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7535B1 -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7535B1
KR101937535B1 KR1020160148844A KR20160148844A KR101937535B1 KR 101937535 B1 KR101937535 B1 KR 101937535B1 KR 1020160148844 A KR1020160148844 A KR 1020160148844A KR 20160148844 A KR20160148844 A KR 20160148844A KR 101937535 B1 KR101937535 B1 KR 101937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ccident
display
text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8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1908A (ko
Inventor
김균형
이성준
김준수
남승기
박소영
이슬기
Original Assignee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48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535B1/ko
Publication of KR20180051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1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0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0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 B60Q1/503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electronic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2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vehicle motion parameters, e.g. to vehicle longitudinal or transversal deceleration or speed val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27Post collision measures, e.g. notifying emergency 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021/01302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monitoring vehicle body vibrations or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25/00Means indicating the functioning state of the alarm system, e.g. indicating arming, using l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5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information being shared, e.g. external display, data transfer to other traffic participants or centralised traffic control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차량 운전자로부터 수신된 텍스트와 사용자 이미지를 투명 패널 상에 출력하고, 속도 센서와 소리 센서에 의해 사고 발생이 감지되면 긴급 메시지를 주변에 전송하고 기저장된 정보를 출력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DISPLAY DEVICE FOR VEHICLE USING TRANSPARENT DISPLAY AND METHOD THERETO}
본 발명은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후면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후방의 운전자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을 운전할 때에는 다른 운전자들과 의사소통을 하는 것이 어려우며, 방향 지시등을 이용하는 간단한 수준의 의사소통만이 가능한 상황이다. 이러한 방식은 상대방에게 충분한 정보나 감정을 전달할 수 없기 때문에 서로 오해가 발생하거나 기분이 상하는 경우가 잦다.
한편, 차량 후면에 부착되는 스티커나 종이 재질의 정보 전달 매체는 특정 상황을 알릴 수 있지만(예를 들어, 운전에 미숙함을 알리거나 아기의 탑승을 알리는 문구), 이 또한 한정적이고 제한적인 정보에 지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 차량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도 제안된 바 있으나,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차량 후면 유리창을 일정 부분 가리기 때문에 차량의 운전자가 후방을 관측하기 위한 영역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한다는 단점 또한 존재한다.
따라서, 뒷 차량의 운전자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면서도 자신의 차량 운전에 방해가 없는 새로운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운전시 뒷 차량 운전자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면서도 운전자의 후방 시야를 확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고 발생시 주변에 알려 사고의 조기 수습을 도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 예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의 후면 유리에 접하도록 배치되며 투명 패널을 통해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감지하는 센서부, 및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될 텍스트 및 사용자 이미지를 수신하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긴급 메시지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되,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서 차량의 운전자로부터 텍스트 및 사용자 이미지를 수신하고, 센서부는, 속도 감지 센서에 의해 차량이 급하게 정지한 뒤 속도 변화가 없는 것이 감지되고, 소리 감지 센서에 의해 소정 크기 이상의 소리가 감지되는 경우,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며, 디스플레이부는, 텍스트 및 사용자 이미지를 출력하고,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사고의 발생을 알리는 기저장된 정보를 출력한다.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통신부는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서 차량의 위치를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는 긴급 메시지를 주변의 단말들에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하고, 센서부의 위치 감지 센서가 측정한 차량의 위치를 포함하는 긴급 메시지를 기저장된 네트워크 엔티티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의 투명 패널은 콜레스테릭 액정(cholesteric liquid crystall, CLC)을 이용하여 제작되며, 텍스트, 사용자 이미지를 8 개의 색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는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서 차량의 운전자를 지원하는 사업자로부터 로고 이미지를 수신하며, 디스플레이부는 텍스트 및 사용자 이미지와 함께 로고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은, 차량의 주행 중에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될 텍스트 및 사용자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텍스트 및 사용자 이미지를 차량의 후면 유리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투명 패널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결정하는 단계, 및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긴급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수신하는 단계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서 차량의 운전자로부터 텍스트 및 사용자 이미지를 수신하고, 결정하는 단계는, 속도 감지 센서에 의해 차량이 급하게 정지한 뒤 속도 변화가 없는 것이 감지되고, 소리 감지 센서에 의해 소정 크기 이상의 소리가 감지되는 경우,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며, 출력하는 단계는,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사고의 발생을 알리는 기저장된 정보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로, 차량 운전자의 후방 시야를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뒷 차량 운전자들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어, 성숙한 운전 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둘째로, 사고 발생시 주변에게 긴급하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어 사고 수습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을 실시함에 따른 의도하지 않은 효과들 역시 본 발명의 실시 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 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 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제안하는 실시 예에 따라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제안하는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현 예를 도시하는 배치도이다.
도 3은 제안하는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이 동작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제안하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후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제안하는 실시 예에 따라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제안하는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통신부(120), 센서부(130), 메모리(140), 전원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하며, 도 1에 도시된 구성들 외에도 다른 범용적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구성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각각 설명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차량의 후면 유리창에 배치되며 입력된 정보 및 데이터 등을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장치이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차량 운전자의 후방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투명하게 구현되어야 하며,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부(110)는 콜레스테릭 액정(cholesteric liquid crystall, CLC)를 이용하여 제작된 패널을 포함하는 반사형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완전하게 투명한 패널뿐 아니라, 반투명하거나 일부만 투명한 패널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앞서 설명했듯이 데이터, 텍스트, 이미지 등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며, 흑백, 그레이톤 및 컬러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10)는 복잡하거나 구체적인 정보를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의사소통을 개선하기 위한 정도의 정보를 출력하면 되기 때문에, 제작 공정의 간소화를 위해 256 계조의 RGB 컬러가 아닌 8 개의 색(red, green, blue, yellow, cyan, magenta, white, black)만 표현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는 공정 과정이 복잡한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 방식보다는 정보를 구현하기 위해 결함이 없는 패시브 매트릭스(passive matrix) 방식을 이용하게끔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가 출력하는 정보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텍스트, 이미지 등의 정보가 될 수도 있지만, 통신부(120)를 통해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텍스트, 이미지 등의 정보가 될 수도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다음으로, 통신부(120)는 네트워크 또는 다른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통신을 수행하며, 근거리 통신 모듈(122) 및 이동 통신 모듈(124)을 포함한다. 근거리 통신 모듈(122)은 블루투스(Bluetooth), 무선 랜(Wi-Fi),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FD(Wi-Fi Direct),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등 다양한 방식의 통신을 지원하며, 이동 통신 모듈(124)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차량에 설치되어 이동하는 도중에 인접한 기지국 또는 네트워크 엔티티(entity)를 통한 통신을 지원한다.
먼저, 통신부(120)의 근거리 통신 모듈(122)은 운전자의 휴대용 디바이스(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폰, PDA, 랩탑 컴퓨터 등)와 연결되어 운전자의 디바이스로부터 텍스트나 이미지를 수신한다. 이와 같이 근거리 통신 모듈(122)이 운전자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텍스트, 이미지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20)는 이동 통신 모듈(124)을 통해 특정 사업자로부터 광고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해당 사업자는 자신의 광고 이미지(예를 들어, 사업자의 기업 로고 등)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하는 대가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장착된 차량의 운전자에게 다양한 혜택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업자는 운전자의 통신 요금을 지원하거나, 운전자의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무료로 긴급 메시지를 주변에 송출해줄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는 후술하겠지만, 차량의 운전자는 주행 중에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서 자신이 입력하는 텍스트, 이미지의 출력하면서, 광고주의 광고 이미지를 동시에 출력할 수도 있다.
나아가, 이동 통신 모듈(124)은 운전자의 차량에 사고가 발생했다고 판단된 경우, 차량 주변에 긴급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하거나 특정 네트워크 엔티티(예를 들어, 사고 발생을 관리하는 소방서, 경찰서 등의 공공기관이나 재난 관리 센터)로 긴급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긴급 메시지는 후술할 위치 감지 센서(136)에 의해 감지되는 차량의 GPS 값과 함께 사고의 발생을 알리기 위한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긴급 메시지를 수신한 디바이스의 소유자(주변 차량의 운전자, 탑승자, 사고 지역 주변의 보행자 등)나 네트워크 엔티티의 관리자는 해당 지역에서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사고 발생을 관련 기관에 알리는 과정을 기대할 수 있다.
이어서, 센서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장착된 차량에 관련된 여러 가지 정보를 감지하며, 소리 감지 센서(132), 속도 감지 센서(134) 및 위치 감지 센서(136)를 포함한다. 소리 감지 센서(132)는 차량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주파수 별 특징, 소리의 세기 등을 감지하여 사고 발생을 청각적으로 감지하는 센서이다. 속도 감지 센서(134)는 차량의 이동 속도와 가속도를 감지하며, 차량의 이동속도가 급격하게 0으로 감소한 이후로 일정 시간 이상 변화하지 않는다면 사고가 발생했다고 인지할 수 있다. 이어서, 위치 감지 센서(136)는 차량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며, 앞서 설명했듯이 GPS 등으로 구성되어 차량의 위치를 특정한 좌표 값이나 데이터로 생성한다.
메모리(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생성, 처리,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하며, 메모리(140)는 제어부(160)에 연결되어 오퍼레이팅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프로그램 및 일반 파일(general files)들을 저장한다.
전원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동작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며, 차량의 시거잭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부(110), 통신부(120), 센서부(130), 메모리(140), 전원부(150)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micro)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호칭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또는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등이 제어부(16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제안하는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현 예를 도시하는 배치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현하기 위한 PCB(Printed Circuit Board) 도면이며, 이러한 PCB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작하기 위한 설계의 예시일 뿐, PCB는 다른 형태와 구조를 갖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도 2에서 전원부(212)가 5V의 전원을 받으면 부저가 울리며 PCB가 작동을 개시하며 전원은 레귤레이터(206)와 커패시터(204)로 전달된다. 레귤레이터(206)는 전달받은 전압을 낮추어 각 칩들이 구동하게끔 하고, 커패시터(204)는 전압을 CLC 액정의 R, G, B 소켓이 구동할 수 있는 전압으로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가변저항(202)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저항 값을 임의로 변경하여 전류 세기를 조절한다. MCU(210)은 c언어 기반의 프로그램을 사용하며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의 신호를 생성 및 전송한다. 블루투스 칩(214)은 도 1에서 설명한 근거리 통신 모듈(122)이 될 수 있으며, 운전자의 휴대용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텍스트나 이미지 및 광고 이미지가 메모리(208)에 저장된다. 입력부(216)는 6개의 버튼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는데, 다른 수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입력부(216)의 각 버튼들은 각각 저장된 이미지를 어떠한 방식으로 출력할 것인지 조절하는 버튼이다. 예를 들어, 각 버튼들은 10 내지 15초 간격으로 이미지를 변경하거나, 이전 또는 다음 이미지로 변경하거나, 처음 이미지로 돌아가는 등 저장된 여러 이미지들의 출력 순서를 조절하기 위한 기능에 대응되는 버튼들이다. 일부 버튼들은 커넥터 1, 2, 3, 4 와 연결되는 기능에 대응될 수도 있다. 블루투스 제어버튼은 디스플레이부(110)가 특정 이미지와 텍스트를 출력하도록 명령하는 기능에 대응되며, 해당 버튼을 누름으로써 원하는 문구나 그림이 디스플레이부(110) 상에 표현될 수 있다.
도 3은 제안하는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이 동작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흐름도는 앞서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내용들이 동작하는 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도시한다. 따라서, 도 3에서 구체적인 설명이 생략되더라도 앞서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내용들이 도 3에도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먼저, 차량의 후면 유리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운전자와 관련된 사업자로부터 광고 이미지를 획득한다(S310). 이러한 광고 이미지는 사업자가 운전자의 차량을 통해 표시하기 원하는 로고나 이미지가 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는 운행 이전에 미리 광고 이미지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어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차량이 주행을 시작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속도 감지 센서는 정상 주행이 개시되었음을 감지한다(S320). 차량이 정상적으로 주행하는 도중에,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출력할 텍스트와 이미지를 수신한다(S330). 텍스트와 이미지는 사용자 단말과의 블루투스 연결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이어서, 차량의 후면 유리에 밀착하여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S330에서 수신한 텍스트, 이미지 및 S310에서 획득한 광고 이미지를 함께 출력한다(S340). 이러한 과정을 통해, 운전자가 원하는 텍스트, 이미지가 뒷 차량의 운전자에게 전달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운전자를 지원하는 사업자의 로고도 출력되어 사업자의 광고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정상적으로 주행하던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경우를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정상 주행 도중에 소리 변화와 속도 변화를 감지하여 사고가 발생했다고 판단한다(S350). 경적을 울리는 경우를 구분하기 위해 소리의 크기가 큰 것만으로는 사고가 발생했다고 판단하지 않으며, 사고 발생시 예측되는 특정 주파수의 소리가 일정 이상의 크기로 감지되는 경우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주행 속도가 급격하게 0으로 변화한 이후에 일정 시간 이상 변화가 없다면, 이 또한 사고가 발생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단순한 급정거의 경우와 구별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리 변화와 속도 변화가 동시에 발생한 경우에만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사고가 발생하지 않았다면(S360), 디스플레이 장치는 계속하여 차량이 정상적으로 주행하는 것으로 인지하고 S320의 과정을 진행한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텍스트, 이미지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미리 수신된 광고 이미지 또한 함께 출력한다.
반면에 사고가 발생했다고 판단된 경우(S360), 디스플레이 장치는 미리 저장된 메시지를 출력한다(S370). 이러한 메시지는 비상시에 주변과 뒷차량들에 최대한 빠르게 사고의 발생을 알리고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 미리 작성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될 수 있으며, 텍스트 및/또는 이미지일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고 발생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함과 동시에 주변에 긴급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할 수도 있다. 즉, 앞서 설명했듯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고의 발생을 알리고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서 주변의 사용자 단말이나 사고를 수습할 수 있는 공공기관, 업체 등으로 긴급 메시지를 전송하며, 사고 발생 위치를 알리기 위한 차량의 위치 정보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주행이 종료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동작을 종료한다(S380).
도 4는 제안하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후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의 위쪽에는 차량의 후면 유리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운전자로부터 텍스트(420), 이미지(410)가 입력되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400) 상에 이를 출력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고 발생시 긴급 메시지 발송을 지원해주는 사업자의 광고를 도와주기 위해 사업자로부터 미리 수신한 로고(430)도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이어서, 주행 중에 사고가 발생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패널(440) 상에 사고의 발생을 알리고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 미리 저장된 메시지를 자동적으로 출력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주변에 사고 발생이 빠르게 알려질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는 메시지 출력과 함께 긴급 메시지를 주변에 브로드캐스트하거나 특정 기관 및 업체 등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컴퓨터 코드를 포함하는 저장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들은, 반송파(carrier waves)나 신호들과 같이 일시적인 대상들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아야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후면 유리에 접하도록 배치되며 투명 패널을 통해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될 텍스트 및 사용자 이미지를 수신하며,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긴급 메시지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서 상기 차량의 운전자로부터 상기 텍스트 및 상기 사용자 이미지를 수신하고,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서 상기 차량의 운전자를 지원하는 사업자로부터 광고 이미지를 수신하며,
    상기 센서부는, 속도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차량이 급하게 정지한 뒤 속도 변화가 없는 것이 감지됨과 동시에 소리 감지 센서에 의해 사고 발생 시 예측되는 소정의 주파수의 소리가 소정의 크기 이상 감지되는 경우,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텍스트 및 상기 사용자 이미지와 함께 상기 광고 이미지를 출력하고, 상기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사고의 발생을 알리는 기저장된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투명 패널은 콜레스테릭 액정(cholesteric liquid crystal, CLC)을 이용하여 제작된 반사형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구현되며, 상기 텍스트 및 상기 사용자 이미지는 8 개의 색상으로 출력되고,
    상기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서 상기 차량의 위치를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긴급 메시지를 주변의 단말들에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하고, 상기 센서부의 위치 감지 센서가 측정한 상기 차량의 위치를 포함하는 상기 긴급 메시지를 기저장된 네트워크 엔티티로 전송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PCB(Printed Circuit Board)를 통해 구현되고, 상기 PCB에는 복수개의 버튼들로 구성된 입력부가 포함되며, 상기 복수개의 버튼들 각각을 통해 상기 사용자 이미지의 출력 순서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 중에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될 텍스트, 사용자 이미지 및 광고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 및 상기 사용자 이미지를 차량의 후면 유리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투명 패널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긴급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서 상기 차량의 운전자로부터 상기 텍스트 및 상기 사용자 이미지를 수신하고,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서 상기 차량의 운전자를 지원하는 사업자로부터 상기 광고 이미지를 수신하며,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속도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차량이 급하게 정지한 뒤 속도 변화가 없는 것이 감지됨과 동시에 소리 감지 센서에 의해 사고 발생 시 예측되는 소정의 주파수의 소리가 소정의 크기 이상 감지되는 경우, 상기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며,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사고의 발생을 알리는 기저장된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신부는 상기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서 상기 차량의 위치를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긴급 메시지를 주변의 단말들에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센서부의 위치 감지 센서가 측정한 상기 차량의 위치를 포함하는 상기 긴급 메시지를 기저장된 네트워크 엔티티로 전송하며,
    상기 투명 패널은 콜레스테릭 액정(cholesteric liquid crystal, CLC)을 이용하여 제작된 반사형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구현되며, 상기 텍스트 및 상기 사용자 이미지는 8 개의 색상으로 출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PCB(Printed Circuit Board)를 통해 구현되고, 상기 PCB에는 복수개의 버튼들로 구성된 입력부가 포함되며, 상기 복수개의 버튼들 각각을 통해 상기 사용자 이미지의 출력 순서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160148844A 2016-11-09 2016-11-09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1937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844A KR101937535B1 (ko) 2016-11-09 2016-11-09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844A KR101937535B1 (ko) 2016-11-09 2016-11-09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908A KR20180051908A (ko) 2018-05-17
KR101937535B1 true KR101937535B1 (ko) 2019-01-10

Family

ID=62486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8844A KR101937535B1 (ko) 2016-11-09 2016-11-09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5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141B1 (ko) * 2020-09-14 2021-09-09 김동규 차량에 부착되는 전자 장치 및 차량에 부착되는 전자 장치의 작동 방법
CN112298020A (zh) * 2020-10-19 2021-02-02 上海仙塔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车机信息展示系统、方法、车辆及计算机存储介质
CN116022079A (zh) * 2021-10-22 2023-04-28 富联精密电子(天津)有限公司 智能求援方法、求援装置及车辆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43068A (ja) * 2014-01-31 2015-08-06 株式会社デンソー 重大事故検知装置
JP2016153281A (ja) * 2015-02-20 2016-08-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ウインドシールドガラスおよ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43068A (ja) * 2014-01-31 2015-08-06 株式会社デンソー 重大事故検知装置
JP2016153281A (ja) * 2015-02-20 2016-08-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ウインドシールドガラスおよ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908A (ko) 2018-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77612B (zh) 基于上下文的车辆用户界面重配置
US884202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early warning detection of emergency vehicles
US10665098B2 (en) Dynamically configurable traffic controller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9551587B2 (en) Navigation device and navigation method capable of presenting prompt information with different light effects
KR101937535B1 (ko)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JP2015505076A (ja) 再構成可能なパーソナライズド車両用ディスプレイ
TWI641859B (zh) 行動電子機器、行動電子機器控制方法及行動電子機器控制程式
CN112590793B (zh) 汽车的变道控制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CN108639056B (zh) 驾驶状态检测方法、装置以及移动终端
KR20180041511A (ko) 이중주차 알림 장치 및 방법
JP5203110B2 (ja) 車載装置及び情報出力方法
CN112721548B (zh) 汽车的轮胎报警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CN107134162A (zh) 车载自动报站器系统
US10575135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CN113888832A (zh) 一种儿童遗留车辆内的报警方法、报警装置及穿戴设备
JP2017212679A (ja) 携帯電子機器、制御システム、携帯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携帯電子機器制御プログラム
CN111572547A (zh) 汽车的变道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2572661B (zh) 信息终端以及存储介质
JP2016212716A (ja) 注意喚起情報発信装置、注意喚起情報発信方法、信号機制御装置、移動体位置表示装置
CN206893103U (zh) 车载自动报站器系统
KR101446596B1 (ko) 차량용 스마트폰 제어 안내판
TWM462693U (zh) 車用抬頭顯示裝置
JP2022181081A (ja) 制御装置、システム、車両、及び制御方法
JP2018152862A (ja) 電子機器、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電子機器制御プログラム
JP2020055430A (ja) 光通知制御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光通知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