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8157B1 -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8157B1
KR100888157B1 KR1020070054688A KR20070054688A KR100888157B1 KR 100888157 B1 KR100888157 B1 KR 100888157B1 KR 1020070054688 A KR1020070054688 A KR 1020070054688A KR 20070054688 A KR20070054688 A KR 20070054688A KR 100888157 B1 KR100888157 B1 KR 100888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call
message
terminal
voip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4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6810A (ko
Inventor
안철주
Original Assignee
(주)제너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너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제너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070054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8157B1/ko
Publication of KR20080106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6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VoIP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전화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영상전화 부가서비스는 영상 사서함 서비스 및 영상 링고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은 VoIP 단말기에서 이동 단말기로의 영상통화를 위하여 VoIP 단말기로부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수신받는 단계, 상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와 연관된 이동 교환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 교환기로 송신한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통화불가 사유 발생에 따른 수신 리포트 메시지를 상기 이동 교환기로부터 수신받는 단계, 상기 수신 리포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통화불가 사유 발생에 따른 영상 사서함 이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영상 사서함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VoIP 단말기 및 영상 사서함 서버 상호간에 영상채널 할당을 위한 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전화, 영상 사서함, 영상 링고, 통화연결영상

Description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OF SUPPORTING VIDEO TELEPHONE ADDITIONAL SER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VoIP 단말기에서 이동 단말기로의 영상전화에 따른 영상 사서함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VoIP 단말기에서 이동 단말기로의 영상전화에 따른 영상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호 처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에서 VoIP 단말기로의 영상전화에 따른 영상 사서함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에서 VoIP 단말기로의 영상전화에 따른 영상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호 처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VoIP 단말기에서 이동 단말기로의 영상전화에 따른 통화연결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VoIP 단말기에서 이동 단말기로의 영상전화에 따른 통화연결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호 처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에서 VoIP 단말기로의 영상전화에 따른 통화연결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에서 VoIP 단말기로의 영 상전화에 따른 통화연결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호 처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상호 중계기
401: 지능형 교환 장비
601: 이동 교환기
900: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VoIP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전화 부가서비스에 있어서, 영상 사서함 제공 및 통화연결영상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통신망의 지속적인 진화에 따라, 종래의 PSTN 망 등의 레거시 통신망 이외에도 이동 통신망 및 VoIP 망 등의 다양한 유/무선 통신망이 제공 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통신 망의 출현으로 인하여 상기 각각의 통신 망 사이의 연 동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미 음성통화를 위한 연동방안은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다. 또한, 최근 미디어의 발달과 기술력의 확보로 인하여 영상통화를 기반으로 한 사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상기 영상통화를 위한 다양한 영상통화 방법이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각기 다른 통신 망 상호간에 영상통화를 위한 통신 방법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영상 요구에 부응하여, 최근 영상통화가 가능한 단말기가 다양한 이동 망 내에 보급되고 있으며, 상기 이동 통신망 및 VoIP 망 내에도 다양한 영상 단말기가 보급되어 있다. 나아가 영상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통화를 위한 호 설정 및 해당 프로토콜도 다양하게 보급되어 있다.
그러나 영상전화 서비스는 영상통화를 위한 호 설정 및 해당 프로토콜만으로 이루어 지는 것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영상전화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이미 음성 기반의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경험하면서, 단순 통화만을 위한 통신 서비스를 지양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방안이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서로 망을 달리하는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없어서는 안될 필수 기술분야로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망 상호간에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관련 기술이 부족하여 문제이다. 또한, 상기 이동 통신망 및 VoIP 망은 제공 서비스를 달리할 뿐만 아니라 데이터 및 호를 제어하는 기술도 다르기 때문에 부가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술 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및 VoIP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전화에 있어서, 착신단말기의 통화불가 사유 발생에 따라 발신 단말기 및 영상 사서함 서버 상호간에 통신채널할당을 통하여, 영상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상기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여, 상기 영상 사서함 서버와의 통신채널할당을 위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 착신 단말기 및 영상 사서함 서버 사이에 호 설정을 위한 호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 및 VoIP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전화에 있어서 발신 단말기 및 착신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통화 개시 이전에, 발신 단말기상에 통화연결영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은 VoIP 단말기에서 이동 단말기로의 영상통화를 위하여 VoIP 단말기로부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수신받는 단계, 상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와 연관된 이동 교환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 교환기로 송신한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통화불가 사유 발생에 따른 수신 리포트 메시지를 상기 이동 교환기로부터 수신받는 단계, 상기 수신 리포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통화불가 사유 발생에 따른 영상 사서함 이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영상 사서함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VoIP 단말기 및 영상 사서함 서버 상호간에 영상채널 할당을 위한 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은 VoIP 단말기에서 이동 단말기로의 영상통화를 위하여 VoIP 단말기로부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수신받는 상기 단계는, 영상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VoIP 단말기로부터 지능형 교환 장비를 경유하여 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받는 단계 및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호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상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수신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은 이동 단말기에서 VoIP 단말기로의 영상통화를 위하여 상기 VoIP 단말기로 호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VoIP 단말기의 통화불가 사유 발생에 따라 상기 호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통화불가 메시지를 상기 VoIP 단말기로부터 수신받는 단계, 상기 통화불가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VoIP 단말기가 영상 사서함 이용 단말기 인지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영상 사서함 이용 단말기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 및 영상 사서함 서버 상호간에 영상채널 할당을 위한 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에서 VoIP 단말기로의 호 설정에 따라 상기 VoIP 단말기로 호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상기 단계는 이동 교환기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셋업 메시지에 대응하는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상호 중계기를 경유하여 영상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에 대응하는 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받는 단계 및 상기 수신받은 호 요청 메시지를 상기 VoIP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은 VoIP 단말기에서 이동 단말기로의 영상통화를 위하여 VoIP 단말기로부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수신받는 단계, 상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송수신에 의하여 영상RBT 서버 및 상기 VoIP 단말기 상호간에 통화연결영상 제공을 위한 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송수신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알러트(Alert)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알러트(Alert) 메시지를 수신받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연결 메시지를 수신받은 경우 상기 VoIP 단말기 및 상기 영상RBT 서버 상호간에 호를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송수신에 의하여 상기 VoIP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통화를 위한 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통화연결영상 제공을 위한 호 설정에 따라 상기 영상RBT 서버 및 상기 VoIP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채널을 할당하고, 상기 영상RBT 서버로부터 수신받은 통화연결영상을 상기 VoIP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통화를 위한 호 설정에 따라 상기 VoIP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통화를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은 이동 단 말기에서 VoIP 단말기로의 영상통화를 위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받는 단계, 상기 호 요청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VoIP 단말기가 통화연결영상 제공 서비스 가입 단말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VoIP 단말기가 서비스 가입 단말기인 경우, 상기 호 요청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송수신에 의하여 미디어 서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 통화연결영상 제공을 위한 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VoIP 단말기가 서비스 가입 단말기인 경우, 상기 VoIP 단말기로 호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받은 상기 VoIP 단말기로부터 연결 메시지를 수신받은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 및 미디어 서버 상호간에 호를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송수신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 및 상기 VoIP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통화를 위한 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통화연결영상 제공을 위한 호 설정에 따라 상기 미디어 서버 및 상기 이동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채널을 할당하고,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받은 통화연결영상을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통화를 위한 호 설정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 및 상기 VoIP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통화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널리 사용되는 단말기라 함은 유선 전화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핸드폰 등과 같이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소정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통신 단말기, 및 H.323, SIP, MGCP(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Megaco 등의 VoIP 관련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IP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서 널리 사용되는 MSC(Mobile Switching Center)는 이동 망 전체 시스템을 통제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심장부인 이동 교환기의 일례이며, 본 명세서에서 널리 사용되는 IGS(Interconnection Gateway System)는 서로 다른 통신 망 사이의 연결을 중계하는 상호 중계기의 일례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널리 사용되는 SSW(soft Switch)는 VoIP 망에서 호 처리 및 세션을 제어하는 지능형 교환 장비의 일례이며, 본 명세서에서 널리 사용되는 영상 게이트웨이(VG: Video Gateway)는 IP Packet 망(VoIP 등)에서 PSTN/PLMN 교환기와 TDM 기반의 물리적인 영상통화로를 제공하는 장치의 일례이고, 본 명세서에서 널리 사용되는 음성 게이트웨이(TG: Trunk Gateway)는 VoIP 망에서 PSTN 교환기와 TDM 기반의 물리적은 음성통화로를 제공하는 장치의 일례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널리 사용되는 HLR(Home location Register)은 무선 통신 교환기에서 단말기 정보, 가입 정보, 위치 정보 및 인증 기능 등을 지닌 이동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의 일례일 수 있다.
상기 MSC, IGS, SSW, 영상 게이트웨이, 음성 게이트웨이 및 HLR은 본 발명에 있어서, 발명을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명칭이다. 따라서, 상기 명칭으로 인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 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VoIP 단말기에서 이동 단말기로의 영상전화에 따른 영상 사서함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계(S101) 내지 단계(S106)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S101) 내지 단계(S106)는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호 중계기(IGS: Interconnection Gateway System)는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동작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상호 중계기는 이동 단말기가 포함된 이동 망과 VoIP 단말기가 포함된 VoIP 망의 연결을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S101)에서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VoIP 단말기에서 이동 단말기로의 영상통화를 위하여 VoIP 단말기로부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수신받을 수 있다. 상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는 영상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VoIP 단말기로부터 지능형 교환 장비를 경유하여 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받고,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호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상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수신받을 수 있다. 상기 VoIP 단말기는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발신 단말기로서 동작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 단말기는 착신 단말기로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VoIP 단말기는 VoIP 망에 사용되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VoIP는 인터넷을 통해 통화할 수 있는 통신기술로서, 기존부터 사용되고 있는 데이터통신용 패킷 망을 인터넷폰에 이용하는 것이다. 음성 데이터를 인터넷 프로토롤 데이 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일반 전화망에서의 통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통신서비스 기술이다. VoIP 망은 이러한 VoIP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비 및 단말기를 포함하는 통신 망이며, VoIP 망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H.323, SIP, MGCP 및 MEGACO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VoIP 망은 유선망 및 무선망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VoIP 망에서 사용되는 단말기를 VoIP 단말기라고 하고, 상기 VoIP 단말기에는 H.323/SIP 비디오 단말기를 포함하는 유선 단말기 및 SIP/ H.323 비디오 단말기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2G 단말기 및 3G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3G 단말기는 기존의 2G 단말기에 비하여 전송속도가 매우 빨라, 동영상을 주고받을 수 있다. 따라서, 뮤직비디오, 인터넷 방송 및 뉴스 등의 다양한 컬러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나아가 영상통화 서비스가 지원될 수 있다.
상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IAM: Initial address message) 및 호 요청 메시지는 소정의 발신호이며,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착신 단말기에 대한 각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는 ISUP 메시지의 일종으로 호 처리와 경로 설정에 필요한 번호 및 각종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호 요청 메시지는 SIP 메시지의 일종으로 호 처리와 경로 설정에 필요한 번호 및 각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능형 교환 장비는 상기 이동 망을 포함하는 서킷 망과 상기 VoIP 망을 포함하는 패킷 망의 가교 역할을 하는 미디어 게이트웨이들이 호 처리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중심의 지능형 교환 장비로서, 패킷 기반의 IP 서비스 제공 가능성 에 주안점을 두어 서킷-to-패킷 호 처리 변환의 분산 스위칭/제어 플랫폼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킷 망과 패킷 망으로 구분되는 상기 VoIP 망과 상기 이동 망 사이에 영상신호변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S102)에서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단계(S101) 에서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와 연관된 이동 교환기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에 대응하는 LOR(Letter of Request) 메시지를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로 송신하고 상기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상기 LOR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받을 수 있다. 상기 홈 위치 등록기에서, 상기 수신받은 LOR 메시지에 대응하는 PRN(Pseudorandom Noise) 메시지를 상기 이동 교환기로 송신하고 상기 PRN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이동 교환기로부터 수신받을 수 있다. 이러한 메시지 송수신 과정을 통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한 착신번호 확인 및 이동 망 가입 여부 확인 등의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이동 교환기는 이동 망 전체 시스템을 통제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심장부로서, 각 이동전화기지국에서 발, 착신되는 신호를 처리하고, 이동전화기지국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조정하는 중앙통제기능을 할 수 있으며, 상기 홈 위치 등록기는 무선 통신 교환기에서 단말기 정보, 가입 정보, 위치 정보 및 인증 기능 등을 지닌 이동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의 일례일 수 있다.
단계(S102)에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이동 교환기로 송신한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어드레스 완료 메시지를 상기 이동 교환기로부터 수신받을 수 있고, 상기 수신받은 어드레스 완료 메시지를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는 상기 수신받은 어드레스 완료 메시지에 대응하는 180 링잉(Ringing) 메시지를 지능형 교환 장비를 경유하여 상기 VoIP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VoIP 단말기는 상기 180 링잉(Ringing) 메시지에 대응하는 일반 신호음(Local Ring)을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어드레스 완료 메시지, 180 링잉 메시지는 상기 호 요청 메시지 및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일 수 있으며, 상기 어드레스 완료 메시지는 이동 망 내에서, 그리고 상기 180 링잉 메시지는 VoIP 망 내부에서 각각 응답 메시지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는 상기 어드레스 완료 메시지를 수신받고 상기 어드레스 완료 메시지를 180 링잉 메시지로 매핑하여 지능형 교환 장비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180 링잉 메시지를 수신받은 VoIP 단말기에서 구동될 수 있는 상기 일반 신호음은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 상호간에 호가 연결되었다는 것을 상기 발신 단말기로 알려주는 통화 연결음 또는 통화연결영상 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영상 RBT 서버 및 상기 VoIP 단말기 상호간에 통화연결영상 제공을 위한 호를 설정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VoIP 단말기로 통화연결영상을 제공한 후,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VoIP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통화를 위한 호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는 상기 이동 망 및 VoIP 망 상호간에 영상전화에 있어서, 형식이 다른 메시지 상호간에 매핑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채널 할당에 따른 영상통화 서비스 및 영상 사서함 서비스를 위한 영상통화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S103)에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이동 교환기로 송신한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통화불가 사유 발생에 따른 수신 리포트 메시지를 상기 이동 교환기로부터 수신받을 수 있다. 상기 수신 리포트 메시지는 착신 단말기의 역할을 수행하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통화불가 사유가 발생에 따른 통화불가 사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화불가 사유는 착신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상태일 경우, 일정 시간 동안 상기 VoIP 단말기로부터의 호 요청에 응답이 없는 경우, 또는 이미 영상통화 중이어서 착신을 거부하는 경우일 수 있다.
단계(S104)에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수신 리포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통화불가 사유 발생에 따른 영상 사서함 이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사서함 이용 여부의 판단을 위해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수신 리포트 메시지에 대응하는 이유 메시지를 홈 위치 등록기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홈 위치 등록기에서 상기 이유 메시지의 분석으로 상기 통화불가 사유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 결과에 따른 응답 메시지를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응답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통화불가 사유 발생에 따른 영상 사서함 이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사서함 이용 여부 판단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영상 사서함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인지 여부에 대한 판단일 수 있다. 상기 홈 위치 등록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홈 위치 등록기와의 메시지 송수신을 통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가 영상 사서함을 이용하는 단말기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S105)에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판단 결과 영상 사서함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VoIP 단말기 및 영상 사서함 서버 상호간에 영상채널 할당을 위한 호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호 설정에 앞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판단결과 영상 사서함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이동 교환기로 호 해제(REL: Release message)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호 해제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받음으로써,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VoIP 단말기 및 영상 사서함 서버 상호간에 영상채널 할당을 위한 호를 설정하기 위해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영상 사서함 서버로 영상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영상 사서함 서버로부터 어드레스 완료 메시지 및 호 진행 메시지를 수신받고, 영상 게이트웨이로 상기 호 진행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는 상기 호 진행 메시지에 대응하는 183 세션 프로 메시지를 지능형 교환 장비를 경유하여 상기 VoIP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영상 사서함 서버로부터 어드레스 응답 메시지를 수신받고, 상기 어드레스 응답 메시지를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로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는 상기 어드레스 응답 메시지에 대응하는 200 OK 메시지를 상기 상호 중계기를 경유하여 VoIP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송신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받을 수 있다.
상기 호 진행 메시지는 특정한 이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이벤 트 정보는 호 전달 이벤트, 통화연결영상 제공 이벤트, 영상 사서함이용 이벤트 및 번호 이동성 정보 전달 이벤트일 수 있으며, 단계(S105)에 있어서, 상기 호 진행 메시지는 영상 사서함이용 이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는 상기 호 진행 메시지를 183 세션 프로 메시지로 매핑하여 상기 지능형 교환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즉,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는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호 진행 메시지의 이벤트 정보가 영상 사서함 이용 이벤트 정보인 경우 상기 지능형 교환 장치로 상기 183 세션 프로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 상기 183 세션 프로 메시지 송신에 있어서, 이전 18X(180, 181 및 183 포함) 메시지가 NO SDP로 송신된 경우에는 183(SDP)로 송신되며, 이전 18X 메시지가 SDP로 송신된 경우에는 183(NO SDP)로 송신될 수 있다. 상기 SDP는 서킷 망에서 사용될 수 있는 프로토콜의 일례일 수 있다. 상기 200 OK 메시지는 상기 어드레스 응답 메시지에 대응하는 SIP 신호일 수 있다.
단계(S106)에서 상기 VoIP 단말기가 183 세션 프로 메시지를 수신받으면,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VoIP 단말기 및 상기 영상 사서함 서버 상호간에 영상채널을 할당한 후, 영상 사서함 접속 정지메뉴영상을 상기 영상 사서함 서버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VoIP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사서함 서버 및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 상호간에 영상채널 할당은 TDM Stream(H.223 MUX)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 및 상기 VoIP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채널 할당은 IP Stream(RTP/RTCP)을 통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TDM은 시분할 다중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 전송로의 자료 전송 시간 을 일정한 시간 폭으로 나누어서 차례로 분배함으로써 몇 개의 저속의 서브채널이 1 개의 고속 전송선을 나누어 이용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는 실시간으로 음성 및 영상의 통화를 송수신하기 위한 트랜스포트층 통신규약이고, RTCP(Real-time Transport Control Protocol)는 RTP의 QoS를 유지하기 위해 함께 쓰이는 프로토콜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VoIP 단말기에서 이동 단말기로의 영상전화에 따른 영상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호 처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호 처리에 따른 메시지를 살펴보면, INVITE는 호 요청 메시지, IAM(Initial address message)은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 LOR(Letter of Request)은 요청 메시지, PRN(Pseudorandom Noise)는 의사 난수 메시지를 각각 의미할 수 있다. ACM(Address complete Message)은 어드레스 완료 메시지, ANM(Answer Message)은 어드레스 응답 메시지, RR(Receiver Report)은 수신 리포트 메시지, TTRN(Transfer to Number Request)은 호 전환 번호 요구 메시지, CPG(Call Progress)는 호 진행 메시지를 각각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호 처리를 도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영문 표기 형식으로 인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어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각각의 메시지는 일반적인 요청 메시지 및 응답 메시지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VoIP 단말기에서 이동 단말기로의 영상전화에 따른 영상 사서함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호 처리는 202 내지 204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영상 사서함 서비스는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례이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을 위해서 상호 중계기(201)는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동작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2에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VoIP 단말기에서 이동 단말기로의 영상통화를 위하여 VoIP 단말기로부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수신받고, 상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와 연관된 이동 교환기로 송신하며, 상기 이동 교환기로부터 수신받은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영상 게이트웨이로 송신한다.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는 상기 수신된 처기 어드레스 메시지에 대응하는 180 링잉 메시지를 상기 VoIP 단말기로 송신하여 상기 VoIP 단말기 통하여 일반 신호음이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3에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이동 교환기로 송신한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통화불가 사유 발생에 따른 수신 리포트 메시지를 상기 이동 교환기로부터 수신받고, 상기 수신 리포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통화불가 사유 발생에 따른 영상 사서함 이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4에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판단 결과 영상 사서함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VoIP 단말기 및 영상 사서함 서버 상호간에 영상채널 할당을 위한 호를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호 설정에 의하여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VoIP 단말기 및 상기 영상 사서함 서버 상호간에 제1 영상채널을 할당한 후, 영상 사서함 접속 정지메뉴영상을 상기 영상 사서함 서버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VoIP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VoIP 단말기 및 상기 영상 사서함 서버 상호간에 제2 영상채널을 할당한 후, 영상 사서함 접속 안내방송을 상기 영상 사서함 서버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VoIP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에서 VoIP 단말기로의 영상전화에 따른 영상 사서함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계(S301) 내지 단계(S305)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S301) 내지 단계(S305)는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교환 장비는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동작할 수 있다.
단계(S301)에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에서 VoIP 단말기로의 영상통화를 위하여 상기 VoIP 단말기로 호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발신 단말기일 수 있으며, 상기 VoIP 단말기는 착신 단말기일 수 있다. 이동 교환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셋업 메시지에 대응하는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상호 중계기를 경유하여 영상 게이트웨이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셋업 메시지는 착신 단말기로의 호 요청 메시지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수신받은 영상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에 대응하는 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받을 수 있으며, 상기 수신받은 호 요청 메시지를 상기 VoIP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단계(302)에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VoIP 단말기의 통화불가 사유 발생에 따라 상기 호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통화불가 메시지를 상기 VoIP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을 수 있다. 상기 통화불가 메시지는 착신 단말기의 역할을 수행하는 상기 VoIP 단말기에 통화불가 사유가 발생에 따른 통화불가 사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화불가 사유는 착신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상태일 경우, 일정 시간 동안 상기 VoIP 단말기로부터의 호 요청에 응답이 없는 경우, 또는 이미 영상통화 중이어서 착신을 거부하는 경우일 수 있다.
단계(303)에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통화불가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VoIP 단말기가 영상 사서함 이용 단말기 인지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VoIP 단말기가 영상 사서함 이용 단말기 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통화불가 메시지에 포함된 VoIP 단말기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단말기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사서함 이용 단말기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VoIP 단말기가 영상 사서함 이용 단말기 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일례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단말기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VoIP 단말기와 연관된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VoIP 단말기의 영상 사서함 이용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미디어 서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 통화연결영상 제공을 위한 호를 설정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VoIP 단말기에 통화불가 사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로 통화연결영상을 제공한 후,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VoIP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통화를 위한 호를 설정할 수 있다.
단계(304)에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판단 결과 영상 사서함 이용 단말기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 및 영상 사서함 서버 상호간에 영상채널 할당을 위한 호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판단 결과 영상 사서함 이용 단말기인 경우, 상기 영상 사서함 서버로 호 요청 메시지를 송신 하고, 상기 영상 사서함 서 버로부터 상기 호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183 메시지를 수신받고, 상기 수신받은 183 메시지를 영상 게이트웨이로 송신하고, 그리고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는 상기 수신받은 183 메시지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완료 메시지 및 호 진행 메시지를 상호 중계기를 경유하여 이동 교환기로 송신하며, 그리고 상기 이동 교환기는 상기 수신받은 어드레스 완료 메시지에 대응하는 ALERT 메시지 및 상기 수신받은 호 진행 메시지에 대응하는 진행(Progress)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이동 단말기 및 영상 사서함 서버 상호간에 영상채널 할당을 위한 호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호 진행 메시지는 특정한 이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이벤트 정보는 호 전달 이벤트, 통화연결영상 제공 이벤트, 영상 사서함 이용 이벤트 및 번호 이동성 정보 전달 이벤트일 수 있으며, 단계(S304)에 있어서, 상기 호 진행 메시지는 영상 사서함 이용 이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는 상기 183 메시지를 호 진행 메시지로 매핑하여 상기 지능형 교환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즉,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는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183 메시지가 영상 사서함 이용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지능형 교환 장치로 상기 영상 사서함 이용 이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상기 호 진행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한 상기 183 메시지 송신에 있어서, 이전 18X(180, 181 및 183 포함) 메시지가 NO SDP로 송신된 경우에는 183(SDP)로 송신되며, 이전 18X 메시지가 SDP로 송신된 경우에는 183(NO SDP)로 송신될 수 있다. 상 기 SDP는 서킷 망에서 사용될 수 있는 프로토콜의 일례일 수 있다.
단계(304)에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영상 사서함 서버로부터 수신받은 200 OK 메시지를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를 경유하여 상기 상호 중계기로 송신하고, 상기 송신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받고, 그리고 상기 상호 중계기는 상기 이동 교환기로 어드레스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며, 그리고 상기 이동 교환기는 상기 수신받은 어드레스 응답 메시지에 대응하는 연결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송신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받음으로써, 상기 이동 단말기 및 영상 사서함 서버 상호간에 영상채널 할당을 위한 호를 설정할 수 있다.
단계(305)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진행 메시지를 수신받으면,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영상 사서함 서버 상호간에 영상채널을 할당한 후, 영상 사서함 안내메뉴를 상기 영상 사서함 서버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 교환기가 상기 연결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받으면, 상기 비디오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영상 사서함 서버 상호간에 영상채널을 할당한 후, 영상 사서함 메뉴 및 영상 메시지를 상기 영상 사서함 서버 및 이동 단말기 상호간에 송수신할 수 있다.
앞서 도 1을 통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상기 영상 사서함 서버 및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 상호간에 영상채널 할당은 TDM Stream(H.223 MUX)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 및 상기 VoIP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채널 할당은 IP Stream(RTP/RTCP)을 통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단계(305)에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복합 주파수 부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복합 주파수 부호에 따른 시나리오를 수행할 수 있다. 복합 주파수 부호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복합 주파수 부호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키 입력장치를 통한 입력 절차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영상 사서함 메뉴송출 및 영상메시지를 수신받은 이동 단말기는 상기 복합 주파수 부호를 입력하여 상기 영상 사서함 서비스를 이용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영상 사서함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절차를 계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사서함 서비스를 이용한 영상녹화를 위해서 1 번 키 입력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1번 키가 입력되었을 때 영상녹화를 위한 시나리오를 진행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에서 VoIP 단말기로의 영상전화에 따른 영상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호 처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에서 VoIP 단말기로의 영상전화에 따른 영상 사서함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호 처리는 402 내지 404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영상 사서함 서비스는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례이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을 위해서 지능형 교환 장비(401)는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동작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02에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에서 VoIP 단말기로의 영상통화를 위하여 상기 VoIP 단말기로 호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고, 상기 VoIP 단말기의 통화불가 사유 발생에 따라 상기 호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통화불가 메시지를 상기 VoIP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을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03에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통화불가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VoIP 단말기가 영상 사서함 이용 단말기 인지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04에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판단 결과 영상 사서함 이용 단말기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 및 영상 사서함 서버 상호간에 영상채널 할당을 위한 호를 설정하고, 상기 호 설정에 따라 상기 상호 중계기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영상 사서함 서버 상호간에 제1 영상채널을 할당한 후, 영상 사서함 안내메뉴를 상기 영상 사서함 서버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상호 중계기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영상 사서함 서버 상호간에 제1 영상채널을 할당한 후, 영상 사서함 메뉴 및 영상 메시지를 상기 영상 사서함 서버 및 이동 단말기 상호간에 송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복합 주파수 부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복합 주파수 부호에 따른 시나리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VoIP 단말기에서 이동 단말기로의 영상전화에 따른 통화연결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계(S501) 내지 단계(S507)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S501) 내지 단계(S507)는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 교환기는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동작할 수 있다.
단계(S501)에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VoIP 단말기에서 이동 단말기로의 영상통화를 위하여 VoIP 단말기로부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수신받을 수 있다. 상기 VoIP 단말기로부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수신받기 위해서, 지능형 교환 장비는 상기 VoIP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호 요청 메시지를 영상 게이트웨이로 송신하고, 상호 중계기는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가 수신받은 호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수신받으며,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상호 중계기로부터 상기 수신받은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수신받을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 및 호 요청 메시지는 소정의 발신호이며, 상기 발신 단말기 정보 및 착신 단말기에 대한 각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502)에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송수신에 의하여 영상RBT 서버 및 상기 VoIP 단말기 상호간에 통화연결영상 제공을 위한 호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통화연결영상 제공은 영상 링고 서비스 및 컬러링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통화연결영상은 상기 이동 단말기 측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 사용자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통화연결영상은 최근의 사회적으로 폭넓게 이용하고 있는 음성통화에 있어서의 통화연결음과 유사한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단계(S502)에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상기 이동 교환기로 송신하고, 상기 이동 교환기로부터 어드레스 완료 메시지 및 어드레스 응답 메시지를 수신받고, 상기 어드레스 완료 메시지 및 호 진행 메시지를 상기 상호 중계기를 경유하여 영상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며, 그리고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는 상기 어드레스 완료 메시지 및 호 진행 메시지에 대응하는 180 링잉 메시지 및 183 진행 메시지를 지능형 교환 장비를 경유하여 상기 VoIP 단말기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영상RBT 서버 및 상기 VoIP 단말기 상호간에 통화연결영상 제공을 위한 호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호 진행 메시지는 특정한 이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이벤트 정보는 호 전달 이벤트, 통화연결영상 제공 이벤트, 영상 사서함이용 이벤트 및 번호 이동성 정보 전달 이벤트일 수 있으며, 단계(S502)에 있어서, 상기 호 진행 메시지는 통화연결영상 제공 이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는 상기 호 진행 메시지를 183 진행 메시지로 매핑하여 상기 지능형 교환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즉,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는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호 진행 메시지의 이벤트 정보가 통화연결영상 제공 이벤트 정보인 경우 상기 지능형 교환 장치로 상기 183 진행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183 진행 메시지 및 180 링잉 메시지 송신에 있어서, 이전 18X(180, 181 및 183 포함) 메시지가 NO SDP로 송신된 경우에는 183(SDP)로 송신되며, 이전 18X 메시지가 SDP로 송신된 경우에는 183(NO SDP)로 송신될 수 있다. 상기 SDP는 서킷 망에서 사용될 수 있는 프로토콜의 일례일 수 있다. 상기 200 OK 메시지는 상기 어드레스 응답 메시지에 대응하는 SIP 신호일 수 있다.
단계(S503)에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송수신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알러트(Alert)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알러트 메시지는 착신 단말기로 동작할 수 있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게 호 연결을 위한 발신호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S503)에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에 대응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페이징 응답 메시지를 수신받고, 상기 페이징 응답 메시지에 대응하는 셋업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호 확인 메시지를 수신받으며, 상기 호 확인 메시지에 대응하는 알러트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단계(S504)에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통화연결영상 제공을 위한 호 설정에 따라 상기 영상RBT 서버 및 상기 VoIP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채널을 할당하고, 상기 영상RBT 서버로부터 수신받은 통화연결영상을 상기 VoIP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단계(S504)에서 상기 영상RBT 서버 및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 상호간에 영상채널은 TDM Stream(H.223 MUX)을 통하여 할당될 수 있으며,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 및 상기 VoIP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채널은 IP Stream(RTP/RTCP)을 통하여 할당 될 수 있다.
단계(S505)에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알러트(Alert) 메시지를 수신받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연결 메시지를 수신받은 경우 상기 VoIP 단말기 및 상기 영상RBT 서버 상호간에 호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이동 단말기로 호 해제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호 해제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에 따라 착신 단말기로 동작하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VoIP 단말기의 호 요청에 따른 상기 알러트 메시지에 대응한 연결(Connect) 메시지를 수신받은 경우,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통화연결영상의 제공을 중단하기 위해서 상기 영상RBT 서버와의 호를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이동 단말기 사용자가 전화기의 통화 버튼을 눌러 착신을 허용한 경우에 상기 VoIP 단말기로의 통화연결영상의 제공을 중단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단계(S506)에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연결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송수신에 의하여 상기 VoIP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통화를 위한 호를 설정할 수 있다.
단계(S506)에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상호 중계기를 경유하여 영상 게이트웨이로 어드레스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어드레스 응답 메시지에 대응하는 200 OK 메시지를 지능형 교환 장비를 경유하여 상기 VoIP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200 OK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지능형 교환 장비를 경유하여 상기 VoIP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음으로써, 상기 VoIP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통화를 위한 호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진행 메시지에 대한 호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이동 단말기 및 VoIP 단말기 상호간에 호 설정을 완료할 수 있다.
단계(S507)에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영상통화를 위한 호 설정에 따라 상기 VoIP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통화를 개시할 수 있으며,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영상RBT 서버 및 VoIP 단말기 상호간에 할당된 영상채널을 이용하여 영상통화를 개시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 이 상기 이동 망에서의 영상채널은 TDM Stream(H.223 MUX)을 통하여, 상기 VoIP 망에서의 영상채널은 IP Stream(RTP/RTCP)을 통하여 할당 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VoIP 단말기에서 이동 단말기로의 영상전화에 따른 통화연결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호 처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호 처리에 따른 메시지를 살펴보면, REL(Release Message)는 호 해제 메시지, RLC(Radio link control)은 응답 메시지, BYE는 호 해제 메시지, ACK는 응답 메시지, 180 메시지 및 180 Ringing 메시지는 응답 메시지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호 처리를 도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영문 표기 형식으로 인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어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각각의 메시지는 일반적인 요청 메시지 및 응답 메시지를 의미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VoIP 단말기에서 이동 단말기로의 영상전화에 따른 통화연결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호 처리는 602 내지 606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통화연결영상 서비스 제공은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례이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을 위해서 이동 교환기(601)는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동작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602에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VoIP 단말기에서 이동 단말기로의 영상통화를 위하여 VoIP 단말기로부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수신받을 수 있고, 상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송수신에 의하여 영상RBT 서버 및 상기 VoIP 단말기 상호간에 통화연결영상 제공을 위한 호를 설정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603에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은 상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송수신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알러트(Alert)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604에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통화연결영상 제공을 위한 호 설정에 따라 상기 영상RBT 서버 및 상기 VoIP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채널을 할당하고, 상기 영상RBT 서버로부터 수신받은 통화연결영상을 상기 VoIP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605에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알러트(Alert) 메시지를 수신받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연결 메시지를 수신받은 경우 상기 VoIP 단말기 및 상기 영상RBT 서버 상호간에 호를 해제하고, 상기 연결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송수신에 의하여 상기 VoIP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통화를 위한 호를 설정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606에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영상통화를 위한 호 설정에 따라 상기 VoIP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통화를 개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에서 VoIP 단말기로의 영상전화에 따른 통화연결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계(S701) 내지 단계(S708)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S701) 내지 단계(S708)는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교환 장비는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동작할 수 있다.
단계(S701)에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에서 VoIP 단말기로의 영상통화를 위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받을 수 있다. 단계(S701)에서 이동 교환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셋업 메시지를 수신받고, 상기 셋업 메시지에 대응하는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상호 중계기를 경유하여 영상 게이트웨이로 송신하고,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영상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에 대응하는 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받을 수 있다.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는 상기 상호 중계기로부터 수신받은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호 요청 메시지로 매핑하여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송신한다. 상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 및 호 요청 메시지는 소정의 발신호이며,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착신 단말기에 대한 각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는 ISUP 메시지의 일종으로 호 처리와 경로 설정에 필요한 번호 및 각종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는 SIP 메시지의 일종으로 호 처리와 경로 설정에 필요한 번호 및 각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702)에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호 요청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VoIP 단말기가 통화연결영상 제공 서비스 가입 단말기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VoIP 단말기가 통화연결영상 제공 서비스 가입 단말기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호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VoIP 단말기 식별 번호를 추출하고, 상기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통화연결영상 제공 서비스 이용 단말기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VoIP 단말기가 통화연결영상 제 공 서비스 가입 단말기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일례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단말기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VoIP 단말기와 연관된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VoIP 단말기의 통화연결영상 제공 서비스 이용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S703)에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VoIP 단말기가 서비스 가입 단말기인 경우, 상기 호 요청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송수신에 의하여 미디어 서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 통화연결영상 제공을 위한 호를 설정할 수 있다. 단계(S703)에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미디어 서버로 호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호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받고, 상기 응답 메시지에 대응하는 180 메시지 및 183 메시지를 영상 게이트웨이로 송신하고,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는 상기 180 메시지 및 183 메시지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완료 메시지 및 호 진행 메시지를 상호 중계기를 경유하여 이동 교환기로 송신하고, 상기 이동 교환기는 상기 어드레스 완료 메시지 및 호 진행 메시지에 대응하는 알러트(Alert) 메시지 및 진행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183 메시지 및 상기 호 진행 메시지는 특정한 이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이벤트 정보는 호 전달 이벤트, 통화연결영상 제공 이벤트, 영상 사서함이용 이벤트 및 번호 이동성 정보 전달 이벤트일 수 있으며, 단계(S703)에 있어서, 상기 183 메시지 및 호 진행 메시지는 통화연결영상 제공 이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83 메시지 송신에 있어서, 이전 18X(180, 181 및 183 포함) 메시지가 NO SDP로 송신된 경우에는 183(SDP)로 송신되며, 이전 18X 메시지가 SDP로 송신된 경우에는 183(NO SDP)로 송신될 수 있다. 상기 SDP는 서킷 망에서 사용될 수 있는 프로토콜의 일례일 수 있다. 상기 200 OK 메시지는 상기 어드레스 응답 메시지에 대응하는 SIP 신호일 수 있다.
단계(S704)에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VoIP 단말기로 호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통화연결영상 제공 서비스는 상기 이동 단말기 및 VoIP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전화 연결에 있어 부가서비스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이므로, 상기 VoIP 단말기로의 호 요청 메시지 송신은 영상통화를 위한 호 설정에 있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단계(S705)에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통화연결영상 제공을 위한 호 설정에 따라 상기 미디어 서버 및 상기 이동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채널을 할당하고,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받은 통화연결영상을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VoIP 단말기로 호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VoIP 단말기로부터 상기 호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받을 수 있다.
단계(S705)에서 상기 미디어 서버 및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 상호간에 영상채널은 TDM Stream(H.223 MUX)을 통하여 할당 될 수 있으며,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 및 상기 VoIP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채널은 IP Stream(RTP/RTCP)을 통하여 할당될 수 있다.
단계(S706)에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받은 상기 VoIP 단말기로부터 연결 메시지를 수신받은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 및 미디어 서버 상호간에 호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미디어 서버로 호 해제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상기 호 해제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받음으로써, 상기 이동 단말기 및 미디어 서버 상호간에 호를 해제할 수 있다. 즉, 상기 VoIP 단말기 사용자가 전화기의 수화기를 들어 착신을 허용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의 통화연결영상의 제공이 중단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VoIP 단말기가 착신 상태(HOOK OFF)가 된 후에는, 통화연결영상의 제공의 필요성이 없어지기 때문이다.
단계(S707)에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연결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송수신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 및 상기 VoIP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통화를 위한 호를 설정할 수 있다.
단계(S707)에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연결 메시지에 대응하는 업데이트 메시지를 영상 게이트웨이로 송신하고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로부터 제1 응답 메시지를 수신받고, 상기 제1 응답 메시지에 대응하는 제2 응답 메시지를 상기 VoIP 단말기로 송신하고, 그리고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는 상기 업데이트 메시지에 대응하는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상호 중계기를 경유하여 이동 교환기로 송신하고, 그리고 상기 이동 교환기는 상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에 대응하는 커넥트(Connect)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커넥트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받음으로써, 상기 이동 단말기 및 상기 VoIP 단말기 상호간 에 영상통화를 위한 호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VoIP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200 OK 메시지에 대한 호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이동 단말기 및 VoIP 단말기 상호간에 호 설정을 완료할 수 있다.
단계(S708)에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영상통화를 위한 호 설정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 및 상기 VoIP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통화를 개시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망에서의 영상채널은 TDM Stream(H.223 MUX)을 통하여, 상기 VoIP 망에서의 영상채널은 IP Stream(RTP/RTCP)을 통하여 할당 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에서 VoIP 단말기로의 영상전화에 따른 통화연결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호 처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에서 VoIP 단말기로의 영상전화에 따른 통화연결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호 처리는 802 내지 807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통화연결영상 서비스는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례이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을 위해서 지능형 교환 장비(801)는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동작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보조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호 처리가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802에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에서 VoIP 단말기로의 영상통화를 위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받고, 상기 호 요청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VoIP 단말기가 통화연결영 상 제공 서비스 가입 단말기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VoIP 단말기가 서비스 가입 단말기인 경우, 상기 호 요청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송수신에 의하여 미디어 서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 통화연결영상 제공을 위한 호를 설정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803은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하여 상기 VoIP 단말기로 송신된 호 요청 메시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804에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통화연결영상 제공을 위한 호 설정에 따라 상기 미디어 서버 및 상기 이동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채널을 할당하고,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받은 통화연결영상을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805는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VoIP 단말기로부터 연결(200 OK) 메시지를 수신받은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 및 미디어 서버 상호간에 호를 해제하기 위해서 송신한 호 해제 메시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806에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연결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송수신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 및 상기 VoIP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통화를 위한 호를 설정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807에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영상통화를 위한 호 설정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 및 상기 VoIP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통화를 개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900)은 수신부(901), 송신부(902), 판단부(903) 및 호 설정부(90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수신부(901)는 VoIP 단말기에서 이동 단말기로의 영상통화를 위하여 VoIP 단말기로부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수신받거나, 또는 이동 교환기로 송신한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통화불가 사유 발생에 따른 수신 리포트 메시지를 상기 이동 교환기로부터 수신받을 수 있고, 송신부(902)는 상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와 연관된 이동 교환기로 송신할 수 있고, 판단부(903)는 상기 수신 리포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통화불가 사유 발생에 따른 영상 사서함 이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호 설정부(904)는 상기 판단 결과 영상 사서함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VoIP 단말기 및 영상 사서함 서버 상호간에 영상채널 할당을 위한 호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900)은 이동 단말기에서 VoIP 단말기로의 영상통화를 위하여 상기 VoIP 단말기로 호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부(901), 상기 VoIP 단말기의 통화불가 사유 발생에 따라 상기 호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통화불가 메시지를 상기 VoIP 단말기로부터 수신받는 수신부(902), 상기 통화불가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VoIP 단말기가 영상 사서함 이용 단말기 인지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903) 및 상기 판단 결과 영상 사서함 이용 단말기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 및 영상 사서함 서버 상호간에 영상채널 할당을 위한 호를 설정하는 호 설정부(90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 템(1000)은 수신부(1001), 통화연결영상 제공을 위한 호 설정부(1002), 송신부(1003), 호 해제부(1004) 및 영상통화를 위한 호 설정부(100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라, 수신부(1001)는 VoIP 단말기에서 이동 단말기로의 영상통화를 위하여 VoIP 단말기로부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수신받을 수 있고, 통화연결영상 제공을 위한 호 설정부(1002)는 상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송수신에 의하여 영상RBT 서버 및 상기 VoIP 단말기 상호간에 통화연결영상 제공을 위한 호를 설정할 수 있고, 송신부(1003)는 상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송수신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알러트(Alert)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고, 호 해제부(1004)는 상기 알러트(Alert) 메시지를 수신받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연결 메시지를 수신받은 경우 상기 VoIP 단말기 및 상기 영상RBT 서버 상호간에 호를 해제할 수 있고, 영상통화를 위한 호 설정부(1005)는 상기 연결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송수신에 의하여 상기 VoIP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통화를 위한 호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은 상기 통화연결영상 제공을 위한 호 설정에 따라 상기 영상RBT 서버 및 상기 VoIP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채널을 할당하고, 상기 영상RBT 서버로부터 수신받은 통화연결영상을 상기 VoIP 단말기로 송신하는 통화연결영상 송신부 및 상기 영상통화를 위한 호 설정에 따라 상기 VoIP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통화를 개시하는 영상통화 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1100)은 수신부(1101), 판단부(1102), 통화연결영상 제공을 위한 호 설정부(1103), 송신부(1104), 호 해제부(1105) 및 영상통화를 위한 호 설정부(110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라, 수신부(1101)는 이동 단말기에서 VoIP 단말기로의 영상통화를 위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받을 수 있고, 판단부(1102)는 상기 호 요청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VoIP 단말기가 통화연결영상 제공 서비스 가입 단말기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통화연결영상 제공을 위한 호 설정부(1103)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VoIP 단말기가 서비스 가입 단말기인 경우, 상기 호 요청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송수신에 의하여 미디어 서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 통화연결영상 제공을 위한 호를 설정할 수 있고, 송신부(1104)는 상기 VoIP 단말기로 호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고, 호 해제부(1105)는 상기 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받은 상기 VoIP 단말기로부터 연결 메시지를 수신받은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 및 미디어 서버 상호간에 호를 해제할 수 있고, 영상통화를 위한 호 설정부(1106)는 상기 연결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송수신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 및 상기 VoIP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통화를 위한 호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라,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1100)은 상기 통화연결영상 제공을 위한 호 설정에 따라 상기 미디어 서버 및 상기 이동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채널을 할당하고,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받은 통화연결영 상을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통화연결영상 송신부 및 상기 영상통화를 위한 호 설정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 및 상기 VoIP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통화를 개시하는 영상통화 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서로 망을 달리하는 이동 단말기 및 VoIP 단말기 상호간에 통화불능사유 발생에 있어서, 영상 사서함 서버와의 호 설정에 의한 영상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영상통화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고, 서비스 이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상기 영상 사서함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영상통화 및 영상 사서함 서비스 이용에 따른 적절한 호 설정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앞으로 다양한 서비스 연동에 있어서의 기본 모델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상기 이동 단말기 및 VoIP 단말기 상호간에 통화연결영상 서비스의 제공함으로써, 음성 기반의 통신기술에 있어서 필수의 역할을 담당하던 통화연결음과 비교하여 상당히 발전되고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더욱 강력한 미디어 광고효과 역시 기대할 수 있다.

Claims (34)

  1. 수신부에서, VoIP 단말기에서 이동 단말기로의 영상통화를 위하여 VoIP 단말기로부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수신받는 단계;
    송신부에서, 상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와 연관된 이동 교환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부에서, 상기 이동 교환기로 송신한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통화불가 사유 발생에 따른 수신 리포트 메시지를 상기 이동 교환기로부터 수신받는 단계;
    판단부에서, 상기 수신 리포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통화불가 사유 발생에 따른 영상 사서함 이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호 설정부에서, 상기 판단 결과 영상 사서함을 이용하는 경우, 영상 사서함 서버로 영상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영상 사서함 서버로부터 호 진행 메시지를 수신받는 단계;
    상기 호 설정부에서, 상기 호 진행 메시지를 영상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는, 상기 호 진행 메시지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VoIP 단말기 및 상기 영상 사서함 서버 상호간에 제1 영상채널을 할당한 후, 상기 제1 영상채널을 통해 상기 영상 사서함 서버로부터 수신받은 영상 사서함 접속 정지메뉴영상을 상기 VoIP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VoIP 단말기 및 상기 영상 사서함 서버 상호간에 제2 영상채널을 할당한 후, 상기 제2 영상채널을 통해 상기 영상 사서함 서버로부터 수신받은 영상 사서함 접속 안내방송을 상기 VoIP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와 상기 영상 사서함 서버와의 상기 제1 영상채널 및 상기 제2 영상채널의 할당은 이동 망 프로토콜을 통해 수행되고,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와 상기 VoIP 단말기 상호간의 상기 제1 영상채널 및 상기 제2 영상채널의 할당은 VoIP 망 프로토콜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VoIP 단말기에서 이동 단말기로의 영상통화를 위하여 VoIP 단말기로부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수신받는 상기 단계는,
    영상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VoIP 단말기로부터 지능형 교환 장비를 경유하여 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받는 단계; 및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호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상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수신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에서, 상기 이동 교환기로 송신한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어드레스 완료 메시지를 상기 이동 교환기로부터 수신받는 단계;
    상기 수신부에서, 상기 수신받은 어드레스 완료 메시지를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수신받은 어드레스 완료 메시지에 대응하는 180 링잉(Ringing) 메시지를 지능형 교환 장비를 경유하여 상기 VoIP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VoIP 단말기에서, 상기 180 링잉(Ringing) 메시지에 대응하는 일반 신호음(Local Ring)을 구동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수신 리포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통화불가 사유 발생에 따른 영상 사서함 이용 여부를 판단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수신 리포트 메시지에 대응하는 이유 메시지를 홈 위치 등록기로 송신 하는 단계;
    상기 홈 위치 등록기에서, 상기 이유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통화불가 사유를 처리하는 단계;
    상기 처리 결과에 따른 응답 메시지를 상기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수신받는 단계; 및
    상기 응답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통화불가 사유 발생에 따른 영상 사서함 이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신호음은, 통화연결영상이고,
    상기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호 설정부에서, 영상 RBT 서버 및 상기 VoIP 단말기 상호간에 상기 통화연결영상 제공을 위한 호를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호 설정부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 알러트(Alert)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호 설정부에서, 상기 알러트(Alert) 메시지를 수신받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연결 메시지를 수신받은 경우 상기 VoIP 단말기 및 상기 영상RBT 서버 상호간에 호를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호 설정부에서, 상기 연결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송수신에 의하여 상기 VoIP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통화를 위한 호를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7. 송신부에서, 이동 단말기에서 VoIP 단말기로의 영상통화를 위하여 상기 VoIP 단말기로 호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수신부에서, 상기 VoIP 단말기의 통화불가 사유 발생에 따라 상기 호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통화불가 메시지를 상기 VoIP 단말기로부터 수신받는 단계;
    판단부에서, 상기 통화불가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VoIP 단말기가 영상 사서함 이용 단말기 인지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호 설정부에서, 상기 판단 결과 영상 사서함 이용 단말기인 경우, 상기 영상 사서함 서버로 호 요청 메시지를 송신 하고, 상기 영상 사서함 서버로부터 상기 호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183 메시지를 수신받는 단계;
    상기 호 설정부에서, 상기 수신받은 183 메시지를 영상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는 상기 183 메시지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영상 사서함 서버 상호간에 제1 영상채널을 할당한 후, 상기 제1 영상채널을 통해 상기 영상 사서함 서버로부터 수신받은 영상 사서함 안내메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영상 사서함 서버 상호간에 제2 영상채널을 할당한 후, 상기 제2 영상채널을 통해 상기 영상 사서함 서버로부터 수신받은 영상 사서함 메뉴 및 영상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와 상기 영상 사서함 서버와의 상기 제1 영상채널 및 상기 제2 영상채널의 할당은 이동 망 프로토콜을 통해 수행되고,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와 상기 VoIP 단말기 상호간의 상기 제1 영상채널 및 상기 제2 영상채널의 할당은 VoIP 망 프로토콜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에서 VoIP 단말기로의 호 설정에 따라 상기 VoIP 단말기로 호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상기 단계는,
    이동 교환기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셋업 메시지에 대응하는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상호 중계기를 경유하여 영상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에 대응하는 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받는 단계; 및
    상기 수신받은 호 요청 메시지를 상기 VoIP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통화불가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VoIP 단말기가 영상 사서함 이용 단말기 인지여부를 판단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통화불가 메시지에 포함된 VoIP 단말기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단말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VoIP 단말기가 영상 사서함 이용 단말기 인지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호 설정부에서, 미디어 서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 통화연결영상 제공을 위한 호를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호 설정부에서, 상기 VoIP 단말기로 호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호 설정부에서, 상기 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받은 상기 VoIP 단말기로부터 연결 메시지를 수신받은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 및 미디어 서버 상호간에 호를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호 설정부에서, 상기 연결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송수신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 및 상기 VoIP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통화를 위한 호를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9. VoIP 단말기에서 이동 단말기로의 영상통화를 위하여 VoIP 단말기로부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수신받고, 이동 교환기로 송신한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통화불가 사유 발생에 따른 수신 리포트 메시지를 상기 이동 교환기로부터 수신받는 수신부;
    상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와 연관된 이동 교환기로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수신 리포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통화불가 사유 발생에 따른 영상 사서함 이용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 영상 사서함을 이용하는 경우, 영상 사서함 서버로 영상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영상 사서함 서버로부터 호 진행 메시지를 수신받고,
    상기 호 설정부에서, 상기 호 진행 메시지를 영상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는 호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는, 상기 호 진행 메시지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VoIP 단말기 및 상기 영상 사서함 서버 상호간에 제1 영상채널을 할당한 후, 상기 제1 영상채널을 통해 상기 영상 사서함 서버로부터 수신받은 영상 사서함 접속 정지메뉴영상을 상기 VoIP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VoIP 단말기 및 상기 영상 사서함 서버 상호간에 제2 영상채널을 할당한 후, 상기 제2 영상채널을 통해 상기 영상 사서함 서버로부터 수신받은 영상 사서함 접속 안내방송을 상기 VoIP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와 상기 영상 사서함 서버와의 상기 제1 영상채널 및 상기 제2 영상채널의 할당은 이동 망 프로토콜을 통해 수행되고,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와 상기 VoIP 단말기 상호간의 상기 제1 영상채널 및 상기 제2 영상채널의 할당은 VoIP 망 프로토콜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이동 교환기로 송신한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어드레스 완료 메시지를 상기 이동 교환기로부터 수신받고, 상기 수신부에서, 상기 수신받은 어드레스 완료 메시지를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로 송신하고,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는, 상기 수신받은 어드레스 완료 메시지에 대응하는 180 링잉(Ringing) 메시지를 지능형 교환 장비를 경유하여 상기 VoIP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VoIP 단말기는 상기 180 링잉(Ringing) 메시지에 대응하는 일반 신호음(Local Ring)을 구동하고,
    상기 일반 신호음은, 통화연결영상이고,
    상기 호 설정부는, 영상 RBT 서버 및 상기 VoIP 단말기 상호간에 상기 통화연결영상 제공을 위한 호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호 설정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 알러트(Alert)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알러트(Alert) 메시지를 수신받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연결 메시지를 수신받은 경우 상기 VoIP 단말기 및 상기 영상RBT 서버 상호간에 호를 해제하고, 상기 연결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송수신에 의하여 상기 VoIP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통화를 위한 호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32. 이동 단말기에서 VoIP 단말기로의 영상통화를 위하여 상기 VoIP 단말기로 호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VoIP 단말기의 통화불가 사유 발생에 따라 상기 호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통화불가 메시지를 상기 VoIP 단말기로부터 수신받는 수신부;
    상기 통화불가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VoIP 단말기가 영상 사서함 이용 단말기 인지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 결과 영상 사서함 이용 단말기인 경우, 상기 영상 사서함 서버로 호 요청 메시지를 송신 하고, 상기 영상 사서함 서버로부터 상기 호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183 메시지를 수신받고,
    상기 수신받은 183 메시지를 영상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는 호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는 상기 183 메시지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영상 사서함 서버 상호간에 제1 영상채널을 할당한 후, 상기 제1 영상채널을 통해 상기 영상 사서함 서버로부터 수신받은 영상 사서함 안내메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영상 사서함 서버 상호간에 제2 영상채널을 할당한 후, 상기 제2 영상채널을 통해 상기 영상 사서함 서버로부터 수신받은 영상 사서함 메뉴 및 영상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와 상기 영상 사서함 서버와의 상기 제1 영상채널 및 상기 제2 영상채널의 할당은 이동 망 프로토콜을 통해 수행되고, 상기 영상 게이트웨이와 상기 VoIP 단말기 상호간의 상기 제1 영상채널 및 상기 제2 영상채널의 할당은 VoIP 망 프로토콜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호 설정부는, 미디어 서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 통화연결영상 제공을 위한 호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호 설정부는,
    상기 VoIP 단말기로 호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받은 상기 VoIP 단말기로부터 연결 메시지를 수신받은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 및 미디어 서버 상호간에 호를 해제하고, 상기 연결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송수신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 및 상기 VoIP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통화를 위한 호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070054688A 2007-06-04 2007-06-04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888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688A KR100888157B1 (ko) 2007-06-04 2007-06-04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688A KR100888157B1 (ko) 2007-06-04 2007-06-04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6810A KR20080106810A (ko) 2008-12-09
KR100888157B1 true KR100888157B1 (ko) 2009-03-10

Family

ID=40367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4688A KR100888157B1 (ko) 2007-06-04 2007-06-04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815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0231A (ko) * 2003-10-28 2005-05-03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사용자 이동성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사서함의 서비스제공방법
KR20050080156A (ko) * 2005-07-19 2005-08-11 (주) 뮤링 인터넷 전화상의 멀티미디어 연결대기음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0231A (ko) * 2003-10-28 2005-05-03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사용자 이동성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사서함의 서비스제공방법
KR20050080156A (ko) * 2005-07-19 2005-08-11 (주) 뮤링 인터넷 전화상의 멀티미디어 연결대기음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6810A (ko) 2008-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92489B (zh) 用于电路交换子系统呼叫的多媒体子系统业务控制
US7664103B2 (en) Method for providing VoIP services for wireless terminals
EP1325618B1 (en) Method for transmission of voice over wireless packet-switched networks
CN101084659B (zh) 用于为移动订户提供专有语音呼叫服务的方法和系统以及用于其的无线软切换设备
US7822004B2 (en) Data transmission line establishing system between mobile telephone terminals
JP5450444B2 (ja) マルチメディア通話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20040086589A (ko) 네트워크 자원들의 최적화에 의해 최종 사용자로부터의요청시에 회의 오퍼레이션들을 위한 고속 네트워크sip/sdp 절차들
US200803169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INTERWORKING CDMA 3G1x MOBILES AND EVDO MOBILES WITH AN IMS CORE NETWORK
JP2007028618A (ja) IPマルチメディアサブシステム基盤のVoIPサービス提供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7170879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working an ANSI type radio access network in the internet protocol based core network
RU2332804C2 (ru) Обработка начальных мультимедийных данных ii
JP2008244853A (ja) 通信制御装置およびプロトコル変換方法
CN102469425A (zh) 一种实现一号通业务的方法、装置及系统
WO2005006650A1 (en) Method and nodes for conference communication
KR100888157B1 (ko) 영상전화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3428781B (zh) 一种ip语音通话切换的方法及系统、用户设备
KR100923390B1 (ko) VoIP망과 WCDMA망 사이의 연동 방법
KR100922720B1 (ko) 유/무선 영상전화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809398B1 (ko) 멀티프로토콜을 지원하는 VoIP에서의 SMS 전송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880144B1 (ko)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연동을 이용한 유/무선 영상전화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0906952B1 (ko) 착신 단말기 영상능력 미지원에 따른 재 라우팅 방법 및시스템
JP2004173051A (ja) VoIPパケット情報蓄積システム
WO2007041963A1 (fr) Procédé permettant d’établir, d’optimiser un chemin support et appareil idoine
KR100493100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인터넷기반 음성서비스 제공 장치 및방법
KR100425510B1 (ko) 반이중 방식의 패킷 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