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5189B1 - 미닫이 창호의 그립핸들 타입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 창호의 그립핸들 타입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5189B1
KR101945189B1 KR1020170160360A KR20170160360A KR101945189B1 KR 101945189 B1 KR101945189 B1 KR 101945189B1 KR 1020170160360 A KR1020170160360 A KR 1020170160360A KR 20170160360 A KR20170160360 A KR 20170160360A KR 101945189 B1 KR101945189 B1 KR 101945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er
grip handle
striker
locking
sl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0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Priority to KR1020170160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51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1/1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handle or member moving essentially towards or away from the plane of the wing 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2001/0076The handle having at least two operating positions, e.g. the bolt can be retracted by moving the handle either upwards or down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틀에 고정되는 스트라이커와 록킹 또는 록킹해제되는 자동잠금조립체의 록커를 그립핸들조립체의 몸체 내부에 설치하여 그립핸들에 연동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장치의 전체 구성을 대폭 간소화함과 동시에, 장치의 설치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하고, 록커의 과도한 돌출에 의해 발생하는 스트라이커와의 록킹 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립핸들조립체의 몸체 측벽외면과 록커의 걸림면 사이 간격을 최대한 단축시켜 도어틀 삽입홈 안쪽벽면에 스트라이커가 통과하는 관통구멍 형성작업을 생략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의 그립핸들 타입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그립핸들 타입 잠금장치는, 창틀에 고정되는 스트라이커와, 도어틀에 고정되는 그립핸들조립체를 구비하고, 그립핸들조립체는 몸체와, 스트라이커의 록킹홈에 록킹 또는 록킹해제되는 록커와, 록커가 항상 록킹위치에 있도록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제1 탄성부재와, 록커를 록킹위치에서 록킹해제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그립핸들과, 그립핸들의 회전운동을 록커의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연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몸체로부터 돌출되는 록커의 돌출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록커조절수단을 구비하고, 록커의 경사면과 접촉하는 스트라이커의 접촉지점을 낮추기 위한 돌출부를 스트라이커의 접촉면으로부터 돌출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미닫이 창호의 그립핸들 타입 잠금장치{Grip Handle Type Locking Device for Sliding Window}
본 발명은 미닫이 창호의 그립핸들 타입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립핸들조립체의 그립핸들 조작에 연동하여 스트라이커와 자동적으로 록킹 및 록킹해제되는 자동잠금조립체의 록커를 그립핸들조립체에 일체형으로 구비함으로써 장치의 전체 구성과 설치작업을 매우 간소화시킨 미닫이 창호의 그립핸들 타입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 창호는, 사각형상의 창틀에 도어가 직선이동하도록 설치되어 미닫이식으로 도어를 개폐하는 방식으로, 도어틀이 창틀에 접촉되어 닫히고 도어틀이 창틀로부터 이격되면서 열리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미닫이 창호에는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있고, 잠금장치의 하나로서, 그립핸들 타입 잠금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립핸들 타입 잠금장치는 창틀쪽에 설치되는 스트라이커와, 도어틀쪽에 설치되는 자동잠금조립체 및 그랩핸들조립체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어틀이 창틀에 접촉되어 닫힐 때 자동잠금조립체에 구비된 록커가 스트라이커에 자동적으로 록킹되고, 도어를 열기 위해 그립핸들조립체에 구비된 그립핸들을 파지하여 열림방향으로 당기면, 자동잠금조립체의 록커가 연동하여 록킹 상태를 해제시킴으로써 도어를 열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도 14는 종래의 그립핸들 타입 잠금장치에서 자동잠금조립체(3)를 나타낸 것으로, 자동잠금조립체(3)는 창틀(1)과 도어틀(2)이 마주하여 접촉하는 대향 위치에 스트라이커(4)와 함께 설치된다.
자동잠금조립체(3)는 케이스(3a)를 도어틀(2)의 삽입홈(2a) 내에 위치하여 나사못(5)으로 고정 설치되고, 케이스(3a) 내부에는 도어틀(2)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그립핸들조립체(8)의 스핀들(8a)(도 15 참조)이 조립되는 회전체(6)를 구비한 연동기구(도시 안됨)가 설치되어 그립핸들조립체(8)의 그립핸들(8b) 조작에 연동되며, 상기 연동기구에 의해 케이스(3a) 외부로 노출된 록커(7)가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도어틀(2)이 창틀(1)에 접촉되어 닫힐 때 자동잠금조립체(3)의 록커(7)가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스트라이커(4)의 록킹구멍(4a)에 록킹되어 자동적으로 잠기고, 도어를 열기 위해 사용자가 그립핸들조립체(8)의 그립핸들(8b)을 파지한 상태에서 열림 방향으로 당길 때, 그립핸들조립체(8)의 스핀들(8a)과 연결된 회전체(6)를 통해 자동잠금조립체(3) 내의 연동기구가 연동하여 록커(7)를 스트라이커(4)로부터 록킹 해제시킴으로써 도어를 열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자동잠금조립체(3)를 연동시켜 록킹해제하기 위한 그립핸들조립체를 제안하여 등록특허 10-1767967호(이하, 선행발명 이라함.)로서 특허받은 바 있다.
상기 선행발명은, 도 1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핸들조립체(8)의 그립핸들(8b) 조작이 몸체(8c) 내부에 설치된 직선이동체(도시 안됨)의 직선운동으로 전달되고, 직선이동체의 직선운동이 스핀들(8a)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할 때, 회전력을 분산 없이 전달하여 스핀들(8a)의 기울어짐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자동잠금조립체(3)에 구비된 록커(7)의 원활한 록킹 해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미닫이 창호의 그립핸들 타입 잠금장치는, 록커(7)가 구비된 자동잠금조립체(3)와 이를 연동시키기 위한 그립핸들(8b)이 구비된 그립핸들조립체(8)가 별개로 구성된 것이므로, 구성이 복잡하고 부품수가 증가하여 제조비용을 상승시키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자동잠금조립체(3)와 그립핸들조립체(8)를 도어틀(2)의 삽입홈(2a) 안쪽과 도어틀(2)의 외측면에 각각 별개로 설치한 후, 상호 연동시킬 수 있도록 연결해야 하므로, 설치작업이 간단하지 않아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도 14에서와 같이 자동잠금조립체(3)는 도어틀(2)의 좁은 삽입홈(2a)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자동잠금조립체(3)와 스트라이커(4) 사이 간격이 어는 정도는 유지되어야 하므로, 도어틀(2)의 삽입홈(2a) 안쪽벽면에 장방형의 장착구멍(2b)을 형성하고, 이 장착구멍(2b)에 자동잠금조립체(3)의 후방부를 삽입한 후, 나사못(5)으로 삽입홈(2a)의 안쪽 벽면에 고정하고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자동잠금조립체(3)를 도어틀(2)에 고정하기 위해 좁은 삽입홈(2a)의 벽면에 상,하방향으로 긴 장착구멍(2b)을 형성할 때, 마땅한 작업도구가 없어 전동드릴로 구멍을 뚫은 후, 상,하방향으로 구멍을 끼우는 방법을 사용하였던 것으로, 이러한 작업에 의해 자동잠금조립체(3)의 설치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이의 개선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에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창틀에 고정되는 스트라이커와 록킹 또는 록킹해제되는 자동잠금조립체의 록커를 그립핸들조립체의 몸체 내부에 설치하여 그립핸들에 연동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장치의 전체 구성을 대폭 간소화함과 동시에, 장치의 설치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하는 미닫이 창호의 그립핸들 타입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립핸들조립체의 그립핸들 조작을 록커에 전달하는 연동수단의 연동구조가 매우 견고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동작이 원활하고 정확하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미닫이 창호의 그립핸들 타입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록커의 과도한 돌출에 의해 발생하는 스트라이커와의 록킹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의 그립핸들 타입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립핸들조립체의 몸체 측벽외면과 록커의 걸림면 사이 간격을 최대한 단축시켜 도어틀의 삽입홈 안쪽벽면과 록커의 걸림면 사이 간격을 넓게 확보하여 삽입홈 안쪽벽면에 스트라이커가 통과하는 관통구멍 형성작업을 생략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의 그립핸들 타입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창틀에 고정되고 미닫이 도어의 개폐방향에 대하여 수평의 직각방향으로 개구된 록킹홈을 가지는 스트라이커; 및 상기 스트라이커의 록킹홈 형성 위치에 대응한 도어틀 바깥면에 고정되는 몸체와, 경사면을 형성한 선단부가 상기 스트라이커의 록킹홈에 삽입되는 록킹위치와 록킹홈으로부터 인출되는 록킹해제위치 사이에서 직선이동하도록 상기 몸체에 설치된 록커와, 상기 몸체와 록커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록커가 항상 록킹위치에 있도록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몸체에 회전지지되어 상기 록커를 록킹위치에서 록킹해제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그립핸들과, 상기 몸체 내에 설치되어 그립핸들의 회전운동을 록커의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연동수단을 포함하는 그랩핸들조립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그립핸들조립체의 연동수단은, 몸체 내부에 구비되어 록커쪽으로 직선이동하도록 된 슬라이드판과, 상기 슬라이드판과 몸체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슬라이드판이 록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제2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그립핸들과 슬라이드판 사이의 연동구조는, 그립핸들에 회전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아암을 구비하여 록커 반대쪽의 슬라이드판 양쪽 후면에 접촉하도록 위치시켜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드판과 록커 사이의 연동구조는, 록커와 슬라이드판에 서로를 향해 마주하도록 형성한 경사부와 경사가압부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록커의 경사부는 록커의 직선운동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슬라이드판의 경사가압부는 록커의 경사부 하부에 위치하고 경사부와 대응하여 접하도록 록커의 직선운동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미닫이 창호의 그립핸들 타입 잠금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록커와 상기 록커가 록킹되는 스트라이커의 록킹홈은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 이격시켜 각각 2개 구비하고, 상기 록커의 경사부와 슬라이드판의 경사가압부는 록커의 양쪽에 각각 배치하여 록커를 중심으로 하여 양쪽에서 가압력이 작용되도록 한 미닫이 창호의 그립핸들 타입 잠금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되는 록커의 돌출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록커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록커조절수단은 록커에 구비되어 록커의 직선운동방향으로 나사결합되고 하단이 몸체에 접촉된 조절나사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절나사는 몸체에 형성한 노출구멍을 통해 외부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된 미닫이 창호의 그립핸들 타입 잠금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록커의 경사면과 접촉하는 스트라이커의 접촉지점을 낮추기 위한 돌출부를 스트라이커의 접촉면으로부터 돌출 형성한 미닫이 창호의 그립핸들 타입 잠금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록커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통체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통체에는 측벽외면쪽 일부를 절결한 개방부를 형성하여 록커의 위치를 몸체의 측벽외면에 근접시킬 수 있도록 하고, 가이드통체의 내면과 록커에는 록커가 가이드통체의 개방부쪽으로 이탈하지 못하게 하는 걸림유지부를 각각 형성한 미닫이 창호의 그립핸들 타입 잠금장치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창틀에 고정되는 스트라이커와 록킹 또는 록킹해제되는 록커를 그립핸들조립체의 몸체 내부에 설치함에 따라, 록커가 구비된 자동잠금조립체를 별도로 구성한 종래에 비하여 부품을 대폭 간소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록커가 구비된 그립핸들조립체를 도어틀의 외측면에 고정하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그립핸들 타입 잠금장치의 설치가 한번에 완료되므로, 종래에 자동잠금조립체의 설치를 위해 도어틀의 좁은 삽입홈 벽면에 장방형의 장착구멍을 뚫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제거되어 시공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록커를 직선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판의 경사가압부와 록커의 경사부가 록커를 중심으로 하여 양쪽에 각각 배치됨에 따라, 경사가압부의 가압력이 록커를 중심으로 양쪽에서 균형있게 전달되어 동작의 안정감과 원활한 조작성으로 품질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록커조절수단에 의해 록커의 선단부가 몸체로부터 돌출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몸체를 도어틀에 설치할 때 발생하는 오차에 대응하여 록커의 돌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이로써 록커의 록킹시 스트라이커의 접촉면이 접촉하는 접촉지점을 록커의 경사면 중에서 최적의 위치로 조절할 수 있어 록커의 돌출길이로 인한 록킹 불량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록커의 직선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통체의 측벽 일부를 제거한 개방부를 형성함에 따라, 록커를 최대한 몸체의 측벽외면에 근접시킬 수 있고, 이로써 록커를 도어틀의 삽입홈에 위치시킬 때, 삽입홈의 안쪽벽면과 록커의 걸림면 사이 간격이 더욱 넓게 확보되므로, 종래에 도어틀의 삽입홈 안쪽벽면에 스트라이커 관통을 위한 관통구멍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 설치작업의 편리성 향상과 작업시간 단축으로 우수한 시공성을 발휘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호의 그립핸들 타입 잠금장치를 도어틀 및 창틀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호의 그립핸들 타입 잠금장치에서 그립핸들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그립핸들조립체를 측면에서 본 종단면도.
도 4는 도 2의 그립핸들조립체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의 (a) 및 (b)는 도 2의 그립핸들조립체에서 그립핸들 조작에 연동하는 록커의 록킹해제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의 (a) 및 (b)는 도 2의 그립핸들조립체에서 그립핸들 조작에 연동하는 록커의 록킹해제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호의 그립핸들 타입 잠금장치의 자동 록킹 상태를 나타낸 동작상태도.
도 8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호의 그립핸들 타입 잠금장치의 록킹해제 상태를 나타낸 동작상태도.
도 9의 (a) 및 (b)는 도 2의 그립핸들조립체에서 록커의 돌출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록커조절수단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0의 (a) 및 (b)는 도 2의 그립핸들조립체에서 스트라이커의 접촉면에 형성한 돌출부의 작용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호의 그립핸들 타입 잠금장치에서 록커와 록커의 직선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통체를 나타낸 몸체의 저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호의 그립핸들 타입 잠금장치를 도어틀에 설치하여 록커가 도어틀의 삽입홈에 록킹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의 (a) 및 (b)는 도어틀의 삽입홈 안쪽벽면에 형성되는 관통구멍을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종래의 자동잠금조립체의 구성 및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의 (a) 및 (b)는 종래의 그립핸들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호의 그립핸들 타입 잠금장치는, 창틀(1) 쪽에 고정되는 스트라이커(10)와, 도어틀(2) 쪽에 설치되는 그립핸들조립체(20)로 이루어진다.
스트라이커(10)에는 창틀(1)의 레일에 안내되어 미닫이 방식으로 이동하는 도어의 개폐방향(열림 및 닫힘 방향)에 대하여 수평의 직각방향으로 개구된 록킹홈(11)이 형성되어 있고, 그립핸들조립체(20)에는 도어의 개폐방향에 대하여 수평의 직각방향으로 직선이동하여 상기 스트라이커(10)의 록킹홈(11)에 록킹 또는 록킹해제되는 록커(30)가 구비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그립핸들조립체(20)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립핸들조립체(20)는, 스트라이커(10)의 록킹홈(11) 형성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의 도어틀(2) 바깥면에 고정되는 몸체(21)를 구비한다. 몸체(21)는 분리 결합 가능한 하판(22)을 가지는 장방형의 사각박스형태로 형성되어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내부공간에 록커(30)가 설치된다.
록커(30)는 경사면(31)을 형성한 선단부가 몸체(21) 외부로 돌출되어 스트라이커(10)의 록킹홈(11)에 삽입되는 록킹위치(도 7의 (c) 참조)와 록킹홈(11)으로부터 인출되는 록킹해제위치(도 8의 (a) 참조) 사이에서 직선이동하도록 설치되고, 몸체(21)의 상부벽과 록커(30) 사이에 설치된 제1 탄성부재(41), 예를 들면 압축코일스프링에 의해 항상 스트라이커(10)의 록킹홈(11)에 삽입되는 록킹위치에 있도록 탄성력을 받고 있다.
또한 그립핸들조립체(20)는, 상기 몸체(21)에 회전지지되어 상기 록커(30)를 록킹위치에서 록킹해제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그립핸들(50)을 구비한다. 그립핸들(50)은 사용자가 도어를 열림방향으로 잡아당길 때 파지하기 좋은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 양쪽에 회전지지축(51)이 구비되어 몸체(21)에 회전지지되어 있다.
상기 그립핸들(50)의 조작은 연동수단에 의해 록커(30)에 전달되는 것으로, 연동수단은 몸체(21)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슬라이드판(60)을 구비하고, 슬라이드판(60)은 몸체(21)의 하판(22) 상에 형성된 가이드부(22a)(도 4 참조)에 안내되어 록커(30)쪽으로 직선이동하게 설치된다.
그립핸들(50)과 슬라이드판(60) 사이의 연동구조는, 록커(30) 반대쪽의 슬라이드판(60) 양쪽 후면에 그립핸들(50)의 회전지지축(5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그립핸들(50)의 아암(52)을 위치시켜 상호 접촉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로써 그립핸들(50)의 조작으로 아암(52)이 회전지지축(5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슬라이드판(60)을 록커(30)쪽으로 직선이동시키도록 한 구조이다.
이때, 도 4에서와 같이 슬라이드판(60)과 몸체(21)의 하판(22)에 형성한 지지벽(22b) 사이에는 제2 탄성부재(42), 예를 들면 압축코일스프링을 설치하여 슬라이드판(60)이 록커(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함으로써 그립핸들(50)과 슬라이드판(60)이 연동 후 자동적으로 원위치되게 한다.
또한 슬라이드판(60)과 록커(30)의 연동구조는, 록커(30)와 슬라이드판(60)에 서로를 향해 마주하도록 형성한 경사부(32)와 경사가압부(61)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록커(30)의 경사부(32)는 록커(30)의 직선운동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슬라이드판(60)의 경사가압부(61)는 록커(30)의 경사부(32) 하부에 위치하고 경사부(32)와 대응하여 접하도록 록커(30)의 직선운동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슬라이드판(60)의 수평방향 직선이동을 록커(30)의 수직방향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연동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그립핸들 타입 잠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열린 상태, 즉 도어틀(2)이 창틀(1)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는 제1 탄성부재(41)에 의해 록커(30)는 록킹위치에 있고, 슬라이드판(60)은 제2 탄성부재(42)(도 4 참조)에 의해 후진, 즉 록커(3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어를 닫기 위해 도어틀(2)을 창틀(1)쪽으로 이동시키면, 도 7의 (b)에서와 같이 록커(30)의 경사면(31)이 스트라이커(10)와 접촉하여 제1 탄성부재(41)가 압축되면서 록커(30)는 후진되고, 이후 도 7의 (c)에서와 같이 록커(30)의 선단부가 스트라이커(10)의 록킹홈(11)에 일치하는 위치에서 다시 록커(30)는 압축된 제1 탄성부재(41)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전진하여 록킹홈(11)에 선단부가 삽입되는 록킹위치로 이동함으로써 도어를 자동 록킹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를 닫을 때에는 도 6의 (a)에서와 같이 록커(30)의 경사부(32)가 슬라이드판(60)의 경사가압부(61)의 상부에 위치하므로 그립핸들(50) 및 슬라이드판(60)은 연동하지 않고, 록커(30)만 후진한 후 다시 전진하여 스트라이커(10)의 록킹홈(11)에 록킹된다.
이어서, 닫힌 도어를 열기 위해,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그립핸들(50)을 파지하여 도어의 열림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도 5의 (b) 및 도 6의 (b)에서와 같이 그립핸들(50)이 회전지지축(5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그립핸들(50)의 아암(52)이 슬라이드판(60)의 후면을 밀어 록커(30)쪽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로써 경사가압부(61)가 록커(30)의 경사부(32)를 밀어올려 록커(30)를 후진시키게 된다.
이로써 도 8의 (b)에서와 같이 제1 탄성부재(41)가 압축되면서 록커(30)의 선단부가 스트라이커(10)의 록킹홈(11)으로부터 록킹해제되어 도어를 열 수 있게 된다.
도어를 이동시켜 연 상태에서 그립핸들(50)을 놓게 되면, 압축되어 있던 제2 탄성부재(42)(도 4 참조)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드판(60)이 후진하여 원위치되므로 이에 연동하는 그립핸들(50)도 원위치되고 록커(30)도 제1 탄성부재(41)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록킹위치로 전진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작동하는 본 발명의 그립핸들 타입 잠금장치는, 스트라이커(10)에 록킹 및 록킹해제되는 록커(30)를 그립핸들조립체(20)에 구비하고, 그립핸들(50)의 조작에 연동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종래의 자동잠금조립체를 제거할 수 있어 구성을 매우 간소화시킬 수 있고, 부품수도 감소시킬 수 있다.
더욱이 도어틀(2)에 전동드릴로 구멍(2d)(도 13의 (a) 참조)을 뚫어 록커(30)를 삽입홈(2a) 내로 관통시킨 후, 그립핸들조립체(20)의 몸체(21)를 나사 등의 고정부재로 도어틀(2)에 바깥측에 고정하는 간단한 작업에 의해 신속하고 편리하게 잠금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6의 (a) 및 (b)에서와 같이 그립핸들(50)의 조작을 록커(30)에 전달함에 있어, 그립핸들(50)의 회전지지축(5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아암(52)이 슬라이드판(60)을 밀어 직선이동시키고, 슬라이드판(60)의 경사가압부(61)와 록커(30)의 경사부(32)에 의해 슬라이드판(60)의 직선이동을 록커(30)의 직선이동으로 전환하는 구조이므로, 록커(30)의 록킹해제 동작이 매우 안정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도 5의 (a) 및 (b)에서와 같이, 록커(30)와 상기 록커(30)가 록킹되는 스트라이커(10)의 록킹홈(11)은 몸체(21)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 이격시켜 2개 구비하고, 상기 록커(30)의 경사부(32)와 슬라이드판(60)의 경사가압부(61)는 록커(30) 양쪽에 각각 배치하여 록커(30)를 중심으로 하여 양쪽에서 가압력이 작용되도록 한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그립핸들(50)의 조작을 이에 연동하는 슬라이드판(60)을 통해 록커(30)에 전달함에 있어, 록커(30)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록커(30)를 중심으로 양쪽에서 작용하므로 록킹해제 동작이 더욱 안정되고 견고하게 이루어져 조작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9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로부터 돌출되는 록커(30)의 돌출길이(L)를 조절하기 위한 록커조절수단을 더 구비한다.
록커조절수단은 도 4 및 도 9의 (b)에서와 같이, 록커(30)에 구비되어 록커(30)의 직선운동방향으로 나사결합되는 조절나사(71)로 이루어지고, 조절나사(71)는 하단이 몸체(21)의 하판(22)에 접촉되고, 상부는 몸체(21)의 상부벽에 형성한 노출구멍(21a)을 통해 외부에서 육각렌지 등의 도구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조절나사(71)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록커(30)를 직선이동방향으로 이동시켜 돌출길이(L)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몸체(21)의 상부벽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상부덮개(25)로 덮어 노출구멍(21a)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복잡한 형상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관을 깨끗하게 유지하고, 몸체(21)를 도어틀(2)에 나사못으로 고정할 때와 조절나사(71)를 조절하고자 할 때, 상부덮개(25)를 몸체(21)로부터 분리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록커조절수단에 의하면, 도 9의 (a) 및 (b)에서와 같이 도어를 닫을 때 록커(30)의 경사면(31)이 스트라이커(10)에 접촉하게 되고, 이 접촉부위가 경사면(31)의 중간지점(P1)보다 높은 위쪽지점(P2)에 위치할 경우, 록커(30)가 후진하기 힘들어 록커(30)가 록킹홈(11)에 삽입되는데 어렵게 하거나 삽입되지 않아 록킹 불량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록킹불량은 그립핸들조립체(20)의 구성부품을 제조 및 조립할 때의 오차와 그립핸들조립체(20)와 스트라이커(10)를 도어틀(2)과 창틀에 각각 설치할 때의 오차 등에 의해 록커(30)가 과도하게 돌출함으로써 발생한다.
따라서, 몸체(21)의 상부벽에 형성한 노출구멍(21a)을 통해 도구를 삽입하여 조절나사(71)를 회전시키게 되면, 조절나사(71)의 회전방향에 따라 록커(30)를 직선이동방향으로 조절하여 몸체(21)로부터의 돌출길이(L)를 조절할 수 있고, 이로써 록커(30)의 록킹시 스트라이커(10)가 접촉하는 접촉부위의 위치를 록커(30)의 경사면(31) 중에서 최적의 위치로 조절할 수 있어 록커(30)의 과다한 돌출로 인한 록킹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은 록커(30)가 과다 돌출할 경우, 록커(30)와 스트라이커(10)의 접촉지점을 낮추기 위한 방안으로서 스트라이커(10)에 접촉면(12)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13)를 형성한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 10의 (a)에서와 같이 록커(30)가 과다 돌출할 경우, 스트라이커(10)의 접촉면(12) 상측 모서리부가 경사면(31)의 상부위치(S2)에 접촉하여 록킹불량이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록커(30)의 경사면(31)에 돌출부(13)의 정점이 먼저 접촉하게 되므로 록커(30)가 과다하게 돌출한 경우에도 1차적으로 돌출부(13)가 경사면(31)의 중간위치(S1)와 접촉하여 밀어 올리고, 이어서 도 10의 (b)에서와 같이 스트라이커(10)의 접촉면(12) 상부 모서리부가 록커(30)의 경사면(31)을 밀어 올리게 되므로, 록커(30)를 록킹홈(11)에 록킹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4, 도 5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에 록커(30)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통체(2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통체(23)는 한쪽, 즉 몸체(21)의 측벽외면(24)에 가까운 쪽 일부를 절결한 개방부(23a)를 형성하여 록커(30)의 위치를 몸체(21)의 측벽외면(24)에 더욱 근접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통체(23)의 내벽과 이에 대응하는 록커(30)의 외측에는 가이드통체(23)에 대하여 록커(30)의 직선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록커(30)가 가이드통체(23)의 개방부(23a)쪽으로 이탈하지 못하게 하는 걸림지지부(23b,33))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통체(23)의 한쪽 일부를 제거하는 개방부(23a)를 형성하였을 때의 몸체(21)의 측벽외면(24)에서 록커(30)의 걸림면(34)까지의 간격(A1)은, 가이드통체(23)의 일부를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하였을 때의 몸체(21)의 측벽외면(24)에서 록커(30)의 걸림면(34)까지의 간격(A2)보다 대략 제거한 가이드통체(23)의 두께 만큼 단축시킬 수 있다.
이로써 도 12에서와 같이, 그립핸들조립체(20)를 도어틀(2)에 설치할 때 창틀(1)쪽을 향하는 몸체(21)의 측벽외면(24)이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창틀(1)에 접촉하지 않는 틈새(B1)를 유지하여 고정하게 되는데, 이때 도 11의 간격(A2)와 같이 몸체(21)의 측벽외면(24)과 록커(30)의 걸림면(34) 사이의 간격이 크게 되면, 상대적으로 도어틀(2)의 삽입홈(2a) 안쪽벽면(2c)과 록커(30)의 걸림면(24) 사이의 틈새(B2)가 너무 좁아 록커(30)가 록킹홈(11)에 삽입되기 전에 스트라이커(10)의 접촉면이 도어틀(2)의 안쪽벽면(2c)에 먼저 접촉하게 되므로, 록킹 동작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틀(2)의 삽입홈(2a) 안쪽벽면(2c)에 스트라이커(10)가 접촉하지 않도록 관통구멍(2e)을 형성해야만 록킹홈(11)이 록커(30) 하부에 위치하여 록킹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은 도 11의 간격(A1)에서와 같이 몸체(21)의 측벽외면(24)에서 록커(30)의 걸림면(34)까지의 간격을 최대한 단축시켜, 그립핸들조립체(20)를 도어에 설치할 때, 도 12에서와 같이 상대적으로 도어틀(2)의 삽입홈 안쪽벽면(2c)과 록커(30)의 걸림면(34) 사이의 간격(B2)을 넓게 확보할 수 있고, 이로써 도어틀(2)의 삽입홈(2a) 안쪽면에 스트라이커(10)가 통과하는 관통구멍을 형성하지 않아도 스트라이커(10)의 록킹홈(11)을 록커(30)에 위치시켜 록킹 동작을 수행할 수 있어 잠금장치의 설치작업의 편리성 향상과 작업시간 단축으로 우수한 시공성을 발휘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창틀 2 : 도어틀
10 : 스트라이커 11 : 록킹홈
12 : 접촉면 13 : 돌출부
20 : 그립핸들조립체 21 : 몸체
21a : 노출구멍 23 : 가이드통체
23a : 개방부 23b,33 : 걸림유지부
24 : 측벽외면 30 : 록커
31 : 경사면 32 : 경사부
41,42 : 제1 및 제2 탄성부재 50 : 그립핸들
51 : 회전지지축 52 : 아암
60 : 슬라이드판 61 : 경사가압부
71 : 조절나사

Claims (5)

  1. 창틀에 고정되고 미닫이 도어의 개폐방향에 대하여 수평의 직각방향으로 개구된 록킹홈을 가지는 스트라이커; 및
    상기 스트라이커의 록킹홈 형성 위치에 대응한 도어틀 바깥면에 고정되는 몸체와, 경사면을 형성한 선단부가 상기 스트라이커의 록킹홈에 삽입되는 록킹위치와 록킹홈으로부터 인출되는 록킹해제위치 사이에서 직선이동하도록 상기 몸체에 설치된 록커와, 상기 몸체와 록커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록커가 항상 록킹위치에 있도록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몸체에 회전지지되어 상기 록커를 록킹위치에서 록킹해제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그립핸들과, 상기 몸체 내에 설치되어 그립핸들의 회전운동을 록커의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연동수단을 포함하는 그랩핸들조립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그립핸들조립체의 연동수단은, 몸체 내부에 구비되어 록커쪽으로 직선이동하도록 된 슬라이드판과, 상기 슬라이드판과 몸체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슬라이드판이 록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제2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그립핸들과 슬라이드판 사이의 연동구조는, 그립핸들에 회전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아암을 구비하여 록커 반대쪽의 슬라이드판 양쪽 후면에 접촉하도록 위치시켜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드판과 록커 사이의 연동구조는, 록커와 슬라이드판에 서로를 향해 마주하도록 형성한 경사부와 경사가압부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록커의 경사부는 록커의 직선운동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슬라이드판의 경사가압부는 록커의 경사부 하부에 위치하고 경사부와 대응하여 접하도록 록커의 직선운동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되는 록커의 돌출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록커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록커조절수단은 록커에 구비되어 록커의 직선운동방향으로 나사결합되고 하단이 몸체에 접촉된 조절나사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절나사는 몸체에 형성한 노출구멍을 통해 외부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호의 그립핸들 타입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커와 스트라이커의 록킹홈은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 이격시켜 각각 2개 구비하고, 상기 록커의 경사부와 슬라이드판의 경사가압부는 록커의 양쪽에 각각 배치하여 록커를 중심으로 하여 양쪽에서 가압력이 작용되도록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호의 그립핸들 타입 잠금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커의 경사면과 접촉하는 스트라이커의 접촉지점을 낮추기 위한 돌출부를 스트라이커의 접촉면으로부터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호의 그립핸들 타입 잠금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록커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통체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통체에는 측벽외면쪽 일부를 절결한 개방부를 형성하여 록커의 위치를 몸체의 측벽외면에 근접시킬 수 있도록 하고, 가이드통체의 내면과 록커에는 록커가 가이드통체의 개방부쪽으로 이탈하지 못하게 하는 걸림유지부를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호의 그립핸들 타입 잠금장치.
KR1020170160360A 2017-11-28 2017-11-28 미닫이 창호의 그립핸들 타입 잠금장치 KR101945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360A KR101945189B1 (ko) 2017-11-28 2017-11-28 미닫이 창호의 그립핸들 타입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360A KR101945189B1 (ko) 2017-11-28 2017-11-28 미닫이 창호의 그립핸들 타입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5189B1 true KR101945189B1 (ko) 2019-02-07

Family

ID=65366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0360A KR101945189B1 (ko) 2017-11-28 2017-11-28 미닫이 창호의 그립핸들 타입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51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27337A (zh) * 2019-10-28 2021-04-30 Ykk Ap 株式会社 自走防止装置及门窗
KR102408051B1 (ko) * 2021-05-04 2022-06-10 장만동 미닫이 창호용 잠금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2907A (ja) * 2000-03-17 2001-09-26 Piolax Inc 開閉ロック装置
KR101428686B1 (ko) * 2013-08-29 2014-08-11 장만동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2907A (ja) * 2000-03-17 2001-09-26 Piolax Inc 開閉ロック装置
KR101428686B1 (ko) * 2013-08-29 2014-08-11 장만동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27337A (zh) * 2019-10-28 2021-04-30 Ykk Ap 株式会社 自走防止装置及门窗
CN112727337B (zh) * 2019-10-28 2023-02-21 Ykk Ap 株式会社 自走防止装置及门窗
KR102408051B1 (ko) * 2021-05-04 2022-06-10 장만동 미닫이 창호용 잠금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58045C (en) Reversible latch bolt
DK2398984T3 (en) SELF-locking LOCKING DEVICES
KR101945189B1 (ko) 미닫이 창호의 그립핸들 타입 잠금장치
CA1235452A (en) Cabinet lock with recessed handle
KR101627578B1 (ko)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의 록킹조립체
EP1335085A1 (en) Lock for a sliding door or gate
KR20060133938A (ko) 레버형 도어록의 잠금버튼
KR200456588Y1 (ko) 창호용 자동 잠금장치
KR101924465B1 (ko) 일체형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101370517B1 (ko)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
KR101724364B1 (ko) 강제 개방력을 가진 창호 잠금장치
KR101318204B1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101943733B1 (ko)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KR101841874B1 (ko)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CN215169054U (zh) 铰链安装自锁组件、滑轮组快装机构和折叠推拉门
KR102165867B1 (ko) 미닫이 창호용 핸들조립체
KR20110138544A (ko) 창호의 자동 잠금장치
KR100250911B1 (ko) 도어정의 잠금장치
CN215369289U (zh) 一种便于锁定的门窗
KR101885426B1 (ko)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
KR102016984B1 (ko) 직접 잠금 장치(dls)용 그립 손잡이
JP3434130B2 (ja) 扉用ハンドル装置
GB2624021A (en) Door handle assembly
JPH0718861Y2 (ja) プッシュラッチのロック構造
IE20200231A2 (en) Locking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