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3868A - 탁구용 라켓, 라켓 본체 및 러버 - Google Patents

탁구용 라켓, 라켓 본체 및 러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3868A
KR20070033868A KR1020060041144A KR20060041144A KR20070033868A KR 20070033868 A KR20070033868 A KR 20070033868A KR 1020060041144 A KR1020060041144 A KR 1020060041144A KR 20060041144 A KR20060041144 A KR 20060041144A KR 20070033868 A KR20070033868 A KR 20070033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et
rubber
main body
table tennis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1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8493B1 (ko
Inventor
키요타카 요시하라
나오코 오카다
Original Assignee
애드코 고키 가부시키가이샤
키요타카 요시하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드코 고키 가부시키가이샤, 키요타카 요시하라 filed Critical 애드코 고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33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3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8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8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9/00Bats, rackets, or the like, not covered by groups A63B49/00 - A63B57/00
    • A63B59/40Rackets or the like with flat striking surface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table tennis
    • A63B59/42Rackets or the like with flat striking surface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table tennis with solid surfaces
    • A63B59/45Rubbe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bonding between a rubber part and the racket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9/00Bats, rackets, or the like, not covered by groups A63B49/00 - A63B57/00
    • A63B59/40Rackets or the like with flat striking surface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table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6Table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1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with adhesive type surfaces, i.e. hook and loop-type fasten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가스를 발생하지 않고 러버의 교체가 용이한 탁구용 라켓을 제공한다.
라켓 본체(3) 및 러버(4)는 서로 대면하는 면이 마이크로 발포체의 미세한 요철면으로 구성되며, 이들 사이의 진공에 의한 흡착력에 의해 러버(4)가 라켓 본체(3)에 대해 박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Description

탁구용 라켓, 라켓 본체 및 러버{Racket, Blade and Rubber For Table Tennis}
도 1은 라켓 본체와의 사이에 진공에 의한 흡착력을 사용해 러버를 라켓 본체에 고정하는 모양을 채용한 실시예의 탁구용 라켓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라켓의 러버를 일부 들어올린 상태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로 채용한 시트상의 탄성 재료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마이크로 발포체의 표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6은 마이크로 발포체의 미세한 요철면 끼리의 사이를 진공에 의한 흡착으로 러버를 라켓 본체에 대해 박리 가능하게 고정한 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마이크로 발포체의 미세한 요철면과 평활 필름과의 사이를 진공에 의한 흡착으로 러버를 라켓 본체에 대해 박리 가능하게 고정한 예의 모양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마이크로 발포체의 미세한 요철면과 평활한 도포막과의 사이를 진공에 의한 흡착으로 러버를 라켓 본체에 대해 박리 가능하게 고정한 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러버 또는 라켓 본체에 분사에 의한 코팅으로 평활면을 형성하고, 다른 쪽에 미세한 요철면을 갖는 탄성 재료(또는 평활 필름)를 첩착함으로써 진공에 의한 흡착으로 러버를 라켓 본체에 대해 박리 가능하게 고정한 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면패스너에 의해 러버를 라켓 본체에 대해 박리 가능하게 고정한 예의 방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러버 또는 라켓 본체의 어느 한 쪽에 자성층을 형성하고, 다른 쪽에 예를 들면 금속분말을 포함한 피흡착층을 형성해, 자력에 의해 러버를 라켓 본체에 대해 박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방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러버와 라켓 본체를 요철 감합에 의해 박리 가능하게 고정한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탁구용 라켓 3 라켓 본체 4 러버
10 시트상의 탄성 재료 11 기재층
12 탄발층 13 점착층 16 평활한 도포막(옻칠)
17 유리분말 등의 분체 18 면패스너(루프)
19 면패스너(갈고리 섬유) 20 자성층(자성분말 함유)
21 피흡착층(금속분말 함유)
[특허문헌1] 실개평7-24360호 공보
[특허문헌2] 특개평7-67994호 공보
본 발명은 탁구 라켓, 라켓 본체 및 러버에 관한 것이다.
탁구 라켓은 그립을 갖는 라켓 본체와, 이 라켓 본체의 러버 장착면에 고정된 러버로 구성되어 있다. 탁구 경기에 출장하는 선수에게 있어서 러버는 소모품이며, 러버를 빈번히 교환하고 있다. 러버는 전형적으로는 점착제를 사용해 라켓 본체에 고정된다. 가장 보급되어 있는 점착제는 휘발성 유기용제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특허 문헌1에서도 지적하고 있듯이, 러버를 교체할 때 발생하는 가스에 의해 환경이 오염된다고 하는 문제가 지적되어, 국제 탁구 연맹은 유기용제를 이용한 점착제의 사용금지를 결정하였다.
탁구 용품 업계는 이미 유기용제를 포함하지 않는 점착제의 개발에 착수하였고, 예를 들면 유기용제 대신에 물을 사용한 점착제가 출현하였다. 이 수성 점착제는 건조하기까지 약 1시간이 필요하다고 하는 문제점 외에, 선수가 사용하는 라켓 본체의 대부분이 목제이기 때문에 러버를 교체할 때마다 라켓 본체에 침입하는 수분에 의해 라켓 본체의 특성 등이 변화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라켓 본체에 러버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양면 점착 필름이나 고형의 점착제가 시판되고 있다. 양면 점착 필름은 특허문헌 2에서도 지적하고 있듯이, 러버를 라켓 본체로부터 벗길 때에 러버의 박리가 곤란하여, 러버의 교체작업에 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지금 현재까지 넓게 보급하는데 이르지 못했다. 한편, 고형의 점착제는 러버를 라켓 본체로부터 당겨 벗기면 점착제의 일부가 라켓 본체에 남는 「풀 잔유물」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 고형의 점착제도 보급하기에 이르지 못한 실상이다.
자신의 스윙이나 그립이나 전형에 합치한 라켓 본체를 만나는 것은 선수에게 있어서 일생 중에서 몇 번 없기 때문에, 소중한 라켓 본체가 러버의 교체에 수반하여 훼손이나 특성의 변화로 인해 폐기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몰리는 것은 선수에게 있어서 허락하기 어려운 것이다.
또한, 탁구 경기장에서 러버의 교체를 급하게 실시할 필요를 느끼기도 하기 때문에, 선수에게 있어서 러버의 교체작업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은 중요한 것이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금 현재 심각한 문제로 제기되고 있는 러버의 교체에 수반하는 가스 오염의 문제를 해소하면서 간단하게 러버의 교체가 가능한 탁구용 라켓, 라켓 본체 및 러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러버의 교체에 수반하여 라켓 본체를 손상시킬 우려가 없는 탁구용 라켓, 라켓 본체 및 러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라켓 본체에 흔적을 남기지 않고 러버의 교체를 극히 단시간에 실시할 수 있는 탁구용 라켓, 라켓 본체 및 러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르면, 기본적으로는,
라켓 본체와, 상기 라켓 본체에 장착된 러버를 포함한 탁구 라켓을 전제로 하여,
상기 러버가 상기 라켓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라켓 본체와 상기 러버가 상기 러버를 상기 라켓 본체로부터 당겨 벗겼을 때에 상기 라켓 본체에 흔적을 남기지 않는 물리적인 수단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 라켓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러버를 라켓 본체로부터 당겨 벗겼을 때에 라켓 본체에 흔적을 남기지 않는 물리적인 수단의 가장 전형적인 예로는, 진공에 의한 흡착력에 근거하는 고정 수단, 자력에 의한 흡착(자성 흡착) 현상을 사용한 고정 수단, 면패스너에 의한 고정 수단, 및 요철 감합에 의한 고정 수단을 예시적으로 들 수 있다.
또한, 러버를 라켓 본체로부터 당겨 벗겼을 때에 라켓 본체에 흔적을 남기지 않는 물리적인 수단의 다른 예로서, 현재 입수 가능한 포스트잇(등록상표)이나 풀 잔유물이 없는 테이프를 이용할 있고, 간단하게 박리시킬 수 있는 한편 벗겼을 때에 풀 잔유물이 없는 비교적 약한 점착력을 발휘하는 감압 점착제를 사용해 러버를 라켓 본체에 고정해도 괜찮다. 이 경우, 러버의 저면을 감압 점착제층으로 구성하거나, 감압 점착제를 도포한 필름을 러버의 저면에 첩착한 점착성의 러버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압 점착제층을 갖는 러버를 구입한 사용자는 이것을 라켓 본체에 누름으로써 간단하고 또한 아무런 가스를 발생하지 않고 라켓 본체에 고정 할 수 있다. 물론, 이 감압 점착 러버를 붙이는데 매우 적합한 라켓 본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체제를 만드는 것이 좋고, 이런 종류의 라켓 본체에는 라켓 본체의 러버 장착면을 평활한 필름이나 코팅하여 구성하는 것이 좋은데, 그로 인해 새로운 감압 점착 러버를 붙이는 데에 즈음하여 타올 등으로 닦음으로써 라켓 본체의 러버 장착면을 깨끗하게 하는 것이 용이하다.
예를 들면, 러버를 라켓 본체에 대해 진공에 의한 흡착력으로 고정한다면, 예를 들어 수많은 미세한 요철면 끼리의 편성, 평활면 끼리의 편성, 미세한 요철면과 평활면과의 편성에 의해 진공에 의한 흡착 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라켓 본체의 러버 장착면이나 러버에 플라스틱 필름을 첩착하거나, 혹은 예를 들면 옻칠 등으로 코팅해 평활면을 형성하는 등의 방법으로 평활면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러버의 저면에 수많은 미세한 구멍을 갖는 탄성 재료를 첩착함으로써 미세한 요철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자력에 의한 흡착력으로 고정한다면, 자성분말 등의 자성체를 포함한 면과, 금속분말 등의 자력에 의해 흡착 가능한 재료를 포함한 면과의 편성에 의한 자성 흡착 현상을 사용해 러버를 라켓 본체에 흡착시킬 수 있다.
또한, 양면 패스너에 의한 고정 수단의 예로서, 예를 들면 갈고리 선단을 갖는 수많은 섬유상 돌기와, 이 섬유상 돌기의 갈고리 선단이 계합하는 수많은 루프와의 편성을 들 수 있다.
또한, 요철 감합에 의한 고정 수단의 예로서, 서로 감합하는 철부, 요부를 포함한 2종류의 성형 재료의 한 쪽을 라켓 본체에 첩착하고, 다른 쪽을 러버에 첩 착하는 것으로 실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라켓 본체에 대해 흡착력(진공 흡착, 자성 흡착을 포함함), 기계적인 계합, 요철 감합, 풀 잔유물 없는 감압 점착제 등에 의한 물리적인 또는 기계적인 힘을 사용해 러버를 고정하는 것에 특징을 갖는다. 이것에 의해 러버를 교환할 때 유기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단지 러버에 대해 당겨 벗기는 힘을 작용시키는 것만으로, 라켓 본체에 대해 아무런 흔적을 남기지 않고 러버를 당겨 벗길 수 있고, 또한 새로운 러버를 라켓 본체에 장착하는 것도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단시간에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작용 효과는 이하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밝혀진다.
첨부의 도면에 근거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의 탁구용 라켓(1)을 나타낸다. 라켓(1)은 그립(2)을 갖는 라켓 본체(3)와, 라켓 본체(3)의 러버 장착면(3a)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러버(4)로 구성되어 있다.
러버(4)는 선수에 따라 라켓 본체(3)의 한쪽 면에만 붙이는 경우와 양쪽 면에 붙이는 경우가 있고, 또한 사용하는 러버(4)도 소프트 타입과 하드 타입이 알려져 있어 선수의 선택에 맡기고 있다.
라켓 본체(3)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임의의 라켓 본체를 이용할 수 있지만, 이 라켓 본체(3)는 전형적으로는 얇은 나무판을 적층해 만들어지지만 한 장의 판재로 만들어져 있어도 괜찮다. 라켓 본체(3)는 러버(4)를 장착하는 러버 장착면(3a)이 후에 설명하는 흡착면으로 구성되며, 이 흡착면은 수많은 미세한 구멍을 갖 는 탄성 재료의 요철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러버(4)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구성을 포함해, 전형적으로는 스펀지층과 고무층의 적층구조를 가지고 있다. 러버(4)는 그 저면 즉 라켓 본체(3)에 고정하는 측의 면이 후에 설명하는 흡착면(4a)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라켓 본체(3) 및 러버(4)가 모두 흡착면(3a, 4a)을 갖고 있기 때문에, 라켓 본체(3)에 대한 러버(4)의 고정은 물리적인 진공작용에 의한 흡착 현상을 사용해 행해지게 된다. 따라서, 러버(4)의 교체시에 러버(4)에 대해 그 흡착력을 초과하는 당겨 벗기는 힘을 러버(4)에 부가함으로써, 러버(4)를 라켓 본체(3)로부터 박리할 수 있고, 또한 러버(4)를 박리시킨 후에 라켓 본체(3)에 아무런 흔적을 남기지도 않는다. 새로운 러버(4)를 라켓 본체(3)에 장착할 때에는, 새로운 러버(4)를 라켓 본체(3)에 배치한 후에 러버(4)를 위에서 가볍게 누름으로써, 러버(4)가 라켓 본체(3)에 제대로 고정된 탁구용 라켓(1)이 된다. 물론, 이 실시예에서는 종래의 점착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러버(4)를 라켓 본체(3)에 장착할 때에 종래와 같이 유기용제가 휘발하여 가스를 발생하지 않아 환경을 오염시킬 우려가 전혀 없다.
라켓 본체(3) 및 러버(4)의 흡착면(3a, 4a)을 모두 평활면으로 구성해도 괜찮지만, 예를 들면 라켓 본체(3) 및 러버(4)의 흡착면(3a, 4a)의 어느 한쪽에 흡착수면을 형성해도 괜찮다. 이 흡착수면을 만드는데, 표면의 평활도가 높은 예를 들면 PP이나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같은 플라스틱 필름을 라켓 본체(3) 또는 러버(4)에 접착해도 괜찮고, 또한 옻칠이나 치밀한 조직의 플라스틱 재료 등을 도포해 평 활한 도포막을 형성하는 도장이나, 연마성이 뛰어난 한편 톨루엔 등의 유기용제가 없는 예를 들면 2액형 폴리우레탄 수지 도료를 도포해 이것이 경화한 후에 연마해 평활면을 형성해도 괜찮다.
도 4는 라켓 본체(3) 및/또는 러버(4)에 흡착면(3a, 4a)을 만드는데 매우 적합한 미세한 요철표면을 갖는 시트상의 탄성 재료(10)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한 탄성 재료(10)는 예를 들면 PP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PET 필름),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같이 얇은 기재층(11)의 일면에 수많은 미세한 구멍을 갖는 탄발층(12)을 가지며, 다른 면에 아크릴 수지계,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크릴 공중합 체계의 점착제로 구성된 점착층(13)을 갖는다. 실시예에서는, 탄발층(12)은 아크릴계 수지, 예를 들면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수지, 카본, 안료를 포함한 재료의 마이크로 발포체로 구성되며, 이 마이크로 발포체의 표면은 수많은 미세한 요철에 의해 흡착성을 발휘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에서 탄성 재료(10)로 채용한 마이크로 발포체의 표면을 320배의 배율로 촬영한 사진이며, 마이크로 발포체의 표면의 미세한 요철의 평균 깊이는 약 11㎛였다.
도 4의 시트상 탄성 재료(10)는 이것을 라켓 본체(3) 및/또는 러버(4)의 윤곽을 따라 절단해 사용하게 되지만, 그 사이에 점착층(13)의 표면에 박리 필름(14)을 설치해 두는 것이 좋다.
라켓 본체(3) 및/또는 러버(4)에 탄성 재료(10)를 고착하는데, 가열하면서 누르는 것이 좋다. 이로써 라켓 본체(3) 및/또는 러버(4)와 탄성 재료(10)와의 접 합을 확실하게 할 수 있어 러버(4)의 교체에 수반하여 탄성 재료(10)가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 재료(10)를 사용해 라켓 본체(3)에 흡착면(3a)을 형성한 경우, 이 흡착면(3a)의 흡착력이나 탄발층(12)의 탄발력이 열화된 때에는, 탄성 재료(10)가 접착제가 아니라 점착제로 구성된 점착층(13)을 갖고 있기 때문에, 라켓 본체(3)로부터 낡은 탄성 재료(10)를 당겨 벗길 수 있다. 따라서, 점착층(13)은 탄성 재료(10)를 라켓 본체(3)로부터 벗겼을 때에 라켓 본체(3)에 손상이나 풀 잔유물이 적은 점착제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지금 현재 가장 보급되어 있는 유기용제통의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유기용제통의 고무계 점착제를 사용했다 하더라도, 라켓 본체(3)나 러버(4)를 제조하는 회사 내에서 유기용제통의 고무계 점착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휘발가스에 대한 대책이 가능하여, 탁구의 시합장에서 환경 문제를 일으킬 우려가 없다. 물론, 유기용제를 포함하지 않는 예를 들면 수성 점착제를 사용해 탄성 재료(10)를 라켓 본체(3)에 고정해도 괜찮다.
그 표면이 미세한 요철면으로 구성되는 마이크로 발포체를 포함한 탄성 재료(10)를 이용함으로써, 현재 입수 가능하거나 또는 제조 가능한 모든 라켓 본체 및 러버에 대해 진공에 의한 흡착력을 사용한 고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탄성 재료(10)에 포함되는 기재층(11)이 라켓 본체(3)와 러버(4)와의 사이에 개재함에 따른 문제, 즉 타구의 반발력이 저하되는 문제를 탄발층(12)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탄발층(12)으로 상술한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마이크로 발포체를 채용한 예로 시험해 보았는데, 현재 가장 보급되어 있 는 유기용제통의 점착제를 이용한 탁구 라켓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발 특성을 발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라켓 본체(3) 또는 러버(4)에 탄성 재료(10)를 고착하는 한편, 다른 쪽의 러버(4) 또는 라켓 본체(3)에 PP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PET 필름),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같이 평활도가 높은 치밀한 플라스틱 필름을 첩착 또는 평활도가 높은 코팅제(예를 들면, 유리 섬유 또는 유리 분체통 코팅제)를 도포하는 등의 방법으로 평활면을 만듬으로써, 라켓 본체(3)와 러버(4)를 진공에 의해 흡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바람직한 타구의 반발력을 얻는데, 탄성 재료(10)의 탄발층(12)의 두께를 증가시켜 러버(4)의 탄발 성능을 조정하는 등의 대처가 가능하다.
이상, 여러 가지 실시예를 설명했다. 이것을 요약하면, 제1 예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켓 본체(3) 및 러버(4)에 탄성 재료(10)를 첩착함으로써, 라켓 본체(3) 및 러버(4)에 미세한 요철면을 형성하고, 이것들을 중합함으로써 라켓 본체(3)와 러버(4)와의 사이를 진공에 의해 흡착시키는 방법이다.
도 7에 나타낸 제2 예에서는 라켓 본체(3) 또는 러버(4)의 어느 한 쪽에 탄성 재료(10)를 첩착함으로써 미세한 요철면을 만들고, 다른 쪽의 러버(4) 또는 라켓 본체(3)에 평활도가 높은 필름(14)을 점착제(15)로 붙임으로써 평활면을 만드는 것으로서, 이 평활면과 미세한 요철면과의 사이를 진공에 의해 흡착시키는 방법이다.
도 8에 나타낸 제3 예에서는 라켓 본체(3) 또는 러버(4)의 어느 한 쪽에 탄 성 재료(10)를 첩착함으로써 미세한 요철면을 만들고, 다른 쪽의 러버(4) 또는 라켓 본체(3)에 평활도가 높은 도포막(16)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이 도포막(16)의 전형적인 예는 옻칠이다.
도 9에 나타낸 제4 예는 라켓 본체(3) 또는 러버(4)의 어느 한 쪽에 코팅제를 분사해 평활면(17)을 형성하고, 다른 쪽의 러버(4) 또는 라켓 본체(3)에 전술한 탄성 재료(10)(또는 필름(14))를 첩착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로서 라켓 본체(3)와 러버(4)를 면패스너로 고정하는 제5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면패스너는 여러 가지 종류가 이미 알려져 있지만, 도 10에 나타내듯이, 라켓 본체(3) 또는 러버(4)의 어느 한 쪽에 예를 들면 수많은 루프(18)를 형성하고, 다른 쪽에 갈고리 선단을 갖는 수많은 섬유상 돌기(19)를 형성함으로써, 면패스너에 의해 러버(4)를 라켓 본체(3)에 박리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로서 라켓 본체(3)와 러버(4)를 자력에 의한 흡착에 의해 고정하는 제6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라켓 본체(3) 또는 러버(4)의 어느 한 쪽에 자성체를 포함한 자성층(20)을 형성하고, 다른 쪽에 금속분말 등을 포함한 피흡착층(21)을 형성함으로써, 자력에 의해 러버(4)를 라켓 본체(3)에 박리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자성층(20) 및/또는 피흡착층(21)은 라켓 본체(3)나 러버(4)에 자성분말을 포함한 도료(코팅제)를 분사해 형성해도 괜찮고, 또는 자성층(20)을 포함한 필름을 라켓 본체(3)나 러버(4)에 첩착해 형성해도 괜찮다. 피흡착층(21)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라켓 본체(3)나 러버(4)에 예를 들면 금속분말을 포함 한 도료(코팅제)를 분사해 형성해도 괜찮고, 또는 피흡착층(21)을 포함한 필름을 라켓 본체(3)나 러버(4)에 첩착해 형성해도 괜찮다.
이상, 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라켓 본체(3)와 러버(4)와의 접합면에 도 1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철부(22)와 요부(23)를 형성하고, 이 철부(22)와 요부(23)와의 요철 감합에 의해 라켓 본체(3)와 러버(4)를 기계적으로 연결해도 괜찮다.
또한, 라켓 본체(3)와 러버(4)를 감압 점착제를 사용해 박리 가능하게 고정해도 괜찮다. 이 감압 점착제로는 현재 시판되는 포스트잇(등록상표)이나, 풀 잔유물이 없는 테이프로 사용되고 있는 감압 점착제를 채용해도 괜찮다. 이 감압 점착제를 사용한 현재 입수 가능한 테이프 등은 비교적 약한 박리력으로 간단하게 박리할 수 있는 한편 풀 잔유물도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감압 점착제를 사용해 라켓 본체(3)와 러버(4)를 고정하면, 러버(4)를 간단하게 라켓 본체(3)로부터 벗길 수 있는 한편 풀 잔유물도 없다. 이 경우, 러버(4)에 감압 점착제를 형성해 안압 점착제층을 만들어 두는 것이 좋고, 이에 대해 라켓 본체(3)의 러버 장착면은 코팅에 의해 평활면을 형성하거나 평활한 필름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라켓 본체(3)의 러버 장착면을 평활면으로 구성함으로써, 새로운 감압 점착성 러버(4)를 라켓 본체(3)에 취부하기 전에 라켓 본체(3)의 러버 장착면을 예를 들면 마른 천으로 닦아 러버 장착면을 깨끗하게 하는 것이 용이하다.
본 발명은 지금 현재 심각한 문제로 제기되고 있는 러버의 교체에 수반하는 가스 오염의 문제를 해소하면서 간단하게 러버의 교체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러버의 교체에 수반하여 라켓 본체를 손상시킬 우려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라켓 본체에 흔적을 남기지 않고 러버의 교체를 극히 단시간에 실시할 수 있다.

Claims (10)

  1. 라켓 본체와, 상기 라켓 본체에 장착된 러버를 포함한 탁구 라켓에 있어서,
    상기 러버가 상기 라켓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라켓 본체와 상기 러버가 상기 러버를 상기 라켓 본체로부터 당겨 벗겼을 때에 상기 라켓 본체에 흔적을 남기지 않는 물리적인 수단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 라켓.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라켓 본체와 상기 러버가 흡착력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 라켓.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흡착력이 상기 라켓 본체와 상기 러버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서 발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 라켓.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라켓 본체와 상기 러버가 미리 상기 라켓 본체 및/또는 상기 러버에 설치된 감압 점착제를 사용해 고정되고, 상기 감압 점착제가 상기 러버를 상기 라켓 본체로부터 벗겼을 때에 상기 라켓 본체에 풀 잔유물이 없는 점착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 라켓.
  5. 탁구 라켓의 라켓 본체로서, 상기 라켓 본체에 장착한 러버를 몇 번 부착 교 체 가능한 라켓 본체에 있어서,
    상기 러버와 협동해 발휘하는 흡착력에 의해 상기 러버를 박리 가능하게 고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용 라켓의 라켓 본체.
  6. 면패스너를 갖는 러버를 박리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탁구용 라켓의 라켓 본체로서,
    상기 라켓 본체의 러버 장착면이 면패스너로 구성되며, 상기 라켓 본체측의 면패스너가 상기 러버측의 면패스너와 계합함으로써, 상기 러버가 박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용 라켓의 라켓 본체.
  7. 라켓 본체에 대해 흡착력에 의해 박리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탁구용 라켓의 러버로서,
    상기 러버의 저면이 상기 라켓 본체의 러버 장착면과 협동해 상기 라켓 본체에 흡착 가능한 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용 라켓의 러버.
  8. 상기 러버의 저면을 구성하고, 풀 잔유물이 없는 감압 점착제층을 구비하며,
    상기 러버를 상기 라켓 본체의 러버 장착면에 누름으로써 상기 라켓 본체에 대해 박리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용 라켓의 러버.
  9. 면패스너를 갖는 라켓 본체에 대해 박리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탁구용 라 켓의 러버로서,
    상기 러버의 저면이 면패스너로 구성되며, 상기 러버측의 면패스너가 상기 라켓 본체측의 면패스너와 계합함으로써, 상기 러버가 상기 라켓 본체에 대해 박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용 라켓의 러버.
  10. 라켓 본체에 대해 흡착력에 의해 박리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탁구용 라켓의 러버로서,
    상기 러버의 저면이 수많은 미세한 구멍을 갖는 탄성 재료의 요철 표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러버와 상기 라켓 본체와의 사이를 진공에 의해 상기 라켓 본체에 흡착함으로써 상기 라켓 본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용 라켓의 러버.
KR1020060041144A 2005-09-22 2006-05-08 탁구용 라켓, 라켓 본체 및 러버 KR1010884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76485 2005-09-22
JPJP-P-2005-00276485 2005-09-22
JP2006036402A JP2007111497A (ja) 2005-09-22 2006-02-14 卓球用ラケット、ラケット本体並びにラバー
JPJP-P-2006-00036402 2006-0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3868A true KR20070033868A (ko) 2007-03-27
KR101088493B1 KR101088493B1 (ko) 2011-11-30

Family

ID=36997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1144A KR101088493B1 (ko) 2005-09-22 2006-05-08 탁구용 라켓, 라켓 본체 및 러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559861B2 (ko)
EP (1) EP1767251B1 (ko)
JP (1) JP2007111497A (ko)
KR (1) KR101088493B1 (ko)
CN (1) CN1935301B (ko)
DE (1) DE602006009037D1 (ko)
HK (1) HK110242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480B1 (ko) * 2017-07-21 2019-01-16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초임계 유체 발포법에 의한 탁구채 제조방법 및 탁구채 패드의 제조방법
KR102205017B1 (ko) * 2020-06-25 2021-01-20 공명순 에어라인이 설치된 탁구라켓과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1497A (ja) * 2005-09-22 2007-05-10 Adoko Koki Kk 卓球用ラケット、ラケット本体並びにラバー
CN102949826B (zh) * 2011-08-30 2015-10-14 顺景园精密铸造(深圳)有限公司 一种免粘乒乓球拍
US10166447B2 (en) * 2015-02-24 2019-01-01 Jules Apatini Progressive weighted aerobic ping pong exercise racquet
CN105797334A (zh) * 2016-03-23 2016-07-27 丽水学院 一种可旋转的抗菌驱蚊的荧光乒乓球拍
CN107149756A (zh) * 2016-11-05 2017-09-12 刘凤娇 易握紧扣球不脱手的乒乓球拍
US20170348573A1 (en) * 2017-08-07 2017-12-07 Jiebao Zhou Table tennis racket rubber and wood staggered stack handle design
CN107583255A (zh) * 2017-09-13 2018-01-16 芜湖锦盾捷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可更换胶皮的乒乓球拍
CN108786046A (zh) * 2018-05-07 2018-11-13 浙江兰威体育用品有限公司 一种抗摔式智能乒乓球计数球拍
US10974368B2 (en) 2019-04-09 2021-04-13 Todd Guay Table tennis assembly tool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549488A (ko) 1900-01-01
US1064914A (en) 1911-07-12 1913-06-17 John Clark Brown Magnetic basket-ball game.
US2311546A (en) * 1940-12-21 1943-02-16 Us Rubber Co Table tennis racket
US2328366A (en) * 1942-07-28 1943-08-31 Elmer J Timmermann Table tennis bat
US3689210A (en) 1971-02-16 1972-09-05 Siemens Ag Apparatus for producing a magnetic return structure
FR2437848A1 (fr) 1978-10-05 1980-04-30 Castelli Bertrand Battoir pour jouer a la balle
ZA80393B (en) * 1979-02-17 1981-08-26 Dunlop Ltd Cellular elastomeric compositions
US4324400A (en) * 1979-08-08 1982-04-13 Est Industries, Inc. Table tennis bat blade
DE3107681A1 (de) * 1981-02-28 1982-09-23 Sport-Schreiner, Karl-Heinz Schreiner, 6620 Völklingen "tischtennis-probeschlaeger-sammlung"
FR2525114A1 (fr) * 1982-04-15 1983-10-21 Hauser Roger Raquette d'entrainement pour le tennis de table
JPS5993567U (ja) * 1982-12-15 1984-06-25 ソニー株式会社 卓球ラケツト
FR2669546B1 (fr) 1990-11-28 1993-06-11 Faucher Bertrand Raquette de tennis de table a surface de rebond membranaire, a controle et rapidite modifiables.
JPH06240218A (ja) * 1993-02-17 1994-08-30 Toagosei Chem Ind Co Ltd 球技用ラケット用接着剤、該接着剤を用いた球技用ラケット用ラバーおよび球技用ラケット
JP3347412B2 (ja) * 1993-09-01 2002-11-20 株式会社タマス 卓球用ラバー粘着シート
JPH0724360U (ja) * 1993-10-19 1995-05-09 株式会社ウメハラ 卓球競技用ラケットのラバー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卓球ラケット
JPH08229175A (ja) * 1995-03-01 1996-09-10 Ryosuke Honda 卓球用三層形ソフトラバー
US5910528A (en) 1996-03-27 1999-06-08 Falicoff; Waqidi Table tennis rubber solvent and adhesive systems
CN1074299C (zh) * 1996-05-30 2001-11-07 王吉生 一种乒乓球拍底板
JP3669802B2 (ja) * 1997-01-31 2005-07-13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吸着性表面を有するシート状部材
CN2346469Y (zh) * 1998-07-30 1999-11-03 珀修斯有限公司 乒乓球拍的贴面
JP3466933B2 (ja) * 1998-10-08 2003-11-17 神藤プリント株式会社 吸着シートの製造法
JP3027814B1 (ja) 1999-03-23 2000-04-04 宝養生資材株式会社 花瓶等置物の定置用テ―プ
DE10036477A1 (de) 2000-07-25 2002-02-07 Sing Wo Sports Ltd Spielbelag für einen Tischtennisschläg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pielbelages
DE20105753U1 (de) 2001-04-02 2001-08-30 Schneider Michael Tischtennis Belagpresse
JP2007111497A (ja) * 2005-09-22 2007-05-10 Adoko Koki Kk 卓球用ラケット、ラケット本体並びにラバー
JP2008074935A (ja) * 2006-09-20 2008-04-03 Umehara:Kk 卓球ラケットのラバー貼着用両面粘着シート
JP2008110145A (ja) * 2006-10-31 2008-05-15 Yomato Co Ltd 卓球用接着剤
JP5224210B2 (ja) * 2007-04-13 2013-07-03 プリンス化成 株式会社 卓球ラケット用ラバーの接着方法及び接着用前処理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480B1 (ko) * 2017-07-21 2019-01-16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초임계 유체 발포법에 의한 탁구채 제조방법 및 탁구채 패드의 제조방법
KR102205017B1 (ko) * 2020-06-25 2021-01-20 공명순 에어라인이 설치된 탁구라켓과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02428A1 (en) 2007-11-23
CN1935301A (zh) 2007-03-28
EP1767251A2 (en) 2007-03-28
EP1767251A3 (en) 2007-04-04
EP1767251B1 (en) 2009-09-09
US7559861B2 (en) 2009-07-14
US20070066425A1 (en) 2007-03-22
KR101088493B1 (ko) 2011-11-30
JP2007111497A (ja) 2007-05-10
DE602006009037D1 (de) 2009-10-22
CN1935301B (zh) 201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8493B1 (ko) 탁구용 라켓, 라켓 본체 및 러버
JP5724035B2 (ja) 乾式接着剤アセンブリ並びに該乾式接着剤アセンブリを備える締結具、ゲーム及び玩具、並びに広告を表示するためのボード、ダーツゲーム及びシューティングゲーム
US20050277358A1 (en) Toy with releasable adhesive feature
US20120090121A1 (en) Bowling ball cleaning glove
JP2007111497A5 (ko)
JP2008074935A (ja) 卓球ラケットのラバー貼着用両面粘着シート
KR101922066B1 (ko) 골프용 의류 부착 장치
JP5133630B2 (ja) 粘着性マット
JP5224210B2 (ja) 卓球ラケット用ラバーの接着方法及び接着用前処理剤
JP3216348U (ja) 卓球ラケット用ラバー
JP3759770B2 (ja) 卓球ラケットの基板とラバーとの貼り合わせに用いる卓球ラケット用接着シート、およびこの接着シートをラバーの片面に貼着したラケットラバー、および前記接着シートで基板とラバーとを貼り合わせた卓球ラケット、および前記接着シートで基板に貼り合わせるラバー貼着方法
JP3347412B2 (ja) 卓球用ラバー粘着シート
WO2009034765A1 (ja) 研磨用又はワイピング用の基材
US20030012929A1 (en) Shock absorbing and slip resistant pad
KR20190001918U (ko) 자동차 핸들용 논슬립 패드 구조체
CN2439229Y (zh) 止滑垫
US20070147768A1 (en) Coating tool, coating tool handle, and coating tool set
KR200388041Y1 (ko) 골프채 그립용 크리너 테이프
AU2014250653B2 (en) Dry Adhesives
JPH07237273A (ja) 滑り止めパタ−ンの印刷を施したシ−ト
JP3060144U (ja) 水泡押出材
CN202366411U (zh) 一种乒乓球拍
JP2003135605A (ja) 貼り薬貼り付け補助具
JP2007325699A (ja) グリップ構造
JPH0724361U (ja) 卓球専用ラバー・ラケット無溶剤接着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