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7810B1 - 온라인에서 수집형 카드 게임을 수행하는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온라인에서 수집형 카드 게임을 수행하는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7810B1
KR101937810B1 KR1020170021179A KR20170021179A KR101937810B1 KR 101937810 B1 KR101937810 B1 KR 101937810B1 KR 1020170021179 A KR1020170021179 A KR 1020170021179A KR 20170021179 A KR20170021179 A KR 20170021179A KR 101937810 B1 KR101937810 B1 KR 101937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cards
attack
player
tu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1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4698A (ko
Inventor
허태훈
Original Assignee
허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태훈 filed Critical 허태훈
Priority to KR1020170021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810B1/ko
Publication of KR20180094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22Strategy games; Role-play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00Card games
    • A63F1/04Card games combined with other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7Role playing or strategy g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온라인에서 수집형 카드 게임을 수행하는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수집형 카드 게임을 수행함에 있어서, 플레이어는 필드에 존재하는 공개된 인물카드의 수만큼 해당 턴에서 공격카드를 사용할 수 있고, 물리적인 공격카드 한 장이 공격의 단위가 된다. 보다 상세하게, 플레이어는 자신의 턴이 시작되면 필드에 위치한 인물카드를 공개하고, 상기 자신의 턴에서 상기 공개된 인물카드의 개수와 같거나 그보다 적은 개수의 공격카드를 상기 필드로 이동시켜 상대방의 턴에 사용할 수 있도록 대기시키고, 상기 상대방의 턴이 시작되면, 상기 대기 중인 공격카드를 상기 상대방의 데미지 스택 존에 누적시킨다.

Description

온라인에서 수집형 카드 게임을 수행하는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LLECTIBLE CARD GAME IN OL-LINE}
본 발명은 온라인 게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라인에서 수집형 카드 게임(CCG; collectible card game)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게임의 한 형태로 트레이딩 카드 게임(TCG; trade card game)이 있다. 트레이딩 카드 게임은 본래의 카드 게임이 갖는 오락성 이외에, 1) 특정한 테마나 규칙을 바탕으로 디자인 된 각각의 카드에 가치를 부여하고, 2) 사용자 간 거래가 가능하다는, 두 가지의 주요 특징이 있다. 트레이딩 카드 게임은 1993년 미국의 수학자 리처드 가필드에 의해 개발된 "매직 더 개더링(Magic The Gathering)"이 공전의 히트를 기록하면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매직 더 개더링의 성공으로 신화나 영화, 문학, 애니메이션 등을 소재로 한 다양한 트레이딩 카드 게임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트레이딩 카드 게임은 각 사용자가 자신만의 전략을 수행하기 위한 덱(deck)을 적절하게 선택하고, 서로 다른 가치를 가지는 수많은 카드 가운데 일부를 수집하여 이를 덱에 채운 다음, 카드를 하나씩 꺼내 상대방과 공격과 방어를 주고 받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손쉽게 모든 카드를 수집할 수 있다면 트레이딩 카드 게임으로 불리기 어렵다.
트레이딩 카드 게임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나, 사용자 간에 카드가 거래되지 않는 게임의 형태를 별도로 수집형 카드 게임(CCG; collectible card game)이라고 부른다. 트레이딩 카드 게임이 등장했던 당시에는 두 용어가 혼용되었으나, 2010년대에 거래 없이 수집 요소만 있는 카드 게임이 대거 등장하면서 두 용어의 뜻이 분리되었다. 블리자드(Blizzard)의 "하스 스톤(Hearth Stone)"이 대표적인 수집형 카드 게임이다.
한편, 최근 온라인 게임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과거 실물로 인쇄된 카드를 이용하여 오프라인에서 수행하던 트레이딩 카드 게임 또는 수집형 카드 게임이 온라인 게임화 되고 있다. 매직 더 개더링은 "매직 더 개더링 온라인(Magic The Gathering Online)"이라는 이름으로 온라인 게임의 형태로 제공되고 있으며, 하스 스톤을 비롯한 최근 개발된 수집형 카드 게임은 거의 대부분 온라인 게임의 형태로만 제공되고 있다. 또한, 최근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 온라인 게임의 형태로 제공되던 트레이딩 카드 게임 또는 수집형 카드 게임은 PC의 한계를 벗어나 모바일 플랫폼에서 구동되는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기존의 수집형 카드 게임은, 카드에 기재되어 있는 공격카드의 공격력에 따라, 또는 "공격한다"라고 하는 약속에 따라 상대 플레이어를 공격하는 방식을 사용하거나, 게임의 진행 중 한 플레이어의 카드가 행동불능이 될 경우 그 플레이어의 카드를 데미지(damage)로 인지하여 누적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또는, 자신의 카드 중 일부를 무작위로 뒤집어 두고 특정 조건이 만족할 경우 이를 회수하도록 하여, 뒤집은 카드를 모두 회수할 경우 해당 플레이어가 승리를 선언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은 온라인에서 수집형 카드 게임(CCG; collectible card game)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온라인에서 수집형 카드 게임을 수행하는 방법 중, 보다 상세하게는, 공격카드로 지정되어 있거나 공격카드의 역할을 하는 물리적인 카드 한 장을 공격 수단의 단위로 하여 상대 플레이어를 공격하는 방법 및 상대 플레이어가 해당 공격을 수용하거나 방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양태에 있어서, 수집형 카드 게임을 수행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자신의 턴이 시작되면 필드에 위치한 인물카드를 공개하고, 상기 자신의 턴에서 상기 공개된 인물카드의 개수와 같거나 그보다 적은 개수의 공격카드를 상기 필드로 이동시켜 상대방의 턴에 사용할 수 있도록 대기시키고, 및 상기 상대방의 턴이 시작되면, 상기 대기 중인 공격카드를 상기 상대방의 데미지 스택 존에 누적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공격카드는 각 공격카드 1장당 공격의 단위일 수 있다.
상기 인물카드는 영웅카드와 조력자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웅카드는 상기 자신의 턴이 시작되기 전에 상기 필드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자신의 턴에서 상기 공개된 인물카드의 개수와 같거나 그보다 적은 개수의 공격카드를 상기 필드로 이동시키기 전에, 상기 상대방으로부터 공격카드를 수용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상대방으로부터 공격카드를 수용하기 전에, 방어카드를 사용하여 상기 상대방으로부터 공격카드를 차단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자신의 턴에서 상기 공개된 인물카드의 개수와 같거나 그보다 적은 개수의 공격카드를 상기 필드로 이동시키기 전에, 상기 상대방으로부터 수용한 공격카드의 개수가 10장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대방으로부터 수용한 공격카드의 개수가 10장 이상이면, 상기 상대방의 승리로 상기 수집형 카드 게임이 종료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수집형 카드 게임을 수행하는 온라인 게임 클라이언트가 제공된다. 상기 온라인 게임 클라이언트는, 자신의 턴이 시작되면 필드에 위치한 인물카드를 공개하고, 상기 자신의 턴에서 상기 공개된 인물카드의 개수와 같거나 그보다 적은 개수의 공격카드를 상기 필드로 이동시켜 상대방의 턴에 사용할 수 있도록 대기시키고, 및 상기 상대방의 턴이 시작되면, 상기 대기 중인 공격카드를 상기 상대방의 데미지 스택 존에 누적시키도록 구성된다.
플레이어는 공격카드를 중점으로 진행되는 수집형 카드 게임을 보다 재미 있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하여 제안되는 수집형 카드 게임이 수행되는 데에 사용되는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전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집형 카드 게임이 수행되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집형 카드 게임에서 공격 카드 사용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집형 카드 게임이 구현되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하여 제안되는 수집형 카드 게임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하여 제안되는 수집형 카드 게임이 수행되는 데에 사용되는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전체도이다. 도 1의 전체도는 본 발명에 의하여 제안되는 수집형 카드 게임이 온라인 상에서 수행될 때, 사용자가 사용하는 온라인 게임 클라이언트의 화면에 나타날 수 있다.
도 1에서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는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상대 플레이어에게 속하는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1. 덱(deck): 게임에 사용 예정인 카드를 위치시키는 곳을 나타낸다.
2. 사용한 덱(used-deck): 게임 중 사용되거나 버려진 카드를 위치시키는 곳을 나타낸다.
3. 패(hand): 자신의 턴에 사용 가능한 카드를 위치시키는 곳을 나타낸다.
4. 필드(field): 게임이 진행되는 공간을 나타낸다. 필드는 다음의 구성 요소를 각각 포함한다.
- 4a: 영웅카드를 위치시키는 곳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a는 자신의 패가 있는 방향의 필드(4)에서(즉, 필드(4)의 아래쪽 절반), 가로 방향으로 중앙에 위치한다. 영웅카드의 역할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다.
- 4b: 조력자카드를 위치시키는 곳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b는 4a에서 상대 플레이어의 패(3') 방향으로 앞줄에, 총 3개가 위치한다. 즉, 조력자카드 중 하나는 영웅카드 바로 앞에 위치하며, 나머지 2장의 조력자카드는 영웅카드 바로 앞에 위치한 조력자카드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왼쪽과 오른쪽에 하나씩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한다. 조력자카드의 역할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다.
- 4c: 건물카드를 위치시키는 곳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c는 4a에서 자신의 패(3) 방향으로 뒷줄에, 총 3개가 위치한다. 즉, 건물카드 중 하나는 영웅카드 바로 뒤에 위치하며, 나머지 2장의 건물카드는 영웅카드 바로 뒤에 위치한 조력자카드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왼쪽과 오른쪽에 하나씩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한다. 건물카드의 역할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다.
- 4d: 특수건물카드를 위치시키는 곳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d는 4b에서 상대 플레이어의 패(3') 방향으로 앞줄에, 총 2개가 위치한다. 즉, 특수건물카드 중 1장은 가장 왼쪽에 위치한 조력자카드보다 더 왼쪽 앞에 위치하고, 나머지 1장은 가장 오른쪽에 위치한 조력자카드보다 더 오른쪽 앞에 위치한다. 특수건물카드의 역할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다.
- 4e: 행동카드를 뒤집어 위치시키는 곳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e는 4a의 바로 오른쪽에 위치한다. 행동카드의 역할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다.
- 4f: 비장의 수 카드를 뒤집어 위치시키는 곳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f는 4a의 바로 왼쪽에 위치한다. 비장의 수 카드의 역할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다.
5. 데미지 스택 존(damage stack zone): 게임 중 플레이어가 수용한 공격카드를 위치시키는 곳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하여 제안되는 수집형 카드 게임에서 사용되는 카드에 대하여 설명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안되는 수집형 카드 게임은 다양한 카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카드는 크게 물체카드와 행동카드로 분류될 수 있다.
물체카드는 다시 인물카드와 건물카드로 분류될 수 있다. 인물카드는 공격카드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카드이다. 플레이어는 필드(4)에 앞면으로 존재하는 인물카드의 수만큼 한 턴에 공격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즉, 한 턴에 사용할 수 있는 공격카드의 최대 개수는 필드(4)에 앞면으로 존재하는 인물카드의 개수이다. 즉, 1장의 인물카드 당 1번의 공격이 가능하다. 인물카드는 영웅카드와 조력자카드로 분류될 수 있다. 영웅카드는 인물카드 중 플레이어가 처음부터 필드(4)의 4a에 위치시킬 수 있는 카드이다. 조력자카드는 인물카드 중 필드의 4b에 위치되는 카드이다. 건물카드는 필드(4) 위에 건설되어 특정한 효과를 발동시키는 카드이다. 건물카드는 일반건물카드와 특수건물카드로 분류될 수 있다. 일반건물카드는 건물카드 중 필드(4)의 4c에 위치되는 카드이다. 특수건물카드는 건물카드 중 필드의 4d에 위치되는 카드이다.
행동카드는 공격카드, 방어카드 및 기타 효과카드로 분류될 수 있다. 공격카드는 상대 플레이어를 공격을 하는 데에 사용되는 행동카드이다. 공격카드 1장이 공격의 1단위로 취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물카드 1장 당 1번의 공격이 가능하다. 방어카드는 상대 플레이어의 공격에 대한 방어를 하는 데에 사용되는 행동카드이다. 방어카드는 대기 상태에 있는 상대 플레이어의 모든 공격카드를 상대 플레이어의 사용한 덱(2')으로 보낸다. 즉, 방어카드의 효과가 발동함에 따라, 상대 플레이어의 공격을 수용하지 않을 수 있다. 기타 효과카드는 공격카드와 방어카드를 제외한, 카드에 기재되어 있는 내용에 따라 효과를 발동하는 행동카드이다. 또한, 특수한 행동카드로, 비장의 수 카드가 있다. 이는 비장의 수라고 기재되어 있는 행동카드로, 조건이 만족될 때 즉시 발동되는 행동카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집형 카드 게임이 수행되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에서 설명된 전체도 상에서, 도 2에서 설명되는 수집형 카드 게임이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단계 10부터 단계 80까지 도시되어 있는 도 2-(a)와, 단계 90부터 단계 150까지 도시되어 있는 도 2-(b)로 구성된다.
도 2-(a)를 참조하면, 단계 10에서, 각 플레이어는 7장의 카드를 각자의 덱에서 패로 이동시킨다. 단계 20에서, 각 플레이어는 각자의 영웅카드를 4a(4a')에 뒤집어 놓는다. 즉, 영웅카드는 턴이 시작되기 전에 이미 필드(4)에 나와 있으므로, 플레이어가 자신의 턴에 바로 공격카드를 발동시키기 위한 준비가 되어 있다. 단계 30에서, 두 플레이어는 무작위로 먼저 턴을 시작할 플레이어를 정한다. 이에 따라 먼저 턴을 시작하는 우선권을 가진 플레이어를 선택하여, 그 플레이어의 턴을 먼저 시작하게 된다. 도 2에서는, 단계 40에서 플레이어1에게 우선권이 있는지를 판별하고, 플레이어1에게 우선권이 있다고 가정한다.
단계 50에서, 플레이어1의 턴이 시작된다. 턴이 시작되면, 플레이어는 먼저 자신의 필드 위에 뒷면으로 뒤집혀 있는 카드를 앞면으로 공개하고, 카드에 효과가 기재되어 있는 경우 그 효과를 발동시킨다. 뒷면의 카드를 앞면으로 공개하는 순서는, 영웅카드, 조력자카드, 행동카드의 순서이다. 플레이어는 물체카드는 카드를 공개/발동한 뒤에 그대로 그 자리에 위치시키고, 행동카드는 카드를 공개/발동한 뒤 사용한 덱(2)으로 이동시킨다. 도 2-(a)를 참조하면, 단계 60에서 플레이어1은 필드(4)의 4a에 위치하는 자신의 영웅카드를 공개/발동하고, 그 자리(4a)에 그대로 위치시킨다. 단계 70에서, 플레이어1은 필드(4)의 4b에 존재하는 자신의 조력자카드를 공개/발동하고, 그 자리(4b)에 그대로 위치시킨다. 단계 80에서, 플레이어1은 필드(4)의 4e에 위치하는 자신의 행동카드를 공개/발동하고, 사용한 행동카드를 사용한 덱(2)로 이동시킨다.
이후, 도 2-(b)를 참조하면, 단계 90에서 플레이어1은 대기 중인 플레이어2의 공격카드를 수용한다. 즉, 플레이어1은 필드(4)의 중앙에 대기 상태로 있는 플레이어2의 공격카드가 있는 경우, 해당 공격카드를 수용하여 데미지 스택 존(5)에 누적시킨다. 단계 100에서, 플레이어1은 지금까지 수용한 공격카드의 개수가 10장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플레이어1이 지금까지 수용한 공격카드의 개수가 10장 이상이라면, 단계 150에서 플레이어2의 승리로 게임이 끝난다. 그러나 플레이어1이 지금까지 수용한 공격카드의 개수가 10장 이상이 아니라면 게임을 계속 진행하며, 단계 110에서 플레이어1은 턴으로서의 활동을 한다. 플레이어1은 턴으로서의 활동을 하면서, 다음과 같은 활동을 할 수 있다.
- 조력자카드를 필드에 앞면/뒷면으로 출현시킨다.
- 일반건물카드를 앞면으로 필드에 출현시킨다.
- 특수건물카드를 앞면으로 필드에 출현시킨다.
- 방어카드 등의 뒷면으로 뒤집어 사용 가능한 행동카드를 필드에 뒤집어 둔다.
- 비장의 수 카드를 뒷면으로 뒤집어 둔다.
- 공격카드 등의 앞면으로 사용 가능한 행동카드를 사용한다. 공격카드의 사용에 대하여는, 하기의 도 3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단계 110에서 플레이어1이 턴으로서의 활동을 한 후, 단계 120에서 플레이어1이 턴 엔드를 선언하였는지를 확인한다. 플레이어1이 턴 엔드를 선언하지 않았으면, 플레이어1은 턴으로서의 활동을 계속 진행한다. 플레이어1이 턴 엔드를 선언하였으면, 단계 130에서 플레이어1은 플레이어1의 덱(1)에서 패(3)로 카드를 1장 이동시킨다. 그리고 단계 140에서 플레이어1의 턴이 종료되고, 플레이어2의 턴이 시작된다. 이후 상술한 단계 50에서 단계 140까지의 단계가 동일하게 수행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집형 카드 게임에서 공격 카드 사용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3의 흐름도는 도 2의 단계 110에서 플레이어가 턴으로서의 활동을 할 때, 공격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응한다.
단계 111에서, 플레이어1은 공격카드를 사용하려고 한다. 먼저 단계 112에서, 이번 턴에 이미 사용한 공격카드의 개수보다 필드(4)에 앞면 상태로 놓여진 인물카드의 개수가 더 많은지를 판단한다. 필드(4)에 앞면 상태로 놓여진 인물카드의 개수가 이번 턴에 이미 사용한 공격카드의 개수보다 많지 않으면, 단계 115에서 해당 공격카드의 사용은 반려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턴에서 공격카드의 최대 사용 가능 개수는 필드(4)에 공개된 인물카드의 개수로 결정되고, 공격카드 1장이 하나의 공격 단위가 된다. 만약 필드(4)에 앞면 상태로 놓여진 인물카드의 개수가 이번 턴에 이미 사용한 공격카드의 개수보다 많으면, 그 다음으로 단계 113에서, 이번 턴에 이미 사용한 공격카드 중 사용하려는 공격카드에 기재된 문양을 가진 카드의 개수보다 필드(4)에 앞면 상태로 놓여진 인물카드 중 사용하려는 공격카드에 기재된 문양을 가진 카드의 개수가 더 많은지를 판단한다. 필드(4)에 앞면 상태로 놓여진 인물카드 중 사용하려는 공격카드에 기재된 문양을 가진 카드의 개수가 이번 턴에 이미 사용한 공격카드 중 사용하려는 공격카드에 기재된 문양을 가진 카드의 개수보다 많지 않으면, 역시 단계 115에서 해당 공격카드의 사용은 반려된다. 만약 필드(4)에 앞면 상태로 놓여진 인물카드 중 사용하려는 공격카드에 기재된 문양을 가진 카드의 개수가 이번 턴에 이미 사용한 공격카드 중 사용하려는 공격카드에 기재된 문양을 가진 카드의 개수보다 많으면, 단계 114에서 사용하려는 공격카드를 필드(4)의 중앙으로 이동시켜 두게 한다. 해당 공격카드는 플레이어2의 다음 턴에서 플레이어2를 공격하는 데에 사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집형 카드 게임이 구현되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온라인 게임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온라인 게임 클라이언트(200)와 연결될 수 있다. 온라인 게임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여 온라인 게임 계정에 로그인 한 다수의 온라인 게임 클라이언트(200)들이 본 발명의 의하여 제안되는 수집형 카드 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제공한다. 온라인 게임 클라이언트(200)들은 온라인 게임 서버(300)를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하여 제안되는 수집형 카드 게임을 수행할 수 있다. 온라인 게임 클라이언트(200)는 일반적으로는 PC이며, 또는 모바일 접속이 가능한 스마트폰일 수 있다. 온라인 게임 클라이언트(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온라인 게임 서버(300)에 접속하여 자신의 온라인 게임 계정에 로그인하여, 본 발명의 의하여 제안되는 수집형 카드 게임을 수행할 수 있다. 각 온라인 게임 클라이언트(200)는 상술한 수집형 카드 게임을 수행하는 방법의 각 플레이어에 대응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상술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방법들은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었다. 편의상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 설명되었으나, 청구된 본 발명의 특징은 단계들 또는 불록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다른 단계와 상술한 바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수집형 카드 게임을 수행하는 온라인 게임 클라이언트에 있어서,
    자신의 턴이 시작되면 필드에 위치한 인물카드를 공개하고,
    상기 자신의 턴에서 상기 공개된 인물카드의 개수와 같거나 그보다 적은 개수의 공격카드를 상기 필드로 이동시켜 상대방의 턴에 적용되도록 대기시키고, 및
    상기 상대방의 턴이 시작되면, 상기 대기 중인 공격카드를 상기 상대방의 데미지 스택 존에 누적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대방의 데미지 스택 존에 누적되는 데미지의 크기는 상기 공격카드의 물리적인 개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 클라이언트.
KR1020170021179A 2017-02-16 2017-02-16 온라인에서 수집형 카드 게임을 수행하는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장치 KR101937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179A KR101937810B1 (ko) 2017-02-16 2017-02-16 온라인에서 수집형 카드 게임을 수행하는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179A KR101937810B1 (ko) 2017-02-16 2017-02-16 온라인에서 수집형 카드 게임을 수행하는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698A KR20180094698A (ko) 2018-08-24
KR101937810B1 true KR101937810B1 (ko) 2019-01-11

Family

ID=63454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1179A KR101937810B1 (ko) 2017-02-16 2017-02-16 온라인에서 수집형 카드 게임을 수행하는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810B1 (ko)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하스스톤] 검은바위 산, 만능골렘 방어 시스템(영웅모드) 공략; 전사, 무과금-기본카드+80가루(최소0가루)", 인터넷 네이버 블로그 게시글(2015.10.11.)*
"하스스톤 초보자 가이드", 인터넷 네이버 블로그 게시글(2013.10.2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698A (ko) 2018-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8644B2 (en) Asynchronous challenge gaming
US8062120B2 (en) Dynamic card system and method
JP2008536631A (ja) ネットワーク化された電子ゲームトーナメント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10201756B2 (en)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game system
CN112891942B (zh) 获取虚拟道具的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6575463B1 (en) Gladiator game and method of play
US20060281535A1 (en) Game optimization system
JP5409941B1 (ja) サーバー装置、及び、ゲームプログラム
US11465049B2 (en) Method for advertising through playing card game and system therefor
TW201350173A (zh) 對戰式遊戲結構及其執行方法
JP5923212B1 (ja) 情報処理装置、ゲーム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US1127881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audience participation in bonus game play sessions
KR101937810B1 (ko) 온라인에서 수집형 카드 게임을 수행하는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장치
JP7248854B2 (ja) 情報処理装置、ゲーム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5499211B1 (ja) サーバー装置、及び、ゲームプログラム
JP7124044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11056030A (ja) ゲーム要素抽出プログラム、こ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並びにコンピュータ装置
Farquhar Fighting games and social play
KR20170127837A (ko) 온라인 보드 게임 시스템
JP2021183267A (ja) ゲーム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及び制御プログラム
Schwartz Historical parallels between tournament poker and esports
KR20070048896A (ko) 다자간 온라인 게임 시스템 및 방법
US20190076727A1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card games utilizing secondary identifiers
TW202000282A (zh) 使用萬用牌的撲克牌遊戲方法、遊戲伺服裝置及電腦可讀取的記錄媒體
JP6138072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ゲーム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