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9705B1 - 휴대 단말기 거치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거치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9705B1
KR101939705B1 KR1020180077000A KR20180077000A KR101939705B1 KR 101939705 B1 KR101939705 B1 KR 101939705B1 KR 1020180077000 A KR1020180077000 A KR 1020180077000A KR 20180077000 A KR20180077000 A KR 20180077000A KR 101939705 B1 KR101939705 B1 KR 101939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member
case
portable terminal
cradle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경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경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경글로벌
Priority to KR1020180077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7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A45C2011/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 단말기 거치 케이스가 개시된다. 휴대 단말기 거치 케이스는, 휴대 단말기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케이스부재와, 케이스부재의 표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케이스부재의 외부로 회전 돌출되어 바닥면에 지지되는 회전 거치대와, 케이스부재의 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케이스부재의 외부로 슬라이딩된 상태에서 바닥면에 지지되는 슬라이딩 거치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거치 케이스{CASE STAND FOR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거치 각도의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휴대폰의 경우, 휴대폰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휴대폰의 개성 표현과 미감 향상의 목적으로 휴대폰 배면에 덧대는 형태로 끼워서 사용하는 휴대폰 케이스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폰이 엔터테인먼트 기능의 구동 및 발현을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장시간 화면을 보기가 용이하지 않다.
즉, 최근 휴대폰은 엔터테인먼트 기능의 구현으로 사용되도록 크기가 대형화하는바,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장시간 사용이 어려워 바닥면에 거치한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그러가. 사용자가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부를 주시하는 위치의 변경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거치된 각도의 변경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디스플레이부의 용이한 주시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10-1185358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거치 각도를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고, 휴대 단말기의 사용 상태의 변경에 따라 거치 방법의 변경이 적절하게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휴대 단말기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케이스부재와, 케이스부재의 표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케이스부재의 외부로 회전 돌출되어 바닥면에 지지되는 회전 거치대와, 케이스부재의 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케이스부재의 외부로 슬라이딩된 상태에서 바닥면에 지지되는 슬라이딩 거치대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거치대는, 케이스부재에 복수개가 서로간에 엇갈리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될 수 있다.
슬라이딩 거치대는, 케이스부재에 복수개가 서로간에 엇갈리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며, 길이 방향의 일부분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케이스부재에는 고리홈이 형성된 걸이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회전 거치대는 다단으로 길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를 케이스부재의 내부에 삽입하여 보호한 상태에서, 회전 거치대 또는 슬라이딩 거치대를 회전 또는 인출시켜 휴대 단말기를 적절한 회전 각도가 유지된 상태로 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의 안정적인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케이스부재의 외부로 걸이부가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바, 휴대 단말기를 벽면 등에 걸어서 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 상태에 따라 적절한 거치가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 케이스가 휴대 단말기에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 거치 케이스가 휴대 단말기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 거치 케이스의 회전 거치대가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휴대 단말기 거치 케이스의 슬라이딩 거치대가 인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 케이스가 휴대 단말기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 케이스가 휴대 단말기에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 거치 케이스가 휴대 단말기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 거치 케이스의 회전 거치대가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휴대 단말기 거치 케이스의 슬라이딩 거치대가 인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 케이스(100)는, 휴대 단말기(11)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케이스부재(10)와, 케이스부재(10)의 표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케이스부재(10)의 외부로 회전 돌출되어 바닥면에 지지되는 회전 거치대(20)와, 케이스부재(10)의 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케이스부재(10)의 외부로 슬라이딩된 상태에서 바닥면에 지지되는 슬라이딩 거치대(30)를 포함한다.
휴대 단말기(11)는 핸드폰 등과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사용하며 측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된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물론 휴대 단말기(11)는 핸드폰으로 반드시 적용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사용가능한 테블릿 pc 등을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11)에는 거치 장소의 바닥면에 거치한 상태로 디스플레이부를 용이하게 확인 가능한 케이스부재(10)가 삽입될 수 있다.
케이스부재(10)는 휴대 단말기(11)가 삽입된 상태로 낙하 또는 외부 충격이 전달되는 경우 충격에 의해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충격 흡수가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부재(10)는 고무 재질 또는 고무 재질과 플라스틱 재질이 혼합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부재(10)는 휴대 단말기(11)의 전체를 덮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휴대 단말기(11)의 표면의 일부분을 개방한 상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케이스부재(10)에는 거치 장소에 휴대 단말기(11)의 거치를 위한 회전 거치대(20)가 설치될 수 있다.
회전 거치대(20)는, 케이스부재(10)의 표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케이스부재(10)의 외부로 회전 돌출되어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회전 거치대(20)는 일단은 케이스부재(1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케이스부재(10)에 경사진 상태로 긴 길이를 갖도록 연장될 수 있다. 회전 거치대(20)는 본 실시예에서 하나로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2개가 서로간에 이격된 복수개로 설치되는 것으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 거치대(20)의 돌출된 단부는 다단으로 길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거치대(20)는 다단의 길이 조절에 의해 휴대 단말기(11)의 거치 상태의 각도 조절이 단계적으로 적절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회전 거치대(20)의 다단 길이 조절은 회전 거치대(20)의 단부가 다단 인출되도록 형성되어 길이 조절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회전 거치대(20)의 단부는 거치 장소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마찰부재가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회전 거치대(20)의 단부는 바닥면에 안정적인 면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편평면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케이스부재(10)에는 슬라이딩 거치대(30)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슬라이딩 거치대(30)는 케이스부재(10)의 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 거치대(30)는 케이스부재(10)의 측면에 서로간에 엇갈리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 거치대(30)는 미사용 상태에서 케이스부재(10)의 내부에 삽입되고, 휴대 단말기(11)의 거치 상태에서는 케이스부재(1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거치대(30)는 회전 거치대(20)와 사용 상태가 중복되지 않고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휴대 단말기 거치 케이스(100)는, 휴대 단말기(11)를 케이스부재(10)의 내부에 삽입하여 보호한 상태에서, 회전 거치대(20) 또는 슬라이딩 거치대(30)를 회전 또는 인출시켜 휴대 단말기(11)를 적절한 회전 각도가 유지된 상태로 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의 안정적인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 케이스가 휴대 단말기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 케이스(200)는, 케이스부재(10)에 고리홈이 형성된 걸이부(110)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걸이부(11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케이스부재(10)의 외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바, 휴대 단말기를 벽면 등에 걸어서 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 상태에 따라 적절한 거치가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케이스부재 11...휴대 단말기
20...회전 거치대 30...슬라이딩 거치대
110..걸이부

Claims (4)

  1. 휴대 단말기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고리홈이 형성된 걸이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스부재;
    일단은 상기 케이스부재의 표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은 케이스부재에 경사진 상태로 긴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며, 적어도 2개가 서로간에 이격된 복수개로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부재의 외부로 회전 돌출되어 바닥면에 지지되되, 바닥면에 접촉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마찰부재가 부착되어돌출된 단부는 다단으로 길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다단의 길이 조절에 의해 휴대 단말기의 거치 상태의 각도 조절이 단계적으로 적절하게 이루어지는 회전 거치대; 및
    상기 케이스부재의 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부재의 외부로 슬라이딩된 상태에서 바닥면에 지지되되, 상기 케이스부재에 복수개가 서로간에 엇갈리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며, 길이 방향의 일부분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거치대;
    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거치대는, 상기 케이스부재에 복수개가 서로간에 엇갈리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휴대 단말기 거치 케이스.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거치대는 다단으로 길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휴대 단말기 거치 케이스.
KR1020180077000A 2018-07-03 2018-07-03 휴대 단말기 거치 케이스 KR101939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000A KR101939705B1 (ko) 2018-07-03 2018-07-03 휴대 단말기 거치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000A KR101939705B1 (ko) 2018-07-03 2018-07-03 휴대 단말기 거치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9705B1 true KR101939705B1 (ko) 2019-01-17

Family

ID=65279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000A KR101939705B1 (ko) 2018-07-03 2018-07-03 휴대 단말기 거치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70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3152B1 (ko) * 2005-03-11 2006-03-21 송기석 휴대용 통신기기의 지지구조
KR20120003271U (ko) * 2010-11-03 2012-05-11 전서희 거치대 겸용 휴대폰 케이스
KR101185358B1 (ko) 2012-04-05 2012-09-21 김정근 거치구를 갖는 손가락 끼움 홀더형 휴대폰 케이스
WO2015071775A1 (en) * 2013-11-14 2015-05-21 Htp S.R.L. Protective casing for a mobile phone
KR20170024511A (ko) * 2015-08-25 2017-03-07 구현우 휴대전화 케이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3152B1 (ko) * 2005-03-11 2006-03-21 송기석 휴대용 통신기기의 지지구조
KR20120003271U (ko) * 2010-11-03 2012-05-11 전서희 거치대 겸용 휴대폰 케이스
KR101185358B1 (ko) 2012-04-05 2012-09-21 김정근 거치구를 갖는 손가락 끼움 홀더형 휴대폰 케이스
WO2015071775A1 (en) * 2013-11-14 2015-05-21 Htp S.R.L. Protective casing for a mobile phone
KR20170024511A (ko) * 2015-08-25 2017-03-07 구현우 휴대전화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25105B2 (ja) 携帯用電子・電気機器のアクセサリー
KR101892082B1 (ko) 휴대 단말기의 유니버셜 도크
KR20170042939A (ko) 링 케이스
US9235230B1 (en) Magnetic stand, mount and cord wrap for mobile devices and accessories
KR20190013328A (ko) 휴대폰 거치대
US20210106106A1 (en) Cellular Device Case Having a Built-In Mount
KR101733435B1 (ko)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
WO2015103599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upporting electronic devices
KR20190030111A (ko)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
JP2012227794A (ja) 携帯端末用指掛け及び携帯端末
KR101866881B1 (ko)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US20140347793A1 (en) Protective cas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KR20190006413A (ko)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
KR101939705B1 (ko) 휴대 단말기 거치 케이스
US20150346777A1 (en) Protective frame and stand for personal electronic devices
KR20110094530A (ko) 거치대
US20180099622A1 (en) Integrated hanger case for mobile device
KR101628041B1 (ko)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2305214B1 (ko) 표준 USB A 단자용 Jack일체형 모바일 단말기 D-Ring형 거치대
KR20080032818A (ko) 휴대용 단말기
KR20180000621U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KR200461030Y1 (ko)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KR20130123176A (ko) 휴대폰 케이스
KR101344639B1 (ko) 스마트폰 거치장치
KR200488289Y1 (ko) 휴대 단말기 거치수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