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9053B1 -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9053B1
KR101939053B1 KR1020180083426A KR20180083426A KR101939053B1 KR 101939053 B1 KR101939053 B1 KR 101939053B1 KR 1020180083426 A KR1020180083426 A KR 1020180083426A KR 20180083426 A KR20180083426 A KR 20180083426A KR 101939053 B1 KR101939053 B1 KR 101939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outer ring
shot
duct frame
inn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권희
제일성
백준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인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인에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인에스티
Priority to KR1020180083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0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11/00Selection of abrasive materials or additives for abrasive bla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9/00Appurtenances of 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e.g. working chambers, arrangements for handling used abrasive material
    • B24C9/006Treatment of used abras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주벽(101)에 흡기공(102)을 구비하여 쇼트볼을 공급하는 공급덕트(D)에 장탈착 가능케 설치되는 덕트프레임(10); 상기 덕트프레임(10) 내부에 장탈착 가능케 설치되는 아웃터링(20); 상기 아웃터링(20) 내측에 설치되어, 환상으로 낙하공(305)이 형성되게 하는 인너플레이트(30); 흡입부(401)가 상기 덕트프레임(10) 내부에 위치하고, 배출부(402)가 진공압을 발생하는 집진기(E)와 연결되도록 상기 덕트프레임(10)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선별덕트(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쇼트볼을 공급하는 공급덕트(D)에 바로 장탈착 가능케 되어 공간 활용성이 우수하며, 환상으로 낙하하는 이물질이 혼입된 쇼트볼 둘레에서 중심쪽으로 진공압을 작용시켜 이물질과 쇼트볼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선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Short ball sorting device for shot blast}
본 발명은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쇼트 블라스트에 쇼트볼을 공급하는 공급덕트에 덕트프레임을 결합하되, 상기 덕트프레임의 내부에 쇼트볼 선별장치를 이루는 모든 구성이 내장되도록 하여 공간 효율을 높이고 모듈화를 통한 장탈착 편의성을 높이는 한편, 환상으로 낙하하는 이물질이 혼입된 쇼트볼 둘레에서 덕트프레임의 중심쪽으로 진공압을 작용시키는 구조를 형성하여 공간 효율을 높인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쇼트 블라스트란 주조나 단조, 압연 등의 방식으로 성형된 제품(이하, "공작물"이라 칭함)의 표면에 나타나는 주물사나 스케일 등을 제거하기 위해서 쇼트볼(Shot ball, 강구)을 피가공물의 표면에 강하게 분사하여 그 충격에 의해 주물사나 스케일 등이 제거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한편, 쇼트볼을 이용해 피가공물에 대한 쇼트 블라스팅(Shot blasting)을 수행하면, 피가공물에서 박리된 스케일, 모래, 소착물, 녹 등이 쇼트볼에 혼입되어 회수장치로 배출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회수된 쇼트볼을 스크류컨베이어를 이용해 별도의 선별장치로 공급하여 집진기에서 형성된 진공압을 이용해 무게가 무거운 쇼트볼과, 쇼트볼에 비해 비교적 무게가 가벼운 이물질로 선별한 후, 선별된 쇼트볼을 쇼트 블라스트로 공급하는 방식으로 쇼트볼의 재사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쇼트볼 선별장치는 도 1과 같이 회수장치(B)에 회수된 쇼트볼을 쇼트 블라스트(A)로 재공급하는 스크류컨베이어(C)에 별도의 선별라인(K)이 연결되게 구성한 후, 선별라인에서 쇼트볼과 이물질을 선별하여, 선별된 쇼트볼은 쇼트 블라스트(A)로 공급하고, 이물질은 별도의 수거함(K1)에 수거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쇼트볼 선별장치의 전체 구성이 복잡하고, 부피가 커지면서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공간 활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쇼트볼 선별장치는 스크류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이물질이 혼입된 쇼트볼이 수직으로 낙하할 때, 낙하부 일측 내벽에 직선으로 형성된 유입공에 진공압을 작용시키면, 상기 낙하부의 타측 내벽에 직선으로 형성된 흡입공을 통해 외기가 흡입되면서 수직으로 낙하하는 이물질이 유입공으로 흡입되게 하는 방식으로써, 단위 시간당 선별량이 적은 단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12342호
본 발명의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는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쇼트볼을 공급하는 공급덕트에 덕트프레임을 결합하되, 상기 덕트프레임의 내부에 쇼트볼 선별장치를 이루는 모든 구성이 내장되도록 하여 공간 효율을 높이고 모듈화를 통한 장탈착 편의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물질이 혼입된 쇼트볼을 환상으로 낙하시키고, 그 둘레에서 중심쪽으로 진공압을 작용시키는 구조로 형성되어 쇼트볼 선별장치의 공간 효율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흡입량 제어를 통해 선별 처리 용량의 제어가 가능케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는,
주벽(101)에 흡기공(102)을 구비한 관체로 형성되어, 쇼트 블라스트에 쇼트볼을 공급하는 덕트프레임(10);
상기 덕트프레임(10) 내부에 장탈착 가능케 설치되는 아웃터링(20);
외주면이 상기 아웃터링(20)의 내주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아웃터링(20) 내측에 설치되는 인너플레이트(30);
흡입부(401)가 상기 덕트프레임(10) 내부에 위치하고, 배출부(402)가 진공압을 발생하는 집진기(E)와 연결되도록 상기 덕트프레임(10)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선별덕트(40);를 포함하여 이물질이 혼입되어 낙하하는 쇼트볼에 진공압을 작용시켜 이물질을 흡입하여 선별하며, 상기 덕트프레임(10) 내부에 아웃터링(20), 인너플레이트(30), 선별덕트(40)가 모두 내장되어 공간 효율이 향상되고, 장탈착이 용이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웃터링(20)의 내주면과, 상기 인너플레이트(30)의 외주면 사이에는 이물질이 혼입된 쇼트볼이 낙하하는 낙하공(305)이 환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덕트프레임(10)은,
주벽(101) 상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공급덕트(D)와 플랜지 결합되는 플랜지부(103);
덕트프레임(10)의 상단부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아웃터링(20)이 장탈착 가능케 설치되는 안착홈(10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웃터링(20)은,
아웃터링(20)의 상단부에서 외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덕트프레임(10)에 장탈착 가능케 설치되는 설치부(201);
상기 설치부(201) 하부에서 형성되되,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축소되는 경사내면(202);
상기 경사내면(202) 하단부에 형성된 수직내면(20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너플레이트(30)는,
인너플레이트(30)의 상부에서 외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아웃터링(20)의 경사내면(202)에 거치되도록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 거치부(301);
인너플레이트(30)의 상면에 형성되되, 중심부에서 아래로 내려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된 안내부(302);
상기 아웃터링(20)의 수직내면(203)과 이격되도록 상기 안내부(302) 하단부에 형성된 수직외면(303);
상기 인너플레이트(30)의 저면에서 상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안내홈(30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웃터링(20)의 경사내면(202)에는, 상기 거치부(301)가 거치되도록 내향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돌부(204)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홈(304) 내측 중앙에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안내돌부(304a)가 더 구비되어 진공압에 의해 상기 흡기공(102)을 통해 유입된 외기를 상기 흡입부(401)로 안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별덕트(40)는,
흡입부(401)의 외측 둘레에 일체로 형성되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외경이 축소되는 환상의 스커트부(4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커트부(403)는,
하단부에 내향으로 오목한 환상오목부(403a)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인너플레이트(30)의 저면에 형성된 안내홈(304)의 내측면 곡률과 일치하도록 외향으로 볼록한 환상곡면부(403b)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부(401)의 내측 둘레에는 환상으로 된 쇼트볼배출공(401a)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상기 배출부(402)에는 집진기(E)로 흡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흡입량조절수단(5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는 쇼트볼을 공급하는 공급덕트에 덕트프레임을 결합하되, 상기 덕트프레임의 내부에 쇼트볼 선별장치를 이루는 모든 구성이 내장되도록 하여 공간 효율을 높이고 모듈화를 통한 장탈착 편의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물질이 혼입된 쇼트볼을 환상으로 낙하시키면서, 그 둘레에서 중심쪽으로 진공압을 작용시키는 구조를 취하여, 쇼트볼 선별장치의 공간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흡입량조절수단을 통해 집진기로 흡입되는 공기량을 제어함으로써, 이물질의 선별 처리 용량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쇼트 블라스트의 가동 속도와 연동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설치 상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설치 상태 정면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아웃터링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아웃터링의 설치 상태 정면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너플레이트의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커트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흡입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흡입량조절수단을 나타낸 사용상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를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서, 다음의 설명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부분'과 '제2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 기재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설치 상태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설치 상태 정면 단면도이며, 도 6는 본 발명의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는 이물질이 혼입된 쇼트볼에서 이물질과 쇼트볼을 선별하기 위하여 덕트프레임(10), 아웃터링(20), 인너플레이트(30), 선별덕트(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덕트프레임(10) 내부에 아웃터링(20), 인너플레이트(30), 선별덕트(40)가 모두 내장되어 모듈화됨에 따라, 공간 효율이 크게 향상될 뿐만 아니라, 이물질이 혼입된 쇼트볼을 공급하는 공급덕트(D)에 바로 장탈착이 가능하여 장탈착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덕트프레임(10)은 쇼트 블라스트에 쇼트볼을 공급하는 공급덕트(D)와 일렬로 장탈착 가능케 설치하기 위하여 주벽(101)에 흡기공(102)을 구비한 관체로 형성되되, 플랜지부(103), 안착홈(104)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공급덕트(D) 및 덕트프레임(10)의 평면 단면 형상은 원형으로 형성하고, 직경 또한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기공(102)은 덕트프레임(10)의 주벽(101)에 원주방향으로 형성하되, 흡기공(102)의 형상과 크기는 한정하지 않으나, 외부 공기가 상기 흡기공(102)을 통해 덕트프레임(10) 내부로 신속하게 유입 가능하도록 소정 크기의 흡기공(102)을 가로세로 일정 간격으로 연속 배열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덕트프레임(10)의 주벽(101)에 다수의 흡기공(102)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일직선으로 흡기공이 형성되는 종래의 쇼트볼 선별장치와 대비하여 보다 많은 양의 외기를 신속하게 흡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간 효율성도 크게 향상된다.
상기 플랜지부(103)는 상기 주벽(101) 상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덕트프레임(10)이 상기 공급덕트(D)와 일렬로 되도록 플랜지 결합됨으로써, 장탈착 편의성이 향상된다.
상기 안착홈(104)은 덕트프레임(10)의 상단부에서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아웃터링(20)의 상단부가 상기 안착홈(104) 내부에 장탈착 가능케 삽입 설치된다.
상기 안착홈(104)의 평면 형상은 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안착홈(104)에 삽입 설치되는 아웃터링(20)이 중심축을 기준으로 임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각형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아웃터링(20)은 상기 덕트프레임(10) 내부에 장탈착 가능케 설치하기 위하여 설치부(201), 경사내면(202), 수직내면(203)을 포함한다.
상기 설치부(201)는 상기 아웃터링(20)의 상단부에서 외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덕트프레임(10)에 장탈착 가능케 설치된다.
이때, 설치부(201)는 상기 안착홈(104)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설치부(201)가 안착홈(104) 내부에 긴밀하게 삽입 설치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내면(202)은 상기 설치부(201)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축소되는 호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직내면(203)은 상기 경사내면(202)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일체로 형성되되, 수직내면(203)은 상단부와 하단부의 직경이 동일한 중공의 내주면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물질이 혼입된 쇼트볼이 상기 공급덕트(D)를 통해 공급되면, 쇼트볼은 상기 경사내면(202)을 따라 흘러 수직내면(203)을 따라 최종 낙하한다.
상기 인너플레이트(30)는 환상으로 낙하공(305)이 형성되게 하기 위하여 거치부(301), 안내부(302), 수직외면(303), 안내홈(304)을 포함한다.
상기 거치부(301)는 인너플레이트(30)의 상부에서 외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아웃터링(20)의 경사내면(202)에 거치되도록 다수가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거치부(301)의 외측면은 상기 아웃터링(20)의 경사내면(202)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경사내면(202)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따라서, 인너플레이트(30)는 거치부(301)를 이용해 아웃터링(20) 내부에 단순 거치하는 것만으로도 설치가 완료되어 신속하고 간편한 설치가 가능케 된다.
상기 안내부(302)는 인너플레이트(30)의 상면에 형성되되, 중심부에서 아래로 내려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형상, 즉 돔형이나 원추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덕트(D)를 통해 이물질이 혼입된 쇼트볼이 공급되면, 상기 안내부(302)의 형상에 의해 쇼트볼은 안내부(302)의 둘레, 즉 상기 아웃터링(20)의 경사내면(202) 쪽으로 안내된다.
상기 수직외면(303)은 상기 아웃터링(20)의 수직내면(203)과 이격되도록 상기 안내부(302)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단부와 하단부의 직경이 동일한 원통의 외주면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아웃터링(20)의 수직내면(203)과, 상기 인너플레이트(30)의 수직외면(303) 간에는 환상으로 된 낙하공(30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환상으로 형성된 낙하공(305) 전체의 폭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외면(303)에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직내면(203)에 밀착되는 간격유지돌부(303a)가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공급덕트(D)를 통해 이물질이 혼입된 쇼트볼이 공급되면, 쇼트볼은 아웃터링(20)의 경사내면(202)과, 인너플레이트(30)의 안내부(302)에 의해 상기 낙하공(305) 쪽으로 안내되어 낙하공(305)을 통해 환상으로 낙하하게 된다.
상기 안내홈(304)은 상기 인너플레이트(30)의 저면에서 상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선별덕트(40)의 흡입부(401)가 상기 안내홈(304)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집진기(E)에서 발생한 진공압에 의해 상기 흡기공(102)을 통해 유입된 외기가 상기 선별덕트(40)를 통해 집진기로 빨려 들어갈 때, 상기 안내홈(304)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흡입부(401)로 보다 신속하게 유입된다.
상기 선별덕트(40)는 상기 낙하공(305)에서 환상으로 낙하하는 쇼트볼에서 이물질을 선별하기 위하여 흡입부(401), 배출부(402), 스커트부(403)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부(401)는 상기 인너플레이트(30)의 하부 중심에 위치하되, 상기 낙하공(305)을 통해 환상으로 낙하하는 쇼트볼에서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선별하기 위한 외기의 흐름을 제공하기 위하여 흡입부(401)의 직경(D1)은 상기 낙하공(305)의 직경(D2)보다 작게 형성하여 상기 인너플레이트(30)의 안내홈(304) 내에 위치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부(402)는 진공압을 발생하는 집진기(E)와 연결되도록 상기 덕트프레임(10)의 주벽(101)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스커트부(403)는 흡입부(401)의 외측 둘레에 일체로 형성되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외경이 축소되는 환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스커트부(403)의 최대외경부의 직경(D3)은 상기 낙하공(305)의 직경(D2)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5와 같이 공급덕트(D)에서 이물질이 혼입된 쇼트볼이 공급될 때, 상기 집진기(E)에서 발생한 진공압에 의해 상기 덕트프레임(10) 외부의 외기가 상기 흡기공(102)을 통해 덕트프레임(10)의 주벽(101) 내측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흡기공(102)은 주벽(101)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흡기공(102)을 통해 유입된 외기는 환상으로 낙하하는 이물질이 혼입된 쇼트볼의 둘레를 완전히 감싸지게 유입된다.
그리하여 흡기공(102)으로 유입된 외기는 진공압에 의해 선별덕트(40)의 흡입부(401) 쪽으로 빨려 들어가면서 환상으로 형성된 낙하공(305)에 의해 환상으로 낙하하는 이물질이 혼입된 쇼트볼 사이를 통과한다.
이때, 진공압에 의한 외기의 유입압력보다 더 큰 낙하하중을 가지는 쇼트볼은 그대로 낙하하고, 외기의 유입압력보다 더 작은 낙하하중을 가지는 이물질은 외기와 함께 흡입부(401)로 빨려 들어가면서 쇼트볼과 분리된다.
이때, 흡입부(401) 쪽으로 빨려 들어가는 외기와 이물질은 하단부의 외경이 넓고, 상단부의 외경이 좁은 형상으로 된 스커트부(403)에 의해 상방으로 안내된 후, 상기 인너플레이트(30)의 안내홈(304)에 의해 흡입부(401) 쪽으로 최종 안내됨으로써 외기와 함께 이동한 이물질의 흡입 선별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커트부(403)의 상단부는 상기 흡기공(102)의 상단부보다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진공압에 의해 외기가 이물질과 함께 흡입부(401) 쪽으로 빨려 들어가는 과정에서 일부 쇼트볼이 외기와 함께 흡입부(401) 쪽으로 이동하더라도, 스커트부(403)의 상단부가 흡기공(102)의 상단부보다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쇼트볼이 스커트부(403) 형상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외기의 흐름에 의한 에너지가 소진되면서 결국 쇼트볼의 낙하하중에 의해 스커트부(403)를 넘지 못하고 그대로 낙하함으로써, 쇼트볼이 이물질과 함께 집진기 쪽으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아웃터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아웃터링의 설치 상태 정면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인너플레이트(30)는 상기 거치부(301)의 보다 안정적인 거치를 위하여 상기 아웃터링(20)의 경사내면(202)에 내향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돌부(204)를 더 구비하여 상기 거치부(301)가 지지돌부(204) 상부에 안착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돌부(204)를 환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너플레이트의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안내홈(304) 내측 중앙에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안내돌부(304a)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집진기(E)에서 발생한 진공압에 의해 상기 덕트프레임(10) 외부의 외기가 상기 흡기공(102)을 통해 덕트프레임(10)의 주벽(101) 내측으로 유입된 후, 상기 스커트부(403)에 의해 상방으로 안내되어 인너플레이트(30)의 안내홈(304)으로 유입된 후 상기 안내돌부(304a)에 의해 흡입부(401) 쪽으로 최종 안내됨으로써 외기와 함께 이동한 이물질의 흡입 선별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커트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스커트부(403)는, 하단부에 내향으로 오목한 환상오목부(403a)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인너플레이트(30)의 저면에 형성된 안내홈(304)의 내측면 곡률과 일치하도록 외향으로 볼록한 환상곡면부(403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환상오목부(403)는, 진공압에 의해 흡기공(102)을 통해 유입된 외기가 환상으로 낙하하는 이물질이 혼입된 쇼트볼 사이를 통과하여 이물질과 함께 선별덕트(40)의 흡입부(401) 쪽으로 빨려 들어갈 때, 충분한 수용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외기와 이물질의 유입이 원활하게 된다.
또한, 상기 환상곡면부(403b)는 상기 환상오목부(403a)의 상단부에서 일체로이어지게 형성되되, 상기 안내홈(304)의 내측면 곡률과 일치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환상오목부(403a)에 의해 흐름이 상방으로 유도된 외기가 상기 안내홈(304) 내측으로 유입될 때, 환상곡면부(403b)에 의해 외기의 유동 저항이 저감되면서 상기 흡입부(401)로 흡입되는 외기의 흐름이 보다 원활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흡입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흡입부(401)의 내측 둘레에는 환상으로 된 쇼트볼배출공(401a)이 더 구비하여 쇼트볼이 이물질과 함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진공압에 의해 외기가 이물질과 함께 선별덕트(40)의 흡입부(401) 쪽으로 빨려 들어가는 과정에서 초기에 작용하는 강한 진공압에 의해 일부 쇼트볼이 외기와 함께 흡입부(401) 내로 유입되더라도, 외기의 흐름 과정에서 진공압의 에너지가 소진됨에 따라 하중이 큰 쇼트볼을 계속 이동시키기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일부 쇼트볼이 흡입부(401) 내로 유입되더라도, 유입된 쇼트볼은 자중에 의해 상기 쇼트볼배출공(401a)을 통해 선별덕트(40) 외부로 배출되면서 낙하함으로써, 쇼트볼이 이물질과 함께 집진기 쪽으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2은 본 발명의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흡입량조절수단을 나타낸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배출부(402)에는 집진기(E)로 흡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흡입량조절수단(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흡입량조절수단(50)은 상기 배출부(402)의 단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 또는 댐퍼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집진기(E)에서는 항상 동일한 진공압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흡입량조절수단(50)에 의해 배출부(402)의 단면적을 조절함에 따라 집진기(E)로 흡입되는 공기량이 조절됨으로써, 집진기(E)에 의해 선별되는 이물질 처리 용량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쇼트 블라스트의 가동 속도에 따라 다량의 쇼트볼이 필요하면, 흡입량 증대를 통해 이물질의 처리 용량을 증가시키고, 소량의 쇼트볼이 필요하면 흡입량 감소를 통해 이물질의 처리 용량을 축소시킴으로써, 쇼트 블라스트와의 연동 제어가 용이하게 되어 보다 효율적인 쇼트볼의 재사용과 그에 따른 쇼트 블라스팅 가공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 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A: 쇼트 블라스트
B: 회수장치
C: 스크류컨베이어
D: 공급덕트
E: 집진기
1: 쇼트볼 선별장치
10: 덕트프레임
101: 주벽
102: 흡기공
103: 플랜지부
104: 안착홈
20: 아웃터링
201: 설치부
202: 경사내면
203: 수직내면
204: 지지돌부
30: 인너플레이트
301: 거치부
302: 안내부
303: 수직외면
304: 안내홈
305: 낙하공
40: 선별덕트
401: 흡입부
402: 배출부
403: 스커트부
50: 흡입량조절수단

Claims (11)

  1. 주벽(101)에 흡기공(102)을 구비한 관체로 형성되어, 쇼트 블라스트에 쇼트볼을 공급하는 덕트프레임(10);
    상기 덕트프레임(10) 내부에 장탈착 가능케 설치되는 아웃터링(20);
    외주면이 상기 아웃터링(20)의 내주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아웃터링(20) 내측에 설치되는 인너플레이트(30);
    흡입부(401)가 상기 덕트프레임(10) 내부에 위치하고, 배출부(402)가 진공압을 발생하는 집진기(E)와 연결되도록 상기 덕트프레임(10)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선별덕트(40);를 포함하여 이물질이 혼입되어 낙하하는 쇼트볼에 진공압을 작용시켜 이물질을 흡입하여 선별하며, 상기 덕트프레임(10) 내부에 아웃터링(20), 인너플레이트(30), 선별덕트(40)가 모두 내장되어 공간 효율이 향상되고, 장탈착이 용이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흡입부(401)의 내측 둘레에는 환상으로 된 쇼트볼배출공(401a)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링(20)의 내주면과, 상기 인너플레이트(30)의 외주면 사이에는 이물질이 혼입된 쇼트볼이 낙하하는 낙하공(305)이 환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프레임(10)은,
    주벽(101) 상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공급덕트(D)와 플랜지 결합되는 플랜지부(103);
    덕트프레임(10)의 상단부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아웃터링(20)이 장탈착 가능케 설치되는 안착홈(10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링(20)은,
    아웃터링(20)의 상단부에서 외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덕트프레임(10)에 장탈착 가능케 설치되는 설치부(201);
    상기 설치부(201) 하부에서 형성되되,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축소되는 경사내면(202);
    상기 경사내면(202) 하단부에 형성된 수직내면(20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플레이트(30)는,
    인너플레이트(30)의 상부에서 외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아웃터링(20)의 경사내면(202)에 거치되도록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 거치부(301);
    인너플레이트(30)의 상면에 형성되되, 중심부에서 아래로 내려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된 안내부(302);
    상기 아웃터링(20)의 수직내면(203)과 이격되도록 상기 안내부(302) 하단부에 형성된 수직외면(303);
    상기 인너플레이트(30)의 저면에서 상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안내홈(30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링(20)의 경사내면(202)에는, 상기 거치부(301)가 거치되도록 내향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돌부(204)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304) 내측 중앙에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안내돌부(304a)가 더 구비되어 진공압에 의해 상기 흡기공(102)을 통해 유입된 외기를 상기 흡입부(401)로 안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덕트(40)는,
    흡입부(401)의 외측 둘레에 일체로 형성되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외경이 축소되는 환상의 스커트부(4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403)는,
    하단부에 내향으로 오목한 환상오목부(403a)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인너플레이트(30)의 저면에 형성된 안내홈(304)의 내측면 곡률과 일치하도록 외향으로 볼록한 환상곡면부(403b)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402)에는 집진기(E)로 흡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흡입량조절수단(5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
KR1020180083426A 2018-07-18 2018-07-18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 KR101939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426A KR101939053B1 (ko) 2018-07-18 2018-07-18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426A KR101939053B1 (ko) 2018-07-18 2018-07-18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9053B1 true KR101939053B1 (ko) 2019-01-18

Family

ID=65323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426A KR101939053B1 (ko) 2018-07-18 2018-07-18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0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31965A (zh) * 2021-05-14 2021-08-10 安徽省宝路钢结构有限公司 一种喷砂机用自呼吸吸尘球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5363U (ja) * 1982-12-29 1984-07-16 株式会社ニッチュ− シヨツトブラスト機における研掃材タンク
JP2000037662A (ja) * 1998-07-23 2000-02-08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穀類選別装置
KR20040012342A (ko) 2002-08-02 2004-02-11 주식회사 포스코 쇼트 블라스트의 이물질 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5363U (ja) * 1982-12-29 1984-07-16 株式会社ニッチュ− シヨツトブラスト機における研掃材タンク
JP2000037662A (ja) * 1998-07-23 2000-02-08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穀類選別装置
KR20040012342A (ko) 2002-08-02 2004-02-11 주식회사 포스코 쇼트 블라스트의 이물질 분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31965A (zh) * 2021-05-14 2021-08-10 安徽省宝路钢结构有限公司 一种喷砂机用自呼吸吸尘球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2154B2 (en) Machine tool
JP2007245311A (ja) スポンジブラスト装置及びスポンジブラスト方法
KR101939053B1 (ko)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선별장치
US4137176A (en) Chip discharge for continuous chip wringer
CN112742510B (zh) 一种食品加工用研磨装置
CN101121154B (zh) 高效防磨筒式旋风除尘器
JP3752096B2 (ja) 気流分級機
JP2007319777A (ja) ライナ、横置筒型ミル、および、破砕物の排出方法
WO20100922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the chip conveyor of a machine tool
CA2751042C (en) Double course vane wheel
US6439394B1 (en) Separator for dry separation of powders
US11724270B2 (en) Aerosol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erosol
JP4907655B2 (ja) 気流分級機および分級プラント
US2866547A (en) Abrasive separator
JPS631902B2 (ko)
JP4481269B2 (ja) 研削精米機
JP2019535514A (ja) ミル
JPH06505670A (ja) 懸濁液から比較的粗い粒子を連続的に分離する方法及び装置
JP2010069393A (ja) 気流分級装置
JPS6316980B2 (ko)
KR100592922B1 (ko) 건식 나노 분쇄기 및 이를 이용한 건식 나노 분쇄 시스템
JPH07289998A (ja) 微粉研磨材に混在する異物の分離方法並びに微粉研磨材に混在する異物及び粉塵の分離方法及びそれらの分離装置
CN214440065U (zh) 一种高效旋流器
JP2018143954A (ja) 被回収物の分離回収装置及び移送分離回収システム
JP6054177B2 (ja) 分級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