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9986B1 - 화물차량의 승하강식 적재함 - Google Patents

화물차량의 승하강식 적재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9986B1
KR101939986B1 KR1020180150417A KR20180150417A KR101939986B1 KR 101939986 B1 KR101939986 B1 KR 101939986B1 KR 1020180150417 A KR1020180150417 A KR 1020180150417A KR 20180150417 A KR20180150417 A KR 20180150417A KR 101939986 B1 KR101939986 B1 KR 101939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ousing
loading
supporting
low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기탁
Original Assignee
(주)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웰텍 filed Critical (주)웰텍
Priority to KR1020180150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9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parallel up-and-down movement of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rollers in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건을 적재할 수 있도록 적재공간을 형성하는 하부함체와 상부함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함체가 하부함체의 외부를 위로 부터 덮을 수 있도록 형성하되, 상기 하부함체의 전방과 후방에 형성된 다수개의 레일과, 상기 각 레일에 승하강 가능토록 삽입되는 승하강대와, 상기 승하강대 중 전방 승하강대의 하단 측면에 결합되는 승하강구와, 상기 승하강구의 하단에 형성되는 와이어연결부와, 상기 승하강구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나선축과, 상기 나선축을 상하에서 지지하는 한 쌍의 축지지구와, 상기 나선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부와, 회전구동부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모터와, 상기 와이어연결부에 일측이 결합되어 승하강구가 상승하면 견인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지지로울러와, 상기 지지로울러를 지지하기 위해 하부함체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되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상기 와이어는 각 지지로울러에 의해 지탱되어 후방 승하강대의 하단에 와이어의 타측이 결합되도록 하여 승하강구의 상승시 후방 승하강대도 상승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화물차량의 승하강식 적재함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로는 트럭의 적재함을 상부함체가 하부함체로 나누어 형성하여 상부함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되, 유압이 아닌 나선스크류와 와이어를 이용해 단순한 구조로 제작가능하게 함으로써 제작비용의 절감은 물론, 차체를 최대한 가볍게 할 수 있고, 적재공간의 효율적인 조절과 적재함의 효율적인 높낮이 조절로 인해 현저한 연료 절감 및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화물차량의 승하강식 적재함{Loading box of trucks}
본 발명은 화물차량의 승하강식 적재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함체가 하부함체의 외측에 승하강 가능토록 결합되어 적재함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화물차량의 승하강식 적재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탑차에는 적재된 화물을 외부 기후조건의 변화에 관계없이 안전하게 운반 및 하역할 수 있도록 측면이나 후면에 개폐되는 도어가 설치된 직사각형의 밀폐 적재함이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탑차는 적재함의 크기가 생산단계부터 한정되게 제작되어 출고되는 것이 대부분이서 실제 현장에서 사용시에는 적재함의 크기의 조절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즉 적재함의 적재중량이 초과되지 않은 경우라도 적재물의 높이가 적재함의 적재가능한 높이를 약간만 초과해도 적재가 불가능하여 어쩔 수 없이 더 큰 적재함을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고, 또 천정이 낮은 곳을 통과해야 하는 경우도 있으며, 무엇보다 적재함의 높이가 높으면 주행시 공기저항이 커져서 연료소비량이 커지는 단점을 갖는 것이다. 이는 물류비용의 상승으로 이어지고 차주의 경제적인 부담으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탑차가 개발되어 있으나, 이는 상부가 개방되고 후면에 도어(104a)가 설치된 직사각형상의 통체로 각 모서리의 내측에는 상단에 승하강축을 갖는 유압실린더(106)와, 각모서리의 외측면과 통체의 장측벽에 대략 'ㄷ'형의 단면과 세로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며 결합공(144)이 형성된다수의 가이드 홈(142)이 형성된 내부통체(104) 및 하부가 개방되고 후면에 도어(104a)가 설치된 직사각형상의 통체로 각 모서리의 내측부와 장측벽에 설치되는 것으로 대략 'T'형의 단면과 상기 통체의 높이와 같은 세로방향의 길이를 갖는 제 1레일(122)과 이와 형상은 같으나 길이가 짧게 형성된 제 2레일(124)과 다수의 체결공(132)이 형성되어 상기 제 2레일(124) 상부에 볼트로 체결 고정되는 제 3레일(130)을 포함하여 된 덮개부(102)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적재함은 상기 내부통체(104)에 상기 덮개부(102)를 상부로부터 씌워서 결합시키되 상기 가이드 홈(142)과 제 1레일(122) 및 제 2레일(124)이 끼워지도록 결합시킨 후 상기 제 2레일(124)이 끼워진 가이드 홈(142)의 상부에 제 3레일(130)을 볼트(100)로 고정 결합시켜 적재함(A)을 제작한 후, 사용시 승강신호를 주면 유압실린더(106) 내에 오일이 유입되면서 피스톤(도시하지 않음)이 상승하게 되고 이에 설치된 승하강축(162)이 상승하며 그 단부에 형성된 지지판(64)과 맞닿은 상기 덮개부(102)가 상승하므로써 적재함(A)의 전체높이가 신장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유압의 힘으로 작동하게 되므로 유압펌프 및 고가의 유압장치들과 복잡한 유압시스템, 무거운 중량의 유압실린더(106)를 다수개 필요로 하는 등의 단점을 갖게 되고, 불필요한 무게 증가로 인해 정작 필요한 화물의 양을 줄일 수 밖에 없는 단점을 갖는다.
[선행기술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340446호
본 발명은 트럭의 적재함을 상부함체가 하부함체로 나누어 형성하여 상부함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되, 유압이 아닌 나선스크류와 와이어를 이용해 단순한 구조로 제작가능하게 함으로써 제작비용의 절감은 물론, 차체를 최대한 가볍게 할 수 있고, 적재공간의 효율적인 조절과 적재함의 효율적인 높낮이 조절로 인해 현저한 연료 절감 및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의 승하강식 적재함은, 물건을 적재할 수 있도록 적재공간을 형성하는 하부함체와 상부함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함체가 하부함체의 외부를 위로 부터 덮을 수 있도록 형성하되, 상기 하부함체의 전방과 후방에 형성된 다수개의 레일과, 상기 각 레일에 승하강 가능토록 삽입되는 승하강대와, 상기 승하강대 중 전방 승하강대의 하단 측면에 결합되는 승하강구와, 상기 승하강구의 하단에 형성되는 와이어연결부와, 상기 승하강구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나선축과, 상기 나선축을 상하에서 지지하는 한 쌍의 축지지구와, 상기 나선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부와, 회전구동부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모터와, 상기 와이어연결부에 일측이 결합되어 승하강구가 상승하면 견인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지지로울러와, 상기 지지로울러를 지지하기 위해 하부함체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되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상기 와이어는 각 지지로울러에 의해 지탱되어 후방 승하강대의 하단에 와이어의 타측이 결합되도록 하여 승하강구의 상승시 후방 승하강대도 상승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 승하강대의 상단은 상부함체의 측벽으로 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천정 저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 승하강대 하부에는 구름로울러를 상하에 한쌍씩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와이어는 일측이 와이어연결부에 연결되고, 와이어의 타측은 하부프레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두개의 지지로울러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상부프레임에 설치된 지지로울러에 의해 지지되고 다시 후방 레일 상부에 설치된 지지로울러를 지지된 다음 후방 승하강대의 하단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로는 트럭의 적재함을 상부함체가 하부함체로 나누어 형성하여 상부함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되, 유압이 아닌 나선스크류와 와이어를 이용해 단순한 구조로 제작가능하게 함으로써 제작비용의 절감은 물론, 차체를 최대한 가볍게 할 수 있고, 적재공간의 효율적인 조절과 적재함의 효율적인 높낮이 조절로 인해 현저한 연료 절감 및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 화물차량의 승하강식 적재함의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의 승하강식 적재함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상부함체의 승하강 구동을 위한 내부 구조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상부함체의 승하강 구동을 위한 승하강 구동장치부와 와이어의 연결구조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서 상부함체의 승하강 작동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의 승하강식 적재함을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상부함체의 승하강 구동을 위한 내부 구조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상부함체의 승하강 구동을 위한 승하강 구동장치부와 와이어의 연결구조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서 상부함체의 승하강 작동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 화물차량의 승하강식 적재함(100)은 물건을 적재할 수 있도록 적재공간을 형성하는 하부함체(110)와 상부함체(1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함체(120)가 하부함체(110)의 외부를 위로 부터 덮을 수 있도록 형성하되, 상기 하부함체(110)의 전방과 후방에 형성된 다수개의 레일(111,112)과, 상기 각 레일(111,112)에 승하강 가능토록 삽입되는 승하강대(121,122)와, 상기 승하강대(121,122) 중 전방 승하강대의 하단 측면에 결합되는 승하강구(134)와, 상기 승하강구(134)의 하단에 형성되는 와이어연결부(134a)와, 상기 승하강구(134)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나선축(130)과, 상기 나선축(130)을 상하에서 지지하는 한 쌍의 축지지구(133)와, 상기 나선축(130)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부(132)와, 회전구동부(132)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모터(131)와, 상기 와이어연결부(134a)에 일측이 결합되어 승하강구(134)가 상승하면 견인되는 와이어(150)와, 상기 와이어(150)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지지로울러(140)와, 상기 지지로울러(140)를 지지하기 위해 하부함체(110)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되는 프레임(160,170), 상기 와이어(150)는 각 지지로울러(140)에 의해 지탱되어 승하강구(134)의 상승시 후방 승하강대(122)도 상승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레일(111,112)은 하부함체(110)의 모서리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나, 전방 레일(111)의 경우에는 너무 벌어지게 되면 상기 전방 레일(111)에 삽입되어 승하강되는 전방 승하강대(121)의 간격도 멀어지게 되어 결국 상기 전방 승하강대(121)를 승하강 시키기 위한 승하강구(134)의 너비도 전방 승하강대(121)의 간격만큼 늘어나게 된다.
이는 구조적으로 큰 힘을 쓰기 곤란하고 불필요한 재료가 소모되므로 상기 전방 레일(111)의 경우는 그 간격을 최대한 가깝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후방 레일(112)은 안정적이고 균형감있는 상부함체(120)의 지지를 위해 하부함체(110)의 후방 각 모서리에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각 레일(111,112)들에는 상부함체(120)를 지탱하고 있는 승하강대(121,122)가 삽입된 구조여서 이를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전방 레일(111)의 경우는 승하강구(134)의 양측이 전방 승하강대(121)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통공이 필요하고, 후방 레일(112)의 경우는 후방 승하강대(122)에 와이어(150)가 연결되기 때문에 와이어(150)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통공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때 각 레일(111,112)에 삽입되는 승하강대(121,122)는 승하강이 원활할 수 있도록 각 승하강대(121,122)의 일측에 구름로울러(135a)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구름로울러(135a)는 최소한 한쌍으로 상하에 설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선축(130)은 모터(131)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나선축(130)에 나사결합된 승하강구(134)를 승하강 구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나선축(130)은 나선축(130) 상하에 설치된 한 쌍의 축지지구(133)에 의해 지지되고, 모터(131)의 회전을 나선축(130)의 회전구동으로 변환시키기 회전구동부(132)가 나선축(130)의 상단 또는 하단에 형성된다.
이때 회전구동부(132)는 모터(131)의 회전력을 나선축(130)에 전달하기 위해 기어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고, 벨트와 풀리, 또는 체인과 체인스프라켓과 같은 다양한 공지의 동력전달수단을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와이어(150)는 일측이 승하강구(134)의 와이어연결부(134a)에 연결되고, 와이어(150)의 타측은 하부프레임(170)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두개의 지지로울러(14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상부프레임(160)에 설치된 지지로울러(140)에 의해 지지되고 다시 후방 레일(112) 상부에 설치된 지지로울러(140)를 지지된 다음 후방 승하강대(122)의 하단에 연결되는 구조여서, 승하강구(134)가 상승하면서 와이어(150)의 일단을 견인하게 되면 상기 와이어(150)는 따라 올라가게 되고, 결국 상기 와이어(150)는 다수개의 지지로울러(14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여서 후방 승하강대(122)를 들어올리는 작용을 하게 되면서 모든 승하강대(121,122)가 상부함체(120)를 들어올리게 되어 상부함체(120)의 상승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각 승하강대(121,122)의 승하강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승하강대(121,122)는 상부함체(120)의 측벽으로 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야 하며, 모든 승하강대(121,122)는 천정 저면을 지지하여야 한다.
상기 승하강구(134)의 상승을 원활히 하기 위해 승하강구(134)의 일측에도 구름로울러를 형성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보다 효과적인 작용을 위해 기타 필요한 기술적 구성들이 필요할 수도 있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0: 화물차량의 승하강식 적재함
110: 하부함체
111: 전방 레일 112: 후방 레일
120: 상부함체
121: 전방 승하강대 122: 후방 승하강대
130: 나선축
134: 승하강구
140: 지지로울러
150: 와이어
160: 상부 프레임
170: 하부 프레임

Claims (4)

  1. 물건을 적재할 수 있도록 적재공간을 형성하는 하부함체와 상부함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함체가 하부함체의 외부를 위로 부터 덮을 수 있도록 형성하되,
    상기 하부함체의 전방과 후방에 형성된 다수개의 레일과,
    상기 각 레일에 승하강 가능토록 삽입되는 승하강대와,
    상기 승하강대 중 전방 승하강대의 하단 측면에 결합되는 승하강구와,
    상기 승하강구의 하단에 형성되는 와이어연결부와,
    상기 승하강구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나선축과,
    상기 나선축을 상하에서 지지하는 한 쌍의 축지지구와,
    상기 나선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부와,
    회전구동부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모터와,
    상기 와이어연결부에 일측이 결합되어 승하강구가 상승하면 견인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지지로울러와,
    상기 지지로울러를 지지하기 위해 하부함체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되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상기 와이어는 각 지지로울러에 의해 지탱되어 후방 승하강대의 하단에 와이어의 타측이 결합되도록 하여 승하강구의 상승시 후방 승하강대도 상승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승하강식 적재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승하강대의 상단은 상부함체의 측벽으로 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천정 저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승하강식 적재함.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승하강대에는 구름로울러를 상하에 한쌍씩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승하강식 적재함.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일측이 승하강구의 와이어연결부에 연결되고, 와이어의 타측은 하부프레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두개의 지지로울러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상부프레임에 설치된 지지로울러에 의해 지지되고 다시 후방 레일 상부에 설치된 지지로울러를 지지된 다음 후방 승하강대의 하단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승하강식 적재함.

KR1020180150417A 2018-11-29 2018-11-29 화물차량의 승하강식 적재함 KR101939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417A KR101939986B1 (ko) 2018-11-29 2018-11-29 화물차량의 승하강식 적재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417A KR101939986B1 (ko) 2018-11-29 2018-11-29 화물차량의 승하강식 적재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9986B1 true KR101939986B1 (ko) 2019-01-18

Family

ID=65323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417A KR101939986B1 (ko) 2018-11-29 2018-11-29 화물차량의 승하강식 적재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9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5555A (ko) * 2020-09-14 2022-03-22 주식회사 한국스마트탑 화물차량의 승하강식 적재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7522Y1 (ko) * 2002-12-10 2003-03-20 김기수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탑차의 적재함
KR20110095440A (ko) * 2010-02-19 2011-08-25 이만우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탑차의 적재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7522Y1 (ko) * 2002-12-10 2003-03-20 김기수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탑차의 적재함
KR20110095440A (ko) * 2010-02-19 2011-08-25 이만우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탑차의 적재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5555A (ko) * 2020-09-14 2022-03-22 주식회사 한국스마트탑 화물차량의 승하강식 적재함
KR102384803B1 (ko) * 2020-09-14 2022-04-08 주식회사 한국스마트탑 화물차량의 승하강식 적재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3350A (en) Goods vehicle or a trailer for a goods vehicle
KR20060006771A (ko) 이동가능한 화물 이송 플랫폼을 통합한 차량 및 트레일러
KR101939986B1 (ko) 화물차량의 승하강식 적재함
CN110950217A (zh) 电梯荷重沉降补偿装置及其工作方法
US6364601B1 (en) Straddle type container lifting device
KR102384803B1 (ko) 화물차량의 승하강식 적재함
KR101451388B1 (ko) 화물차용 상·하차 리프트 장치
JP4341565B2 (ja) 乗込口の横行装置
CN215479527U (zh) 无人驾驶叉车用门架总成
KR20030006277A (ko) 스태커 크레인
KR20090110571A (ko) 팔레트 출하 시스템
CN211110073U (zh) 一种辅助搬运的支撑装置
CN209872261U (zh) 一种无爬坡式手动液压车上货提升机
CN209870213U (zh) 一种货车自装卸装置
CN208747427U (zh) 负载自动平衡电梯
CN218879109U (zh) 一种用于提升机的轿厢
CN107472106B (zh) 运输货厢和车辆
KR102680073B1 (ko) 적재함 높이 가변형 탑차
CN215971622U (zh) 一种水果罐头包装流水线用运输装置
CN219885560U (zh) 房建用物料提升机
CN217895035U (zh) 一种适用于铺地轨道的载车提升机
CN216946016U (zh) 一种炸药装车起升装置
CN219526145U (zh) 带有升降机构的箱形物体搬运装置
CN216071595U (zh) 一种具有多自由度的物流仓储机器人
CN218950761U (zh) 一种升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