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156B1 - 작업복 상의 - Google Patents

작업복 상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156B1
KR101940156B1 KR1020170112628A KR20170112628A KR101940156B1 KR 101940156 B1 KR101940156 B1 KR 101940156B1 KR 1020170112628 A KR1020170112628 A KR 1020170112628A KR 20170112628 A KR20170112628 A KR 20170112628A KR 101940156 B1 KR101940156 B1 KR 101940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clothes
present
work
support band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2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석
Original Assignee
김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석 filed Critical 김정석
Priority to KR1020170112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1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2Professional or protective garments with pockets for particular uses, e.g. game pockets or with holding means for too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2J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10Bel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8Carrying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2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working acti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복 상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소형공구 등을 작업복 상의 자체에 휴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형공구 등의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하고, 범용성과 경제성 등도 얻을 수 있는 작업복 상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평상의 작업복 상의와; 상기 상의의 하단 내면에 부착되는 지지밴드와; 상기 지지밴드에 고정되고, 걸이부가 작업복 상의 표면에 노출되는 걸이유닛과; 상기 걸이유닛의 걸이부에 걸리는 여러 개의 고리가 배면에 부착된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걸이유닛은 양측의 침 형상 고정편을 상기 상의 및 지지밴드를 관통시킨 후 고정편 끝을 절곡함으로써 장착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작업복 상의{Work clothes}
본 발명은 작업복의 고유기능은 유지하면서도 드라이브, 펜치 등과 같은 각종 수 공구 및 소형공구(이하 '소형공구'로 통칭 함) 또는 공구집 등을 필요에 따라 아무런 제약 없이 임의로 휴대할 수 있는 작업복 상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복 상의는 건설현장이나 기계설치 현장 등과 같은 산업현장에서 작업자가 착용하는 것으로서, 통상 전면 양 가슴 부분에 작은 주머니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작업복 상의를 착용하는 작업자들은 대부분 소형공구 등을 수시로 사용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소형공구 등을 휴대하여야만 작업의 편의성과 신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를 위해(소형공구의 휴대를 위해) 현재에는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소형공구를 휴대하고 있다. 첫 번째는 소형공구를 걸 수 있는 허리벨트 방식이 있고, 두 번째는 방식은 착용한 작업복 상의 위에 소형공구를 걸 수 있는 조끼형 벨트 방식이 있다.
그런데 위의 방식 중 허리벨트 방식은 작업자의 허리에서 허리벨트가 흘러내리는 문제와 함께 소형공구를 인출하고 넣은 과정에서 소형공구가 작업복 상의 하단에 걸리는 등의 문제 등이 있었고, 조끼형 벨트 방식은 작업자의 자유로운 활동에 제약을 주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음은 물론 작업자의 상반신에 무게감을 부여하기 때문에 작업자들이 그 사용을 기피하고 있다. 그리고 위 두 방식은 모두 작업복 상의와 별개로 착용하는 것이어서 취급이 불편하고, 또 작업자의 인원만큼 구매하여야 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도 부담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작업복 상의의 가슴 쪽에 소형공구를 휴대할 수 있는 작업복 상의가 등록실용신안 제0443637호 또는 작업복 상의 전체에 걸쳐 소형공구를 휴대할 수 있는 등록실용신안 제0437793호가 제안되어있긴 하나, 위 전자의 등록실용신안인 경우는 소형공구(아주 작은 공구) 또는 볼트 등만을 휴대할 수 있는 문제가 있고, 후자의 등록실용신안 경우는 위에서 설명한 조끼형 벨트를 작업복 상의에 부착한 것이어서 이 역시 조끼형 벨트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모두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복 상의의 원가를 상승시켜서 경제적으로도 큰 이점이 없는 단점이 있다.
(KR)특허등록 제1662948호 (KR)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11-006922호 (KR)등록실용신안 제0443637호 (KR)등록실용신안 제0437793호
본 발명은 소형공구를 휴대할 수 있는 종래의 벨트 및 작업복 상의에서 나타나는 문제 및 단점을 한꺼번에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만으로도 소형공구를 휴대할 수 있는 작업복 상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하고자 하는 소형공구의 수시교환이 용이하면서도 경제성도 확보되는 작업복 상의를 제공함에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작업복 상의는, 평상의 작업복 상의와; 상기 상의의 하단 내면에 부착되는 지지밴드와; 상기 지지밴드에 고정되고, 걸이부가 작업복 상의 표면에 노출되는 걸이유닛과; 상기 걸이유닛의 걸이부에 걸리는 여러 개의 고리가 배면에 부착된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걸이유닛은 양측의 침 형상 고정편을 상기 상의 및 지지밴드를 관통시킨 후 고정편 끝을 절곡함으로써 장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작업복 상의 둘레로 돌출고정되는 걸이유닛의 걸이부 또는 상기 걸이부에 걸리는 벨트를 통하여 소형공구 또는 기성의 공구집 등을 작업복 상의 자체에 휴대할 수 있어 소형공구 등의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고, 이러한 효과는 작업의 연속성 등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작업의 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동반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작업복 외에 소형공구 등을 휴대하는 허리벨트 등을 별도로 비치하지 않아도 되고, 또 평상의 작업복으로도 사용 가능하여 범용성과 경제성 등이 있으며, 제작의 편의성이 있어 위와 같은 효과를 모두 갖춘 작업복 상의를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작업복 상의 배면 예시도
도 2의 (가)는 본 발명의 걸이유닛 사시도
(나)는 (가)의 걸이유닛이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도
도 4는 공구집 및 공구걸이에 도 3의 벨트가 끼워진 상태 예시도
도 5는 도 4의 공구집 등이 본 발명의 작업복 상의에 걸린 상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작업복 상의(10)는, 긴 팔형, 반 팔형 또는 조끼형 작업복 상의(10) 등을 포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복 상의(10)는, 하단 내면에 지지밴드(20)가 재봉 또는 그 밖의 방식으로 부착되는데, 그 위치는 상의(10)의 후면 양쪽이 바람직하지만, 상의(10)의 하단 내면 둘레 전체에 부착되어도 된다.
상기 작업복 상의(10) 하단 표면에는 걸이유닛(30)의 걸이부(31)가 돌출되는 형태로 고정된다. 상기 걸이부(31)의 돌출 고정은 걸이유닛(30) 양측의 침 형상 고정편(32)을 상의(10)와 상의(10) 내면의 지지밴드(20)를 관통시킨 후 고정편(32) 끝을 절곡하면 달성된다. 상기 걸이유닛(30)은 두 개 이상이어야 하고, 걸이유닛(30)의 걸이부(31) 형상은 여러 형태가 있겠지만 평면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 형태가 이상적이다. 그리고 상기 걸이유닛(30)은 지지밴드(20)가 작업복 상의(10) 양쪽에 부착할 경우에는 각 지지밴드에 고정되고, 지지밴드를 상의(10) 내면 둘레 전체 혹은 절반 정도 부착할 경우에는 등 간격으로 돌출 고정하면 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작업복 상의(10)의 하단 둘레에 여러 개 돌출고정되는 걸이유닛(30)의 걸이부(31)를 이용하여 각종 소형공구나 공구집(50) 등을 걸어 휴대할 수 있으므로 작업복 상의(10)를 착용하는 것만으로도 소형공구 등을 휴대할 수 있는 작용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작업복 상의(10) 하단 둘레에 대한 상기 걸이부(31)의 돌출고정을 상의(10) 내면에 부착되는 지지밴드(20)를 통해 실현하기 때문에 상기 걸이부(31)에 소형공구 등을 걸더라도 상의(10)가 찢어지는 등의 염려가 없음은 물론 소형공구 등의 걸림 상태도 안정적이면서 견고하게 유지되는 작용도 있다.
또 상기 걸이유닛(30)의 걸이부(31)는 소형공구 등을 걸 수 있으면 그 작용이 만족되는 것이어서 작업복 상의(10) 표면에서 상기 걸이유닛(30)의 걸이부(31)를 조금만 돌출시켜도 소형공구 등을 휴대하는데 아무런 지장이 없으므로 본 발명의 작업복 상의(10)를 평상의(10) 작업복 상의(10)(소형공구 등을 휴대하지 않을 때)로 사용함에 있어 불편이 없는 작용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걸이유닛(30) 양측에 침 형상의(10) 고정편(32)을 작업복 상의(10)와 지지밴드(20)를 동시에 관통시켜 고정편(32) 끝을 절곡하면 걸이유닛(30)의 장착을 완료할 수 있으므로 걸이유닛(30)의 장착작업을 능률적이면서 신속하게 할 수 있음과 함께 견고성도 담보되는 작용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도면에는 지지밴드(20)를 작업복 상의(10)의 후면 양쪽으로 도시하고는 있으나, 거기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밴드(20)를 작업복 상의(20) 내면 둘레 혹은 절반정도 부착한 다음 여러 개의 걸이유닛(30)을 등 간격 장착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복 상의(10) 하단 전체에 긴장감을 부여할 수 있어 소형공구 등을 더욱 안정적으로 휴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소형공구 등을 인출하거나 넣을 때 소형공구 등이 상의(10)에 걸리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걸이유닛(30)의 걸이부(31)에 별도의 벨트(40)를 더 구비하여 벨트(40)의 배면 상단에 형성된 다 수개의 고리(41)를 걸이유닛(30)의 걸이부(31)에 걸어 상기 벨트(40)를 작업복 상의(10) 하단에 고정 시킬 수 있다. 이렇게 벨트(40)를 고정하는 것은 이면에 벨트홈(51)(61)을 가진 기성의 공구집(50)이나 공구걸이(60) 등을 휴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인데, 상기 공구집(50)을 휴대하고자 할 때에는 벨트(40)를 작업복 상의(10)에서 분리한 다음 공구집(50) 등의 이면에 형성되는 벨트홈(51)(61)에 끼우고, 이어서 벨트(40)의 고리(41)를 걸이유닛(30)의 걸이부(31)에 걸면 된다(도 4, 5 참조).
상기와 같이 벨트(40)를 더 구비함으로써 본 발명은 작업복 상의(10) 하나로 현재 시판되고 있는 기성의 공구집(50) 등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개의 소형공구 휴대에 대한 용이성 등을 얻을 수 있는 작용도 있다. 더불어 상기 벨트(40)는 종래의 허리벨트와 달리 작업자 허리에 착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종래 허리벨트의 기능은 발휘하면서도 작업자 허리에 압박을 주거나 혹은 흘러내리는 등의 문제를 유발시키지 않는 작용이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인력이 많이 필요한 건설현장이나 산업현장에서 본 발명만 구매하면 소형공구 등의 휴대를 위한 자재를 갖춘 것과 동일하게 되므로 기능적 및 경제적인 측면에서 볼 때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상당하다.
10 : 작업봇 상의 20 : 지지밴드
30 : 걸이유닛 31 : 걸이부
32 : 고정편 40 : 벨트
41 : 고리 50 : 공구집
60 : 공구걸이 51, 61 : 벨트홈

Claims (2)

  1. 평상의 작업복 상의(10)와;
    상기 상의(10)의 하단 내면에 부착되는 지지밴드(20)와;
    상기 지지밴드에 고정되고, 걸이부(31)가 작업복 상의(10) 표면에 노출되는 걸이유닛(30)과;
    상기 걸이유닛(30)의 걸이부(31)에 걸리는 여러 개의 고리(41)가 배면에 부착된 벨트(4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걸이유닛(30)은 양측의 침 형상 고정편(32)을 상기 상의(10) 및 지지밴드(20)를 관통시킨 후 고정편(32) 끝을 절곡함으로써 장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복 상의.
  2. 삭제
KR1020170112628A 2017-09-04 2017-09-04 작업복 상의 KR101940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628A KR101940156B1 (ko) 2017-09-04 2017-09-04 작업복 상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628A KR101940156B1 (ko) 2017-09-04 2017-09-04 작업복 상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0156B1 true KR101940156B1 (ko) 2019-01-18

Family

ID=65323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2628A KR101940156B1 (ko) 2017-09-04 2017-09-04 작업복 상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15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5388U (ko) * 1993-08-30 1995-03-20 양재봉 자석부착대를 매직테이프로 부착한 상의
KR200437793Y1 (ko) 2007-02-14 2008-01-02 선산토건주식회사 안전띠가 일체화된 작업복
KR200443637Y1 (ko) 2007-05-07 2009-03-09 이하영 수공구 및 부속 부착구가 구비된 작업복
JP2010047878A (ja) * 2008-08-23 2010-03-04 Atsushi Wakabayashi 作業用ベスト
KR20110006922A (ko) 2009-07-15 2011-01-21 강철구 작업 공구 수납대 결착 벨트
KR20110042771A (ko) * 2009-10-20 2011-04-27 엄창흠 안전벨트옷
KR20130143404A (ko) * 2012-06-21 2013-12-31 조남욱 공구안전걸이
KR101662948B1 (ko) 2015-04-01 2016-10-06 주식회사 가야라이프 공구 착용 벨트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5388U (ko) * 1993-08-30 1995-03-20 양재봉 자석부착대를 매직테이프로 부착한 상의
KR200437793Y1 (ko) 2007-02-14 2008-01-02 선산토건주식회사 안전띠가 일체화된 작업복
KR200443637Y1 (ko) 2007-05-07 2009-03-09 이하영 수공구 및 부속 부착구가 구비된 작업복
JP2010047878A (ja) * 2008-08-23 2010-03-04 Atsushi Wakabayashi 作業用ベスト
KR20110006922A (ko) 2009-07-15 2011-01-21 강철구 작업 공구 수납대 결착 벨트
KR20110042771A (ko) * 2009-10-20 2011-04-27 엄창흠 안전벨트옷
KR20130143404A (ko) * 2012-06-21 2013-12-31 조남욱 공구안전걸이
KR101662948B1 (ko) 2015-04-01 2016-10-06 주식회사 가야라이프 공구 착용 벨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1930B2 (en) Cord holding garment
US9343214B2 (en) Magnetic article holder
GB2185675A (en) A device for detachably connecting objects to an article of clothing
KR20130092975A (ko) 의복 및 브래지어 액세서리
US8291515B2 (en) Shirt stay fasten point designed shirt and method of securing same
US20080083803A1 (en) Belt supported glove and tool holder
US20160058137A1 (en) Eyeglass holder
US20170006926A1 (en) Garment with embellished back strap
KR101940156B1 (ko) 작업복 상의
EP1586249A2 (en) Button decoration clip
US7945969B1 (en) Cord holding garment
US20070163029A1 (en) Carpenter pants
US2749000A (en) Clothes pin holder
JP3219871U (ja) 作業用上衣
CN210870143U (zh) 一种便于快速缝合的拉链
JP3220105U (ja) 腰ベルト用装着治具及び腰袋
JP2018024951A (ja) 作業用衣服
JP3060025U (ja) ガーデニングパンツ
JP3205026U (ja) シャツ
CN212578616U (zh) 一种佩戴式小型陪跑机器人
JP3200026U (ja) 作業用エプロン
KR100816569B1 (ko) 셔츠 마무리기 및 인체모형 장착용 커버
JPH0959813A (ja) ズボンのずり落ち防止装置
JP3062510U (ja) 短丈上着における捲れた裾の戻し具
JP2012019969A (ja) 半袖の上着仕上げ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