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739B1 - 연료 전지 스택 - Google Patents

연료 전지 스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739B1
KR101941739B1 KR1020150158043A KR20150158043A KR101941739B1 KR 101941739 B1 KR101941739 B1 KR 101941739B1 KR 1020150158043 A KR1020150158043 A KR 1020150158043A KR 20150158043 A KR20150158043 A KR 20150158043A KR 101941739 B1 KR101941739 B1 KR 101941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cell stack
fuel cell
plate
corro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8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8034A (ko
Inventor
다이스케 간노
마코토 요시다
도모오 요시즈미
유 모리모토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58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8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84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characterised by external manifolds
    • H01M2/3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06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67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having heating or cooling means, e.g. heaters or coolant flow chann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4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membrane-electrode assemblies [M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1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solid or matrix-supported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02E60/521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세퍼레이터에 부식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연료 전지 스택을 제공한다.
막 전극 접합체(MEA)와 해당 막 전극 접합체(MEA)를 끼움 지지하는 세퍼레이터(18)를 구비하는 셀(9)을 복수 적층한 셀 적층체(10)의 양단부에, 터미널(20)을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연료 전지 스택이며, 셀 적층체(10)에 있어서의 고전위측의 메탈 세퍼레이터(18a)와 정극 터미널(20a) 사이에 배치되고, 세퍼레이터(18a)보다 귀한 재료를 표면에 갖는 방청 플레이트(4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연료 전지 스택{FUEL CELL STACK}
본 발명은, 연료 전지 스택에 관한 것이다.
고체 고분자형 연료 전지(PEMFC)는, 막 전극 접합체(MEA:Membrane-Electrode Assembly)와 세퍼레이터를 적층한 것으로부터 구성된다. MEA는, 이온 교환막으로 이루어지는 전해질막과 이 전해질막의 일면에 배치된 촉매층으로 이루어지는 전극(애노드, 연료극) 및 전해질막의 타면에 배치된 촉매층으로 이루어지는 전극(캐소드, 공기극)으로 이루어진다.
세퍼레이터는 발전 영역에 있어서, 애노드에 연료 가스(수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가스 유로와, 캐소드에 산화 가스(산소, 통상은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산화 가스 유로와, 냉매를 흐르게 하기 위한 냉매 유로를 갖는다. 세퍼레이터는 비발전 영역에 있어서, 연료 가스 매니폴드, 산화 가스 매니폴드, 냉매 매니폴드를 갖는다.
상기 MEA와 세퍼레이터를 겹쳐서 셀 모듈을 구성하고, 셀 모듈을 적층해서 셀 적층체로 하고, 셀 적층체의 셀 적층 방향 양단부에, 터미널, 엔드 플레이트 등을 배치하고, 양단부의 엔드 플레이트를 셀 적층체의 외측에서 셀 적층 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 부재(예를 들어, 텐션 플레이트, 텐션 볼트 등)로 체결하여 연료 전지 스택을 구성한다.
고체 고분자형 연료 전지에서는, 애노드측에서는, 수소를 수소 이온과 전자로 하는 반응이 행해지고, 수소 이온은 전해질막 중을 캐소드측으로 이동하고, 캐소드측에서는 산소와 수소 이온 및 전자(인접한 MEA의 애노드에서 생성한 전자가 세퍼레이터를 통해서 오거나 또는 셀 적층체 일단부의 셀 애노드에서 발생한 전자가 외부 회로를 통해서 셀 적층체 타단부의 셀 캐소드로 흘러 감)로부터 물을 생성하는 반응이 행해진다.
애노드측:H2→2H+2e
캐소드측:2H+2e+(1/2)O2→H2O
세퍼레이터가 금속제인 경우, 고전위측(+측)의 수 셀의 냉매 매니폴드로 부식이 발생한다. 이것은, 적층한 셀의 냉매 매니폴드에서는, 예를 들어 SUS계의 경우, +극측에서 Fe 이온이 용출되고, -극측에서 OH 이온이 발생하고, Fe(OH)2가 생성되기 위함이라고 추정된다(도 7 참조). 또한, 부식의 발생량은 부식 전류에 의해 도시되지만, 고전위측에서 부식이 발생한다고 추정된다(도 8 참조). 부식이 진행되면 셀의 시일 신뢰성이 저하된다. 또한, 냉매의 고도전율화에 의해 스택 내에서 전기 분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위험하다. 또한, 반응 가스 매니폴드(연료 가스 매니폴드, 산화 가스 매니폴드)에 있어서도 냉매 매니폴드에서 발생하는 것과 동일한 메커니즘에서 부식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세퍼레이터의 부식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의도하여, 희생 부재를 설치한 연료 전지 스택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세퍼레이터와 정극 터미널 사이에, 세퍼레이터보다도 비(卑)한 재료를 사용한 희생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세퍼레이터의 부식을 억제한 연료 전지 스택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087766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연료 전지 스택에는 이하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세퍼레이터와 정극 터미널 사이에 배치되는 희생 부재에 세퍼레이터보다 비한 재료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희생 부재의 부식이 진행되기 쉽고, 나아가서는 세퍼레이터에 부식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세퍼레이터에 부식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연료 전지 스택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연료 전지 스택은, 막 전극 접합체와 해당 막 전극 접합체를 끼움 지지하는 세퍼레이터를 구비하는 단셀을 복수 적층한 셀 적층체의 양단부에, 터미널을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연료 전지 스택이며, 상기 셀 적층체에 있어서의 고전위측의 상기 세퍼레이터와 상기 터미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세퍼레이터보다 귀한 재료를 표면에 갖는 방청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연료 전지 스택에서는, 셀 적층체에 있어서의 고전위측의 세퍼레이터와 터미널 사이에 배치되고, 세퍼레이터보다 귀한 재료를 표면에 갖는 방청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방청 플레이트의 표면에 귀한 재료가 사용됨으로써, 방청 플레이트에 흐르는 부식 전류를 억제할 수 있어, 방청 플레이트의 부식 진행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세퍼레이터에 부식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부재의 부식에 의한 누설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연료 전지 스택에서는, 상기 귀한 재료는, 도전성 또한 내식성을 갖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연료 전지 스택에서는, 상기 귀한 재료는, 금, 산화이리듐, 산화팔라듐 및 산화루테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료를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연료 전지 스택에서는, 상기 방청 플레이트의 재료는, 티타늄을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연료 전지 스택에서는, 상기 세퍼레이터의 재료는, 티타늄을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연료 전지 스택에서는, 상기 방청 플레이트는, 상기 셀 적층체 중 고전위측의 개소와 도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연료 전지 스택에서는, 상기 방청 플레이트는, 상기 셀 적층체 내를 흐르는 냉매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연료 전지용 방청 플레이트는, 막 전극 접합체와 해당 막 전극 접합체를 끼움 지지하는 세퍼레이터를 구비하는 단셀을 복수 적층한 셀 적층체와, 상기 셀 적층체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터미널을 구비하는 연료 전지 스택에 적용되고, 상기 셀 적층체에 있어서의 고전위측의 상기 세퍼레이터와 상기 터미널 사이에 배치되는 연료 전지용 방청 플레이트이며, 상기 세퍼레이터보다 귀한 재료를 표면에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퍼레이터에 부식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연료 전지 스택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연료 전지 스택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연료 전지 스택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부식 전류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부식 전류의 감소 결과에 대해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연료 전지 스택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연료 전지 스택의 셀 평면도이다.
도 7은 세퍼레이터가 금속제인 경우에 고전위측의 수 셀의 냉매 매니폴드에서 부식이 발생하는 원인(추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종래의 연료 전지 스택의, 부식 전류-세퍼레이터 위치 넘버의 관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또한, 도면 중의 a.u.는, 단위가 「임의의 값」의 뜻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의해 설명되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많은 방법에 의해 변경을 행할 수 있고, 본 실시 형태 이외의 다른 실시 형태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특허 청구 범위에 포함된다.
(제1 실시 형태)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료 전지용 방청 플레이트를 구비한 연료 전지 스택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연료 전지 스택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연료 전지 스택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료 전지 스택(1)은 셀 적층체(10)와, 터미널(20)과, 방청 플레이트(40)를 구비한다. 또한, 도 1의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연료 전지 스택(1)에 있어서의 셀 적층체(10), 터미널(20), 방청 플레이트(40)만을 나타내고 있고, 그 밖의 부품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있다.
터미널(20)은 셀 적층체(10)의 셀 적층 방향 양단부에 배치되고, 정극 터미널(20a)과 부극 터미널(20b)로 이루어지는 금속제의 부재이다.
셀 적층체(10)는, 도 2에 도시하는 MEA(막 전극 접합체)와 당해 MEA를 끼움 지지하는 세퍼레이터(18)를 포함하는 셀 모듈(19)(도 5 참조)을 복수 적층한 것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셀 모듈(19)[1 셀 모듈의 경우는, 셀(9)(단셀)은 셀 모듈(19)과 동일하게 됨]을 적층한 셀 적층체의 셀 적층 방향 양단부에, 정극 터미널(20a)과 부극 터미널(20b)로 이루어지는 금속제의 터미널(20) 외에, 인슐레이터(21), 엔드 플레이트(22)를 배치하고, 양단부의 엔드 플레이트(22)를 셀 적층체의 외측에서 셀 적층 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 부재[예를 들어, 텐션 플레이트(24)]에 볼트ㆍ너트(25)로 고정하고, 연료 전지 스택을 구성한다. 일단부의 엔드 플레이트에 설치한 조정 나사로 그 내측에 설치한 스프링을 통하여 셀 적층체에 셀 적층 방향의 체결 하중을 가한다.
MEA(막 전극 접합체)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온 교환막으로 이루어지는 전해질막(11)이 이 전해질막(11)의 일면에 배치된 촉매층으로 이루어지는 전극(애노드, 연료극)(14) 및 전해질막(11)의 타면에 배치된 촉매층으로 이루어지는 전극(캐소드, 공기극)(17)으로 이루어진다.
세퍼레이터(18)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탈 세퍼레이터(금속판)(18a)와 수지 프레임(18b)과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메탈 세퍼레이터(18a)의 재료는, SUS(Fe, Cr, Ni), Ti 등이다. 메탈 세퍼레이터(18a)는 부동태막으로 덮여져 있다. 메탈 세퍼레이터(18a)는 터미널(20)과 전기적으로 도통하고 있다. 또한, 메탈 세퍼레이터(금속판)(18a)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티타늄(또는 티타늄을 포함하는 재료)이 사용된다.
세퍼레이터(18)에 대해서 더욱 설명한다. 세퍼레이터(18)에는 발전 영역에 있어서, 애노드(14)에 연료 가스(수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가스 유로(도시 생략)가 형성되고, 캐소드(17)에 산화 가스(산소, 통상은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산화 가스 유로(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18)에는 냉매(통상, 냉각수)를 흐르게 하기 위한 냉매 유로(26)도 형성되어 있다. 세퍼레이터(18)에는 비발전 영역에 있어서, 반응 가스 매니폴드[연료 가스 매니폴드(30), 산화 가스 매니폴드(31)](30a), 냉매 매니폴드(29)가 형성되어 있다. 연료 가스 매니폴드(30)는 연료 가스 유로와 연통하고 있고, 산화 가스 매니폴드(31)는 산화 가스 유로와 연통하고 있고, 냉매 매니폴드(29)는 냉매 유로(26)와 연통하고 있다. 반응 가스와 냉매는, 적층된 상태에서는, 부극 터미널(20b)의 구멍으로부터 공급ㆍ배출된다. 연료 가스, 산화 가스, 냉매는, 접착제 또는 가스킷 등의 시일재로 서로 시일되어 있다.
각 셀(9)의, 애노드(14)측에서는, 수소를 수소 이온(프로톤)과 전자로 변환하는 전리 반응이 행해지고, 수소 이온은 전해질막(11) 중을 캐소드(17)측으로 이동하고, 캐소드(17)측에서는 산소와 수소 이온 및 전자(인접한 MEA의 애노드에서 생성한 전자가 세퍼레이터를 통해서 오거나 또는 셀 적층 방향 일단부의 셀 애노드에서 생성한 전자가 외부 회로를 통해서 타단부의 셀 캐소드에 옴)로부터 물이 생성되고, 다음 식에 따라서 발전이 행해진다.
애노드측:H2→2H+2e
캐소드측:2H+2e+(1/2)O2→H2O
방청 플레이트(4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셀 적층체(10)와 정극 터미널(20a) 사이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부재이다. 방청 플레이트(40)는, 메탈 세퍼레이터(18a)보다도 도전성 또한 내식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방청 플레이트(40)의 표면에는, 메탈 세퍼레이터(18a) 기재보다도 귀한 금속 재료에 의한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방청 플레이트(40)의 표면에 사용되는 귀한 금속 재료로서 금(Au)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방청 플레이트(40)의 표면에 금(Au) 도금에 의한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 외에, 방청 플레이트(40) 그 자체가 메탈 세퍼레이터(18a) 기재보다도 귀한 금속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방청 플레이트(40)의 재료로서는 티타늄(또는 티타늄을 포함하는 재료)이 사용된다.
방청 플레이트(40)에 대해서 더욱 설명한다. 방청 플레이트(40)는 셀 적층체(10) 내를 흐르는 냉매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방청 플레이트(40)는 냉매 유로(26)를 흐르는 냉매와 냉매 매니폴드(29)를 흐르는 냉매 중 적어도 한쪽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방청 플레이트(40)는 메탈 세퍼레이터(18a)와 도통하고 있다. 방청 플레이트(40)는 셀 적층체(10) 중 적어도 고전위측(+측)의 개소[정극 터미널(20a), 정극 터미널(20a)측의 말단부에 있는 메탈 세퍼레이터(18a) 등]와 도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방청 플레이트(40)의 소재로서 티타늄(또는 티타늄을 포함하는 소재)을 사용하고, 방청 플레이트(40)의 표면에는 금(Au) 도금에 의한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이 방청 플레이트(40)가 정극 터미널(20a)과 말단부의 메탈 세퍼레이터(18a)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고전위측(+측)에 있어서, 방청 플레이트(40)에 흐르는 부식 전류를 억제할 수 있다(도 3 참조). 또한 도 4에 명백해진 바와 같이, 방청 플레이트(40)를 설치하지 않는 연료 전지 스택(도 4의 방청 플레이트 없음)과 비교하여, 방청 플레이트(40)를 설치한 연료 전지 스택(1)(도 4의 방청 플레이트 있음, 금 도금)은, 부식 전류량을 대폭으로 감소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방청 플레이트(40)를 배치함으로써, 방청 플레이트(40)의 부식 진행을 억제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메탈 세퍼레이터(18a)의 부식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부재의 부식에 의한 누설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제3, 제4 실시 형태)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2, 제3,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료 전지용 방청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연료 전지 스택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 제3, 제4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방청 플레이트(40)의 표면 처리에 사용하는 재료가 다른 것이며, 그 이외의 구성 및 기능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즉, 제2, 제3,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료 전지 스택의 구성은,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료 전지 스택(1)의 구성과 동일하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방청 플레이트(40)의 표면에는, 산화이리듐(IrO2) 재료를 사용한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방청 플레이트(40)의 표면에는, 산화팔라듐 재료를 사용한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방청 플레이트(40)의 표면에는, 산화루테늄 재료를 사용한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또한, 제2, 제3,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방청 플레이트(40)의 재료로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티타늄(또는 티타늄을 포함하는 재료)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방청 플레이트(40)의 표면에는 산화이리듐(IrO2) 재료를 사용한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이에 의해, 부식 전류량을 보다 한층 억제할 수 있다(도 4 참조). 그 결과, 방청 플레이트(40)의 부식 진행을 보다 한층 억제할 수 있어, 메탈 세퍼레이터(18a)의 부식을 보다 한층 억제할 수 있다. 제3,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방청 플레이트(40)를 설치한 연료 전지 스택에 대해서도,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방청 플레이트(40)의 표면 처리에 사용되는 귀한 재료로서는, 방청 플레이트(40)의 부식 진행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면, 상술한 재료 이외의 재료를 적절히 선택 가능하고, 또한, 상술한 금, 산화이리듐, 산화팔라듐, 산화루테늄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료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구체예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구체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이들 구체예에, 당업자가 적절히 설계 변경을 추가한 것도, 본 발명의 특징을 구비하고 있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전술한 각 구체예가 구비되는 각 요소 및 그 배치, 재료, 형상 등은, 예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1 : 연료 전지 스택
9 : 셀(단셀)
10 : 셀 적층체
11 : 전해질막
18 : 세퍼레이터
18a : 메탈 세퍼레이터
18b : 수지 프레임
19 : 셀 모듈
20 : 터미널
20a : 정극 터미널
20b : 부극 터미널
26 : 냉매 유로
29 : 냉매 매니폴드
30 : 연료 가스 매니폴드
31 : 산화 가스 매니폴드
40 : 방청 플레이트

Claims (8)

  1. 막 전극 접합체와 해당 막 전극 접합체를 끼움 지지하는 세퍼레이터를 구비하는 단셀을 복수 적층한 셀 적층체의 양단부에, 터미널을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연료 전지 스택이며,
    상기 셀 적층체에 있어서 정극 터미널과 정극 터미널 측의 말단부에 있는 세퍼레이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세퍼레이터보다 귀한 재료를 표면에 갖는 방청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방청 플레이트와 상기 세퍼레이터는, 주연부에서 직접 접촉하여 도통하고 있고, 상기 세퍼레이터의 상기 주연부의 내측에는 상기 셀 적층체 내를 흐르는 냉매가 유통하고, 상기 방청 플레이트는 유통하는 상기 냉매에 접하는 상태인, 연료 전지 스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귀한 재료는, 도전성 또한 내식성을 갖는 연료 전지 스택.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귀한 재료는, 금, 산화이리듐, 산화팔라듐 및 산화루테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료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스택.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청 플레이트의 재료는, 티타늄을 포함하는 연료 전지 스택.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의 재료는, 티타늄을 포함하는 연료 전지 스택.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청 플레이트는, 상기 셀 적층체 중 고전위측의 개소와 도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연료 전지 스택.
  7. 삭제
  8. 삭제
KR1020150158043A 2014-11-14 2015-11-11 연료 전지 스택 KR1019417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31689 2014-11-14
JP2014231689A JP6270694B2 (ja) 2014-11-14 2014-11-14 燃料電池スタッ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034A KR20160058034A (ko) 2016-05-24
KR101941739B1 true KR101941739B1 (ko) 2019-01-23

Family

ID=55855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8043A KR101941739B1 (ko) 2014-11-14 2015-11-11 연료 전지 스택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33051B2 (ko)
JP (1) JP6270694B2 (ko)
KR (1) KR101941739B1 (ko)
CN (1) CN105609799B (ko)
CA (1) CA2911734C (ko)
DE (1) DE1020151184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76536B2 (ja) 2014-11-10 2017-08-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
JP2018181571A (ja) * 2017-04-11 2018-11-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スタック
JP6838503B2 (ja) 2017-06-15 2021-03-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スタック
CN107611460B (zh) * 2017-08-31 2020-10-23 上海空间电源研究所 一种能控制电池自腐蚀的燃料电池
JP2021026954A (ja) * 2019-08-07 2021-02-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モジュール
JP2023168686A (ja) 2022-05-16 2023-11-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スタッ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6891A (ja) * 2000-03-15 2003-09-09 イネオス・クロール・リミテッド 燃料電池用の端子プレート及び電流捕集プレート
JP2005293874A (ja) 2004-03-31 2005-10-20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スタック
JP2007311343A (ja) * 2006-05-15 2007-11-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複合燃料電池スタック用の非浸透性の低接触抵抗シ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378A (ja) 1981-07-08 1983-01-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電池の製造法
JP2002042829A (ja) 2000-07-19 2002-02-08 Mitsubishi Heavy Ind Ltd 燃料電池のセパレータ
US7687175B2 (en) * 2004-05-03 2010-03-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Hybrid bipolar plate assembly and devices incorporating same
US7629064B2 (en) * 2004-05-18 2009-12-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Manifold sealing and corrosion preventive interface plate for a fuel cell stack
JP2006278198A (ja) 2005-03-30 2006-10-12 Dainippon Ink & Chem Inc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燃料電池
JP4901169B2 (ja) * 2005-09-22 2012-03-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スタック
KR100877714B1 (ko) * 2007-03-23 2009-01-0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의 냉각용 분리판, 이를 포함하는용융탄산염 연료전지 및 상기 냉각용 분리판을 이용한용융탄산염 연료전지의 냉각 방법
JP2009123446A (ja) * 2007-11-13 2009-06-04 Ihi Corp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
KR100999092B1 (ko) * 2008-06-24 2010-12-08 삼성전기주식회사 전류 집전체, 그 제조방법과 스택 및 연료전지 시스템
JP5452958B2 (ja) * 2009-03-24 2014-03-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6891A (ja) * 2000-03-15 2003-09-09 イネオス・クロール・リミテッド 燃料電池用の端子プレート及び電流捕集プレート
JP2005293874A (ja) 2004-03-31 2005-10-20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スタック
JP2007311343A (ja) * 2006-05-15 2007-11-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複合燃料電池スタック用の非浸透性の低接触抵抗シ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41633A1 (en) 2016-05-19
CN105609799B (zh) 2018-06-12
JP2016096033A (ja) 2016-05-26
JP6270694B2 (ja) 2018-01-31
DE102015118488A1 (de) 2016-05-19
KR20160058034A (ko) 2016-05-24
CA2911734C (en) 2018-07-10
CN105609799A (zh) 2016-05-25
CA2911734A1 (en) 2016-05-14
US10033051B2 (en) 2018-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1739B1 (ko) 연료 전지 스택
JP4901169B2 (ja) 燃料電池スタック
US7951284B2 (en) Electrolysis apparatus, electrochemical reaction membrane apparatus, porous electrical conductor,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JP2010123377A (ja) 燃料電池スタック
US7169496B2 (en) Fuel Cell
US20100209798A1 (en) Fuel cell stack
JP2007179992A (ja) 燃料電池スタック
KR20170118892A (ko) 전기 화학 반응 단위 및 연료 전지 스택
US7378177B2 (en) Electrochemical cell bipolar plate
JP6059615B2 (ja) 燃料電池スタック
JP4851761B2 (ja) 燃料電池
WO2013012026A1 (ja) 燃料電池用ガスケット
JP4690688B2 (ja) 燃料電池スタック
JP2007087617A5 (ko)
JP4726182B2 (ja) 燃料電池スタック
JP5206147B2 (ja)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
JP7236966B2 (ja) 電気化学反応セルスタック
JP4134615B2 (ja) 燃料電池
JP2018181571A (ja) 燃料電池スタック
JP2009252420A (ja) 燃料電池及び燃料電池用の樹脂フレーム
JP2007035455A (ja)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
JP4281330B2 (ja)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
CN111600054B (zh) 燃料电池堆
KR101171605B1 (ko)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의 수리방법
JP2010113863A (ja) 燃料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