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194B1 - 디스플레이용 점접착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용 점접착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194B1
KR101941194B1 KR1020160167605A KR20160167605A KR101941194B1 KR 101941194 B1 KR101941194 B1 KR 101941194B1 KR 1020160167605 A KR1020160167605 A KR 1020160167605A KR 20160167605 A KR20160167605 A KR 20160167605A KR 101941194 B1 KR101941194 B1 KR 101941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 group
oligomer
adhesive layer
heat treatment
nucleophi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6593A (ko
Inventor
홍성우
윤정준
황인비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67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194B1/ko
Publication of KR20180066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6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09J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J159/00 - C09J18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말단 또는 측쇄의 어느 일 부분에 제1기능성 작용기를 포함하는 올리고머; 및 말단 또는 측쇄의 어느 일 부분에 제2기능성 작용기를 포함하는 가교제;를 포함하며, 상기 올리고머 및 상기 가교제는 열처리 전에는 가교가 되지 않거나 일부만 가교된 상태로 존재하며, 열처리 후에는 상기 올리고머에 포함된 상기 제1기능성 작용기 및 상기 가교제에 포함된 상기 제2 기능성 작용기가 가교반응하여 폴리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점접착제,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디스플레이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용 점접착층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용 점접착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Adhesive material for display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용 점접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포 공정에 있어서, 용이하게 도포할 수 있으면서도, 제조된 디스플레이 내부 구성인 점접착층은 극한환경에서도 점성도와 탄성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용 점접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구조는 일반적으로 다층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구성하는 각각의 층 간에는 점접착층을 구비하여 각각의 층이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에는, 전자기기의 발달에 발맞추어, 단순히 평면형 디스플레이의 구조에서 벗어나 플렉시블(flexible), 폴더블(foldable), 롤링(rolling), 웨어러블(wearable) 형태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구조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평면형태의 고정형태인 디스플레이 구조와 달리, 상기와 같이 유동적 형태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구조의 경우,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각각의 층이 사용에 따라 외력을 받게 됨에 따라서 각각의 층 간에 위치하는 점접착층 또한 외력을 받게 되므로, 점접착층이 끊어지는 등 손상되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도 및 점성도가 높은 점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이 점성도가 높은 점접착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가교제를 투입하여 가교도를 올리는 방법을 사용한다.
특히, 상기와 같은 유동성 디스플레이를 사막이 많은 지역과 같이 극 고온의 환경에서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도중에 상기 점접착층의 점성도가 낮으면 점접착층이 변성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어서 가교도를 상당히 높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공개특허 제10-2016-0130092호(이하 인용문헌 1이라 함)에서는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는데 상기 인용문헌 1의 경우, 가교도가 높은 공중합체를 점접착층의 구성물로 사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점접착층의 가교도를 지나치게 높일 경우, 점접착층을 형성하는 공정의 일 단계인 도포 공정에서 용액 상태로서 도포할 때의 점도가 높아 도포 공정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6-0130092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온조건의 도포공정에서는 구성성분이 올리고머 형태로 존재하여 도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점도를 가지는 용액형태로 유지되나, 도포한 후 일정한 처리를 하는 경우 올리고머와 가교제간의 가교반응이 진행되어 폴리머가 형성되면서 점성도와 탄력도가 증대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용 점접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말단 또는 측쇄의 어느 일 부분에 제1기능성 작용기를 포함하는 올리고머; 및 말단 또는 측쇄의 어느 일 부분에 제2기능성 작용기를 포함하는 가교제;를 포함하며, 상기 올리고머 및 상기 가교제는 열처리 전에는 가교가 되지 않거나 일부만 가교된 상태로 존재하며, 열처리 후에는 상기 올리고머에 포함된 상기 제1기능성 작용기 및 상기 가교제에 포함된 상기 제2 기능성 작용기가 가교반응하여 폴리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점접착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머는, 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아크릴 산 및 페닐 글리시딜 에테르 메르캅투르산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는 80mol% 내지 99mol%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기능성 작용기가 친핵성 작용기인 경우, 상기 제2기능성 작용기는 친전자성 작용기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기능성 작용기가 친전자성 작용기인 경우, 상기 제2기능성 작용기는 친핵성 작용기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친핵성 작용기는 수산기 또는 아민기이고, 상기 친전자성 작용기는 이소시아네이트 작용기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디스플레이는, 기재; 상기 기재 상에 위치하는 점접착층; 상기 점접착층 상에 위치하는 투명전극; 상기 투명전극 상에 위치하는 편극필름; 상기 편극필름 상에 위치하는 윈도우 필름; 및 상기 윈도우 필름 상에 위치하는 하드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점접착층은 상기 점접착제를 상기 기재 상에 도포한 후 열처리하여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편극필름과 상기 윈도우 필름 사이에 상기 점접착층이 더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말단 또는 측쇄의 어느 일 부분에 제1기능성 작용기를 포함하는 올리고머 및 말단 또는 측쇄의 어느 일 부분에 제2기능성 작용기를 포함하는 가교제를 혼합하여 점접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점접착 용액을 기재에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점접착 용액이 도포된 기재를 열처리하여 점접착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올리고머 및 상기 가교제는 열처리 전에는 가교가 되지 않거나 일부만 가교된 상태로 존재하며, 열처리 후에는 상기 올리고머에 포함된 상기 제1기능성 작용기 및 상기 가교제에 포함된 상기 제2 기능성 작용기가 가교반응하여 폴리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점접착제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머의 제1기능성 작용기는, 상기 올리고머의 말단 또는 측쇄의 어느 일 부분에 위치하는 할로젠 작용기가 라디칼 반응에 의하여 변환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머는 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아크릴 산 및 페닐 글리시딜 에테르 메르캅투르산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는 80mol% 내지 99mol%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하는 단계의 온도는 25℃ 내지 300℃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용액상태에서는 올리고머로 존재하여 도포공정이 용이한 수준의 점도를 유지하여 도포공정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열처리 하는 경우, 올리고머가 가교제와 가교반응을 일으켜 점도를 극대화하여 고점도의 디스플레이용 점접착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극저온 또는 극한의 환경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같은 유동적 디스플레이 내부에 존재하는 점접착층이 손상되지 않을 수 있도록 고점도의 디스플레이용 점접착제를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도포공정에서는 상대적으로 저점도를 유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용 점접착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점접착층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란, 접착물질 표면의 점착성(粘着性)을 증진시키기 위한 배합제이고, 접착제(adhesive) 두 물체를 서로 접합하는 데 사용하는 물질을 의미하며, 처음에는 액상이다가 나중에 고화되는 경우 떨어지지 않고, 또한 그 자체가 파괴되지 않는 고분자이어야 하는바, 본 발명에서의 “점접착제”란 상기 점착제 또는 접착제의 성질을 모두 가지는 것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점접착제는, 말단 또는 측쇄의 어느 일 부분에 제1기능성 작용기를 포함하는 올리고머; 및 말단 또는 측쇄의 어느 일 부분에 제2기능성 작용기를 포함하는 가교제;를 포함하며, 상기 올리고머 및 상기 가교제는 열처리 전에는 가교가 되지 않거나 일부만 가교된 상태로 존재하며, 상기 올리고머 및 상기 가교제가 열처리 후에는 가교반응하여 폴리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점접착제일 수 있다.
상기 올리고머란, 단위체가 낮은 중합도로 생성되는 중합체를 의미할 수 있다. 올리고머는 단량체의 특성에 따라 크게 구분될 수 있는데, soft 올리고머의 경우, 초기 점착성 및 고유 점착성에 영향을 미치는 올리고머에 해당할 수 있으며, hard 올리고머의 경우 응집력 및 전단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올리고머에 해당할 수 있으며, polar 올리고머의 경우 가교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초기점착성, 박리여부, 전단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올리고머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cross linker)는 점접착제가 도포된 이후 점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가교반응을 수행하기 위하여 첨가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경화제로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올리고머의 경우, 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아크릴 산 및 페닐 글리시딜 에테르 메르캅투르산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는 80mol% 내지 99mol%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구성의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점접착제는, 상기 올리고머 및 가교제가 열처리 전인 상온상태에서는 가교가 되지 않거나 일부만 가교된 상태로 존재하고, 열처리를 하는 경우, 상기 올리고머 및 가교제가 가교반응을 하여 가교도가 상승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기능성 작용기가 친핵성 작용기인 경우, 상기 제2기능성 작용기는 친전자성 작용기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기능성 작용기가 친전자성 작용기인 경우, 상기 제2기능성 작용기는 친핵성 작용기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친핵성 작용기와 상기 친전자성 작용기는 열처리 하기 전인 상온 조건에서는 각각의 작용기가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반응을 일으키지 않지만, 열처리를 하게되면, 상기 올리고머 또는 상기 가교제의 말단 또는 측쇄의 어느 일 부분에 위치하는 친핵성 작용기와 친전자성 작용기간의 가교반응이 수행됨에 따라 각각의 올리고머 및 가교제가 연결되어 폴리머를 형성할 수 있다.
폴리머가 형성되는 경우, 분자량이 증대됨과 동시에 경화가 진행되어 점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와 같이 점접착층은 열처리 전의 용액상태인 경우와 달리 가교도가 극도로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친핵성 작용기는 수산기 또는 아민기일 수 있다. 다만, 친핵성 작용기는 상기 언급한 작용기들에 한정되지 않고, 친핵성을 띌 수 있는 작용기는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친전자성 작용기는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작용기인 것일 수 있다. 다만, 친전자성 작용기는 상기 언급한 작용기들에 한정되지 않고, 친전자성을 띌 수 있는 작용기는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전의 디스플레이용 점접착제의 점도는 도포공정이 용이한 정도인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용 점접착제의 점도 범위가 반드시 특정범위로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나, 점도가 너무 낮은 경우에는 도포자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흘러내리게 되어, 점접착체를 원하는 영역에 원하는 두께만큼 도포하는 것이 어려워, 도포하는 공정에서의 불량률이 증대될 수 있다.
평면 디스플레이가 아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비롯한 유동성 있는 디스플레이의 경우에는 디스플레이가 유동적이어서 고가교도를 가지는 점접착제로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각층 구조를 접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가교도가 높을 경우 도포 전 용액의 점도가 너무 높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의 일 구성으로서 점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 단계에의 도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도포된 후 열처리 전에는 도포공정이 가능할 정도의 일정 점도를 유지하되, 열처리를 하면 상기 올리고머와 상기 가교제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의 작용기가 친핵성-친전자성 반응을 하게 됨에 따라 서로 가교되는 가교반응을 일으키게 되어 최종 점접착제는 높은 가교도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접착제로 제조되는 접접착층을 가는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단면도이다.
도 1에 의할 때, 기재(10), 상기 기재(10) 상에 위치하는 점접착층(20), 상기 점접착층(20) 상에 위치하는 투명전극(30), 상기 투명전극(30) 상에 위치하는 편극필름(40), 상기 편극필름(40) 상에 위치하는 윈도우 필름(60) 및 상기 윈도우 필름 상에 위치하는 하드 코팅층(70)을 포함하고, 상기 점접착층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접착제를 상기 기재 상에 도포한 후 열처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접착제를 사용하여 점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편극필름과 상기 윈도우 필름 사이에 상기 점접착층과 동일한 성분의 점접착층(5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점접착층의 경우 상기와 같이 제시된 위치에만 포함되는 것이 아니고, 디스플레이의 구성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같은 유동성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점접착이 필요한 위치에는 어떠한 위치이든 더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접착제로 디스플레이용 점접착층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점접착층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2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점접착층 제조방법은, 말단 또는 측쇄의 어느 일 부분에 제1기능성 작용기를 포함하는 올리고머 및 말단 또는 측쇄의 어느 일 부분에 제2기능성 작용기를 포함하는 가교제를 혼합하여 점접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10), 상기 점접착 용액을 기재에 도포하는 단계(S20) 및 상기 점접착 용액이 도포된 기재를 열처리하여 점접착 층을 형성하는 단계(S30)를 포함하고, 상기 올리고머 및 상기 가교제는 열처리 전에는 가교가 되지 않거나 일부만 가교된 상태로 존재하며, 상기 올리고머 및 상기 가교제가 열처리 후에는 가교반응하여 폴리머를 형성할 수 있다.
각 단계에 대하여 단계적으로 설명하면,
말단 또는 측쇄의 어느 일 부분에 제1기능성 작용기를 포함하는 올리고머 및 말단 또는 측쇄의 어느 일 부분에 제2기능성 작용기를 포함하는 가교제를 혼합하여 점접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10)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 올리고머의 경우, 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아크릴 산 및 페닐 글리시딜 에테르 메르캅투르산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는 80mol% 내지 99mol%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기능성 작용기가 친핵성 작용기인 경우, 상기 제2기능성 작용기는 친전자성 작용기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기능성 작용기가 친전자성 작용기인 경우, 상기 제2기능성 작용기는 친핵성 작용기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친핵성 작용기와 상기 친전자성 작용기는 열처리 하기 전인 상온 조건에서는 각각의 작용기가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반응을 일으키지 않지만, 열처리를 하게되면, 상기 올리고머 또는 상기 가교제의 말단 또는 측쇄의 어느 일 부분에 위치하는 친핵성 작용기와 친전자성 작용기간의 가교반응이 수행됨에 따라 각각의 올리고머 및 가교제가 연결되어 폴리머를 형성할 수 있다.
폴리머가 형성되는 경우, 분자량이 증대됨과 동시에 경화가 진행되어 점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와 같이 점접착층은 열처리 전의 용액상태인 경우와 달리 점도가 극도로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친핵성 작용기는 수산기 또는 아민기일 수 있다. 다만, 친핵성 작용기는 상기 언급한 작용기들에 한정되지 않고, 친핵성을 띌 수 있는 작용기는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친전자성 작용기는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작용기인 것일 수 있다. 다만, 친전자성 작용기는 상기 언급한 작용기들에 한정되지 않고, 친전자성을 띌 수 있는 작용기는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점접착 용액을 기재에 도포하는 단계(S20)에 있어서,
상기 점접착 용액을 도포하는 방법은, 스퍼터링(sputtering), 스핀코팅(spin-coating), 스프레이(spray), 딥코팅(dip-coating) 방식과 같은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의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점접착 용액을 원하는 영역에 일정한 두께로 도포할 수 있는 방법의 경우 어떠한 방법이든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점접착 용액이 도포된 기재를 열처리하여 점접착 층을 형성하는 단계(S30)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하는 단계의 방법은 단순 가열을 비롯한 UV열처리, 펄스UV 열처리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열처리할 수 있으며, 일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열처리하는 단계의 온도는 25℃ 내지 300℃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열처리하는 단계의 온도는 상기 올리고머와 상기 가교제 간의 가교반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온도조건으로서, 25℃미만으로 열을 가하는 경우에는 점접착층 내에 용매가 잔존하게 되어, 극한의 환경에서 평면 디스플레이는 물론, 유동성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위치하는 점접착 층이 일정한 수준을 유지할 수 없다. 또한, 300℃를 초과하여 열을 가하는 경우에는 상기 올리고머와 상기 가교제가 반응할 수는 있으나, 상기 점접착 용액을 도포한 기재가 손상될 수 있는바, 상기 온도를 초과하여 열처리하는 것은 기재의 열손상에 의한 디스플레이의 불량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기재
20: 점접착층
30: 투명전극
40: 편극필름
50: 점접착층
60: 윈도우 필름
70: 하드 코팅층

Claims (13)

  1. 말단 또는 측쇄의 어느 일 부분에 제1기능성 작용기를 포함하는 올리고머; 및
    말단 또는 측쇄의 어느 일 부분에 제2기능성 작용기를 포함하는 가교제;를 포함하며,
    상기 올리고머 및 상기 가교제는 열처리 전에는 가교가 되지 않거나 일부만 가교된 상태로 존재하며, 열처리 후에는 상기 올리고머에 포함된 상기 제1기능성 작용기 및 상기 가교제에 포함된 상기 제2 기능성 작용기가 가교반응하여 폴리머를 형성하고,
    상기 제1기능성 작용기가 친핵성 작용기인 경우, 상기 제2기능성 작용기는 친전자성 작용기이며,
    상기 제1기능성 작용기가 친전자성 작용기인 경우, 상기 제2기능성 작용기는 친핵성 작용기이고,
    상기 친핵성 작용기는 수산기 또는 아민기이고, 상기 친전자성 작용기는 이소시아네이트 작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올리고머는, 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아크릴 산 및 페닐 글리시딜 에테르 메르캅투르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점접착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는 80mol% 내지 99mol%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점접착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기재;
    상기 기재 상에 위치하는 점접착층;
    상기 점접착층 상에 위치하는 투명전극;
    상기 투명전극 상에 위치하는 편극필름;
    상기 편극필름 상에 위치하는 윈도우 필름; 및
    상기 윈도우 필름 상에 위치하는 하드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점접착층은 제1항에 따른 점접착제를 상기 기재 상에 도포한 후 열처리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편극필름과 상기 윈도우 필름 사이에 상기 점접착층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9. 말단 또는 측쇄의 어느 일 부분에 제1기능성 작용기를 포함하는 올리고머 및 말단 또는 측쇄의 어느 일 부분에 제2기능성 작용기를 포함하는 가교제를 혼합하여 점접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점접착 용액을 기재에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점접착 용액이 도포된 기재를 열처리하여 점접착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올리고머 및 상기 가교제는 열처리 전에는 가교가 되지 않거나 일부만 가교된 상태로 존재하며, 열처리 후에는 상기 올리고머에 포함된 상기 제1기능성 작용기 및 상기 가교제에 포함된 상기 제2 기능성 작용기가 가교반응하여 폴리머를 형성하고,
    상기 제1기능성 작용기가 친핵성 작용기인 경우, 상기 제2기능성 작용기는 친전자성 작용기이며,
    상기 제1기능성 작용기가 친전자성 작용기인 경우, 상기 제2기능성 작용기는 친핵성 작용기이고,
    상기 친핵성 작용기는 수산기 또는 아민기이고, 상기 친전자성 작용기는 이소시아네이트 작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올리고머는 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아크릴 산 및 페닐 글리시딜 에테르 메르캅투르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점접착층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머의 제1기능성 작용기가 친핵성 작용기인 경우, 상기 올리고머의 말단 또는 측쇄의 어느 일 부분에 위치하는 할로젠 작용기가 라디칼 반응에 의하여 변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점접착층 제조방법.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는 80mol% 내지 99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점접착층 제조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하는 단계의 온도는 25℃ 내지 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점접착층 제조방법.
KR1020160167605A 2016-12-09 2016-12-09 디스플레이용 점접착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41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605A KR101941194B1 (ko) 2016-12-09 2016-12-09 디스플레이용 점접착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605A KR101941194B1 (ko) 2016-12-09 2016-12-09 디스플레이용 점접착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593A KR20180066593A (ko) 2018-06-19
KR101941194B1 true KR101941194B1 (ko) 2019-04-12

Family

ID=62790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605A KR101941194B1 (ko) 2016-12-09 2016-12-09 디스플레이용 점접착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19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9856A (ja) 2004-02-26 2005-09-08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硬化型粘接着剤組成物
JP2011057794A (ja) * 2009-09-08 2011-03-24 Nitto Denko Corp 溶剤系光学部材用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および粘着剤付光学部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36394B2 (ja) * 2010-10-29 2014-03-05 チェイル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粘着剤組成物
KR101645066B1 (ko) * 2012-12-27 2016-08-02 제일모직주식회사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1758420B1 (ko) * 2013-11-28 2017-07-14 제일모직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점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160130438A (ko) * 2014-03-07 2016-11-11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가열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및 가열 경화형 접착 시트
KR101780542B1 (ko) 2015-04-30 2017-09-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점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JP6525726B2 (ja) * 2015-05-21 2019-06-0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9856A (ja) 2004-02-26 2005-09-08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硬化型粘接着剤組成物
JP2011057794A (ja) * 2009-09-08 2011-03-24 Nitto Denko Corp 溶剤系光学部材用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および粘着剤付光学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593A (ko) 201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19423B2 (ja) 繰り返し屈曲デバイス用粘着剤、粘着シート、繰り返し屈曲積層部材および繰り返し屈曲デバイス
Takahashi et al. Tough particle‐based double network hydrogels for functional solid surface coatings
JP7439143B2 (ja) 粘着シート、繰り返し屈曲積層部材および繰り返し屈曲デバイス
CN107683313B (zh) 用于柔性显示器的组件层
KR101953572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필름
CN104893603A (zh) 粘合片
JP5889035B2 (ja) 粘着シート
JP6204633B2 (ja)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CN111621248B (zh) 反复弯曲装置用粘着剂、粘着片、反复弯曲层叠构件及反复弯曲装置
KR102262499B1 (ko) 플렉서블 편광막, 그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TWI248526B (en)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optical function memb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using it
CN113897163B (zh) 一种粘接剂、芯片键合膜及其制备方法
TW201724291A (zh) 黏著薄片及半導體裝置之製造方法
CN107674602B (zh) 一种可拉伸移除的胶粘带及其制备方法
TWI830519B (zh) 可撓性顯示器用黏著片、積層體及可撓性顯示器的製造方法
JP7017442B2 (ja) 感温性粘着シートおよび積層体
KR20170110506A (ko)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점착 시트 및 표시체
TWI655258B (zh) 光學用黏合劑組成物及光學用黏合膜
Zhang et al. Super‐tough and fast adhesion of soft elastomer based on strong noncovalent interaction in diverse environments
KR101941194B1 (ko) 디스플레이용 점접착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EP2689859A1 (en) Method for producing release liner
US20180010014A1 (en) Compositions for adhesive applications
JP6693412B2 (ja) 離型層、離型層を備える成形体および離型剤
TWI813581B (zh) 接著片及其製造方法
KR20180084120A (ko)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