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953B1 - 다용도 루프 드레인, 그리고 이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다용도 루프 드레인, 그리고 이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40953B1 KR101940953B1 KR1020180046843A KR20180046843A KR101940953B1 KR 101940953 B1 KR101940953 B1 KR 101940953B1 KR 1020180046843 A KR1020180046843 A KR 1020180046843A KR 20180046843 A KR20180046843 A KR 20180046843A KR 101940953 B1 KR101940953 B1 KR 1019409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ange
- sleeve
- lower body
- drain
- mounting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2774 insula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469 gran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3179 granul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3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352 surface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404—Drainage on the roof surface
- E04D13/0409—Drainage outlets, e.g. gul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루프 드레인, 그리고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단에 해당하는 일 측이 플랜지(130)와 결합하고, 상단에 해당하는 타측에는 상단 망(110)이 거치되는 상부 몸체(120); 및 플랜지 몸체(131) 및 플랜지 거치부(132)로 이루어져서 상부 몸체(120)와 하부 몸체(140) 사이를 체결하고, 하부 몸체(140) 사이에서 방수층 표면의 물 흐름을 제공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형성되는 플랜지(130); 을 포함하며, 플랜지 몸체(131)는 단면이 링 형상인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플랜지(130)의 정방향 입상 상태에서 플랜지 몸체(131)는 플랜지 몸체(131)의 내경은 유지한 상태로 플랜지 몸체(132)의 하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증적으로 커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플랜지 거치부(132)는 플랜지 몸체(131)에서 최대의 외경을 갖는 끝단에 평판 형의 테두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방수시트 또는 방수액으로 이루어진 방수층이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를 덮게끔 시공하며, 루프 드레인의 구성 요소를 통해 방수층을 눌러 고정할 수 있어서,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와 루프 드레인의 만나는 취약지점에 대해 완벽한 방수가 이루어 짐으로써, 누수를 막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수층에서 흐르는 소량의 물을 배관을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하부 몸체와 플랜지와 플랜지 사이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방수층을 보호하는 무근 콘크리트 슬라브의 높이를 나사식으로 폭 넓게 조절하여 맞춰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에 의해, 방수시트 또는 방수액으로 이루어진 방수층이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를 덮게끔 시공하며, 루프 드레인의 구성 요소를 통해 방수층을 눌러 고정할 수 있어서,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와 루프 드레인의 만나는 취약지점에 대해 완벽한 방수가 이루어 짐으로써, 누수를 막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수층에서 흐르는 소량의 물을 배관을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하부 몸체와 플랜지와 플랜지 사이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방수층을 보호하는 무근 콘크리트 슬라브의 높이를 나사식으로 폭 넓게 조절하여 맞춰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옥상에 설치되는 배수를 위한 다용도 루프 드레인, 그리고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옥상 슬라브 층의 높이와 방수층에서 흐르는 소량의 물을 배관으로 유도해 주며, 방수층을 보호하고, 무근 콘크리트 슬라브 높이를 더욱 쉽게 맞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용도 루프 드레인, 그리고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 및 공동주택 등에 사용되는 루프 드레인은 노출된 옥상에 빗물을 우수배관으로 배수하기 위해 연결해 주는 장치이다. 루프 드레인은 시공 시,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의 높이에 맞게 설치되며,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 바로 윗부분에 방수작업을 하고, 방수층을 보호할 수 있게 무근 콘크리트 슬라브가 덮이며 루프 드레인 방향으로 경사를 주어 빗물을 유도하게끔 설치가 된다.
그런데 현재 루프 드레인은, 콘크리트 슬라브와 방수층까지의 높이를 맞추는 경우에는 큰 문제가 되지 않았으나 방수층을 보호하는 무근 콘크리트 슬라브가 덮일 때 루프 드레인이 그 높이를 유연하게 맞출 수 있는 없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루프 드레인 주변 또는 상측에서 방수를 고정할 수 있는 장치가 없는 경우가 많았다. 이 결과,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와 루프 드레인이 만나는 부분의 방수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최상층 세대에 물이 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루프 드레인을 이루는 구성요소를 이용해 방수층을 보호해 주는 무근 콘크리트 슬라브의 높이를 유연하게 맞출 수 있음으로써, 루프 드레인 주변의 방수층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다용도 루프 드레인, 그리고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방수층을 고정하여 방수층이 손상되는 문제점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용도 루프 드레인, 그리고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루프 드레인은, 하단에 해당하는 일 측이 플랜지(130)와 결합하고, 상단에 해당하는 타측에는 상단 망(110)이 거치되는 상부 몸체(120); 및 플랜지 몸체(131) 및 플랜지 거치부(132)로 이루어져서 상부 몸체(120)와 하부 몸체(140) 사이를 체결하고, 하부 몸체(140) 사이에서 방수층 표면의 물 흐름을 제공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형성되는 플랜지(130); 를 포함하며, 플랜지 몸체(131)는 단면이 링 형상인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플랜지(130)의 정방향 입상 상태에서 플랜지 몸체(131)는 플랜지 몸체(131)의 내경은 유지한 상태로 플랜지 몸체(132)의 하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증적으로 커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플랜지 거치부(132)는 플랜지 몸체(131)에서 최대의 외경을 갖는 끝단에 평판 형의 테두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루프 드레인에 있어서, 플랜지(130)는, 정방향 입상 상태의 경우, 양끝 단면으로 'ㄴ자' 형태가 플랜지(130)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플랜지 몸체(131)의 상단의 내부로 상부 몸체 결합부(122)가 높이 조절 형식으로 삽입될 수 있는 형태를 갖으며, 플랜지 거치부(132)의 하단면이 하부 몸체(140)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단(145)에 의해 거치되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루프 드레인에 있어서, 돌출단(145)과 이격된 공간(하부 몸체(140)와 플랜지(130) 사이의 공간)은 방수층 표면 물 흐름(F1)이 가능하도록 하여 방수층 표면을 흐르는 물을 배관을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루프 드레인에 있어서, 플랜지(130)는, "역방향 입상 상태"의 경우, 양끝 단면으로 'ㄱ자' 형태가 플랜지(130)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플랜지 몸체(131)의 내부로 상부 몸체 결합부(122)가 삽입되며, 플랜지 몸체(131)는 하부 몸체(140)의 하부 몸체 몸통(141)의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를 가져서, "정방향 입상 상태"에 비해 플랜지(130) 전체의 높이에서 플랜지 몸체(131)의 높이를 뺀 만큼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루프 드레인에 있어서, 플랜지 거치부(132)의 하단면이 하부 몸체(140)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단(145)에 의해 거치되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루프 드레인에 있어서, 상부 몸체(120)는, 망 거치부(121) 및 상부 몸체 결합부(122)를 포함하며, 망 거치부(121)는 상부 몸체 결합부(122) 상단의 테두리 면으로 테두리 면 상단으로 상단 망(110)이 거치되어 배수 중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부 몸체 결합부(122)는 단면이 링 형상인 원통형의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정방향 입상 상태의 플랜지(130)의 내면과 나사결합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루프 드레인, 그리고 이의 시공 방법은, 방수시트 또는 방수액으로 이루어진 방수층이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를 덮게끔 시공하며, 루프 드레인의 구성 요소를 통해 방수층을 눌러 고정할 수 있어서,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와 루프 드레인의 만나는 취약지점에 대해 완벽한 방수가 이루어 짐으로써, 누수를 막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루프 드레인, 그리고 이의 시공 방법은, 방수층에서 흐르는 소량의 물을 배관을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하부 몸체와 플랜지와 플랜지 사이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루프 드레인, 그리고 이의 시공 방법은, 방수층을 보호하는 무근 콘크리트 슬라브의 높이를 나사식으로 폭 넓게 조절하여 맞춰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루프 드레인(1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루프 드레인(1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루프 드레인(100) 중 하부 몸체(140)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루프 드레인(100) 중 플랜지(130)의 변형 사용용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루프 드레인(100) 중 플랜지(130)의 정방향 입상 상태(도 5a) 및 정방향 입상 상태(도 5b)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루프 드레인(100a)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다용도 루프 드레인(100a)에서 매립형 루프 드레인 받침(165)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루프 드레인(1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루프 드레인(100) 중 하부 몸체(140)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루프 드레인(100) 중 플랜지(130)의 변형 사용용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루프 드레인(100) 중 플랜지(130)의 정방향 입상 상태(도 5a) 및 정방향 입상 상태(도 5b)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루프 드레인(100a)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다용도 루프 드레인(100a)에서 매립형 루프 드레인 받침(165)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루프 드레인(1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루프 드레인(1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루프 드레인(100) 중 하부 몸체(140)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루프 드레인(100) 중 플랜지(130)의 변형 사용용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루프 드레인(100) 중 플랜지(130)의 정방향 입상 상태(도 5a) 및 정방향 입상 상태(도 5b)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다용도 루프 드레인(100)은 상단 망(110), 상부 몸체(120), 플랜지(130), 하부 몸체(140), 고정부재(150), 슬리부(16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몸체(120)는 하단에 해당하는 일 측이 플랜지(130)와 결합하고, 상단에 해당하는 타측에는 상단 망(110)이 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 몸체(120)는 망 거치부(121) 및 상부 몸체 결합부(122)를 포함하며, 망 거치부(121)는 상부 몸체 결합부(122) 상단의 테두리 면으로 그 상단으로 상단 망(110)이 거치되어 배수 중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 몸체 결합부(122)는 단면이 링 형상인 원통형의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정방향 입상 상태의 플랜지(130)의 내면과 나사결합될 수 있다.
플랜지(130)는 플랜지 몸체(131) 및 플랜지 거치부(1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몸체(120)와 하부 몸체(140) 사이를 체결하고, 하부 몸체(140) 사이에서 방수층 표면의 물 흐름을 제공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형성된다.
플랜지 몸체(131)는 단면이 링 형상인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플랜지(130)의 정방향 입상 상태에서 플랜지 몸체(131)는 플랜지 몸체(131)의 내경은 유지한 상태로 플랜지 몸체(132)의 하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증적으로 커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플랜지 거치부(132)는 플랜지 몸체(131)에서 최대의 외경을 갖는 끝단에 평판 형의 테두리를 이룬다.
플랜지(130)가 도 1, 도 2, 도 4a, 도 5a와 같이 "정방향 입상 상태"의 경우, 플랜지(130)는 양끝 단면으로 'ㄴ자' 형태가 플랜지(130)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플랜지 몸체(131)의 상단의 내부로 상부 몸체 결합부(122)가 높이 조절 형식으로 삽입될 수 있는 형태를 갖으며, 이 경우 플랜지 거치부(132)의 하단면이 하부 몸체(140)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단(145)에 의해 거치되는 형태를 갖는다. 이에 따라, 돌출단(145)과 이격된 공간, 즉 하부 몸체(140)와 플랜지(130) 사이의 공간은 방수층 표면 물 흐름(F1)이 가능하도록 하여 방수층 표면을 흐르는 소량의 물을 배관을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플랜지(130)가 도 4b, 도 5b와 같이 "역방향 입상 상태"의 경우, 플랜지(130)는 양끝 단면으로 'ㄱ자' 형태가 플랜지(130)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플랜지 몸체(131)의 내부로 상부 몸체 결합부(122)가 삽입되며, 플랜지 몸체(131)는 하부 몸체(140)의 하부 몸체 몸통(141)의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를 갖음으로써, "정방향 입상 상태"에 비해 플랜지(130) 전체의 높이에서 플랜지 몸체(131)의 높이를 뺀 만큼 짧게 형성되어 도 1의 2차 단열재(2)를 제외하고 시공시에 적합할 수 있다. 여기서, 플랜지(130)의 "역방향 입상 상태"에서도 플랜지 거치부(132)의 하단면이 하부 몸체(140)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단(145)에 의해 거치되는 형태를 갖는다.
한편,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플랜지(130)의 도 1, 도 2, 도 4a, 도 5a와 같이 "정방향 입상 상태"를 중심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하부 몸체(140)는 하단의 슬리브(160)와 결합하되, 고정부재(150)를 통해 하부 몸체(140)의 외경이 슬리브(160)의 내경 사이의 이격 공간을 메워서 고정될 수 있다.
하부 몸체(140)는 하부 몸체 몸통(141), 슬리브 연결부(142)로 구성되는데, 슬리브 연결부(142)는 단면이 링 형상인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으로 고정부재(150)와 체결되며, 하부 몸체 몸통(141)은 슬리브 연결부(142)의 둘레를 따라 상향으로 링 형상의 직경이 커지는 통 향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몸체 몸통(141)의 상부 끝단에는 하부 몸체 몸통(141)의 외경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부로 플랜지(130)를 거치하는 플랜지 거치부(143)가 형성되며, 플랜지 거치부(143)에는 상부로, 도 1(F1)과 같이 방수층 표면 물 흐름을 제공하기 위해 플랜지(130)와의 이격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돌출단(145)이 도 3과 같이 6개가 플랜지 거치부(143)의 원주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원주를 따라 형성된 6개의 돌출단(145) 중 2개를 한 쌍으로 하는 3개의 쌍 간에는 볼트 체결홈(146)이 형성됨으로써, 플랜지(130)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를 수용할 수 있다.
즉, 하부 몸체(140)는 슬리브 연결부(142), 플랜지 거치부(143), 하부 몸체 몸통(141)을 포함함으로써, 슬리브 연결부(142)는 슬리부(160)에 끼움 결합되어 슬리부(160)의 내면에 밀착되고, 플랜지 거치부(143)는 플랜지(130)에 형성된 볼트 체결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3개의 볼트 체결홈(146)을 포함하며, 하부 몸체 몸통(141)은 슬리브 연결부(142) 및 플랜지 거치부(143)를 연결한다.
이때, 고정부재(150)는 슬리브 연결부(142) 외면과 슬리브(160) 내면 사이에 위치하며, 슬리브(160)와 하부 몸체(140)가 상호 밀착되어 다용도 루프 드레인(100) 측면으로 수중기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슬리브(160)는 슬리브 몸통(161), 앵커단(162), 배관 결합부(163), 지지부(164) 그 밖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고무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슬리브 몸통(161)은 단면이 링 형상인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외면에 복수 개의 돌기로 이루어진 앵커단(162)을 포함하고, 일측 내면에 슬리브 연결부(142)가 고정부재(150)를 사이에 두고 결합 된다.
지지부(164)는 슬리브 몸통(161)의 타단에 해당하는 하단 영역에 둘레를 형성하며, 슬리브 몸통(161)의 타측 내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배관 결합부(163)에 고무링이 삽입되어 입상 배관(6)과 밀착되어 배관 결합부(163)와 입상 배관(6)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를 갖는 다용도 루프 드레인(100)에 대한 시공 구조를 살펴보면, 슬리브(160)의 지지부(164)는 1차 단열재(5) 내부로 삽입되어 하단을 지지하여 고정되며, 슬라브(160)의 앵커단(162)은 외면에 복수 개의 돌기를 통해 1차 단열재(5)의 측부를 고정할 수 있다.
1차 단열재(5)의 상단 층을 형성하는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4), 그 상부에 방수시트 또는 방수액으로 도포되어 이루어진 방수층(3)이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4)를 덮게끔 시공하며, 다용도 루프 드레인(100)의 구성 요소 중 하부 몸체(140)를 플랜지 거치부(143)가 방수층(3)의 상단을 눌러 고정하도록 설치한다. 이에 의해, 방수시트 또는 방수액으로 이루어진 방수층(3)이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4)를 덮게끔 시공하며, 다용도 루프 드레인(100)의 구성 요소인 하부 몸체(140)를 통해 방수층을 눌러 고정할 수 있어서,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4)와 다용된 루프 드레인(100)의 만나는 취약지점에 대해 완벽한 방수가 이루어 짐으로써, 누수를 막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후, 2차 단열재(2)를 시공시 상술한 플랜지(130)를 정방향 입상 상태로 시공하며, 반대로 2차 단열재(2)를 시공하지 않는 경우 플랜지(130)를 역방향 입상 상태로 시공한다.
그리고 2차 단열재(2)의 상단에는 무근 콘크리트 슬라브(1)가 형성되는데, 무근 콘크리트 슬라브(1)의 높이는 상부 몸체(120)의 망 거치부(121)의 최상단의 높이와 맞추도록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다용도 루프 드레인(100)의 구성은 구조적으로 2단계로 나누어 시공을 하는데, 1단계로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4)의 높이를 다용도 루프 드레인(100) 하부 몸체(140) 및 기타 부속으로 맞춘다.
이후, 2단계로, 방수층(3)과 무근 콘크리트 슬라브(2) 높이를 플랜지(130)와 상부 몸체(120)를 나사식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방수층(3)에서 흐르는 소량의 물을 배관을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하부 몸체(140)와 플랜지(130) 사이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플랜지(130)는 뒤집어서 사용도 가능하여(역방향 입상 구조) 이음링 없이도 큰 폭의 높이 조절을 쉽게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루프 드레인(100a)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다용도 루프 드레인(100a)에서 매립형 루프 드레인 받침(165)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며, 슬리브(160a)는 상술한 도 2에서 슬리브(160a)를 구성하는 슬리브 몸통(161), 앵커단(162), 배관 결합부(163), 지지부(164)에서 배관 결합부(163), 지지부(164)를 제외하고 매립형 루프 드레인 받침(165), 내화충전재(166), 보호철판(167), 볼트(168), 고무패킹(169)을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방화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하단부의 구성요소를 갖는 다용도 루프 드레인(100a)은 수직 관통부에 관통 슬리브와 내화 충전재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다용도 루프 드레인(100a) 자체를 슬라브에 타설할 뿐만 아니라, 슬라브는 현장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매립형 루프 드레인 받침(165)의 높이를 다양화하여 해당 현장 및 해당 층에 맞는 높이를 제공하며, 매립형 루프 드레인 받침(165)에 내화충전재(166)가 조립이 되어 있어 별도의 시공이 필요치 않게끔 한다.
내화충전재(166)는 매립형 루프 드레인 받침(165)의 내측에 삽입됨으로써, 화재시 매립형 루프 드레인 받침(165)의 관통구를 막는 역할을 수행한다.
매립형 루프 드레인 받침(165)은 도 7과 같이 상부로부터 외주면 상에 2단의 단턱을 갖는 전체적인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제 1 단턱 영역의 내부 외측으로 내화충전재 삽입홈(165a)이 형성되며, 내화충전재 삽입홈(165a)의 내측으로는 구경이 내화충전재 삽입홈(165a) 보다 큰 입상 파이프 삽입홈(165b)이 순차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매립형 루프 드레인 받침(165)은 제 1 단턱 영역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 2 단턱 영역의 내부로 2개의 체결볼트홈(165c)(도 7 참조)이 구비됨으로써, 보호철판(167)이 부착된 뒤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보호철판(167)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화충전재 삽입홈(165a)으로 삽입된 내화충전재(166)의 하단부를 막음으로써, 화재시 내화충전재(166)가 하부로 흘러가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여 매립형 루프 드레인 받침(165)의 관통구를 막을 수 있도록 한다.
볼트(168)는 링 형상의 보호철판(167)의 양단에 2개가 구비된 홀을 관통하여 2개의 체결볼트홈(165c)에 체결됨으로써, 보호철판(167)과 매립형 루프 드레인 받침(165)의 하단부를 고정시킨다.
고무패킹(169)은 고무부재로 링 타입으로 형성되며, 하부의 수용홈을 통해 입상 배관(6)의 상단에 고정된 상태로 하부의 입상 배관(6)이 입상 파이프 삽입홈(165b) 내측으로 꽉 차게 삽입됨으로써, 매립형 루프 드레인 받침(165)과 하층의 입상 배관(6)이 고정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매립형 루프 드레인 받침(165)의 구조를 이용해 수직 관통부에 관통 슬리브와 내화 충전재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다용도 루프 드레인(100a)을 슬라브에 타설한다. 슬라브는 현장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받침 높이를 다양화하여 해당현장에 맞는 높이를 제공하며, 이 받침에 내화충전재가 조립이 되어있어 별도의 시공이 필요치 않게끔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무근 콘크리트 슬라브
2 : 2차 단열재
3 : 방수층
4 :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
5 : 1차 단열재
100, 100a : 다용도 루프 드레인, 그리고 이의 시공 방법
110 : 상단 망
120 : 상부 몸체
130 : 플랜지
140 : 하부 몸체
150 : 고정부재
160 : 슬리브
2 : 2차 단열재
3 : 방수층
4 :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
5 : 1차 단열재
100, 100a : 다용도 루프 드레인, 그리고 이의 시공 방법
110 : 상단 망
120 : 상부 몸체
130 : 플랜지
140 : 하부 몸체
150 : 고정부재
160 : 슬리브
Claims (6)
- 상단 망(110);
하단에 해당하는 일 측이 플랜지(130)와 결합하고 상단에 해당하는 타측에는 상단 망(110)이 거치되도록 하기 위해 각각 상부 몸체 결합부(122) 및 망 거치부(121)를 포함하며, 망 거치부(121)는 상부 몸체 결합부(122) 상단의 테두리 면으로 그 상단으로 상단 망(110)이 거치되어 배수 중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부 몸체 결합부(122)는 단면이 링 형상인 원통형의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정방향 입상 상태의 플랜지(130)의 내면과 나사결합되는 상부 몸체(120);
상부 몸체(120)와 하부 몸체(140) 사이를 체결하기 위해 플랜지 몸체(131) 및 플랜지 거치부(132)로 이루어지며, 플랜지 몸체(131)는 단면이 링 형상인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플랜지(130)의 정방향 입상 상태에서 플랜지 몸체(131)의 내경은 유지한 상태로 플랜지 몸체(132)의 하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증적으로 커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플랜지 거치부(132)는 플랜지 몸체(131)에서 최대의 외경을 갖는 끝단에 평판 형의 테두리를 이루며,
"정방향 입상 상태"에서, 전체적인 형상의 양끝 단면으로 'ㄴ자' 형태가 플랜지(130)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플랜지 몸체(131)의 상단의 내부로 상부 몸체 결합부(122)가 높이 조절 형식으로 삽입될 수 있는 형태를 갖으며, 플랜지 거치부(132)의 하단면이 하부 몸체(140)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단(145)에 의해 거치되는 형태를 가지며, 하부 몸체(140) 중 돌기 형태의 돌출단(145)을 통해 플랜지(130) 중 플랜지 거치부(132)의 하부면과 하부 몸체(140) 중 플랜지 거치부(143)의 상부면 사이의 수직상의 벌어진 공간은 다용도 루프 드레인(100)의 외부에서 내부로의 물 흐름(F1)이 가능하도록 하여 유입된 물을 다용도 루프 드레인(100)의 내부 배관 구조를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하며,
"역방향 입상 상태"에서, 전체적인 형상의 양끝 단면으로 'ㄱ자' 형태가 플랜지(130)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플랜지 몸체(131)의 내부로 상부 몸체 결합부(122)가 삽입되며, 플랜지 몸체(131)는 하부 몸체(140)의 하부 몸체 몸통(141)의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를 가짐으로써, "정방향 입상 상태"에 비해 플랜지(130) 전체의 높이에서 플랜지 몸체(131)의 높이를 뺀 만큼 짧게 형성되어 2차 단열재(2)를 제외하고 시공시에 활용되며, 플랜지 거치부(132)의 하단면이 하부 몸체(140)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단(145)에 의해 거치되는 형태를 갖는 플랜지(130);
고정부재(150)를 통해 하부 몸체(140)의 외경이 슬리브(160)의 내경 사이의 공간을 메워서 고정되는 방식으로 하단의 슬리브(160)와 결합하되, 하부 몸체 몸통(141), 슬리브 연결부(142)로 구성되며, 슬리브 연결부(142)는 단면이 링 형상인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으로 고정부재(150)와 체결되며, 하부 몸체 몸통(141)은 슬리브 연결부(142)의 둘레를 따라 상향으로 링 형상의 직경이 커지는 통 향상으로 형성되며, 하부 몸체 몸통(141)의 상부 끝단에는 하부 몸체 몸통(141)의 외경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부로 플랜지(130)를 거치하는 플랜지 거치부(143)가 형성되며, 플랜지 거치부(143)에는 상부로, 플랜지(130)의 "정방향 입상 상태"의 경우, 상기 물 흐름(F1)을 제공하기 위해 플랜지(130)와의 이격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돌출단(145) 6개가 플랜지 거치부(143)의 원주를 따라 형성되며, 원주를 따라 형성된 6개의 돌출단(145) 중 2개를 한 쌍으로 하는 3개의 쌍 간에는 볼트 체결홈(146)이 형성되어 플랜지(130)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를 수용하는 하부 몸체(140);
슬리브 연결부(142) 외면과 슬리브(160) 내면 사이에 위치하며, 슬리브(160)와 하부 몸체(140)가 상호 밀착되어 다용도 루프 드레인(100) 측면으로 수중기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부재(150); 및
슬리브 몸통(161), 앵커단(162), 매립형 루프 드레인 받침(165), 내화충전재(166), 보호철판(167), 볼트(168), 고무패킹(169)을 구비하여 방화용으로 사용되며, 슬리브 몸통(161)은 단면이 링 형상인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외면에 복수 개의 돌기로 이루어진 앵커단(162)을 포함하고, 일측 내면에 슬리브 연결부(142)가 고정부재(150)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며, 매립형 루프 드레인 받침(165)은 슬리브 몸통(161)의 타단에 해당하는 하단 영역에 외측 둘레를 형성하며, 내화충전재(166)는 매립형 루프 드레인 받침(165)의 내측에 삽입되어 화재시 매립형 루프 드레인 받침(165)의 관통구를 막는 역할을 수행하며, 매립형 루프 드레인 받침(165)은 외주면 상에 2단의 단턱을 갖는 전체적인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제 1 단턱 영역의 내부 외측으로 내화충전재 삽입홈(165a)이 형성되며, 내화충전재 삽입홈(165a)의 내측으로는 입상 파이프 삽입홈(165b)이 순차적으로 구비되며, 제 1 단턱 영역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 2 단턱 영역의 내부로 2개의 체결볼트홈(165c)이 구비됨으로써, 보호철판(167)이 부착된 뒤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며, 보호철판(167)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화충전재 삽입홈(165a)으로 삽입된 내화충전재(166)의 하단부를 막음으로써, 화재시 내화충전재(166)가 하부로 흘러가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여 매립형 루프 드레인 받침(165)의 관통구를 막을 수 있도록 하며, 볼트(168)는 링 형상의 보호철판(167)의 양단에 2개가 구비된 홀을 관통하여 2개의 체결볼트홈(165c)에 체결됨으로써, 보호철판(167)과 매립형 루프 드레인 받침(165)의 하단부를 고정시키며, 고무패킹(169)은 고무부재로 링 타입으로 형성되며, 하부의 수용홈을 통해 입상 배관(6)의 상단에 고정된 상태로 하부의 입상 배관(6)이 입상 파이프 삽입홈(165b) 내측으로 삽입됨으로써, 매립형 루프 드레인 받침(165)과 하층의 입상 배관(6)이 고정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는 슬리부(160); 를 포함하며,
플랜지(130)를 정방향 입상 상태로 시공시, 1차 단열재(5)의 상단 층을 형성하는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4),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4) 상부에 방수시트 또는 방수액으로 도포되어 이루어진 방수층(3)이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4)를 덮게끔 시공되며, 다용도 루프 드레인(100)의 구성 요소 중 하부 몸체(140)를 플랜지 거치부(143)가 방수층(3)의 상단을 눌러 고정하도록 설치되어 방수시트 또는 방수액으로 이루어진 방수층(3)이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4)를 덮게끔 시공되며, 다용도 루프 드레인(100)의 구성 요소인 하부 몸체(140)를 통해 방수층을 눌러 고정하여,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4)와 다용된 루프 드레인(100)의 만나는 취약지점에 대해 방수가 이루어 짐으로써, 누수를 막도록 하며, 방수층(3)의 상부로 2차 단열재(2)를 시공하며, 2차 단열재(2)의 상단에는 무근 콘크리트 슬라브(1)가 형성되는데, 무근 콘크리트 슬라브(1)의 높이는 상부 몸체(120)의 망 거치부(121)의 최상단의 높이와 맞추도록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루프 드레인.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6843A KR101940953B1 (ko) | 2018-04-23 | 2018-04-23 | 다용도 루프 드레인, 그리고 이의 시공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6843A KR101940953B1 (ko) | 2018-04-23 | 2018-04-23 | 다용도 루프 드레인, 그리고 이의 시공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40953B1 true KR101940953B1 (ko) | 2019-01-21 |
Family
ID=65277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46843A KR101940953B1 (ko) | 2018-04-23 | 2018-04-23 | 다용도 루프 드레인, 그리고 이의 시공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40953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05526A (ko) * | 2010-03-19 | 2011-09-27 | 이승준 | 루프드레인의 간격조절장치 |
KR20170002686U (ko) | 2016-01-19 | 2017-07-27 | 최한솔 | 조립식 루프드레인 |
-
2018
- 2018-04-23 KR KR1020180046843A patent/KR10194095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05526A (ko) * | 2010-03-19 | 2011-09-27 | 이승준 | 루프드레인의 간격조절장치 |
KR20170002686U (ko) | 2016-01-19 | 2017-07-27 | 최한솔 | 조립식 루프드레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618416A (en) | Roof drain | |
US4574402A (en) | Two piece closet ring with moisture membrane clamping arrangement | |
US4067072A (en) | Plastic drain assembly | |
CA1187853A (en) | Roof anchor and support | |
US5293724A (en) | Coupling assembly for corrugated decks and method for connecting thereto | |
US2740490A (en) | Roof drain | |
US7694474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irestopping around a water closet drain pipe in a vertical floor opening | |
KR101940953B1 (ko) | 다용도 루프 드레인, 그리고 이의 시공 방법 | |
JP3214909U (ja) | マンホール熱遮断装置 | |
KR200394863Y1 (ko) | 맨홀의 배수관 연결 플랜지 | |
KR102250922B1 (ko) | 건축물의 배수파이프를 통한 화재 확산 방지장치 | |
JP2022100873A (ja) | 雨水排水構造 | |
US20190383019A1 (en) | Adjustable Roof Drain | |
US7013606B2 (en) | Roof pipe chase housing system | |
FI12380U1 (fi) | Läpivientikappale viemäriputken viemiseksi talon välipohjan läpi | |
KR101538992B1 (ko) | 수밀용기를 이용한 단열과 방수가 가능한 옥상녹화시스템 | |
KR102062808B1 (ko) | 공동주택용 누수차단 전기배관 장치 | |
CN209924297U (zh) | 一种通气管防漏组件及通气管接头 | |
JP2528063B2 (ja) | 排水金具の施工方法 | |
JPH09137567A (ja) | 太陽電池モジュールを有する建物 | |
KR20170110782A (ko) | 유동형 연결부를 가지는 제수변용 맨홀 | |
AU2008202915A1 (en) | Improvements relating to tanks for the collection and storage of rainwater | |
KR200302234Y1 (ko) | 배수관용 슬리브 | |
CN109811972B (zh) | 一种通气管接头及防漏组件 | |
CN212804629U (zh) | 一种建筑给排水管管套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