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6324B1 - 카드 소켓 장치 - Google Patents

카드 소켓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6324B1
KR101946324B1 KR1020120090791A KR20120090791A KR101946324B1 KR 101946324 B1 KR101946324 B1 KR 101946324B1 KR 1020120090791 A KR1020120090791 A KR 1020120090791A KR 20120090791 A KR20120090791 A KR 20120090791A KR 101946324 B1 KR101946324 B1 KR 101946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card
latching
stoppe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0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4167A (ko
Inventor
곽진영
이규희
윤병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0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6324B1/ko
Priority to CN201220598461XU priority patent/CN203086521U/zh
Publication of KR20140024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4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 H01R13/501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comprising an integral hinge or a frangible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16Mechanic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identification devices, e.g. cards or chips; with connectors for programming identifica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 설치되는 카드 소켓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카드 수용 공간을 갖는 소켓 하우징과, 상기 소켓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카드 수용 공간에 장착되는 카드를 탄지하는 소켓 커버 및 상기 소켓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소켓 하우징에 장착된 카드의 단부를 지지하는 소켓 스토퍼를 포함하여, 상기 소켓 스토퍼에 의해 상기 카드가 상기 소켓 하우징에서 임의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여, 기기의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하고, 결과적으로 전자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카드 소켓 장치{SOCKET FOR CARD}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 장착되는 각종 카드를 위한 카드 소켓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자 장치들, 특히 휴대용 단말기들은 전자 통신 산업의 발달로 말미암아 그 기능은 점차 다양화되어가고 있다. 또한, 소비자의 욕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들은 그 기능이 다양화되어가는 것에 비해 점차 소형화, 경박 단소화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로는 스마트 폰으로 대별되는 통신용 휴대용 단말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통신 방식으로는 유럽의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GSM) 및 북미의 시분할 다중화 방식(TDMA)과, 코드분할 다중화 방식(CDMA)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에는 착탈이 가능한 스마트 카드(smart card)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메모리칩으로 구성되는 가입자 인식모듈 카드(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card: 이하, '심카드'라 함)이 장착된다.
이와 같은 심카드의 메모리칩에는 사용자의 개인 전화번호, 비밀번호, 과금 정보 등과 같은 각종 가입자 정보와 사용자가 이동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을 위해 휴대용 단말기가 작동하는 동안 로드되는 네트워크 등록정보 등이 저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심카드 없이는 긴급통화를 제외하고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통화할 수 없으나, 어떠한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에도 자신의 심카드를 장착하고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자유롭게 통화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한편,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좀더 많은 저장 용량을 사용해야할 정도로 그 기술이 진보되어가고 있는바, 몸체 적소에 착탈이 가능한 외장형 메모리 카드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심카드와 메모리 카드는 휴대용 단말기의 몸체, 특히 후면에 설치된 소정의 소켓(socket)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단속된다.
그러나, 휴대용 단말기의 제조사가 다르고 제품 마다 설계 제약에 따른 소켓의 크기가 약간씩 상이하기 때문에 이에 적용되는 심카드의 두께 역시 상이하다. 예를 들어, 최근 적용되고 있는 심카드의 두께는 0.76m ± 0.08mm 이기 때문에 이러한 심카드의 두께를 모두 소화하기 위해서는 심카드 소켓의 높이는 최대 0.84mm가 되어야 하고, 이에 적용되는 가장 얇은 심카드의 두께는 0.68mm가 된다. 따라서 최악의 경우 0.84mm의 장착 높이를 갖는 심카드 소켓에 0.68mm의 심카드가 장착된다면 0.16mm의 허용 공차가 발생하고 이러한 공차는 심카드를 심카드 소켓에서 임의로 이탈시키고 이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오동작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의 프레임 형상을 재구성하여 심카드가 임의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심카드 소켓(120)에 심카드(C)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휴대용 단말기(100)의 후면(101)에는 배터리 팩(103)이 장착되며, 그 상부에 심카드(C)가 설치된다. 심카드(C)는 후면에 설치된 심카드 소켓(120)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더욱 상세하게도, 심카드 소켓(120)의 홈에 플레이트 타입 심카드(C)를 밀어넣는 동작으로 심카드(C)의 단자를 심카드 소켓의 접속 단자에 접촉시키게 된다. 그후, 상술한 심카드 소켓(120)과 배터리 팩(103)을 단속하며 휴대용 단말기(100)의 외관을 구성하는 배터리 커버(130)가 장착된다.
이때, 심카드(C)는 한번 장착된 후에는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심카드 소켓(120)에서 탈거하기 전에는 임의로 분리되지 말아야 하기 때문에 배터리 커버(130)의 장착면에는 일정 길이의 심카드 단속 돌기(131)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심카드(C)를 장착한 후, 배터리 커버(130)를 장착하면, 배터리 커버(130)의 심카드 단속 돌기(131)는 심카드 소켓(120)에 장착된 심카드(C)의 단부 근처에 위치되어 심카드(C)가 임의로 심카드 소켓(1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심카드 분리 방지 구조는 배터리 커버의 장착면에서 일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단속 돌기가 형성되기 때문에 장치의 부피가 증가되어 점차 슬림화되어가는 추세에 역행하게 되며, 심카드 높이 만큼 단속 돌기 배치 공간을 따로 두어야 하기 때문에 소망하는 디자인 설계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착된 카드가 임의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카드 소켓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착된 카드가 임의로 탈거되어 전자 장치가 오동작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카드 소켓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착된 카드가 임의로 탈거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전자 장치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카드 소켓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 설치되는 소켓 장치에 있어서, 카드 수용 공간을 갖는 소켓 하우징과, 상기 소켓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카드 수용 공간에 장착되는 카드를 탄지하는 소켓 커버 및 상기 소켓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소켓 하우징에 장착된 카드의 단부를 지지하는 소켓 스토퍼를 포함하여, 상기 소켓 스토퍼에 의해 상기 카드가 상기 소켓 하우징에서 임의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소켓 스토퍼는 상기 소켓 하우징에 장착된 카드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상면과, 상기 상면의 양측면에 절곡되어 상기 소켓 하우징의 측면과 접촉하는 측면과, 상기 상면에서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연장단 및 상기 연장단에서 하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단을 포함하여, 상기 소켓 하우징에 장착된 카드의 단부를 상기 절곡단이 지지함으로써 상기 카드의 탈거를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걸림 수단을 더 포함하여, 상기 소켓 스토퍼가 상기 카드를 단속하는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데, 이러한 걸림 수단은 상기 소켓 하우징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 돌기 및 스토퍼의 측면에 형성되어 폐쇄시 상기 걸림 돌기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걸림홈은 상기 걸림 돌기 보다 큰 공간을 갖도록 형성시켜, 상기 소켓 스토퍼가 폐쇄된 후 카드 장착 방향으로 일정 간격 만큼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걸림 돌기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에 상기 걸림 돌기가 걸리면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걸림홈은 하측이 개방된 개방 공간 및 상기 돌기 수용 공간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돌기 수용 공간을 포함하여, 상기 소켓 스토퍼가 폐쇄될 때,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개방 공간을 따라 수용된 후, 상기 소켓 스토퍼의 수평 이동에 따라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돌기 수용 공간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카드 스토퍼가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돌기 수용 공간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된 걸림턱을 형성시켜 상기 카드 스토퍼가 카드 탈거 방향으로 임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걸림홈은 하측이 개방되거나 폐쇄된 제1걸림홈 및 상기 제1걸림홈과 연장되거나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걸림홈을 포함하여, 상기 카드 스토퍼를 폐쇄하면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제1걸림홈에 안착되며, 상기 카드 스토퍼를 카드 장착 방향으로 밀면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제2걸림홈에 안착되어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2걸림홈이 연장되었을 때, 상기 제1, 2걸림홈의 연결 부분은 상기 제1, 2걸림홈 보다 작은 폭을 갖는 걸림부를 형성하여, 상기 걸림부에 의해 상기 카드 스토퍼가 카드 탈거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 하우징은 합성 수지 재질이며, 상기 소켓 스토퍼는 금속 재질일 수 있고, 상기 카드는 심카드, 메모리 카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의 적소에 장착되는 카드 소켓 장치 및 상기 카드 소켓 장치에 장착되는 카드를 포함하되, 상기 카드 소켓 장치는 카드 수용 공간을 갖는 소켓 하우징과, 상기 소켓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카드 수용 공간에 장착되는 카드를 탄지하는 소켓 커버 및 상기 소켓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소켓 하우징에 장착된 카드의 단부를 지지하는 소켓 스토퍼를 포함하여, 상기 소켓 스토퍼에 의해 상기 카드가 상기 소켓 하우징에서 임의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 등으로 대별되는 휴대용 단말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켓 장치는 카드가 장착된 후 별도의 소켓 스토퍼에 의해 카드가 임의로 탈거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기기의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하여 전자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카드 장착을 위한 소켓이 전자 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소켓 장치의 작동 관계를 도시한 작동도; 및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소켓 장치의 카드 스토퍼의 걸림 수단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전자 장치에 가입자 인식모듈 카드(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card: 이하, '심카드'라 함)가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이것이 수용되는 소켓 장치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카드가 장착되는 다양한 형태의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며, 심카드 뿐만 아니라 메모리 카드 등 다양한 카드가 적용되는 소켓 장치에 구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 장치(1)는 전자 장치에 설치되며 카드 수용 공간을 가지고 있고, 카드 수용 공간의 내부에 미도시된 다수의 돌출 단자를 포함하는 소켓 하우징(20)과, 소켓 하우징(20)의 상부에 설치되며 장착되는 카드의 상부를 가압 지지하는 소켓 커버(30) 및 소켓 커버(30)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장착된 카드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소켓 스토퍼(10)를 포함한다.
소켓 하우징(20)은 합성 수지 재질로 사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켓 커버(30)는 소켓 하우징(20)에 인서트 몰딩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소켓 커버(30)는 금속 플레이트로 형성되며,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텐션 리브(31)가 소켓 하우징(20)의 카드 수용 공간으로 돌출되어 장착되는 카드를 가압 지지한다.
소켓 스토퍼(10)는 상술한 소켓 하우징(20)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일정 형상의 바디(11)를 포함한다. 바디(11)는 소켓 하우징(20)에 장착되는 카드를 완전히 덮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바디(11)는 플레이트 타입 상면(111)을 포함한다. 또한, 상면(111)에서 양측으로 절곡된 측면(112), 상면(111)에서 연장된 연장단(12) 및 연장단(12)에서 하측으로 절곡된 절곡단(13)을 포함한다. 따라서, 소켓 스토퍼(10)의 양측면(112)에는 소켓 하우징(20)의 양측면(21)에 돌출 형성되는 힌지(213)가 삽입되도록 장공(1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장공(113)에 힌지(213)가 삽입됨으로써 소켓 스토퍼(10)는 힌지(213)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일정 각도만큼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소켓(1)에 장착되는 카드(도 3의 C)는 완전히 장착되더라도 소켓 하우징(20)에 완전이 삽입되는 것이 아니라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는 사용자가 카드(C)를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기인한다. 따라서, 카드(C)가 소켓 하우징(20)에 완전히 장착된 상태에서 소켓 스토퍼(10)를 힌지(213)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하측으로 내리게 되면 소켓 스토퍼(10)의 연장단(12)은 카드(C)의 나머지 노출된 부분을 커버링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완전히 소켓 스토퍼(10)를 내리게 되면 절곡단(13)은 카드(C)의 단부를 막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카드(C)가 소켓 하우징(20)에서 임으로 탈거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소켓 스토퍼(10)는 카드(C)가 장착된 소켓 하우징(20)에서 완전히 카드를 단속하는 상태가 되었을 때, 카드 장착 방향으로 일정 간격 만큼 밀리고 그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여 카드가 임의로 소켓 하우징(20)에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소켓 스토퍼(10)의 측면(112)에 형성된 장공(113)을 따라 힌지(213)의 위치가 변화되는 것으로 이러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소켓 스토퍼(10)가 밀린 후 그 위치가 고정되기 위한 걸림 수단을 구비한다. 걸림 수단으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 스토퍼(10)에 형성된 걸림홈(114)에 소켓 하우징(20)의 측면(21)에 돌출 형성된 후크 형상의 걸림 돌기(214)가 걸리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에서의 걸림 돌기(214)는 후크 형상이고, 걸림 돌기(214)는 장방형으로써 걸림홈(114)에 걸림 돌기(214)가 걸리더라도 카드 장착 방향으로는 걸림홈(114)의 여유 공간만큼 유동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2에서의 걸림 수단은 소켓 스토퍼(20)가 회전하여 카드(C)를 단속시키는 위치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소켓 장치(1)의 작동 관계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3의 (a)와 같이, 우선, 사용자는 전자 장치에 설치된 소켓(1)의 소켓 스토퍼(10)를 상방으로 개방한 후 화살표 방향으로 소켓 하우징(20)의 카드 수용 공간으로 카드(C)를 밀어 삽입한다.
그후, 도 3의 (b)와 같이, 소켓 스토퍼(10)를 하방(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켜 카드(C)의 상면(11)과 접촉되도록 한다. 이때, 카드(C)가 완전히 장착되었으면, 소켓 하우징(20)에서 돌출된 카드(C)의 돌출 부분은 소켓 스토퍼(10)의 연장단(12)이 커버링하며, 카드(C)의 단부 방향으로 절곡단(13)이 위치되어 카드(C)가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소켓 하우징(20)에 형성된 걸림 돌기(214)에 소켓 스토퍼(10)의 측면(112)에 형성된 걸림홈(114)이 걸림으로써 사용자가 일정 힘을 가압하지 않으며 임으로 소켓 스토퍼(10)는 상방으로 유동되지 못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후, 도 3의 (c)와 같이, 소켓 스토퍼(10)를 카드 장착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밀면 소켓 스토퍼(10)는 장방형 걸림홈(114)와 장공(113)의 여유 공간 만큼 카드 장착방향으로 밀리게 되면서 고정이 완료된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소켓 장치(1)의 카드 스토퍼(10)의 걸림 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되며, 소켓 하우징에 형성되는 힌지(43, 54, 63, 74, 83)와, 이러한 힌지에 장착되어 소켓 스토퍼를 회전시키며, 장착되었을 경우 일정 길이 만큼 밀릴 수 있는 장공(42, 53, 62, 73, 82)의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배제하기로 한다.
도 4의 (a)를 참고하면, 걸림 수단으로 소켓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는 걸림 돌기(44)와, 소켓 스토퍼(40)의 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홈(41)을 도시하였다. 이 실시예에서 걸림 돌기(44)는 사각형 모양이며, 걸림홈(41)은 하측으로 개방 공간(411)을 가지며 상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돌기 수용 공간(412)을 갖는다.
따라서,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 스토퍼(40)가 화살표 방향으로 밀리게 되면 걸림 돌기(44)는 걸림홈(41)의 돌기 수용 공간(412)에 배치되어 그 위치가 고정되고, 카드 스토퍼(40)는 상방으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5의 (a)를 참고하면, 역시 걸림 수단으로 소켓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는 걸림 돌기(55)와, 소켓 스토퍼(50)의 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홈(51, 52)을 도시하였다. 이 실시예에서 걸림 돌기(55)는 어떠한 모양이라도 상관없으며, 걸림홈(51, 52)은 이러한 걸림 돌기(55)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걸림홈(51, 52) 중 하나의 걸림홈은 하측이 개방된 돌기 수용홈(51)이며, 나머지 하나의 홈은 안착된 걸림 돌기(55)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돌기 고정홈(52)이다.
따라서,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 스토퍼(50)는 하측으로 내리면 걸림 돌기(55)는 돌기 수용홈(51)의 개방 부분부터 수용되고, 카드 스토퍼(50)가 화살표 방향으로 밀리게 되면 걸림 돌기(55)는 돌기 수용홈(51)에서 이탈되어 돌기 고정홈으(52)로 위치됨으로써 카드 스토퍼(50)는 상방뿐만 아니라 카드가 이탈되려는 방향으로의 임의의 유동 역시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6의 (a)를 참고하면, 역시 걸림 수단으로 소켓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는 걸림 돌기(64)와, 소켓 스토퍼(60)의 측면에 형성되는 도 5의 형상과 유사한 걸림홈(61)을 도시하였다. 즉, 걸림홈(61)은 하측으로 개방 공간(611)을 가지며 상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돌기 수용 공간(613)을 갖는다. 또한, 돌기 수용공간(613)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걸림턱(612)이 더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걸림턱(612)는 본 도면에서는 하측에 하나가 형성되어 있으나, 동일한 위치의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두 개가 마주보며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따라서,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 스토퍼(60)를 하측으로 내리면 걸림 돌기(64)는 걸림홈(61)의 개방 공간(611)부터 수용되고, 카드 스토퍼(10)가 화살표 방향으로 밀리게 되면 걸림 돌기(64)는 돌기 수용 공간(613)에 돌출된 걸림턱(612)을 타고 넘어 그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돌기 수용 공간(613)에 의해서 카드 스토퍼(60)는 상방으로 개방되지 않으며, 걸림턱(612)에 의해서 후방(카드 탈거 방향)으로 밀리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7의 (a)를 참고하면, 역시 걸림 수단으로 소켓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는 걸림 돌기(75)와, 소켓 스토퍼(70)의 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홈(71, 72)을 도시하였다. 이 실시예에서 걸림 돌기(75)는 어떠한 모양이라도 상관없으며, 걸림홈(71, 72)은 이러한 걸림 돌기(75)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걸림홈(71, 72)은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도 5의 경우처럼 개방된 부분이 없다.
따라서,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 스토퍼(70)를 하측으로 내리면 걸림 돌기(75)는 제1걸림홈(71)에 안착된다. 또한, 카드 스토퍼(70)가 화살표 방향으로 밀리게 되면 걸림 돌기(75)는 제1걸림홈(71)에서 이탈되어 제2걸림홈(72)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즉, 제1걸림홈(71)에 의해 카드 스토퍼(70)는 상방으로 개방되지 않으며, 제2걸림홈(72)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8의 (a)를 참고하면, 도 7의 경우와 유사하나, 하나의 걸림홈(81)로 형성된다. 즉, 제1걸림홈(811)과 제2걸림홈(813)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된 부분의 폭은 제1, 2걸림홈(811, 813)의 직경보다 작도록 걸림부(812)로 형성된다.
따라서,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 스토퍼(80)를 하측으로 내리면 걸림 돌기(84)는 제1걸림홈(811)에 안착된다. 또한, 카드 스토퍼(80)가 화살표 방향으로 밀리게 되면 걸림 돌기(84)는 제1걸림홈(811)에서 걸림부(812)를 타고 넘어 연장된 제2걸림홈(813)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즉, 제1, 2걸림홈(812, 813)에 의해 카드 스토퍼(80)는 상방으로 개방되지 않으며, 걸림부(812)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다양한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1: 소켓 10: 소켓 스토퍼
11: 바디 12: 연장단
13: 절곡단 20: 소켓 하우징
21: (소켓 하우징)측면 30: 소켓 커버
31: 텐션 리브 113: 장공
114: 걸림홈 213: 힌지
214: 걸림 돌기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설치되는 소켓 장치에 있어서,
    카드 수용 공간을 갖고, 측면에 돌출된 힌지 및 상기 측면에 형성된 걸림 돌기가 형성된 소켓 하우징;
    상기 소켓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카드 수용 공간에 장착되는 카드를 탄지하는 소켓 커버; 및
    상기 소켓 하우징의 상기 힌지를 수용하는 장공을 포함하여 상기 소켓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고, 측면에 상기 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걸림홈을 형성하고, 상기 소켓 하우징에 장착된 카드의 단부를 지지하는 소켓 스토퍼를 포함하여,
    상기 걸림홈은 페쇄시 상기 걸림 돌기에 걸리도록 형성되며, 상기 걸림 돌기 보다 큰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소켓 스토퍼가 폐쇄된 후 카드 장착 방향으로 일정 간격만큼 유동되고,
    상기 일정 간격은 상기 장공의 길이에 대응되며,
    상기 소켓 스토퍼에 의해 상기 카드가 상기 소켓 하우징에서 임의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카드 소켓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스토퍼는,
    상기 소켓 하우징에 장착된 카드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상면;
    상기 상면에서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연장단; 및
    상기 연장단에서 하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단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은 상면의 양측면에 절곡되어 상기 소켓 하우징의 측면과 접촉하고,
    상기 소켓 하우징에 장착된 카드의 단부를 상기 절곡단이 지지함으로써 상기 카드의 탈거를 방지하는 카드 소켓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스토퍼의 양 측면에 일정 길이의 상기 장공이 형성되는 카드 소켓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장치는 걸림 수단을 더 포함하여, 상기 소켓 스토퍼가 상기 카드를 단속하는 위치를 유지하는 카드 소켓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기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에 상기 걸림 돌기가 걸리면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카드 소켓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하측이 개방된 개방 공간; 및
    상기 개방 공간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돌기 수용 공간을 포함하여,
    상기 소켓 스토퍼가 폐쇄될 때,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개방 공간을 따라 수용된 후, 상기 소켓 스토퍼의 수평 이동에 따라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돌기 수용 공간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소켓 스토퍼가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카드 소켓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수용 공간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된 걸림턱을 형성시켜 상기 소켓 스토퍼가 카드 탈거 방향으로 임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카드 소켓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하측이 개방되거나 폐쇄된 제1걸림홈; 및
    상기 제1걸림홈과 연장되거나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걸림홈을 포함하여,
    상기 소켓 스토퍼를 폐쇄하면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제1걸림홈에 안착되며, 상기 소켓 스토퍼를 카드 장착 방향으로 밀면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제2걸림홈에 안착되어 그 위치가 고정되는 카드 소켓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걸림홈이 연장되었을 때, 상기 제1, 2걸림홈의 연결 부분은 상기 제1, 2걸림홈 보다 작은 폭을 갖는 걸림부를 형성하여, 상기 걸림부에 의해 상기 소켓 스토퍼가 카드 탈거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카드 소켓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하우징은 합성 수지 재질이며, 상기 소켓 스토퍼는 금속 재질인 카드 소켓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는 심카드, 메모리 카드 중 어느 하나인 카드 소켓 장치.
  14. 본체의 적소에 장착되는 카드 소켓 장치; 및
    상기 카드 소켓 장치에 장착되는 카드를 포함하되,
    상기 카드 소켓 장치는,
    카드 수용 공간을 갖고 측면에 돌출된 힌지 및 상기 측면에 형성된 걸림 돌기가 형성된 소켓 하우징;
    상기 소켓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카드 수용 공간에 장착되는 카드를 탄지하는 소켓 커버; 및
    상기 소켓 하우징의 상기 힌지를 수용하는 장공을 포함하여 상기 소켓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고, 측면에 상기 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걸림홈을 형성하고, 상기 소켓 하우징에 장착된 카드의 단부를 지지하는 소켓 스토퍼를 포함하여,
    상기 걸림홈은 폐쇄시 상기 걸림 돌기에 걸리도록 형성되며, 상기 걸림 돌기 보다 큰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소켓 스토퍼가 폐쇄된 후 카드 장착 방향으로 일정 간격만큼 유동되고,
    상기 일정 간격은 상기 장공의 길이에 대응되며,
    상기 소켓 스토퍼에 의해 상기 카드가 상기 소켓 하우징에서 임의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스토퍼는,
    상기 소켓 하우징에 장착된 카드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상면;
    상기 상면에서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연장단; 및
    상기 연장단에서 하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단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은 상면의 양측면에 절곡되어 상기 소켓 하우징의 측면과 접촉하고,
    상기 소켓 하우징에 장착된 카드의 단부를 상기 절곡단이 지지함으로써 상기 카드의 탈거를 방지하는 전자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스토퍼의 양 측면에 일정 길이의 상기 장공이 형성되는 전자 장치.
  17. 삭제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하우징은 합성 수지 재질이며, 상기 소켓 스토퍼는 금속 재질인 전자 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는 심카드, 메모리 카드 중 어느 하나인 전자 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인 전자 장치.
KR1020120090791A 2012-08-20 2012-08-20 카드 소켓 장치 KR101946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791A KR101946324B1 (ko) 2012-08-20 2012-08-20 카드 소켓 장치
CN201220598461XU CN203086521U (zh) 2012-08-20 2012-11-13 卡座及应用此的便携式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791A KR101946324B1 (ko) 2012-08-20 2012-08-20 카드 소켓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4167A KR20140024167A (ko) 2014-02-28
KR101946324B1 true KR101946324B1 (ko) 2019-02-11

Family

ID=48832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0791A KR101946324B1 (ko) 2012-08-20 2012-08-20 카드 소켓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46324B1 (ko)
CN (1) CN203086521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034B1 (ko) 2015-01-16 2016-10-17 몰렉스 엘엘씨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
KR101667035B1 (ko) 2015-06-15 2016-10-24 몰렉스 엘엘씨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8092A (ja) * 2001-03-30 2002-10-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cカード
JP2012146568A (ja) * 2011-01-13 2012-08-02 Nec Saitama Ltd カードコネクタ、およ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9572A (en) * 1998-08-03 2000-10-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with latch to retain IC card
JP2002024770A (ja) * 2000-07-07 2002-01-25 Murata Mach Ltd メモリカード離脱防止具
JP4573881B2 (ja) * 2008-05-14 2010-11-0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189142B2 (ja) * 2010-07-26 2013-04-24 Smk株式会社 メモリーカード用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8092A (ja) * 2001-03-30 2002-10-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cカード
JP2012146568A (ja) * 2011-01-13 2012-08-02 Nec Saitama Ltd カードコネクタ、およ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3086521U (zh) 2013-07-24
KR20140024167A (ko) 2014-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0314B2 (en) Socket for trans-flash memory card
US7409225B2 (en) Dual connection device for memory medium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with the same
US20070149059A1 (en) Surface contact card holder
KR101745807B1 (ko) 트레이 및 이를 구비하는 카드 커넥터
KR101946324B1 (ko) 카드 소켓 장치
WO2014169737A1 (zh) 卡托和移动终端
US7319887B2 (en) Holder for a clamshell-type mobile phone
KR100315674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심카드 고정장치
KR200163685Y1 (ko) 휴대용단말기의심카드고정장치
KR10072981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드 소켓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58730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드 접속장치
KR10074640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103413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장착구조
KR100594105B1 (ko) 휴대 단말기의 심카드 커버 체결 장치
KR20080036428A (ko)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인입/인출 장치
KR101009789B1 (ko) 휴대 단말기의 심카드 체결 장치
KR100562777B1 (ko) 휴대폰용 플래쉬 메모리 카드 소켓
KR100549608B1 (ko) 실장 카드용 커버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34351Y1 (ko) 휴대폰의 심카드 접속장치
KR100511313B1 (ko)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KR100565778B1 (ko) 휴대폰용 플래쉬 메모리 카드 소켓
JP2008287651A (ja) 電子機器
KR10065185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uim 카드 고정장치
KR20060110960A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록킹장치
KR20050089577A (ko) 외장메모리카드와 sim 카드의 동시 장착 소켓 및 그를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