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7207B1 - 유도로켓 발사대 - Google Patents

유도로켓 발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7207B1
KR101937207B1 KR1020170091679A KR20170091679A KR101937207B1 KR 101937207 B1 KR101937207 B1 KR 101937207B1 KR 1020170091679 A KR1020170091679 A KR 1020170091679A KR 20170091679 A KR20170091679 A KR 20170091679A KR 101937207 B1 KR101937207 B1 KR 101937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ing
angle
lower frame
firing pod
p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환
최병창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70091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2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3/00Rocket or torpedo launchers
    • F41F3/04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roc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1/00Launching apparatus for project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Harpoon gu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면에 설치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측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일측에 힌지부를 각각 구비하는 상부프레임; 발사포드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상부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는 발사포드장착부; 및 일단부가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다른 일단부는 상기 발사포드장착부의 하부면 일측을 지지하며, 상기 발사포드장착부를 향해 연장 또는 단축되어 상기 발사포드장착부의 고각구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고각구동부를 포함하는 유도로켓 발사대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유도로켓 발사대{GUIDED ROCKET LAUNCHER}
본 발명은 유도로켓이 장착된 발사포드의 착탈이 가능하며, 발사포드의 고각구동이 가능한 유도로켓 발사대에 관한 것이다.
유도로켓(guided rocket)은 무선, 레이더, 적외선 따위의 유도에 따라 목표물에 닿아서 폭발하도록 만든 무기를 의미한다.
유도로켓을 발사하기 위해서는 발사대(launcher)가 필요하다. 발사대는 유도로켓을 탑재하고, 유도로켓이 목표 방향으로 발사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종래 유도로켓 발사대는 특정한 발사관 또는 발사관 다발이 일체형으로만 장착되도록 설계되어, 다른 형상을 가지는 유도로켓의 탑재가 불가능하고, 발사관 교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의 유도로켓 발사대는, 발사대의 고각구동을 위한 힌지부가 유도로켓 발사대의 일단에 위치하여, 유도로켓의 무게 중심과 힌지부 사이의 거리가 이론적으로 최대 값이 되므로, 힌지부에서 최대 토크가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고각구동은 유도로켓이 목표물로 발사되기 위해, 발사대가 바닥면과 일정 각도를 이루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발사대의 고각구동을 위해서는 힌지부가 유도로켓 발사대 중앙에 위치할 때 보다 회전 구동력이 크게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유도로켓 발사대는, 상기 힌지부에 복수 개의 구동모터를 설치하여, 구동모터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발사대에 회전력을 가해 발사대를 고각구동시킨다.
이 같은 구조에 의하면, 종래의 유도로켓 발사대는, 복수 개의 구동모터를 구비해야 하므로 발사대의 제작 비용이 높으며, 동일한 구동력이 발사대에 동시에 전달되도록 복수 개의 구동모터가 상호 싱크되어야 하고, 상기 구동력을 제동하기 위한 고도의 모터 제어 기술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유도로켓의 탑재 방식 및 발사대의 고각 구동 방식이 적용된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유도로켓 발사대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발사관이 쉽게 탈착되어 안전하게 발사관을 교체할 수 있는 유도로켓 발사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발사대가 구동모터의 회전이 아닌, 또 다른 구동 체계에 의해 고각구동되고, 설정된 목표 방향으로 정확하게 지향하도록 고각구동 및 방위각구동하는 유도로켓 발사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유도로켓 발사대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측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일측에 힌지부를 각각 구비하는 상부프레임; 발사포드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상부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는 발사포드장착부; 및 일단부가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다른 일단부는 상기 발사포드장착부의 하부면 일측을 지지하며, 상기 발사포드장착부를 향해 연장 또는 단축되어 상기 발사포드장착부의 고각구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고각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사포드장착부는, 상기 힌지부보다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발사포드가 안착되는 면을 형성하며, 상기 고각구동부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닥부재; 상기 바닥부재에 안착된 상기 발사포드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바닥부재의 일측과 상기 힌지부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바닥부재를 회전 지지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각구동부는 전동식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재는 상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고각구동부의 일단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각구동부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면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발사포드장착부의 회전 구동을 위한 회전축은,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단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사포드장착부는 시소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유도로켓 발사대의 하부프레임은 설정된 방위각만큼 회전하는 방위각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은 일측에 상기 발사포드장착부의 회전을 제한하여, 상기 발사포드장착부의 고각을 설정된 각도로 유지하는 고각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프레임은 내측에 상기 방위각구동부의 회전을 제한하여, 상기 발사포드장착부의 방위각을 설정된 각도로 유지하는 방위각유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발사포드장착부를 기계적으로 구속하는 고각구속장치가 형성되고, 상기 고각구속장치는, 상기 발사포드장착부와 결합되어 상기 발사포드장착부를 지지하면서 동시에 회전을 제한하며,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를 구비되어, 상기 발사포드장착부를 정비 시 인력의 이동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해결수단을 통해 얻게 되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사포드장착부는 전방, 후방 및 상부가 각각 개방되도록 이루어져, 발사포드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다양한 종류의 발사관 또는 발사포드를 장착이 가능하며, 기존 방식처럼 유도로켓을 일일이 교체하거나, 발사포드를 발사대로부터 해체하기 위한 기존의 발사포드를 분해하는 작업이 불필요하다.
이처럼, 유도로켓 발사대가 발사포드 탑재형으로 구성됨으로써, 발사관의 교체 작업 용이성 및 발사관의 확장성이 확보될 수 있다.
둘째, 고각구동부가 발사포드장착부와 하부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발사포드장착부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유도로켓 발사대를 설정된 각도로 효율적이면서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유도로켓이 탑재된 발사포드가 장착된 유도로켓 발사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사포드가 탑재되지 않은 유도로켓 발사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의 상세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도면의 평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유도로켓 발사대가 고각이 0도인 경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유도로켓 발사대가 고각구동부에 의해 특정 고각을 가지는 경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는 유도로켓 발사대의 고각구속장치를 나타내는 상세도.
도 8은 유도로켓 발사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유도로켓 발사대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 및 변형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변형예는 실시예와 구조적 차이가 있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구조적으로 모순이 되지 않는 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조, 기능 등은 변형예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로켓(10)이 탑재된 발사포드(11)가 장착된 유도로켓 발사대(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은, 유도로켓(10)이 탑재된 발사포드(11)가 발사포드장착부(130)에 장착되고, 발사포드장착부(130)가 고각구동부(140)에 의해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고각을 유지하는 유도로켓 발사대(100)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유도로켓(10)은, 무선, 레이더, 적외선 따위의 유도에 따라 목표물에 닿아서 폭발하도록 만든 무기로서, 유도로켓(유도로켓, 유도미사일 포함) 또는 유도로켓 다발을 의미한다. 참고로, 발사포드장착부(130) 및 고각구동부(140)에 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사포드(11)가 탑재되지 않은 유도로켓 발사대(100)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하부프레임(110)과 상부프레임(120)의 상세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도면의 평면도이고, 도 5는 고각이 0도일 때 유도로켓 발사대(10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은 고각구동부(140)에 의해 일정한 고각을 가지는 유도로켓 발사대(10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7는 고각구속장치(150)에 관한 상세도이다.
유도로켓 발사대(100)는 하부프레임(110), 상부프레임(120), 발사포드장착부(130) 및 고각구동부(140)를 포함한다.
하부프레임(110)에는 유도로켓 발사대(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미도시)가 포함되며 각종 부품(예를 들어, 구동모터 및 기어)들이 내장 또는 장착된다.
하부프레임(110)은 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바닥면에 설치되고, 유도로켓 발사대(100)의 하중을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하부프레임(110)은 함정 또는 지상장비(예를 들어 육상 차량)의 바닥면에 설치되도록 인터페이스(미도시)를 제공하며, 후술할 상부프레임(120), 발사포드장착부(130), 유도로켓(10) 및 발사포드(11)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부프레임(120)과 발사포드장착부(130)에 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부프레임(110)은 설정된 방위각만큼 회전하는 방위각구동부(111) 및 방위각유지부(112)가 포함될 수 있다.
방위각구동부(111)는 하부프레임(110)과 결합되어, 하부프레임(110)의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부프레임(110)을 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은 하부프레임(110)의 상하로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예로, 방위각구동부(111)는 구동모터(미도시), 선회베어링(111a) 및 기어집합체(111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선회베어링(111a)이 하부프레임(110)의 하부에 배치된 것을 보이고 있다. 구체적으로 방위각구동부(111)는,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선회베어링(111a)을 좌우로 회전시키고, 선회베어링(111a)에 맞물린 기어집합체(111b)에 의해 선회베어링(111a)의 회전력을 하부프레임(110)에 전달하여, 하부프레임(110)이 회전되도록 이루어진다.
방위각유지부(112)는 하부프레임(110) 내측에 설치되어, 선회베어링(111a)이 회전되지 못하도록, 선회베어링(111a)을 기계적으로 구속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따라, 발사포드장착부(130)의 방위각이 설정한 각도가 유지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프레임(120)은 하부프레임(110)의 양측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고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상부프레임(120)의 일측에는 힌지부(121)를 각각 구비한다.
힌지부(121)는 상부프레임(120)에 형성되고, 마주보게 배치되어 단일의 회전축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로 힌지부(121)는 베어링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상부프레임(120)은 하부프레임(110)의 좌우 회전 방향에 따라 함께 좌우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발사포드장착부(130)는 상부프레임(120)에 회전 지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상부프레임(120)은 발사포드장착부(130)의 회전을 제한하여, 발사포드장착부(130)를 기계적으로 구속하여 설정된 고각을 유지하는 고각유지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고각유지부(미도시)는 상부프레임(1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힌지부(121)가 회전되지 못하도록, 상기 힌지부의 구름운동을 구속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힌지부(121)에 홈이 형성되고, 상부프레임(120)에 내부로 걸림 장치인 고각유지부를 상기 홈으로 삽입하여 상기 힌지부(121)의 구름운동이 구속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속부재 회전이 제한되어 상기 발사포드장착부(130)의 고각이 유지될 수 있다.
발사포드(11)가 발사포드장착부(130)에 착탈가능하도록 설치가능하며, 발사포드장착부(130)는, 상부프레임(120)의 힌지부(121)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부(121)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발사포드장착부(130)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발사포드장착부(130)가 힌지부(121)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은, 각 상기 힌지부(121)를 연결하는 가상의 일 회전축이 형성되어, 발사포드장착부(130)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발사포드장착부(130)의 회전 구동을 위한 회전축은,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양단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다만, 힌지부(121)으부터 발사포드(11)에 실리는 유도로켓(10)의 무게 중심까지 거리를 고려하여, 발사포드장착부(130)의 회전축은 발사포드장착부(130)의 상부 한가운데를 가로질러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도면에서는, 상부프레임(120)의 힌지부(121)와 연결되는 발사포드장착부(130)의 일단면이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밑변으로부터 이격된 일꼭지점이 힌지부(121)와 된 것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발사포드장착부(130)는 힌지부(121)를 중심으로 그네 또는 시소처럼 회전될 수 있다.
이 같은 구성에 의하면, 발사포드장착부(130)가 회전중심으로부터 발사포드(11)의 무게중심까지 거리가 줄어들어, 종래 발사대보다 적은 토크로도 발사포드장착부(130)를 회전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고각구동부(140)는 하부프레임(110)과 발사포드장착부(130) 사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고각구동부(140)는, 일단부가 하부프레임(110)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다른 일단부가 상기 발사포드장착부(130)의 하부면 일측을 지지하도록 배치되되, 하부프레임(110)의 상부면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고각구동부(140)가 수직으로 설치될 경우, 발사포드장착부(130)에 탑재된 유도로켓(10) 및 발사포드(11)의 하중이 전부 고각구동부(140)의 길이방향으로 전달되어, 고각구동부(140)의 단위면적당 작용 하중이 증가된다. 따라서, 고각구동부(140)를 작동시키기 위한 필요 구동력이 증가되고, 내구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각구동부(140)를 경사지게 설치하면, 상기 하중을 고각구동부(140)의 수직 방향(orthogonal direction)으로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다.
고각구동부(140)는 발사포드장착부(130)를 향해 연장 또는 단축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고각구동부(140)는 발사포드장착부(130)를 밀거나 당기면서 힌지부(121) 중심으로 발사포드장착부(130)를 회전운동 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상부프레임(120)에 각각의 구동모터가 구비되지 않아도, 고각구동부(140)를 통해 발사포드장착부(130)가 설정된 각도 만큼 고각구동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기존 발사대 보다 적은 개수의 구동모터를 사용하면서, 고도의 구동모터 제어 기술 없이도 유도로켓 발사대(100)를 제작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발사대보다 경제적이며 효율적인 발사대를 제작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일 실시예로, 고각구동부(140)는 전동식 리니어 액츄에이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는 고각구동부(140)가 고각구동모터(140b)와 실린더(140a)로 이루어지고, 실린더(140a)의 단부가 하부프레임(110)과 발사포드장착부(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고각구동부(140)가 연장되면서 발사포드장착부(130)를 회전시켜, 수평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고각이 형성된 것을 보인다.
전동식 리니어 액츄에이터인 고각구동부(140)의 구동 원리는 다음과 같다.
고각구동부(140)의 고각구동모터(140b)가 구동력을 발생시키면, 상기 구동력에 의해 실린더(140a) 내 피스톤이 상하 운동을 하게 되고, 피스톤의 행정 거리만큼 고각구동부(140)가 실린더(140a) 길이방향으로 연장 또는 단축되게 된다. 이 때 상기 행정 거리만큼 고각구동부(140)가 발사포드장착부(130)를 밀거나 당기면서, 발사포드장착부(130)가 상부프레임(120)의 힌지부(121)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다만, 상기 구조에 따르면, 고각구동부(140)는 실린더(140a) 내 피스톤의 행정 거리만큼 연장되거나 단축되기 때문에, 고각구동부(140)가 원활하게 작동하기 위한 공간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는 유도로켓 발사대(100)의 전체 크기를 결정하는 한 요소로 작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구성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고각구동부(140)는 유압식 리니어 액츄에이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압식 리니어 액츄에이터는 큰 하중을 받는 물체를 들어올리거나 내릴 때 유리하지만, 실린더(140a) 내 오일의 점성이 온도에 의존하여 변하기 때문에 극한 온도 하중을 받을 때 불리하다.
예를 들어, 겨울철 온도가 낮게 형성되는 경우, 실린더(140a) 내 오일의 점성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실린더(140a) 내 오일 저항이 커져서 액츄에이터 성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극한 상황에서도 동작해야 되는 군장비 특성 상, 전동식 리니어 액츄에어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발사포드장착부(130)는 바닥부재(131), 고정부재(132) 및 연결부재(133)를 포함한다.
바닥부재(131)는 발사포드(11)가 안착되는 면으로, 상부프레임(120)의 힌지부(121)의 하부에 형성된다. 본 도면에서는, 바닥부재(131)가 플랫 플레이트 형상의 바닥부재(131)가 구비되어, 발사포드장착부(130)의 전방, 후방 및 상부가 개방된 것을 보이고 있다. 또한, 바닥부재(131) 모서리 부분에는 발사포드(11)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32)가 구비된 것을 보인다.
고정부재(132)는 바닥부재(131)에 구비되어 상기 바닥부재(131)에 안착된 발사포드(11)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로 고정부재(132)는 스윙볼트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윙볼트가 발사포드(11)의 형성된 홈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구성을 통해, 작업자는 발사포드장착부(130)에 발사포드(11)를 쉽게 장착할 수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발사관 또는 발사포드(11)를 장착할 수 있다. 아울러, 기존 방식처럼 유도로켓(10)을 일일이 발사포드(11)로부터 분리하여 교체하거나, 발사포드(11)를 발사대로부터 해체하기 위해 발사포드장착부(130)에 결합된 발사포드(11)를 분해하는 작업이 불필요하다.
바닥부재(131)의 하부면에는 고각구동부(140)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본 도면에서는 바닥부재(131)의 일부가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고각구동부(140)의 일단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34)이 형성된 것을 보인다.
상기 구성을 통해, 고각구동부(140)의 경사각을 바닥면에 대해 가파르게 유지하면서도, 고각구동부(140) 작동하기 위한 필요 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고각구동부(140)의 경사각이 낮으면 낮을수록 고각구동부(140)의 작동 공간을 확보하기 쉽지만, 대신에 유도로켓 발사대(100)의 전체 크기가 커져, 협소한 공간에 유도로켓 발사대(100)를 설치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구성에 따르면 유도로켓 발사대(100)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유지하여, 고각구동부(140)의 작동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연결부재(133)는 바닥부재(131)를 회전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133)는 바닥부재(131)에 고정 결합되고, 힌지부(12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필요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연결부재(133)가 바닥부재(131)의 일측과 힌지부(121)의 일측에 각각 연결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하부프레임(110)은 고각구속장치(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각구속장치(150)는 하부프레임(110)의 일측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발사포드장착부(130)의 회전을 기계적으로 구속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고각구속장치(150)는 하부프레임(110)으로부터 발사포드장착부(130)의 하면 높이까지 돌출되고, 일단에 체결부(151)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로 체결부(151)는 스윙볼트 및 너트(swing bolt with nut)로 구성 될 수 있다. 상기 스윙 볼트가 발사포드장착부(130)에 형성된 홈에 체결되고, 너트를 상기 홈 방향으로 감아 발사포드장착부(130)를 고정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체결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고각구속장치(150)는 일측에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15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통해, 발사포드장착부(130)가 회전하지 못하게 고정하여, 작업자가 발사포드장착부(130)에 올라가 발사포드(11)의 탑재 또는 해제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정비 작업을 할 수 있다.
도 8은 유도로켓 발사대(20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본 도면에서는 고각제한부(222), 보조지지대(270) 및 하부프레임 커버(280)가 포함된 것을 보인다.
고각제한부(222)는 상부프레임(220) 일측으로부터 발사포드장착부(23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구성을 통해, 유도로켓 발사대(200) 운영 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보조지지대(270)는 고각구동부(240)로부터 이격되고, 하부프레임(210)과 발사포드장착부(230) 사이에 단수 또는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지지대(270)는 일단부가 하부프레임(210)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다른 일단부가 상기 발사포드장착부(230)의 하부면 일측을 지지하도록 배치되되, 보조지지대(270)의 상부면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통해 고각구동부(240)에 가하지는 하중을 보조지지대(270)로 분배하여, 고각구동부(240)의 구동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하부프레임 커버(280)는 하부프레임(210)의 상면을 덮도록 장착될 수 있다. 하부프레임 커버(280)는 하부프레임(210)에 내장 또는 장착된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각종 부품(예를 들어, 구동모터 및 기어)들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로켓 발사대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들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유도로켓 11: 발사포드
100, 200: 유도로켓 발사대 110, 210: 하부프레임
111, 211: 방위각구동부 111a, 211a: 선회베어링
111b, 211b: 기어집합체 112, 212: 방위각유지부
120, 220: 상부프레임 121, 212: 힌지부
130, 230: 발사포드장착부 131, 231: 바닥부재
132, 232: 고정부재 133, 233: 연결부재
134, 234: 수용공간 140, 240: 고각구동부
140a, 240a: 실린더 140b, 240b: 고각구동모터
150, 250: 고각구속장치 151, 251: 체결부
152, 252: 플레이트 222: 고각제한부
270: 보조지지대 280: 하부프레임 커버

Claims (12)

  1. 바닥면에 설치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측에서 상부를 향해 각각 연장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일측에 힌지부를 구비하는 상부프레임;
    발사포드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상부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발사포드장착부;
    일단부가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다른 일단부는 상기 발사포드장착부의 하부면 일측을 지지하며, 상기 발사포드장착부를 향해 연장 또는 단축되어 상기 발사포드장착부의 고각구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고각구동부; 및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측에서 상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발사포드장착부를 기계적으로 구속하도록 이루어지는 고각구속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고각구속장치의 일단에는 스윙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윙볼트는 상기 발사포드장착부에 형성된 홈에 체결되고, 상기 너트를 상기 홈 방향으로 감아 상기 발사포드장착부의 지지와 함께 회전을 제한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로켓 발사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포드장착부의 회전 구동을 위한 회전축은,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단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로켓 발사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포드장착부는,
    상기 힌지부보다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발사포드가 안착되는 면을 형성하며, 상기 고각구동부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닥부재;
    상기 바닥부재에 안착된 상기 발사포드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바닥부재의 일측과 상기 힌지부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바닥부재를 회전 지지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로켓 발사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는 상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고각구동부의 일단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로켓 발사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각구동부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면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로켓 발사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각구동부는 전동식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로켓 발사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은 설정된 방위각만큼 회전하는 방위각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로켓 발사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은 일측에 상기 발사포드장착부의 회전을 제한하여, 상기 발사포드장착부의 고각을 설정된 각도로 유지하는 고각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프레임은 내측에 상기 방위각구동부의 회전을 제한하여, 상기 발사포드장착부의 방위각을 설정된 각도로 유지하는 방위각유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로켓 발사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각구속장치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상기 발사포드장착부를 정비 시 인력의 이동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로켓 발사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포드장착부는 시소형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로켓 발사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의 일 측에는 상기 발사포드장착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도록 이루어 고각을 제한하는 고각제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로켓 발사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기 발사포드장착부의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지지대가 더 설치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보조지지대는 일단이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발사포드장착부의 하부면 일 측을 지지하며, 상기 보조지지대는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로켓 발사대.

KR1020170091679A 2017-07-19 2017-07-19 유도로켓 발사대 KR101937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679A KR101937207B1 (ko) 2017-07-19 2017-07-19 유도로켓 발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679A KR101937207B1 (ko) 2017-07-19 2017-07-19 유도로켓 발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7207B1 true KR101937207B1 (ko) 2019-01-10

Family

ID=65020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679A KR101937207B1 (ko) 2017-07-19 2017-07-19 유도로켓 발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20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50406A (zh) * 2019-09-02 2019-12-10 北京航天发射技术研究所 一种分离平台的垂直转载控制方法及装置
RU2761886C1 (ru) * 2021-07-30 2021-12-13 Публичн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Долгопрудненское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Корабе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имитационной ракеты
KR20220058476A (ko) * 2020-10-30 2022-05-09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접이식 유도 무기 발사대
KR102625666B1 (ko) * 2023-07-11 2024-01-17 국방과학연구소 유압 조절을 이용한 원격 제어식 사격 시험용 총포무장 고정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50406A (zh) * 2019-09-02 2019-12-10 北京航天发射技术研究所 一种分离平台的垂直转载控制方法及装置
KR20220058476A (ko) * 2020-10-30 2022-05-09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접이식 유도 무기 발사대
KR102641323B1 (ko) * 2020-10-30 2024-02-27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접이식 유도 무기 발사대
RU2761886C1 (ru) * 2021-07-30 2021-12-13 Публичн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Долгопрудненское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Корабе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имитационной ракеты
KR102625666B1 (ko) * 2023-07-11 2024-01-17 국방과학연구소 유압 조절을 이용한 원격 제어식 사격 시험용 총포무장 고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7207B1 (ko) 유도로켓 발사대
US8276326B2 (en) Telescopic mast system
US9988774B2 (en) Attachment for clearance of worksites
RU2736531C1 (ru) Модуль и носитель для ракетного запуска
US20210229801A1 (en) Flying Object
ES2952751T3 (es) Método de desmontaje y sistema de desmontaje para un amortiguador de vibraciones de una torre de aerogenerador
US9587411B2 (en) Telescopic mast
US9758353B2 (en) Wireless controllable carousel independently releasable grapling hooks
CN110654577A (zh) 两级入轨飞行器背部分离装置、方法及其存储介质
KR101139343B1 (ko) 링크구조를 이용한 수직 발사대 고각구동장치
CN214420719U (zh) 一种无人机机载测绘装置
RU2559372C1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боевой модуль
US20140059949A1 (en) Telescopic multi-mast system
KR20160133295A (ko) 감시경계용 소형로봇
KR101573895B1 (ko) 로켓발사 장치
US20230312314A1 (en) Vehicle immobilizer
RU2737921C1 (ru) Мобильная антенная установка
CN212377640U (zh) 一种云台摄像机的定位装置
CN113624070A (zh) 一种发射角可调的便携式地面制导火箭发射架
KR102306734B1 (ko) 멀티콥터형 무인비행장치
CN211519876U (zh) 一种防抖动结构及其摄像机稳定器
RU2482578C1 (ru) Мобильная антенная установка
CN212904732U (zh) 检测装置
CN105083577A (zh) 用于无人机狭窄载荷舱的云台转向升降系统及无人机
RU2007109190A (ru) Самоходная пусковая установ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