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9613B1 - 승강 샤워부가 구비된 스탠드형 샤워기 - Google Patents

승강 샤워부가 구비된 스탠드형 샤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9613B1
KR101939613B1 KR1020150032334A KR20150032334A KR101939613B1 KR 101939613 B1 KR101939613 B1 KR 101939613B1 KR 1020150032334 A KR1020150032334 A KR 1020150032334A KR 20150032334 A KR20150032334 A KR 20150032334A KR 101939613 B1 KR101939613 B1 KR 101939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wer
lifting
main body
lowering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2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8914A (ko
Inventor
하기호
Original Assignee
하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기호 filed Critical 하기호
Priority to KR1020150032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613B1/ko
Priority to PCT/KR2016/002146 priority patent/WO2016144045A1/ko
Publication of KR20160108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8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288Independent, movable shower units operated by weight, by hand or by foot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6Devices for suspending or supporting the supply pipe or supply hose of a shower-bath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6Devices for suspending or supporting the supply pipe or supply hose of a shower-bath
    • E03C1/063Devices for suspending or supporting the supply pipe or supply hose of a shower-bath with reciprocating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6Devices for suspending or supporting the supply pipe or supply hose of a shower-bath
    • E03C1/066Devices for suspending or supporting the supply pipe or supply hose of a shower-bath allowing height adjustment of shower hea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승강 샤워부가 구비된 스탠드형 샤워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승강 샤워부가 구비된 스탠드형 샤워기는, 본체; 본체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헤드 방향으로 샤워수를 분사하는 헤드 샤워부; 및 본체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어 사용자에게 샤워수를 분사하는 승강 샤워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승강 샤워부가 구비된 스탠드형 샤워기{STAND TYPE SHOWER HAVING LIFTING SHOWER PART}
본 발명은, 승강 샤워부가 구비된 스탠드형 샤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샤용자의 헤드 뿐만 아니라 신체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샤워수를 분사할 수 있는 승강 샤워부가 구비된 스탠드형 샤워기에 관한 것이다.
샤워기는 일반 호스와 달리 여러개의 구멍을 통해 물이 뿜어져 나와 몸을 씻을 수 있는 목욕용 기구이다.
일반적으로 샤워기는 욕실의 내부 벽면으로부터 매립 설치되는 급수 파이프측과 연결되어 주로 벽면 상부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면서 상하 좌우측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머리부터 발끝까지 전면을 샤워할 수 있도록 한 고정식과, 밸브측으로부터 별도의 플렉시블 호스를 연결 설치하여 사용자가 직접 샤워기를 들고 샤워를 할 수 있도록 한 유동식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술한 고정식 샤워기에는 스탠드형 샤워기가 포함되고, 일반적으로 스탠드형 샤워기는 전면으로 냉,온수 공급 및 물 공급과 차단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구가 장착된 수전부가 하나의 직립 배관으로 연결되어 직립 배관의 선단으로 하나의 샤워 헤드만이 장착된다.
이러한 스탠드형 샤워기는 수전부의 조작으로 샤워 헤드에서 한 종류의 샤워수 만을 분사할 수 있다.
벽면에 고정식으로 설치되는 샤워기나, 사용자가 직접 들고 샤워할 수 있도록 한 유동식 샤워기는 각각이 가지는 특성으로 인하여 그 나름대로의 장점을 충분히 가지고 있다.
하지만 최근 경제의 발달과 함께 주거 환경과 욕실 환경 등이 이전에 비해 개선되었고, 이에 비례해서 욕실에서 자주 사용되는 샤워기의 경우 기능과 디자인 면에서 새로운 개선책이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8-0004783호(이후정) 2008. 10. 22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존의 스탠드 타입의 샤워기를 보완하여 수요자에게 새로운 기능과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는 승강 샤워부가 구비된 스탠드형 샤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체;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헤드 방향으로 샤워수를 분사하는 헤드 샤워부; 및 상기 본체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어 사용자에게 샤워수를 분사하는 승강 샤워부를 포함하는 스탠드형 샤워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샤워 구조물의 바닥부에 마련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베이스부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 샤워부의 승강을 지지하는 메인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바닥부에 결합되는 바디 브래킷; 및 상기 바디 브래킷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승강 샤워부의 일부 영역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마련된 샤워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 샤워부는, 상기 메인 바디에 지지되어 승강되는 승강 홀더; 상기 승강 홀더에 마련되어 상기 승강 홀더를 통해 유입되는 샤워수를 공급시키는 승강 샤워 바디; 및 상기 승강 샤워 바디에 마련되어 공급되는 샤워수를 사용자에게 분사시키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 샤워 바디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승강 홀더에는 가이드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메인 바디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에 대응되는 가이드 홈이 상기 메인 바디의 높이 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승강 샤워부의 승강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승강 샤워부를 상기 메인 바디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 샤워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바디에는 상기 승강 샤워 구동부의 일측부가 상기 승강 샤워부와 연결되도록 절개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승강 샤워 구동부는, 상기 메인 바디에 마련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바디의 높이 방향으로 회전되는 벨트 컨베이어; 및 일측부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에 연결되고 타측부는 상기 절개부를 통해 상기 승강 샤워부의 승강 홀더에 연결되는 연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 홀더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 홀더로 샤워수를 공급시키는 승강 홀더 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 홀더 라인은 상기 메인 바디의 높이 보다 길게 마련되며, 플렉시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작동 온도를 표시함과 아울러 작동 버튼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작동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헤드 샤워부에서 샤용자의 헤드 방향으로 샤워수를 분사함과 아울러 본체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되는 승강 샤워부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 높이 방향으로 샤워수를 분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다양한 샤워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샤워부가 구비된 스탠드형 샤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B"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서 샤워수가 공급되는 경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샤워부가 구비된 스탠드형 샤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B"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서 샤워수가 공급되는 경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승강 샤워부가 구비된 스탠드형 샤워기(1)는, 본체(100)와, 본체(100)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헤드 방향으로 샤워수를 분사하는 헤드 샤워부(200)와, 본체(100)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어 사용자에게 샤워수를 분사하는 승강 샤워부(300)와, 메인 바디(120)에 마련되어 승강 샤워부(300)를 메인 바디(120)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 샤워 구동부(400)와, 본체(100)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작동 패널(500)을 구비한다.
본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10)와, 베이스부(110)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메인 바디(120)와, 메인 바디(120)에 마련되어 메인 바디(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샤워수를 가열함과 아울러 헤드 샤워부(200)와 승강 샤워부(300)로 선택적으로 공급시키는 샤워수 가열 및 분배부(130, 도 2 참조)와, 메인 바디(120)에 마련되어 외부의 샤워수를 샤워수 가열 및 분배부(130)로 공급시키는 온냉 유입구 바디(140, 도 2 참조)를 포함한다.
본체(100)의 베이스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 브래킷(111)과, 바디 브래킷(1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사용자의 발이 지지되는 영역인 샤워 트레이(112)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바디 브래킷(111)은 샤워실을 포함하는 샤워 구조물의 바닥에 처음으로 시공될 수 있고, 샤워 트레이(112)의 상면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샤워 바디(320)가 수용되는 수용홈(112a)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승강 샤워 바디(320)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112a)에 수용하되 승강 샤워 바디(320)에 마련된 복수의 노즐(330)이 샤워 트레이(112)의 상면부 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발바닥까지 샤워수를 분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승강 샤워 바디(320)를 수용홈(112a)에 수용할 수 있으므로 승강 샤워 바디(320)로 인한 간섭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승강 샤워 바디(320)에 부딪히거나 승강 샤워 바디(320)에 발이 걸려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샤워 트레이(112)는 샤워 구조물의 바닥부 상면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샤워 구조물의 바닥부에 함몰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0)의 메인 바디(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가 바디 브래킷(111)에 분리 가능하게 볼트 결합되며, 메인 바디(120)의 높이 방향으로 가이드 홈(121)이 마련된다. 이 가이드 홈(121)에는 승강 홀더(310)의 가이드 돌기(미도시)가 삽입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120)의 후방부에는 미도시 되었지만 절개부가 마련되고, 이 절개부를 통해 승강 샤워 구동부(400)의 연결 커넥터(430)는 승강 샤워부(300)의 승강 홀더(31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승강 홀더(310)는 메인 바디(120)의 높이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승강)되므로 절개부는 메인 바디(120)의 하측부에서 상측부까지 연속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본체(10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워수 가열 및 분배부(130)와 온냉 유입구 바디(140)가 마련된다.
본체(100)의 샤워수 가열 및 분배부(13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바디(120)의 상측부에 마련되어 온냉 유입구 바디(140)를 통해 유입되어 공급되는 샤워수를 가열함과 아울러 헤드 샤워부(200)와 승강 샤워부(300)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샤워수 가열 및 분배부(130)는 미도시 되었지만 호스나 파이프를 통해 온냉 유입구 바디(140)에 연결되어 외부의 샤워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샤워수 가열 및 분배부(130)는 내부에 공급되는 냉수를 가열시키는 히터(미도시)가 마련되고, 샤워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복수의 솔레노이드밸브(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도시 되었지만 샤워수 가열 및 분배부(130)의 내부에는 샤워수를 워밍업하여 배출시키는 제1 솔레노이드밸브와, 헤드 샤워부(200) 방향으로 공급되는 샤워수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제2 솔레노이드밸브와, 승강 샤워부(300) 방향으로 공급되는 샤워수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제3 솔레노이드밸브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샤워수 가열 및 분배부(130)는,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바디(120)의 내벽에 마련되는 전원 공급부(PS)에 연결되어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다.
본체(100)의 온냉 유입구 바디(1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 브래킷(111)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마련되어 외부의 샤워수를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온냉 유입구 바디(140)의 상측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141)이 마련되고, 이 소켓(141)에는 샤워수 가열 및 분배부(130)와 연결되는 호스나 파이프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온냉 유입구 바디(140)로 유입되는 샤워수는 샤워수 가열 및 분배부(130)로 공급되고, 공급된 샤워수는 샤워수 가열 및 분배부(130)에 마련된 전술한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헤드 샤워부(200) 또는 승강 샤워부(300)로 공급될 수 있다.
헤드 샤워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바디(120)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헤드 방향으로 샤워수를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헤드 샤워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바디(120)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연결 플랜지(210)와, 연결 플랜지(210)에 마련되는 샤워 헤드(220)와, 샤워 헤드(220)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헤드 방향으로 샤워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헤드 노즐(230)과, 연결 플랜지(210)에 마련되는 초음파 센서(24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샤워수 가열 및 분배부(130)에서 공급되는 샤워수는 연결 플랜지(210)와 샤워 헤드(220)를 순차적으로 거친 후 복수의 헤드 노즐(230)을 통해 분사될 수 있다.
또한 헤드 샤워부(200)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특허발명인 슬림형 샤워헤드(특허등록번호 제10-1270009호)의 구성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샤워 헤드(220)에는 복수의 엘이디 램프가 마련될 수 있고, 이 복수의 엘이디 램프는 헤드 노즐(230)에서 샤워수가 분사될 때 점등될 수 있다.
승강 샤워부(300)는, 메인 바디(120)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어 헤드 샤워부(200)와는 별도로 사용자에게 샤워수를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승강 샤워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샤워 구동부(400)의 연결 커넥터(430)에 분리 가능하게 볼트 결합되며 구동 모터(410)의 구동에 의해 메인 바디(120)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되는 승강 홀더(310)와, 승강 홀더(310)에 마련되어 승강 홀더(310)와 같이 승강되는 승강 샤워 바디(320)와, 승강 샤워 바디(320)에 마련되어 샤워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330)을 포함한다.
승강 샤워부(300)의 승강 홀더(310)는, 내부에 연결 커넥터(430)의 유로(431)와 연통되는 샤워수 공급라인(미도시)이 마련되고, 이 샤워수 공급라인은 승강 샤워 바디(320)의 내부에 마련되는 샤워수 유로(미도시)와 연통된다.
그 결과 연결 커넥터(430)의 유로(431)로 유입되는 샤워수는 승강 홀더(310)의 샤워수 공급라인과 승강 샤워 바디(320)의 샤워수 유로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복수의 노즐(330)로 공급되어 분사될 수 있다.
승강 샤워부(300)의 승강 샤워 바디(3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링 형상으로 마련되어 사용자에게 원형 형태로 샤워수를 분사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승강 샤워 바디(320)는 원형의 링 형상 외에 반원 형상, 다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승강 샤워 바디(320)는 본 실시 예를 미 사용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워 트레이(112)에 마련된 수용홈(112a)에 수용되어 샤워 트레이(112)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승강 샤워부(300)의 복수의 노즐(330)은, 선단부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샤워 바디(320)의 외주면으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승강 샤워 구동부(400)는, 승강 샤워부(300)를 메인 바디(120)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 시키는 것으로, 본 실시 예에서 승강 샤워 구동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바디(120)의 상측부에 마련되는 구동 모터(410)와, 구동 모터(410)에 연결되어 회전되며 승강 홀더(310)가 결합되는 연결 커넥터(430)에 연결되어 승강 샤워부(300)를 승강시키는 벨트부재(420)와, 일측부는 벨트부재(420)에 볼트 결합되고 타측부는 승강 홀더(310)에 볼트 결합되어 벨트부재(420)의 승강력을 승강 샤워부(300)로 전달함과 아울러 샤워수 가열 및 분배부(130)에서 분배되는 샤워수를 승강 샤워부(300)로 공급시키는 연결 커넥터(430)와, 메인 바디(120)에 마련되어 벨트부재(420)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풀리(440)와, 메인 바디(120)에 마련되며 연결 블록(451)에 의해 연결 커넥터(430)에 연결되어 승강 샤워부(300)의 승강을 가이드 하는 LM 가이드(450)를 포함한다.
승강 샤워 구동부(400)의 구동 모터(41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벨기어(411)가 마련되고, 이 베벨기어(411)는 메인 바디(120)의 상측부에 배치되는 풀리(440)에 연결되어 풀리(440)와 같이 회전되는 수동 베벨기어(미도시)와 기어 맞물림 된다.
따라서 구동 모터(410)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의해 베벨기어(411)와 기어 맞물림 되는 수동 베벨기어가 회전되고, 수동 베벨기어가 회전되면 이에 연결된 풀리(440)가 회전되어 벨트부재(420)는 회전된다. 그 결과 승강 샤워부(300)는 구동 모터(4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된다.
본 실시 예에서 구동 모터(410)는 메인 바디(120)에 고정된 홀더(h)에 분리 가능하게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승강 샤워 구동부(400)의 벨트부재(420)는, 메인 바디(120)의 상측부에 배치되는 풀리(440)에 맞물림 잘 되는 타이밍 벨트를 채택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승강 샤워 구동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부재(420)에 연결되어 하중을 부가하는 무게추(460)와, 메인 바디(120)에 마련되어 무게추(460)의 승강을 가이드 하는 무게추 가이더(470)와, 풀리(440)가 마련되는 영역의 메인 바디(120)에 마련되어 승강 샤워부(300)의 승강 높이를 센싱하는 복수의 센서(480)와, 풀리(440)와 수동 베벨기어를 연결하는 축에 마련되어 마찰력으로 승강 샤워부(300)의 승강을 제동시키는 공지의 전자브레이크(490)를 포함한다.
승강 샤워 구동부(400)의 무게추(4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블록(SB)에 연결되어 슬라이딩 블록(SB)과 같이 승강될 수 있고, 슬라이딩 블록(SB)에 분리 가능하게 볼트 또는 나사 결합되는 커넥터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슬라이딩 블록(SB)은 무게추 가이더(470)에 끼움 맞춤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승강 샤워 구동부(400)의 센서(48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3개가 마련될 수 있다. 메인 바디(120)의 상측부에 마련되는 센서(480)는, 승강 샤워부(300)가 근접되는 것을 센싱하고, 메인 바디(120)의 하측부에 마련되는 한 쌍의 센서(480) 중 상측부에 배치되는 센서(480)는 승강 샤워부(300)가 근접되는 것을 센싱하고, 하측부에 배치되는 센서(480)는 승강 홀더(310)가 근접되면 승강 샤워부(30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디스플레이 작동 패널(5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바디(120)의 전방 영역에 마련되며, 작동 온도를 표시하는 온도 표시부(510)와, 복수의 작동 버튼(52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작동 패널(500)의 복수의 작동 버튼(520)은, 온도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버튼, 승강 샤워부(300)와 헤드 샤워부(200)를 온/오프 시키는 버튼, 승강 샤워부(300)를 승강시키거나 스탑시키는 버튼을 포함한다.
도 6은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에서 도 6과 전술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를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 예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승강 샤워부(300)는, 도 1에 도시된 위치 즉 승강 샤워 바디(320)가 샤워 트레이(112)의 수용홈(112a)에 수용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승강 샤워 바디(320)가 샤워 트레이(112)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승강 샤워 바디(320)로 인한 간섭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승강 샤워 바디(320)에 부딪히거나 승강 샤워 바디(320)에 발이 걸려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 예는 승강 샤워부(300)를 일정 높이로 상승시킨 후 노즐(330)을 통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워수를 분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승강 샤워부(300)는 샤워 트레이(112)의 상면부부터 샤워 헤드(220)에 근접한 위치까지 상승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키 높이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 일정 높이에서 원형 형태로 샤워수를 분사하므로 이전과 다른 샤워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헤드 샤워부(200)에서 사용자의 헤드 방향으로 바로 샤워수를 분사할 수 있고, 이는 승강 샤워부(300)와 같이 작동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헤드 샤워부에서 샤용자의 헤드 방향으로 샤워수를 분사함과 아울러 본체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되는 승강 샤워부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 높이 방향으로 샤워수를 분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다양한 샤워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승강 샤워부가 구비된 스탠드형 샤워기
100 : 본체 110 : 베이스부
111 : 바디 브래킷 112 : 샤워 트레이
112a : 수용홈 120 : 메인 바디
121 : 가이드 홈 130 : 샤워수 가열 및 분배부
140 : 온냉 유입구 바디 141 : 소켓
200 : 헤드 샤워부 210 : 연결 플랜지
220 : 샤워 헤드 230 : 헤드 노즐
240 : 초음파 센서 300 : 승강 샤워부
310 : 승강 홀더 320 : 승강 샤워 바디
330 : 노즐 400 : 승강 샤워 구동부
410 : 구동 모터 411 : 베벨기어
420 : 벨트부재 430 : 연결 커넥터
431 : 유로 440 : 풀리
450 : LM 가이드 451 : 연결 블록
460 : 무게추 470 : 무게추 가이더
480 : 센서 490 : 전자브레이크
500 : 디스플레이 작동 패널 510 : 온도 표시부
520 : 작동 버튼 h : 홀더
PS : 전원 공급부 SB : 슬라이딩 블록

Claims (10)

  1. 본체;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헤드 방향으로 샤워수를 분사하는 헤드 샤워부; 및
    상기 본체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어 사용자에게 샤워수를 분사하는 승강 샤워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샤워 구조물의 바닥부에 마련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 샤워부의 승강을 지지하는 메인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바닥부에 결합되는 바디 브래킷 및 상기 바디 브래킷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승강 샤워부의 일부 영역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마련된 샤워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샤워부는, 상기 메인 바디에 지지되어 승강되는 승강 홀더, 상기 승강 홀더에 마련되어 상기 승강 홀더를 통해 유입되는 샤워수를 공급시키는 승강 샤워 바디 및 상기 승강 샤워 바디에 마련되어 공급되는 샤워수를 사용자에게 분사시키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 샤워 바디는 링 형상을 갖고,
    상기 승강 샤워 바디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고,
    상기 복수의 노즐이 상기 샤워 트레이의 상면부보다 높게 위치되고,
    상기 메인 바디에는 상기 승강 샤워부의 승강 높이를 센싱하는 복수의 센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형 샤워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 홀더에는 가이드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메인 바디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에 대응되는 가이드 홈이 상기 메인 바디의 높이 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승강 샤워부의 승강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형 샤워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승강 샤워부를 상기 메인 바디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 샤워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바디에는 상기 승강 샤워 구동부의 일측부가 상기 승강 샤워부와 연결되도록 절개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형 샤워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승강 샤워 구동부는,
    상기 메인 바디에 마련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바디의 높이 방향으로 회전되는 벨트부재; 및
    일측부는 상기 벨트부재에 연결되고 타측부는 상기 절개부를 통해 상기 승강 샤워부의 승강 홀더에 연결되는 연결 커넥터를 포함하는 스탠드형 샤워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 홀더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 홀더로 샤워수를 공급시키는 승강 홀더 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 홀더 라인은 상기 메인 바디의 높이 보다 길게 마련되며, 플렉시블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형 샤워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작동 온도를 표시함과 아울러 작동 버튼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작동 패널을 더 포함하는 스탠드형 샤워기.
KR1020150032334A 2015-03-09 2015-03-09 승강 샤워부가 구비된 스탠드형 샤워기 KR101939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2334A KR101939613B1 (ko) 2015-03-09 2015-03-09 승강 샤워부가 구비된 스탠드형 샤워기
PCT/KR2016/002146 WO2016144045A1 (ko) 2015-03-09 2016-03-03 승강 샤워부가 구비된 스탠드형 샤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2334A KR101939613B1 (ko) 2015-03-09 2015-03-09 승강 샤워부가 구비된 스탠드형 샤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914A KR20160108914A (ko) 2016-09-21
KR101939613B1 true KR101939613B1 (ko) 2019-01-18

Family

ID=56879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2334A KR101939613B1 (ko) 2015-03-09 2015-03-09 승강 샤워부가 구비된 스탠드형 샤워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39613B1 (ko)
WO (1) WO20161440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6781B1 (ko) 2023-04-07 2024-04-1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형 거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76227A (zh) * 2017-12-06 2018-04-06 潘淑斐 可移动式莲蓬头
KR101986916B1 (ko) * 2017-12-14 2019-06-07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샤워 시스템
CN109259635B (zh) * 2018-10-11 2023-03-14 合肥品冠智能洗浴设备有限公司 一种互联网连接使用的淋浴屏
CN110976110B (zh) * 2019-11-26 2023-08-15 合肥荣事达电子电器集团有限公司 一种组合式洒水器及其使用方法
CN116998933A (zh) * 2022-04-29 2023-11-07 厦门松霖科技股份有限公司 沐浴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6614A (ko) * 2004-03-31 2005-10-06 삼성물산 주식회사 마사지가 가능한 멀티 샤워 시스템
KR20060126257A (ko) * 2005-06-03 2006-12-07 조재형 음이온 전신 건조기
KR100800510B1 (ko) 2006-07-06 2008-02-04 주식회사 태성기연 게이트 컨베이어
CN201167902Y (zh) * 2007-04-11 2008-12-24 万凯钧 一种水流控制器和挂墙淋浴装置
KR20130005792U (ko) * 2012-03-27 2013-10-08 김재현 전신 샤워기
KR20140102825A (ko) * 2013-02-15 2014-08-25 김복선 바디샤워 기능을 갖춘 샤워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6781B1 (ko) 2023-04-07 2024-04-1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형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44045A1 (ko) 2016-09-15
KR20160108914A (ko) 201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9613B1 (ko) 승강 샤워부가 구비된 스탠드형 샤워기
US11925175B2 (en) Water supply device for pet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10041236B2 (en) Multi-function fixture for a lavatory system
KR102074467B1 (ko) 선택 가능 위치에 세척 구역을 생성하는 식기 세척기의 장치
JP6476171B2 (ja) 蛇口一体型タッチフリー式ソープ分配システム
KR101400108B1 (ko)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
TWI753068B (zh) 具有整合式燈之水龍頭
US20150052678A1 (en) Basin and Hand Drying System
US20150313400A1 (en) Vacuum low-temperature cooker
KR20190085773A (ko)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01051B1 (ko) 욕조의 스마트 수전장치
KR20140048688A (ko) 국수 등 면을 삶는 자동 전자제어식 기계장치
US20200046172A1 (en) Multi-Function Fixture for a Lavatory System
US10697160B2 (en) Multi-function fixture for a lavatory system
CN207604783U (zh) 烹饪设备
KR20130070486A (ko) 자동 애완동물 목욕장치
US20210345581A1 (en) Water supply device for pets
US11542692B2 (en) Multi-function fixture with soap refill system
US20200002926A1 (en) Lavatory Drain System
KR101548505B1 (ko) 싱크대용 수전금구
KR101856028B1 (ko) 소변 비산 방지 유도용 소변기
US8815171B2 (en) Cast solid product dispenser
KR20060011266A (ko) 쌀 냉장고가 결합된 자동밥솥
KR20120003391U (ko) 유동방지샤워기
TWI757677B (zh) 多功能盥洗裝置及其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