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6255B1 - 롱노즐 예열장치 - Google Patents

롱노즐 예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6255B1
KR101916255B1 KR1020160169542A KR20160169542A KR101916255B1 KR 101916255 B1 KR101916255 B1 KR 101916255B1 KR 1020160169542 A KR1020160169542 A KR 1020160169542A KR 20160169542 A KR20160169542 A KR 20160169542A KR 101916255 B1 KR101916255 B1 KR 101916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oven
casing
long nozzl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8016A (ko
Inventor
김수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69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255B1/ko
Publication of KR20180068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 B22D41/60Pouring-nozzles with heating or coo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03Distributing the molten metal, e.g. using runners, floats, distribu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롱노즐 예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롱노즐의 하부 일영역이 내부에 배치되는 오븐부; 상기 오븐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덮개부; 상기 오븐부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1 덮개부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2 덮개부; 및 상기 제1 덮개부와 상기 제2 덮개부가 상호 밀착 또는 이격되게 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롱노즐을 용강 주입작업 전에 예열할 수 있다.

Description

롱노즐 예열장치{Apparatus for keeping temperature of submerged nozzle}
본 발명은 롱노즐 예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래들에 담겨진 용강을 턴디시로 주입하는 롱노즐을 용강 주입작업 전에 예열하는 롱노즐 예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토퍼 주조방식의 연주기에 의한 연속주조 작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디시(10)가 안착된 턴디시 카(20)는 일정 높이 상승하여 주조 포지션(Position)으로 이동한 후 일정 높이 하강할 있다. 그에 따라, 턴디시(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침지노즐(11)은 주형(30)으로 삽입되어 일정한 높이에서 정지하게 된다.
침지노즐(1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형(30)에 일부가 삽입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용강을 수용하는 래들(40)에 롱노즐(60)을 결합하고 있는 슈라우드 메니 플레이트(50)를 조작하여 롱노즐(60)의 주입구(61)에 래들(40)을 연결한다. 그리고, 래들(40)의 주입구를 밀폐하고 있는 슬라이딩 게이트(미도시)를 개공하면 롱노즐(60) 내경을 따라 용강은 턴디시(10)의 탕 내로 주입된다. 이때, 일정량의 용강이 충진됨에 따라 용강이 함유하는 개재물의 분리 부상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롱노즐(60)은 래들(40)의 로하 노즐(41)에 결합되는 매개체이다.
상기 개재물의 분리 부상이 이루어지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트실린더(12)를 조작하여 침지노즐(11)의 주입구를 밀폐하고 있는 스토퍼(13)를 일정 높이 상승시킨다. 그에 따라, 침지노즐(11) 상단 주입구와 스토퍼(13) 사이에 공간이 생기며 용강은 주형(30)로 주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주형(30)으로 공급된 용강은 일정시간 체류하면서 냉각이 이루어져 응고 셀이 형성되며, 점차적으로 내면으로 응고가 진행이 되면서 직사각형 형상의 주편(미도시)으로 인발된다.
상기 연속주조 작업은 용강을 담고 있는 래들(40)을 통해 용강의 주입이 완료되면, 용강을 담고있는 다른 래들(40)로 교환하며 연속적으로 용강을 턴디시(10)로 주입하는 것이다. 이때, 주형(30)으로 주입되는 용강량은 턴디시(10)로 주입되는 용강량과 상호 연계될 수 있는바, 서트실린더(12)를 제어하여 안정적으로 용강을 주형(30)에 주입할 수 있다. 예컨데, 스토퍼(13)가 일정 높이 상승, 하강을 반복하며 주형(30)으로 주입되는 용강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래들(40)에 담겨진 용강을 턴디시(10)로 주입하는 롱노즐(60)은 주입되는 용강의 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적정 온도 이상으로 예열을 해야 안정적으로 상기 연속 주조작업을 행할 수 있다.
도 3은 주조작업 전에 롱노즐을 오븐에 삽입 안착하여 예열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슈라우드 메니 플레이트(50)에 결합된 마우스 링(51)에 롱노즐(60)을 결합한 상태에서 예열을 할 수 있다. 물론, 슈라우드 메니 플레이트(50)와 분리된 독립된 상태에서 롱노즐(60)을 예열을 할 수도 있다.
롱노즐(60)의 예열작업은 오븐(70)의 일정 위치에 롱노즐(60)을 위치시킨 후, 버너(80)를 이용하여 롱노즐(60)을 예열할 수 있다.
예컨데, 버너(80)를 이동하여 롱노즐(60)의 주입구(61) 상단에 위치한 후 혼합 가스를 연소시켜 불꽃을 생성하고, 롱노즐(60)의 주입구(61) 내경 부분으로 상기 불꽃이 일정 시간 유입시킴으로써, 롱노즐(60)은 예열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불꽃은 롱노즐(60)의 내경을 예열하고 외경 부분으로 활류하여 오븐(70)의 내부를 고온분위기로 만들 수 있다. 그에 따라, 오븐(70) 내부에 일 영역이 배치되는 롱노즐(60)은 예열될 수 있다.
그러나, 롱노즐(60)과 오븐(7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열은 대기 중으로 방출되기 때문에 열 손실이 발생한다. 그에 따라, 효과적으로 롱노즐(60)을 예열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롱노즐(60)의 일 영역은 오븐(70)에 삽입된 상태이지만 그 외의 상부 영역(A)은 대기 중에 노출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롱노즐(60)의 상부와 하부 간에 온도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그에 따라,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롱노즐(60)의 하부가 상부로부터 절단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롱노즐(60)의 하단의 일부분이 떨어져 나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롱노즐(60)에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상기 롱노즐(60)의 트러블에 의해 턴디시(10)로 공급되는 용강이 대기 중의 산소와 접촉하여 재 산화되며 용강을 오염시켜 품질 결함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품질 결함이 발생한 주편(미도시)은 표면을 일정 깊이로 산세하는 스카핑 작업을 해야 하는 등의 불필요한 작업 공정이 추가될 수 있다 .
또한 연속주조 작업 중 롱노즐(60)이 절단되는 경우, 상기 연속 주조작업을 중단하고, 회송 및 용강을 재처리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롱노즐을 용강 주입작업 전에 예열하는 롱노즐 예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롱노즐 예열시, 오븐과 롱노즐 사이의 틈새를 덮는 덮개를 이용하여 롱노즐의 온도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롱노즐 예열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덮개가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하여 롱노즐의 상부까지 예열되게 함으로써, 롱노즐의 온도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롱노즐 예열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는 실시예에 따라, 롱노즐의 하부 일영역이 내부에 배치되는 오븐부; 상기 오븐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덮개부; 상기 오븐부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1 덮개부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2 덮개부; 및 상기 제1 덮개부와 상기 제2 덮개부가 상호 밀착 또는 이격되게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롱노즐 예열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롱노즐 예열장치는 상기 롱노즐의 주입구에 열을 인가하는 버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븐부 내부에서 활류하는 열류는 상기 제1 덮개부와 상기 제2 덮개부가 밀착됨에 따라 형성된 공간으로 이동된 후 상기 공간에 체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덮개부는, 제1 덮개; 및 상기 제1 덮개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케이싱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덮개는 반원통형으로 형성된 제1 측벽부; 상기 제1 측벽부의 상부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1 측벽부의 하부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제1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케이싱은 상기 제1 플랜지부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케이싱은 상기 제1 플랜지부에 결합되는 제1 케이싱 본체; 및 상기 제1 케이싱 본체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제1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덮개부는, 제2 덮개; 및 상기 제2 덮개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 케이싱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덮개는, 반원통형으로 형성된 제2 측벽부; 상기 제2 측벽부의 상부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제2 커버부; 및 상기 제2 측벽부의 하부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케이싱은 상기 제2 플랜지부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케이싱은 상기 제2 플랜지부에 결합되는 제2 케이싱 본체; 및 상기 제2 케이싱 본체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제2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부는, 상기 오븐부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1 지지대;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1 케이싱 본체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케이싱 본체를 탄성 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 상기 오븐부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2 지지대; 상기 제2 지지대와 상기 제2 케이싱 본체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케이싱 본체를 탄성 지지하는 제2 탄성부재; 제1 실린더; 일측이 상기 제1 돌기에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제1 실린더에 설치되는 제1 와이어; 및 일측이 상기 제2 돌기에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제1 실린더에 설치되는 제2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 덮개와 상기 제2 덮개가 상호 밀착 또는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상기 제1 돌기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코일형 스프링으로 제공되고,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상기 제2 돌기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코일형 스프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오븐부의 외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와이어 및 상기 제2 와이어가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 개의 회전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오븐부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일측에 힌지 결합을 하는 제2 하우징; 및 힌지를 축으로 하여 상기 제2 하우징을 회동되게 하는 제2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하우징의 상면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 덮개부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상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탄성부재의 탄성계수는 상기 제1 탄성부재의 탄성계수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 케이싱 본체가 상기 제2 지지대에 접근할 수 있는 거리를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오븐부에는 배기구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덮개 및 상기 제2 덮개는 내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롱노즐 예열장치는 롱노즐을 용강 주입작업 전에 예열할 수 있다.
또한, 롱노즐 예열시, 오븐부와 롱노즐 사이의 틈새를 덮는 제1 덮개부와 제2 덮개부를 이용하여 롱노즐의 온도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덮개부와 제2 덮개부는 구동부에 의해 상호 밀착 또는 이격될 수 있다.
즉, 오븐부, 제1 덮개부 및 제2 덮개부를 이용하여 롱노즐의 상부까지 예열되게 함으로써, 롱노즐의 온도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롱노즐이 절단 또는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턴디시로 주입되는 용강이 대기 중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재산화에 의한 용강 오염을 방지하여 양질의 주편을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스토퍼 주조 방식에 있어서, 연속주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침지노즐 절단장치가 설치된 연주기의 부분단면도이고,
도 3은 주조작업 전에 롱노즐을 오븐에 삽입 안착하여 예열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버너를 이용하여 롱노즐을 예열하는 개념도이고,
도 5는 온도 편차에 의해 롱노즐에 발생하는 트러블 유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롱노즐 예열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B-B선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롱노즐 예열장치의 덮개부와 구동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롱노즐 예열장치의 제2 덮개부, 제2 지지대 및 제2 탄성부재와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롱노즐 예열장치의 제1 덮개부와 제2 덮개부가 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롱노즐 예열장치의 제1 덮개부와 제2 덮개부가 이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롱노즐 예열장치의 제2 실린더의 구동시 와이어를 지지하는 회전지지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에 따른 롱노즐 예열장치(1)는 롱노즐(60)을 이용하여 래들(40)에 담겨진 용강을 턴디시(10)로 주입하기 전에 롱노즐(60)을 예열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롱노즐 예열장치(1)는 롱노즐(60)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온도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롱노즐 예열장치(1)는 롱노즐(60)의 하부 일영역이 내부에 배치되는 오븐부(100), 오븐부(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덮개부(200), 오븐부(100)의 상부에 배치되되 제1 덮개부(200)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2 덮개부(300) 및 제1 덮개부(200)와 제2 덮개부(300)가 상호 밀착 또는 이격되게 하는 구동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롱노즐 예열장치(1)는 롱노즐(60)의 주입구(61)에 열을 인가하는 버너(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데, 버너(80)는 롱노즐(60)의 주입구(61) 상단에 위치한 후 혼합 가스를 연소시켜 불꽃을 생성하고, 롱노즐(60)의 주입구(61) 내경 부분으로 상기 불꽃이 일정 시간 유입시킴으로써, 롱노즐(60)을 예열한다.
그에 따라, 상기 불꽃은 롱노즐(60)의 내경을 예열하고 외경 부분으로 활류하여 오븐부(100)의 내부를 고온분위기로 만들 수 있다. 그에 따라, 오븐(100) 내부에 일 영역이 배치되는 롱노즐(60)의 하부는 예열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덮개부(200)와 제2 덮개부(300)의 상호 밀착시, 롱노즐(60)과 오븐부(10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오븐부(100)에서 방출되는 열은 제1 덮개부(200)와 제2 덮개부(300)가 밀착됨에 따라 형성된 공간(S)으로 이동(활류)된 후 상기 공간(S)에 체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공간(S)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공간(S)의 상부에 열기가 집중되게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롱노즐(60)의 상부와 하부 간에 온도 편차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롱노즐(60)의 하부 일영역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오븐부(100)에 삽입된 상태이고, 그 외의 상부 영역이 상기 공간(S)에 위치하더라도, 상술 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S)에 열이 체류되기 때문에 롱노즐(60)의 상부와 하부 간에 온도 편차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오븐부(100)의 내부에는 롱노즐(60)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오븐부(100)는 상기 고온분위기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오븐부(100)는 고온에 견디는 내화물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화물은 1000도 이상의 고온에서 연화하지 않고 그 강도를 유지하며, 화학적 작용 등에 견딜 수 있는 재료이다. 예컨데, 상기 내화물로는 내화 벽돌, 내화 모르타르, 캐스타블 등이 있다. 그에 따라, 내화물로 형성된 오븐부(100)는 온도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오븐부(100)는 제1 하우징(110), 제2 하우징(120), 힌지(130) 및 제2 실린더(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120)은 제1 하우징(110)의 일측에 힌지 결합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하우징(120)은 제2 실린더(140)에 의해 힌지(130)를 축으로 하여 회동될 수 있다.
따라서, 슈라우드 메니 플레이트(50)를 조작하여 롱노즐(60)을 이동시켜 상기 롱노즐 예열장치(1)의 오븐부(100)에 삽입시, 상기 롱노즐 예열장치(1)는 제2 실린더(140)를 이용하여 제2 하우징(120)을 회동시켜 열림 상태로 유지되게 하고, 롱노즐(60)이 기 설정된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제2 하우징(120)을 회동시켜 닫힘 상태가 되게 한다. 그에 따라, 상기 롱노즐 예열장치(1)는 버너(80)를 이용하여 롱노즐(60)을 예열할 수 있다. 이때, 버너(80)는 롱노즐(60)의 상태에 따라 60~90분 정도 예열을 할 수 있다.
상기 롱노즐 예열장치(1)의 오븐부(100)에 롱노즐(60)을 삽입하기 위해 롱노즐(60)을 이동할 때, 슈라우드 메니 플레이트(50)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데, 슈라우드 메니 플레이트(50)의 마우스 링(51)을 롱노즐(60)의 상부에 형성된 철피(62)에 결합하여 롱노즐(60)을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하우징(120)의 상면(12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θ)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덮개부(300))는 경사지게 형성된 제2 하우징(120)의 상면(1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오븐부(100)에 롱노즐(60)을 삽입시 제2 덮개부(300))는 상면(121)의 아랫쪽에 위치하고, 오븐부(100)가 닫힘 상태일 때 제2 덮개부(300))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면(121)의 위쪽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오븐부(100)에 롱노즐(60)을 삽입시 제2 덮개부(300))를 상면(121)의 아랫쪽에 위치시킴으로써, 롱노즐(60)이 제2 덮개부(300)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덮개부(200)는 제1 하우징(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덮개부(200)는 구동부(400)의 구동에 따라, 제2 덮개부(300)를 향하여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1 덮개부(200)는 제1 덮개(210), 제1 덮개(2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케이싱(220) 및 제1 덮개(210)에 제1 케이싱(220)을 고정하는 제1 고정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덮개(210)는 내화물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케이싱(22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덮개(210)와 제1 케이싱(220)은 재질이 서로 다른 이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덮개(210)는 1000도 이상의 고온에서 연화하지 않고 그 강도를 유지하며, 화학적 작용 등에 견딜 수 있는 내화물 재료로 형성되어 상기 공간(S)에 열기가 오랜 시간 체류되게 할 수 있다.
제1 덮개(2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통형으로 형성된 제1 측벽부(211), 제1 측벽부(211)의 상부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제1 커버부(212) 및 제1 측벽부(211)의 하부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제1 플랜지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롱노즐(60)의 중심(C)을 향하는 방향을 내측이라 하고, 내측에 반대되는 방향을 외측이라 한다.
그리고, 제1 측벽부(211), 제1 커버부(212) 및 제1 플랜지부(21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측벽부(211)는 롱노즐(60)의 중심(C)을 기준으로 하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버부(212)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덮개부(200)가 롱노즐(60)에 밀착시, 제1 커버부(212)의 일측은 롱노즐(60)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제1 플랜지부(213)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플랜지부(213)에는 제1 케이싱(22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부재(230)에 의해 제1 케이싱(220)은 제1 플랜지부(213)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케이싱(220)은 제1 플랜지부(213)에 결합되는 제1 케이싱 본체(221) 및 제1 케이싱 본체(221)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1 돌기(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싱 본체(221)는 제1 플랜지부(213)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케이싱 본체(221)는 제1 플랜지부(21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싱 본체(221)는 내부에 제1 플랜지부(213)가 삽입 설치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하우징(110)의 상면에 접촉하여 이동하는 제1 케이싱 본체(221)는 제1 덮개(110)와 달리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 충격 및 마찰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제1 돌기(222)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케이싱 본체(221)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돌기(222)는 제1 케이싱 본체(221)와 동일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돌기(222)는 외부 충격 및 휨 등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2 덮개부(300)는 제2 덮개(310), 제2 덮개(3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 케이싱(320) 및 제2 덮개(310)에 제2 케이싱(320)을 고정하는 제2 고정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덮개(310)는 내화물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케이싱(32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덮개(310)와 제2 케이싱(320)은 재질이 서로 다른 이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덮개(310)는 1000도 이상의 고온에서 연화하지 않고 그 강도를 유지하며, 화학적 작용 등에 견딜 수 있는 내화물 재료로 형성되어 상기 공간(S)에 열기가 오랜 시간 체류되게 할 수 있다.
제2 덮개(3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통형으로 형성된 제2 측벽부(311), 제2 측벽부(311)의 상부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제2 커버부(312) 및 제2 측벽부(311)의 하부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제2 플랜지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측벽부(311), 제2 커버부(312) 및 제2 플랜지부(31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측벽부(311)는 롱노즐(60)의 중심(C)을 기준으로 하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버부(312)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덮개부(300)가 롱노즐(60)에 밀착시, 제2 커버부(312)의 일측은 롱노즐(60)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제2 플랜지부(313)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플랜지(313)는 소정의 각도(θ)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플랜지(313)는 소정의 각도(θ)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2 하우징(120)의 상면(12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플랜지부(313)에는 제2 케이싱(32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 고정부재(330)에 의해 제2 케이싱(320)은 제2 플랜지부(313)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케이싱(320)은 제2 플랜지부(313)에 결합되는 제2 케이싱 본체(321) 및 제2 케이싱 본체(321)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2 돌기(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케이싱 본체(321)는 제2 플랜지부(313)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케이싱 본체(321)는 제2 플랜지부(31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케이싱 본체(321)는 내부에 제2 플랜지부(313)가 삽입 설치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하우징(120)의 상면에 접촉하여 이동하는 제2 케이싱 본체(321)는 제1 덮개(110)와 달리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 충격 및 마찰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제2 돌기(322)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케이싱 본체(321)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돌기(322)는 제2 케이싱 본체(321)와 동일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돌기(322)는 외부 충격 및 휨 등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또한, 제1 덮개(210)와 제2 덮개(310)가 맞닿게 배치됨에 따라, 제1 커버부(212)와 제2 커버부(312)는 롱노즐(6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공간(S)에 체류하는 열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1 측벽부(211)와 제2 측벽부(311) 또한 상호 밀착된다.
구동부(400)는 제1 덮개부(200)와 제2 덮개부(300)를 상호 밀착 또는 이격되게 할 수 있다.
도 6 및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구동부(400)는 오븐부(100)의 상부에 일측에 고정되는 제1 지지대(410), 제1 지지대(410)와 제1 케이싱 본체(221)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케이싱 본체(221)를 탄성 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420), 오븐부(100)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2 지지대(430), 제2 지지대(430)와 제2 케이싱 본체(321)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2 케이싱 본체(321)를 탄성 지지하는 제2 탄성부재(440), 제1 실린더(450), 일측이 제1 돌기(222)에 설치되고 타측은 제1 실린더(450)에 설치되는 제1 와이어(460) 및 일측이 제2 돌기(322)에 설치되고 타측은 제1 실린더(450)에 설치되는 제2 와이어(47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실린더(450)의 구동에 따라, 제1 덮개부(200)와 제2 덮개부(300)가 상호 밀착 또는 이격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탄성부재(420) 및 제2 탄성부재(440) 각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덮개부(200)와 제2 덮개부(300) 각각을 롱노즐(60)에 밀착시킬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린더(450)를 이용하여 제1 와이어(460)와 제2 와이어(470) 각각을 잡아 당김으로서, 제1 덮개부(200)와 제2 덮개부(300)는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제1 지지대(410)는 제1 하우징(110)의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지지대(410)는 제1 탄성부재(420)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지지대(410)는 제1 지지대 본체(411)와 제1 지지대 본체(411)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1 가이드(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대 본체(411)는 제1 지지대 본체(411)가 내부에 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케이싱 본체(221)가 제1 지지대 본체(411)로 이동할 때, 제1 케이싱 본체(221)는 제1 지지대 본체(411)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예컨데, 제1 지지대 본체(411)는 내부에 제1 케이싱 본체(221)가 삽입되도록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412)는 제1 지지대 본체(411)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가이드(412)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은 제1 지지대 본체(411)와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케이싱 본체(221)가 제1 지지대 본체(411)로 이동할 때, 제1 돌기(222)는 제1 가이드(412)의 내부로 삽입된다. 그에 따라, 제1 가이드(412)는 제1 돌기(222)를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가이드(412)의 내면 일측은 제1 탄성부재(420)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420)는 제1 지지대(410)와 제1 케이싱 본체(221)의 사이에 배치되고, 일측이 제1 지지대(410)에 지지됨에 따라 타측은 제1 케이싱 본체(221)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420)는 제1 돌기(222)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코일형 스프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돌기(222)는 제1 탄성부재(420)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제1 탄성부재(420)의 압축 또는 팽창시 제1 탄성부재(420)를 안내할 수 있다.
제2 지지대(430)는 제2 하우징(120)의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지지대(430)는 제2 탄성부재(440)를 지지할 수 있다.
제2 지지대(430)는 제2 지지대 본체(431)와 제2 지지대 본체(431)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2 가이드(4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대 본체(431)는 제2 지지대 본체(431)가 내부에 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케이싱 본체(321)가 제2 지지대 본체(431)로 이동할 때, 제2 케이싱 본체(321)는 제2 지지대 본체(431)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예컨데, 제2 지지대 본체(431)는 내부에 제2 케이싱 본체(321)가 삽입되도록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432)는 제2 지지대 본체(431)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가이드(432)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은 제2 지지대 본체(431)와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케이싱 본체(321)가 제2 지지대 본체(431)로 이동할 때, 제2 돌기(322)는 제2 가이드(432)의 내부로 삽입된다. 그에 따라, 제2 가이드(432)는 제2 돌기(322)를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가이드(432)의 내면 일측은 제2 탄성부재(440)를 지지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440)는 제2 지지대(430)와 제2 케이싱 본체(321)의 사이에 배치되고, 일측이 제2 지지대(430)에 지지됨에 따라 타측은 제2 케이싱 본체(321)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440)는 제2 돌기(322)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코일형 스프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돌기(322)는 제2 탄성부재(440)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제2 탄성부재(440)의 압축 또는 팽창시 제2 탄성부재(440)를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제2 탄성부재(440)의 탄성계수는 제1 탄성부재(420)의 탄성계수와 다를 수 있다.
제2 하우징(120)의 상면(121)이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2 케이싱(320)이 이동해야 하는 거리는 제1 케이싱(220)에 비해 증가하게 된다. 그에 따라, 제2 탄성부재(440)의 탄성계수는 제1 탄성부재(420)의 탄성계수보다 클 수 있다.
제1 실린더(450)는 제1 와이어(460) 및 제2 와이어(470)를 잡아 당기거나 풀어주어 제1 덮개부(200)와 제2 덮개부(300)가 상호 밀착 또는 이격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실린더(450)는 제1 와이어(460) 및 제2 와이어(47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린더(450)는 오븐부(100)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와이어(460)의 일측은 제1 돌기(222)에 설치되고 타측은 제1 실린더(450)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와이어(460)의 일측은 볼트(461)를 이용하여 제1 돌기(222)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와이어(470)의 일측은 제2 돌기(322)에 설치되고 타측은 제1 실린더(450)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와이어(470)의 일측은 볼트(471)를 이용하여 제2 돌기(322)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부(400)는 복수 개의 회전지지부재(4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지지부재(480)는, 도 6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부(100)의 외면에 배치되며, 제1 와이어(460) 및 제2 와이어(470) 각각이 이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예컨데, 회전지지부재(480)로는 도르레 부재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부(400)는, 제2 덮개부(300)가 롱노즐(60)로부터 이격될 때, 제2 케이싱 본체(321)와 제2 지지대(4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조절부(4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간격조절부(490)는 제2 케이싱 본체(321)의 상부에 배치되는 블럭(491), 일측이 블럭(491)에 회동가능하게 나사 결합하는 간격조절봉(492) 및 제2 지지대(430)의 상부에 배치되는 스토퍼(49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간격조절봉(492)을 회전하여 블럭(491)으로부터 노출되는 간격조절봉(492)의 길이를 조절하여 제2 케이싱 본체(321)가 제2 지지대(430)에 접근할 수 있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스토퍼(493)는 간격조절봉(492)의 일측을 지지하여 제2 케이싱 본체(321)가 제2 지지대(430)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롱노즐 예열장치(1)는 오븐부(100)의 일측에 연통되게 배치되는 배기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배기구(500)에는 배기구(500)를 개폐하는 밸브(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배기구(500)는 오븐부(100) 내부에 체류하는 열기를 외부로 배출되게 할 수 있다.
롱노즐(60)을 상기 롱노즐 예열장치(1)로부터 취외되거나 상기 롱노즐 예열장치(1)의 유지 및 보수가 필요한 경우, 배기구(500)는 빠르게 내부에 존재하는 열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롱노즐 예열장치
50 : 슈라우드 메니 플레이트
60 : 롱노즐
100 : 오븐부 110 : 제1 하우징
120 : 제2 하우징 140 : 제2 실린더
200 : 제1 덮개부 210 : 제1 덮개
220 : 제1 케이싱 230 : 제1 고정부재
300 : 제2 덮개부 310 : 제2 덮개
320 : 제2 케이싱 330 : 제2 고정부재
400 : 구동부 410 : 제1 지지대
420 : 제1 탄성부재 430 : 제2 지지대
440 : 제2 탄성부재 450 : 제1 실린더
460 : 제1 와이어 470 : 제2 와이어
480 : 회전지지부재 490 : 간격조절부
500 : 배기구

Claims (16)

  1. 롱노즐의 하부 일영역이 내부에 배치되는 오븐부;
    상기 오븐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덮개부;
    상기 오븐부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1 덮개부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2 덮개부; 및
    상기 제1 덮개부와 상기 제2 덮개부가 상호 밀착 또는 이격되게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덮개부 및 상기 제2 덮개부 각각은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오븐부의 상면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고,
    상기 오븐부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일측에 힌지 결합을 하는 제2 하우징 및 힌지를 축으로 하여 상기 제2 하우징을 회동되게 하는 제2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하우징의 상면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덮개부는 제1 덮개 및 상기 제1 덮개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케이싱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덮개부는 제2 덮개 및 상기 제2 덮개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 케이싱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덮개 및 상기 제2 덮개는 내화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케이싱 및 상기 제2 케이싱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오븐부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1 지지대;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1 케이싱 본체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케이싱 본체를 탄성 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
    상기 오븐부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2 지지대;
    상기 제2 지지대와 상기 제2 케이싱 본체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케이싱 본체를 탄성 지지하는 제2 탄성부재;
    제1 실린더;
    일측이 상기 제1 돌기에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제1 실린더에 설치되는 제1 와이어;
    일측이 상기 제2 돌기에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제1 실린더에 설치되는 제2 와이어 및
    상기 제2 케이싱 본체가 상기 제2 지지대에 접근할 수 있는 거리를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실린더가 상기 제1 와이어와 상기 제2 와이어를 잡아 당김에 따라 상기 제1 덮개와 상기 제2 덮개는 상호 이격되고,
    상기 제1 실린더가 상기 제1 와이어와 상기 제2 와이어를 풀어줌에 따라 상기 제1 덮개와 상기 제2 덮개는 상기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제2 탄성부재에 의해 상호 밀착되는 롱노즐 예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롱노즐의 주입구에 열을 인가하는 버너를 더 포함하는 롱노즐 예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븐부 내부에서 활류하는 열류는 상기 제1 덮개부와 상기 제2 덮개부가 밀착됨에 따라 형성된 공간으로 이동된 후 상기 공간에 체류하며,
    상기 공간은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롱노즐 예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덮개는,
    반원통형으로 형성된 제1 측벽부;
    상기 제1 측벽부의 상부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1 측벽부의 하부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제1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케이싱은 상기 제1 플랜지부에 결합되는 롱노즐 예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싱은
    상기 제1 플랜지부에 결합되는 제1 케이싱 본체; 및
    상기 제1 케이싱 본체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제1 돌기를 포함하는 롱노즐 예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덮개는,
    반원통형으로 형성된 제2 측벽부;
    상기 제2 측벽부의 상부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제2 커버부; 및
    상기 제2 측벽부의 하부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케이싱은 상기 제2 플랜지부에 결합되는 롱노즐 예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싱은
    상기 제2 플랜지부에 결합되는 제2 케이싱 본체; 및
    상기 제2 케이싱 본체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제2 돌기를 포함하는 롱노즐 예열장치.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상기 제1 돌기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코일형 스프링으로 제공되고,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상기 제2 돌기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코일형 스프링으로 제공되는 롱노즐 예열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오븐부의 외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와이어 및 상기 제2 와이어가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 개의 회전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롱노즐 예열장치.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덮개부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2 하우징의 열림 상태시, 상기 제2 덮개부는 상기 상면의 아랫쪽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닫힘 상태시, 상기 제2 덮개부는 상기 상면의 위쪽에 위치하는 롱노즐 예열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부재의 탄성계수는 상기 제1 탄성부재의 탄성계수보다 큰 롱 노즐 예열장치.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븐부에는 배기구가 더 배치되며,
    상기 배기구는 상기 오븐부의 내부에 체류하는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롱노즐 예열장치.
  16. 삭제
KR1020160169542A 2016-12-13 2016-12-13 롱노즐 예열장치 KR101916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542A KR101916255B1 (ko) 2016-12-13 2016-12-13 롱노즐 예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542A KR101916255B1 (ko) 2016-12-13 2016-12-13 롱노즐 예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016A KR20180068016A (ko) 2018-06-21
KR101916255B1 true KR101916255B1 (ko) 2018-11-07

Family

ID=62806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542A KR101916255B1 (ko) 2016-12-13 2016-12-13 롱노즐 예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62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31003A (zh) * 2021-12-02 2022-03-04 山东钢铁集团日照有限公司 提高浸入式水口烘烤温度及均匀性的烘烤炉及使用方法
KR20240017631A (ko) 2022-08-01 2024-02-08 주식회사 포스코 노즐 관리장치 및 노즐 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016A (ko) 2018-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6255B1 (ko) 롱노즐 예열장치
CA1057930A (en) Pouring tube changing arrangement
JP3215868B2 (ja) 浸漬ノズルの交換装置
KR100191890B1 (ko) 개폐가능한 출탕장치
US10183326B2 (en) Slab continuous casting apparatus
EP2011591B1 (en) Apparatus for dispensing molten met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n apparatus
KR100520243B1 (ko) 용융금속용기용슬라이딩게이트밸브
JPS6045030B2 (ja) 扉式ロ−タリ−ノズル
JPS6143149B2 (ko)
KR20120011476A (ko) 연속주조를 위한 용강 공급 방법 및 용강 공급 노즐
GB1515922A (en) Bottom pouring vessel with rotary sliding gate valve for molten metal
KR900007960B1 (ko) 슬라이딩 게이트 벨브
KR101942923B1 (ko) 침지노즐 보온장치
JP2001219265A (ja) 溶湯容器用蓋のシール装置
KR20150108674A (ko) 용해로의 덮개 자동 개폐장치
US20180292134A1 (en) Hybrid metal melting furnace
KR100657572B1 (ko) 침지노즐 예열장치
US4256291A (en) Three-positions sliding gate valve
KR100530326B1 (ko) 쉬라우드노즐 상부버너 예열장치
JPS636798B2 (ko)
JPH0438506B2 (ko)
KR20100050855A (ko) 연속 주조용 침지 노즐의 예열 장치
KR101917299B1 (ko) 슬라이드 게이트의 면압풀림 방지장치
USRE27237E (en) Refractory closure member for bottom four vessels
KR960010244B1 (ko) 용융금속 유량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