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4720B1 - 보수용 아크릴 주입재 주입장치 - Google Patents

보수용 아크릴 주입재 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4720B1
KR101944720B1 KR1020180110669A KR20180110669A KR101944720B1 KR 101944720 B1 KR101944720 B1 KR 101944720B1 KR 1020180110669 A KR1020180110669 A KR 1020180110669A KR 20180110669 A KR20180110669 A KR 20180110669A KR 101944720 B1 KR101944720 B1 KR 101944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ain
rotational force
curing agent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형
최동훈
조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에스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에스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에스기술
Priority to KR1020180110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47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25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characterised by flow controlling means, e.g. valves, located proximate the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01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수용 아크릴 주입재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력을 공급하는 펌프 구동모터와 상기 펌프 구동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펌프 속도 제어기로 구성되는 구동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회전부재를 결합하여 형성되는 조인트 또는 감속기로 형성되고, 상기 펌프 구동모터에서 공급되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부; 상기 회전력 전달부를 통해 공급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주제와 경화제를 비율에 맞게 공급하는 작동부; 및 상기 작동부를 통해 공급되는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구조물의 누수부분에 주입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수용 아크릴 주입재 주입장치는 구동부를 구성하는 펌프 구동모터와 펌프 속도 제어기를 통해 원하는 회전력을 공급하고, 작동부를 통해 주제와 경화제를 설정된 비율로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비율이 변경되어도 작동부의 간단한 변경을 통해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수용 아크릴 주입재 주입장치{Maintenance agent for acrylic injection material}
본 발명은 보수용 아크릴 주입재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 및 토목의 지하구조물(공동주택의 지하주차장, 지하차도, 공동구 등)과 같은 공간에서 누수 발생시 누수 부위에 아크릴 주입재를 안정적으로 주입 및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보수용 아크릴 주입재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구조물은 우수한 내구성으로 인해 반영구적 구조물의 건설 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부동침하, 블리딩 또는 응력의 과다 등 여러 가지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크고 작은 균열이 발생한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이 해양 환경에 오랜 기간 노출될 경우, 해수의 작용에 의하여 콘크리트가 침식되고 철근에 부식이 발생되며 체적 팽창에 의해 콘크리트에 균열 및 박리 현상이 일어나며,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능이 저하되게 된다.
또한, 겨울철에는 동결 및 융해 작용으로 인해 콘크리트에 파손이 발생하기 쉬우며, 자동차 배기가스에 콘크리트 구조물이 오랜 기간 노출될 경우 중성화 현상으로 인해 내부의 철근이 부식되고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하기도 한다.
상술한 원인들 외에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중성화, 알칼리 골재반응, 동결융해, 염해, 화학적 침식, 공장 폐수 및 생활하수 등에 의해서도 콘크리트 구조물에 균열이 발생될 수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은, 그 균열이 발생한 위치와 균열의 폭 및 깊이에 따라 구조물의 구조적인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며 철근 부식 등을 통한 열화의 원인이 되고, 내구성을 저하하는 요인이 된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한 균열로 수분 및 공기가 유입되기 쉽고, 유입된 수분 및 공기로 인하여 콘크리트의 풍화가 촉진되고 철근의 부식이 초래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명 및 안전성이 악화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이 발생한 경우, 통상적으로 팩커(packer)가 사용되었다.
팩커를 이용한 균열보수방법은, 균열부에 관 형상의 팩커를 압입 설치하고 보수액이 충전된 주입기를 팩커에 연결시켜 보수액을 고압으로 공급함으로써 균열부위의 틈새를 메워 고착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이러한 팩커를 이용한 균열 보수장치의 경우, 주입기가 짧은 시간에 고압으로 보수재를 가압하여 균열 틈새에 보수재를 주입하므로, 주입된 보수재가 균열 깊숙이 침투되지 못하고 침투되는 도중에 역류하여 다시 외부로 누출되는 경우가 많았고, 그로 인해 보수액의 낭비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76451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08237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구동부를 구성하는 펌프 구동모터와 펌프 속도 제어기를 통해 원하는 회전력을 공급하고, 작동부를 통해 주제와 경화제를 설정된 비율로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보수용 아크릴 주입재 주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수용 아크릴 주입재 주입장치는 회전력을 공급하는 펌프 구동모터와 상기 펌프 구동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펌프 속도 제어기로 구성되는 구동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회전부재를 결합하여 형성되는 조인트 또는 감속기로 형성되고, 상기 펌프 구동모터에서 공급되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부; 상기 회전력 전달부를 통해 공급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주제와 경화제를 비율에 맞게 공급하는 작동부; 및 상기 작동부를 통해 공급되는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구조물의 누수부분에 주입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장착되고 주제 공급관과 경화제 공급관이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주입재 공급부; 상기 주제 공급관과 경화제 공급관의 끝단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주제 배출관과 경화제 배출관으로 이루어진 주입재 배출부;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력 전달부를 통해 공급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회전작동되며, 상기 주제 배출관 및 경화제 배출관과 대향되는 부분으로 주제 결합 장착부와 경화제 결합 장착부가 형성되는 크랭크 축; 및 상기 크랭크 축의 주제 결합 장착부와 경화제 결합 장착부에 일 단이 각각 결합되고 타 단은 주제 배출관과 경화제 배출관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크랭크 축의 회전작동시 주제 배출관과 경화제 배출관에 공급된 주제와 경화제를 각각 배출부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작동 피스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주입재 공급부를 구성하는 주제 공급관과 경화제 공급관은 분리구성되고, 상기 주제 공급관과 경화제 공급관의 연결부분에는 작동 피스톤의 전진시 내부를 차단하고, 상기 작동 피스톤의 후퇴시 내부를 개방하는 관 차단수단이 장착되되, 상기 관 차단수단은 상기 공급관의 지름과 대응하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회전작동에 따라 상기 공급관의 내부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차단판; 상기 차단판의 중앙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는 차단 회전축; 상기 차단 회전축의 일 측 끝단과 결합되고 상기 차단 회전축과 차단판을 회전작동시키는 차단판 구동모터; 및 상기 차단판 구동모터의 일 측에 장착되고 상기 차단판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기;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작동부와 배출부의 사이에 상기 배출부로 배출되는 주제와 경화제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주입량 조절수단이 각각 장착되되,
상기 주입량 조절수단은 원통 형상으로 양측에 관 연결홈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장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공간을 기준으로 내면 양측으로 경사면이 형성되고, 중앙으로 상기 장착공간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주입공이 형성되는 조절 케이스; 상기 조절 케이스의 장착공간의 내주면을 따라 장착되고, 상기 장착공간에 주입되는 공기량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는 관 조절 튜브;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 조절튜브와 간격을 두고 장착공간에 장착되면서 내부에 팽창공간을 형성하는 지지튜브;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곡면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튜브의 외면을 감싸면서 가압하는 튜브 지지부; 상기 장착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튜브 지지부의 곡면부재를 가압 및 지지하는 다수개의 완충 스프링; 및 상기 팽창공간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관 조절 튜브를 팽창 또는 수축시키며, 도중에는 공기를 주입 또는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밸브가 장착되는 공기 주입관;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상기 작동부의 끝단으로 배출되는 주제와 경화제의 온도를 측정하여 어느 하나라도 설정온도 이하이면, 상기 주제와 경화제를 주제 공급기와 경화제 공급기에 회수시키는 회수수단이 각각 장착되되,
상기 회수수단은 상기 주제 배출관과 경화제 배출관에 일 단이 연결되고, 타 단은 주제 공급기와 경화제 공급기에 각각 직각 형상으로 연결되는 회수배관; 상기 배출관의 끝단 부분에 각각 장착되는 온도감지센서; 상기 회수배관의 끝단 부분에 장착되고, 작동신호에 따라 모터가 회전작동하여, 회전판이 상기 회수배관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회수배관 조절부; 상기 회수배관의 모서리 부분에 장착되고, 낙하되는 주제와 경화제를 주제 공급기와 경화제 공급기에 각각 이송시키는 한 쌍의 이송 실린더; 및 상기 회수배관을 통과하는 주제와 경화제에 열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회수배관을 가열시키는 히팅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보수용 아크릴 주입재 주입장치는 구동부를 구성하는 펌프 구동모터와 펌프 속도 제어기를 통해 원하는 회전력을 공급하고, 작동부를 통해 주제와 경화제를 설정된 비율로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비율이 변경되어도 작동부의 간단한 변경을 통해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수용 아크릴 주입재 주입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수용 아크릴 주입재 주입장치를 구성하는 구동부, 회전력 전달부, 작동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수용 아크릴 주입재 주입장치를 구성하는 회전력 전달부와 작동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수용 아크릴 주입재 주입장치를 구성하는 배출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수용 아크릴 주입재 주입장치를 구성하는 관 차단수단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수용 아크릴 주입재 주입장치를 구성하는 관 차단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수용 아크릴 주입재 주입장치를 구성하는 주입량 조절수단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수용 아크릴 주입재 주입장치를 구성하는 주입량 조절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보수용 아크릴 주입재 주입장치를 구성하는 회수수단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보수용 아크릴 주입재 주입장치를 구성하는 회수수단을 나타낸 구성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수용 아크릴 주입재 주입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수용 아크릴 주입재 주입장치를 구성하는 구동부, 회전력 전달부, 작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수용 아크릴 주입재 주입장치를 구성하는 회전력 전달부와 작동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수용 아크릴 주입재 주입장치를 구성하는 배출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원발명인 보수용 아크릴 주입재 주입장치(100)는 구동부(110), 회전력 전달부(120), 작동부(130), 배출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보수용 아크릴 주입재 주입장치(100)는 환경에 따라 회전력 전달부(120)를 제외하고, 상기 구동부(110)의 회전력이 작동부(130)에 직접 전달되는 구조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구동부(110)는 일 측에 배치되고 회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110)는 회전력을 공급하는 펌프 구동모터(112)와 상기 펌프 구동모터(112)의 속도를 제어하는 펌프 속도 제어기(114)로 구성된다.
즉, 상기 구동부(110)는 전원 공급에 따른 펌프 구동모터(112)의 구동시 상기 펌프 구동모터(112)의 일 측에 장착되는 펌프 속도 제어기(114)를 통해 상기 펌프 구동모터(112)의 속도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과부하 작동시 상기 펌프 구동모터(112)를 정지시킨다.
여기서, 상기 펌프 구동모터(112)와 펌프 속도 제어기(114)는 도시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공지된 펌프 구동모터와 펌프 속도 제어기가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회전력 전달부(120)는 구동부(110)에 일 측이 결합되고 타 측이 작동부(130)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력 전달부(12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회전부재를 결합하여 형성되는 조인트 또는 감속기로 구성된다.
즉, 상기 회전력 전달부(120)는 구동부(110)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그대로 전달하거나 또는 큰 회전력을 위하여 감속하여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력 전달부(120)에 적용되는 조인트 또는 감속기는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공지된 조인트 또는 감속기가 적용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작동부(130)는 회전력 전달부(120)의 타 측에 결합되고, 회전력을 이용하여 주제와 경화제를 비율에 맞게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130)는 케이스(131), 주입재 공급부(132), 주입재 배출부(133), 크랭크 축(134), 피스톤(135)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31)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내부에 수용공간(131a)이 형성된다.
상기 주입재 공급부(132)는 케이스(131)의 전면에 장착되고 주제 공급관(132a)과 경화제 공급관(132b)이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상기 주입재 공급부(132)는 주제 공급기와 연결되는 주제 공급관(132a)과 경화제 공급기와 연결되는 경화제 공급관(132b)을 케이스(131)의 전면에 간격을 두고 장착하여, 상기 주제 공급관(132a)과 경화제 공급관(132b)을 통해 주제와 경화제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주제 공급관(132a)과 경화제 공급관(132b)은 케이스(13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주제 공급관(132a)과 경화제 공급관(132b)은 하부에서 상부로 주제와 경화제를 공급하거나 상부에서 하부로 주제와 경화제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주입재 배출부(133)는 주제 공급관(132a)과 경화제 공급관(132b)의 끝단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주제 배출관(133a)과 경화제 배출관(133b)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주입재 배출부(133)는 주제 공급관(132a)의 끝단으로 주제 배출관(133a)을 수평으로 장착하여 상기 주제 공급관(132a)을 통해 공급되는 주제를 주제 배출관(133b)을 통해 배출부(140)로 배출하고, 경화제 공급관(132b)의 끝단으로 경화제 배출관(133b)을 수평으로 장착하여 상기 경화제 공급관(132b)을 통해 공급되는 경화제를 경화제 배출관(133b)을 통해 배출부(140)로 배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주제 공급관(132a) 및 주제 배출관(133a)과 경화제 공급관(132b) 및 경화제 배출관(133b)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주제 배출관(133a)과 경화제 배출관(133b)은 주제 공급관(132a)과 경화제 공급관(132b)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크랭크 축(134)은 케이스(131)의 수용공간(131a)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주제 배출관(133a) 및 경화제 배출관(133b)과 대향되는 부분으로 주제 결합 장착부(134a)와 경화제 결합 장착부(134b)가 형성된다.
즉, 상기 크랭크 축(134)은 자동차의 엔진에 장착되는 크랭크 축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력 전달부(120)를 통해 공급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한 쌍의 작동 피스톤(135)을 회전작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크랭크 축(134)에 형성되는 주제 결합 장착부(134a)와 경화제 결합 장착부(134b)는 목적 등에 따라 동일선상 또는 서로 다른 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작동 피스톤(135)는 크랭크 축(134)의 주제 결합 장착부(134a)와 경화제 결합 장착부(134b)에 일 단이 각각 결합되고 타 단은 주제 배출관(133a)과 경화제 배출관(133b)에 각각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 피스톤(135)은 크랭크 축(134)의 회전작동시 주제 배출관(133a)과 경화제 배출관(133b)에 공급된 주제와 경화제를 각각 배출부(140)로 이동시키게 된다.
즉, 상기 작동 피스폰(135)은 자동차의 엔진에 장착되고 크랭크 축에 결합되는 피스톤과 같이 형성되어, 상기 크랭크 축(134)의 회전시 타 단 부분이 직선운동하면서 주제 배출관(133a)과 경화제 배출관(133b)에 공급된 주제와 경화제를 배출부(140)로 이동시키게 된다.
간략하게, 상기 작동부(130)는 케이스(131)의 전방으로 주제 공급관(132a)과 경화제 공급관(132b)을 장착한 후, 상기 주제 공급관(132a)과 경화제 공급관(132b)의 끝단으로 주제 배출관(133a)과 경화제 배출관(133b)을 각각 수평방향으로 장착한 다음, 상기 케이스(131)의 수용공간(131a)으로 타 단이 주제 배출관(133a)과 경화제 배출관(133b)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작동 피스톤(135)이 결합된 크랭크 축(134)을 장착하여 형성하게 된다.
상기 배출부(140)는 작동부(130)의 전방에 배치된다.
즉, 상기 배출부(140)는 작동부(130)를 통해 공급되는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구조물의 누수부분에 주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140)는 작동부(130)와 연결되는 배출 연결구(141), 상기 배출 연결구(141)에 일 단이 결합되고 타 단에는 배출공(143)이 형성되는 배출 케이스(142), 상기 배출 케이스(142)의 장착공간(144)에 장착되고 유입되는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시키는 스태틱(145)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배출부(140)는 배출 연결구(141)를 통해 유입되는 주제와 경화제가 배출 케이스(142)의 장착공간(144)을 통과하면서 스태틱(145)을 통해 혼합된 후 배출공(143)을 통해 구조물의 누수부분에 주입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태틱(145)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프로펠러, 스크류, 직각부재 부재 등을 다양하에 조합하여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지된 이액형 스태틱이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보수용 아크릴 주입재 주입장치는 도시된 도 5 내지 10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시된 도 5 및 6의 보수용 아크릴 주입재 주입장치(100)는 상기 주입재 공급부(132)를 구성하는 주제 공급관(132a)과 경화제 공급관(132b)을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분리구성하고, 상기 주제 공급관(132a) 및 주제공급관(132a)과 경화제 공급관(132b) 및 경화제 공급관(132b)의 사이에 관 차단수단(200)을 장착한 것이다.
즉, 상기 관 차단수단(200)은 공급관(132a, 132b)과 공급관(132a, 132b)의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작동 피스톤(135)의 전진시 내부를 차단하여 주제와 경화제가 공급관(132a, 132b)으로 이동하는 차단하고, 상기 작동 피스톤(135)의 후퇴시 내부를 개방하여 주제 공급기에서 공급되는 주제와 경화제 공급기에서 공급되는 경화제를 주제 배출관(133a)과 경화제 배출관(133b)에 각각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관 차단수단(200)은 공급관(132a, 132b)의 지름과 대응하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회전작동에 따라 상기 공급관(132a, 132b)의 내부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차단판(210), 상기 차단판(210)의 중앙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는 차단 회전축(220), 상기 차단 회전축(220)의 일 측 끝단과 결합되고 상기 차단 회전축(220)과 차단판(210)을 회전작동시키는 차단판 구동모터(230), 상기 차단판 구동모터(230)의 일 측에 장착되고 상기 차단판 구동모터(230)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기(240)로 구성된다.
즉, 상기 관 차단수단(200)는 모터 제어기(240)를 통한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차단판 구동모터(230)를 90°간격으로 회전작동시켜, 상기 공급관(132a, 132b)의 내부를 개방 또는 차단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시된 도 7 및 8의 보수용 아크릴 주입재 주입장치(100)는 상기 작동부(130)와 배출부(140)의 사이에는 상기 배출부(140)로 배출되는 주제와 경화제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주입량 조절수단(300)이 각각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주입량 조절수단(300)은 주입재 배출부(133)를 통해 배출되는 주제와 경화제의 배출량에 따라 내부의 지름을 조절하여 일정한 압력과 배출량으로 상기 주제와 경화제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주입량 조절수단(300)은 원통 형상으로 양측에 관 연결홈(311)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장착공간(312)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공간(312)을 기준으로 내면 양측으로 경사면(313)이 형성되고, 중앙으로 상기 장착공간(312)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주입공(314)이 형성되는 조절 케이스(310), 상기 조절 케이스(310)의 장착공간(312)의 내주면을 따라 장착되고, 상기 장착공간(312)에 주입되는 공기량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는 관 조절 튜브(320),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 조절튜브(320)와 간격을 두고 장착공간(312)에 장착되면서 내부에 팽창공간(332)을 형성하는 지지튜브(330),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곡면부재(342)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튜브(330)의 외면을 감싸면서 가압하는 튜브 지지부(340), 상기 장착공간(312)에 장착되고 상기 튜브 지지부(340)의 곡면부재(342)를 가압 및 지지하는 다수개의 완충 스프링(350), 상기 팽창공간(332)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관 조절 튜브(320)를 팽창 또는 수축시키며 도중에는 공기를 주입 또는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밸브(362)가 장착되는 공기 주입관(360)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주입량 조절수단(300)은 조절 케이스(310)를 구성하는 장착공간(312)의 내부로 다수개의 완충 스프링(350)을 장착한 후, 상기 완충 스프링(350)의 내부로 두 개 이상의 곡면부재(342)로 형성되는 튜브 지지부(340)를 장착한 다음, 상기 튜브 지지부(340)의 내부에 위치한 장착공간(312)에 지지튜브(330)를 장착한 후, 상기 장착공간(312)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관 조절튜브(320)를 장착한 다음, 상기 공기 주입공(314)에 밸브(362)가 구비된 공기 주입관(360)을 각각 장착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공기 주입관(360)을 통해 관 조절튜브(320)와 지지튜브(330)가 형성된 팽창공간(332)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관 조절튜브(320)의 내부 지름을 조절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튜브(330)는 팽창하다가 튜브 지지부(340)를 지지하는 완충 스프링(350)의 탄성보다 작아지면, 상기 완충 스프링(350) 및 곡면부재(342)를 통해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관 조절튜브(320)만 팽창하여 내부의 지름을 조절하게 된다.
이후, 상기 관 조절튜브(320)의 지름을 줄이거나 늘리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공기 주입관(360)을 통해 조절하면 된다.
다음으로, 도시된 도 9 및 10의 보수용 아크릴 주입재 주입장치(100)는 작동부(130)의 끝단으로 배출되는 주제와 경화제의 온도를 측정하여 어느 하나라도 설정온도 이하이면, 상기 주제와 경화제를 주제 공급기와 경화제 공급기에 회수시키는 회수수단(400)이 각각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회수수단(400)은 설정된 온도보다 주제와 경화제가 낮으면 주제 공급기와 경화제 공급기로 회수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수수단(400)은 상기 주제 배출관(133a)과 경화제 배출관(133b)에 일 단이 연결되고, 타 단은 주제 공급기(1)와 경화제 공급기(2)에 각각 직각 형상으로 연결되는 회수배관(410), 상기 배출관(133a, 133b)의 끝단 부분에 각각 장착되는 온도감지센서(420), 상기 회수배관(410)의 끝단 부분에 장착되고, 작동신호에 따라 모터(432)가 회전작동하여, 회전판(434)이 상기 회수배관(410)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회수배관 조절부(430), 상기 회수배관(410)의 모서리 부분에 장착되고, 낙하되는 주제와 경화제를 주제 공급기(1)와 경화제 공급기(2)에 각각 이송시키는 한 쌍의 이송 실린더(440), 상기 회수배관(410)을 통과하는 주제와 경화제에 열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회수배관(410)을 가열시키는 히팅기(450)로 구성된다.
즉, 상기 회수수단(400)은 온도감지센서(420)를 통해 배출되는 주제와 경화제의 온도를 각각 측정한 후, 상기 주제와 경화제 중 어느 하나라도 설정온도 이하이면, 상기 회수배관 조절부(430)의 모터(432) 및 회전판(434)의 회전작동하여, 상기 회수배관(410)으로 주제와 경화제를 각각 낙하시키게 되고, 상기 이송 실린더(440)는 전후진 작동을 통해 낙하되는 주제와 경화제를 주제 공급기(1)와 경화제 공급기(2)에 각각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 실린더(440)의 상부에는 전진작동시 주제와 경화제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공지된 밸브 또는 밸브기기가 장착되고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보수용 아크릴 주입재 주입장치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회전력을 공급하는 펌프 구동모터(112)와 상기 펌프 구동모터(112)의 속도를 제어하는 펌프 속도 제어기(114)로 구성되는 구동부(110)를 일 측에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110)를 구성하는 펌프 구동모터(112)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회전부재를 결합하여 형성되는 조인트 또는 감속기로 구성되는 회전력 전달부(120)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력 전달부(120)의 타 단으로 내부에 수용공간(131a)이 형성되는 케이스(131), 상기 케이스(131)의 전면에 장착되고 주제 공급관(132a)과 경화제 공급관(132b)이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주입재 공급부(132), 상기 주제 공급관(132a)과 경화제 공급관(132b)의 끝단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주제 배출관(133a)과 경화제 배출관(133b)으로 이루어진 주입재 배출부(133), 상기 케이스(131)의 수용공간(131a)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력 전달부(120)를 통해 공급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회전작동되며, 상기 주제 배출관(133a) 및 경화제 배출관(133b)과 대향되는 부분으로 주제 결합 장착부(134a)와 경화제 결합 장착부(134b)가 형성되는 크랭크 축(134) 및 상기 크랭크 축(134)의 주제 결합 장착부(134a)와 경화제 결합 장착부(134b)에 일 단이 각각 결합되고 타 단은 주제 배출관(133a)과 경화제 배출관(133b)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크랭크 축(134)의 회전작동시 주제 배출관(133a)과 경화제 배출관(133b)에 공급된 주제와 경화제를 각각 배출부(140)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작동 피스톤(135)로 구성되는 작동부(13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130)의 일 측으로 작동부(130)와 연결되는 배출 연결구(141), 상기 배출 연결구(141)에 일 단이 결합되고 타 단에는 배출공(143)이 형성되는 배출 케이스(142), 상기 배출 케이스(142)의 장착공간(144)에 장착되고 유입되는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시키는 스태틱(145)으로 구성되는 배출부(140)를 장착하면, 보수용 아크릴 주입재 주입장치(100)이 조립은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보수용 아크릴 주입재 주입장치의 조립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상기 보수용 아크릴 주입재 주입장치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구조물의 누수 진행 중인 부위를 점검하고 각각 천공할 부위를 선정하여 모체에 표시한다.
그리고 천공은 드릴비트를 사용하고 모제의 2/3 지점까지 사선 방향으로 천공한다.
이때, 상기 드릴비트가 철근에 걸릴 경우 천공한 주입구는 급결 시멘트로 메꾸고, 천공한 주변으로 재천공한다.
다음으로, 상기 보수용 아크릴 주입재 주입장치(100)를 통해 천공부분으로 아크릴 주입재를 공급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구동부(110)를 구성하는 펌프 구동모터(112)를 작동시킨 후 펌프 속도 제어기(114)를 통해 펌프 구동모터(112)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펌프 구동모터(112)의 회전력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회전부재를 결합하여 형성되는 조인트(120)를 통해 작동부(130)를 구성하는 크랭크 축(134)에 전달된다.
이후, 상기 크랭크 축(134)은 회전력 전달부(120)를 통해 공급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한 쌍의 작동 피스톤(135)을 회전작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 피스톤(135)은 크랭크 축(134)의 회전시 타 단 부분이 직선운동하면서 주제 배출관(133a)과 경화제 배출관(133b)에 공급된 주제와 경화제를 배출부(140)로 이동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배출부(140)는 배출 연결구(141)를 통해 유입되는 주제와 경화제를 배출 케이스(142)의 장착공간(144)에 형성된 스태틱(145)을 통해 혼합시킨 후 배출공(143)을 통해 천공부분으로 주입하게 된다.
이후, 균열이나 조인트 부위로 아크릴 주입액이 나오거나 주입압력이 상승하여 펌프 작동이 되지 않을 경우 다음 천공으로 이동하여 아크릴 주입액을 주입한다.
그리고 주입 작업이 끝나면 아크릴주입기를 물로 순환시켜 깨끗이 세척한 후 보관하면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보수용 아크릴 주입재 주입장치
110 : 구동부 112 : 펌프 구동모터
114 : 펌프 속도 제어기 120 : 회전력 전달부
130 : 작동부 131 : 케이스
132 : 주입재 공급부 133 : 주입재 배출부
134 : 크랭크 축 135 : 작동 피스톤
140 : 배출부 141 : 배출 연결구
142 : 배출 케이스 143 : 배출공
144 : 장착공간 145 : 스태틱
200 : 관 차단수단 210 : 차단판
220 : 회전축 230 : 차단판 구동모터
240 : 모터 제어기 300 : 주입량 조절수단
310 : 조절 케이스 311 : 관 연결홈
312 : 장착공간 313 : 경사면
314 : 공기 주입공 320 : 관 조절 튜브
330 : 지지튜브 332 : 팽창공간
340 : 튜브 지지부 342 : 곡면부재
350 : 완충 스프링 360 : 공기 주입관
400 : 회수수단 410 : 회수배관
420 : 온도감지센서 430 : 회수배관 조절부
432 : 모터 434 : 회전판
440 : 이송 실린더 450 : 히팅기

Claims (5)

  1. 회전력을 공급하는 펌프 구동모터와 상기 펌프 구동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펌프 속도 제어기로 구성되는 구동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회전부재를 결합하여 형성되는 조인트 또는 감속기로 형성되고, 상기 펌프 구동모터에서 공급되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부;
    상기 회전력 전달부를 통해 공급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주제와 경화제를 비율에 맞게 공급하는 작동부; 및
    상기 작동부를 통해 공급되는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구조물의 누수부분에 주입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와 배출부의 사이에 상기 배출부로 배출되는 주제와 경화제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주입량 조절수단이 각각 장착되되,
    상기 주입량 조절수단은,
    원통 형상으로 양측에 관 연결홈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장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공간을 기준으로 내면 양측으로 경사면이 형성되고, 중앙으로 상기 장착공간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주입공이 형성되는 조절 케이스;
    상기 조절 케이스의 장착공간의 내주면을 따라 장착되고, 상기 장착공간에 주입되는 공기량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는 관 조절 튜브;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 조절튜브와 간격을 두고 장착공간에 장착되면서 내부에 팽창공간을 형성하는 지지튜브;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곡면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튜브의 외면을 감싸면서 가압하는 튜브 지지부;
    상기 장착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튜브 지지부의 곡면부재를 가압 및 지지하는 다수개의 완충 스프링; 및
    상기 팽창공간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관 조절 튜브를 팽창 또는 수축시키며, 도중에는 공기를 주입 또는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밸브가 장착되는 공기 주입관;을 포함하는 보수용 아크릴 주입재 주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장착되고 주제 공급관과 경화제 공급관이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주입재 공급부;
    상기 주제 공급관과 경화제 공급관의 끝단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주제 배출관과 경화제 배출관으로 이루어진 주입재 배출부;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력 전달부를 통해 공급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회전작동되며, 상기 주제 배출관 및 경화제 배출관과 대향되는 부분으로 주제 결합 장착부와 경화제 결합 장착부가 형성되는 크랭크 축; 및
    상기 크랭크 축의 주제 결합 장착부와 경화제 결합 장착부에 일 단이 각각 결합되고 타 단은 주제 배출관과 경화제 배출관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크랭크 축의 회전작동시 주제 배출관과 경화제 배출관에 공급된 주제와 경화제를 각각 배출부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작동 피스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용 아크릴 주입재 주입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주입재 공급부를 구성하는 주제 공급관과 경화제 공급관은 분리구성되고,
    상기 주제 공급관과 경화제 공급관의 연결부분에는 작동 피스톤의 전진시 내부를 차단하고, 상기 작동 피스톤의 후퇴시 내부를 개방하는 관 차단수단이 장착되되,
    상기 관 차단수단은,
    상기 공급관의 지름과 대응하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회전작동에 따라 상기 공급관의 내부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차단판;
    상기 차단판의 중앙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는 차단 회전축;
    상기 차단 회전축의 일 측 끝단과 결합되고 상기 차단 회전축과 차단판을 회전작동시키는 차단판 구동모터; 및
    상기 차단판 구동모터의 일 측에 장착되고 상기 차단판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용 아크릴 주입재 주입장치.
  4. 삭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의 끝단으로 배출되는 주제와 경화제의 온도를 측정하여 어느 하나라도 설정온도 이하이면, 상기 주제와 경화제를 주제 공급기와 경화제 공급기에 회수시키는 회수수단이 각각 장착되되,
    상기 회수수단은,
    상기 주제 배출관과 경화제 배출관에 일 단이 연결되고, 타 단은 주제 공급기와 경화제 공급기에 각각 직각 형상으로 연결되는 회수배관;
    상기 배출관의 끝단 부분에 각각 장착되는 온도감지센서;
    상기 회수배관의 끝단 부분에 장착되고, 작동신호에 따라 모터가 회전작동하여, 회전판이 상기 회수배관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회수배관 조절부;
    상기 회수배관의 모서리 부분에 장착되고, 낙하되는 주제와 경화제를 주제 공급기와 경화제 공급기에 각각 이송시키는 한 쌍의 이송 실린더; 및
    상기 회수배관을 통과하는 주제와 경화제에 열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회수배관을 가열시키는 히팅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용 아크릴 주입재 주입장치.
KR1020180110669A 2018-09-17 2018-09-17 보수용 아크릴 주입재 주입장치 KR101944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669A KR101944720B1 (ko) 2018-09-17 2018-09-17 보수용 아크릴 주입재 주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669A KR101944720B1 (ko) 2018-09-17 2018-09-17 보수용 아크릴 주입재 주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4720B1 true KR101944720B1 (ko) 2019-02-01

Family

ID=65367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669A KR101944720B1 (ko) 2018-09-17 2018-09-17 보수용 아크릴 주입재 주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472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0153A (ja) * 1996-12-26 1998-07-07 Moriya Field:Kk 発泡材の生成方法及び吹付装置
KR200288297Y1 (ko) * 2001-11-17 2002-09-10 황병권 균열부 보수 및 보강용 이액형 약액 주입기
KR100764513B1 (ko) 2006-05-17 2007-10-08 주식회사 아키벤 항균성과 내구성이 뛰어난 수팽윤성 아크릴계 주입재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한 콘크리트 구조물배면주입 누수보수공법
KR20110099580A (ko) * 2010-03-02 2011-09-08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유속 및 농도 조절이 가능한 양광관과 집광기간의 연결관 장치
KR101082373B1 (ko) 2011-03-21 2011-11-10 (주)다인건설 균열 보수재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균열 보수 방법
KR101686624B1 (ko) * 2015-07-14 2016-12-14 (주)성덕피앤이 풍선디스크 밸브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0153A (ja) * 1996-12-26 1998-07-07 Moriya Field:Kk 発泡材の生成方法及び吹付装置
KR200288297Y1 (ko) * 2001-11-17 2002-09-10 황병권 균열부 보수 및 보강용 이액형 약액 주입기
KR100764513B1 (ko) 2006-05-17 2007-10-08 주식회사 아키벤 항균성과 내구성이 뛰어난 수팽윤성 아크릴계 주입재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한 콘크리트 구조물배면주입 누수보수공법
KR20110099580A (ko) * 2010-03-02 2011-09-08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유속 및 농도 조절이 가능한 양광관과 집광기간의 연결관 장치
KR101082373B1 (ko) 2011-03-21 2011-11-10 (주)다인건설 균열 보수재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균열 보수 방법
KR101686624B1 (ko) * 2015-07-14 2016-12-14 (주)성덕피앤이 풍선디스크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8486B1 (ko) 패커를 이용한 비굴착식 하수관로 보수 장치 및 방법
KR101725392B1 (ko) 균열 또는 배면차수 보수용 멀티 패커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공법
KR101944720B1 (ko) 보수용 아크릴 주입재 주입장치
KR100919489B1 (ko) 이동식 아스팔트콘크리트 혼합장치
KR100706581B1 (ko) 몰탈 타설장치
JP2008240425A (ja) 止水工法
CN209384297U (zh) 一种堵漏工具
KR200205761Y1 (ko) 수중구조물 보수장치
CN112900790A (zh) 一种节能型环氧地坪结构
CN111720655A (zh) 一种污水排水管的检测修补装置
CN113062480A (zh) 一种混凝土裂缝防渗堵漏灌浆装置
KR100402472B1 (ko) 그라우팅 장치
JPH09209578A (ja) 構築体のクラックに対する補修システム
RU41034U1 (ru) Насос для инъекционных работ, инъекционный пакер и система для инъектирования органических и минеральных составов
KR20090041835A (ko) 다회 반전을 위한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지중 매설상하수도관의 비굴착장치
KR102518453B1 (ko) 강관과 그라우트재를 이용하여 무씰링 동시주입하는 터널 강관 그라우팅 공법
KR100852471B1 (ko) 초고압 급결분사식 지반개량장치
CN115306346B (zh) 一种矿井奥灰顶部注浆加固装置
CN217811041U (zh) 一种注浆加固用设备
KR100643612B1 (ko) 우물통 선단 차수 그라우팅장치 및 공법
KR101183927B1 (ko) 건축구조물의 지반 및 구조 보수공사를 위한 보수제 주입시스템
KR102159507B1 (ko)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공법
CN215831399U (zh) 注浆机安全泄压阀安装座
JP2006181862A (ja) 既設管の更生方法
CN212772300U (zh) 集成式智能化双浆精准混合注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