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2923B1 - 침지노즐 보온장치 - Google Patents

침지노즐 보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2923B1
KR101942923B1 KR1020160165907A KR20160165907A KR101942923B1 KR 101942923 B1 KR101942923 B1 KR 101942923B1 KR 1020160165907 A KR1020160165907 A KR 1020160165907A KR 20160165907 A KR20160165907 A KR 20160165907A KR 101942923 B1 KR101942923 B1 KR 101942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mersion nozzle
heat
lid
preheating devic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5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5286A (ko
Inventor
류우열
김수동
이기성
황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65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2923B1/ko
Publication of KR20180065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5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 B22D41/60Pouring-nozzles with heating or coo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03Distributing the molten metal, e.g. using runners, floats, distribu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지노즐 보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턴디시 하부에 배치되는 침지노즐에 열을 인가하는 예열장치; 상기 예열장치의 상부에 배치되되, 관통공이 형성된 보온덮개; 및 상기 보온덮개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예열장치에서 생성된 열류가 상기 보온덮개 내부에서 체류되게 하는 열류 체류수단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침지노즐의 예열시 침지노즐 상부와 하부 사이의 온도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침지노즐 보온장치{Apparatus for keeping temperature of submerged nozzle}
본 발명은 침지노즐 보온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침지노즐을 가열하는 예열장치 상부에 보온덮개를 구비하여 침지노즐을 예열 및 보온하는 침지노즐 보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토퍼 주조방식의 연주기에 의한 연속주조 작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디시(10)가 안착된 턴디시 카(20)는 일정 높이 상승하여 주조 포지션(Position)으로 이동한 후 일정 높이 하강할 있다. 그에 따라, 턴디시(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침지노즐(11)은 주형(30)으로 삽입되어 일정한 높이에서 정지하게 된다.
침지노즐(1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형(30)에 일부가 삽입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용강을 수용하는 래들(40)에 롱 노즐(51)을 결합하고 있는 슈라우드 메니 플레이트(50)를 조작하여 롱 노즐(51) 주입구에 래들(40)을 연결하고, 래들(40)의 주입구를 밀폐하고 있는 슬라이딩 게이트(미도시)를 개공하면 롱 노즐(51) 내경을 따라 용강은 턴디시(10)의 탕 내로 주입된다. 이때, 일정량의 용강이 충진됨에 따라 용강이 함유하는 개재물의 분리 부상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개재물의 분리 부상이 이루어지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트실린더(12)를 조작하여 침지노즐(11) 주입구를 밀폐하고 있는 스토퍼(13)를 일정 높이 상승시킨다. 그에 따라, 침지노즐(11) 상단 주입구와 스토퍼(13) 사이에 공간이 생기며 용강은 주형(30)로 주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주형(30)으로 공급된 용강은 일정시간 체류하면서 냉각이 이루어져 응고 셀이 형성되며, 점차적으로 내면으로 응고가 진행이 되면서 직사각형 형상의 주편(S, Slab)으로 인발된다.
상기 연속주조 작업은 용강을 담고 있는 래들(40)을 통해 용강의 주입이 완료되면, 용강을 담고있는 다른 래들(40)로 교환하며 연속적으로 용강을 턴디시(10)로 주입하는 것이다.
이때, 주형(30)으로 주입되는 용강량은 턴디시(10)로 주입되는 용강량과 상호 연계될 수 있는바, 서트실린더(12)를 제어하여 안정적으로 용강을 주형(30)에 주입할 수 있다. 예컨데, 스토퍼(13)가 일정 높이 상승, 하강을 반복하며 주형(30)으로 주입되는 용강량을 제어할 수 있다.
용강의 주입이 완료된 턴디시(10)는 일정 높이 상승하여 예열 포지션(Preheating Position)으로 이동되고, 침지노즐(11)을 절단장치(60)로 절단하여 제거한 후, 수리장으로 운반하여 보수 및 수리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보수 및 수리가 완료된 턴디시(10)를 턴디시 카(20)에 안착하여 주조 준비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턴디시(10) 및 침지노즐(11)을 일정 온도 이상 예열하는 예열작업을 거친 후 주조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컨데, 프리히터(70)를 이용하여 1300도 이상 턴디시(10)를 예열하여 턴디시(10)에 용강 주입시 온도 편차에 의한 내화물 파손 및 용강 온도 손실을 보상해 원활한 주조작업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침지노즐(11)의 내경 및 외경은 일정 높이 상승, 하강하는 예열장치(80)에 의해 일정 온도 이상으로 예열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턴디시(10)에 담긴 용강이 주형(30)로 주입될 때, 온도를 보상해 주어 순간 막힘 및 기타의 트러블을 예방해 주는 것이다.
예컨데, 침지노즐(11)을 통해 턴디쉬(10)에서 주형(30)내로 고온의 용강이 주입되는 경우 용강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침지노즐(11)의 내부는 그 외부와의 온도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침지노즐(11)에는 열 충격에 의한 균열이 발생하는 등 파손의 우려가 있고 침지노즐(11)의 낮은 온도에 의해 주입되는 용강이 응고되어 폐쇄됨으로서 주조작업이 중단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열되지 않은 침지노즐(11)의 경우, 상기 연속주조 작업 중 침지노즐(11)의 하단 토출구 부분이 절단 및 탈락(도 4의 (a) 참조)될 수 있다. 또한, 도 4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지노즐(11)에 수직 방향의 크랙 또는 수평 방향의 크랙이 발생되어 연속주조 작업을 중단해야 하는 조업 트러블이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 주조작업 중 주형(30) 탕 내에 침적된 침지노즐(11)의 하부절단 및 크랙이 발생하여도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에 따라, 용강 토출량의 변동에 의한 주형(30)의 탕면 변동이 심하게 발생하고, 주형(30) 단변부에 과도한 철정압이 작용하여 응고 셀 형성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더욱이, 응고 셀 파열이 초래되는 경우 이는 안전에 대한 위험 인자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된 바와 같이, 침지노즐(11)이 온도 편차에 의해 파손되거나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침지노즐(11)은 예열장치(80)에 의해 예열될 수 있다.
상기 침지노즐(11)의 예열 작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높이 상승, 하강하는 예열장치(80)에 침지노즐(11)이 일정 깊이 삽입되고, 예열장치(80)에 의해 침지노즐(11)이 예열되는 것이다.
다만, 예열장치(80) 내에 삽입된 침지노즐(11)의 일부분은 효과적으로 예열이 가능하나, 노출된 침지노즐(11)의 나머지 부분은 예열은 이루어지지 않아 온도 편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침지노즐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온도편차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게 침지노즐을 예열하고 보온하는 침지노즐 보온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활류돌기를 구비하여 내부에서 열류가 체류되게 하는 침지노즐 보온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활류돌기에 형성된 통공을 이용하여 열류가 소정의 방향으로 활류되게 하는 침지노즐 보온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는 실시예에 따라, 턴디시 하부에 배치되는 침지노즐에 열을 인가하는 예열장치; 상기 예열장치의 상부에 배치되되, 관통공이 형성된 보온덮개; 및 상기 보온덮개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예열장치에서 생성된 열류가 상기 보온덮개 내부에서 체류되게 하는 열류 체류수단을 포함하는 침지노즐 보온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열류 체류수단은 상기 보온덮개 내부에 돌출되게 배치되어 열류가 상기 보온덮개 내부에서 체류되게 하는 활류돌기로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활류돌기에는 통공이 마련되며, 상기 열류는 상기 통공을 통해 활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활류돌기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상기 활류돌기 각각에 형성된 상기 통공을 통해 상기 열류는 굴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온덮개는, 내면에 상기 활류돌기가 돌출되게 배치되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의 하부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플랜지부; 및 상기 경사부의 상부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되, 중앙에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내면의 직경이 증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활류돌기에는 통공이 마련되며, 상기 열류는 상기 통공을 통해 활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부의 상부측에는 배기구가 더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예열장치에는 배기구가 더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온덮개는, 제1 덮개와 제2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덮개와 상기 제2 덮개는 힌지 결합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지노즐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예열장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온덮개는 내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지노즐 보온장치는 보온덮개를 구비하여 침지노즐의 예열시 침지노즐 상부와 하부 사이의 온도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지노즐 보온장치는 활류돌기를 구비하여 보온덮개 내부에서 열기를 체류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침지노즐이 배치되는 내부 공간 내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시켜 온도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활류돌기에 형성된 통공을 이용하여 열류가 소정의 방향으로 활류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활류돌기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열류는 굴절 및 활류되어 상기 침지노즐 보온장치 내부의 온도를 빠르게 균일화할 수 있다.
도 1은 스토퍼 주조 방식에 있어서, 연속주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침지노즐 절단장치가 설치된 연주기의 부분단면도이고,
도 3은 턴디시를 예열하는 프리히터와 침지노즐을 예열하는 예열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온도 편차에 의해 침지노즐에 발생하는 트러블 유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예열장치의 승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침지노즐 보온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침지노즐 보온장치의 보온덮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A-A선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침지노즐 보온장치의 보온덮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침지노즐 보온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에 따른 침지노즐 보온장치(1)는, 턴디시(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침지노즐(11)의 예열시, 침지노즐(11)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온도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침지노즐 보온장치(1)는 예열장치(80), 보온덮개(100) 및 열류 체류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류 체류수단은 보온덮개 내부에 배치되어 예열장치(80)에서 생성된 열류가 보온덮개(100) 내부에서 체류되게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열류 체류수단은 보온덮개(100) 내부에 돌출되게 배치되어 열류가 보온덮개(100) 내부에서 체류되게 하는 활류돌기(200)로 제공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침지노즐 보온장치(1)는 예열장치(80), 보온덮개(100) 및 활류돌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예열장치(80)의 상부에 보온덮개(100)가 배치됨에 따라, 예열장치(80)와 보온덮개(100) 내부에는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침지노즐(11)은 상기 공간(S)에 배치될 수 있다.
예열장치(80)는 버너(81)를 이용하여 침지노즐(11)에 열을 인가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너(81)는 침지노즐(11)의 하부에 열을 인가할 수 있다.
그리고, 버너(81)에서 생성되는 불꽃에 의해 상기 공간(S)에는 열의 이동인 열류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열류는 상기 공간(S)에서 침지노즐(11)을 따라 상부를 향해 활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열류 중 일부는 침지노즐(11)의 외면을 따라 이동하며 침지노즐(11)의 외주면을 예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열류 중 일부는 상기 공간(S)의 상부로 이동하며 상기 공간(S)에 소정의 온도를 유지하는 고온 분위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온 분위기에 의해 침지노즐(11)은 예열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고온 분위기는 침지노즐(11)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온도편차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한다.
또한, 상기 열류 중 일부는 침지노즐(11)의 토출구(11a)를 통해 침지노즐(11)의 내부로 이동하며 침지노즐(11)의 내주면을 예열하게 된다. 이때, 프리히터(70)를 통해 침지노즐(11)의 상부측에서 유입되는 열류는 토출구(11a) 측으로 활류하며 침지노즐(11)의 내주면을 예열하게 된다.
보온덮개(100)는 예열장치(8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보온덮개(100)는 예열장치(80)의 상부로 이동하는 열류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보온덮개(100)는 버너(81)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열류가 상기 공간(S)에 체류되게 하여 침지노즐(11)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온도편차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한다.
한편, 보온덮개(100)는 고온에 견디는 내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화물은 1000도 이상의 고온에서 연화하지 않고 그 강도를 유지하며, 화학적 작용 등에 견딜 수 있는 재료이다. 예컨데, 상기 내화물로는 내화 벽돌, 내화 모르타르, 캐스타블 등이 있다. 그에 따라, 내화물로 형성된 보온덮개(100)는 온도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침지노즐 보온장치의 보온덮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A-A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보온덮개(100)는 경사부(110), 플랜지부(120) 및 커버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경사부(110), 플랜지부(120) 및 커버부(1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110)는 하측으로 갈수록 내면(111)의 직경(D)이 증가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예열장치(80)의 상부로 이동하는 열류는 경사부(110)에 의해 침지노즐(11)을 향해 모아지게 된다. 따라서, 경사부(110)에 의해 침지노즐(11)의 상부는 효과적으로 예열될 수 있다.
경사부(110)의 내면(111)에는 복수 개의 활류돌기(20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활류돌기(200)에는 통공(210)이 마련될 수 있다.
플랜지부(1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110)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온덮개(100)는 플랜지부(120)를 이용하여 예열장치(8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플랜지부(120)는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에 의해 예열장치(80)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커버부(1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110)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130)는 침지노즐(11)과 경사부(110) 사이를 밀폐하여 예열장치(80)를 통해 형성되는 상기 열류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130)의 중앙에는 관통공(131)이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침지노즐(11)은 상기 관통공(131)을 통해 상기 공간(S)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데, 예열장치(80)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관통공(131)을 통해 침지노즐(11)은 상기 공간(S)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침지노즐(11)은 상기 관통공(131)을 통해 예열장치(80)의 내부에 배치되어 버너(81)의 불꽃에 의해 예열될 수 있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침지노즐 보온장치의 보온덮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보온덮개(100)는 제1 덮개(100a)와 제2 덮개(100b)로 나눠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덮개(100a)와 제2 덮개(100b)는 힌지 결합을 할 수 있다. 즉, 제1 덮개(100a)와 제2 덮개(100b) 사이의 일측에는 힌지부(140)가 배치될 수 있는바, 제1 덮개(100a)와 제2 덮개(100b)는 힌지부(140)를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다.
따라서, 힌지 결합을 하는 제1 덮개(100a)와 제2 덮개(100b)에 의해 형성되는 보온덮개(100)는 예열장치(80) 상부에 용이하게 배치 또는 취외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덮개(100a)는 제1 경사부(110a), 제1 플랜지부(120a) 및 제1 커버부(130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덮개(100b)는 제2 경사부(110b), 제2 플랜지부(120b) 및 제2 커버부(13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덮개(100a)와 제2 덮개(100b)가 맞닿게 배치됨에 따라, 제1 경사부(110a)와 제2 경사부(110b)는 경사부(11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덮개(100a)와 제2 덮개(100b)가 맞닿게 배치됨에 따라, 제1 플랜지부(120a)와 제2 플랜지부(120b)는 플랜지부(12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덮개(100a)와 제2 덮개(100b)가 맞닿게 배치됨에 따라, 제1 커버부(130a)와 제2 커버부(130b)는 커버부(13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커버부(130a)와 제2 커버부(130b)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바, 제1 덮개(100a)와 제2 덮개(100b)가 맞닿게 배치됨에 따라 중앙에 관통공(13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경사부(110a)와 제2 경사부(110b) 각각의 내면에는 복수 개의 활류돌기(200)가 배치될 수 있다.
활류돌기(200)는 보온덮개(100)의 내부에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활류돌기(200)는 경사부(110)의 내면(121)에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활류돌기(200)는 예열장치(80)의 내부에서 생성되어 상승되는 열류가 보온덮개(100) 내부에서 체류되게 한다. 즉, 활류돌기(200)는 상기 열류가 보온덮개(100) 내부에서 체류되는 시간을 길어지게 하며, 그에 따라, 보온덮개(100) 내부 온도를 상승시켜 침지노즐(11)을 효과적으로 예열되게 한다.
한편, 활류돌기(200)에는 통공(210)이 형성될 수 있다. 통공(210)은 활류돌기(200)에 의해 체류되는 열류 중 일부를 상부측으로 활류되게 한다. 그리고, 복수 개의 활류돌기(200) 각각에 형성된 통공(210)을 통해 상기 열류는 다수 번 굴절되며 침지노즐(11)을 효과적으로 예열시킬 수 있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침지노즐 보온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류돌기(200)는 침지노즐(11)을 향해 돌출되게 배치되되,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류돌기(200)는 침지노즐(11)을 향해 돌출되게 배치되되, 소정의 각도(θ)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소정의 각도(θ)로 경사지게 배치된 활류돌기(200)는 상기 열류의 체류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컨데, 다양한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활류돌기(200)는 여러 방향으로 상기 열류를 굴절시켜 상기 열류의 체류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소정의 각도(θ)로 경사지게 배치된 활류돌기(200)의 통공(210)은 통공(210) 통해 이동하는 상기 열류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경사부(110)에는 내부의 열류가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기구(300)가 더 배치될 있다.
배기구(300)는 보온덮개(100) 내부에 체류하는 상기 열류를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배기구(300)는 예열장치(80)에 의해 생성되어 상부로 활류하는 열류를 빠르게 보온덮개(100)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배기구(300)에는 배기구(300)를 개폐하는 밸브(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예열장치(80)에도 내부의 열류가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기구(300a)가 더 배치될 있다. 그리고, 예열장치(80)에 배치되는 배기구(300a)에는 배기구(300a)를 개폐하는 밸브(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침지노즐(11)이 상기 공간(S)에서 취외되거나 예열장치(80)의 유지 및 보수가 필요한 경우, 상기 배기구(300a)는 빠르게 내부에 존재하는 열기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침지노즐 보온장치(1)는 활류돌기(200)를 통해 보온덮개(100) 내부에 상기 열류가 체류되게 함과 동시에 활류돌기(200) 각각에 형성된 통공(210)을 이용하여 상기 열류를 굴절 및 활류시킴으로써, 침지돌기(11)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온도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침지노즐 보온장치(1)의 활류돌기(200)는 상기 열류를 체류시키고, 통공(210)은 상기 열류가 내부에서 빠르게 균일화되게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침지노즐 보온장치
11 : 침지노즐 13 : 스토퍼
30 : 주형 70 : 프리히터
80 : 예열장치 81 : 버너
100 : 보온덮개 110 : 경사부
120 : 플랜지부 130 : 커버부
140 : 힌지부
200 : 활류돌기 210 : 통공
300, 300a : 배기구
S : 공간

Claims (12)

  1. 침지노즐의 하부에 열을 인가하는 버너를 이용하여 상기 침지노즐에 열을 인가하는 예열장치;
    내부에 상기 예열장치와의 공간(S)이 형성되게 상기 예열장치의 상부에 배치되되, 관통공이 형성된 보온덮개; 및
    상기 보온덮개 내부에 배치되는 열류 체류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버너의 불꽃에 의해 형성된 열류는 상기 침지노즐의 외면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침지노즐의 외주면을 예열하고,
    상기 침지노즐의 외주면을 예열한 열류는 상기 열류 체류수단으로 제공되는 활류돌기에 의해 상기 보온덮개의 내부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증가되며,
    상기 보온덮개는,
    내면에 상기 활류돌기가 돌출되게 배치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내면의 직경이 증가하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의 하부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플랜지부; 및
    상기 경사부의 상부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되, 중앙에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활류돌기에 마련된 통공을 통해 상기 열류는 굴절되며 활류되는 침지노즐 보온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류돌기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침지노즐 보온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의 상부측에는 배기구가 더 배치되는 침지노즐 보온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장치에는 배기구가 더 배치되는 침지노즐 보온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덮개는,
    제1 덮개와 제2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덮개와 상기 제2 덮개는 힌지 결합을 하는 침지노즐 보온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지노즐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예열장치 내부에 배치되는 침지노즐 보온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덮개는 내화물로 형성되는 침지노즐 보온장치.
KR1020160165907A 2016-12-07 2016-12-07 침지노즐 보온장치 KR101942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907A KR101942923B1 (ko) 2016-12-07 2016-12-07 침지노즐 보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907A KR101942923B1 (ko) 2016-12-07 2016-12-07 침지노즐 보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286A KR20180065286A (ko) 2018-06-18
KR101942923B1 true KR101942923B1 (ko) 2019-01-28

Family

ID=62765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907A KR101942923B1 (ko) 2016-12-07 2016-12-07 침지노즐 보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29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95360B (zh) * 2019-08-02 2024-04-26 湖州胜僖电子科技有限公司 基于品质、成本和便捷操作多方位改进的镀层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6454B2 (ja) * 1992-10-20 1998-05-25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浸漬ノズルの予熱装置
JP2005193295A (ja) * 2004-01-07 2005-07-21 Yoichi Hirose ネオジウム系磁石用合金のストリップキャスティング法における鋳造薄片の冷却装置および冷却方法
JP4490839B2 (ja) * 2005-01-26 2010-06-30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連続鋳造用浸漬ノズルの予熱方法及び予熱装置
KR101024588B1 (ko) * 2008-09-25 2011-03-31 현대제철 주식회사 침지노즐용 예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286A (ko) 2018-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2923B1 (ko) 침지노즐 보온장치
KR101930749B1 (ko) 노즐 및 주조방법
KR101916255B1 (ko) 롱노즐 예열장치
KR101790002B1 (ko) 노즐, 이를 구비하는 연속주조장치 및 연속주조방법
KR101253979B1 (ko) 스토퍼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 주조 장치
JP4102352B2 (ja) 熱間再使用タンディッシュを用いたステンレス溶鋼の連続鋳造方法
KR101569754B1 (ko) 유리화 장치 및 유리용융물 배출방법
KR101385008B1 (ko) 주조 장치, 및 용융 물질을 주조 몰드로의 이송 방법
WO2021044111A1 (en) Casting apparatus
EP0401988A2 (en) Retaining and/or pouring means for tanks for metal melting baths
KR200396541Y1 (ko) 열차단구를 갖는 내화노즐 스토퍼
KR100829908B1 (ko) 몰드 플럭스 용해유닛
KR101253977B1 (ko) 스토퍼 유닛
KR200384696Y1 (ko) 주조설비용 순간부상형 슬래그 유입방지장치
KR101849191B1 (ko) 용융금속을 공급하는 용탕출구 개폐장치
KR100943086B1 (ko) 턴디쉬 막힘 방지 장치
KR100887600B1 (ko) 포러스 플러그
KR102227831B1 (ko) 용기 처리 방법 및 용융물 장입 방법
KR101329710B1 (ko) 재산화 방지용 스토퍼로드 냉각장치
JP4464789B2 (ja) 使用前に予熱される製鋼用耐火れんがとその保温方法
KR200230184Y1 (ko) 제강용 턴디쉬의 슬래그 유출방지장치
KR100803732B1 (ko) 용강 유출 차단 장치
KR20180073876A (ko) 지지장치
KR20190077943A (ko) 용탕 처리 장치
KR101590995B1 (ko) 내화 블럭 제조 장치 및 이로 제조된 내화 블럭을 포함하는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