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121B1 - 다기능 보도블록 - Google Patents

다기능 보도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121B1
KR101941121B1 KR1020170010722A KR20170010722A KR101941121B1 KR 101941121 B1 KR101941121 B1 KR 101941121B1 KR 1020170010722 A KR1020170010722 A KR 1020170010722A KR 20170010722 A KR20170010722 A KR 20170010722A KR 101941121 B1 KR101941121 B1 KR 101941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lock body
section
storage space
wat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0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6813A (ko
Inventor
김종득
Original Assignee
김종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득 filed Critical 김종득
Priority to KR1020170010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121B1/ko
Publication of KR20180086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6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보도블록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보도블록은 내부에 저수 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저수 공간과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일측면에 상기 저수 공간이 드러나도록 개구가 형성된 블록 본체와, 상기 블록 본체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를 막는 블록 커버와, 상기 블록 본체의 타측 외면 상부와 상기 블록 본체의 타측 내면 하부를 경사지게 관통하여 상기 저수 공간과 연결된 배수 유로, 그리고 일단부는 상기 배수 유로를 통해 상기 블록 본체 내부의 상기 저수 공간으로 삽입되고 타단부는 상기 블록 본체가 설치된 지반에 접촉하는 배수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기능 보도블록{MULTI FUNCTION SIDEWALK BLOCK}
본 발명은 다기능 보도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빗물을 저수할 수 있는 다기능 보도블록에 관한 것이다.
차도와 분리된 인도에는 통상적으로 보도블록이 설치된다. 이러한 보도블록은 인도뿐만 아니라 광장이나 주차장 등의 야외의 포장용으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보도블록의 시공은 기초 지반을 정리 및 다짐한 한 후 골재로 보조기층을 형성시켜 그 위에 모래를 포설하고, 모래 포설면에 낱장의 보도블록을 연속해서 설치하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그리고 각 보도블록과 보도블록 사이를 모래나 흙으로 메워주는 한편 일정 거리마다 배수구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비가 오면 빗물의 일부는 보도블록 사이의 모래나 흙으로 스며들지만 그 양은 극히 미미하고 대부분의 빗물은 보도블록 위를 흐르다가 인근의 배수구 등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그런데 근래에는 기후 변화로 인하여 한동안 가뭄이 계속되다가도 비가 내릴 때에는 국지성 집중호우가 단기간 동안 빈번하게 내리는 경향이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집중호우는 빗물이 지반에 깊이 스며들지 못하고, 차도 및 보도를 넘쳐 흐르면서 주변 건물, 상가, 가옥 등을 침수하기거나 도로의 지표면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허다하다. 즉, 가뭄이 계속되다가 내리는 국지성 집중호우는 가뭄 해갈에 큰 도움을 주지 못할 뿐만 아니라 안정적으로 배수가 되지 못하고 불필요한 곳으로 넘쳐 흘려 도로를 손상시키거나 침수 피해만 야기하고 있다.
그럼에도, 종래의 보도블록은 가뭄 및 국지성 집중호우가 반복되는 전술한 환경에 대한 대비책이 전혀 마련되지 않은 형태로 제조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빗물을 저수하여 집중호우시 보도의 침수를 완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수된 빗물을 천천히 지반으로 흘려 보내 지하수 자원을 확보함으로써 가뭄 해갈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다기능 보도 블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기능 보도블록은 내부에 저수 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저수 공간과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일측면에 상기 저수 공간이 드러나도록 개구가 형성된 블록 본체와, 상기 블록 본체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를 막는 블록 커버와, 상기 블록 본체의 타측 외면 상부와 상기 블록 본체의 타측 내면 하부를 경사지게 관통하여 상기 저수 공간과 연결된 배수 유로, 그리고 일단부는 상기 배수 유로를 통해 상기 블록 본체 내부의 상기 저수 공간으로 삽입되고 타단부는 상기 블록 본체가 설치된 지반(地盤)에 접촉하는 배수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블록 본체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은 원기둥 또는 각기둥 형상의 제1 관통공과, 슬릿(slit) 형상의 제2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다기능 보도블록은 상기 관통공에 개재되어 일단부은 상기 블록 본체 내부의 상기 저수 공간에 삽입되고 타단부는 상기 블록 본체의 상면에 접촉하는 수분 발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 본체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 중 전부 또는 일부는 제1 구간과, 상기 제1 구간보다 직경이 작으며 상기 제1 구간보다 상기 저수 공간에 인접한 제2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다기능 보도블록은 상기 관통공의 내벽과의 사이에 유격을 두고 상기 관통공에 삽입된 마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개와 접촉하는 상기 관통공의 상기 제1 구간과 상기 제2 구간의 단차면에는 액체가 이동할 수 있는 배수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도블록의 일측면에 이웃한 타측면에는 끼움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타측면과 대향하는 다른 타측면에는 상기 끼움돌부에 대응하는 끼움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록 커버는 상기 블록 본체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끼움돌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록 본체의 일측면에 대향하는 타측면에는 상기 블록 커버에 형성된 끼움돌부에 대응하는 끼움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다기능 보도블록에서, 상기 블록 본체는 시멘트를 소재로 만들어진 상부체와, 상기 상부체와 일체로 형성되며 플라스틱을 소재로 만들어진 하부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기능 보도블록은 빗물을 저수하여 집중호우시 보도의 침수를 완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수된 빗물을 천천히 지반으로 흘려 보내 지하수 자원을 확보함으로써 가뭄 해갈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다기능 보도블록은 집중호우시 발생될 수 있는 스폰지 현상의 방지에도 기여를 할 수 있으며, 집중호우로 지반이 침하된 경우에 보행자를 보호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보도블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다기능 보도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선에 따른 다기능 보도블록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V-IV선에 따른 다기능 보도블록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보도블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다기능 보도블록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보도블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다기능 보도블록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보도블록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척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보도블록(101)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보도블록(101)은 블록 본체(300), 블록 커버(500), 배수 유로(360), 및 배수 부재(600)를 포함한다.
블록 본체(300)는 기본적으로 상면, 하면, 및 네 측면을 포함하는 육면체 형상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블록 본체(300)의 내부에는 저수 공간(350)이 형성된다. 즉, 블록 본체(300)는 속이 빈 사각 박스와 유사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 본체(300)의 상면에는 저수 공간(350)과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공(390)이 형성된다. 관통공(390)은 다양한 형상이 혼합되어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록 본체(300)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공(390)은 원기둥 또는 각기둥 형상의 제1 관통공(391)과, 슬릿(slit) 형상의 제2 관통공(39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 본체(300)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390) 중 제1 관통공(391)은 제1 구간(3911)과, 제1 구간(3911)보다 직경이 작으며 제1 구간(3911)보다 저수 공간(350)에 인접한 제2 구간(3912)을 포함한다. 즉, 제1 관통공(391)은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단계적으로 작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이, 제1 관통공(391)이 단차를 갖도록 형성되므로, 보행자가 하이힐을 신고 보행하는 과정에서 하이힐의 뒷굽이 제1 관통공(391)에 깊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관통공(391)의 제1 구간(3911)과 제2 구간(3912)의 단차면에는 액체가 이동할 수 있는 배수홈(3913)이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배수홈(3913)은 생략될 수 있다. 여기서, 단차면은 제1 구간(391)과 제2 구간(392)의 경계에서 위를 향하는 상부면을 의미한다.
제2 관통공(392)은 블록 본체(300)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제2 관통공(392)은 보행자의 하이힐 뒷굽이 걸리거나 빠지지 않도록 가늘고 긴 슬릿(slit)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블록 본체(300)의 일측면에는 저수 공간(350)이 드러나도록 개구(359)가 형성된다. 그리고 블록 본체(300)의 일측면에 이웃한 타측면에는 끼움돌부(341)가 형성되고, 타측면과 대향하는 다른 타측면에는 끼움돌부(341)에 대응하는 끼움홈부(345)가 형성된다.
이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보도블록(101)이 지반 위에 연속적으로 설치될 때 이웃한 다기능 보도블록(101)과 맞물려 결속될 수 있다. 즉, 다기능 보도블록(101)의 끼움돌부(341)가 이웃한 다기능 보도블록(101)의 끼움홈부(345)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 본체(300)의 개구(359)된 일측면에 대향하는 또 다른 타측면에도 끼움홈부(34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블록 본체(300)의 개구(359)된 일측면에 결합되는 후술할 블록 커버(500)에는 끼움홈부(345)에 대응하는 끼움돌부(541)가 형성될 수 있다. 블록 커버(500)에 형성된 끼움돌부(541)는 블록 본체(300)에 형성된 끼움돌부(341)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블록커버(500)의 끼움돌부(541)와 블록 본체(300)의 끼움돌부(341)는 모두 블록본체(300)의 끼움홈부(345)에 삽입 가능하다. 즉, 블록커버(500)의 끼움돌부(541)와 블록 본체(300)의 끼움돌부(341)는 이웃한 다기능 보도블록(101)의 블록 본체(300)의 끼움홈부(345)에 끼워져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다기능 보도블록(101)은 이웃한 다기능 보도블록들(101)과 4방향에서 안정적으로 맞물릴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다기능 보도블록들(101)은 스스로 연속적인 결합이 가능하므로 현장에서 짝을 맞추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없으며 여러 면에서 시공이 용이해진다.
또한, 다기능 보도블록들(101)이 서로 맞물려 결합되므로, 다기능 보도블록(101)에 상하 방향의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다기능 보도블록(101)의 움직임을 제한된다. 따라서, 다기능 보도블록(101)이 설치된 지반의 토질 상태에 따라 집중호우시 발생될 수 있는 스폰지 현상의 방지에도 기여를 할 수 있다.
또한, 집중호우로 지반이 침하된 경우에도 다기능 보도블록(101)이 쉽게 손상되지 않으며 일정 하중 이내에서는 결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보행자를 보호할 수도 있다.
앞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 커버(500)는 블록 본체(300)의 개구(359)된 일측면에 결합되어 개구(359)를 막는다. 블록 본체(300)와 블록 커버(500)에는 각각 결합을 위한 체결공(375, 57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공(375, 575)에 끼워진 볼트(미도시)를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블록 커버(500)의 일측은 블록 본체(300)의 개구(359)에 삽입되어 개구(359)를 막고, 블록 커(500)버의 타측에는 전술한 끼움돌부(541)가 형성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 유로(360)는 블록 본체(300)의 타측 외면 상부와 블록 본체(300)의 타측 내면 하부를 경사지게 관통한다. 도 2에서 참조부호 361은 블록 본체(300)의 타측 외면 상부에 형성된 구멍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362는 블록 본체(300)의 타측 내면 하부에 형성된 구멍을 나타낸다.
일례로, 배수 유로(360)는 끼움돌부(341)가 형성된 블록 본체의 타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끼움돌부(341)는 블록 본체(300)의 타측면에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배수 유로(360)는 단속적으로 형성된 끼움돌부(341)들 중간에 형성될 수 있다.
우천시에는 연속해서 설치된 다기능 보도 블록들(101) 사이의 틈으로 유입된 빗물이 끼움돌부(341) 사이 사이에 형성된 배수 유로(360)를 통해 블록 본체(300)의 저수 공간(350)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배수 부재(600)는 배수 유로(360)에 끼워진다. 구체적으로, 배수 부재(600)의 일단부는 배수 유로(360)를 통해 블록 본체(300) 내부의 저수 공간(350)으로 삽입되고, 타단부는 블록 본체(300)가 설치된 지반(地盤)에 접촉한다. 그리고 배수 부재(600)는 직물, 실 다발, 끈 묶음 등의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배수 부재(600)로는 전술한 소재 이외에도 물을 빨아들일 수 있는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배수 부재(600)는 우천시 블록 본체(300)의 저수 공간(350)에 저장된 빗물을 비가 그친 후 조금씩 지반으로 흘려 보내는 역할을 한다. 배수 부재(600)의 타단부가 지반과 접촉되면, 블록 본체(300) 내부의 저수 공간(350)에 저장된 빗물이 경사진 배수 유로(360)를 타고 넘어 지반으로 흘러 나갈 수 있다.
반대로, 블록 본체(300)의 저수 공간(350)이 비어 있는 상태에서 비가 내리면, 배수 부재(600)를 통해 빗물이 블록 본체(300) 내부의 저수 공간(350)으로 유입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보도블록(101)은 빗물을 저수하여 집중호우시 보도의 침수를 완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수된 빗물을 천천히 지반으로 흘려 보내 지하수 자원을 확보함으로써 가뭄 해갈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다기능 보도블록들(101)이 서로 맞물려 결합되므로, 다기능 보도블록(101)에 상하 방향의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다기능 보도블록(101)의 움직임이 제한된다. 따라서, 다기능 보도블록(101)이 설치된 지반의 토질 상태에 따라 집중호우시 발생될 수 있는 스폰지 현상의 방지에도 기여를 할 수 있다.
또한, 집중호우로 지반이 침하된 경우에도 다기능 보도블록(101)이 쉽게 손상되지 않으며 일정 하중 이내에서는 결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보행자를 보호할 수도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보도블록(102)을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보도 블록(102)은 블록 본체(300)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공(390)에 삽입된 마개(800)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마개(800)는 제1 관통공(391)에 삽입되며, 제1 관통공(391)의 내벽과의 사이에 유격을 두고 삽입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마개(800)는 보행자가 신은 하이힐의 뒷굽이 빠지지 않도록 마련된 것이며, 마개(800)가 제1 관통공(391)을 밀폐시키는 것은 아니다. 즉, 빗물이 제1 관통공(391)과 마개(800) 사이의 유격을 통해 블록 본체(300) 내부의 저수 공간(350)으로 흘러 들어갈 수 있다.
이때, 마개(800)와 접촉하는 제1 관통공(391)의 제1 구간(3911)과 제2 구간(3912)의 단차면에는 액체가 이동할 수 있는 배수홈(3913)이 형성될 수 있다. 마개(800)와 제1 관통공(391) 사이에 유격이 존재하더라도, 하중 또는 중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는 마개(800)와 제1 관통공(391) 사이에 접촉면이 발생될 수 밖에 없으며, 이러한 마개(800)와 제1 관통공(391) 내벽의 접촉으로 인해 빗물의 흐름이 막힐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개(800)는 제1 관통공(391)의 제1 구간(3911)과 제2 구간(3912)의 단차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마개(800)가 접촉하는 제1 관통공(391)의 단차면에 배수홈(3913)을 형성함으로써, 마개(800)가 빗물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제1 관통공(391)을 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서, 화살표는 빗물이 제1 관통공(391)의 내벽과 마개(800) 사이의 유격, 그리고 배수홈(3913)을 통해 빗물이 블록 본체(300) 내부의 저수 공간(350)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나타낸다.
또한, 제1 관통공(391)에 형성된 배수홈(3913)과 마개(800)를 제외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보도블록(102)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보도블록(102)은 보행자의 보행에 불편을 주지 않고도 빗물을 저수하여 집중호우시 보도의 침수를 완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수된 빗물을 천천히 지반으로 흘려 보내 지하수 자원을 확보함으로써 가뭄 해갈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다기능 보도블록(102)은 집중호우시 발생될 수 있는 스폰지 현상의 방지에도 기여를 할 수 있으며, 집중호우로 지반이 침하된 경우에 보행자를 보호할 수도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보도블록(103)을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보도 블록(102)은 관통공(390)에 삽입된 마개(800)와 수분 발산 부재(650)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마개(800)는 제1 관통공(391)에 삽입되며, 제1 관통공(391)의 내벽과의 사이에 유격을 두고 삽입된다. 또한, 수분 발산 부재(650)는 제1 관통공(391)에 개재되어 일단부은 블록 본체(300) 내부의 저수 공간(350)에 삽입되고 타단부는 블록 본체(300)의 상면에 접촉한다. 이때, 수분 발산 부재(650)는 마개(80)와 제1 관통공(391)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제1 관통공(391)의 제1 구간(3911)과 제2 구간(3912)의 단차면에는 액체가 이동할 수 있는 배수홈(3913)이 형성될 수도 있다.
마개(800)는 보행자가 신은 하이힐의 뒷굽이 빠지지 않게 한다. 그리고 수분 발산 부재(650)는 우천시 빗물이 블록 본체(300) 내부의 저수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비가 그친 후에는 블록 본체(300) 내부의 저수 공간(350)에 저장된 물을 블록 본체(300)의 상면으로 발산하여 블록 본체(300)의 상면을 적신다.
수분 발산 부재(650)도, 배수 부재(600)와 마찬가지로, 직물, 실 다발, 끈 묶음 등의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수분 발산 부재(650)로는 전술한 소재 이외에도 물을 빨아들일 수 있는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분 발산 부재(650)에 의해 블록 본체(300)의 상면을 적시는 수분은 무더운 여름에 집중호우가 그친 후 높은 기온과 태양열에 의해 뜨거워지는 지면, 즉 보도를 식혀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수분 발산 부재(650)와, 마개(800), 그리고 제1 관통공(391)에 형성된 배수홈(3913)을 제외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보도블록(103)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변형례로, 제3 실시예에서 마개(800)와 배수홈(3913)은 생략될 수도 있다. 즉, 다기능 보도블록(101)의 블록 본체(300) 상면에 형성된 제1 관통공(391)에 수분 발산 부재(650)만 개재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보도블록(103)은 보행자의 보행에 불편을 주지 않고도 빗물을 저수하여 집중호우시 보도의 침수를 완충하면서 동시에 저수된 빗물을 천천히 지반으로 흘려 보내 지하수 자원을 확보함으로써 가뭄 해갈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뜨거워진 보도(步道)를 식힐 수도 있다.
또한, 다기능 보도블록(103)은 집중호우시 발생될 수 있는 스폰지 현상의 방지에도 기여를 할 수 있으며, 집중호우로 지반이 침하된 경우에 보행자를 보호할 수도 있다.
이하, 도 9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보도블록(104)을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보도블록(104)에서는, 블록 본체(300)가 이종 재질로 만들어진다.
구체적으로, 블록 본체(300)는 시멘트를 소재로 만들어진 상부체(301)와, 플라스틱을 소재로 만들어진 하부체(302)를 포함한다. 이때, 상부체(301)와 하부체(30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소재의 하부체(302)를 인서트 시킨 후 시멘트를 타설하는 방법으로 상부체(301)와 하부체(302)가 일체로 형성된 블록 본체(300)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이종 재질로 만들어진 블록 본체(3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보도블록(104)은 전체적인 무게를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다기능 보도블록(104)의 운반과 시공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다기능 보도블록(104)은 보행자의 보행에 불편을 주지 않고도 빗물을 저수하여 집중호우시 보도의 침수를 완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수된 빗물을 천천히 지반으로 흘려 보내 지하수 자원을 확보함으로써 가뭄 해갈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다기능 보도블록(104)은 집중호우시 발생될 수 있는 스폰지 현상의 방지에도 기여를 할 수 있으며, 집중호우로 지반이 침하된 경우에 보행자를 보호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102, 103, 104: 다기능 보도블록
300: 블록 본체
301: 상부체
302: 하부체
341, 541: 끼움돌부
345: 끼움홈부
350: 저수 공간
359: 개구
360: 배수 유로
375, 575: 체결공
390: 관통공
391: 제1 관통공
3911: 제1 구간
3912: 제2 구간
3913: 배수홈
395: 제2 관통공
500: 블록 커버
600: 배수 부재
650: 수분 발산 부재
800: 마개

Claims (8)

  1. 내부에 저수 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저수 공간과 연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일측면에 상기 저수 공간이 드러나도록 개구가 형성된 블록 본체;
    상기 블록 본체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를 막는 블록 커버;
    상기 블록 본체의 타측 외면 상부와 상기 블록 본체의 타측 내면 하부를 경사지게 관통하여 상기 저수 공간과 연결된 배수 유로;
    일단부는 상기 배수 유로를 통해 상기 블록 본체 내부의 상기 저수 공간으로 삽입되고, 타단부는 상기 블록 본체가 설치된 지반(地盤)에 접촉하는 배수 부재;
    상기 블록 본체의 내벽과의 사이에 유격을 두고 상기 복수 개의 관통공에 각각삽입되는 복수 개의 마개; 및
    상기 블록 본체의 내벽과 상기 마개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관통공에 각각 삽입되어 일단부는 상기 저수 공간에 배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블록 본체의 상면에 접촉하는 복수 개의 수분 발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공은 상기 블록 본체의 상면으로 개방되는 제1 구간과, 상기 제1 구간보다 작은 폭으로 이루어져 상기 저수 공간과 상기 제1 구간을 연통시키는 제2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마개는 상기 블록 본체의 내벽과의 사이에 유격을 두고 상기 제1 구간에 배치되는 부분과, 상기 제1 구간에 배치되는 부분보다 작은 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블록 본체의 내벽과의 사이에 유격을 두고 상기 제2 구간에 배치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마개의 상기 제1 구간에 배치되는 부분이 접촉하는 상기 제1 구간과 상기 제2 구간의 단차면에는 상기 제1 구간으로 유입되는 액체를 상기 제2 구간으로 가이드하는 배수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보도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본체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복수 개의 관통공은 원기둥 또는 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마개 및 상기 수분 발산 부재가 삽입되는 제1 관통공과, 슬릿(slit) 형상의 제2 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보도블록.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도블록의 일측면에 이웃한 타측면에는 끼움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타측면과 대향하는 다른 타측면에는 상기 끼움돌부에 대응하는 끼움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보도블록.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커버는 상기 블록 본체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끼움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블록 본체의 일측면에 대향하는 타측면에는 상기 블록 커버에 형성된 끼움돌부에 대응하는 끼움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보도블록.
  8. 제1항 및 제2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본체는 시멘트를 소재로 만들어진 상부체와, 상기 상부체와 일체로 형성되며 플라스틱을 소재로 만들어진 하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보도블록.
KR1020170010722A 2017-01-23 2017-01-23 다기능 보도블록 KR101941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722A KR101941121B1 (ko) 2017-01-23 2017-01-23 다기능 보도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722A KR101941121B1 (ko) 2017-01-23 2017-01-23 다기능 보도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813A KR20180086813A (ko) 2018-08-01
KR101941121B1 true KR101941121B1 (ko) 2019-01-22

Family

ID=63227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722A KR101941121B1 (ko) 2017-01-23 2017-01-23 다기능 보도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12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1691A (ja) * 2008-06-23 2010-01-0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保水部材、潅水構造体及びこの潅水構造体の保水性ブロックへの給水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359Y1 (ko) * 1989-02-20 1992-04-10 강신택 플라스틱 보도블럭
JPH0762604A (ja) * 1993-08-24 1995-03-07 Hokuetsu:Kk 排水孔を有する舗装用ブロック
KR101283094B1 (ko) * 2010-11-11 2013-07-05 박효준 필터파이프가 구성된 투수보도블록
KR20150070709A (ko) * 2013-12-17 2015-06-25 주식회사 비드블럭 복합블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1691A (ja) * 2008-06-23 2010-01-0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保水部材、潅水構造体及びこの潅水構造体の保水性ブロックへの給水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813A (ko) 2018-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0337B2 (en) Multifunctional synthetic resin block for road
KR101346104B1 (ko) 필터링 스페이스를 위한 데크보도형 빗물저류장치
KR101941121B1 (ko) 다기능 보도블록
KR100776705B1 (ko) 가로수 및 산책로 주변 녹도 조성용 인조잔디의 고정장치및 그의 시공방법
KR100864236B1 (ko) 공간 투수블럭
KR20120104747A (ko) 분리결합형 보도블럭
CN111206470B (zh) 网连式排水铺面装置
KR100554868B1 (ko) 연약지반 도로의 아스팔트 침하방지시설
KR101019562B1 (ko) 보도블록 및 보차도 경계석을 포함하는 도로의 시공 구조 및 시공 방법
KR101976073B1 (ko) 배수 및 저류 성능이 우수한 블록 및 블록 세트
KR102305348B1 (ko) 저영향개발(lid) 투수블록
JP5100163B2 (ja) 潅水システム
KR101127629B1 (ko) 도로 횡단 방지 조경물
KR20120025085A (ko) 보도블록용 배수부재
KR101096195B1 (ko) 조립식 보도블록 시스템
KR100673921B1 (ko) 도로 경사면의 배수로 구조
KR100598770B1 (ko) 도로의 가변차로에 설치되는 배수용 식재블럭
KR100970494B1 (ko) 비탈면의 배수용 보호 블록
KR101567448B1 (ko) 발열 및 우수유출 저감용 보도블럭
KR100612085B1 (ko) 도로 경사면의 배수로 구조
JP6857943B2 (ja) 側溝ブロック
KR101567445B1 (ko) 발열 가능한 보도블럭 시공방법
KR101733481B1 (ko) 빗물 저장 기능을 갖는 조립식 저류블록을 사용하는 지반 포장구조
KR20120064873A (ko) 견고한 연결구조를 가지는 토양 유지용 격자판 및 그 연결구조
KR102442631B1 (ko) 도시 열섬화 방지 및 비점 오염물 제거를 위한 블록고정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