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2177B1 -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 선반 이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 선반 이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2177B1
KR101942177B1 KR1020170027407A KR20170027407A KR101942177B1 KR 101942177 B1 KR101942177 B1 KR 101942177B1 KR 1020170027407 A KR1020170027407 A KR 1020170027407A KR 20170027407 A KR20170027407 A KR 20170027407A KR 101942177 B1 KR101942177 B1 KR 101942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weight
shelves
button
smart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7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0913A (ko
Inventor
백지원
이소정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27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2177B1/ko
Publication of KR20180100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0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47B63/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with parts, e.g. trays, card containers, movable on pivots or on chains or belts
    • A47B63/067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with parts, e.g. trays, card containers, movable on pivots or on chains or belts with a noria lif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9/00Revolving cabinets or racks; Cabinets or racks with revolving parts
    • A47B49/008Revolving cabinets or racks; Cabinets or racks with revolving parts with motoris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04M1/7253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 선반 이동 시스템이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수개의 선반이 내장될 수 있도록 소정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모터부에 연결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양 단에 설치되고 소정 길이의 레일이 회전 가능하게 감겨진 회전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선반은 고정수단을 매개로 상기 레일에 각각 고정 결합되고, 상기 복수개의 선반에는 상기 선반 상에 놓여지는 물체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와 상기 선반이 지면에 대한 높이를 측정할 수 있는 위치감지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모터부의 작동 여부와 상기 무게감지센서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에 의해 센싱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앱(APP)이 설치된 스마트폰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 선반 이동 시스템{System for automatic moving shelf based on smart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 선반 이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선반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 선반 이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책꽂이 또는 선반들은 겹치면 앞쪽에 있는 책꽂이는 사용 가능 하지만, 뒤쪽에 있는 책꽂이는 사용을 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선행기술로 나온 회전식 책꽂이들은 책이 많으면 책이 많은 쪽이 무거워 져서 기울어지거나, 쓰러지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고, 책이 많으면 힘이 약한 노약자들이 책을 못 찾을 수도 있다.
이런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한 선행기술들은 작은 힘으로도 무거운 책들을 쉽게 옮길 수 있고 안전한 톱니바퀴를 응용한 회전식 책꽂이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책꽂이 또는 선반을 사용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에서는 책꽂이의 높낮이 때문에 불편함을 느끼는 사람들이 대다수였다.
이러한 불편함은 성별이나 키에 상관없이 나타났으며, 일반적으로 책꽂이가 너무 높아서 불편하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낮은 선반에 닿기 위해 손을 뻗거나 허리를 숙이는 것 또한 많은 사용자들의 불만으로 지적되었다.
KR 1998-020663 (1998.06.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인 선반의 이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함은 물론 스마트폰과 연동시켜 자동으로 선반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 선반 이동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 선반 이동 시스템이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수개의 선반이 내장될 수 있도록 소정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모터부에 연결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양 단에 설치되고 소정 길이의 레일이 회전 가능하게 감겨진 회전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선반은 고정수단을 매개로 상기 레일에 각각 고정 결합되고, 상기 복수개의 선반에는 상기 선반 상에 놓여지는 물체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와 상기 선반이 지면에 대한 높이를 측정할 수 있는 위치감지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모터부의 작동 여부와 상기 무게감지센서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에 의해 센싱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앱(APP)이 설치된 스마트폰을 포함한다.
상기 모터부에는 상기 스마트폰에서 발송된 작동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회전축이 회전되어 상기 복수개의 선반 각각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 실행시,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무게감지센서의 신호를 센싱받아 상기 복수개의 선반 각각의 무게를 표시하는 선반무게알림버튼이 표시되고, 상기 선반무게알림버튼의 실행시 상기 복수개의 선반 각각의 무게가 표시되는 개별선반무게버튼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 실행시,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모터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모터작동버튼이 표시되고, 상기 모터작동버튼의 실행시 상기 레일이 회전하여 선반의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선반 각각의 개별선반무게버튼의 실행시 모터부의 작동에 의해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에 해당 선반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 실행시,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위치감지센서의 신호를 센싱받아 상기 복수개의 선반 각각의 위치를 표시하는 선반위치알림버튼이 표시되고, 상기 선반위치알림버튼의 실행시 상기 복수개의 선반 각각의 위치가 표시되는 개별선반위치버튼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선반 각각의 개별선반위치버튼의 실행시 모터부의 작동에 의해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에 해당 선반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별선반무게버튼에서는 최저의 무게를 나타내는 선반과 최고의 무게를 나타내는 선반의 색깔이 구별되도록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인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 선반 이동 시스템에 의한다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가 구현된다.
첫째, 선반 이용시 불편함이 해소되고, 버려지는 선반 없이 모든 선반을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선반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선반에 적절한 양의 물건이나 책을 놓을 수 있어 선반의 기대수명이 증가되며, 공간 활용이 극대화 되는 등 다양한 효과가 구현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인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 선반 이동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는 선반 이동 시스템을 구현한 도면,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선반 이동 시스템이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구현될 수 있는 전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의 실행시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인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 선반 이동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인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 선반 이동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는 선반 이동 시스템을 구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선반 이동 시스템이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구현될 수 있는 전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크게 케이스(100), 모터부(400), 회전축(300), 회전플레이트(500), 무게감지센서(710), 위치감지센서(720),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700)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는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고, 양 측면 플레이트와 상, 하 측면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100)는 반드시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케이스(100) 내부에는 복수개의 선반(200, 200a, 200b)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100)를 형성하는 양 측면 플레이트의 상측와 하측에는 케이스(10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300)(도 3 참조)이 설치되고, 이 회전축(300)에는 케이스(100)의 외부에 마련된 모터부(400)가 연결된다.
회전플레이트(500)는 회전축(300)의 양 단에 설치되고 소정 길이의 레일(600)이 회전 가능하게 감겨져 있다.
회전플레이트(500)는 원반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소정 길이의 레일(600)은 이 회전플레이트(500)의 원주면의 일부분에 감겨져 있으며, 회전플레이트(500)의 회전에 따라 레일(600)은 이동하게 된다.
한편, 복수개의 선반(200)은 고정수단(610)을 매개로 상기 레일(600)에 각각 고정 결합된다.
고정수단(610)은 복수개의 볼트로 구현되어 각각의 선반(200)이 레일(600)에 결합될 수도 있고, 선반(200)과 레일(600)이 접하는 곳에 면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고정수단(610)은 레일(600)에 각각의 선반(200)이 고정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구조 및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선반(200) 각각에는 선반(200) 상에 놓여지는 물체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710)가 설치된다.
무게감지센서(710)는 일반적인 구성이라 여기서는 생략하고, 이 무게감지센서(710)에 의해 선반(200)상에 놓여진 물건 또는 책 등의 무게를 감지한 후 그 센싱된 정보를 이하 후술할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700)으로 전송된다.
또한, 각각의 선반(200)이 지면에 대한 높이를 측정할 수 있는 위치감지센서(720)가 더 설치되는데, 예를 들면 지면에 대해 적외선을 방사한 뒤 되돌아 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 등이 있으며, 이러한 위치감지센서(720)는 일반적인 구성인바 여기서는 생략한다.
한편, 모터부(400)의 작동 여부와 무게감지센서(710) 및 위치감지센서(720)에 의해 센싱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앱(APP)이 설치된 스마트폰(700)을 포함한다.
즉, 이하 구체적으로 후술하겠지만 스마트폰(700)에 설치된 앱을 실행하게 되면 무게감지센서(710)에 의해 센싱된 각각의 선반(200) 무게 정보값과 위치감지센서(720)에 의해 센싱된 각각의 선반 위치 정보값을 수신받게 된다.
또한, 스마트폰(700)에 설치된 앱을 실행한 후 별도의 조작을 통해 모터부(400)의 작동을 제어하여 원하는 위치에 선반(200)이 놓일 수 있도록 작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모터부(400)에는 스마트폰(700)에서 발송된 작동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모터부(400)의 작동에 의해 회전축(300)이 회전되어 복수개의 선반(200) 각각의 높이가 조절된다.
이를 통해 육안으로 놓인 물건이 많지 않은 선반(200)을 사용자의 눈높이 또는 사용하기 편한 위치로 스마트폰(700)의 간단한 조작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러한 작동은 특히 몸이 불편한 노인 또는 장애인에게는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스마트폰(700)에 설치된 앱의 실행시 스마트폰(700)의 디스플레이부(730)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700)에는 선반의 위치, 선반의 무게 및 모터부(4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는 앱(APP)이 설치된다.
이 앱을 실행하게 되면, 스마트폰(700)의 디스플레이부(730)에는, 무게감지센서(710)의 신호를 센싱받아 복수개의 선반 각각의 무게를 표시하는 선반무게알림버튼(740)이 표시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무게알림버튼(740)을 실행하게 되면 복수개의 선반 각각의 무게가 표시되는 개별선반무게버튼(741)이 디스플레이부(730)에 표시된다.
이 개별선반무게버튼(741)에는 각각의 선반 무게가 표시되고(물론 각각의 선반에는 사용자가 지정한 선반 번호가 표시되어 있음), 그 무게를 사용자가 보고 적당한 선반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올 수 있도록 모터 작동 버튼을 클릭하여 선반의 위치를 조절한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700)에 설치된 앱 실행시, 스마트폰(700)의 디스플레이부(730)에는, 모터부(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모터작동버튼(760)이 표시되고, 모터작동버튼(760)의 실행시 레일(600)이 회전하여 선반(200)의 위치가 조절된다.
이때, 개별선반무게버튼(741)에서는 최저의 무게를 나타내는 선반과 최고의 무게를 나타내는 선반(200)의 색깔이 구별되도록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무게가 가장 적게 나가는 선반(200)을 나타내는 버튼은 흰색 버튼으로 표시되고, 무게가 가장 많이 나가는 선반(200)을 나타내는 버튼은 적색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무게가 가장 적게 나가는 선반(200)을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 무게가 많이 나가는 선반(200)을 쉽게 찾아 그 선반(200)에 놓인 물건이나 책을 다른 선반(200)으로 옮김으로써 선반(200)의 사용 수명을 늘릴 수 있는 효과가 구현된다.
이때, 무게가 많이 나갈수록 개별선반무게버튼(741)은 점점 농도가 짙은 적색으로 변해감이 바람직하다.
한편, 디스플레이부(730)에 표시된 선반(200) 각각의 개별선반무게버튼(741)의 실행시 모터부(400)의 작동에 의해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에 해당 선반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사용자가 도 4에 도시된 모터작동버튼(760)을 누르지 않더라도 도 5에 도시된 개별선반무게버튼(741)을 누르게 되면 설정된 위치에 선택된 선반이 이동하도록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쉽게 선반에 물건이나 책을 놓을 수 있는 위치를 미리 설정하여 앱에 저장할 수 있으며, 위치감지센서(720)에 의해 센싱된 정보를 바탕으로 모터부(400)가 작동하여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위치로 선반이 이동하게끔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700)에 설치된 앱 실행시, 스마트폰(700)의 디스플레이부(730)에는, 위치감지센서(720)의 신호를 센싱받아 복수개의 선반 각각의 위치를 표시하는 선반위치알림버튼(750)이 표시된다.
이때, 선반위치알림버튼(750)의 실행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선반 각각의 위치가 표시되는 개별선반위치버튼(751)이 디스플레이부(730)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 1은 지면으로부터 40cm 위치에 있고, 선반 4의 경우 지면으로부터 2m 높이에 위치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730)에 표시된 선반 각각의 개별선반위치버튼(751)의 실행시 모터부(400)의 작동에 의해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에 해당 선반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도 4에 도시된 모터작동버튼(760)을 누르지 않더라도 도 6에 도시된 개별선반위치버튼(751)을 누르게 되면 설정된 위치에 선택된 선반이 이동하도록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쉽게 선반에 물건이나 책을 놓을 수 있는 위치를 미리 설정하여 앱에 저장할 수 있으며, 위치감지센서(720)에 의해 센싱된 정보를 바탕으로 모터부(400)가 작동하여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위치로 선반이 이동하게끔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100 : 케이스 200 : 선반
300 : 회전축 400 : 모터부
500 : 회전플레이트 600 : 레일
700 : 스마트폰

Claims (8)

  1. 복수개의 선반이 내장될 수 있도록 소정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모터부에 연결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양 단에 설치되고 소정 길이의 레일이 회전 가능하게 감겨진 회전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선반은 고정수단을 매개로 상기 레일에 각각 고정 결합되고, 상기 복수개의 선반에는 상기 선반 상에 놓여지는 물체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와 상기 선반이 지면에 대한 높이를 측정할 수 있는 위치감지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모터부의 작동 여부와 상기 무게감지센서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에 의해 센싱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앱(APP)이 설치된 스마트폰을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 실행시,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모터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모터작동버튼이 표시되고, 상기 모터작동버튼의 실행시 상기 레일이 회전하여 선반의 위치가 조절되되,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 실행시,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무게감지센서의 신호를 센싱받아 상기 복수개의 선반 각각의 무 게를 표시하는 선반무게알림버튼이 표시되고,
    상기 선반무게알림버튼의 실행 시 상기 복수개의 선반 각각의 무게가 표시되는 개별선반무게버튼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선반 각각의 개별선반무게버튼의 실행 시 모터부의 작동에 의해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에 해당 선반이 이동되며,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 실행시,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위치감지센서의 신호를 센싱받아 상기 복수개의 선반 각각의 위치를 표시하는 선반위치알림버튼이 표시되고, 상기 선반위치알림버튼의 실행시 상기 복수개의 선반 각각의 위치가 표시되는 개별선반위치버튼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선반 각각의 개별선반위치버튼의 실행시 모터부의 작동에 의해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에 해당 선반이 이동되고,
    상기 개별선반무게버튼에서는 최저의 무게를 나타내는 선반과 최고의 무게를 나타내는 선반의 색깔이 구별되도록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 선반 이동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에는 상기 스마트폰에서 발송된 작동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회전축이 회전되어 상기 복수개의 선반 각각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 선반 이동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70027407A 2017-03-03 2017-03-03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 선반 이동 시스템 KR101942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407A KR101942177B1 (ko) 2017-03-03 2017-03-03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 선반 이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407A KR101942177B1 (ko) 2017-03-03 2017-03-03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 선반 이동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0913A KR20180100913A (ko) 2018-09-12
KR101942177B1 true KR101942177B1 (ko) 2019-01-24

Family

ID=63592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407A KR101942177B1 (ko) 2017-03-03 2017-03-03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 선반 이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21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08306B (zh) * 2018-09-29 2020-08-11 陈钇帆 一种可调高的书柜
CN109156960A (zh) * 2018-11-08 2019-01-08 刘诗羽 学生专用文具整理装置
KR102347715B1 (ko) * 2019-09-09 2022-01-06 (주)가구뱅크 스마트 가구받침
CN113598543B (zh) * 2021-08-27 2023-10-20 台州市豪力实业有限公司 一种便于分类和固定图书的图书馆管理用图书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879B1 (ko) * 2008-05-19 2008-12-10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강재 적치관리 시스템
KR101117228B1 (ko) * 2011-07-12 2012-03-16 주식회사 금강모빌랙 스마트 모빌랙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5006Y1 (ko) 1996-10-15 1999-06-15 최진호 진공청소기의 커버 개폐장치
KR100591032B1 (ko) * 2003-06-02 2006-06-22 임용택 신발장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879B1 (ko) * 2008-05-19 2008-12-10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강재 적치관리 시스템
KR101117228B1 (ko) * 2011-07-12 2012-03-16 주식회사 금강모빌랙 스마트 모빌랙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0913A (ko) 2018-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2177B1 (ko)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 선반 이동 시스템
KR101453054B1 (ko) 하이브리드형 미니 피시 스마트 테이블 시스템
KR101487391B1 (ko) 무선 줄넘기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KR102464286B1 (ko) 가구 또는 디바이스를 위한 안정화 디바이스
KR20170141001A (ko) 기능성 테이블 및 테이블 제어 시스템
CN107849893B (zh) 具有居住环境改善功能的窗户
KR101480326B1 (ko) 장애인을 위한 키오스크 장치 및 그 화면 운영 방법
JP2001204703A5 (ko)
US20140326517A1 (en) Interactive scale
US2020016770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the use of furniture items
JP5640023B2 (ja) ベッド装置の手元操作装置
CN105823544B (zh) 一种重症监护室内的病人测重装置
US20140269215A1 (en) Chair timer
US11600162B2 (en) Hospital bed exit detection method and system
JP2017182550A5 (ko)
EP2408350B1 (en)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and presenting eating rate
KR20160065601A (ko) 발달장애 재활을 위한 운동치료시스템
KR101893685B1 (ko)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이동식 선반이 구비된 책장
CN102915606A (zh) 自习室空座位智能显示系统
KR20160015808A (ko) 무선 줄넘기 장치를 이용한 생체정보 획득 및 이를 통한 운동관리 방법
CN203981118U (zh) 一种测量钢板垛高度的检测装置
US20210108967A1 (en) TempTech
CN203576047U (zh) 一种多功能教室椅子
KR101452196B1 (ko)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
KR101416919B1 (ko) 벤치 프레스와, 이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