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8857B1 - 다슬기 채취기 - Google Patents

다슬기 채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8857B1
KR101938857B1 KR1020180083081A KR20180083081A KR101938857B1 KR 101938857 B1 KR101938857 B1 KR 101938857B1 KR 1020180083081 A KR1020180083081 A KR 1020180083081A KR 20180083081 A KR20180083081 A KR 20180083081A KR 101938857 B1 KR101938857 B1 KR 101938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m
water
present
net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수호
Original Assignee
송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수호 filed Critical 송수호
Priority to KR1020180083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88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0/00Harvesting oysters, mussels, spong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7/00Landing-nets for fishing; Landing-spoons for fish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경을 이용하여 물속을 보면서 손을 넣지 않고도 다슬기를 채취할 수 있는 다슬기 채취기에 관한 것으로, 손잡이를 잡고 다슬기를 쉽게 건져낼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D자 형태를 갖는 테두리를 구비하되 테두리의 전방이 후방보다 직경이 넓게 하는 한편 테두리의 전방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게 하고, 상기 테두리의 만곡된 부위에는 손잡이를 착탈되게 결합하며, 상기 테두리의 후방쪽으로는 절개홈을 형성하는 한편 그물망을 박음질하여 고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다슬기 채취기{Collecting apparatus for melanian anail}
본 발명은 수경을 이용하여 물속을 보면서 손을 넣지 않고도 다슬기를 채취할 수 있는 다슬기 채취기에 관한 것으로, 손잡이를 잡고 다슬기를 쉽게 건져낼 수 있는 것이다.
다슬기는 계류지나 하천 등의 돌 틈이나 모래 속에서 부착조류 및 하상에 퇴적된 유기물이나 수초 등을 먹고 자라게 되며, 이러한 다슬기는 국으로 끓여 먹거나 무침 등의 요리를 해서 먹는데, 저지방, 고단백질로 다이어트에 효과적이고, 시력 보호(눈의 충혈, 통증), 신장에 작용하며, 대소변을 잘 나오게 하고, 아미노산이 풍부하여 간의 기능회복을 돕고, 숙취해소를 돕는 등 여러 가지 유용한 효과가 있는 건강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다슬기를 채취할 때는 얕은 물에서는 눈으로 보고 직접 손으로 잡을 수도 있고, 물이 조금 깊어 잘 보이지 않으면 수경을 이용하여 물속을 들여다보면서 잡게 되는 것으로, 어떠한 경우라도 손을 물속에 넣어 다슬기를 건져내야만 한다.
손으로 다슬기를 건져낼 때에는 물이 깊지 않은 경우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팔 길이보다도 깊은 수심에서는 수경으로 다슬기를 확인하더라도 이를 건져내기가 쉽지 않으며, 특히, 좁은 틈속에 있거나 바위 밑쪽으로 붙어 있는 경우는 건져낼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10-0114217호(2010.10.25 공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20-0472233호(2014.04.04 등록) 대한민국 특허등록 10-1870627호(2018.06.19 등록)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20-0338912호(2004.01.06 등록)
본 발명은 수경으로 물속의 다슬기를 확인 한 후 손으로 다슬기를 잡는 방식은 팔 길이보다 깊은 물속에서는 다슬기를 잡을 수 없고, 또한, 손이 들어가지 않는 좁은 곳이나 바위 밑에 붙은 다슬기도 건져낼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경으로 물속을 보면서 일정 길이의 손잡이를 잡고 바닥에 있는 다슬기를 건져내거나 바위에 붙은 다슬기를 간단히 채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D자 형태를 갖는 테두리를 구비하되 테두리의 전방이 후방보다 직경이 넓게 하는 한편 테두리의 전방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게 하고, 상기 테두리의 만곡된 부위에는 손잡이를 착탈되게 결합하며, 상기 테두리의 후방쪽으로는 절개홈을 형성하는 한편 그물망을 박음질하여 고정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손잡이를 이용하여 물속에 팔을 넣지 않고도 깊은 곳의 다슬기를 건져낼 수 있고, 테두리의 폭이 좁고 그물망이 용이하게 접혀지기 때문에 좁은 곳도 다슬기 채취가 용이하며, 테두리의 모서리 부위를 라운드지게 형성하여 바닥의 다슬기를 쉽게 건져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좌우 대향된 구성으로 좌우 구분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슬기 채취기는 손잡이를 길게 할 수 있어 수경을 보고 다슬기를 확인한 상태에서 팔을 물에 넣지 않고도 다슬기를 건져낼 수 있고, 테두리의 폭이 좁고 그물망이 쉽게 접혀짐으로 인하여 바위틈이나 좁은 곳의 다슬기도 쉽게 건져낼 수 있으며, 손잡이와 대향된 곳의 테두리는 평편하게 형성하여 바위에 붙은 다슬기를 쉽게 채취하는 한편 모서리 부위의 라운드 형성으로 좌우 구분없이 바닥의 다슬기를 쉽게 건져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그물망은 테두리를 감싸서 고정되지 않고, 테두리의 후방에 박음질로 고정되기 때문에 테두리의 전방으로 바위를 긁거나 모래를 긁더라도 그물망이 닳지 않은 채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그물망을 박음질하기 이전의 테두리와 손잡이를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그물망이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그물망이 설치되기 이전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테두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테두리 전면부 단면도
본 발명은 바위에 붙어 있거나 바닥에 놓인 다슬기를 건져낼 때 팔을 물속에 넣지 않고도 용이하게 건져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수경으로 존재를 확인한 다슬기는 물속에 손을 넣어 건져내지 않고, 손잡이를 이용하여 바닥에 놓인 다슬기나 바위에 붙은 다슬기를 쉽게 건져내는 한편 좁은 곳에 있는 다슬기도 쉽게 건져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슬기 채집기는 일정길이를 갖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가 착탈되는 D자 형태의 테두리와, 상기 테두리의 후방으로 박음질 고정되는 그물망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테두리의 평편한 부분은 돌이나 바위에 붙은 다슬기를 건져내고, 모서리 부위를 라운드지게 형성함으로써, 바닥에 있는 다슬기도 쉽게 건져내도록 하는 한편 좌우 대칭되는 구성으로, 좌우 구분없이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D자 형태의 테두리(10)를 합성수지로 사출하여 성형하되 상기 테두리(10)는 일정 폭을 갖도록 하는 한편 전방의 직경이 후방의 직경보다 넓게 하고, 상기 테두리(10)의 전방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하는 한편 테두리(10)의 후방으로는 일정 간격으로 절개홈(11)을 형성하되 절개홈(11)에 의해 평편하게 펼쳐지게한후 그물망(30)을 박음질로 고정시키고, 상기 테두리(10)의 모서리 부위는 라운드지게 형성하여 바닥에 놓인 다슬기를 쉽게 건져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테두리(10)에는 후방으로 폭 방향의 절개홈(11)을 형성하여 그물망(30)을 박음질하여 고정할 때 절개홈(11)에 의해 테두리(10)를 바닥에 평편하게 밀착시킨 상태에서 그물(30)을 밀착시켜 박음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테두리(10)의 모서리 부위는 라운드지게 형성하는 한편 만곡진 부위에는 손잡이(20)를 착탈되게 결합시킴으로써, 손잡이(20)를 잡고 물속의 다슬기를 건져낼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손잡이(20)와 대향된 위치의 테두리(10)는 평편한 형태를 유지시킴으로써, 바위 표면에 붙은 다슬기를 채취할 때 쉽게 다슬기가 그물망(30)으로 수집되게 한다.
본 발명의 테두리(10) 후방으로 박음질하여 고정되는 그물망(30)은 쉽게 접힐 수 있는 한편 모래를 쉽게 배출시킬 수 있는 것으로, 테두리(10)를 이용하여 많은 량의 모래를 그물망(30)으로 투입하더라도 모래는 빠르게 그물망(30)을 빠져 나감으로써 그물망(30)에는 다슬기나 다슬기보다 큰 자갈만 남기 때문에 다슬기 채취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그물망(30)은 테두리(10)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지 않고, 테두리(10)의 후방에서 박음질로 고정되기 때문에 테두리(10)의 전방으로 바위나 모래를 긁더라도 그물망(30)이 닳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테두리(10)는 전방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어, 바닥의 다슬기를 건져 올리거나 바위에 붙은 다슬기를 떼어내기 용이하며, 특히, 테두리(10)의 모서리 부위는 라운드를 형성하여 바닥에 놓인 다슬기를 라운드 부위로 쉽게 그물망(30)에 넣을 수 있도록 하며, 양쪽으로 대칭적인 구성을 갖게 되어 방향 구분없는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수경을 물속의 다슬기를 확인한 후에 손을 물속에 넣지 않고 채취기(50)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다슬기를 건져내는 것으로, 손잡이(20)를 잡고 테두리(10)를 이용하여 바닥이나 바위에 붙은 다슬기를 떼내고 그물망(30)에 넣어 건져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손잡이(20)는 일정 길이를 갖기 때문에 팔 길이보다 깊은 곳의 다슬기도 쉽게 건져낼 수 있으며, 테두리(10)는 전방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져 바닥의 다슬기를 떠 올리거나 바위에 붙은 다슬기를 떼내기가 용이하고, 테두리(10)와 그물망(30)은 물속에서 이동할 때 저항을 크게 받지 않기 때문에 원하는 방향으로 테두리(10)를 이동시켜 다슬기를 건져낼 수 있다.
특히, 테두리(10)의 모서리 부위를 라운드지게 형성함으로써 바닥에 놓인 다슬기를 테두리(10)의 라운드 부위로 쉬게 건져낼 수 있고, 상기 테두리(10)는 좌우 대칭적인 구조를 갖기 때문에 방향 구분 없는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테두리(10)에 형성된 평편한 부분은 바위에 붙은 다슬기를 떼어내거나, 모래 속을 긁어서 모래 속의 다슬기를 채취하게 되며, 다슬기 이외의 모래는 그물망(30)으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다슬기 채취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채취기(50)는 테두리(10)의 폭이 좁기 때문에 바위틈이나 손이 들어가지 않을 정도의 좁은 틈새에 있는 다슬기도 쉽게 건져낼 수 있는 것으로, 다슬기를 잡을 때 수경으로 물속의 다슬기 위치를 파악한 후에는 손을 물속에 넣지 않고도 채취기(50)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다슬기를 건져낼 수 있는 것이다.
10 : 테두리 11 : 절개홈
20 : 손잡이 30 : 그물망
50 : 채취기

Claims (1)

  1. D자 형태의 테두리(10)를 합성수지로 사출하되 상기 테두리(10)는 일정 폭을 갖도록 하는 한편 전방의 직경이 후방의 직경보다 넓게 하고,
    상기 테두리(10)는 전방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게 하는 한편 테두리(10)의 후방으로는 일정 간격으로 절개홈(11)을 형성하고,
    상기 테두리(10)의 후방은 절개홈(11)에 의해 평편하게 펼쳐지게 한 후 그물망(30)을 박음질로 고정시키고,
    상기 테두리(10)의 모서리 부위는 라운드지게 형성하는 한편 만곡된 부위에는 손잡이(20)를 착탈되게 결합하고,
    상기 손잡이(20)의 대향된 부분의 테두리는 평편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슬기 채취기.
KR1020180083081A 2018-07-17 2018-07-17 다슬기 채취기 KR101938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081A KR101938857B1 (ko) 2018-07-17 2018-07-17 다슬기 채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081A KR101938857B1 (ko) 2018-07-17 2018-07-17 다슬기 채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8857B1 true KR101938857B1 (ko) 2019-01-17

Family

ID=65279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081A KR101938857B1 (ko) 2018-07-17 2018-07-17 다슬기 채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88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585B1 (ko) * 2021-01-19 2021-08-24 (주)생태와환경 부착생물 채집기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1558U (ko) * 1977-08-04 1979-03-01
KR940002410Y1 (ko) * 1991-10-28 1994-04-14 삼성전자 주식회사 클러치를 이용한 하우징 댐퍼장치
KR970011800U (ko) * 1997-01-24 1997-04-25 황문화 손잡이에 저울을 내장한 고기잡이용 뜰채
KR200305429Y1 (ko) * 2002-11-15 2003-02-26 김영래 다용도 채집기구
KR200338912Y1 (ko) 2003-10-14 2004-01-16 전순호 다슬기 포획기
KR200432555Y1 (ko) * 2006-09-18 2006-12-05 박정주 뜰채
KR20100114217A (ko) 2009-04-15 2010-10-25 김우형 다슬기 채취도구
KR200472233Y1 (ko) 2012-06-28 2014-04-18 이민석 다슬기 수경
KR101870627B1 (ko) 2017-08-02 2018-06-25 김정원 다슬기 채취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1558U (ko) * 1977-08-04 1979-03-01
KR940002410Y1 (ko) * 1991-10-28 1994-04-14 삼성전자 주식회사 클러치를 이용한 하우징 댐퍼장치
KR970011800U (ko) * 1997-01-24 1997-04-25 황문화 손잡이에 저울을 내장한 고기잡이용 뜰채
KR200305429Y1 (ko) * 2002-11-15 2003-02-26 김영래 다용도 채집기구
KR200338912Y1 (ko) 2003-10-14 2004-01-16 전순호 다슬기 포획기
KR200432555Y1 (ko) * 2006-09-18 2006-12-05 박정주 뜰채
KR20100114217A (ko) 2009-04-15 2010-10-25 김우형 다슬기 채취도구
KR200472233Y1 (ko) 2012-06-28 2014-04-18 이민석 다슬기 수경
KR101870627B1 (ko) 2017-08-02 2018-06-25 김정원 다슬기 채취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585B1 (ko) * 2021-01-19 2021-08-24 (주)생태와환경 부착생물 채집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8857B1 (ko) 다슬기 채취기
US1782497A (en) Clam-catching implement
KR200485474Y1 (ko) 애완견의 숨은 먹이 찾기 매트
KR101822958B1 (ko) 땅속작물 수확장치
Lim et al. Comparison of burrow morphology of juvenile and young adult Ocypode ceratophthalmus from Sai Kaew, Thailand
US3106419A (en) Gathering device for semi-precious stones
US3440810A (en) Sand trap rake
KR101401596B1 (ko) 각도 조절형 입식 북삽
US2857690A (en) Dragline clearing bucket
KR200485461Y1 (ko) 다슬기 채취도구
KR101032808B1 (ko) 유선형의 호미
JP2008212129A (ja) イカ釣り用疑似餌
KR20150123157A (ko) 족대
JP3219949U (ja) コテ付き草取り具
JP2011205996A (ja) 玉網の柄
KR102092371B1 (ko) 다재 사출 성형으로 제작된 루어 낚시용 일체형 낚시채비
CN211322669U (zh) 一种水体中底栖生物采集装置
KR200425382Y1 (ko) 패류 채취구
JP3121083U (ja) 踏みしろ杆付き櫛歯型鋤
JP3193381U (ja) 柄付きザル
KR101607946B1 (ko) 백 스텝 움직임이 선행되는 낚시용 루어
JP3150445U (ja) 潮干狩り用熊手
Sankolli et al. On a new genus and a new species of a subterranean prawn Troglindicus phreaticus (Caridea, Palaemonidae)
KR20100085746A (ko) 판형의 호미
RU177685U1 (ru) Рабочий орган плоскорез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