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7288B1 - 폐 인조 잔디 충진재(sebs)를 이용한 플라스틱 펠렛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폐 인조 잔디 충진재(sebs)를 이용한 플라스틱 펠렛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7288B1
KR101937288B1 KR1020160153683A KR20160153683A KR101937288B1 KR 101937288 B1 KR101937288 B1 KR 101937288B1 KR 1020160153683 A KR1020160153683 A KR 1020160153683A KR 20160153683 A KR20160153683 A KR 20160153683A KR 101937288 B1 KR101937288 B1 KR 101937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bs
weight
parts
mixture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3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6430A (ko
Inventor
장상용
정해영
안만길
안준기
Original Assignee
(주)엔코아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코아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엔코아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60153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288B1/ko
Publication of KR20180056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6Making preforms by moulding the material
    • B29B11/08Inject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2Making preform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e.g. sheets,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14Making preform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composition
    • B29B11/16Making preform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composition comprising fillers or reinfor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88Adding charges, i.e.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09/00Use of rubber derived from conjugated dienes,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6Scrap or recycled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 인조 잔디 충진재의 재활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폐 인조 잔디 충진재(SEBS)를 이용한 플라스틱 펠렛 제조 방법은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활성첨가제 10 내지 20 중량부와, 폐 인조 잔디 충진재ㄹ로 SEBS(Styrene-EthyeneButyrene-styrene) 30 내지 90중량부를 혼합시키는 혼합단계와, 상기 혼합 단계를 거친 혼합물에 물 10 내지 20중량부를 투입하고, 교반기를 이용하여 20 내지 40분간 혼합하는 재혼합단계와, 상기 재혼합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플라스틱 사출기에 투입하여 200 내지 250도씨에서 100 내지 300RPM으로 회전되는 스크류를 이용하여 사출시키는 사출단계와, 상기 사출단계를 통해서 배출되는 용융 혼합물을 40 내지 50도씨의 물에서 냉각시키는 냉각단계와, 상기 냉각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5 내지 20mm로 절단시키는 절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 인조 잔디 충진재(SEBS)를 이용한 플라스틱 펠렛 제조 방법{a plastic pellet forming method with SEBS in artificial turf}
본 발명은 폐 인조 잔디 충진재(SEBS)를 이용한 플라스틱 펠렛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인조 잔디의 충진재로 많이 사용되는 SEBS를 플라스틱 펠렛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조잔디(Artificial turf)는 천연잔디의 생육이 곤란한 지역이나, 일조시간이 극히 제한된 고층건물의 북쪽에 접한 옥외지역과 같은 곳에 사용될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이러한 인조 잔디는 합성섬유를 소재로 하여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기본적인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나일론(Nylon) 등으로 구성되는 파일(Pile)과, 천연잔디와 같은 감촉효과 및 운동 시 부상방지를 탄성 목적으로 뿌리는 충진재(고무분말), 인조잔디를 지지할 수 있는 규사와 쇄석층, 인조잔디를 고정되게 하는 표면 처리층으로 구성된다.
특히, 충진재의 경우 SBR(Styrene Butadiene Rubber), SBS(Styrene-Butadiene -Styrene), SEBS(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 EPDM 고무(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M-class) rubber), 코르크(Cork) 등이 주로 사용되며, 대부분 화석연료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충진재에 대한 유해성 논란이 이슈화되고 있으며, 현재 일반적으로 인조잔디 해체 시 발생되는 충진재의 경우 매립을 통해 처리시 100년이 경과하여도 분해되지 않고, 장기간의 매립을 통해 2차 환경오염 원인 물질을 배출 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대부분 소각의 열원으로 활용하여 처리가 되고 있으나, 이 또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기 때문에 환경적으로 적정한 처리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국내에서 인조잔디는 육상경기장, 축구장, 하키장 야구장, 싸이클경기장, 테니스장, 씨름장, 간이 운동장(마을체육시설), 체육관(구기체육관, 투기체육관, 생활체육관), 전천후게이트볼장, 수영장, 롤러스케이트장, 사격장, 국궁장, 양국장, 승마장, 골프연습장, 조정카누장, 요트장, 빙상장, 설상경기장, 기타시설로 구분하여 약 20,000 개소가 설치되어 있으며, 시공 예정인 시설이 약 10,000개소 정도로 계속적인 시공이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2016년 기준 전국학교와 공공 체육시설의 인조잔디 발생량 예측 데이터에서 2016년 인조잔디는 약 3,000톤, 충진재의 경우 약 20,000톤 정도로 예측하고 있으며, 인조잔디의 수명을 약 7년임을 감안할 때 기존의 설치 시설과 향후 설치를 고려하면 향후 10년간 동일한 양의 인조잔디 및 충진재가 발생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환경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소각 열원으로 처리하는 현재의 충진재 처리방식에서 충진재를 재활용할 수 있는 관점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며, 현재 활용하고 있는 제품과 동일한 품질을 갖는 제품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이러한 인조 잔디의 재활용과 관련된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된 출원번호 제10-2011-0061657호(2011.06.24:출원일), 출원번호 제10-2011-0096519호(2011.09.23:출원일) 등이 있다.
최근 폴리스티렌계 TPE 산업있어서는 SEBS계가 SBS계의 결점인 내후성, 내열성의 개선하여 점차 사용되는 범위가 확대되고 있지만, 이러한 종래의 선행기술들은 SEBS(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를 재활용하는 기술이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폐 인조 잔디 충진재(SEBS)를 이용한 플라스틱 펠렛 제조 방법은 폐 인조 잔디 충진재(SEBS)를 재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 인조 잔디 충진재(SEBS)를 이용한 플라스틱 펠렛 제조 방법은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활성첨가제 10 내지 20 중량부와, 폐 인조 잔디 충진재로 SEBS(Styrene-EthyeneButyrene-styrene) 30 내지 90중량부를 혼합시키는 혼합단계와, 상기 혼합 단계를 거친 혼합물에 물 10 내지 20중량부를 투입하고, 교반기를 이용하여 20 내지 40분간 혼합하는 재혼합단계와, 상기 재혼합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플라스틱 사출기에 투입하여 200 내지 250도씨에서 100 내지 300RPM으로 회전되는 스크류를 이용하여 사출시키는 사출단계와, 상기 사출단계를 통해서 배출되는 용융 혼합물을 40 내지 50도씨의 물에서 냉각시키는 냉각단계와, 상기 냉각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5 내지 20mm로 절단시키는 절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활성첨가제는 펄라이트, 소성시킨 진주석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 인조 잔디 충진재(SEBS)를 이용한 플라스틱 펠렛 제조 방법은 최근에 인조 잔디 충진재로 사용되는 SEBS를 플라스틱 펠렛 형태로 제조하여 폴리프로필렌과 유사한 성능을 가진 플라스틱 제품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폐 인조 잔디 충진재(SEBS)를 이용한 플라스틱 펠렛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폐 인조 잔디 충진재(SEBS)를 이용한 플라스틱 펠렛 제조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펠렛을 이용하여 제작된 시험 시편의 사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 Plastic Elastomer)는 고무와 같은 탄성체이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스티렌계, PVC계, 올레핀계, 폴리에스터계, 폴리아미드계, 우레탄계 등의 6곱로 나눌 수 있는데, 스트렌계는 스티렌계의 경우, 연질상에서 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폴리에틸렌, 폴리부티렌에다 3곱 종류 즉, SBS, SIS, SEBS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SBS계 구조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SIS계는 스티렌·폴리이소프렌·스티렌(-S-PI-S-), SEBS계(-스티렌-폴리에틸렌/폴리부티렌-스티렌-)의 구조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SEBS는 우수한 탄성 회복성과, 무독성 제품으로 알려져 인조 잔디의 충진재로 최근에 그 사용량이 급증하고 있으며, 인조 잔디의 수명이 다한 경우 이를 재처리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SEBS를 PP(폴리프로필렌) 제품과 유사한 성능을 갖는 플라스틱 제품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폐 인조 잔디 충진재(SEBS)를 이용한 플라스틱 펠렛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 인조 잔디 충진재(SEBS)를 이용한 플라스틱 펠렛 제조 방법은 혼합 단계(S100), 재혼합 단계(S200), 사출단계(S300), 냉각단계(S400) 및 절단단계(S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혼합단계(S100)는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활성첨가제 10 내지 20 중량부와, 폐 인조 잔디 충진재(SEBS:Styrene-EthyeneButyrene-styrene) 30 내지 90중량부를 혼합시키는 단계이다.
SEBS가 9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사출단계에서 연속적인 사출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30 중량부 이하인 경우에는 상업적으로 재활용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종래의 PP 생산과 비교하여 생산 비용만 증가하고 SEBS 재활용 효율이 지나치게 떨어진다.)
다음으로, 활성첨가제는 펄라이트, 소성시킨 진주석 중 하나를 사용하게 되며, 이러한 활성첨가제는 혼합시 공극률 형성을 최소화하여 균질한 혼합을 가능하게 하고, PP와 SEBS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혼합단계(S100)를 거친 혼합물에 물 10 내지 20중량부를 투입하고, 교반기를 이용하여 20 내지 40분간 혼합하는 재혼합단계(S200)를 거치게 된다.
이러한 습식혼합을 위한 물의 재혼합 과정는 20분 이하로 교반될 경우 균일한 교반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재혼합단계(S200)를 거친 혼합물은 플라스틱 사출기에 투입하여 200 내지 250도씨에서 100 내지 300RPM으로 회전되는 스크류를 이용하여 사출시키는 사출단계(S300)를 거치게 된다.
상기 사출단계(S300)는 재혼합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용융시키고 스크류 사출기를 통해서 국수 형태(strand)로 혼합물을 사출시키는 단계이며, 이러한 상기 사출단계(S300)를 통해서 배출되는 용융 혼합물은 40 내지 50도씨의 물에서 냉각시키는 냉각단계(S400)를 거쳐서 굳히게 된다.
냉각단계(S400)는 상기 사출단계를 통해서 배출되는 국수(또는 실)형태의 사물물을 냉각 욕조를 통과하도록 하여 굳히는 단계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냉각단계(S400)를 거친 혼합물은 5 내지 20mm의 일정한 크기로 절단시키는 절단단계(S500)를 거치게 된다.
이러한 절단단계(S500)를 거친 펠렛은 프라스틱 제품을 성형하는 원재료로 이용된다.
폐 인조 잔디 충진재(SEBS)를 이용한 플라스틱 펠렛 제조 방법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면,
<실시예1>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활성첨가제 10 중량부와, 폐 인조 잔디 충진재로 SEBS(Styrene-EthyeneButyrene-styrene) 90중량부를 혼합하고, 여기에 물 10중량부를 재혼합하여 사출단계, 냉각단계 및 절단 단계를 거쳐서 플라스틱 제품으로 성형한 실시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폐 인조 잔디 충진재(SEBS)를 이용한 플라스틱 펠렛 제조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펠렛을 이용하여 제작된 시험 시편의 사진이다.
도 2에 도시된 제품을 ASTM(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의 테스트 방법에 의해서 시험한 결과는 아래 표1과 같다.
구체적으로는 탄성 강도는 SEBS가 일정 이상 증가(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에 대하여 SEBS 90중량부 이상)하게 되면 급격하게 감소하게 되므로 플라스틱 제품으로 응용하기 힘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른 물성치도 SEBS의 함유량이 90중량부 이상이 되면 현저히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PHYSICAL TEST METHOD TYPICAL VALUE UNIT
Melt Flow Index, 190℃, 2.16kg ASTM D1238 2.0 g/10min
Izod Impact ASTMD256 9.3~10 gf.㎝/㎝
Tensile strength ASTM D638 123~ gf/㎠
elongation at break ASTM D638 29 %
Yield ASTM D638 125 gf/㎠
Flexural modulus ASTM D790 7,700 gf/㎠
<실시예2>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활성첨가제 10 중량부와, 폐 인조 잔디 충진재로 SEBS(Styrene-EthyeneButyrene-styrene) 30중량부를 혼합하고, 여기에 물 10중량부를 재혼합하여 사출단계, 냉각단계 및 절단 단계를 거쳐서 플라스틱 제품으로 성형한 실시예이다.
PHYSICAL TEST METHOD TYPICAL VALUE UNIT
Melt Flow Index, 190℃, 2.16kg ASTM D1238 5.68 g/10min
Izod Impact ASTMD256 7.0~7.6 gf.㎝/㎝
Tensile strength ASTM D638 125~ gf/㎠
elongation at break ASTM D638 26 %
Yield ASTM D638 136 gf/㎠
Flexural modulus ASTM D790 8,400 gf/㎠
<실시예3>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활성첨가제 10 중량부와, 폐 인조 잔디 충진재로 SEBS(Styrene-EthyeneButyrene-styrene) 60중량부를 혼합하고, 여기에 물 10중량부를 재혼합하여 사출단계, 냉각단계 및 절단 단계를 거쳐서 플라스틱 제품으로 성형한 실시예이다.
실시예2와 비교하여 탄성 강도의 증가가 크지 않으며 거의 폴리프로필렌 제품과 비슷한 강도 성능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PHYSICAL TEST METHOD TYPICAL VALUE UNIT
Melt Flow Index, 190℃, 2.16kg ASTM D1238 7.8 g/10min
Izod Impact ASTMD256 6.3~7.1 gf.㎝/㎝
Tensile strength ASTM D638 130~ gf/㎠
elongation at break ASTM D638 30 %
Yield ASTM D638 140 gf/㎠
Flexural modulus ASTM D790 8,500 gf/㎠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폐 인조 잔디 충진재(SEBS)를 이용한 플라스틱 펠렛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 실시 예는 단지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S100: 혼합 단계
S200: 재혼합 단계
S300: 사출단계
S400: 냉각단계
S500: 절단단계

Claims (2)

  1.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활성첨가제 10 내지 20 중량부와, 폐 인조 잔디 충진재로 SEBS(Styrene-EthyeneButyrene-styrene) 30 내지 90중량부를 혼합시키는 혼합단계와;
    상기 혼합 단계를 거친 혼합물에 물 10 내지 20중량부를 투입하고, 교반기를 이용하여 20 내지 40분간 혼합하는 재혼합단계와;
    상기 재혼합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플라스틱 사출기에 투입하여 200 내지 250도씨에서 100 내지 300RPM으로 회전되는 스크류를 이용하여 국수 형태(strand)로 사출시키는 사출단계와;
    상기 사출단계를 통해서 배출되는 용융 혼합물을 40 내지 50도씨의 물에서 냉각시키는 냉각단계와;
    상기 냉각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5 내지 20mm로 절단시키는 절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인조 잔디 충진재(SEBS)를 이용한 플라스틱 펠렛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첨가제는,
    펄라이트, 소성시킨 진주석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폐 인조 잔디 충진재(SEBS)를 이용한 플라스틱 펠렛 제조 방법.
KR1020160153683A 2016-11-18 2016-11-18 폐 인조 잔디 충진재(sebs)를 이용한 플라스틱 펠렛 제조 방법 KR101937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683A KR101937288B1 (ko) 2016-11-18 2016-11-18 폐 인조 잔디 충진재(sebs)를 이용한 플라스틱 펠렛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683A KR101937288B1 (ko) 2016-11-18 2016-11-18 폐 인조 잔디 충진재(sebs)를 이용한 플라스틱 펠렛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430A KR20180056430A (ko) 2018-05-29
KR101937288B1 true KR101937288B1 (ko) 2019-01-14

Family

ID=62452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3683A KR101937288B1 (ko) 2016-11-18 2016-11-18 폐 인조 잔디 충진재(sebs)를 이용한 플라스틱 펠렛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2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398B1 (ko) * 2020-10-23 2021-03-10 (주)삼성 아스팔트 혼합물용 개질 첨가제 및 이를 첨가한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8177A (ja) 2006-09-13 2008-03-27 Assist International Kk 充填材入り人工芝の回収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407A (ko) * 1997-01-09 1998-10-15 백운화 혼합 폐플라스틱 재활용 상용화제 조성물 및 폐플라스틱 재생 방법
KR20050009004A (ko) * 2003-07-15 2005-01-24 나상권 폐 열가소성수지의 블렌드 조성물 및 성형품
KR101084872B1 (ko) * 2009-03-16 2011-11-21 윤세균 폐인조잔디를 재활용하여 인조잔디용 기층을 제조하는 방법및 그 인조잔디 기층
KR101380218B1 (ko) * 2012-07-10 2014-04-01 미르하이텍 주식회사 마스터뱃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제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8177A (ja) 2006-09-13 2008-03-27 Assist International Kk 充填材入り人工芝の回収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430A (ko) 2018-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99917A (ja) 人工黒檀製造法
Wang et al. Production of thermoplastic elastomers based on recycled PE and ground tire rubber: Morphology, mechanical properties and effect of compatibilizer addition
US9169362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elastomer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US8545748B2 (en) Building bricks including plastics
CN107835733A (zh) 注射成型用组合物
US20130064996A1 (en) Method of recycling synthetic turf
US7772302B2 (en) Incorporation of plastic scrap in asphalt compositions
CN103756129A (zh) 三元乙丙橡胶/聚丙烯热塑性弹性体及其制备工艺
CN102964686B (zh) 一种消除虎皮纹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2532687A (zh) 一种低收缩率的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937288B1 (ko) 폐 인조 잔디 충진재(sebs)를 이용한 플라스틱 펠렛 제조 방법
CN104194362B (zh) 一种废弃聚合物复合沥青抗车辙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Lima et al. Partial replacement of EPR by GTR in highly flowable PP/EPR blends: Effects on morphology and mechanical properties
CN111662521B (zh) 利用废弃nbr/pvc类橡塑保温材料增韧改性聚氯乙烯的方法
CN104774391A (zh) 一种废旧聚丙烯再生增韧改性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1423640B (zh) 一种塑胶材料及其制备方法和在制冷电器内衬上的应用
KR20020086327A (ko) 폐플라스틱 및 산업 폐기물을 이용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과 이를 제조하는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2311581A (zh) 一种室内运动地板用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6496765B (zh) 一种轻质高比强度改性聚丙烯材料及其制备方法
CN108997705B (zh) 一种废弃tpu弹性体和无机刚性材料协同改性的再生abs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3665718B (zh) 利用废旧热塑性弹性体增韧高抗冲聚苯乙烯的方法
CN104262886A (zh) 一种trb高物性复合型注塑橡胶材料
KR20100009422A (ko) 폐고무를 이용한 재활용 열가소성 탄성체 및 그 제조방법
KR19980065407A (ko) 혼합 폐플라스틱 재활용 상용화제 조성물 및 폐플라스틱 재생 방법
KR101240371B1 (ko) 제강슬래그를 포함한 탄성칩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