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252B1 - 녹취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녹취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252B1
KR101940252B1 KR1020170093679A KR20170093679A KR101940252B1 KR 101940252 B1 KR101940252 B1 KR 101940252B1 KR 1020170093679 A KR1020170093679 A KR 1020170093679A KR 20170093679 A KR20170093679 A KR 20170093679A KR 101940252 B1 KR101940252 B1 KR 101940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ecording
call
servi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3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진범
김상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3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2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21Conversation recording system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VoIP망 내 별도의 녹취관련장치(예: 녹취기능을 갖는 교환기)를 추가적으로 설치하지 않고도 통화내용이 녹취될 수 있도록 하되, 녹취된 파일로부터 사용자의 관심대상키워드가 용이하게 검색되도록 하는, 새로운 VoIP음성녹취 방안을 실현하여, 전반적인 VoIP서비스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VoIP음성녹취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녹취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CORDING SERVICE OF VoIP CALL}
본 발명은 VoIP망의 통화내용 녹취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VoIP망 내 별도의 녹취관련장치(예: 녹취기능을 갖는 교환기)를 추가적으로 설치하지 않고도 통화내용이 녹취될 수 있도록 하되, 녹취된 파일로부터 사용자의 관심대상키워드가 용이하게 검색되도록 하는, 새로운 VoIP음성녹취 방안에 관한 것이다.
최근 IP(Internet Protocol)를 사용하여 음성정보를 전달하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가 널리 사용됨에 따라, VoIP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송수신되는 음성정보에 대한 녹취서비스를 원하는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기존 VoIP망에 녹취기능을 갖는 교환기를 별도로 설치하여 음성정보를 녹취하는 방안이 등장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녹취를 원하는 사용자가 증가하게 됨에 따라 녹취기능을 갖는 교환기의 개수도 함께 증가될 수 밖에 없으므로, 시스템 운용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VoIP망 내 구성간의 연결관계가 복잡해지게 되어 부하 및 오류발생 확률이 증가하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나아가, 사용자에게 통화시간 동안 녹취된 전체음성파일만을 제공할 뿐이므로, 사용자가 전체음성파일 중 관심대상키워드와 관련된 부분의 음성을 듣고자 할 때는 전체음성파일을 처음부터 들으면서 관련된 부분을 찾아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녹취를 원하는 사용자의 증가와 무관하게 현재 VoIP망에 설치된 인프라 그대로를 이용하면서도, 녹취된 전체음성파일로부터 관심대상키워드와 관련되는 부분의 음성이 용이하게 검색되도록 하는, 새로운 VoIP음성녹취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상세하게는 VoIP망 내 별도의 녹취관련장치(예: 녹취기능을 갖는 교환기)를 추가적으로 설치하지 않고도 통화내용이 녹취될 수 있도록 하되, 녹취된 파일로부터 사용자의 관심대상키워드가 용이하게 검색되도록 하는, 새로운 VoIP음성녹취 방안을 실현하여, 전반적인 VoIP서비스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녹취서비스제공시스템은, 녹취서비스에 가입한 제1 단말과 관련되는 특정호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특정호의 통화내용이 수집될 수 있도록 상기 특정호와 관련되는 수집관련정보를 제공하는 녹취관련서버; 및 상기 수집관련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단말의 상대단말인 제2 단말을 확인하고, 적어도 하나의 세션간제어장치(SBC) 중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가 연결되는 전용SBC에서 상기 통화내용에 대응하는 녹취관련정보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통합세션관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녹취관련서버는, 상기 제1 단말의 식별정보에 매칭되어 있는 설정정보를 기반으로 녹취시작시점을 결정하는 운영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영관리서버는, 상기 설정정보가 전수녹취에 관한 것이면,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가 최초 발화를 시작하는 시점을 상기 녹취시작시점으로 결정하며, 상기 설정정보가 부분녹취에 관한 것이면, 상기 제1 단말로부터 녹취시작구분정보가 수신되는 시점을 상기 녹취시작시점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집관련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의 식별자, 상기 제2 단말의 식별자, 상기 녹취시작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녹취관련서버는, 상기 특정호의 통화내용을 수집할 것을 요청하기 위해 상기 수집관련정보를 상기 통합세션관리장치로 전달하는 수집서버; 및 상기 수집서버로부터 상기 통화내용에 대응하는 녹취관련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녹취관련정보의 전체프레임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특정키위드가 발화된 특정프레임데이터를 검출한 결과를 기반으로 음성듣기파일을 생성하는 분석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영관리서버는, 상기 제1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녹취서비스와 관련되는 특정서비스사이트에 접속하면, 상기 음성듣기파일을 포함하는 녹취분석결과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음성듣기파일은, 상기 전체프레임데이터에 해당하는 제1 표시구간 상에 상기 특정프레임데이터에 해당하는 제2 표시구간이 별도로 구분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합세션관리장치는, 상기 녹취서비스에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 연결되는 전용SBC; 상기 녹취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 연결되는 일반 SBC; 및 상기 녹취관련서버로부터 상기 수집관련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수집관련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녹취서비스의 가입여부를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단말이 상기 전용SBC로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실행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행관리부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이 모두 상기 녹취서비스에 가입한 경우,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모두가 상기 전용SBC에 연결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전용SBC는, 상기 제1 단말과 관련되는 제1 음성데이터와 상기 제2 단말과 관련되는 제2 음성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녹취관련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행관리부는, 상기 제1 단말만이 상기 녹취서비스에 가입한 경우,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전용SBC로 연결되며,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일반 SBC로 연결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전용SBC는, 상기 제1 단말과 관련되는 제1 음성데이터와 상기 일반 SBC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2 단말과 관련되는 제2 음성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녹취관련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녹취서비스제공시스템의 동작방법은, 녹취관련서버가, 녹취서비스에 가입한 제1 단말과 관련되는 특정호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특정호의 통화내용이 수집될 수 있도록 상기 특정호와 관련되는 수집관련정보를 제공하는 녹취관련단계; 및 통합세션관리장치가, 상기 수집관련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단말의 상대단말인 제2 단말을 확인하고, 적어도 하나의 세션간제어장치(SBC) 중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가 연결되는 전용SBC에서 상기 통화내용에 대응하는 녹취관련정보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세션관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녹취관련단계는, 상기 녹취관련서버의 운영관리서버가 상기 제1 단말의 식별정보에 매칭되어 있는 설정정보를 기반으로 녹취시작시점을 결정하는 운영관리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운영관리단계는, 상기 설정정보가 전수녹취에 관한 것이면,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가 최초 발화를 시작하는 시점을 상기 녹취시작시점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정보가 부분녹취에 관한 것이면, 상기 제1 단말로부터 녹취시작구분정보가 수신되는 시점을 상기 녹취시작시점으로 결정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집관련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의 식별자, 상기 제2 단말의 식별자, 상기 녹취시작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녹취관련단계는, 상기 녹취관련서버의 수집서버가 상기 특정호의 통화내용을 수집할 것을 요청하기 위해 상기 수집관련정보를 상기 통합세션관리장치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녹취관련서버의 분석서버가 상기 통화내용에 대응하는 녹취관련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녹취관련정보의 전체프레임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특정키위드가 발화된 특정프레임데이터를 검출한 결과를 기반으로 음성듣기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영관리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녹취서비스와 관련되는 특정서비스사이트에 접속하면, 상기 운영관리서버가 상기 음성듣기파일을 포함하는 녹취분석결과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음성듣기파일은, 상기 전체프레임데이터에 해당하는 제1 표시구간 상에 상기 특정프레임데이터에 해당하는 제2 표시구간이 별도로 구분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녹취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VoIP망 내 별도의 녹취관련장치(예: 녹취기능을 갖는 교환기)를 추가적으로 설치하지 않고도 통화내용이 녹취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녹취를 원하는 사용자가 증가하더라도 현재 VoIP망에 설치된 인프라 그대로를 활용할 수 있어 전반적인 운영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VoIP망 내 구성간의 연결관계가 복잡해지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여 보다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녹취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녹취된 파일로부터 사용자의 관심대상키워드가 용이하게 검색되도록 함으로써, 녹취된 파일에 대한 사용자 활용을 최대화할 수 있어 전반적인 사용자 만족도 및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녹취서비스제공시스템이 적용될 통신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증관련처리를 수행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녹취서비스제공시스템을 구체화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듣기파일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녹취서비스제공시스템에서 VoIP음성녹취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녹취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녹취서비스제공시스템)이 적용될 통신 환경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될 통신 환경은,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VoIP망 환경일 수 있으며, VoIP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되는 통합세션관리장치(100), 녹취관련서버(200), 통합인증 처리를 위한 인증관련장치(300), TAPS(400), 가입자수용SSW 등이 위치하는 백본구간(R1)과, VoIP서비스에 가입한 고객(이하, 사용자)이 이용하는 단말(500) 등이 위치하는 사용자환경구간(R2)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VoIP망에 4개의 단말이 연결된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통합세션관리장치(100)는, VoIP서비스를 이용하는 전체 사용자의 호처리를 제어하는 장치로, 특히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 즉, VoIP망 내 별도의 녹취관련장치(예: 녹취기능을 갖는 교환기)를 추가적으로 설치하지 않고도 통화내용이 녹취될 수 있도록 하되, 녹취된 파일로부터 사용자의 관심대상키워드가 용이하게 검색되도록 함으로써, 녹취를 원하는 사용자의 증가와 무관하게 현재 VoIP망에 설치된 인프라 그대로를 이용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가 녹취된 파일로부터 원하는 정보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VoIP음성녹취서비스)가 실현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통합세션관리장치(100)는, 전용세션간제어장치(이하, 전용SBC)(110), 일반세션간제어장치(이하, 일반SBC)(120) 및 실행관리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전용SBC(110)는, 녹취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의 단말(이하, 가입단말)과 관련되는 특정호가 확인되면, 특정호의 통화내용이 수집될 수 있도록 통화내용을 녹취하여 녹취관련정보를 생성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가입단말은, VoIP망에 연결되는 단말(500) 중 녹취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가입단말(500a)로 언급하도록 하겠다.
일반SBC(120)는, 녹취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사용자의 단말(이하, 일반단말)과 관련되는 일반호에 대한 전송관련처리를 수행하는 장치로서, 기존 VoIP망에서 호처리를 수행하는 일반적인 세션간제어장치(SBC)일 수 있다.
여기서, 일반단말은, VoIP망에 연결되는 단말(500) 중 녹취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일반단말(500b)로 언급하도록 하겠다.
실행관리부(130)는, VoIP서비스를 이용하는 전체 사용자의 호를 모니터링한 결과를 기반으로 해당 호가 전용SBC(110) 또는 일반SBC(120)에서 처리되도록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행관리부(130)는, 녹취관련서버(200)로부터 특정호와 관련되는 수집관련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수집관련정보를 기반으로 녹취서비스의 가입여부를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단말이 전용SBC(110)로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수집관련정보는, 특정호를 발신한 발신단말의 식별자, 특정호의 전송목적지에 해당하는 수신단말의 식별자, 녹취시작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때, 발신단말의 식별자 및 수신단말의 식별자에는, 녹취서비스에 가입한 단말과 관련되는 호인지의 여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가입확인식별자가 매칭되어 있다.
이에, 실행관리부(130)는, 수집관련정보로부터 발신단말의 식별자가 확인되면, 다수의 단말 중 특정호를 발신한 발신단말을 확인할 수 있으며, 발신단말의 식별자에 가입확인식별자가 매칭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 결과를 기반으로 발신단말의 녹취서비스 가입여부까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행관리부(130)는, 수집관련정보로부터 수신단말의 식별자가 확인되면, 다수의 단말 중 특정호를 수신하게 될 수신단말을 확인할 수 있으며, 수신단말의 식별자에 가입확인식별자가 매칭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 결과를 기반으로 수신단말의 녹취서비스 가입여부까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전술에 따라 특정호와 관련되는 발신단말 및 수신단말이 결정되고, 결정된 발신단말 및 수신단말 각각에 대한 녹취서비스 가입여부에 대한 확인이 완료되면, 실행관리부(130)는, 녹취서비스 가입된 해당 단말이 전용SBC(110)로 연결되도록 하며, 녹취서비스 가입되지 않은 해당 단말이 일반SBC(120)로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즉, 특정호와 관련되는 발신단말(예: 500a_1)과 수신단말(예: 500a_2) 모두가 녹취서비스에 가입한 경우, 실행관리부(130)는, 발신단말(예: 500a_1)과 수신단말(예: 500a_2) 모두가 전용SBC(110)에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전용SBC(110)는, 발신단말(예: 500a_1)과 관련되는 제1 음성데이터와 수신단말(예: 500a_2)과 관련되는 제2 음성데이터를 기반으로 녹취관련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실행관리부(130)는, 특정호와 관련되는 발신단말(예: 500a_1/500a_2)만이 녹취서비스에 가입한 경우, 발신단말(예: 500a_1/500a_2)이 전용SBC(110)로 연결되며, 수신단말(예: 500b_1/500b_2)이 일반SBC(120)로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전용SBC(110)는, 발신단말(예: 500a_1/500a_2)과 관련되는 제1 음성데이터를 확인하고, 일반SBC(120)로부터 수신단말(예: 500b_1/500b_2)과 관련되는 제2 음성데이터를 수신한 후, 제1 음성데이터 및 제2 음성데이터를 기반으로 녹취관련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녹취관련서버(200)는, 녹취서비스에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가입단말(500a)과 관련되는 특정호가 확인되는 경우, 통합세션관리장치(100)로부터 특정호의 통화내용을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녹취분석결과를 생성 및 제공한다. 이러한 녹취관련서버(200)의 각 구성(210-230)에 대해서는 후술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인증관련장치(300)는, VoIP서비스 중 녹취서비스와 관련되어 최초 가입하는 과정에서의 인증관련처리, 및 녹취서비스와 관련되는 특정서비스사이트로 사용자가 접속할 수 있도록 사용자정보를 관리(등록/갱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TAPS(400)로부터 최초 녹취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신규사용자에 대한 가입절차가 완료되어 가입자정보가 생성되면, 인증관련장치(300)는, 신규사용자가 특정서비스사이트에 접속하여 녹취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인증관련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가입자정보는, 사용자이름, 사용자전화번호, 사용자성별, 가입일자, 기업의 경우 소속그룹, 설정정보,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가입단말)의 식별정보 등이 서로 매칭되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인증관련장치(300)는, API를 위한 API장치(310), SMS 서비스를 위한 BIZ MG(Messaging GateWay)(320), 메시지서비스처리장치(SMSc/SMSp)(33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증관련처리를 수행하는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최초 녹취서비스에 가입한 신규사용자의 단말이 단말(600)인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규사용자가 녹취서비스와 관련되는 특정서비스사이트로 접속하여 녹취분석결과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신규사용자에 대한 최초 인증관련처리가 수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인증관련장치(300)는, TAPS(400)로부터 가입절차가 완료된 신규사용자에 대한 가입자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한편, 신규사용자는, 최초 인증관련처리가 수행될 수 있도록 특정서비스사이트 상에 표시된 로그인영역(700)을 통해 관련정보를 입력한다. 즉, 신규사용자는, 가입자정보에 등록된 사용자전화번호를 사용자아이디에 입력한 후 최초 인증관련처리를 요청한다.
이처럼 로그인영역(600)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전화번호는, API장치(310)로 전달된다. 이에, API장치(310)는, 사용자전화번호로 인증번호가 전달될 수 있도록 BIZ MG(320)로 인증번호생성을 요청한다. 그러면, BIZ MG(320)는, 인증번호를 생성한 후 메시지서비스처리장치(330)로 인증번호를 발송할 것을 요청한다.
이에, 신규사용자의 단말(700)은, 메시지서비스처리장치(330)로부터 발송된 인증번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신규사용자가 로그인영역(700)에 인증번호를 입력하면, API장치(310)는, 로그인영역(600)을 통해 입력된 인증번호의 일치여부를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신규사용자가 입력하는 비밀번호의 등록여부를 결정한다.
즉, 로그인영역(600)을 통해 입력된 인증번호와 BIZ MG(320)로부터 생성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API장치(310)는, 신규사용자에 대한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여 신규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등록하게 된다.
한편, 로그인영역(600)을 통해 입력된 인증번호와 BIZ MG(320)로부터 생성된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API장치(310)는, 신규사용자에 대한 인증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여 인증관련처리를 종료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최초 인증관련처리 시 비밀번호를 등록하는 일례를 설명하였으나, 기존가입자가 비밀번호를 분실하여 재발급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절차에 따라 새로운 비밀번호로 등록/갱신 할 수도 있다.
전술과 같이 신규사용자에 대한 인증이 성공하여 사용자에 대한 최초 인증관련처리가 완료되면, API장치(310)는, 신규사용자에 대한 인증관련처리가 완료되었음을 녹취관련서버(200)로 알리기 위해 신규사용자에 대한 계정(사용자전화번호, 비밀번호) 및 가입자정보 등을 포함하는 가입고객관리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녹취관련서버(200)로 전송한다.
이에, 녹취관련서버(200)는, 가입고객관리정보를 기반으로 녹취서비스에 가입한 모든 사용자 별 특정호의 통화내용을 수집한 후 통화내용에 대응하는 녹취관련정보를 생성하여 특정서비스사이트에 접속하는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단말(500)은, VoIP망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서, 녹취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가 이용하는 가입단말(500a), 녹취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일반단말(500b)을 포함한다.
이러한, 단말(500)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 IP, PBX, 태블릿 PC, PDA, 및 노트북 등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VoIP망에 연결되어 VoIP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형태의 디바이스라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oIP음성녹취서비스가 실현되도록 하는 녹취관련서버(2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녹취관련서버(200)는, 녹취서비스에 가입된 가입단말과 관련되는 특정호가 확인되는 경우, 특정호의 통화내용이 수집될 수 있도록 특정호와 관련되는 수집관련정보를 통합세션관리장치(100)로 제공하고, 통합세션관리장치(100)로부터 특정호의 통화내용에 대응하는 녹취관련정보가 수신되면 녹취관련정보를 기반으로 녹취분석결과가 생성 및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가입단말은, 도 1에 도시된 녹취서비스에 가입되어 사용자환경구간(R2)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입단말(500a) 중 호가 확인되는 임의의 단말일 수 있으며, 가입단말(500a_1)인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러한, 녹취관련서버(200)는, 운영관리서버(210), 수집서버(220) 및 분석서버(230)를 포함한다.
운영관리서버(210)는, 가입단말(500a_1)과 관련되는 특정호가 확인되면, 특정호의 통화내용이 수집될 수 있도록 수집관련정보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운영관리서버(210)는, 인증관련장치(300)로부터 녹취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별 가입고객관리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운영관리서버(210)는, 통합세션관리장치(100)를 통해 특정호가 수신되면, 특정호의 호관련정보로부터 발신단말의 식별자와 특정호의 수신단말의 식별자를 검출한다.
여기서, 호관련정보는, 특정호를 통해 발신단말과 수신단말을 구분할 수 있는 발신단말의 식별자, 수신단말의 식별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특정호의 발신단말이 가입단말(500a_1)이며, 수신단말이 일반단말(500b_1)인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후, 운영관리서버(210)는, 사용자 별 가입고객관리정보로부터 특정호의 발신단말인 가입단말(500a_1)의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식별정보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 결과를 기반으로 가입단말(500a_1)의 사용자에 대한 가입고객관리정보를 검출한다.
즉, 전술에서도 언급하였듯이, 가입고객관리정보에는, 특정서비스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한 계정(사용자전화번호, 비밀번호) 및 가입자정보 등이 포함된다. 이때, 가입자정보에는, 사용자이름, 사용자전화번호, 사용자성별, 가입일자, 기업의 경우 소속그룹, 설정정보,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가입단말)의 식별정보 등이 서로 매칭되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운영관리서버(210)는, 통합세션관리장치(100)를 통해 특정호가 수신되면, 가입고객관리정보를 기반으로 특정호가 가입단말(500a_1)과 관련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전술에 따라 특정호가 가입단말(500a_1)과 관련되는 것이 확인되면, 운영관리서버(210)는, 가입단말(500a_1)의 식별정보에 매칭되어 있는 설정정보를 기반으로 녹취시작시점을 결정한다.
여기서, 설정정보는, 특정호에 대한 통화가 시작되는 시점부터 종료되는 시점까지의 모든 통화내용을 녹음하는 전수녹취, 또는 통화 중 녹취가 필요한 일부를 녹음하는 부분녹취를 수행할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이에, 운영관리서버(210)는, 가입단말(500a_1)의 식별정보에 매칭되어 있는 설정정보를 기반으로 녹취시작시점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설정정보가 전수녹취에 관한 것이면, 운영관리서버(210)는, 가입단말(500a_1) 및 일반단말(500b_1)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가 최초 발화를 시작하는 시점을 녹취시작시점으로 결정한다.
한편, 설정정보가 부분녹취에 관한 것이면, 운영관리서버(210)는, 가입단말(500a_1)로부터 녹취시작구분정보가 수신되는 시점을 녹취시작시점으로 결정한다.
여기서, 녹취시작구분정보는, 가입단말(500a_1)에 포함되는 버튼 중 운영자가 기 설정한 녹취버튼(예: 메시지)이거나, 또는 가입단말(500a_1)의 사용자가 녹취시작을 알리기 위해 기 설정한 녹취시작관련단어/문장(예: 정리하면, 주문시작 등) 등일 수 있다.
이에, 운영관리서버(210)는, 가입단말(500a_1)의 녹취버튼(예: 메시지)이 사용자게 의해 눌려 녹취시작구분정보가 생성되거나, 또는 가입단말(500a_1)의 사용자로부터 특정단어/문장이 발화되면, 녹취시작구분정보가 수신되는 시점을 녹취시작시점으로 결정하게 된다.
전술에 따라 녹취시작시점의 결정이 완료되면, 운영관리서버(210)는, 특정호를 발신한 가입단말(500a_1)의 식별자, 특정호의 전송목적지에 해당하는 일반단말(500b_1)의 식별자, 녹취시작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집관련정보를 생성한다.
이후, 운영관리서버(210)는, 특정호의 통화내용이 수집될 수 있도록 특정호와 관련되는 수집관련정보를 통합세션관리장치(100)로 전송한다.
이에, 통합세션관리장치(100)는, 녹취관련서버(200)로부터 특정호와 관련되는 수집관련정보가 수신되면, 수집관련정보를 기반으로 통화내용에 대응하는 녹취관련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수집서버(220)는, 특정호의 통화내용을 수집할 것을 요청하기 위해 수집관련정보를 통합세션관리장치(100)로 전달한다.
즉, 수집서버(220)는, 운영관리서버(210)로부터 특정호와 관련되는 수집관련정보의 생성이 완료되면, 수집관련정보를 통합세션관리장치(100)로 전달하여 특정호의 통화내용에 대한 수집을 요청한다.
분석서버(230)는, 특정호의 통화내용에 대한 녹취관련정보를 분석하여 녹취분석결과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서버(230)는, 통합세션관리장치(100)로부터 특정호의 통화내용에 대응하는 녹취관련정보가 수신되면, 녹취관련정보의 전체프레임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특정키위드가 발화된 특정프레임데이터를 검출한 결과를 기반으로 음성듣기파일을 생성한다.
즉, 녹취관련정보는, 전체녹취시간에 대응하는 음원과 관련되는 전체프레임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때, 전체프레임데이터에는 가입단말(500a_1)의 사용자가 기 설정한 적어도 하나의 특정키워드에 대응하는 음원과 관련되는 특정프레임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특정키워드는, 가입단말(500a_1)의 사용자가 통화내용의 음원 중 검색하거나 확인하고자 하는 단어(예: 주문, 상품명) 및 단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이에, 분석서버(230)는, 녹취관련정보가 수신되면, 전체프레임데이터 중 특정키워드에 대응하는 음원과 관련되는 특정프레임데이터의 위치를 검출한다.
이후, 분석서버(2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프레임데이터에 해당하는 제1 표시구간(D1) 상에 특정프레임데이터에 해당하는 제2 표시구간(D2)을 별도로 구분하여 음성듣기파일(800)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음성듣기파일(800) 상에서 전체프레임데이터에 해당하는 제1 표시구간(D1)과 특정프레임데이터에 해당하는 제2 표시구간(D2)을 구분하여 사용자의 관심대상키워드가 표시되는 것으로 언급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음성듣기파일(800) 상에 검색을 위한 검색창(810)이 별도로 구비되도록 한 후 검색창(810)을 통해 입력되는 특정키워드와 관련되는 특정프레임데이터의 위치, 즉 제2 표시구간(D2)가 제1 표시구간(D1) 상에서 실시간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후, 분석서버(230)는, 특정호의 통화내용을 기반으로 생성된 음성듣기파일을 운영관리서버(210)로 전송한다.
이에, 운영관리서버(210)는, 가입단말(500a_1)의 사용자가 녹취서비스와 관련되는 특정서비스사이트에 접속하면, 음성듣기파일(800)을 포함하는 녹취분석결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후, 가입단말(500a_1)의 사용자가 특정서비스사이트 상의 녹취분석결과를 확인한 후, 기 누적된 적어도 하나의 음성듣기파일 중 특정호와 관련된 음성듣기파일(800)을 선택하면, 운영관리서버(210)는, 플레이어(Player)를 통해 음성듣기파일(800)에 대응되는 암호화된 전체프레임데이터에 대한 복호화가 수행된 후, 복호화된 전체프레임데이터에 해당하는 음원, 즉 특정호의 통화내용이 제공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녹취분석결과는, 음성듣기파일(800) 이외에도 특정호의 통화내용을 녹취하는 과정에서 확인되는 기본정보(예: 사용자전화번호, 통화일자, 통화시간, 소속그룹 등)이 함께 표시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oIP음성녹취서비스가 제공되는 동작흐름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특정호의 발신단말이 가입단말(500a_1)이며, 수신단말이 일반단말(500b_1)인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통합세션관리장치(100)의 실행관리부(130)는, VoIP서비스를 이용하는 전체 사용자의 호를 모니터링한 결과, 특정호가 확인되면, 특정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특정호 수신 알림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녹취관련서버(200)로 전송한다(S100, S101).
녹취관련서버(200)의 운영관리서버(210)는, 실행관리부(130)로부터 특정호 수신 알림메시지가 수신되면, 특정호의 통화내용이 수집될 수 있도록 수집관련정보를 생성한다(S102-S105).
보다 구체적으로, 운영관리서버(210)는, 특정호의 호관련정보로부터 발신단말의 식별자와 특정호의 수신단말의 식별자를 검출한다. 여기서, 호관련정보는, 특정호를 통해 발신단말과 수신단말을 구분할 수 있는 발신단말의 식별자, 수신단말의 식별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후, 운영관리서버(210)는, 기 저장된 사용자 별 가입고객관리정보로부터 특정호의 발신단말인 가입단말(500a_1)의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식별정보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 결과를 기반으로 가입단말(500a_1)의 사용자에 대한 가입고객관리정보를 검출한다.
즉, 전술에서도 언급하였듯이, 가입고객관리정보에는, 특정서비스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한 계정(사용자전화번호, 비밀번호) 및 가입자정보 등이 포함된다. 이때, 가입자정보에는, 사용자이름, 사용자전화번호, 사용자성별, 가입일자, 기업의 경우 소속그룹, 설정정보,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가입단말)의 식별정보 등이 서로 매칭되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운영관리서버(210)는, 실행관리부(130)로부터 특정호 수신 알림메시지가 수신되면, 가입고객관리정보를 기반으로 특정호가 가입단말(500a_1)과 관련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전술에 따라 특정호가 가입단말(500a_1)과 관련되는 것이 확인되면, 운영관리서버(210)는, 가입단말(500a_1)의 식별정보에 매칭되어 있는 설정정보를 기반으로 녹취시작시점을 결정한다.
여기서, 설정정보는, 특정호에 대한 통화가 시작되는 시점부터 종료되는 시점까지의 모든 통화내용을 녹음하는 전수녹취, 또는 통화 중 녹취가 필요한 일부를 녹음하는 부분녹취를 수행할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이에, 운영관리서버(210)는, 가입단말(500a_1)의 식별정보에 매칭되어 있는 설정정보를 기반으로 녹취시작시점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설정정보가 전수녹취에 관한 것이면, 운영관리서버(210)는, 가입단말(500a_1) 및 일반단말(500b_1)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가 최초 발화를 시작하는 시점을 녹취시작시점으로 결정한다.
한편, 설정정보가 부분녹취에 관한 것이면, 운영관리서버(210)는, 가입단말(500a_1)로부터 녹취시작구분정보가 수신되는 시점을 녹취시작시점으로 결정한다.
여기서, 녹취시작구분정보는, 가입단말(500a_1)에 포함되는 버튼 중 운영자가 기 설정한 녹취버튼(예: 메시지)이거나, 또는 가입단말(500a_1)의 사용자가 녹취시작을 알리기 위해 기 설정한 녹취시작관련단어/문장(예: 정리하면, 주문시작 등) 등일 수 있다.
이에, 운영관리서버(210)는, 가입단말(500a_1)의 녹취버튼(예: 메시지)이 사용자게 의해 눌려 녹취시작구분정보가 생성되거나, 또는 가입단말(500a_1)의 사용자로부터 특정단어/문장이 발화되면, 녹취시작구분정보가 수신되는 시점을 녹취시작시점으로 결정하게 된다.
전술에 따라 녹취시작시점의 결정이 완료되면, 운영관리서버(210)는, 특정호를 발신한 가입단말(500a_1)의 식별자, 특정호의 전송목적지에 해당하는 일반단말(500b_1)의 식별자, 녹취시작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집관련정보를 생성한다.
이후, 운영관리서버(210)는, 특정호의 통화내용이 수집될 수 있도록 특정호와 관련되는 수집관련정보를 수집서버(220)를 통해 실행관리부(130)로 전송한다(S106, S107).
이에, 실행관리부(130)는, 녹취관련서버(200)로부터 특정호와 관련되는 수집관련정보가 수신되면, 수집관련정보를 기반으로 통화내용에 대응하는 녹취관련정보가 생성되도록 제어하게 된다(S108-S113).
보다 구체적으로, 실행관리부(130)는, 수집관련정보를 기반으로 녹취서비스의 가입여부를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단말이 전용SBC(110)로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수집관련정보는, 특정호를 발신한 발신단말의 식별자, 특정호의 전송목적지에 해당하는 수신단말의 식별자, 녹취시작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때, 발신단말의 식별자 및 수신단말의 식별자에는, 녹취서비스에 가입한 단말과 관련되는 호인지의 여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가입확인식별자가 매칭되어 있다.
이에, 실행관리부(130)는, 수집관련정보로부터 발신단말의 식별자가 확인되면, 다수의 단말 중 특정호를 발신한 발신단말인 가입단말(500a)를 확인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실행관리부(130)는, 가입단말(500a)의 식별자에 가입확인식별자가 매칭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가입단말(500a)은 녹취서비스 가입되어 있으므로, 가입단말(500a)의 식별자에 가입확인식별자가 매칭되어 있을 것이다. 이에, 실행관리부(130)는, 가입단말(500a)이 전용SBC(110)로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전술에 따라 가입단말(500a)이 전용SBC(110)이 연결되면, 전용SBC(110)는, 가입단말(500a)로부터 특정호와 관련되는 제1 음성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실행관리부(130)는, 수집관련정보로부터 수신단말의 식별자가 확인되면, 다수의 단말 중 특정호를 수신하게 될 수신단말인 일반단말(500b_1)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실행관리부(130)는, 일반단말(500b_1)의 식별자에 가입확인식별자가 매칭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 결과를 기반으로 수신단말의 녹취서비스 가입여부까지 확인한다. 이때, 일반단말(500b_1)은 녹취서비스 가입되어 있지 않으므로, 일반단말(500b_1)의 식별자에 가입확인식별자가 매칭되어 있지 않을 것이다. 이에, 실행관리부(130)는, 일반단말(500b_1)이 일반SBC(120)로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전술에 따라 일반단말(500b_1)이 일반SBC(120)로 연결되면, 일반SBC(120)는, 일반단말(500b_1)로부터 특정호와 관련되는 제2 음성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일반SBC(120)는, 녹취관련정보가 생성될 수 있도록 일반단말(500b_1)과 관련되는 제2 음성데이터를 전용SBC(110)로 전송한다.
이에, 전용SBC(110)는, 특정호와 관련되는 제1 음성데이터 및 제2 음성데이터의 확인이 완료되면, 제1 음성데이터 및 제2 음성데이터를 기반으로 녹취관련정보를 생성한다.
이후, 전용SBC(110)는, 녹취관련정보를 수집서버(220)를 통해 분석서버(230)로 전송한다(S114, S115). 그러면, 분석서버(230)는, 특정호의 통화내용에 대한 녹취관련정보를 분석하여 녹취분석결과를 생성한다(S116-S118).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서버(230)는, 특정호의 통화내용에 대응하는 녹취관련정보가 수신되면, 녹취관련정보의 전체프레임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특정키위드가 발화된 특정프레임데이터를 검출한 결과를 기반으로 음성듣기파일을 생성한다.
즉, 녹취관련정보는, 전체녹취시간에 대응하는 음원과 관련되는 전체프레임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때, 전체프레임데이터에는 가입단말(500a_1)의 사용자가 기 설정한 적어도 하나의 특정키워드에 대응하는 음원과 관련되는 특정프레임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특정키워드는, 가입단말(500a_1)의 사용자가 통화내용의 음원 중 검색하거나 확인하고자 하는 단어(예: 주문, 상품명) 및 단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이에, 분석서버(230)는, 녹취관련정보가 수신되면, 전체프레임데이터 중 특정키워드에 대응하는 음원과 관련되는 특정프레임데이터의 위치를 검출한다.
이후, 분석서버(2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프레임데이터에 해당하는 제1 표시구간(D1) 상에 특정프레임데이터에 해당하는 제2 표시구간(D2)을 별도로 구분하여 음성듣기파일(800)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음성듣기파일(800) 상에서 전체프레임데이터에 해당하는 제1 표시구간(D1)과 특정프레임데이터에 해당하는 제2 표시구간(D2)을 구분하여 사용자의 관심대상키워드가 표시되는 것으로 언급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음성듣기파일(800) 상에 검색을 위한 검색창(810)이 별도로 구비되도록 한 후 검색창(810)을 통해 입력되는 특정키워드와 관련되는 특정프레임데이터의 위치, 즉 제2 표시구간(D2)가 제1 표시구간(D1) 상에서 실시간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후, 분석서버(230)는, 특정호의 통화내용을 기반으로 생성된 음성듣기파일을 운영관리서버(210)로 전송한다(S119).
이에, 운영관리서버(210)는, 가입단말(500a_1)의 사용자가 녹취서비스와 관련되는 특정서비스사이트에 접속하면(S120, S121), 음성듣기파일(800)을 포함하는 녹취분석결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S122).
이후, 가입단말(500a_1)의 사용자가 특정서비스사이트 상의 녹취분석결과를 확인한 후, 기 누적된 적어도 하나의 음성듣기파일 중 특정호와 관련된 음성듣기파일(800)을 선택하면, 운영관리서버(210)는, 플레이어(Player)를 통해 음성듣기파일(800)에 대응되는 암호화된 전체프레임데이터에 대한 복호화가 수행된 후, 복호화된 전체프레임데이터에 해당하는 음원, 즉 특정호의 통화내용이 제공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녹취분석결과는, 음성듣기파일(800) 이외에도 특정호의 통화내용을 녹취하는 과정에서 확인되는 기본정보(예: 사용자전화번호, 통화일자, 통화시간, 소속그룹 등)이 함께 표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녹취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VoIP망 내 별도의 녹취관련장치(예: 녹취기능을 갖는 교환기)를 추가적으로 설치하지 않고도 통화내용이 녹취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녹취를 원하는 사용자가 증가하더라도 현재 VoIP망에 설치된 인프라 그대로를 활용할 수 있어 전반적인 운영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VoIP망 내 구성간의 연결관계가 복잡해지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여 보다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녹취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녹취된 파일로부터 사용자의 관심대상키워드가 용이하게 검색되도록 함으로써, 녹취된 파일에 대한 사용자 활용을 최대화할 수 있어 전반적인 사용자 만족도 및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녹취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상세하게는 VoIP망 내 별도의 녹취관련장치(예: 녹취기능을 갖는 교환기)를 추가적으로 설치하지 않고도 통화내용이 녹취될 수 있도록 하되, 녹취된 파일로부터 사용자의 관심대상키워드가 용이하게 검색되도록 하는, 새로운 VoIP음성녹취 방안을 실현하여, 전반적인 VoIP서비스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 통합세션관리장치 110: 전용SBC
120 : 일반SBC 130: 실행관리부
200 : 녹취관련서버 210 : 운영관리서버
220 : 수집서버 230 : 분석서버
300 : 인증관련장치 400 : TAPS
500 : 단말

Claims (12)

  1. 녹취서비스에 가입한 제1 단말과 관련되는 특정호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특정호의 통화내용이 수집될 수 있도록 상기 특정호와 관련되는 수집관련정보를 제공하는 녹취관련서버; 및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서비스를 이용하는 전체 사용자의 호처리를 제어하며, 상기 수집관련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단말의 상대단말인 제2 단말을 확인하고, 적어도 하나의 세션간제어장치(SBC) 중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가 연결되는 전용SBC에서 상기 통화내용에 대응하는 녹취관련정보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통합세션관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세션관리장치는,
    상기 녹취서비스에 가입한 상기 제1 단말과 연결되는 전용SBC,
    상기 녹취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 연결되는 일반 SBC, 및
    상기 녹취관련서버로부터 상기 수집관련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수집관련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녹취서비스의 가입여부를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단말이 상기 전용SBC로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실행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취서비스제공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녹취관련서버는,
    상기 제1 단말의 식별정보에 매칭되어 있는 설정정보를 기반으로 녹취시작시점을 결정하는 운영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취서비스제공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관리서버는,
    상기 설정정보가 전수녹취에 관한 것이면,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가 최초 발화를 시작하는 시점을 상기 녹취시작시점으로 결정하며,
    상기 설정정보가 부분녹취에 관한 것이면, 상기 제1 단말로부터 녹취시작구분정보가 수신되는 시점을 상기 녹취시작시점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취서비스제공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관련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의 식별자, 상기 제2 단말의 식별자, 상기 녹취시작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녹취관련서버는,
    상기 특정호의 통화내용을 수집할 것을 요청하기 위해 상기 수집관련정보를 상기 통합세션관리장치로 전달하는 수집서버; 및
    상기 수집서버로부터 상기 통화내용에 대응하는 녹취관련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녹취관련정보의 전체프레임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특정키위드가 발화된 특정프레임데이터를 검출한 결과를 기반으로 음성듣기파일을 생성하는 분석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취서비스제공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관리서버는,
    상기 제1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녹취서비스와 관련되는 특정서비스사이트에 접속하면, 상기 음성듣기파일을 포함하는 녹취분석결과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음성듣기파일은,
    상기 전체프레임데이터에 해당하는 제1 표시구간 상에 상기 특정프레임데이터에 해당하는 제2 표시구간이 별도로 구분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취서비스제공시스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관리부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이 모두 상기 녹취서비스에 가입한 경우,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모두가 상기 전용SBC에 연결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전용SBC는,
    상기 제1 단말과 관련되는 제1 음성데이터와 상기 제2 단말과 관련되는 제2 음성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녹취관련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취서비스제공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관리부는,
    상기 제1 단말만이 상기 녹취서비스에 가입한 경우,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전용SBC로 연결되며,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일반 SBC로 연결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전용SBC는,
    상기 제1 단말과 관련되는 제1 음성데이터와 상기 일반 SBC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2 단말과 관련되는 제2 음성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녹취관련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취서비스제공시스템.
  9. 녹취관련서버가, 녹취서비스에 가입한 제1 단말과 관련되는 특정호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특정호의 통화내용이 수집될 수 있도록 상기 특정호와 관련되는 수집관련정보를 제공하는 녹취관련단계; 및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서비스를 이용하는 전체 사용자의 호처리를 제어하는 통합세션관리장치가, 상기 수집관련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단말의 상대단말인 제2 단말을 확인하고, 적어도 하나의 세션간제어장치(SBC) 중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가 연결되는 전용SBC에서 상기 통화내용에 대응하는 녹취관련정보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세션관리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세션관리장치는,
    상기 녹취서비스에 가입한 상기 제1 단말과 연결되는 전용SBC,
    상기 녹취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 연결되는 일반 SBC, 및
    상기 녹취관련서버로부터 상기 수집관련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수집관련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녹취서비스의 가입여부를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단말이 상기 전용SBC로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실행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취서비스제공시스템의 동작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녹취관련단계는,
    상기 녹취관련서버의 운영관리서버가 상기 제1 단말의 식별정보에 매칭되어 있는 설정정보를 기반으로 녹취시작시점을 결정하는 운영관리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운영관리단계는,
    상기 설정정보가 전수녹취에 관한 것이면,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가 최초 발화를 시작하는 시점을 상기 녹취시작시점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정보가 부분녹취에 관한 것이면, 상기 제1 단말로부터 녹취시작구분정보가 수신되는 시점을 상기 녹취시작시점으로 결정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취서비스제공시스템의 동작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관련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의 식별자, 상기 제2 단말의 식별자, 상기 녹취시작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녹취관련단계는,
    상기 녹취관련서버의 수집서버가 상기 특정호의 통화내용을 수집할 것을 요청하기 위해 상기 수집관련정보를 상기 통합세션관리장치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녹취관련서버의 분석서버가 상기 통화내용에 대응하는 녹취관련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녹취관련정보의 전체프레임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특정키위드가 발화된 특정프레임데이터를 검출한 결과를 기반으로 음성듣기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취서비스제공시스템의 동작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관리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녹취서비스와 관련되는 특정서비스사이트에 접속하면, 상기 운영관리서버가 상기 음성듣기파일을 포함하는 녹취분석결과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음성듣기파일은,
    상기 전체프레임데이터에 해당하는 제1 표시구간 상에 상기 특정프레임데이터에 해당하는 제2 표시구간이 별도로 구분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취서비스제공시스템의 동작방법.
KR1020170093679A 2017-07-24 2017-07-24 녹취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940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679A KR101940252B1 (ko) 2017-07-24 2017-07-24 녹취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679A KR101940252B1 (ko) 2017-07-24 2017-07-24 녹취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0252B1 true KR101940252B1 (ko) 2019-01-18

Family

ID=65323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679A KR101940252B1 (ko) 2017-07-24 2017-07-24 녹취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2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4063A (ko) * 2000-06-30 2002-01-16 김대휴 3자 전화통화방식을 이용한 녹취 및 재생 장치
KR20040067180A (ko) * 2003-01-22 2004-07-30 주식회사 플랜티넷 개인용 전화통화 녹취 및 음성 기록 녹취 서비스 시스템및 방법
KR20090004333A (ko) * 2007-05-09 2009-01-12 (주)넷텍아이엔씨 차량 운전자 자동 호출 방법
KR20110037115A (ko) * 2009-10-05 2011-04-1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키워드가 삽입된 녹음파일 생성 및 재생 방법과 그 휴대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4063A (ko) * 2000-06-30 2002-01-16 김대휴 3자 전화통화방식을 이용한 녹취 및 재생 장치
KR20040067180A (ko) * 2003-01-22 2004-07-30 주식회사 플랜티넷 개인용 전화통화 녹취 및 음성 기록 녹취 서비스 시스템및 방법
KR20090004333A (ko) * 2007-05-09 2009-01-12 (주)넷텍아이엔씨 차량 운전자 자동 호출 방법
KR20110037115A (ko) * 2009-10-05 2011-04-1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키워드가 삽입된 녹음파일 생성 및 재생 방법과 그 휴대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3563B2 (en)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voice transcription
JP6470306B2 (ja) 音声検証のための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US8861692B1 (en) Web call access and egress to private network
US7013155B1 (en) Delivery of an instant voice message in a wireless network using the SMS protocol
US8428228B1 (en)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US8346862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US8706912B2 (en) Unified LTE cloud system
US8600025B2 (en) System and method for merging voice calls based on topics
JP4470854B2 (ja) 通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2017529711A5 (ko)
US20100042647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rding real-time communications
US8671149B1 (en) Unified messaging platform with intelligent voice recognition (IVR)
US90948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based on voice session authentication
US10257350B2 (en) Playing back portions of a recorded conversation based on keywords
US1024410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using display of a reputation indicator associated with a called party
US20080045256A1 (en) Eyes-free push-to-talk communication
KR101940252B1 (ko) 녹취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1729227B1 (en) Concurrent secondary electronic communication session
CN112838979A (zh) 一种案件讨论信息交互方法及系统
US1046228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riving contact names
JP2004206452A (ja) 通訳仲介サービスシステムおよび通訳サービス提供方法
KR100882795B1 (ko)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 및 시스템
TW201709711A (zh) 免持裝置接收通知訊息以及回覆的方法
JP6568462B2 (ja) 情報提示装置、情報提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70069514A (ko) 컨퍼런스 콜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