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3453B1 -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좌식 및 입식 겸용 스마트 테이블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좌식 및 입식 겸용 스마트 테이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3453B1
KR101943453B1 KR1020180117359A KR20180117359A KR101943453B1 KR 101943453 B1 KR101943453 B1 KR 101943453B1 KR 1020180117359 A KR1020180117359 A KR 1020180117359A KR 20180117359 A KR20180117359 A KR 20180117359A KR 101943453 B1 KR101943453 B1 KR 101943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groove
height adjusting
protruding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7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익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성엠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성엠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성엠앤씨
Priority to KR1020180117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34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2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vertical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6Writing-tables with parts, e.g. trays, movable on a pivot or by chains or 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8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additional top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 A47B2009/185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additional top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being positioned between the table top and the legs or under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47B21/0314Platforms for supporting office equipment
    • A47B2021/0321Keyboard supports
    • A47B2021/0335Keyboard supports mounted under the work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15Keyboard dra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 테이블장치에 높이조절대를 설치하여 입식 및 좌식 구조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입식 및 좌식 구조로의 사용 시 테이블장치로의 사용자 접근이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높이조절대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높이조절대 내부에 설치되는 PC 및 컨트롤러의 수리가 용이하도록 하고, 또한 탈착 가능한 구조로서 적층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좌식 및 입식 겸용 스마트 테이블장치가 개시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서 상부방향으로 받침부(10)와, 높이조절부(30)와, 테이블부(20)가 연결 설치되는 테이블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0)는, 받침부(10)의 상부로 연결 설치되는 높이조절부(30) 및 테이블부(20)의 하중을 지지하는 바닥지지대(11)와, 상기 바닥지지대(11)의 후방 양측으로 돌출 설치되어 사용자의 다리 진입이 가능한 진입공간부(19)를 형성하는 한쌍의 돌출지지대(16)로 구비 구성되고, 상기 테이블부(20)는, 상기 받침부(10)의 상부측에 이격 구비되며 상부면에 수납홈(23a)이 요입 형성되는 테이블프레임(23)과, 상기 수납홈(23a)에 삽입안착 설치되며 수납홈(23a)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설치된 회전승강대(29)에 의해 일측편으로 경사각이 조절유지되는 디스플레이(21)로 구비 구성되며, 상기 받침부(10)와 테이블부(2)의 사이에 구비되는 높이조절부(30)는, 내부에 높이조절부재(37)가 내장되어 받침부(10)의 바닥지지대(11) 상에 고정되며 상기 테이블프레임(23)의 상부면에 형성된 터치컨트롤러(81)에 의해 높이조절부재(37)가 조절 작동되는 하단대(36)와, 상기 하단대(36)의 상부측으로 높이조절부재(37)에 연결되어 높이 조절되고 내부에 PC(32) 및 컨트롤러(33)가 내장되며 상단부가 테이블부(20)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상단대(31)로 구비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좌식 및 입식 겸용 스마트 테이블장치{Smart table apparatus with a display for combined sitting and stand-up purpos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좌식 및 입식 겸용 스마트 테이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테이블장치에 높이조절대를 설치하여 입식 및 좌식 구조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입식 및 좌식 구조로의 사용 시 테이블장치로의 사용자 접근이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높이조절대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높이조절대 내부에 설치되는 PC 및 컨트롤러의 수리가 용이하도록 하고, 또한 탈착 가능한 구조로서 적층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한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좌식 및 입식 겸용 스마트 테이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블(table)은 원형 또는 사각형을 이루는 판(板)과, 판의 하측에서 이를 지지하는 다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테이블은 주로 식사용, 응접용으로서 가정에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 회의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용도가 다양하다.
한편, 최근 디스플레이장치(display unit)의 발달로 디스플레이장치를 테이블에 결합시켜 제품화한 장치가 소개되고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등록특허 제10-1453054호에서는 하이브리드형 미니 피시 스마트 테이블 시스템에 있어서, 통제를 수행하는 역할을 하는 미니피시; 태블릿 피시가 장착될 수 있는 태블릿 도크; 유에스비단자 및 전원을 공급받는 단자 및 통신단자가 있는 단자함; 심전도 센서 혹은 맥박센서 혹은 산소포화도 센서로서 데이터를 상기 미니피시에 저장하는 인체관련센서; 상기 미니피시의 통제에 따라 소리를 전달하는 스피커; 상기 미니피시의 제어를 받으며 테이블에 내장된 조명; 상기 미니피시의 통제를 받아 상승 및 하강을 행하는 전동실린더; 상기 미니피시의 통제를 받으며 사용자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미니 피시 스마트 테이블 시스템이 제시된 바 있다.
그리고, 공개특허 제10-2017-0078260호에서는 테두리 내측면에 패널지지단차가 형성되는 상판테두리; 및 강화유리의 밑에 터치스크린과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강화유리의 테두리가 상기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패널보다 옆으로 돌출되어 거치부를 이루고, 상기 강화유리의 거치부 밑면이 상기 상판테두리의 상면에 걸쳐지면서 접착부재를 매개로 하여 상기 상판테두리의 상면에 접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은 상기 상판테두리의 안쪽에 수납되면서 상기 패널지지단차에 걸쳐지도록 설치되는 터치디스플레이장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테이블 상판이 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한 기술들에 의한 스마트 테이블 제품은 좌식 또는 입식으로의 사용만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사용자의 사용성이 제한적일 수 밖에 없으며, 테이블과 다리 등의 구성요소들이 일체고정형으로 설치되어 있어 부피가 크고, 또한 스마트 테이블 제품 내에 PC, 컨트롤러 등이 내장되어 있어 그 무게가 상당하기 때문에 제품의 운반에 있어 불편할 뿐 아니라, 그에 따른 파손 우려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마트 테이블 제품의 비교적 큰 부피로 인해 미사용 또는 제품의 출고 전 특정 장소에 보관 시 정해진 공간 내에 많은 제품을 보관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컴팩트한 구조 및 형태를 갖는 스마트 테이블 제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10-1453054호 공개특허 제10-2017-007826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스마트 테이블장치에 높이조절대를 설치하여 입식 및 좌식 구조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입식 및 좌식 구조로의 사용 시 테이블장치로의 사용자 접근이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높이조절대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높이조절대 내부에 설치되는 PC 및 컨트롤러의 수리가 용이하도록 하고, 또한 탈착 가능한 구조로서 적층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면에서 상부방향으로 받침부(10)와, 높이조절부(30)와, 테이블부(20)가 연결 설치되는 테이블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0)는, 받침부(10)의 상부로 연결 설치되는 높이조절부(30) 및 테이블부(20)의 하중을 지지하는 바닥지지대(11)와, 상기 바닥지지대(11)의 후방 양측으로 돌출 설치되어 사용자의 다리 진입이 가능한 진입공간부(19)를 형성하는 한쌍의 돌출지지대(16)로 구성되고, 상기 테이블부(20)는, 상기 받침부(10)의 상부측에 이격 구비되며 상부면에 수납홈(23a)이 요입 형성되는 테이블프레임(23)과, 상기 수납홈(23a)에 삽입안착 설치되며 수납홈(23a)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설치된 회전승강대(29)에 의해 일측편으로 경사각이 조절유지되는 디스플레이(21)로 구성되며, 상기 받침부(10)와 테이블부(2)의 사이에 구비되는 높이조절부(30)는, 내부에 높이조절부재(37)가 내장되어 받침부(10)의 바닥지지대(11) 상에 고정되며 상기 테이블프레임(23)의 상부면에 형성된 터치컨트롤러(81)에 의해 높이조절부재(37)가 조절 작동되는 하단대(36)와, 상기 하단대(36)의 상부측으로 높이조절부재(37)에 연결되어 높이가 조절되고 내부에 PC(32) 및 컨트롤러(33)가 내장되며 상단부가 테이블부(20)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상단대(3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좌식 및 입식 겸용 스마트 테이블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30)와 받침부(10) 및 높이조절부(30)와 테이블부(20) 간에 각각 탈착 가능한 구조를 구비하여 상기 높이조절부(30)가 받침부(10) 및 테이블부(20) 상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높이조절부(30)의 상,하단부에 각각 돌출삽입편(92)을 형성하고, 사용자의 사용위치를 기준하여 상기 받침부(10)의 후방측 상부면 및 테이블부(20)의 후방측 하부면에 상기 돌출삽입편(92)에 대응되는 체결홈(94)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체결홈(94)에 돌출삽입편(92)이 상,하측 방향에서 수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높이조절부(30)의 상,하단부에 형성된 돌출삽입편(92)의 후방측에 나사홈부(93)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나사홈부(93)가 형성된 돌출삽입편(92)을 받침부(10) 및 테이블부(20)의 체결홈(94)에 수직 삽입시킨 후, 받침부(10) 및 테이블부(20)의 후방면에 형성된 통공(96)으로 체결볼트(95)를 결합하여 상호간에 체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테이블프레임(23)의 상부면에는 사용자의 소지품 또는 필기구의 보관이 가능한 물품보관홈(82) 및 마이크대(22)가 각각 구비되고, 사용자 방향을 향한 상기 테이블프레임(23)의 측부에는 내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를 갖는 키보드수납대(27)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받침부(10), 높이조절부(20), 테이블부(20)는 맨하부측에 받침부(10)가 위치되고, 상기 받침부(10)의 상부에 테이블부(20)가 위치되며, 상기 테이블부(20)의 상부에 높이조절부(20)가 위치되도록 적층가능하도록 하되, 상기 받침부(10)의 각 모서리측 상부면에 끼움홈부(73)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10)의 상부에 적층되는 테이블부(20)의 하부면에 상기 끼움홈부(73)에 삽입되는 삽입돌부(71)를 형성하여, 상기 받침부(10)의 상부에 테이블부(20)의 적층 시 상기 삽입돌부(71)가 끼움홈부(73)에 삽입지지되게 함으로써 상호간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끼움홈부(73) 내에서 삽입돌부(71)를 고정시킬 수 있는 구속부를 구비하되, 상기 구속부는, 상기 삽입돌부(71)의 일측편에는 구속홈(72)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돌부(71)가 끼움홈부(73) 내에 결합된 상태에서 구속홈(72)에 마주하는 끼움홈부(73)의 내주면에는 구속홈(72)의 내측으로 탄성지지되어 이동되는 래치(75)를 구비하며, 상기 구속홈(72)에 마주하는 끼움홈부(73)의 내주면에서부터 받침부(10)의 상부면과 평행한 방향의 후방측으로 작동홈(74)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홈(74)의 입구측에 래치(75)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위치시키며, 상기 래치(75)의 후방측에 탄성스프링(76)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스프링(76)의 후방측에 탄성스프링(76)을 지지하는 지지판(77)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판(77)의 후방측에 지지판(77), 탄성스프링(76), 래치(75)를 작동홈(74) 내에서 이동시키는 이동조절부(78)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조절부(78)는 전선(79)에 연결되어 받침부(10)의 일측에 구비된 버튼(70)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래치(75)의 노출측 단부에는 삽입돌부(71)의 하단테두리부가 닿이면서 래치(75)를 후퇴시키도록 하향경사면(75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돌부(71) 및 끼움홈부(73)는 자력(磁力)에 의해 밀착지지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10) 및 테이블부(20)는 사용자의 접근성 강화를 위해 사용자측으로 7∼12°하향 경사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좌식 및 입식 겸용 스마트 테이블장치는 스마트 테이블장치의 상부측 테이블부와 하부측 받침부 사이에 높이조절대를 설치하여 사용 목적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입식 및 좌식 구조로 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측 받침부의 양측으로 돌출지지대를 구비하여 양측 돌출지지대 사이에 사용자의 다리가 진입 용이하도록 진입공간부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측 테이블부와 하부측 받침부 사이에 설치된 높이조절대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높이조절대 내부에 설치되는 PC 및 컨트롤러의 수리가 용이할 뿐 아니라, 탈착 가능한 구조로서 적층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좌식 및 입식 겸용 스마트 테이블장치의 제1실시예에 의한 입식 및 좌식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정면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장치의 입식 사용시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장치의 좌식 사용시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부의 탈거 동작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부와 높이조절부 및 테이블부와 높이조절부와의 결합 상태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의해 탈거된 높이조절부를 포함한 받침부, 테이블부와의 적층 상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로서 삽입돌부 및 끼움홈부에 의한 받침부와 높이조절부 및 테이블부와 높이조절부와의 결합 상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로서 삽입돌부 및 끼움홈부를 고정하는 구속부에 의한 받침부와 테이블부와의 결합 상태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작동 상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보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좌식 및 입식 겸용 스마트 테이블장치는 받침부(10)와, 높이조절부(30)와, 테이블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제1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하면, 상기 받침부(10)는 도 1에서와 같이 받침부(10)의 상부로 연결 설치되는 높이조절부(30) 및 테이블부(20)의 하중을 지지하는 바닥지지대(11)와, 상기 바닥지지대(11)의 후방 양측으로 돌출 설치되는 한쌍의 돌출지지대(16)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한쌍의 돌출지지대(16)는 도 5에서와 같이 바닥지지대(11)의 후방 양측으로 돌출 구비되어 그 사이에 진입공간부(19)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그 공진입공간부(19) 내에 사용자의 입식 또는 좌식 사용 시 다리의 진입이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
또한,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받침부(10)의 하부측에 이동용 바퀴를 구비하게 되면 테이블장치에 이동 용이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받침부(10)의 상부측에는 테이블부(20)가 이격 구비된다.
상기 테이블부(20)는 도 3에서와 같이 상부면에 수납홈(23a)이 요입 형성되는 테이블프레임(23)과, 상기 수납홈(23a)에 삽입안착 설치되는 디스플레이(21)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21)는 사용자의 사용성을 고려하여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는데, 이를 위해 도 3의 (b)에서와 같이 수납홈(23a)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축핀 설치된 회전승강대(29)의 회전 작동에 의해 디스플레이(21)가 회전되면서 각도 조절되고, 이에 각도 조절된 경사각이 조절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테이블부(20)를 구성하는 테이블프레임(23)의 상부면에는 도 5의 (a), (b)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소지품 또는 필기구의 보관이 가능한 물품보관홈(82)이 형성 구비되고, 또한, 회의 진행을 위한 마이크대(22)가 구비되며, 또한, 도 3의 (a)에서와 같이 사용자 방향을 향한 상기 테이블프레임(23)의 측부에는 내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를 갖는 키보드수납대(27)가 구비되도록 한다.
이들 물품보관홈(82), 마이크대(22) 및 키보드수납대(27)가 구비되는 스마트 테이블장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해 구비되는 것의 일 예를 설명한 것이며, 이 외에도 사용자 편의성을 위한 다양한 구조변경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받침부(10)와 테이블부(20)의 사이에 구비되는 높이조절부(30)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내부에 높이조절부재(37)가 내장되어 받침부(10)의 바닥지지대(11) 상에 고정되며, 도 5의 (a)에서와 같이 상기 테이블프레임(23)의 상부면에 형성된 터치컨트롤러(81)에 의해 높이조절부재(37)가 조절 작동되는 하단대(36)와, 상기 하단대(36)의 상부측으로 높이조절부재(37)에 연결되어 높이가 조절되고 내부에 PC(32) 및 컨트롤러(33)가 내장되며 상단부가 테이블부(20)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상단대(31)로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단대(36) 내에 구비되는 높이조절부재(37)는 테이블프레임(23)의 상부면에 형성된 터치컨트롤러(81)에 의해 전동 작동되는 구조로 구성되어야 하며,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동자키의 구성으로 설명되었으나, 이 외에도 전동구조로 승강 가능한 어떠한 구조이든 모두 가능하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재(37)에 의해 승강되는 상단대(31)의 내부에는 테이블부(2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21)를 작동하기 위한 PC(32)가 내장 구비되며, 상기 PC(32)의 상부에는 테이블부(20) 및 높이조절부(30)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33)가 내장 구비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좌식 및 입식 겸용 스마트 테이블장치는 스마트 테이블장치에 높이조절대를 설치함으로써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입식 사용이 가능하게 될 뿐 아니라, 도 5에서와 같이 좌식 사용이 겸용으로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한쌍의 돌출지지대(16)에 의해 형성되는 진입공간부(19)의 형성으로 인해 사용자 접근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좌식 및 입식 겸용 스마트 테이블장치는 상술된 바와 같은 받침부(10)와, 높이조절부(30)와, 테이블부(20)로 구성되는데, 이들의 결합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부(30)와 받침부(10) 및 높이조절부(30)와 테이블부(20) 간에 각각 탈착 가능한 구조를 구비하여 상기 높이조절부(30)가 받침부(10) 및 테이블부(20) 상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받침부(10) 및 테이블부(20)를 사용자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기울임으로써 사용자와의 접근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데, 이때 7∼12°의 각도로 하향 경사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하향 각도가 7°미만이면 그 하향 경사각이 작아 사용자가 접근 용이함을 느끼기 힘들게 되며, 그 하향각도가 12°초과하면 사용자가 그 하향 경사면에 접근하기 부담스럽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사용사측으로의 받침부(10) 및 테이블부(20) 하향 경사각도를 7∼12°로 한정하였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30)와 받침부(10) 및 높이조절부(30)와 테이블부(20) 간에 구비되는 각각의 탈착 가능한 상세 구조는,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부(30)의 상,하단부에 각각 돌출삽입편(92)을 형성하고, 사용자의 사용위치를 기준하여 상기 받침부(10)의 후방측 상부면 및 테이블부(20)의 후방측 하부면에 상기 돌출삽입편(92)에 대응되는 체결홈(94)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체결홈(94)에 돌출삽입편(92)이 상,하측 방향에서 수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부(30)의 상,하단부에 형성된 돌출삽입편(92)의 후방측에 나사홈부(93)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나사홈부(93)가 형성된 돌출삽입편(92)을 받침부(10) 및 테이블부(20)의 체결홈(94)에 수직 삽입시킨 후, 받침부(10) 및 테이블부(20)의 후방면에 형성된 통공(96)으로 체결볼트(95)를 결합하여 상호간에 체결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미도시되었으나 이러한 구성을 이용하여 원터치 결합방식 등으로 체결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받침부(10)와, 테이블부(20)의 사이에서 높이조절부(30)를 탈착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높이조절부(30)의 상단대(31) 내에 내장 구비된 PC(32) 및 컨트롤러(33)의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였다.
한편,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받침부(10), 높이조절부(20), 테이블부(20)는 적층 구조의 구현을 위해 도 8에서와 같이 맨하부측에 받침부(10)가 위치되고, 상기 받침부(10)의 상부에 테이블부(20)가 적층되며, 상기 테이블부(20)의 상부에 높이조절부(20)가 위치되어지도록 적층할 수 있다.
위 도 8에서와 같은 적층 구조는 상호간의 마찰력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적층구조가 불안정할 수 밖에 없으므로, 그 적층구조를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2실시예는 기 설명된 제1실시예와는 다른 적층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받침부(10)의 각 모서리측 상부면에 끼움홈부(73)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10)의 상부에 적층되는 테이블부(20)의 하부면에 상기 끼움홈부(73)에 삽입되는 삽입돌부(71)를 형성하여, 상기 받침부(10)의 상부에 테이블부(20)의 적층 시 상기 삽입돌부(71)가 끼움홈부(73)에 삽입지지되게 함으로써 상호간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위 도 9에서와 같은 적층끼움 구조를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제3실시예로서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삽입돌부(71)가 끼움홈부(73) 내에 삽입결합되어 고정상태를 구속시킬 수 있는 구속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속부는 도 10에서와 같이 받침부(10)의 일측에 구비된 버튼(70)에 전선(79)이 연결되어 작동되며, 그에 대한 상세 동작에 대한 설명은 하기와 같다.
먼저, 도 11의 (a)∼(c)에서와 같이 삽입돌부(71)의 일측편에는 구속홈(72)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돌부(71)가 끼움홈부(73) 내에 결합된 상태에서 구속홈(72)에 마주하는 끼움홈부(73)의 내주면에는 구속홈(72)의 내측으로 탄성 이동되는 래치(75)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구속홈(72)에 마주하는 끼움홈부(73)의 내주면에서부터 받침부(10)의 상부면과 평행한 방향의 후방측으로 작동홈(74)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홈(74)의 입구측에 래치(75)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위치시키며, 상기 래치(75)의 후방측에 탄성스프링(76)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스프링(76)의 후방측에 탄성스프링(76)을 지지하는 지지판(77)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판(77)의 후방측에 지지판(77), 탄성스프링(76), 래치(75)를 작동홈(74) 내에서 이동시키는 이동조절부(78)가 구비된다.
상기 이동조절부(78)는 일단부에 리드스크류가 형성된 피스톤을 모터축에 장착하여 구현할 수도 있으나, 다양한 변형된 구조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이동조절부(78)는 상술된 바처럼 전선(79)에 연결되어 받침부(10)의 일측에 구비된 버튼(70)에 의해 작동된다. 또한, 상기 래치(75)의 노출측 단부에는 하향경사면(75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도 11의 (a)에서와 같이 상기 끼움홈부(73) 내로 삽입돌부(71)가 진입되면, 상기 삽입돌부(71)의 하단테두리부가 작동홈(74)의 입구측에 돌출 위치된 래치(75)의 하향경사면(75a)에 접촉하게 되고, 이 상태로 삽입돌부(71)는 하향경사면(75a)을 갖는 래치(75)를 후퇴시키면서 끼움홈부(73) 내로 계속 진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래치(75)는 후방측 탄성스프링(76)에 의해 후퇴되었다가, 도 11의 (b)에서와 같이 래치(75)의 전방측에 구속홈(72)이 위치되면 탄성스프링(76)에 의해 탄성복귀되면서 구속홈(72)에 진입하게 되고, 이에 따라 구속홈(72)의 바닥면이 래치(75)의 하부면에 걸려 이탈이 방지된다. 즉, 상기 래치(75)가 삽입돌부(71)를 구속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래치(75)가 삽입돌부(71)를 구속하게 되면, 상기 받침부(10) 상에서 테이블부(20)가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받침부(10) 상에 테이블부(20)가 적층된 상태에서 이동시 분리 또는 흔들림 등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적층된 받침부(10)와 테이블부(20) 간의 손상이 방지된다.
상기 도 11의 (b)에서와 같이 상기 래치(75)가 삽입돌부(71)를 구속한 상태에서 해제시에는, 받침부(10)의 일측에 구비된 버튼(70)을 누르게 되면 버튼(70)에 연결된 전선(79)을 통해 이동조절부(78)에 전기적 신호를 보내게 되고, 이에 도 11의 (c)에서와 같이 이동조절부(78)의 작동에 의해 지지판(77)이 후퇴이동하면서 그 전방측에 연결된 탄성스프링(76) 및 래치(75)를 후퇴시키게 되고, 상기 래치(75)가 후퇴되어 구속홈(72) 내에서 이탈되면서 래치(75)에 의해 끼움홈부(73) 내에 고정되어 있던 삽입돌부(71)의 구속을 해제하게 된다.
상기 삽입돌부(71) 및 끼움홈부(73)는 밀착 지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호간에 자력(磁力)에 의해 밀착지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좌식 및 입식 겸용 스마트 테이블장치에 의하면 스마트 테이블장치의 상부측 테이블부와 하부측 받침부 사이에 높이조절대를 설치하여 사용 목적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입식 및 좌식 구조로 사용이 용이하게 되고, 또한, 하부측 받침부의 양측으로 돌출지지대를 구비하여 양측 돌출지지대 사이에 사용자의 다리가 진입 용이하도록 진입공간부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하게 되며, 또한, 상부측 테이블부와 하부측 받침부 사이에 설치된 높이조절대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높이조절대 내부에 설치되는 PC 및 컨트롤러의 수리가 용이할 뿐 아니라, 탈착 가능한 구조로서 적층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받침부 11: 바닥지지대
16: 돌출지지대 19: 진입공간부
20: 테이블부 21: 디스플레이
23: 테이블프레임 23a: 수납홈
29: 회전승강대 30: 높이조절부
31: 상단대 36: 하단대
37: 높이조절부재

Claims (7)

  1. 지면에서 상부방향으로 받침부(10)와, 높이조절부(30)와, 테이블부(20)가 연결 설치되는 테이블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0)는, 받침부(10)의 상부로 연결 설치되는 높이조절부(30) 및 테이블부(20)의 하중을 지지하는 바닥지지대(11)와, 상기 바닥지지대(11)의 후방 양측으로 돌출 설치되어 사용자의 다리 진입이 가능한 진입공간부(19)를 형성하는 한쌍의 돌출지지대(16)로 구성되고,
    상기 테이블부(20)는, 상기 받침부(10)의 상부측에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부면에 수납홈(23a)이 요입 형성되는 테이블프레임(23)과, 상기 수납홈(23a)에 삽입안착 설치되며 수납홈(23a)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설치된 회전승강대(29)에 의해 일측편으로 경사각이 조절유지되는 디스플레이(21)로 구성되며,
    상기 받침부(10)와 테이블부(2)의 사이에 구비되는 높이조절부(30)는, 내부에 높이조절부재(37)가 내장되어 받침부(10)의 바닥지지대(11) 상에 고정되며 상기 테이블프레임(23)의 상부면에 형성된 터치컨트롤러(81)에 의해 높이조절부재(37)가 조절 작동되는 하단대(36)와, 상기 하단대(36)의 상부측으로 높이조절부재(37)에 연결되어 높이가 조절되고 내부에 PC(32) 및 컨트롤러(33)가 내장되며 상단부가 테이블부(20)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상단대(31)로 구성되며,
    상기 높이조절부(30)와 받침부(10) 및 높이조절부(30)와 테이블부(20) 간에 각각 탈착 가능한 구조를 구비하여 상기 높이조절부(30)가 받침부(10) 및 테이블부(20) 상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높이조절부(30)의 상,하단부에 각각 돌출삽입편(92)을 형성하고, 사용자의 사용위치를 기준하여 상기 받침부(10)의 후방측 상부면 및 테이블부(20)의 후방측 하부면에 상기 돌출삽입편(92)에 대응되는 체결홈(94)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체결홈(94)에 돌출삽입편(92)이 상,하측 방향에서 수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높이조절부(30)의 상,하단부에 형성된 돌출삽입편(92)의 후방측에 나사홈부(93)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나사홈부(93)가 형성된 돌출삽입편(92)을 받침부(10) 및 테이블부(20)의 체결홈(94)에 수직 삽입시킨 후, 받침부(10) 및 테이블부(20)의 후방면에 형성된 통공(96)으로 체결볼트(95)를 결합하여 상호간에 체결되도록 구성하며,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상기 받침부(10), 높이조절부(30), 테이블부(20)는 맨하부측에 받침부(10)가 위치되고, 상기 받침부(10)의 상부에 테이블부(20)가 위치되며, 상기 테이블부(20)의 상부에 높이조절부(30)가 위치되도록 적층가능하도록 하되,
    상기 받침부(10)의 각 모서리측 상부면에 끼움홈부(73)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10)의 상부에 적층되는 테이블부(20)의 하부면에 상기 끼움홈부(73)에 삽입되는 삽입돌부(71)를 형성하여, 상기 받침부(10)의 상부에 테이블부(20)의 적층 시 상기 삽입돌부(71)가 끼움홈부(73)에 삽입지지되게 함으로써 상호간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끼움홈부(73) 내에서 삽입돌부(71)를 고정시킬 수 있는 구속부를 구비하되,
    상기 구속부는,
    상기 삽입돌부(71)의 일측편에는 구속홈(72)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돌부(71)가 끼움홈부(73) 내에 결합된 상태에서 구속홈(72)에 마주하는 끼움홈부(73)의 내주면에는 구속홈(72)의 내측으로 탄성지지되어 이동되는 래치(75)를 구비하며,
    상기 구속홈(72)에 마주하는 끼움홈부(73)의 내주면에서부터 받침부(10)의 상부면과 평행한 방향의 후방측으로 작동홈(74)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홈(74)의 입구측에 래치(75)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위치시키며, 상기 래치(75)의 후방측에 탄성스프링(76)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스프링(76)의 후방측에 탄성스프링(76)을 지지하는 지지판(77)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판(77)의 후방측에 지지판(77), 탄성스프링(76), 래치(75)를 작동홈(74) 내에서 이동시키는 이동조절부(78)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조절부(78)는 전선(79)에 연결되어 받침부(10)의 일측에 구비된 버튼(70)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래치(75)의 노출측 단부에는 삽입돌부(71)의 하단테두리부가 접촉하면서 래치(75)를 후퇴시키도록 하향경사면(75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좌식 및 입식 겸용 스마트 테이블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프레임(23)의 상부면에는 사용자의 소지품 또는 필기구의 보관이 가능한 물품보관홈(82) 및 마이크대(22)가 각각 구비되고, 사용자 방향을 향한 상기 테이블프레임(23)의 측부에는 내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를 갖는 키보드수납대(27)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좌식 및 입식 겸용 스마트 테이블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부(71) 및 끼움홈부(73)는 자력(磁力)에 의해 밀착지지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좌식 및 입식 겸용 스마트 테이블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0) 및 테이블부(20)는 사용자의 접근성 강화를 위해 사용자측으로 7∼12°하향 경사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좌식 및 입식 겸용 스마트 테이블장치.
KR1020180117359A 2018-10-02 2018-10-02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좌식 및 입식 겸용 스마트 테이블장치 KR101943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359A KR101943453B1 (ko) 2018-10-02 2018-10-02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좌식 및 입식 겸용 스마트 테이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359A KR101943453B1 (ko) 2018-10-02 2018-10-02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좌식 및 입식 겸용 스마트 테이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3453B1 true KR101943453B1 (ko) 2019-04-18

Family

ID=66284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7359A KR101943453B1 (ko) 2018-10-02 2018-10-02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좌식 및 입식 겸용 스마트 테이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345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39054A1 (de) * 2000-08-10 2002-06-13 Peter Haverbeck Zusammensteckbarer, tragbarer, höhenverstellbarer und stapelbarer Tisch
KR101453054B1 (ko) 2014-06-17 2014-10-23 김재형 하이브리드형 미니 피시 스마트 테이블 시스템
KR20150064301A (ko) * 2013-12-02 2015-06-11 영지산업(주) 전자 교탁
CN105559341A (zh) * 2015-12-23 2016-05-11 华东师范大学 一种智能化数字讲台
KR20170078260A (ko) 2015-12-29 2017-07-07 금호전기주식회사 방수기능을 갖는 스마트 테이블 상판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테이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39054A1 (de) * 2000-08-10 2002-06-13 Peter Haverbeck Zusammensteckbarer, tragbarer, höhenverstellbarer und stapelbarer Tisch
KR20150064301A (ko) * 2013-12-02 2015-06-11 영지산업(주) 전자 교탁
KR101453054B1 (ko) 2014-06-17 2014-10-23 김재형 하이브리드형 미니 피시 스마트 테이블 시스템
CN105559341A (zh) * 2015-12-23 2016-05-11 华东师范大学 一种智能化数字讲台
KR20170078260A (ko) 2015-12-29 2017-07-07 금호전기주식회사 방수기능을 갖는 스마트 테이블 상판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9694B2 (en) Adjustable lectern system
US11523682B2 (en) Collapsible table and desk assembly for converting a standard desk into a stand-up desk
US20140360411A1 (en) Desk stand
US20170202357A1 (en) Seating/reclining furniture arrangement
KR101906040B1 (ko) 노트북용 접이식 거치대
US9538117B2 (en) Support fr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943453B1 (ko)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좌식 및 입식 겸용 스마트 테이블장치
JP6427868B2 (ja) 携帯情報機器のサポート装置及びテーブル
JP2009273584A (ja) ポータブルコンピュータ収納型テーブル
KR100532681B1 (ko) 컴퓨터 주변기기 및 본체 수납용 수납기 구조
US20080117173A1 (en) Keyboard and handheld input device system
KR101351186B1 (ko) 스마트 스테이션
JP5336120B2 (ja) ワゴン、およびワゴン付き机
JP2001314257A (ja) 転倒防止機構付ワゴンおよびその付属機器
US20130229094A1 (en) Modular desk
CN204931006U (zh) 一种带有旋转桌的床
KR20170090948A (ko) 받침대가 구비된 빔프로젝터용 가방
US20140137952A1 (en) Support rack
JP6369186B2 (ja) 搬送用什器
CN219107598U (zh) 一种计算机音响摆放架
KR101727611B1 (ko) 다기능용 받침대
JP2003070556A (ja) ラック
CN210203903U (zh) 桌面可倾斜的学习桌
US20220031064A1 (en) Ergonomic desk
KR20180002519U (ko) 책상몸체 프레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