는 배치공간(S20)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스테이지부(200)에 유리(20)를 안착하는 단계; 상기 스테이지부(200)에 안착된 유리(20)를 상기 스테이지부(200)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광원부(110)를 이용하여, 상기 유리(20)에 상기 제1 평면(21)으로부터 함몰되는 제1 주요홈(H110a)을 가공하는 단계; 상기 제1 광원부(110)를 이용하여, 상기 유리(20)에 상기 제1 평면(21)으로부터 함몰되는 제1 주요홈(H110a)과 인접한 제2 주요홈(H110b)을 가공하는 단계; 상기 제2 광원부(120)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광원부(110)에 의해 가공되지 않은 상기 제1 평면(21), 상기 제1 주요홈(H110a)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2 주요홈(H110b)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함몰되는 제1 추가홈(H120a)을 가공하는 단계; 상기 제1 광원부(110) 및 상기 제2 광원부(120)로부터 가공되는 않은 제1 평면(21), 상기 제1 주요홈(H110a), 상기 제2 주요홈 및 상기 제1 추가홈(H120a)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함몰되는 미세홈(H130)을 가공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에 제공되는 스테이지부 및 센서부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방향은 w1 방향일 수 있고, 제2 방향은 w2 방향일 수 있으며, 제3 방향은 w3 방향일 수 있고, 제4 방향은 w4 방향일 수 있다.
이하, 방향에 대한 도면 부호는 도 6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지부(200)는 4 변으로 이루어진 사각형일 수 있다.
상기 스테이지부(200)는 상기 스테이지부(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1 방향(w1)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 변(200a), 상기 스테이지부(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2 방향(w2)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 변(200b), 상기 스테이지부(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3 방향(w3)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3 변(200c) 및 상기 스테이지부(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4 방향(w4)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4 변(200d)을 구비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는 제1 방향(w1)으로 상기 스테이지부(200)와 상기 광원부(100)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되는 작업영역(S200, 도 1참조) 내에 물체가 진입되는지 여부, 상기 제1 방향(w1)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w2)으로 작업영역(S200) 내에 물체가 진입되는지 여부, 상기 제1 방향(w1) 및 상기 제2 방향(w2)과 직교하는 제3 방향(w3)으로 작업영역(S200) 내에 물체가 진입되는지 여부 및 상기 제1 방향(w1) 및 상기 제2 방향(w2)과 직교하며 상기 제3 방향(w3)과 반대 방향인 제4 방향(w4)으로 작업영역(S200) 내에 물체가 진입되는지 여부에 대한 진입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센서부는 제1 센서부(410), 제2 센서부(420), 제3 센서부(430) 및 제4 센서부(440)를 구비할 수 있고, 각 센서부는 상기 스테이지부(200)의 꼭지점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센서부(410)는 상기 제2 변(200b)과 상기 제4 변(200d)이 이루는 꼭지점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제2 센서부(420)는 상기 제2 변(200b)과 상기 제3 변(200c)이 이루는 꼭지점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제3 센서부(430)는 상기 제1 변(200a)과 상기 제4 변(200d)이 이루는 꼭지점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제4 센서부(440)는 상기 제1 변(200a)과 상기 제3 변(200c)이 이루는 꼭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부(410)와 상기 제2 센서부(420)는 제1 방향(w1)으로 상기 작업영역(S200) 내에 물체(30)가 진입되는지 여부에 대한 진입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3 센서부(430)와 상기 제4 센서부(440)는 제2 방향(w2)으로 상기 작업영역(S200) 내에 물체(30)가 진입되는지 여부에 대한 진입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센서부(420)와 상기 제4 센서부(440)는 제3 방향(w3)으로 상기 작업영역(S200) 내에 물체(30)가 진입되는지 여부에 대한 진입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부(410)와 상기 제3 센서부(430)는 제4 방향(w4)으로 상기 작업영역(S200) 내에 물체(30)가 진입되는지 여부에 대한 진입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센서부의 개수, 위치적 한정은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기 센서부는 작업역에 대해서 방향에 따른 진입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면,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여기서 작업영업(S200)은 상기 스테이지부(200)와 상기 광원부(100, 도 1참조) 사이에 제공되는 공간일 있다.
구체화 하자면, 상기 스테이지부(200)에서 상기 광원부(100) 방향으로 상기 스테이지부(200)의 일면을 투사하는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제공된 진입 정보를 기초로, 상기 광원부(100)의 가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제어부는 상기 광원부(100) 중에서 레이저를 발광하는 상기 광원부(100)가 움직이려는 방향이, 상기 작업영역(S200) 내에 진입된 물체(30)가 진입된 방향과 반대되는 경우, 상기 광원부(100)의 가동이 중단되도록, 상기 광원부(100)를 제어하고, 상기 작업영역(S200) 내에 진입된 물체(30)가 진입된 방향과 같은 경우, 상기 광원부(100)가 가동되도록, 상기 광원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부(100) 중에서 레이저를 발광하는 상기 광원부(100)가 움직이려는 방향이, 상기 작업영역(S200) 내에 진입된 물체(30)가 진입된 방향과 직교되는 경우, 상기 광원부(100)가 가동되도록, 상기 광원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가동은 상기 광원부(100)의 위치 이동, 상기 발광부의 가동 여부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상기 작업영역(S200)에 제1 방향(w1)으로 물체(30)가 진입하는 경우, 상기 제1 센서부(410) 및 상기 제2 센서부(420)에 의해 상기 물체(30)가 진입하였는지 감지하고, 상기 제1 센서부(410) 및 상기 제2 센서부(420)의 감지 정보는 상기 제어부로 송신될 수 있다. 여기서 레이저를 발광하는 상기 광원부(100)가 제2 방향(w2)으로 위치 이동되려고 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부(100)의 가동이 중단되도록 상기 광원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를 발광하는 상기 광원부(100)가 제1 방향(w1)으로 위치 이동되려고 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부(100)가 가동되도록, 상기 광원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를 발광하는 상기 광원부(100)가 제3 방향(w3) 또는 제4 방향(w4)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부(100)가 가동되도록, 상기 광원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제어 방법과는 다르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체(30)가 임의의 방향으로 상기 작업영역(S200) 내에 진입되었을 때, 상기 광원부(100) 중에서 레이저를 발광하는 상기 광원부(100)가 안전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레이저를 발광하는 상기 광원부(100)가 움직이려는 방향이 상기 임의의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이더라도, 상기 광원부(100)가 가동되도록, 상기 광원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100) 중에서 레이저를 발광하는 상기 광원부(100)가 안전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레이저를 발광하는 상기 광원부(100)는 어느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더라도,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부(100)가 가동되도록, 상기 광원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체(30)가 임의의 방향으로 상기 작업영역(S200) 내에 진입되었을 때 상기 광원부(100) 중에서 레이저를 발광하는 상기 광원부(100)가 위험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레이저를 발광하는 상기 광원부(100)가 움직이려는 방향이 상기 임의의 방향과 같은 방향이더라도, 상기 광원부(100)의 가동이 중단되도록, 상기 광원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100) 중에서 레이저를 발광하는 상기 광원부(100)가 위험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레이저를 발광하는 상기 광원부(100)는 어느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더라도,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부(100)의 가동이 중단되도록, 상기 광원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체(30)가 임의의 방향으로 상기 작업영역(S200) 내에 진입되었을 때 상기 광원부(100) 중에서 레이저를 발광하는 상기 광원부(100)가 중간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레이저를 발광하는 상기 광원부(100)가 움직이려는 방향이 상기 임의의 방향과 같은 방향일 경우, 레이저를 발광하는 상기 광원부(100)가 가동되도록 상기 광원부(100)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광원부(100)가 움직이려는 방향이 상기 임의의 방향과 반대 방향일 경우, 레이저를 발광하는 상기 광원부(100)의 가동이 중단되도록 상기 광원부(100)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광원부(100)가 움직이려는 방향이 상기 임의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일 경우, 레이저를 발광하는 상기 광원부(100)가 가동되도록 상기 광원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물체(30)가 상기 작업영역(S200)에 제1 방향(w1)으로 진입되었을 경우, 레이저를 방출하는 광원부(100)가 위험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광원부(100)는 가동이 중단될 수 있다.
또한, 레이저를 방출하는 광원부(100)가 안전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광원부(100)는 제1 방향(w1), 제2 방향(w2), 제3 방향(w3) 및 제4 방향(w4)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레이저를 방출하는 광원부(100)가 중간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광원부(100)는 제1 방향(w1), 제3 방향(w3) 및 제4 방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고, 상기 광원부(100)가 제2 방향(w2)으로 위치 이동되려고 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부(100)의 가동이 중단되도록 상기 광원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위험 정보를 송출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체(30)가 상기 임의의 방향으로 상기 작업영역(S200) 내에 진입되었을 때, 상기 광원부(100) 중에서 레이저를 발광하는 광원부(100)가 중간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사용자가 위험 정보를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알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알림부는 시각적 혹은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위험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알림부는 스피커, 램프 등 일 수 있다.
이하, 안전영역, 위험영역 및 중간영역의 가상의 영역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에 제공되는 스테이지부를 가상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스테이지부(200)를 분할하는 가상의 영역은 상기 작업영역(S200, 도 1참조) 상에 진입되는 물체의 방향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제공되는 감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스테이지부(200) 상에 가상의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지부(200)는 상기 작업영역(S200) 상에 물체(30)가 진입되었을 경우, 안전영역, 중간영역 및 위험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중간영역은 상기 작업영역 내에 물체가 진입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스테이지부의 일변에 대해서 삼 등분 할 경우, 상기 스테이지부(200)의 중심점(200e, 도 7 참조)을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위험영역은 상기 작업영역 내에 물체가 진입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스테이지부(200)의 일변에 대해서 삼 등분 할 경우, 상기 스테이지부(200)의 중심점(200e )을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중간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물체(30)가 진입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안전영역은 상기 작업영역(S200) 내에 물체가 진입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스테이지부(200)의 일변에 대해서 삼 등분 할 경우, 상기 스테이지부(200)의 중심점(200e)을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중간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물체(30)가 진입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에 위치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일례로, 도 7(a)를 참조하면, 제1 방향(w1)으로 상기 작업영역(S200) 내에 물체(30)가 진입되는 경우, 상기 제3 변(200c) 및 상기 제4 변(200d)을 기준으로 삼 등분되어, 상기 제2 변(200b)을 포함하는 영역이 위험영역(R300)이고 상기 제1 변(200a)을 포함하는 영역이 안전영역(R100)이며, 상기 스테이지부(200)의 중심점(200e)을 포함하며 상기 위험영역(R300)과 상기 안전영역(R100) 사이에 형성되는 영역이 중간 영역일 수 있다.
또한 도 7(b)를 참조하면, 제2 방향(w2)으로 상기 작업영역(S200) 내에 물체(30)가 진입되는 경우, 상기 제3 변(200c) 및 상기 제4 변(200d)을 기준으로 삼 등분되어, 상기 제1 변(200a)을 포함하는 영역이 위험영역(R300)이고 상기 제2 변(200b)을 포함하는 영역이 안전영역(R100)이며, 상기 스테이지부(200)의 중심점(200e)을 포함하며 상기 위험영역(R300)과 상기 안전영역(R100) 사이에 형성되는 영역이 중간영역(R200)일 수 있다.
또한, 도 7(c)를 참조하면, 제3 방향(w3)으로 상기 작업영역(S200) 내에 물체(30)가 진입되는 경우, 상기 제1 변(200a) 및 상기 제2 변(200b)을 기준으로 삼 등분되어, 상기 제4 변(200d)을 포함하는 영역이 위험영역(R300)이고 상기 제3변을 포함하는 영역이 안전영역(R100)이며, 상기 스테이지부(200)의 중심점(200e)을 포함하며 상기 위험영역(R300)과 상기 안전영역(R100) 사이에 형성되는 영역이 중간영역(R200)일 수 있다.
또한, 도 7(d)를 참조하면, 제4 방향(w4)으로 상기 작업영역(S200) 내에 물체(30)가 진입되는 경우, 상기 제1 변(200a) 및 제2 변(200b)을 기준으로 삼 등분되어, 상기 제3 변(200c)을 포함하는 영역이 위험영역(R300)이고 상기 제4 변(200d)을 포함하는 영역이 안전영역(R100)이며, 상기 스테이지부(200)의 중심점(200e)을 포함하며 상기 위험영역(R300)과 상기 안전영역(R100) 사이에 형성되는 영역이 중간영역(R200)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1 물체가 제1 임의의 방향으로 상기 작업영역(S200, 도 1참조) 내에 진입되고, 제2 물체가 제2 임의의 방향으로 상기 작업영역(S200) 내에 진입되었을 때, 상기 광원부(100, 도 1참조) 중에서 레이저를 발광하는 상기 광원부(100)가 최종 안전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레이저를 발광하는 상기 광원부(100)가 움직이려는 방향이 상기 제1 임의의 방향 및 상기 제2 임의의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이더라도, 상기 광원부(100)가 가동되도록, 상기 광원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1 물체가 제1 임의의 방향으로 상기 작업영역(S200) 내에 진입되고, 제2 물체가 제2 임의의 방향으로 상기 작업영역(S200) 내에 진입되었을 때, 상기 광원부(100) 중에서 레이저를 발광하는 상기 광원부(100)가 최종 위험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레이저를 발광하는 상기 광원부(100)가 움직이려는 방향이 상기 제1 임의의 방향 및 상기 제2 임의의 방향과 같은 방향이더라도, 상기 광원부(100)의 가동이 중단되도록 상기 광원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1 물체가 제1 임의의 방향으로 상기 작업영역(S200) 내에 진입되고, 제2 물체가 제2 임의의 방향으로 상기 작업영역(S200) 내에 진입되었을 때, 상기 광원부(100) 중에서 레이저를 발광하는 상기 광원부(100)가 최종 중간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레이저를 발광하는 상기 광원부(100)가 움직이려는 방향이 상기 제1 임의의 방향 및 상기 제2 임의의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일 경우, 상기 광원부(100)의 가동을 중단되도록 상기 광원부(100)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광원부(100)가 움직이려는 방향이 상기 제1 임의의 방향 및 상기 제2 임의의 방향과 같은 방향일 경우, 상기 광원부(100)가 가동되도록 상기 광원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제1 물체가 상기 작업영역(S200)에 제1 방향(w1)으로 진입하고, 제2 물체가 상기 작업영역(S200)에 제3 방향(w3)으로 진입되었을 때, 상기 광원부(100) 중에서 레이저를 발광하는 상기 광원부(100)가 최종 위험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광원부(100)는 가동이 중단될 수 있다.
또한, 레이저를 방출하는 광원부(100)가 최종 안전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광원부(100)는 제1 방향(w1), 제2 방향(w2), 제3 방향(w3) 및 제4 방향(w4)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레이저를 방출하는 광원부(100)가 최종 중간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광원부(100)는 제3 방향(w3) 및 제1 방향(w1)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고, 상기 광원부(100)가 제2 방향(w2) 및 제4 방향(w4)으로 위치 이동되려고 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부(100)의 가동이 중단되도록 상기 광원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구체적인 일례로서, 제1 물체가 상기 작업영역(S200)에 제3 방향(w3)으로 진입하고, 제2 물체가 상기 작업영역(S200)에 제4 방향(w4)으로 진입되었을 ?, 상기 광원부(100)가 최종 위험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광원부(100)는 가동이 중단될 수 있다.
또한, 또한, 레이저를 방출하는 광원부(100)가 최종 중간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광원부(100)는 제1 방향(w1) 및 제2 방향(w2)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고, 상기 광원부(100)가 제3 방향(w3) 및 제4 방향(w4)으로 위치 이동되려고 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부(100)의 가동이 중단되도록 상기 광원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작업영역(S200)에 복수의 물체가 다른 방향으로 진입되는 경우, 상기 스테이지부(200) 상에 가상의 영역인 최종 위험영역, 최종 안전영역 및 최종 중간영역은 상술한 방법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에 제공되는 스테이지부를 가상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물체가 제1 임의의 방향으로 진입되는 경우, 상술한 방법과 마찬가지로 상기 스테이지부(200) 상에 제1 안전영역, 제1 중간영역) 및 제1 위험영역이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물체가 제2 임의의 방향으로 진입되는 경우, 상술한 방법과 마찬가지로 상기 스테이지부(200) 상에 제2 안전영역, 제2 중간영역) 및 제2 위험영역이 구분될 수 있다.
최종 위험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위험영역이 존재하는 영역일 수 있다.
최종 중간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위험영역이 존재하지 않으면서, 적어도 하나의 중간영역이 존재하는 영역일 수 있다.
최종 안전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위험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중간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제어부는 최종 위험영역, 최종 중간영역 및 최종 안전영역에 레이저를 방출하는 광원부(100)가 위치되는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광원부(100)의 가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일례로, 도 8을 참조하면, 제1 방향(w1)으로 상기 작업영역(S200) 내에 제1 물체(31)가 진입되면서, 제3 방향(w3)으로 상기 작업영역(S200) 내에 제 2 물체(30)가 진입되는 경우, 제2 변(200b)을 포함하는 영역이 제1 위험영역(R300-1)이고, 상기 제1 변(200a)을 포함하는 영역이 제1 안전영역(R100-1)이고, 상기 스테이지부(200)의 중심점(200e)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위험영역(R300-1)과 제1 안전영역(R100-1) 사이에 형성되는 영역이 제1 중간영역(R200-1)일 수 있다.
또한, 제4 변(200d)을 포함하는 영역이 제2 위험영역(R300-2)이고, 상기 제3 변(200c)을 포함하는 영역이 제2 안전영역이고, 상기 스테이지부(200)의 중심점(200e)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위험영역(R300-2)과 제2 안전영역(R100-2) 사이에 형성되는 영역이 제2 중간영역(R200-2)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안전영역(R100-1), 제1 중간영역(R200-1), 제1 위험영역(R300-1), 제2 안전영역(R100-2), 제2 중간영역(R200-2) 및 제2 위험영역(R300-2)에 의해 구분되는 영역을 상기 상기 제4 변(200d)에서 상기 제3 변(200c)방향으로 상기 제2 변(200b)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해서 제1-1 섹션(R11), 제1-2 섹션(R12), 제1-3 섹션(R13), 제2-1 섹션(R21), 제2-2 섹션(R22), 제2-3 섹션(R23), 제3-1 섹션(R31), 제3-2 섹션(R32) 및 제3-3 섹션(R33)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최종 위험영역은 제1-1 섹션(R11), 제1-2 섹션(R12), 제1-3 섹션(R13), 제2-1 섹션(R21), 제3-1 섹션(R31)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최종 중간영역은 제2-2 섹션(R22), 제2-3 섹션(R23), 제3-2 섹션(R32)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최종 안전영역은 제3-3 섹션(R33)일 수 있다.
다른 구체적인 일례로, 도 9를 참조하면, 제3 방향(w3)으로 상기 작업영역(S200) 내에 제1 물체(31)가 진입되면서, 제4 방향(w4)으로 물체(30)가 진입되는 경우, 제4 변(200d)을 포함하는 영역이 제1 위험영역(R300-1)이고, 제3 변(200c)을 포함하는 영역이 제1 안전영역(R100-1)이고, 상기 스테이지부(200)의 중심점(200e)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위험영역(R300-1)과 제1 안전영역(R100-1) 사이에 형성되는 영역이 제1 중간영역(R200-1)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변(200c)을 포함하는 영역이 제2 위험영역(R300-2)이고, 제4 변(200d)을 포함하는 영역에 제2 안전영역(R100-2)이고, 상기 스테이지부(200)의 중심점(200e)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위험영역(R300-2)과 제2 안전영역(R100-2) 사이에 형성되는 영역이 제2 중간영역(R200-2)일 수 있다.
상기 제1 위험영역(R300-1)과 상기 제2 안전영역(R100-2)은 동일한 영역을 공유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위험영역(R300-2)과 상기 제1 안전영역(R100-1)은 동일한 영역을 공유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중간영역(R200-1)과 상기 제2 중간영역(R200-2)은 동일한 영역을 공유할 수 있다.
최종 위험영역은 제1 위험영역(R300-1)과 제2 위험영역(R300-2)일 수 있다.
최종 중간영역은 제1 중간영역(R200-1)과 제2 중간영역(R200-2)일 수 있다.
최종 안전영역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물체(31) 및 제2 물체(32)의 진입 방향은 하나의 예시로서, 복수의 물체(30)의 진입 방향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술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진입되는 경우, 중복되는 한도에서 서술을 생략할 수 있다.
상술한 영역 판단은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진입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어부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에 제공되는 스테이지부를 가상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또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제어부는 제1 물체가 제1 임의의 방향으로 상기 작업영역(S200, 도 1 참조) 내에 진입되고, 제2 물체가 제2 임의의 방향으로 상기 작업영역(S200) 내에 진입되고, 상기 제3 물체가 제3 임의의 방향으로 상기 작업영역(S200) 내 진입되는 때, 상기 광원부(100) 중에서 레이저를 발광하는 상기 광원부(100, 도 1 참조)가 최종 위험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레이저를 발광하는 상기 광원부(100)가 움직이려는 방향이 상기 제1 임의의 방향, 상기 제2 임의의 방향 및 상기 제3 임의의 방향과 같은 방향이더라도, 상기 광원부(100)의 가동이 중단되도록 상기 광원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어부는 제1 물체가 제1 임의의 방향으로 상기 작업영역(S200) 내에 진입되고, 제2 물체가 제2 임의의 방향으로 상기 작업영역(S200) 내에 진입되고, 상기 제3 물체가 제3 임의의 방향으로 상기 작업영역(S200) 내 진입되는 때, 상기 광원부(100) 중에서 레이저를 발광하는 상기 광원부(100)가 최종 중간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레이저를 발광하는 상기 광원부(100)가 움직이려는 방향이 물체(30)가 진입되지 않은 방향과 반대 방향일 경우, 상기 광원부(100)가 가동되도록 상기 광원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영역 구분 방법 및 광원부(100) 제어방법은 상술한 방법에 의해서 제1 물체)가 제1 임의의 방향으로 상기 작업영역(S200) 내에 진입되고, 제2 물체가 제2 임의의 방향으로 상기 작업영역(S200) 내에 진입되고, 제3 물체가 제3 임의의 방향으로 상기 작업영역(S200) 내에 진입하였을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물체(31)가 제1 방향(w1)으로 상기 작업영역(S200) 내에 진입되고, 제2 물체(32)가 제2 방향(w2)으로 상기 작업영역(S200) 내에 진입되고, 제3 물체(33)가 제3 방향(w3)으로 상기 작업영역(S200) 내에 진입되는 경우를 생각해볼 수 있다.
제1 물체(31)가 제1 방향(w1)으로 진입되는 경우, 상술한 방법과 마찬가지로 상기 스테이지부(200) 상에 제1 안전영역(R100-1), 제1 중간영역(R200-1) 및 제1 위험영역(R300-1)이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물체(32)가 제2 방향(w2)으로 진입되는 경우, 상술한 방법과 마찬가지로 상기 스테이지부(200) 상에 제2 안전영역(R100-2), 제2 중간영역(R200-2) 및 제2 위험영역(R300-2)이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물체(33)가 제3 방향(w3)으로 진입되는 경우, 상술한 방법과 마찬가지로 상기 스테이지부(200) 상에 제3 안전영역(R100-3), 제3 중간영역(R200-3) 및 제3 위험영역(R300-3)이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이지부(200)를 상술한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섹션을 나눌 수 있다.
상기 최종 위험영역은 제1-1 섹션(R11), 제1-2 섹션(R12), 제1-3 섹션(R13), 제2-1 섹션(R21), 제3-1 섹션(R31), 제3-2 섹션(R32) 및 제3-3 섹션(R33)일 수 있다.
상기 최종 중간영역은 제2-2 섹션(R22), 제2-3 섹션(R23)일 수 있다.
상기 최종 안전영역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광원부(100) 중에서 레이저를 발광하는 상기 광원부(100)가 최종 위험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광원부(100)는 가동이 중단될 수 있다.
또한, 광원부(100) 중에서 레이저를 발광하는 상기 광원부(100)가 최종 중간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광원부(100)는 제3 방향(w3)으로만 위치 이동될 수 있고, 제1 방향(w1), 제2 방향(w2) 및 제4 방향(w4)으로 위치 이동되려고 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부(100)의 가동이 중단되도록 상기 광원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물체(31), 제2 물체(32) 및 제3 물체(33)의 진입 방향은 하나의 예시로서, 복수의 물체(30)의 진입 방향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술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진입되는 경우, 중복되는 한도에서 서술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에 제공되는 스테이지부를 가상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또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제어부는 제1 물체가 제1 임의의 방향으로 상기 작업영역(S200, 도 1 참조) 내에 진입되고, 제2 물체가 제2 임의의 방향으로 상기 작업영역(S200) 내에 진입되고, 상기 제3 물체가 제3 임의의 방향으로 상기 작업영역(S200) 내 진입되고, 제4 물체가 제4 임의의 방향으로 상기 작업영역(S200) 내에 진입되는 때, 상기 광원부(100, 도 1참조) 중에서 레이저를 발광하는 광원부(100)가 존재할 경우, 상기 광원부(100)의 가동을 중단하도록 상기 광원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도 11을 참조하면, 상술한 방법에 의해 영역을 구분하며, 최종 위험영역은 제1-1 섹션(R11), 제1-2 섹션(R12), 제1-3 섹션(R13), 제2-1 섹션(R21), 제2-3 섹션(R23), 제3-1 섹션(R31), 제3-2 섹션(R32) 및 제3-3 섹션(R33)일 수 있고, 최종 중간영역은 제2-2 섹션(R22)일 수 있다.
레이저를 발광하는 광원부(100)가 상기 최종 위험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상술한 제어방법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부(100)의 가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또한, 레이저를 발광하는 광원부(100)가 상기 중간 위험영역(R300)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광원부(100)를 어느 방향으로 위치 이동시켜도 물체(30)가 진입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이므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부(100)의 가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결국, 모든 방향에서 물체(30)가 진입되었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부(100)의 가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1 물체(31)가 제1 임의의 방향으로 상기 작업영역(S200) 내에 진입되고, 제2 물체(32)가 제2 임의의 방향으로 상기 작업영역(S200) 내에 진입되고, 상기 제3 물체(33)가 제3 임의의 방향으로 상기 작업영역(S200) 내 진입되고, 제4 물체(34)가 제4 임의의 방향으로 상기 작업영역(S200) 내에 진입되는 때, 상기 광원부(100)는 위치 이동을 정지하고, 상기 유리(20)가 가공되지 않을 정도의 약한 레이저를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상기 광원부가 유리를 가공할 때 방출되는 레이저와 다른 색깔의 레이저를 방출하도록 상기 광원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지부의 일면에는 전기가 유동되어 물체에 전기 충격을 가할 수 있는 전기충격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지부에 진입한 물체가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동안 상기 스테이지부에 진입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테이지부를 통해 상기 물체에 전기 충격을 가하도록 상기 스테이지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은 제어부에 의해 설정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스테이지부 기능에서 의해 물체(동물 혹은 벌레)에 레이저 가공 공정이 방해되는 것을 최소화 하여 제작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설명한 기술적 특징은 다른 예시에도 적용될 수 있고, 이제 대한 자세한 서술은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 광원부 200 : 스테이지부
300 : 비전 20 : 유리

Claims (11)

  1. 유리 - 상기 유리는 일면을 이루는 제1 평면 및 상기 유리의 타면을 이루는 제2 평면을 포함함. - 에 지문을 인식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감지수단이 안착되는 배치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에 있어서,
    상기 유리를 가공하기 위한 소정의 레이저를 방출하여 상기 유리의 상기 제1 평면을 가공하는 광원부;
    상기 유리가 안착되어 상기 유리가 가공되는 과정에서 상기 유리가 위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유리를 고정하는 스테이지부;
    상기 유리의 상기 제1 평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비전; 및
    상기 비전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기초로 상기 광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유리에 상기 제1 평면으로부터 함몰되는 복수의 주요홈을 가공하는 제1 광원부;
    상기 제1 광원부에 의해 가공되지 않은 상기 제1 평면 및 복수의 상기 주요홈으로부터 함몰되는 추가홈을 가공하는 제2 광원부; 및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에 의해 가공되지 않은 제1 평면, 상기 주요홈, 상기 추가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함몰되는 미세홈을 가공하는 제3 광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배치공간 내에서 열 단위로 상기 유리에 상기 주요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광원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광원부에 의해 상기 주요홈의 가공 정도에 따라 상기 제2 광원부가 추가홈을 가공하도록 상기 제2 광원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광원부가 상기 유리에 제1 열의 주요홈 및 제2 열의 주요홈을 가공하였을 경우,
    상기 제2 광원부가 상기 제1 열의 주요홈 및 상기 제2 열의 주요홈의 사이에 상기 추가홈을 가공하도록, 상기 제2 광원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2 광원부는,
    제1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광원부에서 방출되는 레이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레이저를 방출하고,
    상기 제3 광원부는,
    제1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2 광원부에서 방출되는 레이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레이저를 방출하는,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광원부는,
    상기 제1 평면 상의 배치공간을 규정하는 가상의 선인 경계라인을 따라서 위치 이동되어, 상기 미세홈을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은,
    미세홈이 가공되는데 요구되는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에 의해 가공되지 않은 상기 제1 평면의 면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전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에 의해 가공되지 않은 상기 제1 평면의 면적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3 광원부의 이동 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
  7. 제1항에 있어서,
    제1 방향으로 상기 스테이지부와 상기 광원부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되는 작업영역 내에 물체가 진입되는지 여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작업영역 내에 물체가 진입되는지 여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직교하는 제3 방향으로 작업영역 내에 물체가 진입되는지 여부 및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직교하며 상기 제3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4 방향으로 작업영역 내에 물체가 진입되는지 여부에 대한 진입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제공된 상기 진입 정보를 기초로, 상기 광원부의 가동 여부를 제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부 중에서 레이저를 발광하는 상기 광원부가 움직이려는 방향이,
    상기 작업영역 내에 진입된 물체가 진입된 방향과 반대되는 경우, 상기 광원부의 가동이 중단되도록, 상기 광원부를 제어하고,
    상기 작업영역 내에 진입된 물체가 진입된 방향과 같은 경우, 상기 광원부가 가동되도록, 상기 광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체가 임의의 방향으로 상기 작업영역 내에 진입되었을 때,
    상기 광원부 중에서 레이저를 발광하는 상기 광원부가 안전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레이저를 발광하는 상기 광원부가 움직이려는 방향이 상기 임의의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이더라도, 상기 광원부가 가동되도록, 상기 광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체가 임의의 방향으로 상기 작업영역 내에 진입되었을 때,
    상기 광원부 중에서 레이저를 발광하는 상기 광원부가 위험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레이저를 발광하는 상기 광원부가 움직이려는 방향이 상기 임의의 방향과 같은 방향이더라도, 상기 광원부의 가동이 중지되도록, 상기 광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
  11. 제10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위험 정보를 송출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체가 상기 임의의 방향으로 상기 작업영역 내에 진입되었을 때,
    상기 광원부 중에서 레이저를 발광하는 상기 광원부가 중간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사용자가 위험 정보를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
KR1020170121774A 2017-09-21 2017-09-21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 KR101946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774A KR101946622B1 (ko) 2017-09-21 2017-09-21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
PCT/KR2017/012576 WO2019059451A1 (ko) 2017-09-21 2017-11-08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774A KR101946622B1 (ko) 2017-09-21 2017-09-21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6622B1 true KR101946622B1 (ko) 2019-05-08

Family

ID=65810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774A KR101946622B1 (ko) 2017-09-21 2017-09-21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46622B1 (ko)
WO (1) WO2019059451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854B1 (ko) * 2005-10-19 2007-04-23 (주)하드램 유리 천공장치 및 유리 천공방법
JP5906198B2 (ja) * 2011-02-08 2016-04-20 株式会社フジクラ 微細孔を有する基体の製造方法、及び基体
KR101686235B1 (ko) * 2016-05-27 2016-12-15 (주) 아이시스 스마트폰용 윈도우글라스 제조방법 및 스마트폰용 윈도우글라스 제조용 폴리싱머신
KR20170006489A (ko) * 2015-07-08 2017-01-18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유리 가공물 절단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662B1 (ko) * 2007-07-13 2009-10-14 주식회사 코윈디에스티 Uv 레이저를 이용한 기판의 절단 장치 및 방법
KR101051915B1 (ko) * 2009-07-10 2011-07-26 주식회사 프로코텍 터치스크린 및 휴대단말기용 강화 글라스윈도우 가공방법
KR20160071352A (ko) * 2014-12-11 2016-06-21 크루셜텍 (주) 전자기기 커버윈도우 일체형 지문센서 모듈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854B1 (ko) * 2005-10-19 2007-04-23 (주)하드램 유리 천공장치 및 유리 천공방법
JP5906198B2 (ja) * 2011-02-08 2016-04-20 株式会社フジクラ 微細孔を有する基体の製造方法、及び基体
KR20170006489A (ko) * 2015-07-08 2017-01-18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유리 가공물 절단방법
KR101686235B1 (ko) * 2016-05-27 2016-12-15 (주) 아이시스 스마트폰용 윈도우글라스 제조방법 및 스마트폰용 윈도우글라스 제조용 폴리싱머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59451A1 (ko) 201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58097B (zh) 对分割监视区域得到的空间区域进行监视的监视装置
AU2015218535B2 (en) Proximity detection system with concurrent RF and magnetic fields
US2016004082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afeguarding an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
KR101950333B1 (ko) 비상 조명등
EP2883648B1 (en) Laser cutting apparatus and cutting method therefor
JP4481549B2 (ja) 多光軸光電式安全装置
JP2010000573A (ja) ボルト締め付け判定装置
KR101946622B1 (ko) 언더 글라스 레이저 가공 장비
JPWO2009005145A1 (ja) レーザ加工装置、加工制御装置および加工装置
US9372278B2 (en) Light-based position control of a manual picking process
JPH07223148A (ja) Nc工作機械における工具チェック装置
KR20090017748A (ko) 비접촉식 3차원 형상 계측장치에서 피계측물 스캐닝 방법
US10082781B2 (en) Machining program creation apparatus for wire electrical discharge machine
KR101875106B1 (ko) 휴대용 비상 조명 장치
CN205342229U (zh) 雷射切割装置
KR20230144927A (ko) 천장크레인 하부 안전 제어시스템
US11625047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fining robotic devices
KR101751206B1 (ko) 프로젝션 기반의 팔레타이징 가이드 방법
KR102206921B1 (ko) 고소작업 하부 통제 시스템 및 통제 방법
KR101678985B1 (ko) 레이저 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이저 가공방법
CN108748398B (zh) 一种能够高精度定位的线路板切割装置
JPH09150285A (ja) 熱切断加工における製品の立上がり検出方法および同方法に使用する熱切断加工装置
CN111958984A (zh) 激光焊接设备
JPS60127775A (ja) レ−ザ制御装置
KR20210048668A (ko) 화로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