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432B1 - 충전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충전 방법 - Google Patents

충전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충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432B1
KR101940432B1 KR1020177011624A KR20177011624A KR101940432B1 KR 101940432 B1 KR101940432 B1 KR 101940432B1 KR 1020177011624 A KR1020177011624 A KR 1020177011624A KR 20177011624 A KR20177011624 A KR 20177011624A KR 101940432 B1 KR101940432 B1 KR 101940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voltage
battery
charging
cons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1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2901A (ko
Inventor
다다츠구 고스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지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지비에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지비에스
Publication of KR20170072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4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combining voltage and current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3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25Oxygenated metallic salts or polyanionic structures, e.g. borates, phosphates, silicates, oliv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88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9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88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9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02J7/007194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temperature of the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적절한 전류 조정을 행하여 전지의 열화를 방지함과 더불어 충전 시간을 단축하는 충전 장치나 충전 방법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지(31)의 전압이 소정의 전압에 이를 때까지, 일정한 전류로 충전을 행하고, 소정의 전압에 이른 이후는 그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전류를 제어하여 충전을 행하는 충전 장치(1)이다. 열화 측정부(31)가, 전지(31)의 열화 상황을 검지하고, 전류 전압 조정부(11)가, 열화 상황에 따른 부가 전류를 특정하고, 전력 공급부(12)가 일정한 전류에 더하여, 부가 전류를 전지(31)에 공급한다. 또, 열화 상황은 단일량의 전류를 일정 기간 흐르게 함으로써 검지되는 전압차나 온도차에 의해 특정된다.

Description

충전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충전 방법{CHARGING DEVICE, COMPUTER PROGRAM STORED IN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CHARGING METHOD}
본 발명은, 충전 장치, 충전 프로그램, 충전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급속 충전을 행함으로써, 충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충전 장치나 충전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현재, 스마트 폰을 비롯한 휴대 단말이 일반적으로 널리 보급되어 있다. 휴대 단말은 전지를 내장하는 것이지만, 이 전지에는 충전하여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는 이차 전지가 사용되고 있다. 이 이차 전지의 충전 시간은,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휴대 단말은, 소유자가 밖으로 운반하는 것이기 때문에, 충전에 장시간을 필요로 하면, 충분히 충전되지 않은 채, 소유자가 휴대 단말을 가지고 다니게 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충전 시간을 짧게 하려면, 단시간 동안에 이차 전지에 대전류를 흐르게 하면 된다. 그러나, 이것을 행하면 전극 구조나 전해액의 성질상, 이차 전지가 데미지를 받아 열화하고, 전지 수명이 짧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전류 정전압 방식으로 불리는 충전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정전류 정전압 방식이란, 도 10에 나타내는 그래프와 같이, 전지의 전압이 소정의 전압에 이를 때까지, 일정한 전류로 충전을 행하고, 그 이후는 그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전류를 제어하여 충전을 행하는 방법이다(비특허 문헌 1).
정전류 정전압 방식은, 전지가 열화하지 않도록 전류를 조정하므로, 전지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비특허문헌 1]
http://detail.chiebukuro.yahoo.co.jp/qa/question_detail/q1486101084/Yahoo智惠袋 CCCV 充電について/검색일:2014년 10월 23일
상기와 같이, 정전류 정전압 방식은, 소정의 전압이 될 때까지 일정한 전류를 흐르게 하는 것이지만, 반드시 전류를 일정하게 할 필요는 없고, 적절한 전류 조정을 행하면, 전류를 증가시켜도 전지의 열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이 충전 방식에는, 전지의 열화를 방지하면서 충전 시간을 단축할 여지가 많이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기술은 지금까지 제공되고 있지 않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적절한 전류 조정을 행하여 전지의 열화를 방지함과 더불어, 충전 시간을 단축하는 충전 장치나 충전 방법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전지의 전압이 소정의 전압에 이를 때까지, 일정한 전류로 충전을 행하고, 소정의 전압에 이른 이후는 그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전류를 제어하여 충전을 행하는 충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정한 전류에 부가 가능한 전류를, 상기 전지의 열화 상황에 따라 특정하는 부가 전류 특정 수단과,
상기 부가 가능한 전류를, 상기 일정한 전류와 함께, 상기 전지에 충전하는 부가 전류 충전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장치는, 전지의 전압이 소정의 전압에 이를 때까지, 일정한 전류로 충전을 행하고, 소정의 전압에 이른 이후는 그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전류를 제어하여 충전을 행하는 충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지의 열화 상황에 따라 특정되는 전류를, 상기 일정한 전류와 함께, 상기 전지에 충전한다.
이로 인해, 전지의 열화 상황에 따라 특정되는 부가 가능한 전류가, 정전류 저전압 방식에 따른 일정한 전류와 함께 전지에 충전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전지의 전압이 소정의 전압에 이를 때까지, 일정한 전류로 충전을 행하고, 소정의 전압에 이른 이후는 그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전류를 제어하여 충전을 행하는 충전 프로그램에 있어서, 컴퓨터를, 상기 일정한 전류에 부가 가능한 전류를, 상기 전지의 열화 상황에 따라 특정하는 부가 전류 특정 수단, 상기 부가 가능한 전류를, 상기 일정한 전류와 함께, 상기 전지에 충전하는 부가 전류 충전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 프로그램은, 전지의 전압이 소정의 전압에 이를 때까지, 일정한 전류로 충전을 행하고, 소정의 전압에 이른 이후는 그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전류를 제어하여 충전을 행하는 충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지의 열화 상황에 따라 특정되는 전류를, 상기 일정한 전류와 함께, 상기 전지에 충전한다.
이로 인해, 전지의 열화 상황에 따라 특정되는 부가 가능한 전류가, 정전류저전압 방식에 따른 일정한 전류와 함께 전지에 충전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전지의 전압이 소정의 전압에 이를 때까지, 일정한 전류로 충전을 행하고, 소정의 전압에 이른 이후는 그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전류를 제어하어 충전을 행하는 충전 방법에 있어서, 부가 전류 특정 수단이, 상기 일정한 전류에 부가 가능한 전류를, 상기 전지의 열화 상황에 따라 특정하는 부가 전류 특정 단계와, 부가 전류 충전 수단이, 상기 부가 가능한 전류를, 상기 일정한 전류와 함께, 상기 전지에 충전하는 부가 전류 충전 단계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방법은, 전지의 전압이 소정의 전압에 이를 때까지, 일정한 전류로 충전을 행하고, 소정의 전압에 이른 이후는 그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전류를 제어하여 충전을 행하는 충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지의 열화 상황에 따라 특정되는 전류를, 상기 일정한 전류와 함께, 상기 전지에 충전한다.
이로 인해, 전지의 열화 상황에 따라 특정되는 부가 가능한 전류가, 정전류저전압 방식에 따른 일정한 전류와 함께 전지에 충전된다.
또한, 상기 열화 상황은, 전지에 단일량의 전류를 일정 기간 흐르게 하기 전의 전압과 흐르게 한 후의 전압의 전압차, 또는, 전지에 단일량의 전류를 일정 기간 흐르게 하기 전의 상기 전지의 온도와 흐르게 한 후의 상기 전지의 온도의 온도차에 의해 특정된다.
본 발명은, 전지의 열화 상황에 따라 특정되는 부가 가능한 전류가, 정전류저전압 방식에 의한 일정한 전류와 함께 전지에 충전된다.
따라서, 종래의 정전류 정전압 방식보다 큰 전류를 흐르게 해도 전지를 열화시키지 않고, 또한, 종래의 정전류 정전압 방식보다 충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전류 및 전압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기간 특정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열화 테스트에 따른 전류 조정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전회 전압차에 기초하는 부가 전류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전회 온도차에 기초하는 부가 전류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8은, STEP1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9는, STEP2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정전류 정전압 방식에 있어서의 전류 및 전압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되는 하드웨어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충전 장치(1)와, 충전 장치(1)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2)과, 충전 장치(1)로부터의 전기의 공급을 받는 전지 모듈(3)로 이루어지고, 전원(2)과 충전 장치(1)는 전원 공급용의 코드(4)로 접속되고, 충전 장치(1)와 전지 모듈(3)은 전원 공급용의 케이블(5)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케이블(5)은, 충전 장치(1)와 전지 모듈(3)의 사이에서 정보의 송수신도 가능한 케이블이다.
충전 장치(1)는, 전류 전압 제어부(11), 전력 공급부(12), 열화 측정부(13), 기억부(14)로 이루어진다.
전류 전압 제어부(11)는, 중앙 연산 소자(CPU)이며, 내부에 타이밍 발생 회로, 아날로그값 판독 회로 등을 구비한다(또한,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 전류 전압 제어부(11)는, 열화 측정부(13)·기억부(14)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그들 정보에 기초하여 여러 가지 제어를 행하고, 전력 공급부(12)에 대해 전력의 공급 명령을 송신한다.
전력 공급부(12)는, 전원(2)으로부터 전력을 받음과 동시에, 전류 전압 제어부(11)로부터의 명령에 기초하여 전지 모듈(3)에 대해 전력을 공급한다.
열화 측정부(13)는, 전류, 전압 검출 기능과 그들 주변에 배치된 필터 회로 등을 구비한다(또한,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 열화 측정부(13)는, 온도센서(32)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이것을 전류 전압 제어부(11)에 송신한다.
기억부(14)는, 전류 전압 제어부(11)로부터의 정보 요구에 따라 정보를 전류 전압 제어부(11)에 송신한다. 또, 전류 전압 제어부(11)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정보를 기억한다.
전원(2)는, 충전 장치(2)에 대해서 전력을 공급한다.
전지 모듈(3)은, 예를 들면, 휴대 전화, 퍼스널 컴퓨터 등의 기기이다. 전지 모듈(3)은, 전지(31)와 온도 센서(32)로 이루어진다.
전지(31)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이며, 여기에서는 인산철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사용한다. 단, 전지(31)는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전지여도 된다. 전지(31)는, 충전 장치(1)로부터 전력 공급을 받아 충전된다.
온도 센서(32)는, 전지(31)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이며, 측정한 온도를 전류 열화 측정부(13)에 송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류 및 전압의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전압은, 서서히 전압이 높아지는 커브를 그리고, 특히 부가 전류의 증가에 따라 전압이 높아지는 커브를 그리고 있다.
기초 전류는, 종래예에서 나타낸 전류와 같고, 종래예와 같은 커브를 그리고 있다.
부가 전류란, 기초 전류에 부가하는 전류의 값을 나타낸 것이다. 이 부가 전류는, 초기에 있어서 그 양은 「0」이다. 초기가 종료하고, 부가 가능기에 들어가면 서서히 전류가 증가하고, 종기에 가까워짐에 따라 전류가 감소한다. 또한, 부가 전류 및 초기·부가 가능기·종기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에, 기억부(14)에 기억되고 있는 데이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기간 특정 정보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은, 초기부터 부가 가능기로 전환되는 시기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이다. 여기에서는 전압이 「a1볼트 내지 a2볼트(실제로는 a1·a2의 부분에 구체적인 수치가 대입되어 있다)」 사이인 경우는 초기이며, 전압이 「a3볼트 내지 a4볼트」 사이인 경우는 부가 가능기이며, 전압이 「a5볼트 내지 a6볼트」 사이인 경우는 종기이다.
부가 가능기에 있어서, 전지(31)에 공급하는 전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급속 충전이 가능해진다.
또한, 부가 가능기는, 전압이 「2.6볼트 이상, 3.5볼트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2.0볼트 이상, 3.9볼트 이하」의 기간이어도 된다.
도 4는, 열화 테스트에 따른 전류 조정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열화 테스트란, 전지(31)에 일정 기간 일정한 전류를 흐르게 하고, 그 기간의 전압 변화나 전지(31)의 온도 변화를 계측하여, 전지(31)의 열화의 정도를 특정하는 것이다.
도 4(a)는, 전압 변화에 따른 전류 조정 데이터이며, 증가 전압 범위와 부가 전류치를 관련시켜 기억한 것이다. 열화 테스트에 의해, 전압의 증가분을 계측하고, 그 증가분으로부터 부가 전류치를 추출하고, 그것을 부가 전류의 양으로 한다.
도 4(b)는, 온도 변화에 따른 전류 조정 데이터이며, 증가 온도 범위와 부가 전류치를 관련시켜 기억한 것이다. 열화 테스트에 의해, 전지(31)의 온도의 변화를 계측하고, 그 변화량으로부터 부가 전류치를 추출하고, 그것을 부가 전류의 양으로 한다.
도 5는, 전회 전압차에 기초하는 부가 전류치이다.
도 5(a)는, 전회의 열화 테스트에 있어서의 전압의 변동치이다.
도 5(b)는, 전회의 열화 테스트에 있어서의 전압의 변동치와, 이번 열화 테스트에 있어서의 전압의 변동치의 차를 구하고, 그 차에 기초하여 부가 전류치를 특정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예를 들면, 차가 d3볼트인 경우는 d8암페어의 전류를 기초 전류에 부가한다(실제로는 d3·d8의 부분에 구체적인 수치가 대입되어 있다).
도 6은, 전회 온도차에 기초하는 부가 전류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는, 전회의 열화 테스트에 있어서의 온도의 변동치이다.
도 6(b)는, 전회의 열화 테스트에 있어서의 온도의 변동치와, 이번 열화 테스트에 있어서의 온도의 변동치의 차를 구하고, 그 차에 기초하여 부가 전류치를 특정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예를 들면, 차가 e5도인 경우는 e9암페어의 전류를 기초 전류에 부가한다(실제로는 e5·e9의 부분에 구체적인 수치가 대입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처리 플로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처리 플로이다. 이 플로차트는, 전류 제어 처리(STEP1), 부가 전류 처리(STEP2), 전력 공급 처리(STEP3), 종기 확인 처리(STEP4)로 이루어진다.
STEP1은, 전류 제어 처리이며, 그 상세는 도 8과 같다.
STEP1-1에서는, 전류 전압 제어부(11)가, 소정의 전압에 이르렀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소정의 전압에 이르지 않았으면 STEP1-2로 진행하고, 소정의 전압에 이르면 STEP1-3으로 진행한다.
STEP1-2는, 전류 전압 제어부(11)가, 충전하는 전류를 일정하게 하기 위한 처리이다.
STEP1-3은, 전류 전압 제어부(11)가, 전압을 일정하게 하기 위해서 전류를 제어하는 처리이다.
STEP2는, 부가 전류 처리이며, 그 상세는 도 9와 같다.
STEP2-1은, 부가 가능기 확인 처리이다.
전류 전압 제어부(11)는, 현재의 전압과, 기억부(14)에 기억되어 있는 도 3의 기간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가 부가 가능기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부가 가능기인 경우는 STEP2-2로 진행하고, 그 이외인 경우는 STEP2를 종료한다.
또한, 부가 전류는 부가 가능기에만 부가되는 것이며, 초기와 종기에 있어서는 부가되지 않는다. 초기는, 전압이 낮기 때문에, 초기에 부가 전류를 흐르게 하면(대전류를 흐르게 하면) 이온의 충격력이 너무 강해서 전지(31)를 열화시켜 버리기 때문이다. 또, 풀 충전에 가까운 상태의 종기에 있어서, 대전류를 흐르게 하면, 전지(31)의 열화의 원인이 되는 것이 경험상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STEP2-2는, 열화 측정 처리이다.
열화 측정부(14)는, 일정 기간(실제로는 진짜 일순), 일정한 전류를 흐르게 하고, 일정한 전류를 흐르게 하기 전의 전압 및 전지(31)의 온도와, 일정한 전류를 흐르게 한 후의 전압 및 전지(31)의 차를 산출한다. 또한, 여기서 산출된 전압차를 전압차 f1로 하고, 여기서 산출된 온도차를 온도차 f2로 한다.
STEP2-3은, 부가 전류 특정 처리이다.
이 부가 전류 특정 처리는, 부가하는 전류의 값을 특정하는 처리이다. 전지(31)는 성능이 열화하는 것이며, 열화 상황에 따른 부가 전류를 적확한 값으로 하지 않으면 열화가 더욱 진행해 버린다. 그래서, 열화 상황을 적확하게 파악하고, 그 열화 상황에 따른 최적인 전류를 부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 처리의 취지이다.
이 처리는 전부 4종류 있다. 이 4종류의 처리 중, 어느 하나의 처리만 행해도 되고, 4종류 모두 행해도 되고, 4개의 처리 중에서 임의의 것을 선택하고, 그것들을 임의로 조합해도 된다.
첫 번째의 처리는, 전류 전압 제어부(11)가, 전압차 f1과, 도 4(a) 「전압 변화에 따른 전류 조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부가 전류치를 특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전압차 f1이 「b2볼트」인 경우는, 「b7암페어」의 부가 전류치가 특정된다.
두 번째의 처리는, 전류 전압 제어부(11)가, 온도차 f2와, 도 4(b) 「온도 변화에 따른 전류 조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부가 전류치를 특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온도차 f2가 「c6도」인 경우는, 「c9암페어」의 부가 전류치가 특정된다.
세 번째의 처리는, 전류 전압 제어부(11)가, 전압차 f1과, 도 5(a)의 「전회의 전압차(f3)」와, 도 5(b)의 부가 전류 데이터에 기초하여, 부가 전류치를 특정하는 것이다. 「전압차 f1」과 「전회의 전압차 f3」의 차 「f4」를 산출하고, f4의 값으로부터 부가 전류치를 특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f4의 값이 d1볼트인 경우는 d7의 부가 전류치가 특정된다.
네 번째의 처리는, 전류 전압 제어부(11)가, 온도차 f2와, 도 6(a)의 「전회의 온도차(f5)」와, 도 6(b)의 부가 전류 데이터에 기초하여, 부가 전류치를 특정하는 것이다. 「온도차 f2」와 「전회의 전압차 f5」의 차 「f6」을 산출하고, f6의 값으로부터 부가 전류치를 특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f6의 값이 e4도인 경우는 e8암페어의 부가 전류치가 특정된다.
STEP3는, 전력 공급 처리이다.
전력 공급부(12)는, STEP1-2·STEP1-3·STEP2로 특정된 전류에 기초하여, 전지 모듈(3)에 대해 전력을 공급한다.
STEP4는, 종기 확인 처리이다.
전류 전압 제어부(11)는, 종기가 종료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종료하지 않았으면 STEP1로 진행하고, 종료한 경우는 충전을 종료한다.
이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각 처리는 어느 장치에서 행해도 된다. 예를 들면, 1개의 장치에서 행하는 처리를, 복수의 장치에서 행해도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시스템 구성(하드웨어 구성)은 일례이며, 용도나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 구성이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데이터 구성은 일례이며, 용도나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 데이터 구성이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한, 상기의 처리 기능은, 컴퓨터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가져야 할 기능의 처리 내용을 기술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그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실행함으로써, 상기 처리 기능이 컴퓨터 상에서 실현된다. 처리 내용을 기술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해 둘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는, 자기 기록 장치, 광디스크, 광자기 기록 매체, 반도체 메모리 등이 있다. 자기 기록 장치에는, HDD, FD, 자기테이프 등이 있다. 광디스크에는, DVD(Digital Versatile Disc), DVD-RAM, CD-ROM, CD-R(Recordable)/RW(ReWritable) 등이 있다. 광자기 기록 장치에는, MO(Magneto Optical disk)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을 유통시키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DVD, CD-ROM 등의 가반형 기록 매체가 판매된다. 또, 프로그램을 서버 컴퓨터의 기억 장치에 저장해 두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 컴퓨터로부터 다른 컴퓨터에 그 프로그램을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는, 예를 들면, 가반형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 혹은 서버 컴퓨터로부터 전송된 프로그램을, 자기의 기억 장치에 저장한다. 그리고, 컴퓨터는, 자기의 기억 장치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그 프로그램에 따른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컴퓨터는, 가반형 기록 매체로부터 그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프로그램에 따른 처리를 실행할 수도 있다. 또, 컴퓨터는, 서버 컴퓨터로부터 프로그램이 전송될 때마다, 순서대로, 수취한 프로그램에 따른 처리를 실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의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경을 더할 수 있다.
상기에 대해서는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다수의 변형, 변경이 당업자에 있어서 가능하고, 본 발명은 상기에 나타내고, 설명한 정확한 구성 및 응용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대응하는 모든 변형예 및 균등물은, 첨부의 청구항 및 그 균등물에 의한 본 발명의 범위로 간주된다.
1:충전 장치 2:전원
3:전지 모듈 4:코드
5:케이블 11:전류 전압 제어부
12:전력 공급부 13:열화 측정부
14:기억부 31:전지
32:온도센서

Claims (7)

  1. 전지의 전압이 소정의 전압에 이를 때까지, 일정한 전류로 충전을 행하고, 소정의 전압에 이른 이후는 그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전류를 제어하여 충전을 행하는 충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정한 전류에 부가 가능한 전류를, 상기 전지의 열화 상황에 따라 특정하는 부가 전류 특정 수단과,
    상기 부가 가능한 전류를, 상기 일정한 전류와 함께, 상기 전지에 충전하는 부가 전류 충전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열화 상황은,
    상기 전지에 단일량의 전류를 일정 기간 흐르게 하기 전의 전압과 흐르게 한 후의 전압의 전압차, 또는, 상기 전지에 단일량의 전류를 일정 기간 흐르게 하기 전의 상기 전지의 온도와 흐르게 한 후의 상기 전지의 온도의 온도차에 의해 특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압차에는, 상이한 시간에 얻어진 복수의 전압차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도차에는, 상이한 시간에 얻어진 복수의 온도차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전류 충전 수단은,
    상기 부가 가능한 전류를, 상기 전압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부가 가능 기간에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지는 인산철 리튬 이차 전지이며,
    상기 부가 가능 기간은,
    상기 전압이 2.0볼트 이상, 또한, 3.9볼트 이하인 기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6. 전지의 전압이 소정의 전압에 이를 때까지, 일정한 전류로 충전을 행하고, 소정의 전압에 이른 이후는 그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전류를 제어하여 충전을 행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컴퓨터를,
    상기 일정한 전류에 부가 가능한 전류를, 상기 전지의 열화 상황에 따라 특정하는 부가 전류 특정 수단,
    상기 부가 가능한 전류를, 상기 일정한 전류와 함께, 상기 전지에 충전하는 부가 전류 충전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고,
    상기 열화 상황은,
    상기 전지에 단일량의 전류를 일정 기간 흐르게 하기 전의 전압과 흐르게 한 후의 전압의 전압차, 또는, 상기 전지에 단일량의 전류를 일정 기간 흐르게 하기 전의 상기 전지의 온도와 흐르게 한 후의 상기 전지의 온도의 온도차에 의해 특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7. 전지의 전압이 소정의 전압에 이를 때까지, 일정한 전류로 충전을 행하고, 소정의 전압에 이른 이후는 그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전류를 제어하여 충전을 행하는 충전 방법에 있어서,
    부가 전류 특정 수단이, 상기 일정한 전류에 부가 가능한 전류를, 상기 전지의 열화 상황에 따라 특정하는 부가 전류 특정 단계와,
    부가 전류 충전 수단이, 상기 부가 가능한 전류를, 상기 일정한 전류와 함께, 상기 전지에 충전하는 부가 전류 충전 단계를 행하고,
    상기 열화 상황은,
    상기 전지에 단일량의 전류를 일정 기간 흐르게 하기 전의 전압과 흐르게 한 후의 전압의 전압차, 또는, 상기 전지에 단일량의 전류를 일정 기간 흐르게 하기 전의 상기 전지의 온도와 흐르게 한 후의 상기 전지의 온도의 온도차에 의해 특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방법.
KR1020177011624A 2014-10-28 2015-10-09 충전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충전 방법 KR1019404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19169 2014-10-28
JP2014219169A JP6664872B2 (ja) 2014-10-28 2014-10-28 充電装置、充電プログラム、充電方法
PCT/JP2015/079390 WO2016067941A1 (ja) 2014-10-28 2015-10-09 充電装置、充電プログラム、充電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901A KR20170072901A (ko) 2017-06-27
KR101940432B1 true KR101940432B1 (ko) 2019-01-18

Family

ID=55857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1624A KR101940432B1 (ko) 2014-10-28 2015-10-09 충전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충전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04883B2 (ko)
JP (1) JP6664872B2 (ko)
KR (1) KR101940432B1 (ko)
CN (1) CN107112790B (ko)
WO (1) WO20160679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60032A (zh) * 2015-03-27 2016-11-23 苏州速迈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无线式诊断系统电源
CN106469932B (zh) * 2016-09-05 2021-05-1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充电器输出电流控制方法及装置
CN110416646B (zh) * 2018-04-26 2023-05-02 株式会社日立制作所 对电池组进行充放电控制的方法和装置
WO2020062236A1 (zh) 2018-09-30 2020-04-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适配器的测试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2113A (ja) 2007-10-30 2009-05-21 Sony Corp 電池パック、二次電池の充電方法、および充電装置
JP2012055092A (ja) 2010-09-01 2012-03-15 Sanyo Electric Co Ltd 二次電池の充電方法及びパック電池
JP2013059237A (ja) 2011-09-09 2013-03-28 Panasonic Eco Solutions Power Tools Co Ltd 充電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2355B2 (ja) * 1995-09-06 2003-06-0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ニッケル系電池の劣化判定方法
KR970024429A (ko) * 1995-10-12 1997-05-30 오타 야스오 2차전지의 충전제어방법(A control method for charging of secondary batteries)
TW348325B (en) * 1996-01-26 1998-12-21 Yamaha Motor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deterioration of a storage battery
JP2001186684A (ja) * 1999-12-22 2001-07-06 Fuji Electric Co Ltd リチウムイオン電池充電装置
KR100487622B1 (ko) * 2003-04-25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 충전전류 가변 장치 및 그 방법
JP2006236653A (ja) * 2005-02-23 2006-09-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水電解液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非水電気化学装置
CA2620403A1 (en) 2005-09-02 2007-03-08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Complex formation method and separation method
JP2008204800A (ja) * 2007-02-20 2008-09-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水系電解質二次電池の急速充電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る電子機器
CN101630762B (zh) * 2008-07-14 2011-12-07 宏碁股份有限公司 电池充电方法及其装置
KR101187766B1 (ko) * 2008-08-08 2012-10-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셀의 전압 변화 거동을 이용한 셀 밸런싱 장치 및 방법
US9678167B2 (en) * 2011-01-14 2017-06-1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Degradation speed estimation method, and degradation speed estimation device, of lithium-ion battery
JP5835761B2 (ja) * 2011-04-25 2015-12-24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バッテリー容量劣化推定装置及び方法
JP2012235551A (ja) * 2011-04-28 2012-11-29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充電システムおよび電子機器
US20140191731A1 (en) * 2011-09-27 2014-07-10 Hitachi Maxell, Ltd. Method for charging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US8872471B2 (en) * 2011-10-13 2014-10-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ariable output current battery charger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EP2701268A1 (en) * 2012-08-24 2014-02-26 Philip Morris Products S.A. Portable electronic system including charging device and method of charging a secondary battery
US9540873B1 (en) * 2012-12-05 2017-01-10 MCD Innovations, Inc. Laterally repositionable roller shade
JP5495407B1 (ja) * 2012-12-21 2014-05-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充電器及び電子機器システム
JP6238444B2 (ja) * 2013-01-07 2017-11-29 昭和電工株式会社 R−t−b系希土類焼結磁石、r−t−b系希土類焼結磁石用合金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40285135A1 (en) * 2013-03-22 2014-09-25 Ec Power, Llc Systems for heating a battery and processes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2113A (ja) 2007-10-30 2009-05-21 Sony Corp 電池パック、二次電池の充電方法、および充電装置
JP2012055092A (ja) 2010-09-01 2012-03-15 Sanyo Electric Co Ltd 二次電池の充電方法及びパック電池
JP2013059237A (ja) 2011-09-09 2013-03-28 Panasonic Eco Solutions Power Tools Co Ltd 充電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67941A1 (ja) 2016-05-06
KR20170072901A (ko) 2017-06-27
JP2016086583A (ja) 2016-05-19
US11404883B2 (en) 2022-08-02
JP6664872B2 (ja) 2020-03-13
US20170324262A1 (en) 2017-11-09
CN107112790B (zh) 2020-10-30
CN107112790A (zh) 201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0432B1 (ko) 충전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충전 방법
KR102636361B1 (ko) 배터리 제어 장치 및 배터리 제어 시스템
US9455587B2 (en) Device and method for charging a battery
KR101783669B1 (ko) 배터리 충전 장치 및 접근법
CN101335461B (zh) 充电系统、电子设备以及充电方法
KR101502230B1 (ko) 배터리 충전 방법 및 배터리 충전 시스템
JP6129306B2 (ja) 電池制御装置
WO2016113791A1 (ja) 電池装置、充電制御装置および充電制御方法
US2014008485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apid wireless charging
CN113341208B (zh) 电芯自放电电流检测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EP2365605A2 (en) Charging apparatus, program
CN105474026A (zh) 用于确定电池单池的容量的方法
KR101653821B1 (ko) 2차 전지의 다중 스테이지 충전 방법 및 2차 전지의 다중 스테이지 충전 장치
KR101683603B1 (ko) 배터리 팩의 셀 밸런싱을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20160009475A (ko) 무선 충전
US9048679B2 (en) Maximized battery capacity charge based on equilibrium charging
CA2820508C (en) Maximized battery capacity charge based on equilibrium charging
Loveridge et al. Temperature considerations for charging li-ion batteries: Inductive versus mains charging mode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20150145344A (ko) 배터리 충전방법
KR102516361B1 (ko) 배터리 충전 방법 및 장치
JP2014011840A (ja) 電池充電装置および電圧均等化方法
JP2015177615A (ja) 電池電圧均等化装置及び方法
JP6376003B2 (ja) 充電制御装置及び充電制御方法
JP2005322592A (ja) 二次電池の充電方法
KR101741587B1 (ko) 2차 전지의 직렬저항 측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