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9480B1 - 초임계 유체 발포법에 의한 탁구채 제조방법 및 탁구채 패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초임계 유체 발포법에 의한 탁구채 제조방법 및 탁구채 패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9480B1
KR101939480B1 KR1020170092500A KR20170092500A KR101939480B1 KR 101939480 B1 KR101939480 B1 KR 101939480B1 KR 1020170092500 A KR1020170092500 A KR 1020170092500A KR 20170092500 A KR20170092500 A KR 20170092500A KR 101939480 B1 KR101939480 B1 KR 101939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or
pad
polymer resin
manufacturing
supercritical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국
Original Assignee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92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4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9/00Bats, rackets, or the like, not covered by groups A63B49/00 - A63B57/00
    • A63B59/40Rackets or the like with flat striking surface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table tennis
    • A63B59/42Rackets or the like with flat striking surface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table tennis with solid surfaces
    • A63B59/45Rubbe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bonding between a rubber part and the racket bod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2Bonding of a preformed macromolecular material to the same or other solid material such as metal, glass, leather, e.g. using adhesives
    • C08J5/121Bonding of a preformed macromolecular material to the same or other solid material such as metal, glass, leather, e.g. using adhesives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6Table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4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using solvents, e.g. supercritical solvents or ionic liqu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임계 유체 발포법에 의한 탁구채 및 탁구채 패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탁구채의 제조방법은 라켓; 상기 라켓 일면 상에 제1 패드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패드 상에 제2 패드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패드는 반응기에 고분자 수지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반응기를 가열하여 상기 고분자 수지를 녹이는 단계; 상기 반응기에 초임계 유체를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반응기를 가압 및 가열하는 단계;를 통해 형성되되, 균일하고 닫힌 셀을 유지한 발포 셀을 제조할 수 있어 탁구채 패드의 반발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장시간 사용에 따른 탁구채 패드의 기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초임계 유체 발포법에 의한 탁구채 제조방법 및 탁구채 패드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FOR PINPONG RACKET USING SUPERCRITICAL FLUID PROCES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FOR PINPONG RACKET RUBBER}
본 발명은 초임계 유체 발포법에 의한 탁구채의 제조방법 및 탁구채 패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탁구채는 그립을 갖는 본체와, 이 본체의 패드장착면에 고정된 패드로 구성되어 있다. 탁구채 패드는 발포패드와 고체(solid) 패드가 겹쳐서 구성되어 탁구공에 대한 반발탄성 및 그립(grip)성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발포 패드에서의 셀(cell)의 균일성과 크기가 중요한 변수이다.
종래의 탁구채 패드의 제조방법으로써 발포 패드 제조법은 화학적 발포로서 셀의 크기와 분산이 균일하지 못하여 탁구채의 기능을 떨어뜨린다. 더구나 장시간 사용에 따라 셀 벽이 무너져 탁구채 기능에 지장을 나타낸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87670호는 OH 값이 300~800mg KOH/g인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 아민계 가교폴리올, 인계 난연제, 멜라민계 난연제, 정포제, 가교제촉매, 무기첨가제 및 물을 10 : 1~40 : 1~40 : 0.2~30 : 0.1~4 : 0.02~6 : 0.1~4 : 0.02~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한 점도가 1,000 ~ 20,000cps인 A액을 제조하는 A액제조단계와; NCO가 30~32중량%인 이소시아네이트 20~50중량%를 주성분으로 한 점도가 100~500cps인 B액을 제조하는 B액 제조단계와; A액과 B액의 혼합총량 100 부피비를 기준으로 A액 또는 B액에 1.0~80 부피비의 발포 충진 기체를 물리적으로 미세 기포화하여 주입, 분산시키는 기체주입단계와; 밀폐된 믹싱헤드 내부에 상기 A액의 폴리올과 B액의 이소시아네이트의 당량비를 기준으로 1 : 1 ~ 1.5의 비율이 되도록 상기 A액과 B액을 혼합단계와; 믹싱헤드 내부에서 상기 발포 충진 기체로 하여금 A액의 물과 B액의 이소시아네이트의 화학적 반응으로 생성된 이산화탄소와 함께 발포기체로 작용하거나 반응에 의해 형성된 닫힌 셀(Closed Cell, 독립기포셀)의 충진기체로 작용하도록 한 후 몰드에 공급하여 숙성 및 경화시키는 마무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냉동 컨테이너 단열재용 우레탄 발포체의 제조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화학적 발포에 따른 발포체를 탁구채 패드로 사용하는 경우 발포체의 셀 형성이 균일하지 못하고 탁구채의 장시간 사용시 셀벽이 무너져 탁구채의 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 특허 공보 제10-1687670호
본 발명은 탁구채 패드의 반발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장시간 사용에 따른 탁구채 패드의 기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초임계 유체 발포법에 의한 탁구채 패드를 포함하는 탁구채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탁구채의 제조방법은 라켓; 상기 라켓 일면 상에 제1 패드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패드 상에 제2 패드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패드는, 반응기에 고분자 수지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반응기를 가열하여 상기 고분자 수지를 녹이는 단계, 상기 반응기에 초임계 유체를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반응기를 가압 및 가열하는 단계를 통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초임계 유체는 초임계 질소, 초임계 이산화탄소, 초임계 이소부탄, 초임계 부탄, 초임계 프로판, 초임계 펜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기를 가압 및 가열하는 단계는, 반응기 내부의 압력을 10 Mpa 내지 30 Mpa 로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기를 가압 및 가열하는 단계는, 반응기 내부의 온도를 70 내지 160℃ 로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수지는 천연 패드, 폴리 이소프렌, 폴리 부타디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 클로로프렌,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르는 탁구채 패드의 제조방법은 반응기에 고분자 수지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반응기를 가열하여 상기 고분자 수지를 녹이는 단계; 상기 반응기에 초임계 유체를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반응기를 가압 및 가열하는 단계;를 통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탁구채의 제조방법은 균일하고 닫힌 셀을 유지한 발포 셀을 포함하는 탁구채 패드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탁구채 패드는 반발탄성이 뛰어나고, 장시간 사용에 따른 탁구채 패드의 기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초임계 유체를 사용한 발포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탁구채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패드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3a는 화학적발포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닫힌 셀(Close Cell) 구조를 갖는 발포체의 주사전자현미경사진이다.
도 3b는 화학적발포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닫힌 셀(Close Cell) 구조를 갖는 발포체의 주사전자현미경사진이다.
도 4는 닫힌 셀(Close Cell) 구조를 갖는 화학 발포를 이용한 발포체를 포함하는 탁구채 표면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 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탁구채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탁구채의 제조방법은 라켓; 상기 라켓 일면 상에 제1 패드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패드 상에 제2 패드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패드는, 반응기에 고분자 수지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반응기를 가열하여 상기 고분자 수지를 녹이는 단계, 상기 반응기에 초임계 유체를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반응기를 가압 및 가열하는 단계를 통해 형성된다.
상기 초임계 유체는 임계점 이상의 온도와 압력에서 기체와 액체의 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초임계 유체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초임계 유체를 사용하는 고분자 수지 발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발포장치는 초임계 유체 보관 용기(110), 스프링 펌프(120), 반응기(130) 및 가열 시스템(140)을 포함한다. 상기 초임계 유체 보관 용기(110)는 가열 및 가압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초임계 유체 보관 용기(110)에서 스프링 펌프(120)를 통해 반응기에 배치된 고분자 수지에 가압 상태로 주입될 수 있고, 반응기에 배치된 고분자 수지 및 주입된 초임계 유체는 가열 시스템을 통해 가열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수지는 천연 고무, 폴리 이소프렌(Polyisoprene), 폴리 부타디엔(poly butadiene),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Styrene-butadiene copolymer),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ethylene-propylene-diene copolymer),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ethylene-propylene copolymer), 폴리클로로프렌(polychloroprene),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styrene-based thermoplastic elastomer) 및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olefinic thermoplastic elastom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응기(130)를 가열하여 상기 고분자 수지를 녹이는 단계는 가열 시스템(140)으로 가열하여 온도 70℃ 내지 160℃ 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가열하는 온도가 70℃ 미만이면 상기 고분자 수지에 초임계 유체의 용해도가 충분히 높지 않아 고분자 수지 내에 기공이 형성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가열하는 온도가 160℃를 초과하면 일부 고분자 수지의 용융점(Tm)을 초과하여 액상화 하여 초임계유체의 침투가 용이하지 않아 마찬가지로 고분자 수지 내에 기공 형성이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초임계 유체는 초임계 질소, 초임계 이산화탄소, 초임계 이소부탄, 초임계 부탄, 초임계 프로판, 초임계 펜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종래의 탁구채의 발포패드 제조방법은 화학적 발포로서 셀의 크기와 분산이 균일하지 못하여 탁구채의 기능을 떨어뜨린다. 종래의 발포패드는 셀의 크기와 분산이 균일하지 못하여, 반복적인 사용 시 및 장시간 사용에 따라 셀벽이 무너져 탁구채 기능에 지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탁구채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패드는 이러한 단점을 방지하고자 초임계 유체를 사용하여 발포 셀을 닫힌 셀(close cell)로 유지하고 균일성을 좋게 함으로써 탁구채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탁구채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탁구채 패드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탁구채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탁구채 패드의 셀은 약 70-100㎛의 크기로 균일하게 분포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탁구채 패드의 셀의 균일성과 크기로 인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탁구채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탁구채 패드는 반발탄성이 향상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반응기(130)를 가압 및 가열하는 단계는, 펌프(120)를 통해 반응기 내부의 압력을 10 Mpa 내지 30 Mpa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반응기(130)를 가압 및 가열하는 단계에서 압력이 10 Mpa 미만인 경우에는 초임계 유체의 용해도가 낮아 셀 형성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고, 압력이 30 Mpa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압력이 낮은 경우와 반대로 고분자 수지 내의 기공률이 너무 높아져, 닫힌 셀의 형성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반응기(130)를 가압 및 가열하는 단계는, 열교환기(140)를 통해 반응기 내부의 온도를 70 내지 160℃ 로 가열할 수 있다.
상기 가열하는 온도가 70℃ 미만이면 상기 고분자 수지에 초임계 유체의 용해도가 충분히 높지 않아 고분자 수지 내에 기공이 형성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가열하는 온도가 160℃를 초과하면 일부 고분자 수지의 용융점(Tm)을 초과하여 마찬가지지로 고분자 수지 내에 기공 형성이 어려울 수 있다.
탁구채 패드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르는 탁구채 패드의 제조방법은 반응기에 고분자 수지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반응기를 가열하여 상기 고분자 수지를 녹이는 단계; 상기 반응기에 초임계 유체를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반응기를 가압 및 가열하는 단계;를 통해 형성된다.
상기 초임계 유체는 임계점 이상의 온도와 압력에서 기체와 액체의 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초임계 유체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초임계 유체를 사용하는 고분자 수지 발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발포장치는 초임계 유체 보관 용기(110), 스프링 펌프(120), 반응기(130) 및 가열 시스템(140)을 포함한다. 상기 초임계 유체 보관 용기(110)는 가열 및 가압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초임계 유체 보관 용기(110)에서 스프링 펌프(120)를 통해 반응기에 배치된 고분자 수지에 가압 상태로 주입될 수 있고, 반응기에 배치된 고분자 수지 및 주입된 초임계 유체는 가열 시스템을 통해 가열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수지는 천연 고무, 폴리 이소프렌(Polyisoprene), 폴리 부타디엔(poly butadiene),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Styrene-butadiene copolymer),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ethylene-propylene-diene copolymer),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ethylene-propylene copolymer), 폴리클로로프렌(polychloroprene),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styrene-based thermoplastic elastomer) 및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olefinic thermoplastic elastom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응기(130)를 가열하여 상기 고분자 수지를 녹이는 단계는 가열 시스템(140)으로 가열하여 온도 70℃ 내지 160℃ 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가열하는 온도가 70℃ 미만이면 상기 고분자 수지에 초임계 유체의 용해도가 충분히 높지 않아 고분자 수지 내에 기공이 형성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가열하는 온도가 160℃를 초과하면 일부 고분자 수지의 용융점(Tm)을 초과하여 액상화 하여 초임계유체의 침투가 용이하지 않아 마찬가지로 고분자 수지 내에 기공 형성이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초임계 유체는 초임계 질소, 초임계 이산화탄소, 초임계 이소부탄, 초임계 부탄, 초임계 프로판, 초임계 펜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종래의 탁구채의 발포패드 제조방법은 화학적 발포로서 셀의 크기와 분산이 균일하지 못하여 탁구채의 기능을 떨어뜨린다. 종래의 발포패드는 셀의 크기와 분산이 균일하지 못하여, 반복적인 사용 시 및 장시간 사용에 따라 셀벽이 무너져 탁구채 기능에 지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탁구채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패드는 이러한 단점을 방지하고자 초임계 유체를 사용하여 발포 셀을 닫힌 셀(close cell)로 유지하고 균일성을 좋게 함으로써 탁구채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탁구채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탁구채 패드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탁구채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탁구채 패드의 셀은 약 70-100㎛의 크기로 균일하게 분포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탁구채 패드의 셀의 균일성과 크기로 인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탁구채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탁구채 패드는 반발탄성이 향상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반응기(130)를 가압 및 가열하는 단계는, 펌프(120)를 통해 반응기 내부의 압력을 10 Mpa 내지 30 Mpa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반응기(130)를 가압 및 가열하는 단계에서 압력이 10 Mpa 미만인 경우에는 초임계 유체의 용해도가 낮아 셀 형성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고, 압력이 30 Mpa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압력이 낮은 경우와 반대로 고분자 수지 내의 기공률이 너무 높아져, 닫힌 셀의 형성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반응기(130)를 가압 및 가열하는 단계는, 열교환기(140)를 통해 반응기 내부의 온도를 70 내지 160℃ 로 가열할 수 있다.
상기 가열하는 온도가 70℃ 미만이면 상기 고분자 수지에 초임계 유체의 용해도가 충분히 높지 않아 고분자 수지 내에 기공이 형성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가열하는 온도가 160 ℃를 초과하면 일부 고분자 수지의 용융점(Tm)을 초과하여 마찬가지지로 고분자 수지내에 기공 형성이 어려울 수 있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탁구채의 제조방법의 기술적 특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초임계 유체 발포 패드의 제조
도 1에 도시된 초임게 유체를 사용한 발포장치 이용하여 고분자 초임계발포를 실시하였다. 고분자수지로는 EVA(에틸렌 비닐 아세데이트 ) 60% 중량부, CPE(염소화 폴리에틸렌) 20% 중량부, 폴리올레핀수지(POE) 20% 중량부 의 수지에 N2가스 를 120℃ 20 Mpa의 압력으로 초임계화 하여 4시간 동안 발포를 실시하였다
이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조사한 결과 도 2와 같이 셀이 균일하게 나타났으며 약 70-100㎛로 분포되었고,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닫힌 셀로 형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1> 화학 발포 패드의 제조
실시예 1과 같은 재료로 초임계발포와 화학적발포 샘플을 비교하기 위하여 초임계유체 대신 화학발포제 DCP(dicumyl' peroxide) 2phr를 사용하여 발포를 하였다. 시험은 혼합기에서 혼합한 후 혼합된 혼합체를 핫프레스를 이용하여 150℃로 10분간 실시하였다.
도 3a 및 도 3b는 화학적발포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닫힌 셀(Close Cell) 구조를 갖는 발포체의 주사전자현미경사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광학헌미경 사진의 관찰을 통해 발포체에 커다란 구멍체가 분포되고 셀벽이 터진 열린셀(open cell)이 분포되어 있음을 나타내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방법으로 탁구채 고무의 발포면을 제조하는데에는 상당한 기술 및 가교발포기술이 필요하다.
비교예 2 - 화학 발포체를 갖는 탁구채 패드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탁구채 패드를 준비하였다. 상기 탁구채 패드를 주사현미경으로 촬영하였고, 이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사진의 분석결과 셀은 모두 닫힌셀로 나타났으며 크기는 약 100㎛ 정도로 비교적 균일하게 나타나 있고, 셀벽이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약해 장기적으로 탁구채 고무로 사용할 시 셀벽이 무너질 가능성이 많고 탁구공의 반발탄성도 크지 않을 수 있다.
실험 예 - 발포체 비교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의해 제조된 발포체의 기공 크기 및 분포를 비교하기 위하여,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으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의해 제조된 발포체의 발포 셀의 평균 크기 및 분포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의해 제조된 발포체의 밀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영상분석법(image analysis) 방법으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의해 제조된 발포체의 발포 셀의 밀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의해 제조된 발포체의 경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쇼어 경도계를 이용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의해 제조된 발포체의 쇼어 C 경도 값을 측정하였고, 밀도는 비중측정기를 사용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비교예 1
기공 크기(pore size, ㎛) 80 150
밀도 (g/cm3) 0.145 0.146
경도 (shore C) 46 42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비교예 1에 비해 실시예 1의 셀의 크기가 더 작고, 셀 크기 분포가 더 균일함을 알 수 있다. 측정된 밀도는 거의 동일한 값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탁구채 패드의 발포체는 쇼어 C형 경도계로 측정한 평균 경도 값이 46이고, 비교예 1에 의한 발포체는 평균 경도 값이 42로, 실시예 1에 의한 탁구채 패드의 경도 값이 약 9.5% 높았다. 상기한 경도 값은 향상된 반발탄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탁구채 패드의 제조방법은 균일하고 닫힌 셀을 유지한 발포 셀을 제조할 수 있고, 탁구채 패드의 반발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장시간 사용에 따른 탁구채 패드의 기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가스용기
120: 펌프
130: 반응기
140: 열교환기

Claims (6)

  1. 라켓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라켓 일면 상에 제1 패드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패드 상에 제2 패드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패드는,
    반응기에 고분자 수지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반응기를 가열하여 상기 고분자 수지를 녹이는 단계,
    상기 반응기에 초임계 유체를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반응기를 10 Mpa 내지 30 Mpa로 가압 및 70 내지 160℃로 가열하는 단계;를 통해 형성되는 탁구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60 중량%, 염소화폴리에틸렌 20 중량% 및 폴리올레핀수지 20 중량%로 이루어진 고분자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채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임계 유체는 초임계 질소, 초임계 이산화탄소, 초임계 이소부탄, 초임계 부탄, 초임계 프로판, 초임계 펜탄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채의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반응기에 고분자 수지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반응기를 가열하여 상기 고분자 수지를 녹이는 단계;
    상기 반응기에 초임계 유체를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반응기를 10 Mpa 내지 30 Mpa로 가압 및 70 내지 160℃로 가열하는 단계;를 통해 형성되는 탁구채 패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60 중량%, 염소화폴리에틸렌 20 중량% 및 폴리올레핀수지 20 중량%로 이루어진 고분자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채 패드의 제조방법.





KR1020170092500A 2017-07-21 2017-07-21 초임계 유체 발포법에 의한 탁구채 제조방법 및 탁구채 패드의 제조방법 KR101939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500A KR101939480B1 (ko) 2017-07-21 2017-07-21 초임계 유체 발포법에 의한 탁구채 제조방법 및 탁구채 패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500A KR101939480B1 (ko) 2017-07-21 2017-07-21 초임계 유체 발포법에 의한 탁구채 제조방법 및 탁구채 패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9480B1 true KR101939480B1 (ko) 2019-01-16

Family

ID=65280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500A KR101939480B1 (ko) 2017-07-21 2017-07-21 초임계 유체 발포법에 의한 탁구채 제조방법 및 탁구채 패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480B1 (ko)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1823A (ja) * 2001-12-10 2003-06-20 Toyobo Co Ltd ポリベンザゾール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70033868A (ko) * 2005-09-22 2007-03-27 애드코 고키 가부시키가이샤 탁구용 라켓, 라켓 본체 및 러버
KR20120078772A (ko) * 2011-01-02 2012-07-11 김재규 탁구 라켓용 러버 및 탁구 라켓
JP2013035907A (ja) * 2011-08-05 2013-02-21 Polytec Design:Kk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を被覆された架橋ゴム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53648A (ko) * 2011-11-15 2013-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발포 사출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2013240548A (ja) * 2012-05-17 2013-12-05 Toshihiro Inoue 卓球ラケットおよび卓球用ブレードならびに卓球用ブレードに接着されたラバーの厚さを測定する方法
KR20140000889U (ko) * 2012-07-30 2014-02-07 정명선 탁구라켓 보호캡 및 이를 부착한 탁구라켓
KR101425039B1 (ko) * 2013-01-28 2014-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포성형방법, 발포제 및 발포 플라스틱
KR101495452B1 (ko) * 2010-09-10 2015-03-02 플레이텍스 프라덕츠, 엘엘씨 초임계 유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펠렛 및 그 제조 및 사용 방법
JP2015519444A (ja) * 2013-04-19 2015-07-09 无錫市科恩塑膠有限公司Wu Xi Cohen Plastic Co.,Ltd. 卓球用酢酸セルロース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60040639A (ko) * 2013-08-02 2016-04-14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열가소성 발포 물품의 제조 방법 및 열가소성 발포 물품
JP2016209493A (ja) * 2015-04-30 2016-12-15 敏靖 清水 卓球ラケット用ラバー表面保護フィルム
KR101687670B1 (ko) 2016-02-26 2016-12-20 재단법인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냉동 컨테이너 단열재용 우레탄 발포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1823A (ja) * 2001-12-10 2003-06-20 Toyobo Co Ltd ポリベンザゾール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70033868A (ko) * 2005-09-22 2007-03-27 애드코 고키 가부시키가이샤 탁구용 라켓, 라켓 본체 및 러버
KR101495452B1 (ko) * 2010-09-10 2015-03-02 플레이텍스 프라덕츠, 엘엘씨 초임계 유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펠렛 및 그 제조 및 사용 방법
KR20120078772A (ko) * 2011-01-02 2012-07-11 김재규 탁구 라켓용 러버 및 탁구 라켓
JP2013035907A (ja) * 2011-08-05 2013-02-21 Polytec Design:Kk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を被覆された架橋ゴム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53648A (ko) * 2011-11-15 2013-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발포 사출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2013240548A (ja) * 2012-05-17 2013-12-05 Toshihiro Inoue 卓球ラケットおよび卓球用ブレードならびに卓球用ブレードに接着されたラバーの厚さを測定する方法
KR20140000889U (ko) * 2012-07-30 2014-02-07 정명선 탁구라켓 보호캡 및 이를 부착한 탁구라켓
KR101425039B1 (ko) * 2013-01-28 2014-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포성형방법, 발포제 및 발포 플라스틱
JP2015519444A (ja) * 2013-04-19 2015-07-09 无錫市科恩塑膠有限公司Wu Xi Cohen Plastic Co.,Ltd. 卓球用酢酸セルロース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60040639A (ko) * 2013-08-02 2016-04-14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열가소성 발포 물품의 제조 방법 및 열가소성 발포 물품
JP2016209493A (ja) * 2015-04-30 2016-12-15 敏靖 清水 卓球ラケット用ラバー表面保護フィルム
KR101687670B1 (ko) 2016-02-26 2016-12-20 재단법인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냉동 컨테이너 단열재용 우레탄 발포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36601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39131B1 (ko) 우레탄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조성물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
US7867416B2 (en)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for core-back system foam injection molding and foam injection molding method using the same
CN104877335B (zh) 一种热塑性聚氨酯弹性体发泡珠粒及其制备方法
KR100798204B1 (ko) 폴리올레핀 수지 발포체용 조성물, 폴리올레핀 수지발포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1184574A (ja) 架橋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
US11458657B2 (en) Method of microcellular foam molding
BR112017027368B1 (pt) Composição de espuma, artigo e método de fabricação de uma composição de espuma
US20150064435A1 (en) Porous body
KR102174958B1 (ko) 결함 발생을 최소화시키는 연마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327296B (zh) 一种混炼型聚氨酯泡沫材料及其制备方法
CN115011024B (zh) 一种聚烯烃系树脂发泡片材及其制造方法
JP6394150B2 (ja) 発泡体、それからなる積層体、成形体及び自動車内装材
KR101939480B1 (ko) 초임계 유체 발포법에 의한 탁구채 제조방법 및 탁구채 패드의 제조방법
TW201814001A (zh) 發泡體用摻合物、由其製造之發泡體及包括其之物品
CN109021379A (zh) 辐射交联聚丙烯发泡材料、制备方法及其应用
KR101574493B1 (ko) 액상 화장료 담지용 발포폼의 제조방법 및 그 발포폼
US2140062A (en) Manufacture of rubber products, more particularly of porous and spongy masses and articles
KR101881007B1 (ko)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중합 발포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100917143B1 (ko) 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
JP4837644B2 (ja) コアバック型射出発泡成形用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を用いた射出発泡成形方法
JP4615112B2 (ja) ゴム系発泡体
KR101928926B1 (ko)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발포입자
CN115678083B (zh) 一种倍率可调的pbat高回弹片材的制备方法及其产品
JP2000044713A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架橋発泡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