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3002B1 -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3002B1
KR100923002B1 KR1020070093064A KR20070093064A KR100923002B1 KR 100923002 B1 KR100923002 B1 KR 100923002B1 KR 1020070093064 A KR1020070093064 A KR 1020070093064A KR 20070093064 A KR20070093064 A KR 20070093064A KR 100923002 B1 KR100923002 B1 KR 100923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call
voip terminal
message
call
media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3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7888A (ko
Inventor
안철주
Original Assignee
(주)제너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너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제너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070093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3002B1/ko
Publication of KR20090027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7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46Call controllers; Call ser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8Interfacing a video terminal to a particular transmission medium, e.g. ISD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은 이동 단말에서 VoIP 단말로의 영상통화 호 요청에 따라 기 지정된 게이트웨이로부터 인바이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VoIP 단말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VoIP 단말이 영상통화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 및 VoIP 단말 상호간에 영상통화를 위한 호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통신망, 연동, 이동 단말, VoIP 단말, 영상통화, 미디어정보

Description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IDEO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MMUNICATION NETWORKS}
본 발명은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망을 달리하는 착신단말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에 대한 판단을 이용하여 영상통화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통신망의 지속적인 진화에 따라, 종래의 PSTN 망 등의 레거시 통신망 이외에도 WCDMA망(IMS Domain: IP Multimedia System Domain), WCDMA망(CS Domain: Circuit System Domain) 및 VoIP 망 등의 다양한 유/무선 통신망이 제공 되고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의 통신망은 크게 패킷 기반의 패킷 망과 서킷 기반의 서킷 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통신 망의 출현으로 인하여 각각의 통신 망 상호간의 연동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최근 미디어의 발달과 기술력의 확보로 인하여 음성 통신과 함께 영상 통신이 급부상하고 있어, 통신망 상호간의 음성/영상 통신을 위한 연동 방안의 마련이 시급하다.
특히, WCDMA 이동 망과 VoIP 망은 대중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인 통신 망이다. 또한, 이러한 이동 망과 VoIP 망은 영상통화를 지원하는 단말을 포함하고 있다. 다만, 영상통화를 지원하는 단말은 아직 폭넓게 보급되지 않아, 발신단말의 영상통화 호 요청에 불구하고 착신단말이 영상통화 미지원 단말인 경우, 상기 발신단말 및 착신단말 상호간의 영상통화는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영상통화를 담당하는 호 처리 장치는 발신단말의 영상통화 호 요청에 따라 착신단말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동일 망에서의 단말 상호간의 영상통화의 경우, 호 처리 장치는 발신단말 및 착신단말의 정보를 확보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동 단말이 발신단말이고 VoIP 단말이 착신단말인 경우와 같이, 서로 다른 망의 연동에 따라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해야 하는 경우, 비효율적인 호 처리 절차가 수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게이트웨이는 이동 단말에서 발신한 영상통화 호 요청에 대응하여 호 처리를 수행하고, 착신단말로부터 상기 호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때까지 호를 유지시켜야 한다. 또한, 착신단말은 Ringing 상태를 유지하여야만 한다. 이 때, 비디오 게이트웨이는 착신단말로부터 수신한 응답을 이용하여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하여 영상 지원 단말인 경우 호 연결을 유지하나, 영상 미지원 단말인 경우 호를 Release해야 한다. 따라서, 영상통화가 지원되지 않는 VoIP 착신단말은 Ringing 중에 사용자가 응답을 한 순가 호를 절단하는 상황을 맞이하게 된다.
즉, 서로 다른 두 통신망 상호간의 영상통화 호 처리는 착신단말의 영상통화 미지원에 따라 비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불안정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큰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착신단말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간단한 호 처리만으로 판단하여 효율적인 영상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본 발명은 기 지정된 게이트웨이로부터 인바이트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탄력적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착신 단말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영상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번역지원서버와 연동함으로써, 보다 신속한 영상통화 호 처리를 수행하는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착신 호 처리 장치로 질의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그에 따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불필요한 호 처리 절차를 배제하는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착신 호 처리 장치에 미디어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함으로써, VoIP 단말의 미디어정보를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은 이동 단말에서 VoIP 단말로의 영상통화 호 요청에 따라 기 지정된 게이트웨이로부터 인바이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VoIP 단말 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VoIP 단말이 영상통화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 및 VoIP 단말 상호간에 영상통화를 위한 호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VoIP 단말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로 식별된 상기 VoIP 단말의 미디어 능력에 대한 질의 요청 메시지를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질의 요청 메시지의 응답으로 수신한 미디어정보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VoIP 단말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VoIP 단말이 영상통화를 지원하는 경우, 이동 단말 및 VoIP 단말 상호간에 영상통화를 위한 호 처리를 수행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VoIP 단말로 영상통화 호 연결을 위한 인바이트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된 인바이트 메시지에 대응하는 메시지 송수신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 및 VoIP 단말 상호간에 영상통화를 위한 호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VoIP 단말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로 식별된 상기 VoIP 단말의 미디어 능력에 대한 질의 요청 메시지를 상기 VoIP 단말과 연관된 착신 호 처리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질의 요청 메시지의 응답으로 상기 착신 호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미디어정보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VoIP 단말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착신 호 처리 장치는 상기 질의 요청 메시지를 상기 VoIP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VoIP 단말로부터 상기 미디어정보 메시지를 수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착신 호 처리 장치는 상기 착신 호 처리 장치에 연관된 VoIP 단말의 미디어정보를 포함하는 미디어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고, 상기 미디어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질의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미디어정보 메시지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이동 단말에서 VoIP 단말로의 영상통화 호 요청에 따라 기 지정된 게이트웨이로부터 인바이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인바이트 메시지 수신부,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VoIP 단말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통화 지원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VoIP 단말이 영상통화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 및 VoIP 단말 상호간에 영상통화를 위한 호 처리를 수행하는 호 처리 수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기 지정된 게이트웨이로부터 인바이트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탄력적인 서비스 제공할 수 있는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착신 단말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영상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번역지원서버와 연동함으로써, 보다 신속한 영상통화 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착신 호 처리 장치로 질의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그에 따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불필요한 호 처리 절차를 배제할 수 있는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착신 호 처리 장치에 미디어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함으로써, VoIP 단말의 미디어정보를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널리 사용되는 단말이라 함은 유선 전화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핸드폰 등과 같이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통신 단말 및 H.323, SIP, MGCP(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Megaco 등의 VoIP 관련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IP 단말을 통칭하는 개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널리 사용되는 인바이트 메시지 또는 인바이트라 함은 SIP를 포함하는 다양한 프로토콜 기반의 호 처리에 있어서, 해당 프로토콜이 정하는 호 요청 메시지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의 개괄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게이트웨이(112)는 이동 망의 이동 단말(111)에서 VoIP 망(100)의 VoIP 단말(116)로의 영상통화 호 요청에 따라 상호 중계기로부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IAM, 122)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게이트웨이(112)는 상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122)에 대응하여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113)으로 인바이트 메시지(123)를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113)은 인바이트 메시지(123)의 수신에 따라 이동 단말(111) 및 VoIP 단말(116) 상호간의 영상통화를 위한 호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비디오 게이트웨이(112)는 VoIP 단말(116)이 응답 할 때까지 호를 유지시켜야 하며, 이 때 VoIP 단말(116)은 착신 신호음을 송출을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비디오 게이트웨이(112)는 VoIP 단말의 응답에 따라 영상통화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VoIP 단말(116)이 영상통화를 지원하는 경우 호를 유지하나, VoIP 단말(116)이 영상통화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호 연결을 끊어야 한다. 따라서, 영상이 지원 되지 않는 VoIP 단말은 착신 신호음의 송출 중에 사용자가 응답을 한 순간 호가 절단되는 상황을 맞이하게 되어 문제가 되었다. 즉, 비디오 게이트웨이는 비 효율적인 호 처리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문제의 해결 방안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113) 은 VoIP 단말(116)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하여 영상통화가 불가능한 경우, 비디오 게이트웨이(112)로 영상통화 불가 메시지(124)를 송신한다. 이 때,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113)은 VoIP 단말(116)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114)와 연동할 수 있다. 즉,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113)은 비디오 게이트웨이(112)로부터 수신한 인바이트 메시지(123)를 이용하여 VoIP 단말(116)을 식별하고, VoIP 단말(116)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에 대하여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114)로 질의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113)은 VoIP 단말(116)과 연관된 착신 호 처리 장치(115)로 VoIP 단말(116)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에 대한 질의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송신에 대응하여 VoIP 단말(116)의 미디어정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113)은 상기 미디어정보 메시지를 이용하여 VoIP 단말(116)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착신 호 처리 장치(115)는 VoIP 단말(116)로 질의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VoIP 단말(116)로부터 미디어정보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113)과 VoIP 단말(116) 사이의 중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착신 호 처리 장치(115)는 연관된 VoIP 단말(116)의 등록 및 등록된 VoIP 단말(116)에 대한 미디어정보의 등록/관리를 수행하는 미디어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미디어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VoIP 단말(116)에 대한 미디어정보를 추출하고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113)으로 미디어정보 메시지를 송 신할 수 있다.
즉,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113)은 영상통화 호 연결을 위한 메시지 송수신과 함께 추가적인 메시지 송수신을 이용하여 착신단말인 VoIP 단말(116)의 영상통화 지원여부를 효율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은 단계(S201) 내지 단계(S203)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은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계(S201)에서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이동 단말에서 VoIP 단말로의 영상통화 호 요청에 따라 기 지정된 게이트웨이로부터 인바이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이동 단말과 연관된 상호 중계기로부터 수신한 호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 단말은 VoIP 단말로의 영상통화를 위하여 이동 망에 포함된 상호 중계기로 호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호 중계기는 상기 호 요청에 대응하는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상기 게이트웨이로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게이트웨이는 비디오 게이트웨이 또는 톨 게이트웨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소정의 기준으로 기 지정된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만, 상기 VoIP 단말에 대한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게이트웨이의 식별 과정은 영상/음성통화 서비스를 위한 다양성을 확보해주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톨 게이트웨이 또는 지정되지 않은 비디오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한 인바이트 메시지에 대하여는 음성/영상통화를 위한 일반적인 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의 인입 경로를 식별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를 송신한 게이트웨이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지정되지 않은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VoIP 단말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의 판단 없이 음성/영상통화를 위한 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소정의 기준에 부합하지 아니하거나, 또는 미리 지정하지 않은 게이트웨이로부터 인바이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VoIP 단말이 영상통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관계 없이 음성/영상통화를 위한 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S202)에서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VoIP 단말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와의 연동을 통하여 상기 VoIP 단말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하거나, 또는 VoIP 단말과 연관된 착신 호 처리 장치와의 메시지 송수신에 의하여 상기 VoIP 단말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상기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 또는 상기 착 신 호 처리 장치와 질의 요청 메시지 및 미디어정보 메시지의 송수신을 통하여 상기 VoIP 단말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VoIP 단말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단계(S202)에 대해서는 추후 도 3의 단계(S301) 및 단계(S302) 또는 단계(S501) 및 단계(S202)를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단계(S203)에서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VoIP 단말이 영상통화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 및 VoIP 단말 상호간에 영상통화를 위한 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상기 VoIP 단말이 영상통화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의 영상통화 발신 호 요청에 대응하는 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 단말을 포함하는 이동 망과 상기 VoIP 단말을 포함하는 VoIP 망 상호간의 메시지 송수신에 의하여 영상통화를 위한 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계(S203)에 대해서는 추후 도 3의 단계(S303) 및 단계(S304)를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계(S202)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VoIP 단말이 영상통화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상기 이동 단말로 영상통화 불가 메시지 송신에 따른 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상기 VoIP 단말이 영상통화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로 영상통화가 불가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통화불가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이동 단말과 연 관된 상호 중계기로 이유 메시지를 송신하여, 영상통화가 불가하다는 정보를 알린다. 이후, 상기 이동 단말의 영상통화 발신 호는 호 해제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상기 VoIP 단말이 영상통화가 불가한 경우, 상기 이동 단말과의 음성 통화를 위한 호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음성통화 호 요청에 따른 인바이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단계(S202)는 단계(S301) 및 단계(S302)로 수행될 수 있으며, 단계(S203)는 단계(S303) 및 단계(S304)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단계(S301) 내지 단계(S304)는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계(S301)에서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로 식별된 상기 VoIP 단말의 미디어 능력에 대한 질의 요청 메시지를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는 상기 수신한 질의 요청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VoIP 단말에 대한 미디어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기 결정된 게이트웨이로부터 인바이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착신단말인 상기 VoIP 단말을 식별하고, 상기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로 상기 VoIP 단말과 연관된 질의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는 소정의 헤더에 착신단말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상기 식별된 VoIP 단말의 미디어정보를 요청하는 질의 요청 메시지를 상기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는 상기 수신한 질의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VoIP 단말과 매칭되는 미디어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는 VoIP 단말 및 이와 연관된 미디어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는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의 외부에 존재하는 서버일 수 있고, 상기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는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에 포함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질의 요청 메시지는 옵션 메시지일 수 있다. 즉, 상기 질의 요청 메시지는 상기 이동 단말 및 VoIP 단말 상호간에 음성/영상통화 호 연결을 위한 메시지가 아니라, 상기 VoIP 단말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추가적인 메시지가 되는 것이다. 다만, 상기 질의 요청 메시지는 옵션 메시지 이외에도, 임의의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질의 요청 메시지 및 미디어정보 메시지의 송수신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SIP 이외에도, Diamater, Propriteary와 같은 임의의 프로토콜일 수 있다.
단계(S302)에서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질의 요청 메시지의 응답으로 수신한 미디어정보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VoIP 단말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영상통화 제공시스템은 상기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질의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미디어정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미디어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VoIP 단말의 미디어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VoIP 단말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미디어정보 메시지는 옵션 메시지일 수 있다.
단계(S303)에서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상기 VoIP 단말로 영상통화 호 연결을 위한 인바이트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송신된 인바이트 메시지는 상기 VoIP 단말과 연관된 착신 호 처리 장치를 경유하여 송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단계(S302)에서 상기 VoIP 단말이 영상통화 지원 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 영상통화를 위한 호 연결을 절차로서 영상통화 호 연결을 위한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는 상기 VoIP 단말과 연관된 착신 호 처리 장치로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신 호 처리 장치는 상기 수신한 인바이트 메시지를 상기 VoIP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착신 호 장치는 상기 VoIP 단말의 호 처리를 담당하는 호 처리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착신 호 처리 장치는 상기 VoIP 단말을 담당/수용하는 소프트 스위치,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SIP 서버 또는 IP 사설교환기일 수 있다.
단계(S304)에서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상기 송신된 인바이트 메시지에 대응하는 메시지 송수신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 및 VoIP 단말 상호간에 영상통화를 위한 호를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상기 VoIP 단말로 영상통화 호 연 결에 따른 인바이트 메시지를 송신하는 절차 및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절차를 통하여 상기 이동 단말 및 VoIP 단말 상호간에 영상통화 호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이동 망과 VoIP 망의 입중계 장치인 게이트웨이와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VoIP 단말과 연관된 착신 호 처리 장치와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호 연결을 위한 메시지 송수신에 대하여는 추후 도 4를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하겠다. 더불어, 이와 같은 단계(S301) 내지 단계(S304)에 대해서 추후 도 4를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 처리 절차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은 호 처리 절차(S401) 내지 절차(S404)로 수행될 수 있다.
호 처리 절차(S401)에서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이동 단말에서 VoIP 단말로의 영상통화 호 요청에 대응하는 인바이트 메시지를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이동 단말의 이동 망에 포함된 상호 중계기로부터 인바이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호 처리 절차(S402)에서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VoIP 단말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VoIP 단말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VoIP 단말에 대한 영상통화 지원 여부에 관한 질의 요청 메시 지를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는 상기 질의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미디어정보 메시지를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으로 송신할 수 있다.
호 처리 절차(S403)에서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미디어정보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VoIP 단말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호 처리 절차(S404)에서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상기 미디어정보를 이용한 판단 결과, 상기 VoIP 단말이 영상통화가 가능한 단말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 및 상기 VoIP 단말 상호간의 영상통화 호 연결을 위한 메시지 송수신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정보를 이용한 판단 결과, 상기 VoIP 단말이 영상통화가 불가능한 단말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로 호 해제를 알리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 해제를 알리는 메시지는 상기 이동 단말의 이동 망에 포함된 호 처리 장치를 경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단계(S202)는 단계(S501) 및 단계(S502)로 수행될 수 있으며, 단계(S203)는 단계(S503) 및 단계(S504)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단계(S501) 내지 단계(S504)는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계(S501)에서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로 식별 된 상기 VoIP 단말의 미디어 능력에 대한 질의 요청 메시지를 상기 VoIP 단말과 연관된 착신 호 처리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즉,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VoIP 단말을 식별하고, 상기 착신 호 처리 장치로 상기 VoIP 단말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에 관한 질의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착신 호 처리 장치는 상기 VoIP 단말을 포함하는 VoIP 망에 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신 호 처리 장치는 상기 VoIP 단말로의 호 연결에 따른 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VoIP 단말의 음성/영상통화를 위하여, 상기 착신 호 처리 장치는 상기 VoIP 단말과 호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착신 호 처리 장치는 상기 VoIP 단말을 수용하는 소프트 스위치,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SIP 서버 또는 IP 사설교환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착신 호 처리 장치는 상기 질의 요청 메시지를 상기 VoIP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VoIP 단말로부터 상기 미디어정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상기 질의 요청 메시지를 상기 착신 호 처리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착신 호 처리 장치는 수신한 질의 요청 메시지를 상기 VoIP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미디어정보 메시지는 상기 VoIP 단말에서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으로 송신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착신 호 처리 장치는 상기 VoIP 망에 포함될 수 있다.
즉, 도 3의 단계(S301) 및 단계(S302)에서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VoIP 망 외부의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와의 연동을 통하여 상기 VoIP 단말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하는 반면, 단계(S501) 및 단계(S502)에서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상기 VoIP 단말과의 음성/영상통화 호 처리에 따른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착신 호 처리 장치와 추가적인 메시지를 송수신함으로써, 상기 VoIP 단말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추가적인 메시지는 상기 착신 호 처리 장치로 송신하는 질의 요청 메시지 및 상기 미디어정보 메시지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질의 요청 메시지는 옵션 메시지일 수 있다. 즉, 상기 질의 요청 메시지는 상기 이동 단말 및 VoIP 단말 상호간에 음성/영상통화 호 연결을 위한 메시지가 아니라, 상기 VoIP 단말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추가적인 메시지가 되는 것이다. 다만, 상기 질의 요청 메시지는 옵션 메시지 이외에도, 임의의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질의 요청 메시지 및 미디어정보 메시지의 송수신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SIP 이외에도, Diamater, Propriteary와 같은 임의의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착신 호 처리 장치는 상기 착신 호 처리 장치에 연관된 VoIP 단말의 미디어정보를 포함하는 미디어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고, 상기 미디어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질의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미디어정보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착신 호 처리 장치는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질의 요청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VoIP 단말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VoIP 단말 의 미디어정보를 상기 미디어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출하고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으로 미디어정보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 있는 착신 호 처리 장치의 일실시예인,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으로 수신한 질의 요청 메시지를 상기 VoIP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VoIP 단말로부터 수신한 미디어정보 메시지를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것과 구분되는 일실시예이다.
이 때, 상기 미디어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착신 호 처리 장치에 연관된 VoIP 단말을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VoIP 단말의 미디어정보를 상기 VoIP 단말에 매칭하여 등록/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디어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착신 호 처리 장치에 의하여 연결/관리되는 VoIP 단말을 등록하여 유지하고, 상기 등록된 VoIP 단말에 매칭된 미디어정보를 등록/관리하여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미디어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착신 호 처리 장치가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으로 수신한 질의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미디어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의 일예로, 상기 호 처리 장치는 임의의 검출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미디어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와의 연동을 통하여 상기 VoIP 단말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VoIP 망에 포함된 착신 호 처리 장치 및 VoIP 단말과 옵션 메시지를 송수신 함으로써, 상기 VoIP 단말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상기 미디어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착신 호 처리 장치로 옵션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착신 호 처리 장치로부터 미디어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VoIP 단말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착신 호 처리 장치는 미디어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선 등록/관리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VoIP 단말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줄일 수 있다. 즉, 상기 미디어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함으로써, 영상통화 호 요청 시 매번 상기 VoIP 단말로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를 반복하지 않을 수 있다.
단계(S502)에서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상기 질의 요청 메시지의 응답으로 상기 착신 호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미디어정보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VoIP 단말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영상통화 제공시스템은 상기 착신 호 처리 장치로 송신한 상기 질의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미디어정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미디어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VoIP 단말의 미디어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VoIP 단말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미디어정보 메시지는 옵션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단계(S503) 및 단계(S504)는 앞서 도 3을 통하여 설명한 바 있는 단계(S303) 및 단계(S304)와 동일하게 수행되므로 반복설명을 생략하도록 하겠다. 더불어, 이와 같은 단계(S501) 내지 단계(S504)에 대해서 추후 도 6 또는 도 7을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호 처리 절차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은 호 처리 절차(S601) 내지 절차(S604)로 수행될 수 있다.
호 처리 절차(S601)에서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게이트웨이로부터 이동 단말에서 VoIP 단말로의 영상통화 호 요청에 대응하는 인바이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이동 단말의 이동 망에 포함된 상호 중계기로부터 인바이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호 처리 절차(S602)에서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VoIP 단말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VoIP 단말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VoIP 단말에 대한 영상통화 지원 여부에 관한 질의 요청 메시지를 착신 호 처리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신 호 처리 장치는 상기 질의 요청 메시지를 상기 VoIP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VoIP 단말로부터 미디어정보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으로 송신할 수 있다.
호 처리 절차(S603)에서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착신 호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미디어정보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VoIP 단말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호 처리 절차(S604)에서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상기 미디어정보를 이용한 판단 결과, 상기 VoIP 단말이 영상통화가 가능한 단말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 및 상기 VoIP 단말 상호간의 영상통화 호 연결을 위한 메시지 송수신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정보를 이용한 판단 결과, 상기 VoIP 단말이 영상통화가 불가능한 단말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로 호 해제를 알리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 해제를 알리는 메시지는 상기 이동 단말의 이동 망에 포함된 호 처리 장치를 경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호 처리 절차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은 호 처리 절차(S701) 내지 절차(S705)로 수행될 수 있다.
호 처리 절차(S701)에서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게이트웨이로부터 이동 단말에서 VoIP 단말로의 영상통화 호 요청에 대응하는 인바이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이동 단말의 이동 망에 포함된 상호 중계기로부터 인바이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호 처리 절차(S702)에서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VoIP 단말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VoIP 단말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VoIP 단말에 대한 영상통화 지원 여부에 관한 질의 요청 메시지를 착신 호 처리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신 호 처리 장치는 상기 질의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미디어정보 메시지를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착신 호 처리 장치는 미디어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 터 상기 VoIP 단말의 미디어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호 처리 절차(S703)에서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상기 착신 호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미디어정보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VoIP 단말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호 처리 절차(S704)에서 상기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은 상기 미디어정보를 이용한 판단 결과, 상기 VoIP 단말이 영상통화가 가능한 단말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 및 상기 VoIP 단말 상호간의 영상통화 호 연결을 위한 메시지 송수신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정보를 이용한 판단 결과, 상기 VoIP 단말이 영상통화가 불가능한 단말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로 호 해제를 알리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 해제를 알리는 메시지는 상기 이동 단말의 이동 망에 포함된 호 처리 장치를 경유할 수 있다.
호 처리 절차(S705)에서 상기 착신 호 처리 장치는 연관된 VoIP 단말을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VoIP 단말의 미디어정보를 등록/관리할 수 있다. 또한, 착신 호 처리 장치는 등록/관리되는 상기 VoIP 단말의 미디어정보를 이용하여, 호 처리 절차(S702)에서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으로 상기 질의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미디어정보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 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800)은 인바이트 메시지 수신부(810), 영상통화 지원 판단부(820) 및 호 처리 수행부(830)를 포함한다.
인바이트 메시지 수신부(810)는 이동 단말에서 VoIP 단말로의 영상통화 호 요청에 따라 기 지정된 게이트웨이로부터 인바이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이동 단말과 연관된 상호 중계기로부터 수신한 호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통화 지원 판단부(820)는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VoIP 단말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영상통화 지원 판단부(820)는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와의 연동을 통하여 상기 VoIP 단말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통화 지원 판단부(820)는 질의 메시지 송신부(821) 및 영상통화 판단부(822)를 포함할 수 있다.
질의 메시지 송신부(821)는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로 식별된 상기 VoIP 단말의 미디어 능력에 대한 질의 요청 메시지를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영상통화 판단부(822)는 상기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질의 요청 메시지의 응답으로 수신한 미디어정보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VoIP 단말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는 상기 수신한 질의 요청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VoIP 단말에 대한 미디어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호 처리 수행부(830)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VoIP 단말이 영상통화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 및 VoIP 단말 상호간에 영상통화를 위한 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 처리 수행부(830)는 메시지 송신부(831) 및 호 연결부(832)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송신부(831)는 상기 VoIP 단말로 영상통화 호 연결을 위한 인바이트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호 연결부(832)는 상기 송신된 인바이트 메시지에 대응하는 메시지 송수신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 및 VoIP 단말 상호간에 영상통화를 위한 호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영상통화 불가 수행부(도시되지 않음)는 판단 결과 상기 VoIP 단말이 영상통화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로 영상통화 불가 메시지 송신에 따른 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9100)은 인바이트 메시지 수신부(9110), 영상통화 지원 판단부(9120) 및 호 처리 수행부(9130)를 포함한다.
인바이트 메시지 수신부(9110)는 이동 단말에서 VoIP 단말로의 영상통화 호 요청에 따라 기 지정된 게이트웨이로부터 인바이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이동 단말과 연관된 상호 중계기로부터 수신한 호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통화 지원 판단부(9120)는 질의 메시지 송신부(9121) 및 영상통화 판단부(9122)를 포함할 수 있다.
질의 메시지 송신부(9121)는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로 식별된 상기 VoIP 단말의 미디어 능력에 대한 질의 요청 메시지를 상기 VoIP 단말과 연관된 착신 호 처리 장치(9200)로 송신할 수 있다.
영상통화 판단부(9122)는 상기 질의 요청 메시지의 응답으로 상기 착신 호 처리 장치(9200)로부터 수신한 미디어정보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VoIP 단말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착신 호 처리 장치(9200)는 상기 질의 요청 메시지를 상기 VoIP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VoIP 단말로부터 상기 미디어정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착신 호 처리 장치(9200)는 상기 착신 호 처리 장치에 연관된 VoIP 단말의 미디어정보를 포함하는 미디어정보 데이터베이스(9210) 및 상기 미디어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질의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미디어정보 메시지를 생성하는 미디어정보 메시지 송신부(8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미디어정보 데이터베이스(9210)는 착신 호 처리 장치(9200)에 연관된 VoIP 단말을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VoIP 단말의 미디어정보를 상기 VoIP 단말에 매칭하여 등록/관리할 수 있다.
호 처리 수행부(9130)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VoIP 단말이 영상통화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 및 VoIP 단말 상호간에 영상통화를 위한 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 처리 수행부(9130)는 메시지 송신부(9131) 및 호 연결부(9132)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송신부(9131)는 상기 VoIP 단말로 영상통화 호 연결을 위한 인바이트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호 연결부(9132)는 상기 송신된 인바이트 메시지에 대응하는 메시지 송수신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 및 VoIP 단말 상호간에 영상통화를 위한 호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영상통화 불가 수행부(도시되지 않음)는 판단 결과 상기 VoIP 단말이 영상통화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로 영상통화 불가 메시지 송신에 따른 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의 개괄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 처리 절차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호 처리 절차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호 처리 절차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00: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
810: 인바이트 메시지 수신부
820: 영상통화 지원 판단부
830: 호 처리 수행부

Claims (26)

  1. 이동 단말에서 VoIP 단말로의 영상통화 호 요청에 따라 기 지정된 게이트웨이로부터 인바이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를 통해 식별한 상기 VoIP 단말에 대한 메시지 송수신을 통해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 또는 착신 호 처리 장치 중 어느 하나와 연동하여 상기 VoIP 단말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VoIP 단말이 영상통화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 및 VoIP 단말 상호간에 영상통화를 위한 호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이동 단말과 연관된 상호 중계기로부터 수신한 호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VoIP 단말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로 식별된 상기 VoIP 단말의 미디어 능력에 대한 질의 요청 메시지를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질의 요청 메시지의 응답으로 수신한 미디어정보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VoIP 단말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는,
    상기 수신한 질의 요청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VoIP 단말에 대한 미디어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VoIP 단말이 영상통화를 지원하는 경우, 이동 단말 및 VoIP 단말 상호간에 영상통화를 위한 호 처리를 수행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VoIP 단말로 영상통화 호 연결을 위한 인바이트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 계; 및
    상기 송신된 인바이트 메시지에 대응하는 메시지 송수신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 및 VoIP 단말 상호간에 영상통화를 위한 호를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된 인바이트 메시지는
    상기 VoIP 단말과 연관된 착신 호 처리 장치를 경유하여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판단 결과 상기 VoIP 단말이 영상통화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로 영상통화 불가 메시지 송신에 따른 호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를 지정되지 않은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VoIP 단말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의 판단 없이 음성/영상통화를 위한 호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VoIP 단말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를 통해 식별된 VoIP 단말에 관한 질의 요청 메시지를 상기 VoIP 단말과 연관된 착신 호 처리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 호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질의 요청 메시지의 응답으로 미디어정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미디어정보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VoIP 단말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호 처리 장치는,
    상기 질의 요청 메시지를 상기 VoIP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VoIP 단말로부터 상기 미디어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호 처리 장치는,
    상기 VoIP 단말을 수용하는 소프트 스위치,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SIP 서버 또는 IP 사설교환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호 처리 장치는,
    상기 착신 호 처리 장치에 연관된 VoIP 단말의 미디어정보를 포함하는 미디어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고,
    상기 미디어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질의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미디어정보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착신 호 처리 장치에 연관된 VoIP 단말을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VoIP 단말의 미디어정보를 상기 VoIP 단말에 매칭하여 등록/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
  15.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6. 이동 단말에서 VoIP 단말로의 영상통화 호 요청에 따라 기 지정된 게이트웨이로부터 인바이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인바이트 메시지 수신부;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를 통해 식별한 상기 VoIP 단말에 대한 메시지 송수신을 통해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 또는 착신 호 처리 장치 중 어느 하나와 연동하여 상기 VoIP 단말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통화 지원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VoIP 단말이 영상통화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 및 VoIP 단말 상호간에 영상통화를 위한 호 처리를 수행하는 호 처리 수행부
    를 포함하는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이동 단말과 연관된 상호 중계기로부터 수신한 호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
  18. 삭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통화 지원 판단부는,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로 식별된 상기 VoIP 단말의 미디어 능력에 대한 질의 요청 메시지를 상기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질의 메시지 송신부; 및
    상기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질의 요청 메시지의 응답으로 수신한 미디어정보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VoIP 단말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통화 판단부
    를 포함하는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는,
    상기 수신한 질의 요청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VoIP 단말에 대한 미디어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호 처리 수행부는,
    상기 VoIP 단말로 영상통화 호 연결을 위한 인바이트 메시지를 송신하는 인바이트 메시지 송신부; 및
    상기 송신된 인바이트 메시지에 대응하는 메시지 송수신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 및 VoIP 단말 상호간에 영상통화를 위한 호를 연결하는 호 연결부
    를 포함하는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
  22. 제16항에 있어서,
    판단 결과 상기 VoIP 단말이 영상통화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로 영상통화 불가 메시지 송신에 따른 호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통화 불가 수행부
    를 더 포함하는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통화 지원 판단부는,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로 식별된 상기 VoIP 단말의 미디어 능력에 대한 질의 요청 메시지를 상기 VoIP 단말과 연관된 착신 호 처리 장치로 송신하는 질의 메시지 송신부; 및
    상기 질의 요청 메시지의 응답으로 상기 착신 호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미디어정보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VoIP 단말의 영상통화 지원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통화 판단부
    를 포함하는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호 처리 장치는,
    상기 질의 요청 메시지를 상기 VoIP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VoIP 단말로부터 상기 미디어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호 처리 장치는,
    상기 착신 호 처리 장치에 연관된 VoIP 단말의 미디어정보를 포함하는 미디어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미디어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질의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미디어정보 메시지를 생성하는 미디어정보 메시지 송신부
    를 포함하는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착신 호 처리 장치에 연관된 VoIP 단말을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VoIP 단말의 미디어정보를 상기 VoIP 단말에 매칭하여 등록/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시스템.
KR1020070093064A 2007-09-13 2007-09-13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923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064A KR100923002B1 (ko) 2007-09-13 2007-09-13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064A KR100923002B1 (ko) 2007-09-13 2007-09-13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888A KR20090027888A (ko) 2009-03-18
KR100923002B1 true KR100923002B1 (ko) 2009-10-22

Family

ID=40695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064A KR100923002B1 (ko) 2007-09-13 2007-09-13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300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6508A (ko) * 1999-10-08 2001-05-07 이원택 이기종망에서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화 연동 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12978A (ko) * 2004-08-05 2006-02-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H.323 이동 화상 단말 및 h.323 ip 화상 단말 사이의호 처리 방법
KR20070015843A (ko) * 2005-08-01 2007-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CSI 단말과 VoIP 단말 사이의 음성 및 멀티미디어서비스 연동을 위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6508A (ko) * 1999-10-08 2001-05-07 이원택 이기종망에서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화 연동 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12978A (ko) * 2004-08-05 2006-02-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H.323 이동 화상 단말 및 h.323 ip 화상 단말 사이의호 처리 방법
KR20070015843A (ko) * 2005-08-01 2007-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CSI 단말과 VoIP 단말 사이의 음성 및 멀티미디어서비스 연동을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888A (ko) 200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6936B2 (en) Communication system, session control management server and session control method
JP4554636B2 (ja) 通信制御装置およびプロトコル変換方法
EP1742454A1 (e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implementing calling tapping at flash
US20070274462A1 (en) Method, System and Access Control Function for Detecting Emergency Service
JP4541333B2 (ja) 端末装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119172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call change request in an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KR100923002B1 (ko) 통신망 연동에 따른 영상통화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949912B1 (ko) 멀티착신 영상통화 시스템 및 방법
JP4585480B2 (ja) 電話システム及び電話交換装置
JP4578368B2 (ja) VoIP通信システム、及び発信制御方法
EP2723053B1 (en) Transfer inquiry method, application server, service terminal, and system
KR100723306B1 (ko) Sip 폰의 사용자 이동성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08236470A (ja) Ip電話端末及びip電話システム
US20120163371A1 (en) Telephone System, Call Control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WO2012070794A2 (ko) Fmc 통신 기반의 호 설정 방법 및 호 연결 인프라
KR102222479B1 (ko) 복수의 UICC가 탑재된 통신단말기에서의 고스트 콜(Ghost Call) 방지 방법 및 시스템과 그를 위한 통신단말기
KR102094206B1 (ko) 음성호 서비스 전환 시스템, 게이트웨이장치 및 서비스전환장치 그리고 그 장치의 동작 방법
CN102739499B (zh) 一种信令消息的路由方法、装置及系统
KR100882795B1 (ko)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420607B1 (ko) 이용자 단말에 대해 음성 메시지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888157B1 (ko)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49715A (ko) 음성호 서비스 전환 시스템, 게이트웨이장치 및 서비스전환장치 그리고 그 장치의 동작 방법
JP2004056775A (ja) VoIP電話システム
KR100873320B1 (ko)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049586B1 (ko) 착신망의 호 처리 기능 장애 처리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