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6565B1 - 차선도포기 - Google Patents

차선도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6565B1
KR101946565B1 KR1020170053958A KR20170053958A KR101946565B1 KR 101946565 B1 KR101946565 B1 KR 101946565B1 KR 1020170053958 A KR1020170053958 A KR 1020170053958A KR 20170053958 A KR20170053958 A KR 20170053958A KR 101946565 B1 KR101946565 B1 KR 101946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d
main body
state
joint
transmiss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3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0028A (ko
Inventor
하연희
하용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스라인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스라인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스라인기계
Priority to KR1020170053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6565B1/ko
Publication of KR20180120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0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166Means for dispensing particulate material on to freshly applied markings or into the marking material after discharge thereof, e.g. reflective beads, grip-improving p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차선도포기를 개시한다.
이러한 차선도포기는, 구동축에 설치된 바퀴들의 회전에 의해 도로의 노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측에서 도로의 노면 상에 도료를 도포할 수 있는 상태로 배치되며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노면 상에 도료의 도포가 가능하게 로딩되거나 언로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도포슈와, 상기 도포슈의 후방 측에 배치되며 공급로울러의 회전 동작으로 도료의 도포층 상에 비드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비드공급기와, 전달축과 연결구를 구비하고 상기 비드공급기의 공급로울러가 상기 본체의 구동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서 회전 동작될 수 있도록 연결 형성되는 비드공급 구동부, 및 상기 도포슈의 로딩 또는 언로딩 동작과 연계하여 상기 비드공급 구동부의 연결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비드공급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선도포기{A LANE COATING MACHINE}
본 발명은 차선도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 표시된 차선들은 차선도포기를 이용하여 레진계의 도료(塗料)를 노면 상에 도포 시공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차선을 시공하는 작업은 대부분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 환경에서 작업자가 중량물인 차선도포기를 직접 조작하여 차선 시공 방향으로 함께 움직이는 상태로 진행되므로, 작업 안전성 및 작업 효율성을 최대한 높이려면 차선도포기의 조작 편의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차선도포기의 조작 편의성을 확보하려면, 주요 구성부들 중에서 특히 도료의 도포 작업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도포슈와 비드공급기의 조작성을 최대한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차선 도포 시공 작업에 사용되는 장치로는, "특허등록 제10-1181297호의 차선도포기."가 있다.
하지만, 상기 특허등록 제10-1181297호의 차선도포기는 도료용융조(배출구)는 물론이거니와, 도색기, 비드분사기와 같은 주요 구성부들이 각각 개별 조작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차선 도포 시공 작업시 만족할 만한 조작 편의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구조적 단점이 있다.
더욱이, 이와 같이 주요 구성부들을 개별 조작하려면, 작업자의 숙련도가 요구될 뿐만 아니라, 작업 피로도를 가중시켜서 작업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선(車線) 도포 시공시 한층 향상된 조작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선도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구동축에 설치된 바퀴들의 회전에 의해 도로의 노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측에서 도로의 노면 상에 도료를 도포할 수 있는 상태로 배치되며,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노면 상에 도료의 도포가 가능하게 로딩되거나 언로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도포슈;
상기 도포슈의 후방 측에 배치되며, 공급로울러의 회전 동작으로 도료의 도포층 상에 비드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비드공급기;
전달축과 연결구를 구비하고, 상기 비드공급기의 공급로울러가 상기 본체의 구동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서 회전 동작될 수 있도록 연결 형성되는 비드공급 구동부;
상기 도포슈의 로딩 또는 언로딩 동작과 연계하여 상기 비드공급 구동부의 연결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비드공급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선도포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차선도포기 본체의 이동 동작과 연계하여 비드공급기의 작동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도포슈의 로딩 또는 언로딩 동작과 연계하여 비드공급기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는 조작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므로, 차선 도포 시공 작업시 한층 향상된 조작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만족할 만한 작업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선도포기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선도포기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선도포기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7은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일실시 예에 따른 차선도포기는, 본체(2)와, 도포슈(4), 비드공급기(6), 비드공급 구동부(8), 및 비드공급 제어부(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2)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구동축(A1) 측에 설치된 바퀴(A)들에 의해 도로(R)의 노면(R1) 상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구동축(A1)은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엔진과 같은 구동원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으로 동력을 전달받아서 회전 구동되도록 형성된다.
본체(2) 측에는 도료저장통(B)이 배치되며, 이 도료저장통(B)은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도료(W)가 굳지 않도록 교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후술하는 도포슈(4) 측으로 도료(W)가 공급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포슈(4)는 본체(2) 측의 도료저장통(B)으로부터 도료(W)를 공급받아서 차선(L) 형태와 부합하는 상태로 노면(R1) 상에 도료(W)를 도포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도포슈(4)는 도 1에서와 같이 본체(2)의 측부에 힌지결합으로 연결 고정되며, 손잡이(C)의 조작에 의해 힌지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노면(R1) 상에 도료(W)의 도포가 가능하게 놓여진 로딩 상태, 또는 노면(R1)으로부터 들어 올려진 언로딩 상태로 조작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손잡이(C)는 도포슈(4) 측에 일단이 고정된 막대 타입으로 형성되며, 본체(2)의 뒤쪽에 작업자가 위치된 상태에서 손으로 용이하게 잡은 상태로 조작할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된다.
도포슈(4)는 도 1에서와 같이 하부 측에 개폐기(D)가 형성되어 내측에 담겨진 도료(W)가 개폐기(D)의 개폐 동작 의해 아래쪽으로 토출되면서 노면(R1) 상에 도포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도포슈(4)는 본체(2)의 이동 중에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노면(R1) 상에 놓여진 로딩 상태로 이동되면서 차선(L)의 시공과 부합하는 상태로 도료(W)가 도포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그리고,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본체(2) 측에는 도포슈(4)와 대응하는 가열기가 제공되며, 이 가열기는 도포슈(4) 측에 담겨진 도료(W)가 굳지 않게 가열 처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비드공급기(6)는 도포슈(4)에 의해 노면(R1) 상에 도포된 도료(W)의 도포층(W1) 상에 비드(E, bead)를 공급할 수 있는 상태로 본체(2) 측에 제공된다.
비드공급기(6)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비드(E)가 담겨질 수 있는 형태를 가지며, 하부에는 비드(E)의 배출 공급을 위한 공급로울러(F)가 구비된다.
공급로울러(F)는 비드공급기(6)의 내측에 담겨진 비드(E)를 로울러 회전에 의해 낙하 배출시키는 상태로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공급로울러(F)는 슬릿형의 비드홈(F1)들이 로울러 둘레부 측에 간격을 띄우고 형성되어, 비드공급기(6)의 내측 하부에서 로울러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 비드(E)들이 비드홈(F1)들의 홈부 측에 균일하게 안착 배열된 상태로 순차적으로 배출 공급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비드공급기(6)는 도 1에서와 같이 도포슈(4)와 간격을 띄우고 후방 측에 배치되는 상태로 본체(2) 측에 설치되며,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본체(2) 측의 비드저장통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으로 비드(E)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셋팅된다.
한편, 비드공급 구동부(8) 및 비드공급 제어부(10)는 본체(2) 및 도포슈(4) 측과 연계하여 비드공급기(6)의 구동 및 구동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비드공급 구동부(8)는 본체(2)의 이동시 동력을 전달받아서 비드(E)의 배출 공급이 가능하게 비드공급기(6)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비드공급 구동부(8)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비드공급기(6)의 공급로울러(F) 측과 연결되는 전달축(G)과, 이 전달축(G)과 본체(2)의 바퀴(A) 구동축(A1) 간을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구(H)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전달축(G)은 공급로울러(F) 측과 서로 동축을 이루는 상태로 축의 단부 측이 서로 연결된 상태로 셋팅되며, 본체(2)의 하부 측에서 축선을 중심으로 자유 회전이 가능하게 고정 설치된다.
연결구(H)는 본체(2)의 이동시 바퀴(A)의 구동축(A1)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전달축(G)이 회전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전달축(G)과 구동축(A1) 간을 체인과 스프라켓으로 연결하는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본체(2)가 전진 이동될 때 바퀴(A)의 구동축(A1) 회전력이 연결구(H)를 통해서 전달축(G) 측에 전달되면서 구동축(A1)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전달축(G)이 회전되고, 이 전달축(G)과 연결된 비드공급기(6)의 공급로울러(F)가 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러므로, 비드공급 구동부(8)는 본체(2)의 이동 동작과 연계하여 비드(E) 공급이 가능하게 비드공급기(6)를 작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비드공급 제어부(10)는 도포슈(4)의 로딩 또는 언로딩 조작과 연계하여 동력전달 또는 해제가 가능하게 비드공급 구동부(8)의 연결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비드공급 제어부(10)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도포슈(4)의 손잡이(C)를 언로딩 상태로 받쳐주기 위한 손잡이 거치대(I)와, 비드공급 구동부(8)의 전달축(G)을 이음 또는 이음 해제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연결하는 전환이음구(J)와, 손잡이 거치대(I)의 거치 상태에 따라 링크절 운동되면서 전환이음구(J) 측을 전환 동작시키기 위한 링크체인(K)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손잡이 거치대(I)는 도 1에서와 같이 도포슈(4)의 손잡이(C) 측을 받쳐줄 수 있는 브래킷 형태를 가지며, 손잡이(C)가 위로 들어 올려진 상태로 거치될 수 있도록 본체(2) 측에 설치된다.
손잡이 거치대(I)는 본체(2) 측에 힌지핀(I1)으로 연결 고정되어 손잡이(C)의 거치 상태에 따라 힌지핀(I1)의 결합지점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상태로 본체(2) 측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손잡이 거치대(I1)는 손잡이(C)가 거치된 상태(도포슈 언로딩 상태)에서는 거치 하중에 의해 아래쪽으로 이동되고, 손잡이(C)가 비(非)거치된 상태(도포슈 로딩 상태)에서는 위로 이동될 수 있도록 셋팅된다.
전환이음구(J)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고정이음구(J1) 및 이동이음구(J2)로 구성되며, 고정이음구(J1)는 연결구(H)의 전달축(G) 측의 스프라켓 측에 일체로 연결 고정되고, 이동이음구(J2)는 고정이음구(J1) 측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전달축(G) 측에 끼워진 상태로 배치된다.
이때, 이동이음구(J2)는 전달축(G)의 축선방향으로는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고, 회전방향으로는 걸림 접촉(예: 키 걸림 구조)이 가능하게 셋팅되며, 전달축(G)은 연결구(H)의 스프라켓 측에 자유 회전이 가능하게 일단이 끼워지고, 타단은 유니버셜 조인트(J3)로 비드공급기(6)의 공급로울러(F) 일단과 연결된 상태로 셋팅된다.
그리고, 고정이음구(J1)와 이동이음구(J2) 측에는 서로 대응하는 형태로 걸림부(J4, 예: 톱니 모양)가 각각 형성되어, 두 개의 이음구(J1, J2)가 서로 밀착될 때 전달축(G)의 회전방향으로 걸림부(J4)들의 걸림 접촉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링크체인(K)은 손잡이 거치대(I) 측에 도포슈(4)의 손잡이(C)가 거치되거나 비거치된 상태에 따라 고정이음구(J1) 측을 향하여 이동이음구(J2)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로 링크절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연결 형성된다.
특히, 링크체인(K)은 손잡이 거치대(I)가 힌지핀(I1)을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이동되는 동작(거치 상태)과 연계하여 전환이음구(J)를 이음 해제 상태로 전환시키고, 손잡이 거치대(I)가 위쪽으로 이동되는 동작(비거치 상태)과 연계하여 전환이음구(J)를 이음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링크절 운동이 가능하게 연결 셋팅된다.
즉, 링크체인(K)은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링크핀(K4)들로 연결된 상태로 손잡이 거치대(I) 측과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이동이음구(J2)와 대응하는 전환레버(K1) 측과 연결된다.
전환레버(K1)는 본체(2)의 하부 측에서 링크체인(K) 측과 연결된 레버핀(K2)으로 고정되어 링크체인(K)의 링크절 운동시 레버핀(K2)에 의해 회동되는 상태로 이동이음구(J2)를 움직여서 고정이음구(J1) 측을 향하여 전,후진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로 작동되도록 셋팅된다.
그리고, 전환레버(K1)는 손잡이 거치대(I)가 거치 상태에서 비거치 상태로 전환될 때, 탄성부재(K3, 예: 인장코일스프링)에 의해 레버핀(K2)을 중심으로 탄력적으로 당겨지면서 전환이음구(J)가 이음 상태로 전환되고, 링크체인(K)의 링크절 운동을 유도하여 손잡이 거치대(I)가 위쪽으로 이동된 상태를 탄력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상태로 작동 가능하게 셋팅된다.
이러한 비드공급 구동부(8) 및 비드공급 제어부(10)는 도포슈(4)가 노면(R1) 상에 도료(W)의 도포가 가능하게 로딩되거나, 언로딩된 상태에 따라 이와 연계하여 도포 작업과 부합하는 상태로 비드공급기(6)의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포슈(4)가 노면(R1) 상에서 언로딩되도록 도 3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손잡이 거치대(I) 측에 도포슈(4)의 손잡이(C)가 거치될 때에는, 손잡이 거치대(I)가 아래쪽으로 이동되는 동작과 연계하여 링크체인(K)이 링크절 운동되면서 전환이음구(J)가 이음 해제 상태로 작동된다.
즉, 전환이음구(J)는 링크체인(K)의 링크절 운동에 의한 전환레버(K1)의 전환동작에 의해 고정이음구(J1) 측에서 이동이음구(J2)가 분리되는 상태로 작동되면서 회전력 전달을 위한 걸림부(J4)들의 걸림 접촉이 해제된다.
그러면, 본체(2)의 바퀴(A)의 구동축(A1)이 회전되더라도 이 구동축(A1)의 회전력이 비드공급기(6)의 공급로울러(F) 측에 전달되지 않으므로, 비드(E)가 배출 공급되지 않는 상태로 비드공급기(6)의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도포슈(4)가 노면(R1) 상에 로딩되도록 도 5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도포슈(4)의 손잡이(C)를 손잡이 거치대(I) 측에서 비거치 상태로 분리시키면, 이 손잡이 거치대(I)가 위쪽으로 이동되는 동작과 연계하여 링크체인(K)이 링크절 운동되면서 전환이음구(J)가 이음 상태로 전환 작동된다.
즉, 전환이음구(J)는 링크체인(K)의 링크절 운동에 의한 전환레버(K1)의 전환동작에 의해 고정이음구(J1) 측에 이동이음구(J2)가 밀착되는 상태로 작동되면서 회전력 전달이 가능하게 걸림부(J4)들이 서로 걸림 접촉된다.
그러면, 본체(2)의 이동을 위하여 바퀴(A)의 구동축(A1)이 회전될 때, 이 구동축(A1)의 회전력이 비드공급기(6)의 공급로울러(F) 측에 전달되면서 비드(E)가 배출 공급될 수 있는 상태로 비드공급기(6)의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비드공급 제어부(10)는 도 7에서와 같이 전환이음구(J)와 대응하는 보호구(J5)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보호구(J5)는 원통형의 튜브 형태로 이루어지며, 고정이음구(J1)와 이동이음구(J2)의 둘레부 측을 감싸는 상태로 끼워져서 이 이음구(J1, J2)들 사이를 외부와 차단하는 연결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보호구(J5)는 튜브 길이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튜브 형태(예: 주름 튜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보호구(J5)는 고정이음구(J1)와 이동이음구(J2)가 서로 마주하는 상태에서 이동이음구(J2)의 이동 동작과 연계하여 튜브 길이가 탄력적으로 변화되는 연결 상태를 이루면서 두 개의 이음구(J1, J2) 사이를 외부로부터 차단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보호구(J5)는 예를 들어 노면(R1) 상에 존재하는 각종 이물질들이나 비산 먼지들이 두 개의 이음구(J1, J2)들의 걸림부(J4) 측에 끼이는 현상을 억제하여 전환이음구(J)의 전환 작동 안정성이 한층 더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로(R) 상에서 본체(2)를 이동시키면서 노면(R1) 상에 도료(W)를 도포하는 방식으로 차선(L)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특히 도료(W)의 도포를 위한 도포슈(4)의 로딩 또는 언로딩 조작과 연계하여 도포 작업과 부합하는 상태로 비드공급기(6)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차선(L) 시공 작업시 한층 향상된 조작 편의성 및 작업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
2: 본체 4: 도포슈 6: 비드공급기
8: 비드공급 구동부 10: 비드공급 제어부 L: 차선
R: 도로 R1: 노면 W: 도료

Claims (7)

  1. 구동축에 설치된 바퀴들의 회전에 의해 도로의 노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측에서 도로의 노면 상에 도료를 도포할 수 있는 상태로 배치되며,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노면 상에 도료의 도포가 가능하게 로딩되거나 언로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도포슈;
    상기 도포슈의 후방 측에 배치되며, 공급로울러의 회전 동작으로 도료의 도포층 상에 비드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비드공급기;
    전달축과 연결구를 구비하고, 상기 비드공급기의 공급로울러가 상기 본체의 구동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서 회전 동작될 수 있도록 연결 형성되는 비드공급 구동부;
    상기 도포슈의 로딩 또는 언로딩 동작과 연계하여 상기 비드공급 구동부의 연결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비드공급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비드공급 제어부는,
    상기 본체 측에서 상기 도포슈의 손잡이 측을 언로딩 상태로 받쳐줄 수 있도록 배치되는 손잡이 거치대와, 상기 비드공급 구동부의 전달축을 이음 또는 이음 해제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연결하는 전환이음구와, 상기 손잡이 거치대의 거치 상태에 따라 링크절 운동되면서 상기 전환이음구 측을 전환 동작시키기 위한 링크체인을 구비하고,
    상기 전환이음구는,
    걸림부가 각각 형성된 고정이음구와 이동이음구로 구성되며, 상기 걸림부들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간격이 좁혀지거나 벌어질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전달축 측에 셋팅되는 차선도포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드공급 구동부는,
    상기 비드공급기의 공급로울러 측과 상기 전달축이 연결되고, 이 전달축과 상기 본체의 바퀴 구동축이 상기 연결구에 의해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태로 셋팅되는 차선도포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체인과 스프라켓을 사용하고, 상기 본체의 바퀴 구동축이 회전될 때 상기 전달축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상태로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셋팅되는 차선도포기.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거치대는,
    상기 본체 측에 힌지핀으로 연결 고정되어, 상기 도포슈의 손잡이 거치 상태에 따라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상태로 셋팅되는 차선도포기.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체인은,
    상기 손잡이 거치대 측에 상기 도포슈의 손잡이가 거치되거나 비거치된 상태에 따라 상기 전환이음구의 전환 동작과 부합하는 상태로 링크절 운동이 가능하게 연결 형성되는 차선도포기.
KR1020170053958A 2017-04-26 2017-04-26 차선도포기 KR101946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958A KR101946565B1 (ko) 2017-04-26 2017-04-26 차선도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958A KR101946565B1 (ko) 2017-04-26 2017-04-26 차선도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028A KR20180120028A (ko) 2018-11-05
KR101946565B1 true KR101946565B1 (ko) 2019-02-14

Family

ID=64329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3958A KR101946565B1 (ko) 2017-04-26 2017-04-26 차선도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656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255B1 (ko) * 2010-07-07 2010-12-21 (주)중앙건설 차량 장착형 도로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255B1 (ko) * 2010-07-07 2010-12-21 (주)중앙건설 차량 장착형 도로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028A (ko) 201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11390C (en) A modular device for simultaneously spreading cut fibers and binders and a spreading machine
KR101075578B1 (ko) 자기력을 이용한 강구조물 표면 이동 장치
US20100183414A1 (en) Work conveying apparatus
CN106795710A (zh) 用于管道工具的馈送控制装置
KR20160022516A (ko) 포트홀 복구 차량
KR100700037B1 (ko) 전동식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
KR101946565B1 (ko) 차선도포기
EP3423334B1 (en) Walk behind power equipment with tight turning capability
CA2962208C (en) Walk behind power equipment with zero turn capability
CN111051613B (zh) 铲斗清洁
JP7033991B2 (ja) エレベータ用ガイドレール清掃装置
JP6268005B2 (ja) ホース送出し巻取り装置
JP7130612B2 (ja) 転圧車両
KR200495076Y1 (ko) 이물질 침투 방지를 위한 벨로우즈형 커버가 구비된 호스 권취장치
JP3442680B2 (ja) 薬液散布機
JP7419210B2 (ja) プライマー塗布機
KR100603152B1 (ko) 방제기
JP4317140B2 (ja) 除雪機
JP6541567B2 (ja) 歩行型作業機
KR20180132289A (ko) 차선도포기
JP3678341B2 (ja) 自走式ホース巻取り装置
KR200354479Y1 (ko) 농업용 분무기 장치대의 호스릴 구동장치
WO2015153430A1 (en) Self activating bead dispenser
JP4499858B2 (ja) 動力噴霧機用ホース巻取機構
JP6514099B2 (ja) 歩行型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