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5778B1 - 휴대폰용 플래쉬 메모리 카드 소켓 - Google Patents

휴대폰용 플래쉬 메모리 카드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5778B1
KR100565778B1 KR1020040009016A KR20040009016A KR100565778B1 KR 100565778 B1 KR100565778 B1 KR 100565778B1 KR 1020040009016 A KR1020040009016 A KR 1020040009016A KR 20040009016 A KR20040009016 A KR 20040009016A KR 100565778 B1 KR100565778 B1 KR 100565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 memory
memory card
housing
shutter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9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0857A (ko
Inventor
주성혁
Original Assignee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9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5778B1/ko
Publication of KR20050080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0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5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5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01R13/4532Rotating shutter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에 플래쉬 메모리 카드를 장착하여 휴대폰의 메모리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용 플래쉬 메모리 카드 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개인이동통신용 휴대폰에 있어서, 금속재질의 상부하우징과 합성수지재질의 하부하우징이 상하로 결합되어 내부에 플래쉬 메모리 카드가 슬라이딩 삽입되는 하우징,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을 결합시키는 결합수단, 하우징의 후방에 설치되어 플래쉬 메모리 카드와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접속단자, 하우징의 전방에 설치되어 플래쉬 메모리 카드의 삽입 및 이탈에 따라 걔폐되는 개폐수단, 상부하우징의 양측에 하향으로 비스듬하게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된 플래쉬 메모리 카드를 탄성지지하여 고정시키는 고정핀 및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플래쉬 메모리 카드를 이탈시키는 탈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플래쉬 메모리 카드, 휴대폰, 소켓, 접속단자

Description

휴대폰용 플래쉬 메모리 카드 소켓{Flash memory card socket for mobile phones}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플래쉬 메모리 카드 소켓의 설치상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플래쉬 메모리 카드 소켓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플래쉬 메모리 카드 소켓의 저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플래쉬 메모리 카드 소켓의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플래쉬 메모리 카드 소켓의 토션 스프링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플래쉬 메모리 카드 소켓의 핀로드 자유단의 안내그루브 내 이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하부하우징 110 : 제2결합돌기
120 : 핀로드지지편 130 : 제1결합공
140 : 고정핀 151 : 개폐부
152 : 토션스프링 걸림돌기 153 : 스토퍼
154 : 측벽 156 : 힌지공
200 : 하부하우징 210 : 제2결합홈
230 : 접속단자 설치공 240 : 제1결합돌기
251 : 셔터 252 : 힌지축
253 : 스토퍼 안착홈 254 : 토션 스프링 중심축
255 : 토션 스프링 259 : 토션 스프링 안착홈
270 : 탈착수단 272 : 슬라이딩 하트캠
273 : 스프링 지지돌부 275 : 하트캠 가이드돌기
276 : 핀로드 279 : 스프링 걸이돌기
277 : 안내그루브 271 : 코일 스프링
본 발명은 플래쉬 메모리 카드 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에 플래쉬 메모리 카드를 장착하여 휴대폰의 메모리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용 플래쉬 메모리 카드 소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번호와 문자를 입력하는 키입력부와 이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번호와 문자 또는 각종 화상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다른 휴대폰이나 컴퓨터 등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번호와 문자, 화상정보, 음성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이들 각종 구성요소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회로기판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휴대폰에 설치되는 상기한 메모리부는 최근 급증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저장하기에는 역부족이다. 특히, 현재에는 이동통신사로부터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더욱이 휴대폰 자체에 디지털 카메라나 MP3 플레이어 기능이 내장되어 멀티 기능이외에 다양한 복합 멀티 미디어 기기로 정착되어 있어 주변 기기와의 폭넓은 호환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따라서, 기 내장된 메모리부만을 이용하여 많은 정보를 저장하기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메모리부를 외장하게 되었으나, 이는 기타 주변기기와 동시에 사용할 수 없어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이용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폰에 플래쉬 메모리 카드를 장착하여 휴대폰의 메모리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용 플래쉬 메모리 카드 소켓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개인이동통신용 휴대폰에 있어서, 금속재질의 상부하우징과 합성수지재질의 하부하우징이 상하로 결합되어 내부에 플래쉬 메모리 카드가 슬라이딩 삽입되는 하우징,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을 결합시키는 결합수단, 하붕하우징의 후방에 설치되어 플래쉬 메모리 카드와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접속단자, 하우징의 전방에 설치되어 플래쉬 메모리 카드의 삽입 및 이탈에 따라 걔폐되는 개폐수단, 상부하우징의 양측에 하향으로 비스듬하게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된 플래쉬 메모리 카드를 탄성지지하여 고정시키는 고정핀 및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플래쉬 메모리 카드를 이탈시키는 탈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플래쉬 메모리 카드(3)가 휴대폰(1)과 호환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휴대폰(1)에 설치되는 플래쉬 메모리 카드 소켓이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데이타 라인(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휴대폰(1)에 기 장착된 메모리부(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어야 하고, 플래쉬 메모리 카드(3)가 동작전압에 의해 제어되어야 하며, 휴대폰(1)의 주처리장치에 플래쉬 메모리 카드(3)를 인식 및 제어하는 OS가 주처리장치(도시되지 않음)에 프로그래밍되어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플래쉬 메모리 카드 소켓의 설치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플래쉬 메모리 카드 소켓(이하 간단히 '소켓'이라 한다)은 휴대폰(1) 내부에 소켓이 설치된다. 이 경우, 휴대폰(1)이 대형화되어 소지하기가 불편하고, 미관상 미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플래쉬 메모리 카드(3)를 예를 들어 MMC 메모리와 같은 소형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휴대폰(1)에 플래쉬 메모리 카드(3)를 장착하기 위해 소켓을 설치한다 하더라도 휴대폰(1)의 경량화나 미관을 저해하지 않고 메모리 용량을 확장할 수 있게 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플래쉬 메모리 카드 소켓의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플래쉬 메모리 카드 소켓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플래쉬 메모리 카드 소켓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플래쉬 메모리 카드 소켓의 핀로드 자유단의 안내그루브 내 이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플래쉬 메모리 카드 소켓(이하 간단히 '소켓'이라 한다)은 크게, 금속재질의 상부하우징(100)과 합성수지재질의 하부하우징(200)으로 이루어져 내부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플래쉬 메모리 카드(3)를 수용하는 하우징(100,200), 상기한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을 결합시키는 결합수단, 상기한 하부하우징(200)에 설치되어 상기한 플래쉬 메모리 카드(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10), 하우징(100,200)의 전방을 개폐하여 하우징(100,200) 내부로 플래쉬 메모리 카드(3)가 삽입 및 이탈될 수 있도록 개폐함과 더불어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개폐수단, 하우징(100,200) 내부에 수용된 플래쉬 메모리 카드(3)를 외부 진동이나 흔들림에 대항하여 고정시키는 고정핀(140), 및 슬라이딩 삽입되는 플래쉬 메모리 카드(3)를 하우징(100,200) 내부에 장착 및 이탈시키는 탈착수단(270)으로 이루어진다.
하우징(100,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으로 이루어진다.
상부하우징(100)은 금속재질로서, 전방에 상기한 개폐수단이 설치되어 하우징(100,200) 내부로 플래쉬 메모리 카드(3)가 슬라이딩 삽입되고, 양측과 후방은 하향으로 절곡되어 격벽이 형성된다.
상부하우징(100)의 양측에는 플래쉬 메모리 카드(3)가 슬라이딩 삽입되는 경우 외부의 충격이나 흔들림에 대항하여 플래쉬 메모리 카드(3)를 고정시켜 안정적인 전기접속이 이루지도록 하는 고정핀(140)이 형성된다. 이 고정핀(140)은 상부하우징(100)의 양측에서 하향을 비스듬하게 돌출되어 하우징(100,200) 내부의 플래쉬 메모리 카드(3)를 탄성지지한다.
또한, 상부하우징(100)의 일측에는 후술한 탈착수단(270)의 핀로드(276)을 탄성지지하여 핀로드(276)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핀로드지지편(120)이 형성된다. 따라서, 핀로드지지편(120) 하부에 탈착수단이 설치된다. 이는 탈착수단과 함께 설명한다.
하부하우징(200)은 합성수지재질로서, 양측과 후방에 격벽이 형성되어 상기한 상부하우징(100)과 함께 플래쉬 메모리 카드(3)를 수용하는데, 전방에는 상부하우징(100)과 마찬가지로 개폐수단이 설치된다.
하부하우징(200)에는 접속단자(10)가 설치되는데, 후방 격벽에는 전후방으로 관통된 접속단자 설치공(230)이 형성되고 이 접속단자 설치공(230)에 접속단자(10)가 끼워져 고정된다.
한편, 하부하우징(200)의 일측에는 상기한 탈착수단이 설치된다. 이는 탈착수단과 함께 설명한다.
결합수단은 상기한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을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상부하우징(100)의 양측과 후방의 격벽에 수평으로 관통된 제1결합공(130)이 형성되고, 하부하우징(200)에는 이 제1결합공(130)에 대응하여 양측과 후방에 돌출된 제1결합돌기(240)가 형성된다. 또한, 상부하우징(100)의 후방 양측엔 하향으로 라운드되게 절곡된 제2결합돌기(110)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하부하우징(200)의 후방 격벽 양측엔 제2결합홈(210)이 형성된다.
따라서, 결합수단은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이 결합하는 과정에서 제1결합공(130)에 제1결합돌기(240)가 각각 삽입됨과 동시에 제2결합홈(210)에 제2결합돌기(110)가 삽입되어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이 안정적으로 결합하게 된다.
개폐수단은 플래쉬 메모리 카드(3)가 하우징(100,200) 내부로 삽입 및 이탈될 수 있도록 하우징(100,200)을 개폐시키는 것으로서, 하우징(100,200)의 전방에 형성된다.
이러한 개폐수단은 상부하우징(100)의 전방에 형성된 개폐부(151)와 이 개폐부(151)에 설치되어 일정한 범위 내에서 회동하는 셔터(251)로 이루어진다.
개폐부(151)는 상부하우징(100)으로부터 상향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됨과 더불어 양측엔 그 단부가 수직 하향으로 절곡된 측벽(154)이 형성된다. 이 측벽(154)의 전방에는 수평으로 관통되어 후술할 셔터(251)의 힌지축(252)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공(156)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측벽(154)은 하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측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기능도 있다.
개폐부(151)의 전방 양측에는 스토퍼(153)가 형성되는데, 이 스토퍼(153)는 햐향으로 라운드되게 절곡되어 후술한 스토퍼 걸림홈(253)과 함께 셔터(151)가 일정한 범위 내에서 회동하도록 한다. 스토퍼(151) 사이에는 하향으로 라운드되게 절곡되어 후술한 토션 스프링(255)이 토션스프링 중심축(254)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토션스프링 걸림돌기(152)가 형성된다.
셔터(251)는 판형으로 형성되는 한편, 양단에는 측방으로 돌출되어 상기한 힌지공(252)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힌지축(252)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한 스토퍼(153)의 단부가 걸리도록 함몰된 스토퍼 걸림홈(253)이 형성된다. 이 스토 퍼 걸림홈(253)은 셔터(251)가 회동하는 경우 셔터(251)가 일정한 범위 이상으로 회동하지 않도록 스토퍼(153)의 단부가 걸리도록 되어 있다.
스토퍼 걸림홈(253) 사이에는 토션 스프링(255)이 설치되는데, 토션 스프링(255)은 셔터(251)의 상부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토션 스프링 중심축(254)에 설치되어 일단은 셔터(251)에 위치하고 타단은 개폐부(151)의 하측면에 위치한다. 특히, 토션 스프링(255)이 셔터(251)의 회동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셔터(251)의 내측면에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 스프링(255) 단부의 형태에 대응하여 함몰되어 토션 스프링(255)의 단부가 안착되는 토션 스프링 안착홈(259)이 형성된다. 따라서, 토션 스프링(255)은 플래쉬 메모리 카드(3)가 슬라이딩 삽입되면서 셔터(251)가 회동하면 이로 인해 뒤틀리면서 셔터(251)에 복원력을 작용하게 되므로 플래쉬 메모리 카드(3)의 이탈과 함께 하우징(100,200)을 폐쇄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탈착수단(270)은 하우징(100,200) 내부에 설치된 플래쉬 메모리 카드(3)를 원터치 방식으로 삽입 및 이탈시키는 것으로서, 상기한 개폐수단의 타측에 설치된다.
여기서 원터치 방식이란 하우징(100,200) 내부에 플래쉬 메모리 카드(3)의 압입에 따라 플래쉬 메모리 카드(3)의 탈착이 번갈아가면서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탈착수단(270)은 크게, 슬라이딩 하트캠(272)와 코일스프링(271), 및 핀로드(276)로 이루어진다.
먼저, 슬라이딩 하트캠(272)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하부하우징(200)의 일측 격 벽의 내부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전방측에는 상기한 핀로드(276)가 주회하는 하트 모양의 안내그루브(277)가 형성된다. 특히, 이 안내그루브(277)는 각각 계단형 단턱이 형성되어 그 깊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이에 대해서는 핀로드(276)와 함께 설명한다.
슬라이딩 하트캠(272)의 후방에는 플래쉬 메모리 카드(3)가 슬라이딩 하트캠(272)의 후방에 형성되어 플래쉬 메모리 카드(3)가 계합되는 계합부(274)가 형성되고, 이 계합부(274)에 플래쉬 메모리 카드(3)가 바람직하게 계합되도록 유도하는 경사면(278)이 형성된다. 이 계합부(274)의 하부에는 하부하우징(20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슬라이딩 하트캠(272)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하트캠 가이드돌기(275)에 의해 슬라이딩 하트캠(272)이 측부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슬라이딩된다.
슬라이딩 하트캠(272)의 중심에는 후방의 코일스프링(271)이 지지되는 스프링 지지돌부(273)이 측방으로 돌출되고, 이 스프링 지지돌부(273) 후면에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코일스프링(271)의 중심에 삽입되어 코일스프링(271)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스프링걸이돌기(279)가 형성된다.
코일스프링(27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일단이 스프링걸이돌기(279)가 위치하고 타단이 하부하우징(200)의 후방 격벽에 지지되어 슬라이딩 하트캠(272)의 슬라이딩에 따라 압축 및 해제되고 그와 함께 슬라이딩 하트캠(272)에 복원력을 작용한다.
핀로드(276)은 양단이 절곡되어 일단이 하부하우징(200)에 회동가능하게 설 치되는 고정단이 되고, 타단은 상기한 안내그루브(277)에 위치하여 주회하는 자유단이 되어 슬라이딩 하트캠(272)의 슬라이딩 위치에 따라 안내그루브(277) 내에서의 자유단 위치가 달라진다. 이는 안내그루브(277)가 전방을 향하여 하트형상의 홈이 형성되고 이와 함께 계단형으로 그 깊이가 다른 5개의 구간으로 이루어져 일방향으로만 주회할 수 있도록 형성되기 때문이다.
플래쉬 메모리 카드(3)의 삽입에 따른 슬라이딩 하트캠(272)의 이동과 안내그루브(277) 내 핀로드(276)의 이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하트캠(272)이 슬라이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핀로드(276)의 자유단이 안내그루브(277)의 전방 단부에 위치하게 된다((A)구간).
이후, 플래쉬 메모리 카드(3)가 슬라이딩 삽입되어 계합부(274)에 계합되면 슬라이딩 하트캠(272)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핀로드(276)의 자유단은 안내그루브(277) 내의 같은 깊이로 형성된 부분을 이동하게 된다. 이는 안내그루브(277)의 일측방향이 동일한 깊이로 형성되는 반면에 다른측 방향은 더 높게 형성되기 때문이다((B)구간).
다음, 플래쉬 메모리 카드(3)가 계속 슬라이딩 삽입되면, 안내그루브(277)의 전방측 단부로 이동하는데, 자유단이 같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방향 부분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안내그루브(277)가 계단형으로 낮게 형성되어 있고, 반대방향은 높게 형성되어 결국 같은 방향으로만 이동하게 된다((C)구간).
다음, 플래쉬 메모리 카드(3)가 완전히 장착된 상태에서는 핀로드(276)의 자 유단이 안내그루브(277)의 하트 형상 부분 중 오목한 부분에 위치하여 고정된다. 이는 (C)구간을 이동한 자유단이 더 깊게 형성된 부분인 안내그루브(277)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으로써 결국, 코일스프링(271)의 복원력에 대항하여 핀로드(276)가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자유단이 상기한 오목한 부분에 안정되게 위치함과 더불어 플래쉬 메모리 카드(3)가 전기적으로 결합하게 된다((D)구간).
다음, 플래쉬 메모리 카드(3)가 이탈되는 경우엔, 상기한 바와 같이 안내그루브(277)의 전방측 단부로 이동하는데, 자유단이 같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방향 부분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안내그루브(277)가 계단형으로 낮게 형성되고 반대방향은 높게 형성되어, 결국 같은 방향으로만 이동된다((E)구간).
이에 따라, 원터치 방식의 슬라이딩 하트캠(272) 구조에서 다시 최후방으로 이동되는 자유단은 그 높이 차이에 따라 동일한 깊이의 방향으로 즉 동일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F)구간).
그 후, 최초의 원위치로 이동하게 된다((A)구간).
한편, 상기한 핀로드(276)는 핀로드(276)의 상부에서 접하여 상기한 상부하우징(100)의 핀로드지지편(140)에 의해 이탈되지 않고 핀로드(276)의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에 플래쉬 메모리 카드(3)가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최초, 휴대폰(1)에 결합된 소켓에 플래쉬 메모리 카드(3)가 진입하면 덮개(251)이 힌지부(240)을 중심으로하여 하우징(100,200) 내측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플래쉬 메모리 카드(3)가 하우징(100,200)으로 슬라이딩 삽입된다.
플래쉬 메모리 카드(3)는 슬라이딩 삽입되면서 하부하우징(200)의 경사면(280)에 의해 가이드되어 계합부(274)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핀로드(276)의 자유단은 (A)구간에 위치한다.
그런 다음, 계합부(274)와 접한 플래쉬 메모리 카드(3)의 슬라이딩 삽입에 의해 슬라이딩 하트캠(272)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함께 코일스프링(271)이 압축되면서 복원력이 작용하고, 더불어 핀로드(276)의 자유단이 안내그루브(277)의 (B)구간으로 이동한다. 한편, 슬라이딩 하트캠(272)은 하부하우징(200)에 형성된 하트캠 가이드돌기(275)에 의해 가이드된다. (B)구간을 이동하던 핀로드(276)의 자유단은 (C)구간을 거쳐 (D)구간으로 이동한다.
플래쉬 메모리 카드(3)가 완전히 슬라이딩 삽입되면 핀로드(276)의 자유단이 상기한 안내그루브(277) 내 (D)구간에 위치하게 되고, 이와 더불어 접속단자(10)와 완전히 결합하게 되어 완전하게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반면에, 결합해제시에는 원터치 방식에 따라 플래쉬 메모리 카드(3)를 누르면 핀로드(276)의 자유단이 상기한 안내그루브(277) 내의 (E)구간에 위치하게 되고, 이와 함께 압축된 코일스프링(271)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딩 하트캠(272)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계합부(274)에 계합된 플래쉬 메모리 카드(3)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전기적 접속은 해제된다.
플래쉬 메모리 카드(3)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하우징(100,200)으로부터 이탈되면, 뒤틀려진 토션 스프링(255)의 복원력에 의해 덮개(251)가 회동하고, 이 는 스토퍼(253)에 의해 일정한 위치에서 정지되어 하우징(100,200)이 완전히 폐쇄된다. 이때, 핀로드(276)의 자유단은 (A)구간으로 윈위치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기 장착된 플래쉬 메모리 카드와 병용하게 되므로 제한된 메모리 용량을 확장할 수 있다.
또한, 플래쉬 메모리 카드를 통해 다양한 데이터를 백업받을 수 있고, 휴패폰을 이용한 다양한 멀티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가 가능하게 된다.
컴퓨터, 노트북, PDA, 디지탈 카메라와 같은 주변 멀티 미디어 기기들과 호환성을 높여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플래쉬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휴대폰을 통해서도 할 수 있다.

Claims (7)

  1. 휴대폰용 플래쉬 메모리 카드 소켓에 있어서,
    금속재질의 상부하우징과 합성수지재질의 하부하우징이 상하로 결합되어 내부에 플래쉬 메모리 카드가 슬라이딩 삽입되는 하우징;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을 결합시키는 결합수단;
    상기 하부하우징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플래쉬 메모리 카드와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접속단자;
    상기 상부하우징의 전방에 상향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한편, 양측단부는 하향 수직으로 절곡되는 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전방에는 수평으로 관통된 힌지공이 형성되는 개폐부 및 판형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부 양측에는 측방으로 돌출되는 힌지축이 상기 힌지공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힌지공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하우징을 개폐하는 셔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플래쉬 메모리 카드의 삽입 및 이탈에 따라 걔폐되는 개폐수단;
    상기 상부하우징의 양측에 하향으로 비스듬하게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된 플래쉬 메모리 카드를 탄성지지하여 고정시키는 고정핀;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플래쉬 메모리 카드를 이탈시키는 탈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플래쉬 메모리 카드 소켓.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의 상부엔 수평으로 돌출된 토션 스프링 중심축이 형성되고, 이 토션 스프링 중심축에 일단이 상기 상부하우징에 위치하고 타단이 상기 셔터에 위치하여 상기 셔터에 복원력을 작용하는 토션 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플래쉬 메모리 카드의 이탈시 상기 셔터에 복원력을 작용하여 상기 하우징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플래쉬 메모리 카드 소켓.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상기 토션 스프링의 단부가 안착되어 토션 스프링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토션 스프링 안착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플래쉬 메모리 카드 소켓.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의 전방에는 하향으로 절곡되게 돌출되어 상기 셔터가 상기 토션 스프링 중심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토션 스프링 이탈방지돌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느 휴대폰용 플래쉬 메모리 카드 소켓.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상부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스토퍼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의 전방엔 라운드되게 돌출된 스토퍼가 형성되어 상기 셔터의 회동시 상기 스토퍼 안착홈이 상기 스토퍼에 걸려 상기 셔터가 일정한 범위내에서 회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플래쉬 메모리 카드 소켓.
  7. 제 1 항에 있어서, 결합수단은
    상기 상부하우징의 양측과 후방의 격벽에 수평으로 관통된 제1결합공이 형성되고, 하부하우징에는 상기 제1결합공에 대응하여 돌출된 제1결합돌기가 상기 제1결합공에 삽입됨과 더불어, 상기 상부하우징의 후방 양측에 하향으로 라운드되게 절곡된 제2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하우징에는 상기 제2결합돌기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2결합홈에 상기 제2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플래쉬 메모리 카드 소켓.
KR1020040009016A 2004-02-11 2004-02-11 휴대폰용 플래쉬 메모리 카드 소켓 KR100565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016A KR100565778B1 (ko) 2004-02-11 2004-02-11 휴대폰용 플래쉬 메모리 카드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016A KR100565778B1 (ko) 2004-02-11 2004-02-11 휴대폰용 플래쉬 메모리 카드 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0857A KR20050080857A (ko) 2005-08-18
KR100565778B1 true KR100565778B1 (ko) 2006-03-29

Family

ID=37267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9016A KR100565778B1 (ko) 2004-02-11 2004-02-11 휴대폰용 플래쉬 메모리 카드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57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30345B2 (en) 2012-10-18 2016-05-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card and memory card adap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30345B2 (en) 2012-10-18 2016-05-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card and memory card adap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0857A (ko) 200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0314B2 (en) Socket for trans-flash memory card
EP1729245B1 (en) Card ejecting mechanism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2147957B1 (ko) 카드 트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927201B1 (ko) 지지판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US7804683B2 (en) Electronic device component eject mechanism
EP2001087A2 (en) Connecting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641104B1 (ko) 접촉 불량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
EP1933537B1 (en)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KR100565778B1 (ko) 휴대폰용 플래쉬 메모리 카드 소켓
KR100562777B1 (ko) 휴대폰용 플래쉬 메모리 카드 소켓
JP2006127809A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KR10074640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1602729B1 (ko)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한 커넥터 시스템
KR100433513B1 (ko) 노트북 컴퓨터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조립체
KR200483415Y1 (ko) 꾸미기가 용이한 핸드폰 케이스
KR200443691Y1 (ko) Usb인터페이스 장치
KR20140024167A (ko) 카드 소켓 장치
KR20050089577A (ko) 외장메모리카드와 sim 카드의 동시 장착 소켓 및 그를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72981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드 소켓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060110960A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록킹장치
KR101277209B1 (ko) 전자기기
KR20050049971A (ko) 유에스비 커넥터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JP6373612B2 (ja) 蓋体開閉構造
JPH08293013A (ja) 通信用カード
JP3098130U (ja) 小型メモリカード用アダプ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