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0627B1 - 다슬기 채취기 - Google Patents

다슬기 채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627B1
KR101870627B1 KR1020170097973A KR20170097973A KR101870627B1 KR 101870627 B1 KR101870627 B1 KR 101870627B1 KR 1020170097973 A KR1020170097973 A KR 1020170097973A KR 20170097973 A KR20170097973 A KR 20170097973A KR 101870627 B1 KR101870627 B1 KR 101870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pipe
unit
suction pump
body par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7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원
Original Assignee
김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원 filed Critical 김정원
Priority to KR1020170097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6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0/00Harvesting oysters, mussels, spong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다슬기 채취기가 개시된다. 다슬기 채취기는, 내부에 다슬기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에 형성되며 외측에는 파지부가 돌출된 바디부와, 바디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흡입 펌프와, 일단은 바디부의 저장 공간에 연통되고 타단은 바디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내부에는 다슬기가 이동되는 흡입관과, 바디부의 외측에 설치되며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부와, 흡입 펌프와 조명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슬기 채취기{COLLECTING APPARATUS FOR MELANIAN SNAIL}
본 발명은 다슬기를 채취하는 작업 과정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다슬기 채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슬기는 얕은 물가나 하천에서 서식하고 흐르는 물속에 있기 때문에 쉽게 발견할 수가 없다.
하천이나 연못의 돌 밑에 붙어사는 다슬기를 포획하기 위해서는 물살의 흐름으로 인해 시계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아 사람의 육안이나 감각만으로는 채취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다슬기를 간편하게 채취하기 위해 별도의 기구로 이루어지는 다슬기 채취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다슬기 채취기는 지금까지도 여러 가지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 다슬기 채취기는 4각틀에 유리를 부착한 투시통을 만들어 물살을 평정시켜서 탐색하고 채취하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다슬기 채집통은 투시통 하단에 유리판을 부착하여 투시부를 구성하였기 때문에 다슬기의 탐색 작업중 장애물에 부딪치면 쉽게 파손될 위험이 있으므로 사용시 상당한 주의를 요하게 되고, 야간 채취중에 다슬기의 원활한 채취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5-0003333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야간 채취 작업 과정에서도 용이하게 다슬기의 채취가 가능하고 진공 흡입에 의해 다슬기 채취 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다슬기 채취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다슬기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에 형성되며 외측에는 파지부가 돌출된 바디부와, 바디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흡입 펌프와, 일단은 바디부의 저장 공간에 연통되고 타단은 바디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내부에는 다슬기가 이동되는 흡입관과, 바디부의 외측에 설치되며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부와, 흡입 펌프와 조명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한다.
파지부는, 바디부의 상측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바디부에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는 파지 바디와, 파지 바디에 설치되어 흡입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버튼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는, 내부에 저장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는, 바디부의 외측에서 흡입관의 외측에 고정되는 브라켓부재와, 브라켓부재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조명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슬기를 채취하는 과정에서 흡입관의 진공 흡입 작용에 의해 다슬기를 용이하게 흡입하여 채취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슬기를 채취하는 과정에서 조명부의 조명 조사가 함께 이루어지는 바, 보다 용이하게 다슬기의 채취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슬기 채취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다슬기 채취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슬기 채취기의 바디부의 내부에 흡입 펌프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슬기 채취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슬기 채취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슬기 채취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슬기 채취기의 바디부의 내부에 흡입 펌프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슬기 채취기(100)는, 내부에 다슬기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11a)에 형성되며 외측에는 파지부가 돌출된 바디부(10)와, 바디부(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흡입 펌프(20)와, 일측은 바디부(10)의 저장 공간(11a)에 연통되고 타단은 바디부(1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내부에는 다슬기가 이동되는 흡입관(30)과, 바디부(10)의 외측에 설치되며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부(40)와, 흡입 펌프(20)와 조명부(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50)를 포함한다.
바디부(10)는 내부에 다슬기가 흡입되어 저장되는 저장 공간(11a)이 형성되어 다슬기가 채취되어 저장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바디부(10)는, 내부에 저장 공간(11a)이 형성되며 일측으로 개구부(11b)가 형성된 하우징(11)과, 하우징(11)의 개구부(11b)를 개폐하는 개폐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은 내부에 다슬기가 흡입 펌프(20)의 작동에 따라 흡입되어 저장되는 저장 공간(11a)이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일측에는 개구부(11b)가 형성된 상태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하우징(11)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장자리 일부분 또는 저장 공간이 라운드 형상을 포함하는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하우징(11)은 수중에 위치된 상태에서 사용되며, 계속적인 사용 과정에서 부식되지 않고 내구성을 유지하도록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하우징(11)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동일 강도 이상의 소정의 재질로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하우징(11)에는 파지부(15)가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파지부(15)의 표면에는 제어 버튼(15a)이 설치되는 바, 사용자가 파지부(15)를 파지한 상태에서 제어 버튼(15a)을 조작하여 흡입 펌프(20)의 선택적인 구동 제어가 가능하다.
하우징(11)의 개구부(11b)에는 저장 공간(11a)을 선택적으로 계폐하도록 개폐부(13)가 설치될 수 있다.
개폐부(13)는 개구부(11b)의 개구된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저장 공간(11a)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밀폐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물론 개폐부(13)는 개구부(11b)에 탈착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저장 공간(11a)을 개방 또는 밀폐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우징(11)은 개폐부(13)에 의해 밀폐되어 흡입 펌프(20)의 작동 과정에서 진공 상태로 밀폐될 수 있다.
흡입 펌프(20)는 하우징(11)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케이블 타이 등의 소정의 고정 수단에 의해 하우징(11)의 저장 공간(11a)의 내벽면에 고정될 수 있다. 즉, 흡입 펌프(20)는 후술하는 전원 공급부(50)의 전원 공급에 따라 작동되어 흡입관(30)에 흡입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흡입 펌프(20)는 수중에서 사용가능한 수중 모터로 적용될 수 있다.
즉, 흡입 펌프(20)의 작동에 따라 하우징(11)의 저장 공간(11a)이 진공 상태로 전환되면, 저장 공간(11a)과 연통된 상태로 설치된 흡입관(30)을 통해 다슬기의 흡입 가능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흡입관(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일측은 하우징(11)에 고정되어 저장 공간(11a)에 연통되고 타측은 하우징(11)의 외측으로 긴 길이를 갖도록 돌출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흡입관(30)을 수면 내부에 위치시켜 다슬기에 근접시키는 경우, 흡입 펌프(20)의 작동에 따라 물과 다슬기가 흡입관(30)을 따라 흡입되어 저장 공간(11a)의 내부에 흡입 저장될 수 있다.
흡입관(30)은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1)의 측면에 하나로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바디부(10)의 외측에는 조명부(40)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조명부(40)는, 바디부(10)의 외측에서 흡입관(30)의 외측에 고정되는 브라켓부재(41)와, 브라켓부재(41)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조명(43)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부재(41)는 바디부(10)의 외측으로 돌출된 흡입관(30)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금속 등의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바, 흡입관(30)의 외표면 둘레의 일부분을 둘러싸면서 탄성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부재(41)는 흡입관(30)의 길이 방향의 일 위치에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브라켓부재(41)에는 회전 조명(4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회전 조명(43)은 브라켓부재(41)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사용자가 야간에 다슬기를 채취하는 과정에서 시야를 용이하게 확보하여 다슬기를 원활하게 채취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조명부(40)와 흡입 펌프(20)는 전원 공급부(50)에 의해 구동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50)는 조명부(40)와 흡입 펌프(20)에 전원선으로 연결되어, 조명부(40)의 조명 조사 작동과 흡입 펌프(20)의 진공 흡입 작동이 가능하도록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50)는, 다슬기의 채취 작업 과정에서 물이 내부에 유입되지 않도록 물과 이격된 위치에 위치되어 전원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다슬기 채취기의 작동을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파지부(15)를 파지한 상태로 다슬기 위치로 흡입관(30)의 돌출된 단부를 위치시킨다.
여기서, 사용자는 손으로 파지부(15)를 파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제어 버튼(15a)을 조작하여 흡입 펌프(20)를 작동시킨다. 이 과정에서 전원 공급부(50)의 전원 공급에 의해 조명부(40)의 조명 조사 작동도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수경을 착용하고 다슬기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흡입 펌프(20)를 작동시켜 다슬기를 채취할 수 있다.
그러면, 다슬기는 물과 함께 흡입관(30)을 통과하여 바디부(10)의 저장 공간(11a)의 내부로 흡입된다. 여기서 바디부(10)의 내부로 흡입된 물은 흡입 펌프(20)의 펌핑 작동 과정에서 바디부(10)의 외측으로 배출되고, 저장 공간(11a)의 내부에는 다슬기가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다슬기를 채취하는 과정에서 흡입관(30)의 진공 흡입 작용에 의해 다슬기를 용이하게 흡입하여 채취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슬기 채취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슬기 채취기(100)는, 흡입관(30)의 단부에 확관부(13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확관부(130)는 흡입관(30)의 단부에 흡입관(30)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다슬기를 채취하는 과정에서 보다 넓은 면적에 위치된 다슬기를 원활하게 흡입 채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바디부 11...하우징
11a,,저장 공간 11b..개구부
13...개폐부 20...흡입 펌프
30...흡입관 40...조명부
41...브라켓부재 43...회전 조명
50...전원 공급부 130..확관부

Claims (4)

  1. 삭제
  2. 내부에 다슬기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부가 구비되고, 외측에는 파지부가 돌출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흡입 펌프;
    일단은 상기 바디부의 상기 저장 공간에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바디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내부에는 다슬기가 이동되는 흡입관;
    상기 바디부의 외측에 설치되며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부; 및
    상기 흡입 펌프와 상기 조명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를 포함하되,
    상기 파지부는,
    상기 바디부의 상측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바디부에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는 파지 바디; 및
    상기 파지 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버튼;
    을 포함하는 다슬기 채취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의 단부에는 흡입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이루어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확관부가 설치되는 다슬기 채취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바디부의 외측에서 상기 흡입관의 외측에 고정되며, 탄성재질로 마련되는 브라켓부재; 및
    상기 브라켓부재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조명;
    을 포함하는 다슬기 채취기.
KR1020170097973A 2017-08-02 2017-08-02 다슬기 채취기 KR101870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973A KR101870627B1 (ko) 2017-08-02 2017-08-02 다슬기 채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973A KR101870627B1 (ko) 2017-08-02 2017-08-02 다슬기 채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0627B1 true KR101870627B1 (ko) 2018-06-25

Family

ID=62806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7973A KR101870627B1 (ko) 2017-08-02 2017-08-02 다슬기 채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6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8857B1 (ko) 2018-07-17 2019-01-17 송수호 다슬기 채취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749Y1 (ko) * 2010-06-08 2010-08-11 김재연 해산물 채취용 해저 로봇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749Y1 (ko) * 2010-06-08 2010-08-11 김재연 해산물 채취용 해저 로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8857B1 (ko) 2018-07-17 2019-01-17 송수호 다슬기 채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0627B1 (ko) 다슬기 채취기
CN1402829A (zh) 挤出肥皂液的系统和方法
EP2147735A3 (en) Plastic pipe cutting tool
US8424235B1 (en) Luminescent fishing lure recharger
RU2009120639A (ru) Механизация узла сиденья унитаза посредством магнитного приспособления
CN213852159U (zh) 一种用于储物柜消杀的深紫外led光源机构
CN108814678A (zh) 用于心脏外科手术中的心尖探查装置
CN102671285A (zh) 带照明清洁功能的手术吸引器
CN207554317U (zh) 一种plc智能污水抽取装置
CN210204859U (zh) 一种刮除刀
JP3702287B1 (ja) 水道メータ検針棒
KR20170006952A (ko) Led램프가 장착된 장착된 다슬기 수경
CN208999146U (zh) 一种可升降桶槽内取样装置
CN210533197U (zh) 隧道施工控制爆破装置
CN208215703U (zh) 一种新型家用五金钻孔灰尘收集装置
CN205596952U (zh) 一种钓鱼箱
ATE419064T1 (de) Ansaugvorrichtung
CN211606890U (zh) 一种pp桶内液位自动照明装置
CN220620323U (zh) 一种洗面台下排水堵塞处理装置
CN208892953U (zh) 一种骨科用石膏锯
JP2020130916A (ja) 空気浄化装置
CN213740966U (zh) 一种用于园林水池的清理装置
KR200303880Y1 (ko) 낚시용 수중 집어 램프
CN211528215U (zh) 一种饮用水重金属快速检测装置
WO2021077875A1 (zh) 一种吸尘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