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3346B1 -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의 기능을 가지는 백작약 오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의 기능을 가지는 백작약 오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3346B1
KR101943346B1 KR1020180141397A KR20180141397A KR101943346B1 KR 101943346 B1 KR101943346 B1 KR 101943346B1 KR 1020180141397 A KR1020180141397 A KR 1020180141397A KR 20180141397 A KR20180141397 A KR 20180141397A KR 101943346 B1 KR101943346 B1 KR 101943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eeks
product
peony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1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수현
이정옥
오정훈
백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리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리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리바이오
Priority to KR1020180141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33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1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extra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작약 오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름 개선 효과 및 피부 미백 효과를 객관적으로 제시할 수 있으며,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작약의 주성분인 피오니플로닌을 주요성분으로 하고 이를 오일성분을 기저물질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효율 좋게 함유토록 하는 인퓨즈오일(infused oil)을 제조하는 방법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제조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피오니플로닌은 열수추출과 물과 친화력이 높은 극성 용매인 알코올류에 잘 용해되나 비극성 용매인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벤젠 등과 같은 지방성분을 잘 녹이는 용매에는 용해되지 않는다. 따라서 작약의 기능성 성분을 이용하여 페이셜오일의 화장료를 제조하기위해서는 해결하여야 할 문제가 많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작약과 캐슈넛오일 및 wheat germ 오일이 하나된 기능성오일을 제조하는 온침법(infused oil)을 활용한 (백)작약 오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의 기능을 가지는 백작약 오일 제조방법{Paeoniari Oil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의 기능을 가지는 백작약 오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름 개선 효과 및 피부 미백 효과를 객관적으로 제시할 수 있으며,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작약의 주성분인 피오니플로닌을 주요성분으로 하고 이를 오일성분을 기저물질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효율 좋게 함유토록 하는 인퓨즈오일(infused oil)을 제조하는 방법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제조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피오니플로닌은 열수추출과 물과 친화력이 높은 극성 용매인 알코올류에 잘 용해되나 비극성 용매인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벤젠 등과 같은 지방성분을 잘 녹이는 용매에는 용해되지 않는다. 따라서 작약의 기능성 성분을 이용하여 페이셜오일의 화장료를 제조하기위해서는 해결하여야 할 문제가 많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작약과 캐슈넛오일 및 wheat germ 오일이 하나된 기능성오일을 제조하는 온침법(infused oil)을 활용한 (백)작약 오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에서 약 16%를 차지하고 있는 피부는 외부 환경과 직접적으로 접해 있어 자외선이나 온도, 환경오염물질 등의 외부 유해인자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피부의 자외선 노출 증가, 스트레스, 각종 오염물질 등에 의해 피부 세포가 손상을 입게 되고, 세포 증식이 원활하지 않게 되어 피부 노화가 발생하게 된다.
피부 노화는 내인성 노화(intrinsic aging)와 외인성 노화(extrinsic aging)로 나눌 수 있다. 내인성 노화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피부의 생리적 기능이 저하되어 자연적으로 나타나는 노화현상을 말한다. 임상학적으로 피부의 탄력이 감소하고 피부 결이 거칠어지며, 깊은 주름이 생기고 색소가 침착되는 특징이 있고, 유전적 요인에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인위적인 조절이 어렵다. 외인성 노화는 자외선,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및 스트레스 등의 외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노화현상으로, 환경적 요인에 영향을 받으므로 인위적인 조절이 가능하다. 내인성 노화와 외인성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색소침착, 피부 주름, 탄력 감소 등의 임상 증상이 피부에 나타나며, 이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주름 및 미백 기능성 화장품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백작약은 피오니아 락티플로라(Paeoniaceae)의 근경을 건조한 것으로서 한방적 용도는 여성의 월경불순, 통증완화 등에 써왔으며 주성분으로 알려진 피오니플로린(paeoniflorin)은 진통, 진정, 진경, 항염증, 항스트레스, 혈압강하, 혈관 확장, 평활근 이완 작용이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또한, 기타 함유성분으로는 배당체 피오니플로린(paeoniflorigenone), 알비플로린(albiflorin), 옥시 피오니플로린(oxipaeoniflorin), 탄닌(tannin)등이 알려져 있다[The encyclopedia of Wakan-Yaku(Traditional Sino-Japanese Medicine)[1],p102-105,1993, Hoikusa, Japan].
이러한 백작약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6279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백작약(Paeonia lactiflora)의 근경을 가루로 한 후 물, 저급알콜, 물과 저급알콜의 혼합용매로 추출하고 농축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1408호에서는 백작약을 열탕증류기에서 8~48시간동안, 80~100℃로 가열하여 열수 추출물을 얻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자는 우수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 및 피부 미백 효과를 객관적으로 규명할 수 있는 추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편, 작약으로부터 얻어지는 생리활성 성분은 기존에 대부분 높은 온도의 열수로 장시간 추출하거나 알코올알콜 포함한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사용한다.
대한민국 특허 제10-00993603호에서는 작약꽃을 건조한 후 에탄올을 용매로 하고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기능성 물질을 추출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미백기능성을 확인하였다. 여기서 용매추출을 위한 에탄올은 70%였으며, 환류냉각기에서 추출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77927호에서는 작약추출물을 얻기 위하여 용매로 물, 메탄올, 에탄올, 포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C1-C4알콜 또는 이의 혼합물을 이용하며, 극성용매가 좋은 것임을 밝혔다. 위의 용매를 이용하여 20-100C에서 추출하거나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다양한 방법을 추출한 후 HPLC, TLC 등의 방법으로 정제한 후 피부미백, 항산화 또는 항균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3-0049040호에서는 작약을 추출하는 용매로 물,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틸아세테이트, 에틸에테르, 크로로포름,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어느 하나 이상인 추출방법을 특징으로 한 화장료조성물 특허출원 하였다.
이상에서 작약추출을 위하여 물을 포함한 극성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기능성 물질을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능성 물질인 피오니플로린(paeoniflorin)은 순수하게 분리하기 위해서는 위의 추출법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순수하게 정제하기 위하여 많은 시간과 잔존하는 수분과 용매를 제거하기 위한 노력과 비용이 수반된다. 또한 용매추출 시 함께 생성되는 부산물은 품질 저하를 가져오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3841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6279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140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주름 개선 효과 및 피부 미백 효과를 객관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백작약 오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작약과 캐슈넛오일 및 wheat germ 오일이 하나된 기능성오일을 제조하는 온침법(infused oil) 을 완성한 것이다. 즉, 수집된 작약을 완전히 건조한 후 작은 입자가 되도록 분쇄한 후 캐슈넛오일 및 wheat germ 오일을 섞어서 빛이 들어오지 않는 암소에서 진탕추출법으로 추출하여 유효성분인 피오니플로린(paeoniflorin)이 효율 좋게 추출될 수 있음을 알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백작약 오일 제조방법은 백작약 분말을 마련하는 S1단계와; 상기 S1단계의 백작약 분말을 캐리어 오일에 혼합하는 S2단계와; 상기 S2단계의 혼합물을 교반하여 백작약 분말에 함유된 유효 성분을 우려내는 S3단계와; 상기 S3단계의 혼합물을 여과하는 S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백작약 오일 제조방법에 있어서, S2단계의 혼합물은 상기 백작약 분말 100중량부 기준으로 베이스 오일 800~1000중량부 및 항산화 오일 90~120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S3단계는 빛을 차단한 상태에서 32~38℃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백작약 오일 제조방법은 주름 개선 효과 및 피부 미백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백작약 오일 제조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에 따른 백작약 오일의 주름 개선에 대한 임상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백작약 오일의 피부 미백 효과에 대한 임상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백작약 오일 제조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백작약 오일 제조방법은 크게 백작약 분말을 마련하는 S1단계와, 상기 S1단계의 백작약 분말을 캐리어 오일에 혼합하는 S2단계와, 상기 S2단계의 혼합물을 교반하여 백작약 분말에 함유된 유효 성분을 우려내는 S3단계와, 상기 S3단계의 혼합물을 여과하는 S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S1단계는 건조한 백작약 뿌리를 절편으로 만든 후 분쇄기로 분쇄해서 미세한 분말을 마련하는 단계이다.
아래의 그래프 1은 백작약 추출물의 본 출원인의 미백 연구를 시험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아래의 그래프 2는 DPPH라디칼 소거시험과 SOD 활성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그래프 1]
Figure 112018114065437-pat00001
[그래프 2]
Figure 112018114065437-pat00002
상기 그래프 1, 2를 살펴보면, 미백 기능성 효과가 현저하고, 백작약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기 S2단계는 백작약 분말을 캐리어 오일을 혼합하여 혼합하는 단계이다.
상기 캐리어 오일은 베이스 오일과, 항산화 오일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베이스 오일은 추출 용매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캐슈넛 오일(Cashew Nut oil)이고, 상기 항산화 오일은 상기 S3단계에서 장기간 숙성이 이루어지는 동안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밀배아유(Wheat germ oil)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S2단계는 백작약 분말 100중량부 기준으로 베이스 오일 800~1000중량부 및 항산화 오일 90~120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S4단계는 백작약 뿌리에 함유된 유효 성분을 추출하는 것으로서, 빛을 차단한 상태에서 32~38℃의 온도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S4단계는 S3단계의 혼합물을 교반하여 백작약 분말에 함유된 유효 성분을 캐리어 오일에 우려내는 단계로서, 빛을 차단하고 32~38℃의 온도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3~5주 동안 교반하면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백작약 오일을 추출하는 경우 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할 임상 시험을 통해 객관적으로 확인되었다.
백작약 뿌리를 절편으로 만든 후 분쇄기로 분쇄한 백작약 분말을 마련한다.
그 다음 캐슈넛 오일(Cashew Nut oil) 90㎖와, 밀배아유(Wheat germ oil) 100㎖를 혼합한 캐리어 오일을 마련한다.
캐리어 오일 100㎖에 백작약 분말 10g을 혼합한 혼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혼합물을 4주 동안 빛을 차단하고 35℃의 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5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백작약 분말에 함유된 유효 성분을 캐리어 오일에 우려낸다.
추출 공정이 완료되면 감압필터하여 백작약 오일(Paeoniari Oil) 제조를 완료한다.
상기 백작약 오일 8중량%를 함유한 에션셜 오일을 제조하여 임상시험을 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임상시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 임상시험 1 ] 주름 개선에 대한 임상시험
1. 시험 배경
(1) 임상시험 목적
본 시험에서는 실시예 1의 기능성 화장품의 인체적용시험을 통해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2) 시험기간
2018년 07월 25일 ~ 2018년 09월 21일
(3) 시험 기관
㈜KC피부임상연구센터
(4) 사용 부위 및 방법
안면 좌, 우측에 사용하고, 1일 2회 시험제품 및 대조제품을 정해진 안면 부위에 1회 2~3방울을 손에 모은 후 해당 시험부위에 사용한다. 여기서 대조제품은 백작약 오일이 함유되지 않은 에센셜 오일이다.
(5) 시험대상자
본 시험은 만 30~65세의 성인 여성 23명의 시험대상자가 참여하였고, 중도 탈락 3명으로 총 20명의 시험대상자가 시험을 완료하였다.
2. 시험 방법
(1) 피부 측정 방법 및 절차
기기적 피부 측정을 위해 시험대상자는 준비된 세안제로 먼저 세안을 한 후 항온항습조건 (온도 20~24℃, 습도 40~60%)의 공간에서 약 30분간 피부 안정을 취해 측정 환경에 적응하도록 하였다. 시험제품 및 대조제품 적용 부위를 촬영 또는 측정하였고 매번 같은 조건에서 동일한 연구자에 의해 진행되었다.
(2) 피부 효능 평가 항목
1) 눈가 주름 측정
눈가 주름 측정은 주름 모사판인 Replica를 제작한 후 Optical profilometer 분석 방법인 Skin Visiometer SV700을 사용하여 시험제품 사용 전, 사용 4주 후, 8주 후 양쪽 눈가 주름 부위를 측정하였고, 피부 주름 정도를 나타내는 거칠기 파라미터를 분석하였다. 주름 정도를 나타내는 거칠기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다.
- R1: Skin roughness
- R2: Maximus roughness
- R3: Average roughness
- R4: Smoothness depth
- R5: Arithmetic average roughness
2) 주름 사진 촬영 및 육안평가
시험대상자는 매 방문 시 동일한 조건으로 양쪽 눈가 주름을 촬영하였고 그에 따른 주름 정도를 미리 정한 판정 기준에 따라 2 인의 전문가가 육안평가를 진행하였다. 두 전문가의 평가가 다를 경우, 효능평가가 낮은 단계(low-grade)를 선택한다. 주름 판정 정도는 다음 그림 1(Cutaneous Photodamage in Koreans, Arch Dermatol. 2001;137:1043-1051)을 표준으로 주름 정도를 점수화하여 나타내었다.
3. 피부 측정 결과
A. 1차 유효성 평가 변수
1) R3 측정 결과
1차 유효성 유효성 평가 변수인 R3 값을 분석한 결과, 시험제품 사용 부위는 제품 사용 전에 비해 사용 4주 후 10.270%,(p=0. =0.000<0.05), 사용 8주 후 14.234%(p=0.000<0.05)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대조제품 사용 부위의 경우 제품 사용 전에 비해 사용 4주 후 1.320%가 감소하였고 (p=0.230>0.05), 사용 8주 후 6.724%가 증가하였다(p=0.107>0.05). 시험제품과 대조제품 사용 부위간에는 제품 사용 4주 후(p=0.=0.041), 제품 사용 8주 후(p=0.000<0.05)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 1 및 도 2의 그래프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114065437-pat00003
B. 2차 유효성 평가 변수
1) R1 측정 결과
2차 유효성 유효성 평가 변수 중 R1 값을 분석한 결과 , 시험제품 사용 부위는 제품 사용 전에 비해 사용 4주 후 8.8188%(p=0. 041), 사용 8주 후 14.661%(p=0.002<0.05)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대조제품 사용 부위의 경우 제품 사용 전에 비해 사용 4주 후 0.339%가 감소하였고 (p=0.615>0.05), 사용 8주 후에는 6.503%가 증가하였다 (p=0.496>0.05). 시험제품과 대조제품 사용 부위 간에는 제품 사용 4주 후(p=0.277>0.05)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사용 8주 후(p=0.007<0.05)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 2 및 도 3의 그래프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114065437-pat00004
2) R2 측정 결과
2차 유효성 평가 변수 중 R2 값을 분석한 결과, 시험제품 사용 부위는 제품 사용 전에 비해 사용 4주 후 7.327%가 감소하였고(p=0. 078>0.05), 사용 8주 후 13.184%(p=0.003<0.05)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대조제품 사용 부위의 경우 제품 사용 전에 비해 사용 4주 후 2.461%가 감소하였고 (p=0.288>0.05), 사용 8주 후에는 4.732%가 증가하였다(p=0 .752>0.05). 시험제품과 대조제품 사용 부위간에는 제품 사용 4주 후(p=0.533>0.05)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사용 8주 후(p=0.010<0.05)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 3 및 도 4의 그래프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114065437-pat00005
3) R4 측정 결과
2차 유효성 평가 변수 중 R4 값을 분석한 결과, 시험제품 사용 부위는 제품 사용 전에 비해 사용 4주 후 4.387%가 감소하였고(p=0.525>0.05), 사용 8주 후 11.190%(p=0.013<0.05)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대조제품 사용 부위의 경우 제품 사용 전에 비해 사용 4주 후 1.348%가 증가하였고(p=0.671>0.05) 사용 8주 후에는 7.967%가 증가하였다(p=0.962>0.05). 시험제품과 대조제품 사용 부위간에는 제품 사용 4주 후(p=0.595>0.05), 사용 8주 후(p=0.107>0.05)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진 않았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 4 및 도 5의 그래프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114065437-pat00006
4) R5 측정 결과
2차 유효성 유효성 평가 변수 중 R5 값을 분석한 결과, 시험제품 사용 부위는 제품 사용 전에 비해 사용 4주 후 4.333%가 감소하였고(p=0. 175>0.05), 사용 8주 후 13.429%(p=0.010<0.05)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대조제품 사용 부위의 경우 제품 사용 전에 비해 사용 4주 후 7.500%가 증가하였고 (p=0.417>0.05), 사용 8주 후에는 14.833%가 증가하였다(p=0.398>0.05). 시험제품과 대조제품 사용 부위 간에는 제품 사용 4주 후(p=0.080>0.05)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사용 8주 후(p=0.026<0.05)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 5 및 도 6의 그래프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114065437-pat00007
5) 주름 육안평가 결과
2차 유효성 평가 변수 중 주름 정도 육안평가 결과, 시험제품 사용 부위는 제품 사용 전에 비해 사용 4주 후 8.500%(p=0.008<0.05), 사용 8주 후 11.167%(p=0.003<0.05)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대조제품 사용 부위의 경우 제품 사용 전에 비해 사용 4주 후 1.250% 증가하였으며(p=0.564>0.05), 사용 8주 후 1.250%가 증가하였다(p=0.564>0.05)시험제품과 대조제품 사용 부위 간에는 제품 사용 4주 후(p=0.013<0.05), 사용 8주 후(p=0.003<0.05)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 6 및 도 7의 그래프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114065437-pat00008
6) 주름 개선 효과에 대한 유효성 설문평가 결과
시험대상자의 유효성 설문평가 결과, 제품 사용 4주 후 시험제품 사용 부위에 대한 점수는 3.050±0.686이고, 대조제품 사용 부위의 점수는 3.150±0.671로 두 부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p=0.641>0.05). 제품 사용 8주 후 시험제품 사용 부위에 대한 점수는 3.250±0.639이고, 대조제품 사용 부위의 점수는 3. 200±0.523로 두 부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716>0.05). 그 결과는 아래 표 7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114065437-pat00009
4. 시험대상자 이상반응 평가 결과
시험진행 8주간 제품을 사용한 20명의 시험대상자에게 매회 방문 시 문진 및 관찰을 통하여 제품 사용 부위에 대한 이상반응을 관찰한 결과 홍반, 부종, 인설, 가려움 등의 이상반응은 확인되지 않았다.
[ 임상시험 2 ] 피부 미백 효과에 대한 임상시험
1. 시험 배경
(1) 임상시험 목적
본 시험에서는 실시예 1의 기능성 화장품의 인체적용시험을 통해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2) 시험기간
2018년 07월 25일 ~ 2018년 09월 21일
(3) 시험 기관
㈜KC피부임상연구센터
(4) 사용 부위 및 방법
안면 좌, 우측에 사용하고, 1일 2회 시험제품 및 대조제품을 정해진 안면 부위에 1회 2~3방울을 손에 모은 후 해당 시험부위에 사용한다.
(5) 시험대상자
본 시험은 만 30~65세의 성인 여성 23명의 시험대상자가 참여하였고, 중도 탈락 2명으로 총 21명의 시험대상자가 시험을 완료하였다.
2. 시험 방법
(1) 피부 측정 방법 및 절차
기기적 피부 측정을 위해 시험대상자는 준비된 세안제로 먼저 세안을 한 후 항온항습조건 (온도 20~24℃, 습도 40~60%)의 공간에서 약 30분간 피부 안정을 취해 측정 환경에 적응하도록 하였다. 시험제품 및 대조제품 적용 부위를 촬영 또는 측정하였고 매번 같은 조건에서 동일한 연구자에 의해 진행되었다.
3. 유효성 평가 항목
1) 피부 멜라닌 측정
피부 멜라닌 측정은 Mexameter MX18을 사용하여 매 방문 시마다(시험제품 사용 전, 사용 4주 후, 사용 8주 후) 안면 좌?우측 동일한 부위의 멜라닌 지수(M.I: Melanin Index)를 측정하였다. 3회씩 측정한 평균 값을 피부 멜라닌 평가 자료로 사용하였고, 측정값과 멜라닌 정도는 비례한다.
2) 피부 밝기 측정
피부 밝기 측정은 Chromameter CR400을 사용하여 매 방문 시마다(시험제품 사용 전, 사용 4주 후, 사용 8주 후) 안면 좌?우측 동일한 부위의 피부 밝기(L value)를 측정하였다. 3회씩 측정한 평균 값을 피부 밝기 평가 자료로 사용하였고, 측정값과 피부 밝기 정도는 비례한다.
3) 안면 사진 촬영 및 육안평가
시험대상자는 매 방문 시마다(시험제품 사용 전, 사용 4주 후, 사용 8주 후) 동일한 조건으로 안면 좌,우측을 촬영하였고 그에 따른 피부색 정도를 미리 정한 판정 기준에 따라 2인의 전문가가 육안평가를 진행하였다. 두 전문가의 평가가 다를 경우에는 효능 평가가 낮은 단계(low-grade)를 선택하였고, 판정은 피부색 평가 기준표<Intensity score table>에 따라 1점(밝고 투명함)에서 10점(어둡고 칙칙함)까지 피부색의 밝기 정도를 점수화하여 나타내었다.
4) 미백 효과에 대한 유효성 설문 평가(Global Assessment of Efficacy)
시험제품 사용 후 시험대상자가 느끼는 피부 미백 효과 정도에 대하여 개선됨(4), 약간 개선됨(3), 변화 없음(2), 약간 나빠짐(1), 나빠짐(0)의 5단계로 시험대상자 본인이 답하도록 하였다.
4. 시험 결과
A. 1차 유효성 평가 변수
1) 피부 멜라닌 측정 결과
1차 유효성 평가 변수 중 피부 멜라닌 측정 결과 , 시험제품 사용 부위는 제품 사용 전에 비해 사용 4주 후 1.261%가 증가하였고 (p=0.205>0.05), 사용 8주 후 1. 784%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46<0.05). 대조제품 사용 부위의 경우 제품 사용 전에 비해 사용 4주 후 0.492%가 증가하였고(p=0.712>0.05), 사용 8주 후 0.892%가 증가하였다(p=0.354>0.05). 시험제품과 대조제품 사용 부위 간에는 제품 사용 4주 후(p=0.585>0.05)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사용 8주 후(p=0.022<0.05)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 8 및 도 8의 그래프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114065437-pat00010
2) 피부 밝기 측정 결과
1차 유효성 평가 변수 중 피부 밝기 측정 결과, 시험제품 사용 부위는 제품 사용 전에 비해 사용 4주 후 0.650%가 증가하였고 (p=0.073>0.05), 사용 8주 후 0.916%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2<0.05). 대조제품 사용 부위의 경우 제품 사용 전에 비해 사용 4주 후 0.137%가 증가하였고 (p=0.608>0.05), 사용 8주 후 0.342%가 감소하였다(p=0.264>0.05). 시험제품과 대조제품 사용 부위 간에는 제품 사용 4주 후(p=0.227>0.05)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사용 8주 후(p=0.008<0.05)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 9 및 도 9의 그래프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114065437-pat00011
B. 2차 유효성 평가 변수
1) 전문가에 의한 육안평가 결과
2차 유효성 평가 변수 중 전문가에 의한 육안평가 결과, 시험제품 사용 부위는 제품 사용 전에 비해 사용 4주 후 4.779%가 감소하였고(p=0.016<0.05), 사용 8주 후 9.598%가 감소하였으며(p=0.000<0.05),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대조제품 사용 부위의 경우 제품 사용 전에 비해 사용 4주 후 2.381% 증가하였고 (p=0.083>0.05), 사용 8주 후 2.778%가 증가하였다(p=0.257>0.05). 시험제품과 대조제품 사용 부위 간에는 제품 사용 4주 후(p=0.003<0.05), 사용 8주 후(p=0.000<0.05)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 10 및 도 10의 그래프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114065437-pat00012
2) 미백 효과에 대한 유효성 설문평가 결과
미백 효과에 대한 시험대상자의 주관적 설문평가 결과, 제품 사용 4주 후 시험제품 사용 부위에 대한 점수는 2.762±0.889이고, 대조제품 사용 부위의 점수는 2.905±0.768로 두 부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602>0.05). 제품 사용 8주 후 시험제품 사용 부위에 대한 점수는 2.905±0.889이고, 대조제품 사용 부위의 점수는 2.905±0.831로 두 부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903>0.05). 그 결과는 아래 표 1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114065437-pat00013
5. 시험대상자 이상반응 평가 결과
시험진행 8주간 제품을 사용한 21명의 시험대상자에게 매회 방문 시 문진 및 관찰을 통하여 제품 사용 부위에 대한 이상반응을 관찰한 결과 홍반, 부종, 인설, 가려움 등의 이상반응은 확인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험 제품 사용 후 눈가 주름 분석 결과, 1차 유효성 평가 변수인 R3 값은 시험제품 사용 부위에서 제품 사용 4주 후, 8주 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대조제품 사용 부위와 비교하여 제품 사용 4주 후, 8주 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2차 유효성 평가 변수 중 시험제품 사용 부위에서는 제품 사용 후 모든 측정 변수가 감소하였다. 이들 변수 중 제품 사용 4주 후에는 R1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제품 사용 8주 후에는 R1, R2, R4, R5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대조제품 사용 부위와 비교하여 제품 사용 8주 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변수는 R1, R2, R5 이다. 전문가 육안평가 결과, 시험제품 사용 4주 후, 사용 8주 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대조제품 사용 부위와 비교하여 제품 사용 4주 후, 사용 8주 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시험 제품은 주름 개선에 도움을 주는 제품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험 제품 사용 후 피부 멜라닌과 피부 밝기 측정 결과, 시험제품 사용 부위가 대조제품 사용 부위와 비교하여 제품 사용 8주 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전문가의 육안평가 결과를 보면 대조제품 사용 부위와 비교하여 제품 사용 4주, 제품 사용 8주 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시험제품은 피부 미백 효과에 도움을 주는 제품으로 판단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

  1. 백작약 분말을 마련하는 S1단계와;
    상기 S1단계의 백작약 분말을 캐리어 오일에 혼합하는 S2단계와;
    상기 S2단계의 혼합물을 교반하여 백작약 분말에 함유된 유효 성분을 우려내는 S3단계와;
    상기 S3단계의 혼합물을 여과하는 S4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S2단계의 혼합물은 상기 백작약 분말 100중량부를, 캐슈넛 오일(Cashew Nut oil) 800~1000중량부 및 밀배아유(Wheat germ oil) 90~12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상기 캐리어 오일에 혼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S3단계는 빛을 차단한 상태에서 32~38℃의 온도에서 3~5주 동안 교반하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의 기능을 가지는 백작약 오일 제조방법.
  2. 삭제
KR1020180141397A 2018-11-16 2018-11-16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의 기능을 가지는 백작약 오일 제조방법 KR101943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397A KR101943346B1 (ko) 2018-11-16 2018-11-16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의 기능을 가지는 백작약 오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397A KR101943346B1 (ko) 2018-11-16 2018-11-16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의 기능을 가지는 백작약 오일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3346B1 true KR101943346B1 (ko) 2019-01-29

Family

ID=65323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1397A KR101943346B1 (ko) 2018-11-16 2018-11-16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의 기능을 가지는 백작약 오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334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1694A (ko) 2019-02-20 2020-08-28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과색소침착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30164A (ko) 2019-09-09 2021-03-17 전라남도 아로마 천연정유와 종자오일을 함유한 기능성 페이스오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30166A (ko) 2019-09-09 2021-03-17 전라남도 천연정유와 종자오일 추출 부산물을 함유한 아로마 스크럽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30165A (ko) 2019-09-09 2021-03-17 전라남도 천연정유와 종자오일 추출 부산물을 함유한 아로마 바디스크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37338A (ko) 2019-09-27 2021-04-06 주식회사 지가미 피부진정과 아토피 개선용 인퓨즈드 오일의 제조방법
CN113150872A (zh) * 2021-05-07 2021-07-23 四川省运好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营养全面的牡丹精油提炼方法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2799A (ko) 2003-01-03 2004-07-09 학교법인 한림대학교 백작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프리라디칼소거, 항산화 및산화적 dna손상억제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23884A (ko) * 2004-09-11 2006-03-15 정우약품공업 주식회사 항산화활성을 갖는 백작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060080874A (ko) * 2005-01-06 2006-07-11 주식회사 하이폭시 백작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허혈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위한 조성물
KR20060101205A (ko) * 2003-10-23 2006-09-22 다카사고 고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차 생잎 분말 및 차 생잎 분말로부터 수득되는 처리물,추출물, 오일 및 아로마
KR20070019120A (ko) * 2005-08-11 2007-02-1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작약 추출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20090038418A (ko) 2009-04-06 2009-04-20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적작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유 라디칼 소거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37906A (ko) * 2008-10-02 2010-04-12 (주)아모레퍼시픽 작약을 우려낸 물을 함유하는 두피 또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JP2012144497A (ja) * 2011-01-13 2012-08-02 Angelux Planning:Kk マッサージにおける芍薬エキスの使用方法および芍薬オイル
KR101561408B1 (ko) 2015-03-18 2015-10-19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작약 식물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모공 축소, 미백,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25784A (ko) * 2015-04-22 2016-11-01 주식회사 라비오 자운고 발효 오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77927A (ko) * 2016-12-29 2018-07-09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작약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항산화 또는 항균용 조성물
KR20180082351A (ko) * 2017-01-09 2018-07-18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한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2799A (ko) 2003-01-03 2004-07-09 학교법인 한림대학교 백작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프리라디칼소거, 항산화 및산화적 dna손상억제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01205A (ko) * 2003-10-23 2006-09-22 다카사고 고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차 생잎 분말 및 차 생잎 분말로부터 수득되는 처리물,추출물, 오일 및 아로마
KR20060023884A (ko) * 2004-09-11 2006-03-15 정우약품공업 주식회사 항산화활성을 갖는 백작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060080874A (ko) * 2005-01-06 2006-07-11 주식회사 하이폭시 백작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허혈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위한 조성물
KR20070019120A (ko) * 2005-08-11 2007-02-1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작약 추출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20100037906A (ko) * 2008-10-02 2010-04-12 (주)아모레퍼시픽 작약을 우려낸 물을 함유하는 두피 또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38418A (ko) 2009-04-06 2009-04-20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적작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유 라디칼 소거용 화장료 조성물
JP2012144497A (ja) * 2011-01-13 2012-08-02 Angelux Planning:Kk マッサージにおける芍薬エキスの使用方法および芍薬オイル
KR101561408B1 (ko) 2015-03-18 2015-10-19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작약 식물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모공 축소, 미백,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25784A (ko) * 2015-04-22 2016-11-01 주식회사 라비오 자운고 발효 오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77927A (ko) * 2016-12-29 2018-07-09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작약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항산화 또는 항균용 조성물
KR20180082351A (ko) * 2017-01-09 2018-07-18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한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1694A (ko) 2019-02-20 2020-08-28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과색소침착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30164A (ko) 2019-09-09 2021-03-17 전라남도 아로마 천연정유와 종자오일을 함유한 기능성 페이스오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30166A (ko) 2019-09-09 2021-03-17 전라남도 천연정유와 종자오일 추출 부산물을 함유한 아로마 스크럽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30165A (ko) 2019-09-09 2021-03-17 전라남도 천연정유와 종자오일 추출 부산물을 함유한 아로마 바디스크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37338A (ko) 2019-09-27 2021-04-06 주식회사 지가미 피부진정과 아토피 개선용 인퓨즈드 오일의 제조방법
CN113150872A (zh) * 2021-05-07 2021-07-23 四川省运好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营养全面的牡丹精油提炼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3346B1 (ko)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의 기능을 가지는 백작약 오일 제조방법
JP2021020887A (ja) 強化されたアンチエイジング化粧品組成物
EP3609469A1 (en) Cosmetic preparation containing white truffle extract and cosmetic method thereof
CN106580778A (zh) 澳洲坚果青皮提取物及以其为活性成分的化妆品及其制备方法
KR102253095B1 (ko) 여드름 피부 개선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 기능성 화장품
KR101712178B1 (ko) 친지성 포도나무 추출물의 제조 방법
CN105267268B (zh) 人参叶提取物制造方法及包含其为有效成分的化妆品组合物
KR101574556B1 (ko) 둥근마, 신선초, 오크라 및 토란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조성물
KR100712249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KR20120140141A (ko)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6491420A (zh) 富含油茶主要成分的唇膏及其制备方法
KR101498609B1 (ko) 한방약초농축액을 이용한 천연 한방 바디로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천연 한방 바디로션 조성물
KR101836348B1 (ko) 카카오닙스의 추출물 제조방법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CN113081924B (zh) 抗氧化组合物、制备方法及用途
KR20200041130A (ko) 포도잎 추출물 및 팥 추출물을 이용한 멀티 바디 보습제
KR102654331B1 (ko) 항 광노화, 진정 및 쿨링 효과를 가지는 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과 응용
KR101203394B1 (ko) 표고버섯을 함유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KR100567122B1 (ko) 제주 스코리아를 주성분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1656710B1 (ko) 활성물질이 증진된 인삼 꽃 복합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TWI674103B (zh) 火龍果花萃取物、其製備方法、其用途及其改善皮膚狀態之組合物
CN102860507B (zh) 一种葡萄籽提取物及其制法
KR10173671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79140A (ko) 해양심층수 속새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24749B1 (ko) 해바라기씨오일 및 잇꽃씨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N111281844A (zh) 一种复方天然萃取物淡斑面膜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