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5622B1 - 고가용성 시스템 및 그의 시간 동기화 방법 - Google Patents

고가용성 시스템 및 그의 시간 동기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5622B1
KR101735622B1 KR1020150187527A KR20150187527A KR101735622B1 KR 101735622 B1 KR101735622 B1 KR 101735622B1 KR 1020150187527 A KR1020150187527 A KR 1020150187527A KR 20150187527 A KR20150187527 A KR 20150187527A KR 101735622 B1 KR101735622 B1 KR 101735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synchronization
mode
high availability
availability system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7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큐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큐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큐아이
Priority to KR1020150187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56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008Synchronisation information channels, e.g. clock distribut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8Timers or timing mechanisms used i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4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 H04L7/08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the synchronisation signals recurring cycl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장비 및 제2 장비를 포함하는 고가용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 장비는, 상기 고가용성 시스템의 멤버로 가입되고 시간 동기화 모드가 슬루 모드(slew mode)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1 장비와 시간 동기화를 수행한 후 설정 주기마다 슬루 모드로 NTP(Network Time Protocol) 서버와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는 고가용성 시스템 및 그의 시간 동기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가용성 시스템 및 그의 시간 동기화 방법{HIGH AVAILABILITY SYSTEM AND TIME SYNCHRONIZ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고가용성 시스템 및 그의 시간 동기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가용성 시스템 내에 구비된 장비 사이에 시간 동기화를 가능케 한 고가용성 시스템 및 그의 시간 동기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장치는 일반적으로 복수의 장치를 그룹핑하여 이중화함으로써 고가용성(HA: High Availability) 시스템을 구축하여 무중단 서비스를 지원한다. 고가용성 시스템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네트워크 등의 시스템 자원에 어떠한 결함이 발생하였을 경우라도 지속적으로 정상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한다. 즉, 시스템 결함에 대한 서비스 중단과 시스템의 다운타임(Down Time)을 최소화함으로써 서비스의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컴퓨터 시스템을 구축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을 말하는 것이다.
이 경우 고가용성으로 구성되는 시스템에서는 시스템에 포함되는 장비들의 시간이 동일하게 설정(즉, 시간 동기화)되어야 한다. 장비들 간의 시간 동기화는 보안 기능들 및 로그 기록에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고가용성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NTP(Network Time Protocol) 서버를 이용하여 장비들 간에 시간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NTP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각 장비가 인터넷에 연결되어야 하는데, 장치가 설치된 환경에 따라 인터넷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초기에 각 장치들의 시간이 동일하게 설정되지 못하므로, 각 장비들 간에 방화벽 정책의 시간 적용이 불일치될 수 있고, 로그(log) 검색에 있어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장비들간 시간 동기화가 가능한 고가용성 시스템 및 그의 시간 동기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가용성 시스템의 시간 동기화 방법은, 제1 장비와 제2 장비를 포함하는 고가용성 시스템의 시간 동기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장비가 상기 고가용성 시스템의 멤버로 가입되었는지 여부와 상기 제2 장비의 시간 동기화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장비가 상기 고가용성 시스템의 멤버로 가입되고, 상기 제2 장비의 시간 동기화 모드가 슬루 모드(slew mode)인 경우, 상기 제2 장비가 상기 제1 장비와 시간 동기화를 수행한 후 설정 주기마다 슬루 모드로 NTP(Network Time Protocol) 서버와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장비가 상기 고가용성 시스템의 멤버로 가입되고, 상기 제2 장비의 시간 동기화 모드가 스텝 모드(step mode)인 경우, 상기 제2 장비가 설정 주기마다 스텝 모드로 상기 NTP 서버와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장비가 상기 고가용성 시스템의 멤버로 가입되지 않고, 상기 제2 장비의 시간 동기화 모드가 슬루 모드인 경우, 상기 제2 장비가 스텝 모드로 상기 NTP 서버와 시간 동기화를 수행한 후 설정 주기마다 슬루 모드로 NTP 서버와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장비가 상기 고가용성 시스템의 멤버로 가입되지 않고, 상기 제2 장비의 시간 동기화 모드가 스텝 모드인 경우, 상기 제2 장비가 설정 주기 마다 스텝 모드로 상기 NTP 서버와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장비는 마스터(master) 장비이고, 상기 제2 장비는 슬레이브(slave) 장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장비와 상기 제2 장비는, UTM(Unified Threat Management)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가용성 시스템은, 제1 장비 및 제2 장비를 포함하는 고가용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 장비는, 상기 고가용성 시스템의 멤버로 가입되고 시간 동기화 모드가 슬루 모드(slew mode)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1 장비와 시간 동기화를 수행한 후 설정 주기마다 슬루 모드로 NTP(Network Time Protocol) 서버와 시간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장비는, 상기 고가용성 시스템의 멤버로 가입되고 시간 동기화 모드가 스텝 모드(step mode)로 설정된 경우, 설정 주기마다 스텝 모드로 상기 NTP 서버와 시간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장비는, 상기 고가용성 시스템의 멤버로 가입되지 않고 시간 동기화 모드가 슬루 모드로 설정된 경우, 스텝 모드로 상기 NTP 서버와 시간 동기화를 수행한 후 설정 주기마다 슬루 모드로 NTP 서버와 시간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장비는, 상기 고가용성 시스템의 멤버로 가입되지 않고 시간 동기화 모드가 스텝 모드로 설정된 경우, 설정 주기마다 스텝 모드로 NTP 서버와 시간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장비는 마스터(master) 장비이고, 상기 제2 장비는 슬레이브(slave) 장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장비와 상기 제2 장비는, UTM(Unified Threat Management)일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가용성 시스템에 포함된 장비들과 NTP 서버간 시간 동기화뿐만 아니라, 고가용성 시스템에 포함된 장비들간 시간 동기화를 가능케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가용성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가용성 시스템의 시간 동기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 및 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가용성 시스템 및 그의 시간 동기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가용성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가용성 시스템(100)은 제1 장비(110)와 제2 장비(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장비(110)는 마스터(Master), 제2 장비(120)는 슬레이브(Slave)일 수 있다. 마스터(Master)가 슬레이브(Slave)보다 우선 순위가 높다. 제1 장비(110) 및 제2 장비(120)는 제1 스위치(130)를 경유하여 외부 네트워크(16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스위치(130)는 L2 또는 L3 스위치일 수 있다. 제1 장비(110) 및 제2 장비(120)는 제2 스위치(140)를 경유하여 내부망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스위치 (140)는 L2 또는 L3 스위치일 수 있다.
시스템 관리자(150)는 고가용성 시스템(100)을 관리하며, 제2 스위치(140)를 경유하여 제1 장비(110) 및 제2 장비(120)에 접속할 수 있다.
제1 장비(110)와 제2 장비(120)는 고가용성 시스템(100)에 가입된 장비로서 서버, 스토리지, 라우터, 통합 보안 장비(UTM: Unified Threat Management) 등 네트워크 장비일 수 있다. 고가용성 시스템(100)은 active-standby 모드로 동작하거나, active-active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서비스를 제공 중인 제1 장비(110)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대기 중인 제2 장비(120)로 제공 중인 서비스를 빠르고 안정적으로 전환하여 서비스 중단을 최소화하고 사용자에게 정상적인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제1 장비(110)와 제2 장비(120)는 고가용성을 지원하기 위해 HA 링크(HA Link)로 연결된다. 제1 장비(110)에 문제가 생겨서 제공중인 서비스를 제2 장비(120)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제1 장비(110)의 정상 동작 여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제1 장비(110)와 제2 장비(120)는 HA 링크를 통하여 헬로(Hello) 패킷 또는 Heartbeat 메시지를 교환한다. 헬로 패킷의 교환은 고가용성 시스템(100)내의 결함 여부를 가입 장비 상호간에 체크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하도록 한다. 제1 장비(110) 및 제2 장비(120)는 주기적으로 헬로 패킷을 주고받으며 서로의 상태를 확인한다.
헬로 전송 주기(또는 헬로 인터벌)는 관리자(150)가 설정할 수 있다. 만약 서비스 중이던 제1 장비(110)에 결함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제2 장비(120)가 제1 장비(110)가 제공하던 서비스를 이관받아 서비스를 수행한다.
헬로 패킷은 공용 이더넷, 전용 이더넷, 시리얼 케이블을 통하여 전달할 수 있다. 이더넷을 통해 전송되는 패킷은 UDP/IP 브로드캐스트 프로토콜을 따라 모든 장비에게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시리얼 케이블을 이용하여 각 장비들을 원형으로 연결함으로써 한 장비가 전송하는 헬로우 패킷을 다른 모든 장비에게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헬로 패킷은 HA 링크를 통해 형성된 세션을 통하여 교환될 수 있다.
한편, 제1 장비(110)와 제2 장비(120)는 시간 설정을 위해, 외부 네트워크(160)를 통하여 NTP(Network Time Protocol) 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다.
제1 장비(110)와 제2 장비(120)는 기설정된 시간 동기화 모드에 따라 NTP 서버(200)를 통하여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장비(110, 120)의 시간 동기화 모드는 슬루 모드(slew mode) 또는 스텝 모드(step mode)로 설정될 수 있다.
스텝 모드는 특정 장비(110, 120)의 시간을 NTP 서버(200)와 순간적으로 동기화시키는 모드이며, 이에 따라 시각의 후퇴(과거 시간으로 돌아감)가 발생하여 시스템에 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
슬루 모드는 특정 장비(110, 120)와 NTP 서버(200)의 시간 차이를 서서히 보정하는 모드이며, 이는 스텝 모드와 같이 시각의 후퇴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NTP 서버(200)를 이용하는 시간 동기화 모드(슬루 모드/스텝 모드)는 이미 널리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각 장비(110, 120)는 NTP 서버(200)를 이용하는 시간 동기화 모드(슬루 모드/스텝 모드) 대신 매뉴얼(manual) 모드를 통해 시간을 설정할 수도 있다.
즉, 특정 장비(110, 120)의 시간 동기화 모드가 매뉴얼 모드로 설정된 경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시간 정보에 따라 각 장비(110, 120)의 시간이 수동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정확한 시간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술한 시간 동기화 동작은 기설정된 주기마다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가용성 시스템(100)에서 제2 장비(120)가 추가되는 경우를 살펴본다.
예를 들어, 제1 장비(110)을 구비하는 시스템에 제2 장비(120)를 추가 설치하거나, 제1 장비(110) 및 제2 장비(120)를 구비하는 시스템에서 오프된 제2 장비(120)를 턴-온 시키거나, 상기 제1 장비(110) 및 상기 제2 장비(120) 간에 HA 링크가 재연결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때, 제2 장비(120)가 고가용성 시스템(100)의 멤버로 가입하는 경우, 제1 장비(110)와 제2 장비(120)는 각각 마스터 및 슬레이브로 동작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1 장비(110)의 HA 설정과 제2 장비(120)의 HA 설정을 동일하게 만드는 동기화 과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고가용성 시스템(100)은 제1 장비(110)와 제2 장비(120) 간에 시스템 외부에서는 접근이 불가능한 세션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세션을 통하여 상기 제1 장비(110)와 상기 제2 장비(120)간 동기화가 수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세션은 HA 링크를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장비(110)와 상기 제2 장비(120)는 상기 세션을 통하여 설정 값 및 데이터 등을 교환하게 된다.
또한, 제2 장비(120)가 고가용성 시스템(100)의 멤버로 가입하는 경우, 제1 장비(110)와 제2 장비(120)의 시간은 상호 동기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제2 장비(120)의 고가용성 시스템(100)의 멤버 가입 여부와 시간 동기화 모드의 종류를 반영하여, 제2 장비(120)에 대한 시간 동기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가용성 시스템(100)의 멤버 가입 여부는 마스터인 제1 장비(11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새로 추가된 제2 장비(120)로부터 제1 장비(110)로 멤버 가입 요청이 전송되면, 제1 장비(110)는 멤버 가입 요청에 대한 허가 여부를 결정하고, 그 결과를 제2 장비(120)로 회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가용성 시스템의 시간 동기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가용성 시스템(100)의 시간 동기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새로 추가된 제2 장비(120)가 고가용성 시스템(100)의 멤버로 가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0)가 수행될 수 있다.
제2 장비(120)가 고가용성 시스템(100)의 멤버로 가입된 경우, 제2 장비(120)의 시간 동기화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S110)가 수행될 수 있다.
제2 장비(120)의 시간 동기화 모드가 슬루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2 장비(120)가 제1 장비(110)와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S120)가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본 단계(S120)에서, 제1 장비(110)와 제2 장비(120)의 시간 동기화는 적어도 한 차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단계(S120)를 통하여, 제1 장비(110)와 제2 장비(120)의 시간은 상호 동일한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 후, 제2 장비(120)가 설정 주기마다 슬루 모드로 NTP 서버(200)와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S130)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S110 단계에서, 제2 장비(120)의 시간 동기화 모드가 스텝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2 장비(120)가 설정 주기마다 스텝 모드로 NTP 서버(200)와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S140)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S110 단계에서, 제2 장비(120)의 시간 동기화 모드가 매뉴얼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2 장비(120)의 시간을 외부에서 수동으로 입력하는 단계(S150)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S100 단계에서, 제2 장비(120)가 고가용성 시스템(100)의 멤버로 가입되지 않은 경우, 제2 장비(120)의 시간 동기화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S170)가 수행될 수 있다.
제2 장비(120)의 시간 동기화 모드가 슬루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2 장비(120)가 스텝 모드로 NTP 서버(200)와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S180)가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본 단계(S180)에서, 제2 장비(120)와 NTP 서버(200)의 시간 동기화는 적어도 한 차례 이루어질 수 있다.
그 후, 제2 장비(120)가 설정 주기마다 슬루 모드로 NTP 서버(200)와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S190)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S170 단계에서, 제2 장비(120)의 시간 동기화 모드가 스텝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2 장비(120)가 설정 주기마다 스텝 모드로 NTP 서버(200)와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S140)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S170 단계에서, 제2 장비(120)의 시간 동기화 모드가 매뉴얼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2 장비(120)의 시간을 외부에서 수동으로 입력하는 단계(S200)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고가용성 시스템
110: 제1 장비
120: 제2 장비
200: NTP 서버

Claims (12)

  1. 제1 장비가 동작하는 고가용성 시스템의 시간 동기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가용성 시스템에 제2 장비가 추가되면, 상기 제2 장비가 상기 고가용성 시스템의 멤버로 가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장비가 상기 고가용성 시스템의 멤버로 가입된 경우, 상기 제1 장비와 상기 제2 장비 간 고가용성 설정을 동기화하는 단계;
    상기 제2 장비의 시간 동기화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장비의 시간 동기화 모드에 따라 상기 제2 장비의 초기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장비의 초기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장비가 상기 고가용성 시스템의 멤버로 가입되고, 상기 제2 장비의 시간 동기화 모드가 슬루 모드(slew mode)인 경우, 상기 제2 장비가 상기 제1 장비와 직접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장비가 상기 고가용성 시스템의 멤버로 가입되지 않았고, 상기 제2 장비의 시간 동기화 모드가 상기 슬루 모드인 경우, 상기 제2 장비가 NTP(Network Time Protocol) 서버와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가용성 시스템의 시간 동기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비의 초기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장비의 시간 동기화 모드가 스텝 모드(step mode)인 경우, 상기 제2 장비가 설정 주기마다 스텝 모드로 상기 NTP 서버와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가용성 시스템의 시간 동기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비의 초기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장비의 시간 동기화 모드가 상기 슬루 모드인 경우, 설정 주기마다 상기 슬루 모드로 상기 NTP 서버와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가용성 시스템의 시간 동기화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비는 마스터(master) 장비이고, 상기 제2 장비는 슬레이브(slave) 장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용성 시스템의 시간 동기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비와 상기 제2 장비는, UTM(Unified Threat Managemen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용성 시스템의 시간 동기화 방법.
  7. 제1 장비가 동작하는 고가용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가용성 시스템에 제2 장비가 추가될 때, 상기 제2 장비는, 상기 고가용성 시스템의 멤버로 가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고가용성 시스템의 멤버로 가입된 경우, 상기 제1 장비와 고가용성 설정을 동기화한 후, 시간 동기화 모드에 따라 초기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되,
    상기 초기 시간 동기화는,
    상기 제2 장비가 상기 고가용성 시스템의 멤버로 가입되고 시간 동기화 모드가 슬루 모드(slew mode)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1 장비와 직접 수행되고,
    상기 제2 장비가 상기 고가용성 시스템의 멤버로 가입되지 않고, 상기 시간 동기화 모드가 상기 슬루 모드인 경우, NTP(Network Time Protocol) 서버와 수행되는 고가용성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비는, 상기 시간 동기화 모드가 스텝 모드(step mode)로 설정된 경우, 설정 주기마다 스텝 모드로 상기 NTP 서버와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는 고가용성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비는, 상기 시간 동기화 모드가 상기 슬루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시간 동기화 수행 이후에, 설정 주기마다 상기 슬루 모드로 상기 NTP 서버와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는 고가용성 시스템.
  10. 삭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비는 마스터(master) 장비이고, 상기 제2 장비는 슬레이브(slave) 장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용성 시스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비와 상기 제2 장비는, UTM(Unified Threat Managemen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용성 시스템.
KR1020150187527A 2015-12-28 2015-12-28 고가용성 시스템 및 그의 시간 동기화 방법 KR101735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527A KR101735622B1 (ko) 2015-12-28 2015-12-28 고가용성 시스템 및 그의 시간 동기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527A KR101735622B1 (ko) 2015-12-28 2015-12-28 고가용성 시스템 및 그의 시간 동기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5622B1 true KR101735622B1 (ko) 2017-05-16

Family

ID=59035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7527A KR101735622B1 (ko) 2015-12-28 2015-12-28 고가용성 시스템 및 그의 시간 동기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562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4445B1 (ko) 2011-12-07 2012-11-26 시큐아이닷컴 주식회사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 간 시간 동기화 시스템 및 시간 동기화 방법
JP5625500B2 (ja) * 2010-05-31 2014-11-19 富士通株式会社 パケットキャプチャ装置、パケットキャプチャ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25500B2 (ja) * 2010-05-31 2014-11-19 富士通株式会社 パケットキャプチャ装置、パケットキャプチャ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204445B1 (ko) 2011-12-07 2012-11-26 시큐아이닷컴 주식회사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 간 시간 동기화 시스템 및 시간 동기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0395B2 (en) Method for robust PTP synchronization with default 1588V2 profile
US9306845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network relay device
US10863386B1 (en) State machine handling at a proxy node in an ethernet-based fronthaul network
US10560550B1 (en) Automatic configuration of a replacement network device in a high-availability cluster
WO2016165463A1 (zh) 一种基于软件定义网络的链路故障上报方法和转发设备
CN105450779B (zh) 一家电设备连接多服务器的方法
WO2017130034A1 (en) A method of timing loop prevention for the precision time protocol (ptp) with g.8275.1 profile
EP2696542A1 (en) Method, ToR switch, and system for implementing protection switchover based on TRILL network
WO2017008641A1 (zh) 冗余端口的切换方法及装置
US20200120134A1 (en) Synchronizing link and event detection mechanisms with a secure session associated with the link
US9300529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network relay device
US20240097979A1 (en) Fabric availability and synchronization
KR101946173B1 (ko)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US9762510B2 (en) Relay system and switching device
US9705823B2 (en) Port status synchronization method, related device, and system
US20230199683A1 (en) Clock synchronization mode ind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101735622B1 (ko) 고가용성 시스템 및 그의 시간 동기화 방법
JP2013197972A (ja)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50156164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ommunication relay system, and communication relay control method
CN111181766B (zh) 一种冗余fc网络系统及其实现交换机动态配置的方法
JP4924542B2 (ja) 中継装置及び中継プログラム
JP6062394B2 (ja) 中継装置および中継方法
US11652715B1 (en) Method for detecting network mis-cabling
KR101401006B1 (ko) 고가용성 시스템에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6123851A1 (zh) 通信参数同步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