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2795B1 -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2795B1
KR100882795B1 KR20070098317A KR20070098317A KR100882795B1 KR 100882795 B1 KR100882795 B1 KR 100882795B1 KR 20070098317 A KR20070098317 A KR 20070098317A KR 20070098317 A KR20070098317 A KR 20070098317A KR 100882795 B1 KR100882795 B1 KR 100882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dec
video
announcement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98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훈
Original Assignee
(주)제너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너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제너시스템즈
Priority to KR20070098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27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2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2795B1/ko

Links

Images

Abstract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은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상호간에 통화되도록 기 설정된 호 연결 중 제3 단말기에서 제1 단말기로의 호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로 통화 중 대기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대기신호에 따른 응답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의 코덱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코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대기안내방송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안내방송, 코덱, 미디어 서버, 호 처리 장치

Description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IDEO/VOICE GUIDANCE MESSAGE}
본 발명은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의 코덱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통신망의 지속적인 진화에 따라, 종래의 PSTN 망 등의 레거시 통신망 이외에도 패킷 기반 및 서킷 기반의 다양한 유/무선 통신망이 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통화 서비스는 다양한 사업자를 통하여 제공되고 있다. 또한, 각 사업자는 호 처리 장치를 통하여 통화 서비스 및 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에 따른 호 처리를 수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호 처리 장치에 연동된 사용자 단말은 부가서비스 제공에 따라 대기안내방송을 송출받게 된다. 또한, 이러한 대기안내방송은 통상적으로 음원정보를 이용한 음성 안내방송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다만, 최근 들어 IP 네트워크의 도입/증설로 인해 영상단말을 사용하는 경우가 점점 많아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영상단말사용자에게는 영상 대기안내방송을 제공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 다.
또한, 호 처리 장치는 영상/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하기 위해 서로 다른 코덱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상호간에 음성 통화 연결중인 경우, 호 처리 장치는 음성코덱을 이용하여 단말에게 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구분하여, 단말 상호간에 영상 통화 연결중인 경우, 영상코덱 및 음성코덱의 조합을 이용하여 단말에게 영상 안내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음성통화 중 영상 대기안내방송을 제공과 같이 통화 중 사용하는 코덱과 안내방송을 위해 사용하는 코덱에 차이가 있는 경우에도, 상기 호 처리 장치는 상기 단말에게 최적의 영상/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다만, 현재의 호 처리 절차는 이러한 최적의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단말의 코덱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대기안내방송을 제공할 수 있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단말기의 코덱정보를 검출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대기 안내방송을 송출하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단말기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안내방송을 설정/선택함으로써, 보다 탄력적인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단말기의 코덱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안내방송을 이용한 광고를 제공하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영상 안내방송을 가입자 별로 구분하여 송출함으로써, 보다 다양하고 적합한 정보를 제공하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은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상호간에 통화되도록 기 설정된 호 연결 중 제3 단말기에서 제1 단말기로의 호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로 통화 중 대기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대기신호에 따른 응답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의 코덱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코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대기안내방송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제1 단말기로 통화 중 대기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단계는 각각의 코덱정보를 이용하여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음성 통화를 위한 호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중 제3 단말기에서 제1 단말기로의 호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로 통화 중 대기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제1 단말기로부터 응답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제2 단말기의 코덱정보를 검출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화 중 대기신호에 대응하여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응답신호 수신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로 통화 중 대기에 따른 인바이트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에 대응하는 코덱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코덱정보를 이용하여 제2 단말기로 대기안내방송을 제공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코덱정보로부터 상기 제2 단말기와 연관된 안내방송용 코덱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코덱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영상/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은 제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 상호간의 통화 호 연결 중 제3 단말기에서 제1 단말기로의 호 요청에 따라 호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제2 단말기의 코덱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코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와 연관된 안내방송용 코덱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안내방송용 코덱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영상/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제1 단 말기 및 제2 단말기 상호간에 통화되도록 기 설정된 호 연결 중 제3 단말기에서 제1 단말기로의 호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로 통화 중 대기신호를 송신하는 통화 중 대기신호 송신부,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대기신호에 따른 응답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의 코덱정보를 검출하는 코덱정보 검출부 및 상기 코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대기안내방송을 제공하는 대기안내방송 제공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제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 상호간의 통화 호 연결 중 제3 단말기에서 제1 단말기로의 호 요청에 따라 호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제2 단말기의 코덱정보를 수신하는 코덱정보 수신부, 상기 코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와 연관된 안내방송용 코덱을 선택하는 코덱 선택부 및 상기 안내방송용 코덱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영상/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하는 안내방송 제공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단말기의 코덱정보를 검출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대기 안내방송을 송출할 수 있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말기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안내방송을 설정/선택함으로써, 보다 탄력적인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말기의 코덱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안내방송을 이용한 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영상 안내방송을 가입자 별로 구분하여 송출함으로써, 보다 다양하고 적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코덱정보를 이용한 선택적인 영상/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유연한 통화로 설정을 수행할 수 있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코덱정보를 이용한 선택적인 영상/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네트워크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널리 사용되는 단말기라 함은 유선 전화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핸드폰 등과 같이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통신 단말기, 및 H.323, SIP, MGCP(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Megaco 등의 VoIP 관련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IP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은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은 단계(S101) 내지 단계(S103)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S101)에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상호간에 통화되도록 기 설정된 호 연결 중 제3 단말기에서 제1 단말기로의 호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로 통화 중 대기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상호간에 호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두 단말간의 통화 연결 중 제3 단말기로부터 제1 단말기로의 호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3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호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단말기로 통화 중 대기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통화 중 대기신호는 인포 메시지의 형태로 상기 제1 단말기로 송신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계(S101)에 대해서는 추후 도 2의 단계(S201) 및 단계(S202)를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단계(S102)에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대기신호에 따른 응답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의 코덱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3 단말기로부터 제1 단말기로의 호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1 단말기로 상기 호 요청을 알리기 위한 통화 중 대기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대기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응답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단말기의 코덱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응답신호는 인포 메시지의 형태로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단말기의 코덱정보는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직접 수신하거나, 또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계(S102)에 대해서는 추후 도 2의 단계(S203) 내지 단계(S205)를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단계(S103)에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코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대기안내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추출한 제2 단말기의 코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가 지원하는 코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판단한 코덱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로 대기안내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2 단말기로 상기 대기안내방송과 더불어 광고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사업 모델의 일예로 상기 광고정보를 수신하는 제2 단말기 사용자에게 소정의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2 단말기의 코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기안내방송의 종류 및 품질을 결정하여 탄력적인 운용이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계(S103)에 대해서는 추후 도 2의 단계(S206) 및 단계(S207)를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은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은 단계(S201) 내지 단계(S208)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S201)에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각각의 코덱정보를 이용하여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음성 통화를 위한 호를 연결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각각의 코덱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가 영상코덱 미지원 단말기인 경우,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상호간에 음성 통화를 위한 호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의 코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 각각의 사용 가능 코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 각각의 사용 가능 코덱을 통하여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S202)에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연결 중 제3 단말기에서 제1 단말기로의 호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로 통화 중 대기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단계(S202)에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상호간에 통화 중 상기 제3 단말기로부터 호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상기 호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단말기로 통화 중 대기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통화 중 대기신호는 인포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대기신호는 상기 제1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다.
단계(S203)에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화 중 대기신호에 대응하여 응답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제1 단말기는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통화 중 대기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응답신호는 인포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응답신호는 상기 제3 단말기의 호 요청을 승인하는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3 단말기의 호 요청에 따라 수신한 통화 중 대기신호를 상기 제1 단말기 사용자에게 노출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대기신호에 대응하여 "통화" 버튼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버튼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으로 "hook flash"의 인포 메시지를 응답 메시지로서 송신할 수 있다.
단계(S204)에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응답신호 수신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로 통화 중 대기에 따른 인바이트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는 상기 제2 단말기가 지원하는 모든 코덱정보의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응답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상기 제2 단말기가 지원하는 모든 코덱정보를 요구하는 인바이트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단계(S205)에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에 대응하는 코덱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코덱 또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코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한, 상기 제2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및 음성코덱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단말기가 영상코덱인 "H264"를 지원하고, 음성코덱인 "g711" 및 "g723"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수신한 인바이트 메시지에 대응하여 "H264", "g711" 및 "g723"을 포함하는 코덱정보를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으로 송신할 수 있다.
단계(S206)에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코덱정보로부터 상기 제2 단말기와 연관된 안내방송용 코덱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코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가 지원하는 코덱을 기반으로, 상기 제2 단말기로 제공하는 대기 안내방송 코덱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2 단말기가 지원하는 코덱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로 제공하는 안내방송의 형태/내용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코덱정보를 미디어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한 응답 메시지를 이용하여 안내방송용 코덱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미디어 서버는 수신한 코덱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단말기와 연관된 안내방송용 코덱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미디어 서버와 연동을 통하여 상기 제2 단말기의 안내방송용 코덱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 서버는 상기 수신한 코덱정보에 따른 안내방송용 코덱을 기 결정된 기준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 서버는 상기 코덱정보 및 상기 안내방송용 코덱을 매칭하여 소 정의 데이터베이스로 유지할 수 있고,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코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안내방송용 코덱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 서버는 상기 선택/추출한 안내방송용 코덱에 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으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디어 서버가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 단말기의 코덱정보가 영상코덱 "H264", 음성코덱 "g711" 및 "g723"인 경우, 상기 미디어 서버는 상기 안내방송용 코덱으로 "H264" 및 "g723"를 선택하여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으로 상기 응답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2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응답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안내방송용 코덱을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안내방송용 코덱을 이용하여 대기안내방송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S207)에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코덱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영상/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2 단말기로 제공할 영상/음성 안내방송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영상/음성 안내방송의 제공을 위하여 상기 안내방송용 코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미디어 서버를 통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영상/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 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미디어 서버와의 연동을 통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영상/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미디어 서버는 안내방송을 제공하는 음원/영상처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 서버는 상기 안내방송용 코덱에 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으로 송신한 후,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소정의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2 단말기로 영상/음성 안내방송을 송출할 수 있다.
또한, 단계(S207)에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코덱이 영상코덱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미디어 서버를 통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영상 안내방송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코덱이 영상코덱을 포함하지 않은 경우 상기 미디어 서버를 통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단말기가 영상코덱인 "H264"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미디어 서버는 상기 제2 단말기로 영상 안내방송을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말기가 복수의 코덱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미디어 서버는 상기 제2 단말기가 지원하는 코덱 중 가장 효율적인 코덱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영상/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정리하면,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상호간에 단순 음성 통화 중, 제3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호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로 대기안내방송을 송출해야 하는 경우,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2 단말기가 지원하는 코덱에 따른 최적의 안내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상호간에 음성코덱을 이용한 통화 중 이더라도, 상기 제2 단말기가 영상지원 단말인 경우 상기 제2 단말기로 영상 안내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또 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2 단말기가 지원하는 음성코덱이 상기 통화 중 사용하는 음성코덱보다 효율적인 경우, 상기 제2 단말기가 지원하는 음성코덱으로 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2 단말기의 코덱정보에 따라 안내방송의 내용, 상기 제2 단말기로 제공하는 광고, 안내방송의 제공 대역폭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단말기 사용자에게 유연하고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S208)에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3 단말기 상호간에 통화되도록 호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3 단말기간의 메시지 송수신을 이용하여, 상기 호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2 단말기의 코덱정보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미디어 서버를 통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아닌 중계대국에 의하여 안내방송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기 사용되는 코덱정보를 기반으로 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단말기가 안내방송 제공 부가서비스에 가입되지 아니한 경우,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기 사용되는 코덱정보를 기반으로 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하게 된다. 즉, 종래의 안내방송 제공 방법을 이용한 음성 안내방송 제공 수단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병행될 수 있다.
도 3은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을 위한 호 처리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은 301 내지 304의 호 처리 절차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호 처리 절차(301)에서 영상/음성 안내방송 시스템은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상호간의 음성통화를 위한 호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의 코덱정보를 포함하는 인바이트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인바이트 메시지에 대응하는 메시지 송수신에 의하여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상호간에 음성통화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1 단말기가 영상미지원 단말임을 판단하여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상호간에 음성통화를 위한 호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호 처리 절차(302)에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제3 단말기로부터의 호 요청에 따른 인바이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수신한 인바이트 메시지에 대응하여 메시지 송수신을 통하여 상기 제1 단말기가 통화중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제1 단말기로 통화 중 대기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호 처리 절차(303)에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화 중 대기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수신한 응답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단말기의 코덱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코덱정보를 미디어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미디어 서버와의 메시지 송수신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로 안내방송을 제공하기 위한 안내방송용 코덱 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 서버는 상기 제2 단말기로 영상 안내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호 처리 절차(304)에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3 단말기 상호간의 음성통화 호 연결을 위한 메시지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1 단말기가 영상 미지원 단말임을 판단하여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3 단말기 상호간에 음성통화 호 연결을 위한 메시지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은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은 단계(S401) 내지 단계(S404)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S401)에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제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 상호간의 통화 호 연결 중 제3 단말기에서 제1 단말기로의 호 요청에 따라 호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제2 단말기의 코덱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의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하는 호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제3 단말기의 호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코덱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2 단말기의 코덱정보를 상기 제2 단말기와의 메시지 송수신을 통하여 검출하고, 상기 코덱정보를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으로 송신할 수 있다.
단계(S402)에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코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와 연관된 안내방송용 코덱을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코덱정보에 포함된 코덱 중 소정의 기준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와 연관된 안내방송용 코덱을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수신한 코덱정보에 따른 안내방송용 코덱을 기 결정된 기준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코덱정보 및 상기 안내방송용 코덱을 매칭하여 소정의 데이터베이스로 유지할 수 있고, 상기 수신한 코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안내방송용 코덱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선택/추출한 안내방송용 코덱에 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호 처리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단계(S403)에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선택된 안내방송용 코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호 처리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호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코덱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단말기와 연관된 안내방송용 코덱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호 처리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이 상기 호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 단말기의 코덱정보가 영상코덱 "H264", 음성코덱 "g711" 및 "g723"인 경우,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안내방송용 코덱으로 "H264" 및 "g723"를 선택하여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호 처리 장치로 상기 응답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단계(S404)에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안내방송용 코덱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영상/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안내방송을 제공하는 음원/영상처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안내방송용 코덱에 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호 처리 장치로 송신한 후, 상기 호 처리 장치로부터 소정의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2 단말기로 영상/음성 안내방송을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안내방송용 코덱이 영상코덱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기로 영상 안내방송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코덱이 영상코덱을 포함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단말기로 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단말기가 영상코덱인 "H264"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2 단말기로 영상 안내방송을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말기가 복수의 코덱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2 단말기가 지원하는 코덱 중 가장 효율적인 코덱으로 영상/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은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상호간에 통화되도록 기 설정된 호 연결 중 제3 단말기에서 제1 단말기로의 호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단말 기로 통화 중 대기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대기신호에 따른 응답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미디어 서버가 지원하는 코덱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코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대기안내방송을 제공하는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은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제1 단말기로부터 응답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미디어 서버가 지원하는 코덱정보를 검출하는 상기 단계(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화 중 대기신호에 대응하여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도시되지 않음), 상기 응답신호 수신에 따라 미디어 서버로 통화 중 대기에 따른 인바이트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도시되지 않음) 및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에 대응하는 코덱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도시되지 않음)로 수행될 수 있다.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도시되지 않음)에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화 중 대기신호에 대응하여 응답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제1 단말기는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통화 중 대기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응답신호는 인포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응답신호는 상기 제3 단말기의 호 요청을 승인하는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3 단말기의 호 요청에 따라 수신한 통화 중 대기신호를 상기 제1 단말기 사용자에게 노출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대기신호에 대응하여 "통화" 버튼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버튼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으 로 "hook flash"의 인포 메시지를 응답 메시지로서 송신할 수 있다.
인바이트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도시되지 않음)에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응답신호 수신에 따라 상기 미디어 서버로 통화 중 대기에 따른 인바이트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는 상기 미디어 서버가 지원하는 모든 코덱정보의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응답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로 상기 미디어 서버가 지원하는 모든 코덱정보를 요구하는 인바이트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는 상기 제2 단말기와 연관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가 지원하는 코덱정보의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2 단말기에 관한 소정의 정보가 포함된 인바이트 메시지를 상기 미디어 서버로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미디어 서버는 상기 소정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와 연관하여 지원가능한 코덱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미디어 서버로 상기 미디어 서버가 지원하는 모든 코덱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한 코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와 연관하여 지원가능한 코덱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정보의 일예는 상기 제2 단말기에 관한 단말기정보 또는 번호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 또는 상기 미디어 서버는 상기 소정의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 또는 상기 미디어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단말기에 따라 지원가능한 코덱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코덱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도시되지 않음)에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에 대응하는 코덱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미디어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코덱 또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코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및 음성코덱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디어 서버가 영상코덱인 "H264"를 지원하고, 음성코덱인 "g711" 및 "g723"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미디어 서버는 상기 수신한 인바이트 메시지에 대응하여 "H264", "g711" 및 "g723"을 포함하는 코덱정보를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코덱정보를 이용하여 제2 단말기로 대기안내방송을 제공하는 상기 단계(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코덱정보로부터 상기 제2 단말기와 연관된 안내방송용 코덱을 결정하는 단계(도시되지 않음) 및 상기 코덱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영상/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하는 단계(도시되지 않음)로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안내방송용 코덱을 결정하는 상기 단계(도시되지 않음)에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코덱정보를 상기 제2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응답 메시지를 이용하여 안내방송용 코덱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단말기는 수신한 코덱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단말기와 연관된 안내방송용 코덱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 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2 단말기와 연동을 통하여 상기 제2 단말기의 안내방송용 코덱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수신한 코덱정보에 따른 안내방송용 코덱을 기 결정된 기준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코덱정보 및 상기 안내방송용 코덱을 매칭하여 소정의 데이터베이스로 유지할 수 있고,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코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안내방송용 코덱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선택/추출한 안내방송용 코덱에 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으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디어 서버가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미디어 서버가 지원하는 코덱정보가 영상코덱 "H264", 음성코덱 "g711" 및 "g723"인 경우,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안내방송용 코덱으로 "H264" 및 "g723"를 선택하여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으로 상기 응답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 단말기가 지원하는 코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안내방송용 코덱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한 코덱정보 및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코덱정보를 이용하여 안내방송용 코덱을 기 결정된 기준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한 코덱정 보,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코덱정보 및 상기 안내방송용 코덱을 매칭하여 소정의 데이터베이스로 유지할 수 있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안내방송용 코덱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미디어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 서버는 상기 응답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안내방송용 코덱을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안내방송용 코덱을 이용하여 대기안내방송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기로 영상/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하는 상기 단계(도시되지 않음)에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코덱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영상/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2 단말기로 제공할 영상/음성 안내방송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영상/음성 안내방송의 제공을 위하여 상기 안내방송용 코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제2 단말기로 영상/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하는 상기 단계(도시되지 않음)에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미디어 서버를 통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영상/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미디어 서버는 안내방송을 제공하는 음원/영상처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코덱이 영상코덱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미디어 서버를 통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영상 안내방송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코덱이 영상코덱을 포함하지 않은 경우 상기 미디어 서버를 통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단말기가 영상코덱인 "H264"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미디어 서버는 상기 제2 단말기로 영상 안내방송을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말기가 복수의 코덱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미디어 서버는 상기 제2 단말기가 지원하는 코덱 중 가장 효율적인 코덱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영상/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2 단말기의 코덱정보에 따라 안내방송의 내용, 상기 제2 단말기로 제공하는 광고, 안내방송의 제공 대역폭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은 단말기 사용자에게 유연하고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에 관하여 설명되지 아니한 내용은 도 1 내지 도 3을 통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500)은 통화 중 대기신호 송신부(510), 코덱정보 검출부(520) 및 대기안내방송 제공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화 중 대기신호 송신부(510)는 제1 단말기(541 내지 543) 및 제2 단말기(541 내지 543) 상호간에 통화되도록 기 설정된 호 연결 중 제3 단말기(541 내지 543)에서 제1 단말기(541 내지 543)로의 호 요청에 따라 제1 단말기(541 내지 543)로 통화 중 대기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중 대기신호 송신부(510)는 통화 호 연결부(511) 및 대기신호 송신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통화 호 연결부(511)는 각각의 코덱정보를 이용하여 제1 단말기(541 내지 543) 및 제2 단말기(541 내지 543) 상호간에 영상/음성 통화를 위한 호를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통화 호 연결부(511)는 각각의 코덱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제1 단말기(541 내지 543) 및 제2 단말기(541 내지 543) 중 적어도 하나가 영상코덱 미지원 단말기(541 내지 543)인 경우, 제1 단말기(541 내지 543) 및 제2 단말기(541 내지 543) 상호간에 음성 통화를 위한 호를 연결할 수 있다.
대기신호 송신부(512)는 상기 연결 중 제3 단말기(541 내지 543)에서 제1 단말기(541 내지 543)로의 호 요청에 따라 제1 단말기(541 내지 543)로 통화 중 대기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코덱정보 검출부(520)는 제1 단말기(541 내지 543)로부터 상기 대기신호에 따른 응답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제2 단말기(541 내지 543)의 코덱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덱정보 검출부(520)는 응답신호 수신부(520), 인바이트 메시지 송신부(522) 및 코덱정보 수신부(523)를 포함할 수 있다.
응답신호 수신부(521)는 제1 단말기(541 내지 543)로부터 상기 통화 중 대기신호에 대응하여 응답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바이트 메시지 송신부(522)는 상기 응답신호 수신에 따라 제2 단말기(541 내지 543)로 통화 중 대기에 따른 인바이트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코덱정보 수신부(530)는 제2 단말기(541 내지 543)로부터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에 대응하는 코덱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대기안내방송 제공부(530)는 상기 코덱정보를 이용하여 제2 단말기(541 내지 543)로 대기안내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안내방송 제공부(530)는 코덱 결정부(531) 및 안내방송 제공부(532)를 포함할 수 있다.
코덱 결정부(531)는 상기 코덱정보로부터 제2 단말기(541 내지 543)와 연관된 안내방송용 코덱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덱 결정부(531)는 상기 코덱정보를 미디어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한 응답 메시지를 이용하여 안내방송용 코덱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미디어 서버는 수신한 코덱정보를 기반으로 제2 단말기(541 내지 543)와 연관된 안내방송용 코덱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안내방송 제공부(532)는 상기 코덱을 이용하여 제2 단말기(541 내지 543)로 영상/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안내방송 제공부(532)는 상기 미디어 서버를 통하여 제2 단말기(541 내지 543)로 영상/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안내방송 제공부(532)는 상기 코덱이 영상코덱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미디어 서버를 통하여 제2 단말기(541 내지 543)로 영상 안내방송을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코덱이 영상코덱을 포함하지 않은 경우, 상기 미디어 서버를 통하여 제2 단말기(541 내지 543)로 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500)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500)은 통화 중 대기신호 송신부(510), 코덱정보 검출부(520) 및 대기안내방송 제공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화 중 대기신호 송신부(510)는 제1 단말기(541 내지 543) 및 제2 단말기(541 내지 543) 상호간에 통화되도록 기 설정된 호 연결 중 제3 단말기(541 내지 543)에서 제1 단말기(541 내지 543)로의 호 요청에 따라 제1 단말기(541 내지 543)로 통화 중 대기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중 대기신호 송신부(510)는 통화 호 연결부(511) 및 대기신호 송신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통화 호 연결부(511)는 각각의 코덱정보를 이용하여 제1 단말기(541 내지 543) 및 제2 단말기(541 내지 543) 상호간에 영상/음성 통화를 위한 호를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통화 호 연결부(511)는 각각의 코덱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제1 단말기(541 내지 543) 및 제2 단말기(541 내지 543) 중 적어도 하나가 영상코덱 미지원 단말기(541 내지 543)인 경우, 제1 단말기(541 내지 543) 및 제2 단말기(541 내지 543) 상호간에 음성 통화를 위한 호를 연결할 수 있다.
대기신호 송신부(512)는 상기 연결 중 제3 단말기(541 내지 543)에서 제1 단말기(541 내지 543)로의 호 요청에 따라 제1 단말기(541 내지 543)로 통화 중 대기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코덱정보 검출부(520)는 제1 단말기(541 내지 543)로부터 상기 대기신호에 따른 응답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미디어 서버가 지원하는 코덱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덱정보 검출부(520)는 응답신호 수신부(520), 인바이트 메시지 송신부(522) 및 코덱정보 수신부(523)를 포함할 수 있다.
응답신호 수신부(521)는 제1 단말기(541 내지 543)로부터 상기 통화 중 대기신호에 대응하여 응답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바이트 메시지 송신부(522)는 상기 응답신호 수신에 따라 상기 미디어 서버로 통화 중 대기에 따른 인바이트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코덱정보 수신부(530)는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에 대응하는 코덱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대기안내방송 제공부(530)는 상기 코덱정보를 이용하여 제2 단말기(541 내지 543)로 대기안내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안내방송 제공부(530)는 코덱 결정부(531) 및 안내방송 제공부(532)를 포함할 수 있다.
코덱 결정부(531)는 상기 코덱정보로부터 제2 단말기(541 내지 543)와 연관된 안내방송용 코덱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덱 결정부(531)는 상기 코덱정보를 제2 단말기(541 내지 543)로 송신하고, 상기 제2 단말기(541 내지 543)로부터 수신한 응답 메시지를 이용하여 안내방송용 코덱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제2 단말기(541 내지 543)는 수신한 코덱정보를 기반으로 제2 단말기(541 내지 543)와 연관된 안내방송용 코덱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안내방송 제공부(532)는 상기 코덱을 이용하여 제2 단말기(541 내지 543)로 영상/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안내방송 제공부(532)는 상기 미디 어 서버를 통하여 제2 단말기(541 내지 543)로 영상/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안내방송 제공부(532)는 상기 코덱이 영상코덱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미디어 서버를 통하여 제2 단말기(541 내지 543)로 영상 안내방송을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코덱이 영상코덱을 포함하지 않은 경우, 상기 미디어 서버를 통하여 제2 단말기(541 내지 543)로 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600)은 코덱정보 수신부(601), 코덱 선택부(602), 응답 메시지 송신부(603) 및 안내방송 제공부(604)를 포함할 수 있다.
코덱정보 수신부(601)는 제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 상호간의 통화 호 연결 중 제3 단말기에서 제1 단말기로의 호 요청에 따라 호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제2 단말기의 코덱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코덱 선택부(602)는 상기 코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와 연관된 안내방송용 코덱을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덱 선택부(602)는 상기 코덱정보에 포함된 코덱 중 소정의 기준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와 연관된 안내방송용 코덱을 선택할 수 있다.
응답 메시지 송신부(603)는 상기 선택된 안내방송용 코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호 처리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안내방송 제공부(604)는 상기 안내방송용 코덱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 로 영상/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을 위한 호 처리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0: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
510: 통화 중 대기신호 송신부
520: 코덱정보 검출부
530: 대기안내방송 제공부

Claims (43)

  1.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상호간에 통화되도록 기 설정된 호 연결 중 제3 단말기에서 제1 단말기로의 호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로 통화 중 대기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화 중 대기신호에 대응하여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응답신호 수신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로 통화 중 대기에 따른 인바이트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에 대응하는 코덱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코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대기안내방송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단말기로 통화 중 대기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단계는,
    각각의 코덱정보를 이용하여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음성 통화를 위한 호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중 제3 단말기에서 제1 단말기로의 호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로 통화 중 대기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코덱정보를 이용하여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음성 통화를 위한 호를 연결하는 상기 단계는,
    각각의 코덱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가 영상코덱 미지원 단말기인 경우,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상호간에 음성 통화를 위한 호를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코덱정보를 이용하여 제2 단말기로 대기안내방송을 제공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코덱정보로부터 상기 제2 단말기와 연관된 안내방송용 코덱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코덱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영상/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안내방송용 코덱을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코덱정보를 미디어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한 응답 메시지를 이용하여 안내방송용 코덱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서버는,
    수신한 코덱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단말기와 연관된 안내방송용 코덱을 선택하고, 상기 안내방송용 코덱의 선택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코덱정보를 이용하여 제2 단말기로 대기안내방송을 제공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2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제2 단말기로 영상/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미디어 서버를 통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영상/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제2 단말기로 영상/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코덱이 영상코덱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미디어 서버를 통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영상 안내방송을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코덱이 영상코덱을 포함하지 않은 경우, 상기 미디어 서버를 통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3 단말기 상호간에 통화되도록 호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의 코덱정보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미디어 서버를 통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
  13. 제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 상호간의 통화 호 연결 중 제3 단말기에서 제1 단말기로의 호 요청에 따라 호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제2 단말기의 코덱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코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와 연관된 안내방송용 코덱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안내방송용 코덱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영상/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코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와 연관된 안내방송용 코덱을 선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코덱정보에 포함된 코덱 중 상기 제2 단말기와 연관된 안내방송용 코덱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안내방송용 코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호 처리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
  16.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상호간에 통화되도록 기 설정된 호 연결 중 제3 단말기에서 제1 단말기로의 호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로 통화 중 대기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화 중 대기신호에 대응하여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응답신호 수신에 따라 미디어 서버로 통화 중 대기에 따른 인바이트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에 대응하는 코덱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코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대기안내방송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
  17. 삭제
  18. 제16항에 있어서,
    코덱정보를 이용하여 제2 단말기로 대기안내방송을 제공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코덱정보로부터 상기 제2 단말기와 연관된 안내방송용 코덱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코덱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영상/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안내방송용 코덱을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코덱정보를 상기 제2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응답 메시지를 이용하여 안내방송용 코덱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는,
    수신한 코덱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단말기와 연관된 안내방송용 코덱을 선택하고, 상기 안내방송용 코덱의 선택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코덱정보를 이용하여 제2 단말기로 대기안내방송을 제공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미디어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제2 단말기로 영상/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미디어 서버를 통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영상/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제2 단말기로 영상/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코덱이 영상코덱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미디어 서버를 통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영상 안내방송을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코덱이 영상코덱을 포함하지 않은 경우, 상기 미디어 서버를 통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5.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상호간에 통화되도록 기 설정된 호 연결 중 제3 단말기에서 제1 단말기로의 호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로 통화 중 대기신호를 송신하는 통화 중 대기신호 송신부;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화 중 대기신호에 대응하여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응답신호 수신부;
    상기 응답신호 수신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로 통화 중 대기에 따른 인바이트 메시지를 송신하는 인바이트 메시지 송신부;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에 대응하는 코덱정보를 수신하는 코덱정보 수신부; 및
    상기 코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대기안내방송을 제공하는 대기안내방송 제공부
    를 포함하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중 대기신호 송신부는,
    각각의 코덱정보를 이용하여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음성 통화를 위한 호를 연결하는 통화 호 연결부; 및
    상기 연결 중 제3 단말기에서 제1 단말기로의 호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로 통화 중 대기신호를 송신하는 대기신호 송신부
    를 포함하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호 연결부는,
    각각의 코덱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가 영상코덱 미지원 단말기인 경우,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상호간에 음성 통화를 위한 호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
  28. 삭제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안내방송 제공부는,
    상기 코덱정보로부터 상기 제2 단말기와 연관된 안내방송용 코덱을 결정하는 코덱 결정부; 및
    상기 코덱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영상/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하는 안내방송 제공부
    를 포함하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코덱 결정부는,
    상기 코덱정보를 미디어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한 응답 메시지를 이용하여 안내방송용 코덱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서버는,
    수신한 코덱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단말기와 연관된 안내방송용 코덱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방송 제공부는,
    상기 미디어 서버를 통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영상/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방송 제공부는,
    상기 코덱이 영상코덱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미디어 서버를 통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영상 안내방송을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코덱이 영상코덱을 포함하지 않은 경우, 상기 미디어 서버를 통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
  34. 제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 상호간의 통화 호 연결 중 제3 단말기에서 제1 단말기로의 호 요청에 따라 호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제2 단말기의 코덱정보를 수신하는 코덱정보 수신부;
    상기 코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와 연관된 안내방송용 코덱을 선택하는 코덱 선택부; 및
    상기 안내방송용 코덱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영상/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하는 안내방송 제공부
    를 포함하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코덱 선택부는,
    상기 코덱정보에 포함된 코덱 중 상기 제2 단말기와 연관된 안내방송용 코덱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안내방송용 코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호 처리 장치로 송신하는 응답 메시지 송신부
    를 더 포함하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
  37.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상호간에 통화되도록 기 설정된 호 연결 중 제3 단말기에서 제1 단말기로의 호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로 통화 중 대기신호를 송신하는 통화 중 대기신호 송신부;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화 중 대기신호에 대응하여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응답신호 수신부;
    상기 응답신호 수신에 따라 미디어 서버로 통화 중 대기에 따른 인바이트 메시지를 송신하는 인바이트 메시지 송신부;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에 대응하는 코덱정보를 수신하는 코덱정보 수신부; 및
    상기 코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대기안내방송을 제공하는 대기안내방송 제공부
    를 포함하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
  38. 삭제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안내방송 제공부는,
    상기 코덱정보로부터 상기 제2 단말기와 연관된 안내방송용 코덱을 결정하는 코덱 결정부; 및
    상기 코덱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영상/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하는 안내방송 제공부
    를 포함하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코덱 결정부는,
    상기 코덱정보를 상기 제2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응답 메시지를 이용하여 안내방송용 코덱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는,
    수신한 코덱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단말기와 연관된 안내방송용 코덱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
  4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방송 제공부는,
    상기 미디어 서버를 통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영상/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
  43.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방송 제공부는 ,
    상기 코덱이 영상코덱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미디어 서버를 통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영상 안내방송을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코덱이 영상코덱을 포함하지 않은 경우, 상기 미디어 서버를 통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
KR20070098317A 2007-09-28 2007-09-28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882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98317A KR100882795B1 (ko) 2007-09-28 2007-09-28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98317A KR100882795B1 (ko) 2007-09-28 2007-09-28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2795B1 true KR100882795B1 (ko) 2009-02-12

Family

ID=40681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98317A KR100882795B1 (ko) 2007-09-28 2007-09-28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279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2019A (ko) * 2004-12-02 2006-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브이 오 아이 피 단말의 음원 서비스를 위한 코덱 정보변경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87827A (ko) * 2005-12-26 2007-08-29 (주) 엘지텔레콤 통화대기음 제공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통화대기음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2019A (ko) * 2004-12-02 2006-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브이 오 아이 피 단말의 음원 서비스를 위한 코덱 정보변경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87827A (ko) * 2005-12-26 2007-08-29 (주) 엘지텔레콤 통화대기음 제공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통화대기음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86378A1 (en) Presence and/or capability based communication
EP1860841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placing media stream in a communication process of a terminal
US80321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voice messages
CN112866488A (zh) 视频彩铃的播放方法和服务器、终端
US20220086284A1 (en) Method for processing voice messages, method for deactivating dtmf coding and method for processing a request to deactivate dtmf coding
US72633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covering identities and capabilities of nearby telephones
KR101790896B1 (ko) 메시지 처리를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882795B1 (ko)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136712B1 (ko) VoIP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1936596B1 (ko) 데이터 망을 이용한 ars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807376B1 (ko) 음성 단문 메시지 또는 영상 메시지를 이용한 mo/mt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00026166A (ko)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US8620378B2 (en) Communication system, Femto Access Point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1244899B1 (ko) 스마트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012238B1 (ko)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100991364B1 (ko) 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감청 방법 및 장치
US20080232351A1 (en) IP communication system and IP telephone apparatus
JP5983602B2 (ja) 通話連動システム、宅内制御装置、通話連動方法
KR100923002B1 (ko)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940252B1 (ko) 녹취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460393B1 (ko) 선납 사용자를 위한 세션 접속을 수립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626502B1 (ko) 무선통신번호가 할당된 커뮤니티와 통신채널이 연결된회원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1289878B1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위한 단말기
KR101495035B1 (ko) 발신 정보를 통합 제공하는 통합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발신 정보 제공 방법
JP2012257177A (ja) ファクシミリ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利用するファクシミリ送受信装置、ファクシミリ送受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