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996B1 - 처짐 방지 및 처짐에 대해 보정 기능을 갖는 가구용 패널 - Google Patents

처짐 방지 및 처짐에 대해 보정 기능을 갖는 가구용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996B1
KR101940996B1 KR1020170022762A KR20170022762A KR101940996B1 KR 101940996 B1 KR101940996 B1 KR 101940996B1 KR 1020170022762 A KR1020170022762 A KR 1020170022762A KR 20170022762 A KR20170022762 A KR 20170022762A KR 101940996 B1 KR101940996 B1 KR 101940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inner block
panel
storage space
side surfa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6271A (ko
Inventor
김택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인
Priority to KR1020170022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996B1/ko
Publication of KR20180096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하중이 가해질 때 중앙부분이 하향으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처짐 방지 기능을 하는 내부블록을 본체 바닥면과 분리시켜 상면에서 처짐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본체 바닥면에는 상면의 처짐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하며, 처짐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내부블록이 들어 올려져 패널을 원상태로 복원할 수 있는 처짐 방지 및 처짐에 대해 보정 기능을 갖는 가구용 패널에 관한 것으로,
이는 양측부가 관통된 수납공간(10a)이 형성되며, 이 수납공간(10a)을 형성하는 양측면(10b) 내측벽에 슬롯(10c)이 삽입되고, 상기 양측면(10b)에 상기 수납공간(10a)과 연통되게 나사공(10d)이 형성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수납공간(10a)에 한 쌍이 수용되며, 그들의 각 외측면에 형성된 삽입돌기(11a)가 상기 슬롯(10c)에 삽입되고, 자유단을 형성하는 그들의 각 내측면이 서로 밀접하게 접촉되는 내부블록(11); 상기 나사공(10d)에 정,역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그 내측 단부에 조립된 브래킷(12a)이 상기 내부블록(11)들의 하부 측면에 형성된 단턱(11b)을 가압하여 내부블록(11)들의 처짐을 방지하는 스크류(12); 및 상기 본체(10)에 조립 고정되어 수납공간(10a)의 측부를 폐쇄하는 측면덮개(14);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처짐 방지 및 처짐에 대해 보정 기능을 갖는 가구용 패널{Furniture panel with anti-sag and sag compensation}
본 발명은 가구용 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직하중이 장시간 가해질 때 중앙 부분이 하향으로 볼록하게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내장되어 실질적으로 처짐 방지 기능을 하는 내부블록을 그 하부에 위치한 본체 바닥면과 분리시켜 상면에서 처짐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본체 바닥면에는 상면의 처짐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하여 패널 하부 처짐 현상을 방지하며, 사용 중 처짐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스크류 조임에 따라 내부블록이 들어 올려져 패널을 원상태로 복원할 수 있는 처짐 방지 및 처짐에 대해 보정 기능을 갖는 가구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가구에 사용되는 패널은 원목, 집성목, 합성목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원목 패널은 통으로 된 자연 목재를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품질은 좋으나, 가격이 비싸고 크기가 한정되어 있어 단일 재료만으로 대형 가구의 제조는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집성목과 합성목을 사용하고 있다. 집성목은 여러 개의 작은 원목을 평행하게 배열하여 접착시킨 목재이고 이 목재를 이용해서 만드는 것이 집성목 패널이다. 집성목 패널은 목재 고유 결점인 옹이를 제거할 수 있고, 대형으로 제작이 가능한 장점이 있어 가구 제작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합성목(MDF : Medium Density Fiberboard)은 섬유질, 특히 장섬유를 가진 수종의 나무를 분쇄하여 섬유질을 추출한 후 양표면용과 Core용의 섬유질을 분리하고 접착제를 투입하여 층을 쌓은 후 Press로 눌러 표면 연마(Sending) 처리한 제품을 말하고, 이것을 이용해서 만드는 것이 합성목 패널이다. 합성목 패널은 습기와 물에 약하고 결합부분이 떨어질 수 있으나,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가격이 싸고 크기에 제한이 없어 가구용 패널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상 설명한 종래 가구용 패널은 비정상적으로 과도하게 두껍게 사용하지 않으면 그것이 원목패널, 집성목패널, 합성목패널 이든 어느 것이든지 장시간 수직하중을 받으면 중앙 부분이 하향으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우리는 이것을 경험하여 쉽게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패널이 처지는 현상은 패널 내부에 수직하중이 가해질 때 이 수직하중에 저항하는 처짐방지 수단이 갖추어지지 않기 때문에, 즉 패널 자체가 단일 부품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장시간 수직하중을 받으면 중앙부분이 하향으로 볼록하게 처지는 현상이 자연적으로 발생한다.
예컨대, 도 1과 같이 종래 가구용 패널(100)로 만든 책장은 패널(100) 위에 많은 책(200)들을 보관하게 되는데, 가벼운 책들을 장시간 보관하거나 또는 중량이 무거운 많은 책들을 단시간 보관하더라도 패널(100)의 중앙부분이 하향으로 볼록하게 처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처짐 현상은 패널(100)의 중앙부분이 자유단이 되어 그 부분 하부를 받침 지지하는 소재가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한 번 처짐이 발생하는 패널(100)은 도 2와 같이 단일 부품(110)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원상태로 복원이 불가능하여 처진 상태 그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그 패널(100)을 뒤집어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뒤집어 사용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 다시 중앙부분이 쉽게 하향으로 처지는 현상이 반복된다.
종래 제시된 가구용 패널은 실용신안등록출원 20-2002-0024978호가 있다. 이 기술은 MDF 등으로 제작된 패널(1)의 에지(2)부분에 에지밴드(10)가 열융착 접착제(11)로써 접착되고, 그 에지밴드(10)의 표면위에 합성수지재 열전사필름(12)이 열전사되어 적층된 구조로 되어 표면이 미려하면서도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쉽게 벗겨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 패널은 내부에 처짐을 방지하는 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이미 지적한 바와 같이 수직하중이 장시간 가해지면 중앙 부분이 하향으로 처지는 문제를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 패널은 한 번 처짐이 발생하면 복원이 불가능하여 가구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고, 그 상태로 사용하게 되면 외관이 좋지 않아 미관을 해치기 때문에 이때마다 새로운 가구를 구입해야 하므로 가구 구매에 따른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20-2002-0024978호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가구용 패널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수직하중이 장시간 가해질 때 중앙 부분이 하향으로 볼록하게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처짐 방지 및 처짐에 대해 보정 기능을 갖는 가구용 패널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장되어 실질적으로 처짐 방지 기능을 하는 내부블록을 그 하부에 위치한 본체 바닥면과 분리시켜 상면에서 처짐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본체 바닥면에는 상면의 처짐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하여 패널 하부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처짐 방지 및 처짐에 대해 보정 기능을 갖는 가구용 패널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 중 처짐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스크류 조임에 따라 내부블록이 들어 올려져 패널을 원상태로 복원할 수 있는 처짐 방지 및 처짐에 대해 보정 기능을 갖는 가구용 패널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처짐 방지 및 처짐에 대해 보정 기능을 갖는 가구용 패널은 양측부가 관통된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이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양측면 내측벽에 슬롯이 삽입되고, 상기 양측면에 상기 수납공간과 연통되게 나사공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수납공간에 한 쌍이 수용되며, 그들의 각 외측면에 형성된 삽입돌기가 상기 슬롯에 삽입되고, 자유단을 형성하는 그들의 각 내측면이 서로 밀접하게 접촉되는 내부블록;
상기 나사공에 정,역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그 내측 단부에 조립된 브래킷이 상기 내부블록들의 하부 측면에 형성된 단턱을 가압하여 내부블록들의 처짐을 방지하는 스크류; 및
상기 본체에 조립 고정되어 수납공간의 측부를 폐쇄하는 측면덮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양측부와 상부가 개방된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이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양측면 내측벽에 슬롯이 삽입되고, 상기 양측면에 상기 수납공간과 연통되게 나사공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수납공간에 한 쌍이 수용되며, 그들의 각 외측면에 형성된 삽입돌기가 상기 슬롯에 삽입되고, 자유단을 형성하는 그들의 각 내측면이 서로 밀접하게 접촉되는 내부블록;
상기 나사공에 정,역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그 내측 단부에 조립된 브래킷이 상기 내부블록들의 하부 측면에 형성된 단턱을 가압하여 내부블록들의 처짐을 방지하는 스크류;
상기 본체에 조립 고정되어 수납공간의 상부를 폐쇄하는 상부덮개; 및
상기 본체에 조립 고정되어 수납공간의 측부를 폐쇄하는 측면덮개;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내부블록은 서로 밀접하게 접촉되는 자유단을 형성하는 각 내측면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이 삽입홈에 결속부재가 끼움 조립되어 맞대응되는 각 자유단을 결속하여 이 자유단이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삭제
삭제
상기 한 쌍의 내부블록은 저면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처짐이 발생하는 초기에 본체 바닥면과 접촉하지 않아 본체의 바닥면이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한 쌍의 내부블록은 저면이 본체 바닥면과 분리된 상태로 조립되어 본체 하부가 처지는 현상을 방지한다.
상기 결속부재는 중앙의 두께가 양단부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처짐 방지 및 처짐에 대해 보정 기능을 갖는 가구용 패널은 처짐을 방지하는 한 쌍의 내부블록이 밀접하게 접촉된 상태로 내장되어 있고, 이 내부블록이 하향으로 처지지 않도록 스크류를 설치하여 패널이 하향으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내장된 한 쌍의 내부블록 저면이 본체 바닥면에 닿지 않게 분리시켜 상면에 가해지는 하중을 내부블록이 견디어 본체 바닥면에 하중이 미치지 않아 본체 바닥면이 하향으로 처지지 않도록 하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 및 내부블록의 재질 변형 등으로 밀착 조립된 한 쌍의 내부블록 자유단이 장시간 사용으로 하향으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본체의 양측면에 조립된 스크류를 회전시켜 내부블록을 원위치로 들어올려 패널 중앙에 발생된 처짐 현상을 원상태로 복원할 수 있는 장점이 가진다.
이러한 장점들로 인하여 본 발명의 패널은 장시간 수직하중을 받더라도 중앙부분이 하향으로 볼록하게 처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용 중 패널 중앙부분에 처짐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양측에 있는 스크류를 회전시켜 내부블록을 원위치로 들어올려 패널을 원상태로 보정할 수 있어 가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가구의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패널을 이용한 책장의 수평패널 중앙에 처짐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보인 개념도
도 2는 종래 가구용 패널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패널의 일 실시예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패널의 개략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패널에 처짐이 발생할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도 5 상태에서 스크류를 조임하여 내부블록이 들어 올려져 패널이 원상태로 보정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처짐 방지 및 처짐에 대해 보정 기능을 갖는 가구용 패널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가구용 패널(1)은 크게 구분하면 본체(10), 상기 본체(10)에 내장되어 수직하중에 대항하여 실질적으로 처짐을 방지하는 내부블록(11), 상기 내부블록(11)이 하향으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할 경우 이들을 원위치로 복귀시켜 처짐 현상을 보정하는 스크류(12), 본체(10) 상부를 폐쇄하는 상부덮개(13), 본체(10) 양측면(10b)을 폐쇄하는 측면덮개(14)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패널(1)의 기본 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내부블록(11)을 내장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10a)이 형성되며, 이 수납공간(10a)을 형성하는 양측면(10b) 내측벽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슬롯(10c)이 삽입되고, 양측면(10b)에는 상기 수납공간(10a)과 연통되게 나사공(10d)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0)의 재질은 종래와 같이 목재, 즉 원목, 집성목, 합성목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합성수지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체(10)의 재질을 합성수지로 사용할 경우 압출로 길게 인출하여 적당한 길이로 절단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및 조립을 간편하게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는 양측 슬롯(10c)에 내부블록(11)의 삽입돌기(11a)가 끼워진 상태에서 이 내부블록(11) 상부에서 수직하중이 가해질 때 이들 한 쌍의 내부블록(11)이 밀려나지 않도록 양측면(10b)이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의 양측면(10b)은 내부블록(11)이 밀려나는 힘에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두께를 가져야 한다. 이와 같이 본체(10)의 양측면(10b)이 충분한 두께를 가짐에 따라 여기에 형성된 나사공(10d)의 길이도 충분한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길게 형성된 상기 나사공(10d)에 체결된 스크류(12)는 내부블록(11) 측면 하단부를 든든하게 지지하여 내부블록(11)이 하향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결국 패널(1) 중앙부분이 하향으로 처지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내부블록(11)은 한 쌍이 서로 밀접하게 접촉된 상태로 상기 본체(10) 내부에 조립된 상태에서 그 상부에서 수직하중이 발생할 때 그 하중을 극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내부블록(11)은 상면이 수평으로 형성되어 한 쌍이 밀접하게 접촉되면 패널(1)의 실질적인 상면을 형성하게 되고, 그 상면 위에 상부덮개(13)가 조립된다.
또한, 내부블록(11)은 외측면에 상기 본체(10)의 슬롯(10c)에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돌기(11a)가 돌출되고, 상기 삽입돌기(11a) 하부에는 스크류(12)의 브래킷(12a)과 밀착될 수 있도록 단턱(11b)이 형성된다. 내부블록(11)은 한 쌍이 서로 밀접하게 접촉되는 각 내측면에 삽입홈(11c)이 형성되고, 이 삽입홈(11c)에 결속부재(11d)가 끼움 조립된다. 상기 결속부재(11d)는 맞대응되는 내부블록(11)의 내측면을 결속시켜 이들의 처짐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내부블록(11)은 하부에 경사면(11e)이 형성되어 처짐이 발생하더라도 처짐 초기에 그 하부가 바닥면과 접촉하지 않아 본체(10)의 바닥면이 처지는 현상을 방지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경사면(11e)은 삽입돌기(11a)가 형성된 외측면에서부터 서로 밀착부분을 형성하는 내측면으로 갈수록 본체(10) 바닥면에서 점차 멀어지게 형성되어, 접촉면을 형성하는 내측 단부가 바닥면에서부터 가장 높게 형성되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면에서와 같이 내부블록(11) 저면이 본체(10) 바닥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패널(1) 상면에 수직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이 수직하중에 의해 내부블록(11)이 하향으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초기에 내부블록(11) 저면이 본체(10)의 바닥면에 닿지 않게 된다.
또한, 내부블록(11)은 슬롯(10c)에서 삽입돌기(11a)가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 몸체에 조립공(11f)이 관통되고, 이 조립공(11f)에 고정플레이트(11g)가 삽입되어 그 양단부가 본체(10)의 바닥과 상부덮개(13)에 형성된 홈에 삽입 고정된다. 따라서 한 쌍이 서로 밀착된 내부블록(11)들은 각각 외측면에 돌출된 삽입돌기(11a)가 본체(10)의 측면에 형성된 슬롯(10c)에 삽입되고, 몸체에 형성된 조립공(11f)에는 본체(10)와 상부덮개(13)에 고정된 고정플레이트(11g)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그 내측면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패널(1)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조립은 먼저 나사공(10d)에 스크류(12)를 체결하여 브래킷(12a)이 수납공간(10a)에 수용된 상태에서, 삽입돌기(11a)가 조립된 상태로 서로 밀접하게 조립된 한 쌍의 내부블록(11)을 관통된 어느 일측 측면에서 수납공간(10a) 내부로 삽입한 다음 고정플레이트(11g)를 조립공(11f)에 넣고, 상부덮개(13) 및 측면덮개(14)를 본체(10)에 체결 고정하면 간단히 조립을 완료할 수 있다.
상기 스크류(12)는 본체(10)의 양측면(10b)에 형성된 나사공(10d)에 체결되어 조임과 풀림에 따라 본체(10) 내부의 삽입 깊이가 조절된다. 스크류(12)를 조임하여 그 내측단부에 조립된 브래킷(12a)이 내부블록(11)의 단턱(11b)에 밀착되게 하면 내부블록(11)의 자유단부, 즉 밀착된 내측단을 들어올려 내부블록(11)이 수직하중에 대항하여 하향으로 처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상부덮개(13)는 본체(10)의 수납공간(10a)의 상부를 폐쇄하여 패널(1) 상면을 매끈하게 처리하는 것으로, 이는 볼트, 스크류, 피스 등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이는 공지의 기술로서 심지어 당업자가 아니더라도 쉽게 알 수 있기 때문에 도면에 표시하지 않았다.
상기 측면덮개(14)도 본체(10)의 수납공간(10a)의 측부를 폐쇄하여 패널 측면을 매끈하게 처리하는 것으로, 상부덮개(13)의 고정방법과 동일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7과 같이 이미 설명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본체(10) 상면에 조립된 상부덮개(13)와 고정플레이트(11g)를 제거하여 구성요소를 줄일 뿐만 아니라 상부덮개(13)를 본체(10)와 일체로 형성하여 패널 상면의 강도를 보강하였다. 다시 말해 상부덮개(13)에 해당하는 부분을 본체(10)로 대체하여 내부블록(11)을 감싸는 것을 본체(11)로 일체화하여 패널(1)의 강도를 보강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양측부가 관통된 수납공간(10a)이 형성되며, 이 수납공간(10a)을 형성하는 양측면(10b) 내측벽에 슬롯(10c)이 삽입되고, 상기 양측면(10b)에 상기 수납공간(10a)과 연통되게 나사공(10d)이 형성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수납공간(10a)에 한 쌍이 수용되며, 그들의 각 외측면에 형성된 삽입돌기(11a)가 상기 슬롯(10c)에 삽입되고, 자유단을 형성하는 그들의 각 내측면이 서로 밀접하게 접촉되는 내부블록(11);
상기 나사공(10d)에 정,역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그 내측 단부에 조립된 브래킷(12a)이 상기 내부블록(11)들의 하부 측면에 형성된 단턱(11b)을 가압하여 내부블록(11)들의 처짐을 방지하는 스크류(12); 및
상기 본체(10)에 조립 고정되어 수납공간(10a)의 측부를 폐쇄하는 측면덮개(14);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다른 실시예는 상부덮개(13)가 제거되고, 수납공간(10a)에 내장된 내부블록(11)은 측면덮개(14)에 의해 수납공간(10a)에서 이탈하지 않는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내부블록(11)의 조립공(11f)에 고정플레이트(11g)를 삽입한 상태에서 수납공간(10a)을 상부덮개(13)로 덮고 이 상부덮개(13)를 볼트 등을 이용하여 본체(10)와 측면덮개(14)에 체결하여 고정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는 부품수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에 따른 공수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더 중요한 것은 앞선 실시예와 같이 패널(1) 중앙 부분이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동일한 기능을 가지면서도 상부덮개(13)를 본체(10)와 일체로 하여 패널의 강도를 더욱 보강하여 처짐 현상을 더욱 줄일 수 있는 유익한 발명이라 하겠다.
종래 패널(100)이 단일부품(110)으로 구성되어 그 내부에 수직하중이 가해질 때 이에 저항하는 수단이 갖추어지지 않아 장시간 수직하중을 받으면 중앙부분이 하향으로 볼록하게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없었으나, 본 발명은 한 쌍으로 구성된 내부블록(11)이 밀접하게 접촉되면서 실질적으로 수직하중에 저항하고, 이 저항체인 내부블록(11)이 처지지 않도록 하단 측면 단턱(11b)을 스크류(12)가 밀착하게 되므로 내부블록(11)은 장시간 사용하여도 하향으로 볼록하게 처지지 않는다.
설령, 장시간 사용으로 본체(10)와 내부블록(11)의 재질이 변형되어 한 쌍의 내부블록(11)의 자유단인 내측단 접면부가 하향으로 처짐 현상이 발생하여 도 5의 처짐길이(L)가 발생할 경우에는 스크류(12)를 조임하여 내부블록(11)의 단턱(11b)을 가압하여 처진 내부블록(11)을 들어올려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으므로 중앙 부분이 처진 패널(1)은 원상태로 보정된다. 더 나아가 본원발명은 내부블록(11) 저면이 본체(10) 바닥면과 닿지 않아 본체(10) 바닥면은 수직하중의 영향을 받지 않아 패널(1)의 가장 문제점으로 지적된 하부 중앙부분이 하향으로 처지지 않는다.
1 : 패널 10 : 본체
11 : 내부블록 12 : 스크류
13 : 상부덮개 14 : 측면덮개

Claims (7)

  1. 양측부가 관통된 수납공간(10a)이 형성되며, 이 수납공간(10a)을 형성하는 양측면(10b) 내측벽에 슬롯(10c)이 삽입되고, 상기 양측면(10b)에 상기 수납공간(10a)과 연통되게 나사공(10d)이 형성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수납공간(10a)에 한 쌍이 수용되며, 그들의 각 외측면에 형성된 삽입돌기(11a)가 상기 슬롯(10c)에 삽입되고, 자유단을 형성하는 그들의 각 내측면이 서로 밀접하게 접촉되는 내부블록(11);
    상기 나사공(10d)에 정,역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그 내측 단부가 상기 내부블록(11)들의 하부 측면을 가압하여 내부블록(11)들의 처짐을 방지하는 스크류(12); 및
    상기 본체(10)에 조립 고정되어 개방된 수납공간(10a)의 측부를 폐쇄하는 측면덮개(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짐 방지 및 처짐에 대해 보정 기능을 갖는 가구용 패널.
  2. 양측부와 상부가 개방된 수납공간(10a)이 형성되며, 이 수납공간(10a)을 형성하는 양측면(10b) 내측벽에 슬롯(10c)이 삽입되고, 상기 양측면(10b)에 상기 수납공간(10a)과 연통되게 나사공(10d)이 형성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수납공간(10a)에 한 쌍이 수용되며, 그들의 각 외측면에 형성된 삽입돌기(11a)가 상기 슬롯(10c)에 삽입되고, 자유단을 형성하는 그들의 각 내측면이 서로 밀접하게 접촉되는 내부블록(11);
    상기 나사공(10d)에 정,역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그 내측 단부가 상기 내부블록(11)들의 하부 측면을 가압하여 내부블록(11)들의 처짐을 방지하는 스크류(12);
    상기 본체(10)에 조립 고정되어 개방된 수납공간(10a)의 상부를 폐쇄하는 상부덮개(13); 및
    상기 본체(10)에 조립 고정되어 개방된 수납공간(10a)의 측부를 폐쇄하는 측면덮개(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짐 방지 및 처짐에 대해 보정 기능을 갖는 가구용 패널.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내부블록(11)은 서로 밀접하게 접촉되는 자유단을 형성하는 각 내측면에 삽입홈(11c)이 형성되고, 이 삽입홈(11c)에 결속부재(11d)가 끼움 조립되어 맞대응되는 각 자유단을 결속하여 이 자유단이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짐 방지 및 처짐에 대해 보정 기능을 갖는 가구용 패널.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내부블록(11)은 하부에 경사면(11e)이 형성되어 처짐이 발생하는 초기에 본체(10) 바닥면과 접촉하지 않아 본체(10)의 바닥면이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짐 방지 및 처짐에 대해 보정 기능을 갖는 가구용 패널.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부블록(11)은 저면이 본체(10) 바닥면과 분리된 상태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짐 방지 및 처짐에 대해 보정 기능을 갖는 가구용 패널.
  6. 삭제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11d)는 중앙의 두께가 양단부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짐 방지 및 처짐에 대해 보정 기능을 갖는 가구용 패널.
KR1020170022762A 2017-02-21 2017-02-21 처짐 방지 및 처짐에 대해 보정 기능을 갖는 가구용 패널 KR101940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762A KR101940996B1 (ko) 2017-02-21 2017-02-21 처짐 방지 및 처짐에 대해 보정 기능을 갖는 가구용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762A KR101940996B1 (ko) 2017-02-21 2017-02-21 처짐 방지 및 처짐에 대해 보정 기능을 갖는 가구용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271A KR20180096271A (ko) 2018-08-29
KR101940996B1 true KR101940996B1 (ko) 2019-01-31

Family

ID=63434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762A KR101940996B1 (ko) 2017-02-21 2017-02-21 처짐 방지 및 처짐에 대해 보정 기능을 갖는 가구용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99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7855A (ja) 2000-09-25 2002-04-05 Juken Sangyo Co Ltd パネル材の反り矯正方法およびその矯正装置
JP2007260212A (ja) 2006-03-29 2007-10-11 Cleanup Corp カウンターの撓み防止機構
KR101619719B1 (ko) 2015-10-26 2016-05-10 구동욱 목재패널 변형 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063U (ko) * 1999-02-20 1999-06-25 김영화 합성수지재패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7855A (ja) 2000-09-25 2002-04-05 Juken Sangyo Co Ltd パネル材の反り矯正方法およびその矯正装置
JP2007260212A (ja) 2006-03-29 2007-10-11 Cleanup Corp カウンターの撓み防止機構
KR101619719B1 (ko) 2015-10-26 2016-05-10 구동욱 목재패널 변형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271A (ko) 2018-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860796U (zh) 铝材柜体的拼装结构
US9834982B2 (en) Door, method of making door, and stack of doors
KR101940996B1 (ko) 처짐 방지 및 처짐에 대해 보정 기능을 갖는 가구용 패널
KR200242839Y1 (ko) 인테리어 패널 구조
KR100814106B1 (ko) 가구용 패널
KR200479793Y1 (ko) 집성목이 구비된 싱크대용 도어
CN216059697U (zh) 一种可拼装储物柜
KR101169308B1 (ko) 가구용 복합 상판
KR950001056A (ko) 목재문의 제조방법 및 그 구조
JP2006283490A (ja) 透明扉
KR101234396B1 (ko) 조립식 문
JPS5918067Y2 (ja) 木彫扉
JP4643348B2 (ja) 扉枠材
KR20020096506A (ko) 목판재 및 그 제조 방법
US20060096228A1 (en) Corner connection block for assembly container
CN112826232A (zh) 一种可拼装储物柜
KR200343369Y1 (ko) 대나무로 된 가구용 문짝
US20030127199A1 (en) Sun blind made of compound material
KR20020085555A (ko) 인테리어 패널 구조 및 제조방법
CN113043413A (zh) 一种可拼装储物柜的生产工艺
KR200242283Y1 (ko) 도어
KR200364007Y1 (ko) 천연목시트가 구비된 도어용 합성수지패널
EP0062013A1 (en) Assembly strip and rounded edges laminated case so built
KR20170114681A (ko) 욕실장의 손잡이 일체형 도어
JP4289320B2 (ja) 扉枠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