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6173B1 -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6173B1
KR101946173B1 KR1020177004568A KR20177004568A KR101946173B1 KR 101946173 B1 KR101946173 B1 KR 101946173B1 KR 1020177004568 A KR1020177004568 A KR 1020177004568A KR 20177004568 A KR20177004568 A KR 20177004568A KR 101946173 B1 KR101946173 B1 KR 101946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mmunication
flow
management information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4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2439A (ko
Inventor
기요타카 이마이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32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2Capturing of monitoring data
    • H04L43/026Capturing of monitoring data using flow ident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83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involving identification of individual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55Prevention, detection or correction of errors
    • H04L49/555Error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23Errors, e.g. transmission err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2Network monitoring prob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8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using route fault recove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과제] 장애 시에 동일한 통신 상태를 유지하면서 예비 시스템으로의 스위칭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장치를 얻기 위한 것이다.
[해결 수단] 통신 장치는, 데이터 해석 수단 (1), 통신 감시 수단 (2), 및 관리 정보 송신 수단 (3) 을 구비하는 구성을 갖는다. 데이터 해석 수단 (1) 은, 자신의 장치에 입력된 복수의 패킷들의 각각으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추출하고, 복수의 패킷들의 소정의 정보를 해석하여, 패킷들의 각각의 플로우의 특성에 관한 정보를 플로우 관리 정보로서 생성한다. 통신 감시 수단 (2) 은, 자신의 장치가 접속된 통신 네트워크에서 패킷들의 통신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을 검지한다. 이상 검지 수단 (2) 이 이상을 검지할 때, 관리 정보 송신 수단 (3) 은, 이상의 검지 전에 입력된 소정의 패킷으로부터 이미 추출된 소정의 정보를, 자신의 장치에 의해 생성될 것으로 예상되는 플로우 관리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로서 예비 시스템 장치에 송신한다.

Description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은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다중적으로 구성된 통신 장치들 사이에 정보를 공유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사회의 발전과 함께 통신 네트워크의 사회적 중요성은 더 커지게 되었고, 통신 네트워크의 통신 품질 및 가용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통신 네트워크가 통신 품질 및 가용성을 확보하기 위해 통신의 제어 및 관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통신 장치들의 각각은 통과하는 데이터의 통신의 제어 및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갖는다. 예를 들어, 패킷 형식을 이용하여 통신이 수행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는, 통신 장치들의 각각은 패킷들의 플로우에 관한 정보를 갖는다. 플로우란 공통의 속성을 갖는 패킷들의 그룹, 예를 들어, 송신원 (transmission source) 및 송신선 어드레스들 및 프로토콜을 공통으로 갖는 패킷들의 그룹을 나타낸다.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중계 장치 등의 통신 장치들의 각각은 플로우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플로우에 대해 통신 양을 제어하고 통신을 중지하는 등에 의해 통신의 제어 및 관리를 수행한다.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통신 장치들의 각각은 자신의 장치를 통과하는 패킷들을 해석하고 플로우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각각의 플로우에 대한 통신의 제어 및 관리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의 가용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중적으로 (redundantly) 구성된 통신 장치들 및 회선들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활성 시스템과 예비 시스템을 다중적으로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활성 시스템에서의 이상의 경우에 예비 시스템으로의 스위칭이 수행되는 경우에, 이 경우에서의 스위칭은 단시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예비 시스템으로서 포함된 통신 장치는 때때로, 장애의 발생 전의 활성 시스템의 것과 동일한 조건으로 단시간 내에 통신가능하게 되도록 요구될 수도 있다. 다중적인 통신 시스템에서, 장애의 발생 등으로 인해 활성 시스템으로부터 예비 시스템으로, 이전의 통신 상태를 유지하면서 스위칭을 수행하기 위해서, 통신 장치들의 각각이 포함하는 정보가 스위칭원 (switching source) 과 스위칭선 (switching destination) 사이에 공유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중복적인 통신 시스템에서 활성-시스템 통신 장치와 예비-시스템 통신 장치 사이에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었다. 중복적인 통신 시스템에서 활성-시스템 통신 장치와 예비-시스템 통신 장치 사이에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기술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과 같은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서의 기술은 종단 장치들로서의 통신 장치들이 중복적인 커넥션형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에서의 통신 시스템은 활성-시스템 종단 장치 및 예비-시스템 종단 장치를 포함한다. 활성-시스템 종단 장치는, 송신원인 통신 장치와의 커넥션 (connection) 의 확립 시에, 통신원 통신 장치의 어드레스, 시퀀스 번호의 초기 값 등을 예비 시스템 종단 장치에 송신한다. 또한, 활성-시스템 종단 장치는 송신원과 통신할 때 시퀀스 번호의 증분 값을 예비-시스템 종단 장치로 송신한다. 이와 같이 활성-시스템 종단 장치로부터 예비-시스템 종단 장치로 송신원의 어드레스, 시퀀스 번호 등을 송신함으로써, 예비-시스템 종단 장치는 활성-시스템 종단 장치의 것과 동일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활성 시스템에서의 장애의 경우에, 예비-시스템 종단 장치는 송신원과의 커넥션을 확립하기 위한 통신을 새롭게 수행함이 없이 활성 시스템으로부터 인수된 정보에 기초하여 의사 커넥션 (pseudo connection) 을 확립하고 통신을 개시한다. 특허문헌 1 에서는, 이와 같은 통신의 인수가, 자신-장치 애플리케이션 및 통신 파트너가 그 인수를 인지하게 하는 일 없이 통신 처리를 예비 시스템으로 인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기술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 에서는,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중계 장치의 이상을 검지하는 기능을 갖는 통신 장치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2001-007851 호 특허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2006-229399 호
하지만, 특허문헌 1 에서의 기술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불충분하다. 특허문헌 1 에서의 통신 시스템에서는, 활성-시스템 종단 장치에 의해 확립된 커넥션에 관한 정보는 예비-시스템 종단 장치에 송신됨으로써 공유된다. 커넥션이 확립될 때의 신호는 소정의 신호 형식에 따라 송신 및 수신되고, 통신 장치들의 각각은 신호의 수신과 거의 동시에 신호의 내용으로부터 직접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통신의 제어 및 관리에 사용될 플로우 정보 등은 복수의 패킷들을 해석함으로써 획득되는 정보이다. 따라서, 각각의 플로우의 완전한 해석까지는 시간을 요하고, 활성-시스템 통신 장치에서 플로우 해석 동안 장애 (failure) 가 발생하고 예비 시스템으로의 스위칭 (switching) 이 수행될 수도 있는 경우가 있다.
플로우의 특정을 위해 3 개의 패킷들, 예들 들어, P1, P2, 및 P3 이 필요한 경우에, 하나의 패킷 P1 을 해석한 후에 장애가 발생하고 예비 시스템 통신 장치로 역할이 인계된다고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에, 해석이 완료되지 않았기 때문에 플로우 정보가 활성 시스템으로부터 예비 시스템으로 인계될 수 없다. 플로우 정보가 인수될 수 없을 때, 예비-시스템 통신 장치는 독자적으로 자신의 장치를 통과하는 패킷들을 해석하고 플로우 정보를 생성할 필요가 있다. 예비-시스템 통신 장치는 활성 시스템에 의해 이미 수신된 패킷 P1 을 수신할 수 없다. 따라서, 자신의 장치에 의해 플로우 해석을 수행할 때, 예비-시스템 통신 장치는 활성 시스템이 그대로 해석을 계속하는 경우와는 상이한 3 개의 패킷들의 셋트, 예를 들어, P2, P3, 및 P4 를 이용하여 플로우 해석을 수행하게 된다. 예비-시스템 통신 장치는 활성 시스템이 그대로 해석을 계속하는 경우와는 상이한 패킷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플로우 해석을 수행하기 때문에, 해석 결과로서 획득될 플로우 정보가 또한 상이한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플로우 해석의 결과에 기초하여 통신의 제어 및 관리가 수행되기 때문에, 상이한 플로우 정보는 운용자의 의도와는 다른 통신 품질 제어 및 통신 정지에 대한 요인이 될 수도 있다. 그러한 상태를 피하기 위해, 활성 시스템이 해석을 계속하는 경우와 예비 시스템이 새롭게 해석을 수행하는 경우 사이에 획득되는 정보가 동일할 수도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특허문헌 1 에서의 기술은 신호로부터 직접 획득된 정보를 송신하기만 하고, 패킷들의 플로우에 대한 해석 도중의 정보의 공유 등은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활성 시스템과 예비 시스템 사이에 동일한 플로우 정보가 획득되지 않을 수도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특허문헌 2 에서의 통신 장치는 장치들의 각각에 의한 플로우 해석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상호 공유하는 그러한 기능을 역시 갖지 않는다. 따라서,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에서의 기술들의 각각은 활성 시스템 및 예비 시스템 사이에 플로우 정보를 확실하게 공유하도록 요망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을 위한 기술로서 불충분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성을 위해 포함된 예비-시스템 통신 장치와 패킷들의 플로우에 대해 동일한 정보를 공유하고, 장애 시에 동일한 통신 상태를 유지하면서 예비 시스템으로의 스위칭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장치를 획득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는 데이터 해석 수단, 통신 감시 수단, 및 관리 정보 송신 수단을 포함한다. 데이터 해석 수단은, 자신의 장치 (own device) 에 입력되는 복수의 패킷들의 각각으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추출하고, 복수의 패킷들의 각각의 소정의 정보를 해석하여, 패킷들의 각각의 플로우 (flow) 의 특성에 관한 정보를 플로우 관리 정보로서 생성한다. 통신 감시 수단은, 자신의 장치가 접속된 통신 네트워크에서 패킷들의 통신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을 검지한다. 이상 검지 수단이 이상을 검지할 때, 관리 정보 송신 수단은, 이상의 검지 전에 입력된 소정의 패킷으로부터 이미 추출된 소정의 정보를, 자신의 장치에 의해 생성될 것으로 예상되는 플로우 관리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로서 예비 시스템 (standby-system) 장치에 송신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은, 자신의 장치에 입력되는 복수의 패킷들의 각각으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추출하고, 복수의 패킷들의 각각의 정보를 해석하여, 패킷들의 각각의 플로우의 특성에 관한 정보를 플로우 관리 정보로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은, 자신의 장치가 접속된 통신 네트워크에서 패킷들의 통신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을 검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은, 이상이 검지될 때, 이상의 검지 전에 입력된 소정의 패킷으로부터 이미 추출된 소정의 정보를, 자신의 장치에 의해 생성될 것으로 예상되는 플로우 관리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로서 예비 시스템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장애 시에 동일한 통신 상태를 유지하면서 예비 시스템 통신 장치로의 스위칭을 가능하게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구성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구성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동작 플로우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동작 플로우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동작 플로우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동작 플로우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이다.
(제 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장치의 구성의 개요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장치는 데이터 해석 수단 (1), 통신 감시 수단 (2), 및 관리 정보 송신 수단 (3) 을 포함한다.
데이터 해석 수단 (1) 은, 자신의 장치에 입력되는 복수의 패킷들의 각각으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추출하고, 복수의 패킷들의 각각의 소정의 정보를 해석하여, 패킷들의 각각의 플로우의 특성에 관한 정보를 플로우 관리 정보로서 생성한다. 통신 감시 수단 (2) 은, 자신의 장치가 접속된 통신 네트워크에서 패킷들의 통신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을 검지한다. 이상 검지 수단 (2) 이 이상을 검지할 때, 관리 정보 송신 수단 (3) 은, 이상의 검지 전에 입력된 소정의 패킷으로부터 이미 추출된 소정의 정보를, 자신의 장치에 의해 생성될 것으로 예상되는 플로우 관리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로서 예비 시스템 장치에 송신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장치에서, 데이터 해석 수단 (1) 은, 자신의 장치에 입력되는 복수의 패킷들의 각각으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추출하고 플로우 관리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통신 감시 수단 (2) 이 통신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검지할 때, 관리 정보 송신 수단 (3) 은 소정의 입력 패킷으로부터 이미 추출된 소정의 정보를, 자신의 장치에 의해 생성될 것으로 예상되는 플로우 관리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로서 예비 시스템 장치에 송신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장치에서, 예비-시스템 장치는 패킷으로부터 이미 추출된 소정의 정보를 예비-시스템 장치에 송신함으로써 자신의 장치에 의해 생성될 것으로 예상되는 플로우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예비-시스템 장치 측에서는 아무런 장애도 발생하지 않았을 때 활성-시스템 통신 장치에 의해 획득되었을 정보와 동일한 정보인 플로우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장치는, 자신의 장치와 동일한 통신 상태를 유지하면서 예비-시스템 장치에 대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인계할 수 있기 때문에, 장애 시에 동일한 통신 상태를 유지하면서 예비-시스템 통신 장치로의 스위칭이 가능하게 된다.
(제 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2 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의 개요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제 1 노드 (11), 제 2 노드 (12), 제 3 노드 (13), 및 제 4 노드 (14) 를 포함한다. 제 1 노드 (11) 와 제 2 노드 (12), 그리고 제 2 노드 (12) 와 제 4 노드 (14) 는 각각 쌍방향으로 통신가능한 통신 회선들에 의해 접속된다. 유사하게, 제 1 노드 (11) 와 제 3 노드 (13), 그리고 제 3 노드 (13) 와 제 4 노드 (14) 도 또한 각각 쌍방향으로 통신가능한 통신 회선들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제 2 노드 (12) 및 제 3 노드 (13) 도 또한 쌍방향으로 통신가능한 통신 회선들에 의해 접속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노드들은 광섬유를 이용한 통신 회선에 의해 각각의 통신 방향들에서 접속된다. 노드들 사이에는, 중계 장치 등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노드들 사이의 통신은 무선 통신에 의해서, 또는 무선 통신 및 다른 통신 방식들의 조합에 의해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 1 노드 (11), 제 2 노드 (12) 및 제 4 노드 (14) 에 의해 형성된 통신 경로는 활성 시스템으로서 설정되고, 제 1 노드 (11), 제 3 노드 (13) 및 제 4 노드 (14) 에 의해 형성된 통신 경로는 예비 시스템으로서 설정된다. 다르게 말하면, 본 실시형태에서, 제 2 노드 (12) 는 활성 시스템에서의 중계 장치로서 포함되고, 제 3 노드 (13) 는 예비 시스템에서의 중계 장치로서 포함된다. 활성-시스템 통신 경로 및 예비-시스템 통신 경로의 설정은 역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제 3 노드 (13) 가 활성 시스템에서의 중계 장치로서 기능하고, 제 2 노드 (12) 가 예비 시스템에서의 중계 장치로서 기능한다.
단순함을 위해, 본 실시형태의 이하의 설명은 데이터의 송신이 제 1 노드 (11) 측으로부터 제 4 노드 (14) 측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다르게 말하면, 제 1 노드 (11) 는 자신의 장치에 접속된 다른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정보 장치로부터 입력된 패킷들을 목적지에 대응하여 송신하기 위한 송신 장치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제 4 노드 (14) 는 수신된 패킷들을 거기에 접속된 다른 통신 네트워크, 정보 장치 등에 출력하기 위한 수신 장치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 4 노드 (14) 측으로부터 제 1 노드 (11) 측으로 데이터가 송신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 제 1 노드 (11) 는 수신 장치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제 4 노드는 송신 장치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중계 장치로서 포함된 제 2 노드 (12) 의 구성은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3 은 제 2 노드 (12) 로서 사용되는 노드의 구성의 개요를 나타낸다. 도 3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노드 (12) 는 수신부 (21), 신호 제어부 (22), 송신부 (23), 데이터 해석부 (24), 통신 감시부 (25), 플로우 관리 정보 저장부 (26), 및 관리 정보 송수신부 (27) 를 포함한다.
수신부 (21) 는 다른 노드들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고, 그 신호들의 각각을 자신의 장치, 즉, 제 2 노드 (12) 에서 사용할 신호 형태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신부 (21) 는 제 1 노드 (11) 및 제 4 노드 (14) 로부터의 광 신호들을 각각의 통신 회선들에 대응하는 포트들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광 신호들의 각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수신부 (21) 는 전기 신호로 변환된 신호의 디코딩 등을 수행하고, 그 신호를 수신 신호 (S1) 로서 신호 제어부 (22) 에 전송한다.
신호 제어부 (22) 는 수신된 패킷들의 목적지들을 판별하고 패킷들의 각각을 목적지들의 각각에 대응하는 접속선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다. 신호 제어부 (22) 는 수신 신호 (S1) 로서 수신된 각 패킷의 목적지에 관한 정보를 체크하고, 패킷의 송신선의 판단 등의 처리를 수행한다. 신호 제어부 (22) 는 송신선의 판단 등의 처리를 행한 패킷을 송신부 (23) 에 송신용 신호 (S2) 로서 전송한다.
송신부 (23) 는, 제 2 노드 (12) 에서 이용하기 위한 형식의 신호를 각각의 통신 회선들의 규격들에 따른 신호들로 변환하여 그 신호들을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송신부 (23) 는 송신용 신호 (S2) 로서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송신용의 광 신호들을 생성하고, 그 광 신호들을 송신선의 노드들에 각각 대응하는 포트들을 통해 각각의 통신 회선들에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송신부 (23) 는 광 신호들을 각각이 통신 회선들을 통해 제 1 노드 (11) 및 제 4 노드 (14) 에 송신한다.
데이터 해석부 (24) 는 신호 제어부 (22) 에 의해 처리되는 패킷들의 각각으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추출하고, 플로우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갖는다. 플로우 관리 정보는 각 노드에 의한 통신의 관리 및 제어를 위한 기초로서 사용되는 패킷 플로우에 관한 정보를 가리킨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플로우는 공통의 속성을 갖는 패킷들의 그룹, 예를 들어, 송신원 및 송신선 어드레스들 및 프로토콜을 공통으로 갖는 패킷들의 그룹을 가리킨다. 플로우 관리 정보는 플로우의 특성, 즉, 동일한 플로우에 속하는 패킷들에서 공통적인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에 의해 구성된다. 예를 들어, 플로우 관리 정보는 플로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 각 플로우의 송신원 및 송신선 어드레스들, 및 패킷들의 프로토콜에 관한 정보에 의해 구성된다. 플로우 관리 정보가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경우에, 동일한 플로우에 속하는 패킷들은 송신원 및 송신선 어드레스들 및 패킷들의 프로토콜에 관해 공통적인 정보를 갖는다.
데이터 해석부 (24) 는 패킷들의 각각으로부터, 소정의 정보로서, 예를 들어, 패킷들의 유형, 송신원 어드레스 및 송신선 어드레스에 관한 정보를 추출한다. 데이터 해석부 (24) 는, 복수의 패킷들의 각각으로부터 추출된 소정의 정보에 기초하여, 패킷들의 각 플로우에서 공통적인 정보를, 플로우의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인 플로우 관리 정보로서 생성한다.
통신 감시부 (25) 로부터 통신 장애의 이상이 해석부 제어 신호 (S6) 로서 검출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면, 데이터 해석부 (24) 는 해석 중의 정보, 즉, 수신 전의 패킷으로부터 추출된 소정의 정보를 해석 데이터 신호 (S5) 로서 통신 감시부 (25) 에 출력한다. 또한, 데이터 해석부 (24) 는,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해석 중의 정보 및 자신의 장치를 통과한 패킷으로부터 추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플로우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추가로 포함한다.
통신 감시부 (25) 는 자신의 장치의 통신 상태를 감시하고 통신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통신 감시부 (25) 는 플로우 관리 정보 저장부 (26) 에 저장된 플로우 관리 정보를 참조하여 각 플로우의 통신의 제어 및 관리를 수행한다. 또한, 통신 감시부 (25) 는 신호 제어부 (22) 에서의 신호 처리의 상태를 감시하고 처리가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 여부를 감시한다. 통신 감시부 (25) 는, 예를 들어, 제어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 것이 실패했을 때 및 사전설정된 시간 간격 내에 소정의 처리가 완료되지 못했을 때, 통신에서의 장애 발생의 이상이 있다고 판단한다.
통신 감시부 (25) 는, 이상을 검지하면, 데이터 해석부 (24) 에 현재 해석되는 플로우에 관한 데이터를 요청하는 신호를 해석부 제어 신호 (S6) 로서 전송한다. 또한, 통신 감시부 (25) 는, 데이터 해석부 (24) 로부터 해석 데이터 신호 (S5) 로서 전송되는 현재 해석되는 데이터를, 관리 정보 송신 신호 (S9) 로서 관리 정보 송수신부 (27) 에 전송한다.
또한, 통신 감시부 (25) 는, 플로우 관리 정보를 데이터 해석부 (24) 로부터 수신할 때, 수신된 데이터를 정보 저장부 제어 신호 (S7) 로서 플로우 관리 정보 저장부 (26) 에 전송한다. 통신 감시부 (25) 는 플로우 관리 정보를 제 3 노드 (13) 와 공유하기 위해 관리 정보 송수신부 (27) 에 관리 정보 송신 신호 (S9) 로서 플로우 관리 정보를 전송한다.
통신 감시부 (25) 는, 제 3 노드 (13) 의 플로우 관리 정보를 관리 정보 수신 신호 (S10) 로서 수신하면, 수신된 데이터를 데이터 해석부 (24) 또는 플로우 관리 정보 저장부 (26) 에 전송한다. 관리 정보 수신 신호 (S10) 가 해석 중의 정보인 경우에, 통신 감시부 (25) 는 수신된 데이터를 데이터 해석부 (24) 에 전송한다. 관리 정보 수신 신호 (S10) 가 이미 해석된 플로우 관리 정보인 경우에, 통신 감시부 (25) 는 수신된 데이터를 플로우 관리 정보 저장부 (26) 에 전송한다.
플로우 관리 정보 저장부 (26) 는, 플로우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갖는다. 플로우 관리 정보 저장부 (26) 는, 통신 감시부 (25) 로부터 플로우 관리 정보 및 그것을 저장을 요청하는 신호를 정보 저장부 제어 신호 (S7) 로서 수신하면, 수신된 플로우 관리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플로우 관리 정보 저장부 (26) 는, 통신 감시부 (25) 로부터 플로우 관리 정보의 출력을 요청하는 신호를 정보 저장부 제어 신호 (S7) 로서 수신하면, 저장된 플로우 관리 정보를 플로우 관리 정보 신호 (S8) 로서 통신 감시부 (25) 에 전송한다.
관리 정보 송수신부 (27) 는, 플로우 관리 정보 또는 현재 해석되는 정보가 공유되는 노드에, 즉, 제 3 노드 (13) 에 플로우 관리 정보의 데이터 또는 현재 해석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관리 정보 송수신부 (27) 는, 다른 노드로부터, 즉, 제 3 노드 (13) 로부터 플로우 관리 정보의 데이터 또는 현재 해석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관리 정보 송수신부 (27) 는, 통신 감시부 (25) 로부터, 플로우 관리 정보 등을 관리 정보 송신 신호 (S9) 로서 수신하면, 수신된 정보를 제 3 노드 (13) 에 활성-측 관리 정보 신호 (S3) 로서 송신한다. 또한, 관리 정보 송수신부 (27) 는, 제 3 노드 (13) 로부터 플로우 관리 정보 등을 예비-측 관리 정보 신호 (S4) 로서 수신하면, 수신된 정보를 통신 감시부 (25) 에 관리 정보 수신 신호 (S10) 로서 전송한다.
도 4 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예비-시스템 중계 장치로서 사용되는 제 3 노드 (13) 의 구성의 개요를 나타낸다. 도 4 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제 3 노드 (13) 의 구성은 제 2 노드 (12) 의 것과 유사하다. 즉, 제 3 노드 (13) 는 수신부 (31), 신호 제어부 (32), 송신부 (33), 데이터 해석부 (34), 통신 감시부 (35), 플로우 관리 정보 저장부 (36), 및 관리 정보 송수신부 (37) 를 포함한다. 수신부 (31), 신호 제어부 (32), 송신부 (33), 데이터 해석부 (34), 통신 감시부 (35), 플로우 관리 정보 저장부 (36), 및 관리 정보 송수신부 (37) 는 제 2 노드 (12) 에서 동일한 명칭들이 주어진 대응하는 부위들의 것들과 유사한 구성들 및 기능들을 갖는다.
제 3 노드 (13) 에서의 수신 신호 (S11), 송신용 신호 (S12), 해석 데이터 신호 (S15), 해석부 제어 신호 (S16), 정보 저장부 제어 신호 (S17), 및 플로우 관리 정보 신호 (S18) 는 제 2 노드 (12) 에서 동일한 명칭들이 주어진 대응하는 신호들의 것들과 유사한 구성들 및 기능들을 갖는다. 또한, 관리 정보 송신 신호 (S19) 및 관리 정보 수신 신호 (S20) 는 제 2 노드 (12) 에서 동일한 명칭들이 주어진 대응하는 신호들의 것들과 유사한 구성들 및 기능들을 갖는다. 예비-측 관리 정보 신호 (S4) 는 관리 정보 송수신부 (37) 로부터 제 2 노드 (12) 로 송신되는 신호이다. 또한, 활성-측 관리 정보 신호 (S3) 는 제 2 노드 (12) 로부터 관리 정보 송수신부 (37) 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이다. 활성-측 관리 정보 신호 (S3) 및 예비-측 관리 정보 신호 (S4) 는 제 2 노드 (12) 에 의해 송신 및 수신되는 동일한 명칭들이 주어진 신호들에 각각 대응한다.
제 2 노드 (12) 및 제 3 노드 (13) 는 유사한 구성들 및 기능들을 갖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활성 시스템과 예비 시스템 사이에 스위칭하고, 그 다음에, 장애를 해소한 후에 다시 첫번째의 경로를 이용하는 통신으로 스위칭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동작이 설명된다. 도 5 는, 통신 장애, 장치 이상 등이 발생하지 않을 때 제 2 노드 (12) 에 입력되는 패킷들에 기초하는 플로우 해석에서의 동작의 개요를 나타내고, 이러한 해석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활성-시스템 중계 장치인 제 2 노드 (12) 에 의해 수행된다.
제 1 노드 (11) 는 제 4 노드 (14) 로 어드레싱되는 패킷 1 을 제 2 노드 (12) 에 송신한다 (단계 101). 제 2 노드 (12) 는, 수신부 (21) 에서 패킷 1 을 수신하면, 수신된 신호의 디코딩 등의 처리를 수행하고, 패킷 1 의 데이터를 수신 신호 (S1) 로서 신호 제어부 (22) 에 전송한다. 신호 제어부 (22) 는, 패킷 1 이 제 4 노드 (14) 로 어드레싱된 패킷이라고 판단하면, 제 4 노드 (14) 에의 송신을 위해, 패킷 1 의 데이터를 송신용 신호 (S2) 로서 송신부 (23) 에 전송한다. 제 2 노드 (12) 의 송신부 (23) 는, 패킷 1 을 송신용 신호 (S2) 로서 수신하면, 그 신호를 소정의 신호 형식으로 변환하고 패킷 1 을 제 4 노드 (14) 로 송신한다. 상술된 동작에 의해, 제 2 노드 (12) 는 수신된 패킷 1 을 제 4 노드 (14) 에 전송한다 (단계 102). 제 4 노드 (14) 는, 패킷 1 을 수신하면, 패킷 1 의 내용에 따라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 2 노드 (12) 의 신호 제어부 (22) 가 패킷 1 의 처리를 수행할 때, 데이터 해석부 (24) 는 신호 제어부 (22) 의 패킷 처리를 감시하고 패킷 1 의 소정의 정보를 추출한다. 데이터 해석부 (24) 는, 패킷 1 의 소정의 정보의 데이터를 추출하면, 추출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데이터 해석부 (24) 는, 소정의 정보로서, 패킷의 송신원 및 송신선의 어드레스들 및 패킷의 유형을 포함하는 정보를 패킷으로부터 추출한다. 데이터 해석부 (24) 에 의해 추출된 소정의 정보는 다른 항목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패킷 1 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 1 노드 (11) 는 제 4 노드 (14) 로 어드레싱되는 패킷 2 를 제 2 노드 (12) 에 송신한다 (단계 103). 제 2 노드 (12) 는, 패킷 2 를 수신하면, 목적지인 제 4 노드 (14) 에 패킷 2 를 전송한다 (단계 104). 제 2 노드 (12) 가 패킷 2 의 처리를 수행할 때, 데이터 해석부 (24) 는 패킷 2 의 소정의 정보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한다.
패킷 3 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제 1 노드 (11) 는 패킷 3 을 제 2 노드 (12) 에 송신하고 (단계 105), 제 2 노드 (12) 는 목적지를 판단하고 패킷 3 을 제 4 노드 (14) 에 전송한다 (단계 106). 제 2 노드 (12) 의 데이터 해석부 (24) 는 패킷 3 으로부터 소정의 정보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한다.
제 2 노드 (12) 의 데이터 해석부 (24) 는, 소정 수의 패킷들의 각각으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면, 임시로 저장된 소정의 정보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플로우 해석을 수행한다 (단계 107). 본 실시형태에서, 데이터 해석부 (24) 는 패킷 1, 패킷 2 및 패킷 3 에 기초하여 해석을 수행하여 플로우를 특정한다. 패킷 1, 패킷 2 및 패킷 3 사이에 소정의 정보가 공통일 때, 데이터 해석부 (24) 는 패킷들을 동일 플로우의 패킷들인 것으로서 간주하고, 상호 연관된 정보를 플로우 관리 정보인 것으로서 정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단계 107 에서의 해석에 의해 특정되는 플로우는 플로우 A 로 지칭된다.
데이터 해석부 (24) 는, 플로우 A 를 특정하면, 특정된 틀로우 A 에 대한 정보에 의해 구성된 플로우 관리 정보를 해석 데이터 신호 (S5) 로서 통신 감시부 (25) 에 전송한다. 통신 감시부 (25) 는, 플로우 관리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정보를, 정보 저장 제어 신호 (S7) 로서 플로우 관리 정보 저장부 (26) 에 전송한다. 플로우 관리 정보 저장부 (26) 는, 플로우 관리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플로우 A 에 대한 플로우 관리 정보를 갱신한다 (단계 S108). 또한, 통신 감시부 (25) 는, 수신된 플로우 A 에 관한 플로우 관리 정보를 관리 정보 송신 신호 (S9) 로서 관리 정보 송수신부 (27) 에 전송한다. 관리 정보 송수신부 (27) 는, 플로우 관리 정보를 수신하면, 플로우 A 에 관한 플로우 관리 정보를 활성-측 관리 정보 신호 (S3) 로서 제 3 노드 (13) 에 송신한다 (단계 109).
제 3 노드 (13) 의 관리 정보 송수신부 (37) 는, 제 2 노드 (12) 로부터 플로우 A 에 대한 플로우 관리 정보를 활성-측 관리 정보 신호 (S3) 로서 수신하면, 수신된 정보를 관리 정보 수신 신호 (S20) 로서 통신 감시부 (35) 에 전송한다. 통신 감시부 (35) 는, 플로우 A 에 대한 플로우 관리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정보를 정보 저장부 제어 신호 (S17) 로서 플로우 관리 정보 저장부 (36) 에 전송한다. 플로우 관리 정보 저장부 (36) 는, 플로우 A 에 대한 플로우 관리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플로우 A 에 대한 플로우 관리 정보를 갱신한다. 제 3 노드 (13) 가 제 2 노드 (12) 로부터 수신된 플로우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것에 의해, 제 2 노드 (12) 와 제 3 노드 (13) 사이의 플로우 A 에 대한 플로우 관리 정보의 동기화가 완료된다 (단계 110). 즉, 활성 시스템 및 예비 시스템의 노드들 사이의 플로우 A 에 대한 플로우 관리 정보에 관한 동기화가 완료된다.
제 2 노드 (12) 의 통신 감시부 (25) 는 갱신된 플로우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의 제어 및 관리를 수행한다 (단계 111). 다른 상이한 플로우들이 존재하는 경우에, 제 2 노드 (12) 는, 플로우들의 각각에 대해 플로우 관리 정보를 생성 및 갱신함으로써 제 3 노드 (13) 와의 플로우 관리 정보의 동기화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플로우 해석 중에 활성 시스템에서 통신 장애의 이상이 발생하고 제 2 노드 (12) 로부터 예비-시스템 제 3 노드 (13) 로의 스위칭이 수행될 때의 동작이 설명된다. 도 6 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플로우 해석 중에 활성 시스템에서 이상이 검지되고 활성 시스템으로부터 예비 시스템으로의 스위칭이 수행될 때의 동작 플로우의 개요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3 개의 패킷들로부터 플로우가 특정될 수 있는 플로우 B 를 특정하는 동작에서 제 1 패킷으로부터 소정의 정보의 추출 후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의 예를 이용하여 설명이 주어진다.
제 1 노드 (11) 는 제 4 노드 (14) 에 어드레싱된 패킷 1 을 제 2 노드 (12) 에 송신한다 (단계 121). 패킷 1 은 플로우 B 에 대한 플로우 관리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해석에 필요한 3 개의 패킷들 중의 제 1 패킷이다. 제 2 노드 (12) 는, 수신부 (21) 에서 패킷 1 을 수신하면, 신호 제어부 (22) 에서, 패킷 1 이 제 4 노드 (14) 로 어드레싱된 패킷이라고 판단한다. 신호 제어부 (22) 에서, 패킷 1 이 제 4 노드 (14) 로 어드레싱된 패킷이라고 판단하면, 제 2 노드 (12) 의 송신부 (23) 는 패킷 1 을 제 4 노드 (14) 에 전송한다 (단계 122). 제 4 노드 (14) 는, 패킷 1 을 수신하면, 패킷 1 의 내용에 따라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 2 노드 (12) 의 신호 제어부 (22) 가 패킷 1 의 처리를 수행할 때, 데이터 해석부 (24) 는 패킷 1 을 해석하고 소정의 정보를 추출한다 (단계 123). 데이터 해석부 (24) 는, 패킷 1 의 소정의 정보의 데이터를 추출하면, 추출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한다.
패킷 1 의 처리를 완료한 때에 통신 시스템의 활성 시스템에서 장애가 발생하고, 활성 시스템 측에서의 패킷 통신이 불가능하게 되었다고 가정한다. 통신 시스템의 활성 시스템에서 장애가 발생할 때, 제 2 노드 (12) 의 통신 감시부 (25) 는 이상의 발생을 검지한다 (단계 124). 이상의 발생을 검지하면, 통신 감시부 (25) 는, 데이터 해석부 (24) 에 현재 해석되는 플로우 관리 정보에 대해 요청하는 해석부 제어 신호 (S6) 를 전송한다. 현재 해석되는 플로우 관리 정보는 패킷들의 각각으로부터 추출된 소정의 정보에 의해 구성된다.
데이터 해석부 (24) 는, 현재 해석되는 플로우 관리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지시를 수신하면, 패킷 1 로부터 추출된 정보를 통신 감시부 (25) 에 해석 데이터 신호 (S5) 로서 전송한다. 통신 감시부 (25) 는, 패킷 1 로부터 추출된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정보를 관리 정보 송신 신호 (S9) 로서 관리 정보 송수신부 (27) 에 전송한다. 패킷 1 에 대해서만 해석이 종료된 경우에, 플로우 관리 정보는 패킷 1 로부터 추출된 소정의 정보에 의해 구성된다. 관리 정보 송수신부 (27) 는, 현재 해석되는 플로우 관리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정보를 제 3 노드 (13) 에 활성-측 관리 정보 신호 (S3) 로서 송신한다 (단계 125).
제 3 노드의 관리 정보 송수신부 (37) 는, 현재 해석되는 플로우 관리 정보를 활성-측 관리 정보 신호 (S3) 로서 수신하면, 수신된 정보를 관리 정보 수신 신호 (S20) 로서 통신 감시부 (35) 에 전송한다. 또한, 통신 감시부 (35) 는, 수신된 현재 해석되는 플로우 관리 정보를 데이터 해석부 (34) 에 해석부 제어 신호 (S16) 로서 전송한다. 데이터 해석부 (34) 는, 현재 해석되는 플로우 관리 정보, 즉, 제 2 노드 (12) 에서 패킷으로부터 추출된 소정의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정보를 임시로 저장한다.
제 1 노드 (11) 는, 장애를 검지하면, 패킷의 송신선을 제 3 노드 (13) 측의 예비 시스템의 경로로 변경한다. 제 1 노드 (11) 는, 제 4 노드 (14) 로 어드레싱된 다음으로 송신될 패킷 2 를 제 3 노드 (13) 에 송신한다 (단계 126).
제 3 노드 (13) 는, 패킷 2 를 수신하면, 목적지인 제 4 노드 (14) 에 패킷 2 를 전송한다 (단계 127). 제 3 노드 (13) 가 패킷 2 의 처리를 수행할 때, 제 3 노드 (13) 의 데이터 해석부 (34) 는 패킷 2 의 소정의 정보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한다.
또한, 패킷 3 에 대한 것과 유사하게, 제 1 노드 (11) 는 제 3 노드 (13) 에 패킷 (3) 을 전송하고 (단계 128), 제 3 노드 (13) 는 목적지를 판단하여 제 4 노드 (14) 에 패킷 3 을 전송한다 (단계 129). 제 3 노드 (13) 의 데이터 해석부 (34) 는 패킷 3 으로부터 소정의 정보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한다.
제 2 노드 (13) 의 데이터 해석부 (34) 는, 소정 수의 패킷들을 저장하면, 제 2 노드 (12) 로부터 수신된 해석 중의 정보 및 자신의 장치에 의해 추출되고 거기에 임시로 저장된 데이터 양자에 기초하여 플로우 해석을 수행한다 (단계 130). 본 실시형태의 예에서는, 제 3 노드 (13) 의 데이터 해석부 (34) 는, 제 2 노드 (12) 에 의해 패킷 1 로부터 추출된 소정의 정보 및 자신의 장치에 의해 패킷 2 및 패킷 3 으로부터 추출된 소정의 정보 양자에 기초하여 플로우 해석을 수행한다. 제 3 노드 (13) 의 데이터 해석부 (34) 는, 제 2 노드 (12) 로부터 수신된 해석 중의 정보와 자신의 장치에 의해 추출된 정보 사이에 소정의 정보가 공통적일 때, 동일한 플로우인 것으로서 특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계 130 에서 특정되는 플로우는 플로우 B 로서 지칭된다.
제 3 노드 (13) 의 데이터 해석부 (34) 는, 플로우 B 를 특정하면, 플로우 관리 정보를 해석 데이터 신호 (S15) 로서 통신 감시부 (35) 에 전송한다. 통신 감시부 (35) 는, 플로우 B 에 대한 플로우 관리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정보를 정보 저장부 제어 신호 (S17) 로서 플로우 관리 정보 저장부 (36) 에 전송한다. 플로우 관리 정보 저장부 (36) 는, 플로우 관리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플로우 B 에 대한 플로우 관리 정보를 갱신한다 (단계 131).
플로우 관리 정보의 갱신 시, 제 3 노드의 통신 감시부 (35) 는 플로우 B 에 대해 갱신된 플로우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의 관리를 수행한다 (단계 132). 또한, 플로우 A 등의 다른 플로우들에 대해서는, 통신 감시부 (35) 는, 플로우 관리 정보 저장부 (36) 에 이미 저장된 플로우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의 관리를 수행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활성-시스템 제 2 노드 (12) 에서 장애가 발생할 때, 현재 해석되는 플로우에 관한 정보만이 예비-시스템 제 3 노드 (13) 로 인계된다. 이러한 구성 대신에, 활성-시스템 제 2 노드 (12) 는, 장애 발생시, 현재 해석되는 플로우에 대한 정보 뿐만 아니라 다른 이미 해석된 플로우들에 대한 정보도 예비-시스템 제 3 노드 (13) 에 송신할 수도 있다. 현재 해석되는 정보 뿐만 아니라 다른 플로우들에 대한 정보도 송신함으로써, 장애발생 시에 활성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플로우 관리 정보를 확실하게 인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때 인계될 이미 해석된 플로우는 소정의 기간 내에 갱신된 새로운 플로우로 한정될 수도 있다. 또한, 소정의 기간 내에서의 소정의 양 이상의 통신을 수행한 플로우의 정보만이 인계될 수도 있다. 인계될 플로우에 대한 제한은 장애발생 시에 한정된 시간 내에 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인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관리 정보 송수신부를 통해 노드들 사이에 노드 관리 정보가 송신 및 수신된다. 이러한 구성 대신에, 다른 노드들과 각각 통신하는 송신부 및 수신부가 활성 시스템 및 예비 시스템의 노드들 사이의 현재 해석되는 및 이미 해석된 플로우 관리 정보의 공유에 관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활성-시스템 제 2 노드 (12) 에 의해 생성된 플로우 관리 정보를 예비-시스템 제 3 노드 (13) 에 송신함으로써 예비 시스템과 활성 시스템 사이에 플로우 관리 정보가 공유된다. 활성-시스템 제 2 노드 (12) 에 의한 플로우의 해석 중에 장애가 발생하고 통신 및 플로우 해석이 계속될 수 없을 때, 제 2 노드 (12) 는 현재 해석되는 플로우 관리 정보를 예비-시스템 제 3 노드 (13) 에 송신한다. 제 3 노드 (13) 가 제 2 노드 (12) 에 의해 현재 해석되는 정보를 인수하고 자신의 장치에 의해 추출된 정보와 함께 정보에 대한 플로우 해석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제 2 노드 (12) 가 플로우 해석을 계속하는 경우와 동일한 정보에 기초하여 플로우를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제 3 노드 (13) 는, 제 2 노드 (12) 가 플로우 해석을 계속하는 경우와 유사한 플로우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장애가 발생하지 않을 때, 활성-시스템 제 2 노드 (12) 는 3 개의 패킷들 (P1, P2 및 P3) 의 각각으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추출하고 플로우 해석을 수행한다고 가정한다. 활성-시스템 제 2 노드 (12) 가 제 1 패킷인 P1 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추출하고, 그 후에, 현재 해석되는 정보의 인계 없이 예비 시스템으로의 스위칭이 수행된다고 가정될 때, 제 3 노드 (13) 는 패킷 P1 을 수신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는 제 3 노드 (13) 가 패킷들 (P2 및 P3) 및 추가적인 다른 패킷, 예를 들어, P4 에 기초하여 플로우 해석을 수행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경우에, 활성-시스템 제 2 노드 (12) 및 예비-시스템 제 3 노드 (13) 각각은 상이한 패킷들의 쌍들에 기초하여 플로우 해석을 수행하기 때문에, 획득될 플로우 정보는 상이할 우려가 있을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활성 시스템에서 이상을 검지할 때, 제 2 노드 (12) 는 는 패킷 P1 으로부터 이미 추출된 소정의 정보를 예비-시스템 제 3 노드 (13) 에 송신한다. 따라서, 제 3 노드 (13) 는, 자신의 장치가 직접 수신된 패킷들로부터 추출한 패킷들 P2 및 P3 의 소정의 정보 및 제 2 노드 (12) 로부터 수신된 패킷 P1 의 소정의 정보 양자에 기초하여 플로우 해석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제 3 노드 (13) 는, 활성 시스템에서 아무런 이상도 발생하지 않았을 때 제 2 노드에 의해 플로우 해석을 위해 사용될 것으로 가정되는 패킷들의 조합과 동일한 패킷들의 조합인 P1, P2 및 P3 에 기초하여 플로우 해석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플로우 해석을 위한 기초로서 사용되는 패킷들의 일치하는 조합으로 인해, 제 3 노드 (13) 는 활성 시스템에서 아무런 이상이 발생하지 않았을 때 제 2 노드 (12) 에 의해 생성될 것으로 예상되는 플로우 관리 정보와 유사한 플로우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장애 발생의 경우에, 예비-시스템 제 3 노드 (13) 는 활성-시스템 제 2 노드 (12) 의 것과 유사한 플로우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의 제어 및 관리를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장애 발생의 경우에 활성 시스템으로부터 예비 시스템으로의 중계 장치의 스위칭은 플로우 관리 정보에서의 차이로 인해 통신의 제어 및 관리의 내용에서의 변경을 야기하지 않는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비록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플로우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의 제어 및 관리를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동일한 플로우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의 제어 및 관리를 계속함으로써, 예상치 못한 통신 제어 및 정지가 회피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가 자세히 설명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기능에 추가하여, 활성 시스템에서의 노드로부터 예비 시스템에서의 노드로의 정보의 송신이 실패할 때, 예비-시스템 측에 의해 다시 처음부터 플로우를 특정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은 제 2 실시형태의 것과 유사하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제 1 노드 (11), 제 2 노드 (12), 제 3 노드 (13), 및 제 4 노드 (14) 를 포함하고, 노드들은 각각의 통신 회선들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와 유사한 초기 상태에서, 제 2 노드 (12) 는 활성 시스템에서의 중계 장치로서 포함되고, 제 3 노드 (13) 는 예비 시스템에서의 중계 장치로서 포함된다. 이하에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에 관련된 부분에 관한 설명은 도 2,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여 주어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 및 아무런 장애도 발생하지 않을 때의 그것의 동작은 제 2 실시형태에서의 것들과 유사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장애가 발생할 때 활성-시스템 제 2 노드 (12) 로부터 예비-시스템 제 3 노드 (13) 로 현재 해석되는 정보를 인계하고 제 3 노드에 의해 플로우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은 제 2 실시형태의 것과 또한 유사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장애 발생의 경우에 현재 해석되는 정보의 공유가 실패하고 예비 시스템에서의 노드가 플로우 관리 정보를 업데이트할 때의 동작만이 도 7 및 도 8 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하에서는, 3 개의 패킷들로부터 플로우 B 가 해석될 때 제 1 패킷의 해석 후에 네트워크 통신에서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의 예를 이용하여 설명이 주어진다.
제 1 노드 (11) 는, 제 4 노드로 어드레싱된 패킷 1 을 제 2 노드 (12) 에 송신한다 (단계 141). 제 2 노드 (12) 는, 패킷 1 을 수신하면, 목적지인 제 4 노드 (14) 에 패킷 1 을 전송한다 (단계 142). 또한, 제 2 노드 (12) 는, 패킷 1 의 처리를 수행할 때, 패킷 1 으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추출한다 (단계 143).
통신 네트워크에서 장애가 발생하고 제 2 노드 (12) 의 통신 감시부 (25) 가 이상의 발생을 검지할 때 (단계 144), 통신 감시부 (25) 는 제 3 노드 (13) 에 현재 해석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작을 개시한다.
또한, 제 1 노드 (11) 는,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장애를 검지하면, 제 4 노드 (14) 로 어드레싱된 패킷 2 를, 예비-시스템 제 3 노드 (13) 에 송신한다 (단계 145). 단계 144 에서 이상을 검지 시 제 2 노드 (12) 가 현재 해석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에 실패할 때, 제 3 노드 (13) 는 패킷 1 에 관한 현재 해석되는 정보를 수신하기 이전에 제 1 노드 (11) 로부터 패킷 2 를 수신한다. 제 3 노드 (13) 는, 패킷 1 에 대한 현재 해석되는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채로 패킷 2 를 수신하면, 제 1 노드 (11) 에 접속을 리셋하기 위한 신호를 리셋 신호로서 송신한다 (단계 146). 또한, 제 3 노드 (13) 는 제 4 노드 (14) 에 접속을 리셋하기 위한 신호를 리셋 신호로서 또한 송신한다 (단계 147). 통신 시스템이 송신 제어 프로토콜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에 기초할 때, TCP RST 가 접속을 리셋하도록 요청하는 신호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제 1 노드 (11) 는, 리셋 신호를 수신하면, 제 4 노드 (14) 와의 세션을 절단한다 (단계 148). 또한, 제 4 노드 (14) 도 또한, 리셋 신호를 수신하면, 제 1 노드 (11) 와의 세션을 절단한다 (단계 149). 단계 148 에서 세션을 절단하면, 제 1 노드 (11) 는 세션의 재확립 동작을 개시한다 (단계 150).
세션 재확립 동작을 개시하면, 제 1 노드 (11) 는 제 4 노드 (14) 로 어드레싱된 패킷 1 을 제 3 노드 (13) 로 전송한다 (단계 151). 제 3 노드 (13) 는, 패킷 1 을 수신하면, 목적지인 제 4 노드 (14) 에 패킷 1 을 전송한다 (단계 152). 제 3 노드 (13) 가 패킷 1 의 처리를 수행할 때, 제 3 노드 (13) 의 데이터 해석부 (34) 는 패킷 1 의 소정의 정보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한다.
또한, 패킷 2 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제 1 노드 (11) 는 제 3 노드 (13) 에 패킷 2 를 전송하고 (단계 153), 제 3 노드 (13) 는 목적지를 판단하고 제 4 노드 (14) 에 패킷 2 를 전송한다 (단계 154). 제 3 노드 (13) 의 데이터 해석부 (34) 는 패킷 2 로부터 소정의 정보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한다. 또한, 패킷 3 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제 1 노드 (11) 는 제 3 노드 (13) 에 패킷 3 를 전송하고 (단계 155), 제 3 노드 (13) 는 목적지를 판단하고 제 4 노드 (14) 에 패킷 3 를 전송한다 (단계 156). 제 3 노드 (13) 의 데이터 해석부 (34) 는 패킷 3 로부터 소정의 정보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한다.
소정 수의 데이터가 저장될 때, 제 3 노드 (13) 의 데이터 해석부 (34) 는 저장된 소정의 정보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플로우 해석을 수행한다 (단계 157). 데이터 해석부 (34) 는, 플로우 B 를 특정하여 플로우 관리 정보를 생성하면, 생성된 정보를 해석 데이터 신호 (S15) 로서 통신 감시부 (35) 에 전송한다. 통신 감시부 (35) 는, 플로우 B 에 대한 플로우 관리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정보를 정보 저장부 제어 신호 (S17) 로서 플로우 관리 정보 저장부 (36) 에 전송한다. 플로우 관리 정보 저장부 (36) 는, 플로우 B 에 대한 플로우 관리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플로우 B 에 대한 플로우 관리 정보를 갱신한다 (단계 158). 통신 감시부 (35) 는, 플로우 관리 정보를 갱신하면, 갱신된 플로우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의 제어 및 관리를 수행한다 (단계 159). 다른 플로우들에 관한 플로우 관리 정보에 대해서는, 이미 저장된 플로우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관리가 수행될 수도 있고, 플로우 관리 정보의 갱신이 새롭게 수행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장애 발생의 경우에 활성-시스템 제 2 노드 (12) 로부터 예비-시스템 제 3 노드 (13) 로 현재 해석되는 플로우 관리 정보가 인계되는 것이 실패했을 때, 제 3 노드 (13) 는 송신원에 대해 제 2 노드 (12) 의 것과 동일한 패킷을 송신하도록 요청한다. 아무런 장애도 발생하지 않을 때 제 2 노드 (12) 에 의한 플로우 해석에 사용될 것으로 가정된 패킷과 동일한 패킷에 기초하여 제 3 노드 (13) 에 의해 플로우 관리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장애의 발생 전과 후 사이에 유사한 플로우 관리 정보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비록 장애 발생의 경우에 예비 시스템으로의 정보의 인계가 실패한 경우에도, 활성 시스템에 의한 해석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플로우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제어 및 관리를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된 실시형태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이하의 부기들과 같이 기술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은 이하에 제한되지 않는다.
(부기 1)
자신의 장치에 입력되는 복수의 패킷들의 각각으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추출하고, 복수의 패킷들의 소정의 정보를 해석하여, 패킷들의 각각의 플로우의 특성에 관한 정보를 플로우 관리 정보로서 생성하는 데이터 해석 수단;
자신의 장치가 접속된 통신 네트워크에서 패킷들의 통신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을 검지하는 통신 감시 수단; 및
이상 검지 수단이 이상을 검지할 때, 이상의 검지 전에 입력된 소정의 패킷으로부터 이미 추출된 소정의 정보를, 자신의 장치에 의해 생성될 것으로 예상되는 플로우 관리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로서 예비 시스템 장치에 송신하는 관리 정보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부기 2)
부기 1 에 따른 통신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패킷으로부터 이미 추출된 소정의 정보를 송신할 때, 관리 정보 송신 수단은 이미 해석된 플로우에 대한 플로우 관리 정보를 또한 송신한다.
(부기 3)
다른 장치에 의해 패킷으로부터 추출된 소정의 정보를 그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관리 정보 수신 수단;
자신의 장치에 입력되는 복수의 패킷들의 각각으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추출하는 패킷 정보 추출 수단; 및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된 소정의 정보 및 패킷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소정의 정보로부터, 패킷들의 각각의 플로우의 특성에 관한 정보를 플로우 관리 정보로서 생성하는 플로우 정보 생성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부기 4)
부기 3 에 따른 통신 장치에 있어서, 그 통신 장치는, 관리 정보 수신 수단이 다른 장치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자신의 장치에 입력되는 패킷을 검지할 때, 패킷의 송신원에 소정의 패킷의 송신을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요청 수단을 더 포함한다.
(부기 5)
부기 3 또는 부기 4 에 따른 통신 장치에 있어서, 관리 정보 수신 수단은, 소정의 정보 뿐만 아니라, 다른 장치에 의해 이미 해석된 플로우 관리 정보를 수신할 때, 자신의 장치에 의해 생성된 플로우 관리 정보 및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된 플로우 관리 정보를 패킷들의 통신을 제어함에 있어서 이용하는 통신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한다.
(부기 6)
통신 시스템으로서, 부기 1 또는 부기 2 에 따른 통신 장치인 제 1 중계 장치; 및 부기 3 내지 부기 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장치인 제 2 중계 장치를 포함하고, 제 1 중계 장치가 활성 시스템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제 1 중계 장치인 통신 감시 수단이 이상을 검지할 때, 제 1 중계 장치에 의해 추출된 소정의 정보가 제 1 중계 장치로부터 제 2 중계 장치로 송신된다.
(부기 7)
자신의 장치에 입력되는 복수의 패킷들의 각각으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추출하고, 복수의 패킷들의 각각의 소정의 정보를 해석하여, 패킷들의 각각의 플로우의 특성에 관한 정보를 플로우 관리 정보로서 생성하는 단계;
자신의 장치가 접속된 통신 네트워크에서 패킷들의 통신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검지하는 단계; 및
이상이 검지될 때, 이상의 검지 전에 입력된 소정의 패킷으로부터 이미 추출된 소정의 정보를, 자신의 장치에 의해 생성될 것으로 예상되는 플로우 관리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로서 예비 시스템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부기 8)
부기 7 에 따른 통신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패킷으로부터 이미 추출된 소정의 정보가 송신될 때, 이미 해석된 플로우에 대한 플로우 관리 정보가 또한 송신된다.
(부기 9)
부기 7 또는 부기 8 에 따른 통신 방법에 있어서,
송신된 소정의 정보는 예비 시스템 장치에 의해 수신되고;
소정의 정보는 예비 시스템 장치에 입력된 복수의 패킷들의 각각으로부터 추출되며; 그리고
예비 시스템 장치에 의해 수신된 소정의 정보 및 자신의 장치에 입력된 패킷들의 각각으로부터 추출된 소정의 정보로부터, 패킷들의 각각의 플로우의 특성에 관한 정보가 제 2 플로우 관리 정보로서 생성된다.
(부기 10)
부기 9 에 따른 통신 방법에 있어서, 예비 시스템 장치는, 소정의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자신의 장치에 입력되는 패킷을 검지할 때, 패킷의 송신원에 소정의 패킷의 송신을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한다.
(부기 11)
부기 9 또는 부기 10 에 따른 통신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정보 뿐만 아니라 이미 해석된 플로우 관리 정보를 수신할 때, 예비 시스템 장치는 자신의 장치에 의해 생성된 제 2 플로우 관리 정보 및 수신된 플로우 관리 정보를 패킷들의 통신을 제어함에 있어서 이용한다.
(부기 12)
다른 장치에 의해 패킷으로부터 추출된 소정의 정보를 그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자신의 장치에 입력된 복수의 패킷들의 각각으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된 소정의 정보 및 자신의 장치에 입력된 패킷들의 각각으로부터 추출된 소정의 정보로부터, 패킷들의 각각의 플로우의 특성에 관한 정보를 플로우 관리 정보로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부기 13)
부기 12 에 따른 통신 방법에 있어서, 다른 장치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자신의 장치에 입력되는 패킷을 검지할 때, 소정의 패킷의 송신을 요청하는 신호가 패킷의 송신원에 송신된다.
(부기 14)
부기 12 또는 부기 13 에 따른 통신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정보 뿐만 아니라 다른 장치에 의해 이미 해석된 플로우 관리 정보를 수신할 때,
자신의 장치에 의해 생성된 플로우 관리 정보 및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된 플로우 관리 정보가 패킷들의 통신을 제어함에 있어서 이용된다.
본 발명은 상술된 실시형태의 각각을 예시적인 실시형태로서 이용하여 설명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술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양태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이 출원은, 2014년 8월 19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 2014-166677 호에 기초하고 그로부터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것의 개시는 그 전체가 본원에 통합된다.
1 데이터 해석 수단
2 통신 감시 수단
3 관리 정보 송신 수단
11 제 1 노드
12 제 2 노드
13 제 3 노드
14 제 4 노드
21 수신부
22 신호 제어부
23 송신부
24 데이터 해석부
25 통신 감시부
26 플로우 관리 정보 저장부
27 관리 정보 송수신부
31 수신부
32 신호 제어부
33 송신부
34 데이터 해석부
35 통신 감시부
36 플로우 관리 정보 저장부
37 관리 정보 송수신부
101-111 통신 시스템의 동작 단계
121-132 통신 시스템의 동작 단계
141-159 통신 시스템의 동작 단계
S1 수신 신호
S2 송신용 신호
S3 활성-측 관리 정보 신호
S4 예비-측 관리 정보 신호
S5 해석 데이터 신호
S6 해석부 제어 신호
S7 정보 저장부 제어 신호
S8 플로우 관리 정보 신호
S9 관리 정보 송신 신호
S10 관리 정보 수신 신호
S11 수신 신호
S12 송신용 신호
S15 해석 데이터 신호
S16 해석부 제어 신호
S17 정보 저장부 제어 신호
S18 플로우 관리 정보 신호
S19 관리 정보 송신 신호
S20 관리 정보 수신 신호

Claims (14)

  1. 통신 장치로서,
    자신의 장치에 입력된 복수의 패킷들의 각각으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복수의 패킷들의 상기 소정의 정보를 해석하여, 상기 패킷들의 각각의 플로우의 특성에 관한 정보를 플로우 관리 정보로서 생성하는 데이터 해석 수단;
    상기 자신의 장치가 접속된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기 패킷들의 통신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을 검지하는 통신 감시 수단; 및
    상기 통신 감시 수단이 이상을 검지할 때, 상기 이상의 검지 전에 입력된 소정의 패킷으로부터 이미 추출된 상기 소정의 정보를, 상기 자신의 장치에 의해 생성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기 플로우 관리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로서 예비 시스템 장치에 송신하는 관리 정보 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통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패킷으로부터 이미 추출된 상기 소정의 정보를 송신할 때, 상기 관리 정보 송신 수단은 이미 해석된 플로우에 대한 상기 플로우 관리 정보를 또한 송신하는, 통신 장치.
  3. 통신 장치로서,
    다른 장치에 의해 패킷으로부터 추출된 소정의 정보를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관리 정보 수신 수단;
    자신의 장치에 입력된 복수의 패킷들로부터 상기 소정의 정보를 추출하는 패킷 정보 추출 수단;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소정의 정보 및 상기 패킷 정보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상기 소정의 정보로부터, 상기 패킷들의 각각의 플로우의 특성에 관한 정보를 플로우 관리 정보로서 생성하는 플로우 정보 생성 수단; 및
    상기 관리 정보 수신 수단이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상기 소정의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자신의 장치에 입력되는 상기 패킷을 검지할 때, 상기 패킷의 송신원에 소정의 패킷의 송신을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요청 수단을 구비하는, 통신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정보 수신 수단은,
    상기 소정의 정보 뿐만 아니라, 상기 다른 장치에 의해 이미 해석된 플로우 관리 정보를 수신할 때, 상기 자신의 장치에 의해 생성된 상기 플로우 관리 정보 및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이미 해석된 플로우 관리 정보를 상기 패킷의 통신을 제어함에 있어서 이용하는 통신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는, 통신 장치.
  5. 통신 장치로서,
    다른 장치에 의해 패킷으로부터 추출된 소정의 정보를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관리 정보 수신 수단;
    자신의 장치에 입력된 복수의 패킷들로부터 상기 소정의 정보를 추출하는 패킷 정보 추출 수단; 및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소정의 정보 및 상기 패킷 정보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상기 소정의 정보로부터, 상기 패킷들의 각각의 플로우의 특성에 관한 정보를 플로우 관리 정보로서 생성하는 플로우 정보 생성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 정보 수신 수단은,
    상기 소정의 정보 뿐만 아니라, 상기 다른 장치에 의해 이미 해석된 플로우 관리 정보를 수신할 때, 상기 자신의 장치에 의해 생성된 상기 플로우 관리 정보 및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이미 해석된 플로우 관리 정보를 상기 패킷의 통신을 제어함에 있어서 이용하는 통신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는, 통신 장치.
  6. 통신 시스템으로서,
    제 1 항에 기재된 통신 장치인 제 1 중계 장치; 및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통신 장치인 제 2 중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중계 장치가 활성 시스템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중계 장치에서의 상기 통신 감시 수단이 이상을 검지할 때, 상기 제 1 중계 장치에 의해 추출된 상기 소정의 정보가 상기 제 1 중계 장치로부터 상기 제 2 중계 장치로 송신되는, 통신 시스템.
  7. 제 1 통신 장치에 입력된 복수의 패킷들의 각각으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복수의 패킷들의 상기 소정의 정보를 해석하여, 상기 패킷들의 각각의 플로우의 특성에 관한 정보를 플로우 관리 정보로서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통신 장치가 접속된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기 패킷들의 통신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을 검지하는 단계; 및
    이상이 검지될 때, 상기 이상의 검지 전에 입력된 소정의 패킷으로부터 이미 추출된 상기 소정의 정보를, 상기 제 1 통신 장치에 의해 생성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기 플로우 관리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로서, 예비 시스템으로서의 제 2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송신된 상기 소정의 정보는 상기 제 2 통신 장치에 의해 수신되고;
    상기 소정의 정보는 상기 제 2 통신 장치에 입력된 복수의 패킷들로부터 추출되며; 그리고
    상기 제 2 통신 장치에 의해 수신된 상기 소정의 정보 및 상기 제 1 통신 장치에 입력된 상기 패킷들로부터 추출된 상기 소정의 정보로부터, 상기 패킷들의 각각의 플로우의 특성에 관한 정보가 제 2 플로우 관리 정보로서 생성되는, 통신 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장치에 의해 패킷으로부터 추출된 소정의 정보를 상기 제 1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통신 장치에 입력된 복수의 패킷들로부터 상기 소정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소정의 정보 및 상기 제 2 통신 장치에 입력된 상기 패킷들로부터 추출된 상기 소정의 정보로부터, 상기 패킷들의 각각의 플로우의 특성에 관한 정보를 플로우 관리 정보로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소정의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제 2 통신 장치에 입력된 상기 패킷을 검지할 때, 소정의 패킷의 송신을 요청하는 신호가 상기 패킷의 송신원에 송신되는, 통신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77004568A 2014-08-19 2015-08-17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KR1019461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66677 2014-08-19
JPJP-P-2014-166677 2014-08-19
PCT/JP2015/004058 WO2016027447A1 (ja) 2014-08-19 2015-08-17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439A KR20170032439A (ko) 2017-03-22
KR101946173B1 true KR101946173B1 (ko) 2019-02-08

Family

ID=55350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4568A KR101946173B1 (ko) 2014-08-19 2015-08-17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36401B2 (ko)
EP (1) EP3185489B1 (ko)
JP (1) JP6222367B2 (ko)
KR (1) KR101946173B1 (ko)
CN (1) CN106664247B (ko)
WO (1) WO20160274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50380B2 (ja) * 2016-08-05 2020-09-02 富士通株式会社 制御装置、ストレージ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6763898B2 (ja) * 2018-03-01 2020-09-3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JP6999500B2 (ja) * 2018-06-04 2022-02-10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 分析装置
USD928733S1 (en) * 2019-11-15 2021-08-24 Logitech Europe S.A. Audio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73490A1 (en) * 2010-01-08 2011-07-14 Juniper Networks, Inc. High availability for network security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6450B2 (ja) 1999-06-22 2007-01-10 株式会社東芝 コネクション型冗長系通信システム
JP2006229399A (ja) 2005-02-16 2006-08-31 Nec Corp 通信システム、中継ノード及びそれらに用いる通信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KR100819543B1 (ko) 2006-06-20 2008-04-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로우 기반의 트래픽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WO2010038624A1 (ja) 2008-10-03 2010-04-08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ノード装置、通信システム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329663B2 (ja) 2009-06-26 2013-10-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中継装置及びその方法
US9450804B2 (en) * 2009-09-03 2016-09-2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nycast aware transport for content distribution networks
CN102484880A (zh) 2010-07-07 2012-05-3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终端装置、通信系统以及通信方法
EP2667545A4 (en) * 2011-01-17 2017-08-23 Nec Corporation Network system, controller, switch, and traffic monitoring method
EP2757951B1 (en) * 2011-09-23 2016-11-09 Dexcom,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and transmitting sensor data
JP2013179430A (ja) 2012-02-28 2013-09-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装置間同期および切替方法、並びに装置間切替システム
US9559959B2 (en) 2012-03-09 2017-01-31 Nec Corporation Control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switch controlling method and program
JP2013207748A (ja) 2012-03-29 2013-10-07 Fujitsu Ltd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ノード装置
US9280428B2 (en) * 2013-04-23 2016-03-08 Neftali Ripoll Method for designing a hyper-visor cluster that does not require a shared storage device
CN104468347B (zh) * 2013-09-18 2019-04-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网络数据自环回的控制方法及装置
CN103795709B (zh) 2013-12-27 2017-01-18 北京天融信软件有限公司 一种网络安全检测方法和系统
CN103957134B (zh) 2014-04-22 2017-05-10 航天恒星科技有限公司 一种模块化可配置的遥测参数解析处理系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73490A1 (en) * 2010-01-08 2011-07-14 Juniper Networks, Inc. High availability for network security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439A (ko) 2017-03-22
US20170237603A1 (en) 2017-08-17
JPWO2016027447A1 (ja) 2017-04-27
JP6222367B2 (ja) 2017-11-01
CN106664247A (zh) 2017-05-10
WO2016027447A1 (ja) 2016-02-25
EP3185489A1 (en) 2017-06-28
EP3185489B1 (en) 2019-09-25
EP3185489A4 (en) 2018-04-04
CN106664247B (zh) 2020-06-02
US10536401B2 (en) 2020-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6173B1 (ko)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US9628324B2 (en) Openflow switch and failure recovery method in openflow network
US8711686B2 (en) Packet transmission system and fault recovery method
EP2553870B1 (en) An operations, administrations and management proxy and a method for handling operations, administrations and management messages
KR101364369B1 (ko) 노드 및 그것에 이용하는 감시 관리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하는 전송 시스템, 입력 회로, 출력 회로
EP2696542A1 (en) Method, ToR switch, and system for implementing protection switchover based on TRILL network
US20120275316A1 (en) Failure Detection Method and Device for FCoE Virtual Link
CN104144124B (zh) 数据转发方法、装置及系统
WO2016086890A1 (zh) 一种检测连通性的方法和装置
CN109150659B (zh) 一种处理器及bfd报文传输方法
US9762510B2 (en) Relay system and switching device
JP2017147695A (ja) イーサネットスイッチ装置
US10277674B2 (en) Apparatus for relaying data transmission in SCADA system
US20180183709A1 (en) Communication node,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US10491544B2 (en) Consistency control of a logical path passing through a relay device
KR101969304B1 (ko) 패킷-아웃 메시지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환경에서의 장애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740799B1 (ko) Sdn 환경에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장애 극복 방법
CN105791070A (zh) 中继系统以及中继装置
KR101717363B1 (ko) Sdn 환경에서 컨트롤러의 역할을 변경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CN105553864B (zh) 降低lmp中消息数量的方法及装置
CN113765783B (zh) 通信方法及装置
KR101735622B1 (ko) 고가용성 시스템 및 그의 시간 동기화 방법
JP5317197B2 (ja) 他の通信装置との接続確認を行う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JP2010239419A (ja) ネットワークスイッチ装置及びその方法
JP2016019230A (ja) 通信機器、及び回線障害の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