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7715B1 - 스마트 가구받침 - Google Patents

스마트 가구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7715B1
KR102347715B1 KR1020190111326A KR20190111326A KR102347715B1 KR 102347715 B1 KR102347715 B1 KR 102347715B1 KR 1020190111326 A KR1020190111326 A KR 1020190111326A KR 20190111326 A KR20190111326 A KR 20190111326A KR 102347715 B1 KR102347715 B1 KR 102347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eight
furniture
control unit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9977A (ko
Inventor
허인철
Original Assignee
(주)가구뱅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가구뱅크 filed Critical (주)가구뱅크
Priority to KR1020190111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715B1/ko
Publication of KR20210029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9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47B91/022Adjustable feet using screw means
    • A47B91/024Foot attached to a rotating bolt supported in an internal 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 A47B2200/0098Detached foot rests for under des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예컨대, 식탁, 의자, 장농, 장식장, TV다이 등)는 물론 대형 가전제품(대형 TV, 에어컨, 냉장고 등)의 하부와 바닥면 사이에 위치되며, 바닥면 과의 이격거리를 자동으로 센싱한 결과를 토대로 가구 또는 대형 가전제품의 하부면이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자동으로 높이가 조절됨으로써, 평평하지 않은 바닥면이나 고르지 않은 바닥면에서도 가구 또는 대형 가전제품이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가구받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가구받침{SMART APPARATUS FOR SUPPORTING FURNITURE}
본 발명은 스마트 가구받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구(예컨대, 식탁, 의자, 장농, 장식장, TV다이 등)는 물론 대형 가전제품(대형 TV, 에어컨, 냉장고 등)의 하부와 바닥면 사이에 위치되며, 바닥면 과의 이격거리를 자동으로 센싱한 결과를 토대로 가구 또는 대형 가전제품의 하부면이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자동으로 높이가 조절됨으로써, 평평하지 않은 바닥면이나 고르지 않은 바닥면에서도 가구 또는 대형 가전제품이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가구받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寢臺), 소파(sofa), 책상, 의자, 장식장 등과 같은 가구에는, 바닥 모서리면에는 바닥면에 이들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가구용 받침장치는, 통상적으로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부 및 가구의 저면에 고정되는 지지판 및 상기 몸체의 하단부에 체결되는 받침부재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가구는 놓여지는 장소의 바닥이 평평하지 못하거나 수평 상태가 아닐 때, 가구의 넘어짐 현상 및 뒤 틀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또한 바닥에서부터 소정높이로 가구를 위치시키기 위하여, 가구의 다리 또는 수직프레임 또는 지지프레임 등에 수평 및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가구용 높이조절수단은, 가구의 수평을 맞추어 가구에 형성된 도어 등의 구조물이 올바르게 작동하도록 하여 사용수명 및 사용상 편의성을 증대하기 위한 것으로, 가구의 다리부분에 암나사를 구비한 너트부가 설치되고, 상기 너트부에 나사결합되어 나사조절되면서 가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볼트부로 이루어져있다.
하지만, 종래의 이러한 높이조절수단의 경우, 사용자가 직접 무거운 가구 등을 들어준 상태에서 높이조절수단을 수동으로 일일히 돌려주어야 한다는 번거로움과, 높이조절수단이 가구의 다리하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몸을 바닥면 쪽으로 숙여야 한다는 불편함도 가지고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13619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구(예컨대, 식탁, 의자, 장농, 장식장, TV다이 등)는 물론 대형 가전제품(대형 TV, 에어컨, 냉장고 등)의 하부와 바닥면 사이에 위치되며, 바닥면 과의 이격거리를 자동으로 센싱한 결과를 토대로 가구 또는 대형 가전제품의 하부면이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자동으로 높이가 조절됨으로써, 평평하지 않은 바닥면이나 고르지 않은 바닥면에서도 가구 또는 대형 가전제품이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가구받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가구받침은 가구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연장다리 각각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본체, 각각의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와 바닥면 간의 이격거리를 센싱하는 센서 및 각각의 상기 센서로부터 이격거리를 센싱한 결과값을 수신한 후, 각각의 상기 본체의 하부면이 상기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본체의 높이를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는 유압식 리프트 방식 또는 공압식 리프트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의 하부면을 밀어줌으로써 상기 본체가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으로 상승되도록 하거나, 또는 랙 앤 피니언 기어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의 하부면을 밀어줌으로써 상기 본체가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으로 상승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와 바닥면 간의 이격거리를 센싱한 결과값을 무선 네트워크 통신방식을 통해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조작수단을 통해 사용로부터 상기 본체의 높이 조절을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은 후, 입력된 조작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본체의 높이를 조정하거나, 또는 무선 네트워크 통신 방식을 통해 연결된 사용자 단말에 상기 결과값을 전송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조작신호를 토대로 상기 본체의 높이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조작수단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자동 높이 조절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각각의 상기 센서 별 결과값을 토대로, 모든 상기 본체의 하부면이 상기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각각의 상기 본체의 높이를 전체적으로 조정하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바닥면 과의 이격거리를 자동으로 센싱한 결과를 토대로 가구 또는 대형 가전제품의 하부면이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자동으로 높이가 조절됨으로써, 평평하지 않은 바닥면이나 고르지 않은 바닥면에서도 가구 또는 대형 가전제품이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각각의 본체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고, 또한 바닥면과의 이격거리를 토대로 본체의 높이를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가구 혹은 대형 가전제품을 원하는 위치에 위치만 시킨 상태에서 몸을 숙이거나 별도의 기어를 돌려주어야 하는 등의 번거로운 과정을 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을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각각의 본체에 구비되는 센서는 바닥면과의 이격거리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기 때문에, 가구 혹은 대형 가전제품의 위치가 변경되어 본체와 바닥면 간에 이격거리가 발생하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본체의 높이가 자동적으로 수정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가구받침(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센서(120)에서 본체(110)와 바닥면 간의 이격거리를 센싱한 결과를 토대로, 제어부에서 본체(110)의 높이를 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사용자 조작수단을 통해 사용로부터 본체의 높이 조절을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은 후, 입력된 조작신호를 바탕으로 본체의 높이를 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조작신호를 토대로 본체의 높이를 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가구받침(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센서(120)에서 본체(110)와 바닥면 간의 이격거리를 센싱한 결과를 토대로, 제어부에서 본체(110)의 높이를 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가구받침(100)은 크게 본체(110), 센서(12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체(110)는 가구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다리 각각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여기에서, 가구라 함은 예컨대, 식탁, 의자, 장농, 장식장, TV다이는 물론이고, TV, 에어컨, 냉장고 등과 같은 대형 가전제품을 모두 통칭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탁, 의자 등은 하측 방향으로 대략 4개 정도의 다리가 존재하며,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가구받침(100)은 이러한 다리의 하측과 바닥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발명에 따른 스마트 가구받침(100)은 장농, 장식장, TV다이, TV, 에어컨, 냉장고 등의 하측과 바닥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 가구받침(100)이 가구의 다리 하부와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또는 장농, 장식장, TV다이, TV, 에어컨, 냉장고 등의 하측에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도 있다.
이러한 본체(110)의 상부면은 앞서 살펴본 가구 혹은 대형 가전제품의 하부면이 안착 및 거치되기 위한 안착면이 형성되고, 하부는 바닥면과 밀착되기 위한 밀착면이 형성된다.
이때, 본체(110)의 내측에는 유압식 리프트 방식의 구조물 또는 공압식 리프트 방식 구조물 중 어느 하나의 구조물이 마련됨에 따라, 이를 통해 본체(110)의 하측부를 바닥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밀어주게 된다. 따라서, 본체의 높이가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조정된다.
뿐만 아니라,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체(110)의 내측에 랙 앤 피니언 기어 구조물이 마련됨에 따라, 이를 통해 마찬가지로 본체(110)의 하측부를 바닥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러한 본체(110)의 높이 조정은 후술되는 센서(120)의 센싱 결과를 기초로 하여 제어부의 영향을 받게 되는데, 이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센서(120)는 각각의 본체(110)에 마련되며, 본체(110)와 바닥면 간의 이격거리를 실시간으로 센싱한 후, 이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센서(120)는 초음파를 이용한 거리측정 센서 혹은 레이저를 이용한 거리측정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체(110)에는 센서(120)를 통해 이격거리를 센싱한 결과값을 무선 네트워크 통신방식을 통해 제어부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미도시)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에서는 각각의 본체(110) 별로 바닥면과의 이격거리를 센싱한 결과값을 독립적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각각의 본체(110)의 높이는 제어부에 의해 독립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제어부는 각각의 센서(120)를 통해 센싱된 이격거리에 대한 결과값을 수신한 후, 각각의 본체(110)의 하부면을 바닥면 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본체(110)와 바닥면이 서로 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크게 2가지 형태로 마련되는데, 이에 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사용자 조작수단을 통해 사용로부터 본체의 높이 조절을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은 후, 입력된 조작신호를 바탕으로 본체의 높이를 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고, 도 4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조작신호를 토대로 본체의 높이를 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살펴보면, 제어부는 가구 혹은 대형 가전제품의 일측에 위치하는 사용자 조작수단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본체(110)의 높이 조절을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은 후, 입력된 조작신호를 바탕으로 본체(110)의 높이를 조정하게 된다. 여기에서, 사용자 조작수단이라 함은 사용자의 터치 동작 혹은 선택 동작을 입력받기 위한 조작버튼 혹은 터치 스크린을 의미할 수 있다.
즉, 가구 혹은 대형 가전제품이 바닥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센서(120)에서는 각각의 본체(110)의 하부면과 바닥면 간의 이격거리를 센싱하게 되고, 센싱한 결과값을 제어부로 전송하게 된다.
제어부에서는 각각의 센서(120)들로부터 전송되는 결과값을 토대로, 현재 가구 혹은 대형 가전제품의 하부에 위치한 각각의 본체(110)와 바닥면 간의 이격 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만약, 도 3을 기준으로 1번 내지 3번 본체의 하부면은 바닥면과 완전히 밀착된 상태에 해당하는데 4번 본체의 하부면이 바닥면과 닿지 않은 경우, 제어부에서는 해당 4번 본체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결과값을 토대로 현재 4번 본체와 바닥면 사이에 이격거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렇게 판단된 결과는 별도의 모니터 혹은 스크린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사용자는 모니터 혹은 스크린 장치를 통해 출력된 내용을 통해 현재 4번 본체 영역이 바닥면과 밀착되지 않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사용자 조작수단의 버튼을 누르거나 혹은 터치하는 동작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제어부에서는 해당 4번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유압식 리프트 구조물, 공압식 리프트 구조물 또는 랙 앤 피니언 기어 구조물을 이용하여 본체의 바닥면을 하부 방향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때, 본체의 바닥면은 센서를 통해 센싱된 거리만큼 정확히 내려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4개의 본체가 모두 바닥면과 안정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4를 살펴보면, 제어부는 무선 네트워크 통신 방식을 통해 연결된 사용자 단말(예컨대, 스마트폰 등)에 센서(120)을 통해 센싱된 결과값을 전송한 후,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조작신호를 토대로 본체(110)의 높이를 조정하게 된다. 여기에서, 조작신호라 함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별도의 응용 프로그램(APP)을 통해 전송되는 본체(11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신호를 의미한다.
즉, 가구 혹은 대형 가전제품이 바닥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센서(120)에서는 각각의 본체(110)의 하부면과 바닥면 간의 이격거리를 센싱하게 되고, 센싱한 결과값을 제어부로 전송하게 된다.
제어부에서는 각각의 센서(120)들로부터 전송되는 결과값을 토대로, 현재 가구 혹은 대형 가전제품의 하부에 위치한 각각의 본체(110)와 바닥면 간의 이격 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에서는 각각의 센서(120)들로부터 전송되는 결과값을 무선 네트워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게 되고, 사용자 단말의 화면 상에는 각각의 센서(120)들로부터 전송된 결과값이 출력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의 화면 상에는 각각의 본체(110)와 바닥면 간의 이격 거리가 mm단위 혹은 cm단위 등으로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해당 화면을 토대로 현재 가구 혹은 대형 가전제품의 하부에 위치한 각각의 본체(110)와 바닥면 간의 이격 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출력된 내용을 토대로 현재 어떠한 본체가 바닥면과 밀착되지 않은지 여부를 인지할 수 있고,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바닥면과 밀착되지 않은 본체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게 된다. 그에 따라 제어부에서는 해당 신호를 토대로 바닥면과 밀착되지 않은 본체(1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유압식 리프트 구조물, 공압식 리프트 구조물 또는 랙 앤 피니언 기어 구조물을 이용하여 본체의 바닥면을 하부 방향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때, 본체의 바닥면은 센서를 통해 센싱된 거리만큼 정확히 내려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4개의 본체가 모두 바닥면과 안정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는 사용자 조작수단 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자동 높이 조절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각각의 센서(120) 별 결과값을 모두 수신한 후, 모든 본체의 하부면이 바닥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각각의 본체의 높이를 모두 자동으로 조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조작수단에 마련된 높이조정 자동맞춤 메뉴 혹은 버튼이 선택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높이조정 자동맞춤 메뉴가 선택될 경우, 가구 혹은 대형 가전제품이 바닥에 안착 및 위치됨과 동시에 다수의 센서(120)에서는 바닥면과의 이격 거리를 자동으로 센싱하게 된다. 그에 따라 제어부에서는 다수의 센서(120)로부터 센싱된 결과를 토대로 모든 본체(110)의 높이를 조정하여 바닥면과 정확히 밀착되도록 한다.
만약, 이 상태에서 가구 혹은 대형 가전제품의 위치가 조정되어 특정 본체와 바닥면 간의 이격거리가 발생할 경우, 해당 본체에 마련된 센서에서 실시간으로 센싱한 결과값이 제어부로 전송됨에 따라 제어부에서는 해당 본체와 바닥면 간의 밀착상태가 실시간으로 수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스마트 가구받침
110: 본체
120: 센서
130: 제어부

Claims (5)

  1. 가구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연장다리 각각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본체;
    각각의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초음파를 이용한 거리측정 센서 또는 레이저를 이용한 거리측정 센서가 적용되며, 상기 본체와 바닥면 간의 이격거리를 센싱하는 센서; 및
    각각의 상기 센서로부터 이격거리를 센싱한 결과값을 수신한 후, 각각의 상기 본체의 하부면이 상기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본체의 높이를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유압식 리프트 방식 또는 공압식 리프트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의 하부면을 밀어줌으로써 상기 본체가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으로 상승되도록 하거나, 또는 랙 앤 피니언 기어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의 하부면을 밀어줌으로써 상기 본체가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으로 상승되도록 하고,
    각각의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와 바닥면 간의 이격거리를 센싱한 결과값을 무선 네트워크 통신방식을 통해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한 결과를 별도의 스크린 장치에 제공하여, 상기 스크린 장치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는 터치 동작 혹은 선택 동작을 입력받기 위한 터치 스크린에 해당하는 사용자 조작수단을 통해 사용로부터 상기 본체의 높이 조절을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은 후, 입력된 조작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본체의 높이를 조정하거나, 또는 무선 네트워크 통신 방식을 통해 연결된 사용자 단말에 상기 결과값을 전송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조작신호를 토대로 상기 본체의 높이를 조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조작수단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자동 높이 조절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각각의 상기 센서 별 결과값을 토대로, 모든 상기 본체의 하부면이 상기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각각의 상기 본체의 높이를 전체적으로 조정하며, 또한 상기 가구의 위치가 조정되어 특정 본체와 바닥면 간의 이격거리가 발생할 경우, 해당 본체에 마련된 센서에서 실시간으로 센싱한 결과값이 상기 제어부로 전송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서 해당 본체와 바닥면 간의 밀착상태가 실시간으로 수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가구받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11326A 2019-09-09 2019-09-09 스마트 가구받침 KR102347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326A KR102347715B1 (ko) 2019-09-09 2019-09-09 스마트 가구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326A KR102347715B1 (ko) 2019-09-09 2019-09-09 스마트 가구받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9977A KR20210029977A (ko) 2021-03-17
KR102347715B1 true KR102347715B1 (ko) 2022-01-06

Family

ID=75245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326A KR102347715B1 (ko) 2019-09-09 2019-09-09 스마트 가구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71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19311A (zh) 2016-07-06 2016-09-07 上海雅风企业发展有限公司 一种智能升降桌
KR101941268B1 (ko) * 2017-08-21 2019-01-22 주식회사 유디시스템 높이 조절용 싱크대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0399A (ja) * 1995-10-17 1997-04-28 Copyer Co Ltd 機器の自動昇降装置
KR101793087B1 (ko) * 2015-04-03 2017-12-01 (주)매직에코 전동책상 어셈블리
KR101942177B1 (ko) * 2017-03-03 2019-01-2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 선반 이동 시스템
KR102118514B1 (ko) 2017-06-14 2020-06-03 김종원 가구 받침다리
KR102021375B1 (ko) * 2017-11-28 2019-11-0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평조절이 용이한 적응형 의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19311A (zh) 2016-07-06 2016-09-07 上海雅风企业发展有限公司 一种智能升降桌
KR101941268B1 (ko) * 2017-08-21 2019-01-22 주식회사 유디시스템 높이 조절용 싱크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9977A (ko) 202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0337B2 (en) Intelligent office furnishings
US10126731B2 (en) Height-adjustable table using eye detection
US11395542B2 (en) Smart desk and chair
US10470562B2 (en) Electrically adjustable piece of furniture
US11089865B2 (en) Synchronized monitor mount and desk height adjustment system
US10786087B2 (en) Electric bed with independent adjusting device for waist rest
US20200146440A1 (en) Workstation controller for a power-actuated workstation
US11553789B2 (en) Synchronized monitor mount and desk height adjustment system
AU2018284205A1 (en) Workstation management system
US20100295354A1 (en) Chair adapted to adjust according to person's sitting-posture vertebral curve (i)
KR102347715B1 (ko) 스마트 가구받침
CN211093439U (zh) 一种防倾倒装置及家用电器
KR102086623B1 (ko) 수평조절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 가구장치
KR102021375B1 (ko) 수평조절이 용이한 적응형 의자
KR20180047262A (ko) 높낮이 자동 조절을 지원하는 터치 테이블 및 그 동작 방법
US20130112821A1 (en) Self adjusting furniture stabilising device
KR101666281B1 (ko) 승강테이블
CN203656522U (zh) 多功能计算机显示屏支架
KR200237688Y1 (ko) 높이 조절용 텔레비젼 받침대
KR101791659B1 (ko) 4개의 지지점을 구비한 가구
CN108451215A (zh) 一种多功能椅子
CN210810109U (zh) 一种家庭用智能沙发
JP2002345690A (ja) 使用者に対する便器の高さ位置調整装置
WO2018203463A1 (ja) 電動家具
CN205285973U (zh) 一种自动炒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