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7014B1 - 수술용 생체 적합성 복합소재 부착 장치 - Google Patents

수술용 생체 적합성 복합소재 부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7014B1
KR101937014B1 KR1020170018204A KR20170018204A KR101937014B1 KR 101937014 B1 KR101937014 B1 KR 101937014B1 KR 1020170018204 A KR1020170018204 A KR 1020170018204A KR 20170018204 A KR20170018204 A KR 20170018204A KR 101937014 B1 KR101937014 B1 KR 101937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ulsive force
suction
applicator body
force generating
static electri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2483A (ko
Inventor
박경택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18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014B1/ko
Publication of KR20180092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2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57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57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 A61B2017/00646Type of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2017/120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haemostasis, for prevention of blee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di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술용 생체 적합성 복합소재 부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수술용 생체 적합성 복합소재 부착 장치는, 외과적 수술 중 환부의 지혈이나 밀봉을 위해 사용되는 생체 적합성 복합소재(Biomaterials, 이하 '생적합소재'라 함)를, 그 환부 위치까지 이송시킨 후 환부에 부착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수술자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조작부와 그 조작부로부터 환부 측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익스텐션부를 구비하는 어플리케이터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익스텐션부의 선단에는, 상기 생적합소재가 흡착되는 흡착부와 상기 생적합소재에 척력을 발생시키는 척력 발생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술용 생체 적합성 복합소재 부착 장치{Surgical biomaterials applicator}
본 발명은 수술용 생체 적합성 복합소재 부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게하게는 외과적 수술 중 환부의 지혈이나 밀봉을 위해 사용되는 생체 적합성 복합소재를, 그 환부 위치까지 원활하게 이송시킨 후 환부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부착시켜 줄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수술용 생체 적합성 복합소재 부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외과적 수술의 경우 다양한 생체 적합성 복합 소재(biomaterials)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복합소재는, 줄, 직물, 시트, 파우더, 플레이트 및 액상 (string, fabric, sheet, powder, plate, and liquid) 등의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수술 중에 손상 받은 조직의 치료 후에 생체 내에 흡수될 수 있도록 생체흡수성 고분자재료[Bioabsorbable/Bioerodible Polymer]로 만들어져 있다.
Biomaterials가 존재하기 이전의 외과 수술에서는 출혈이나 누출 등의 수술 중 손상 부위는 외과의사가 봉합하거나 묶는 방식으로만 처치 가능하여, 수술 시간이 길어지고 이에 따른 수술 이환율도 높아지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나, biomaterials의 개발로 인하여 수술 시간이 단축되고 수술 결과도 향상 되었다. 즉, 이제는 수술의 필수 과정으로 자리 잡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최근의 수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흉부 및 복부 수술에 있어서 최소 침습적 수술이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최소 침습적 수술이란 복강경, 흉강경 또는 로봇의 도움으로 작은 수술 절개 창을 통하여 수술함으로써 환자의 고통을 줄이고 수술 후 빠른 회복을 도모하는 수술 방법이다. 이러한 최소 침습적 수술의 발달에 biomaterials가 기여한 바가 크다 하겠다.
흉부 및 복부의 최소 침습적 수술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현존하는 biomaterials 중 Surgicel®, Tachosil® 및 Neoveil®은 소혈관 출혈의 지혈, 봉합선의 보강, 이식 혈관의 밀봉, 부인과 수술의 장기 문합, 비뇨기과 수술의 요관 문합, 신장 부착 그리고 드러난 폐 표면, 폐 및 기관지 스테이플 선의 공기 누출 밀봉에 사용된다.
일반적인 개흉술과 개복술의 경우는 광범위 수술 절개 창을 통하여 수술하기 때문에 수술자의 손 및 크기와 길이 제한이 없는 다양한 수술 기구를 이용할 수 있어서 biomaterials를 도포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다. 그러나 최소 침습적 수술의 경우는 수술자의 손이 들어갈 수 없고 크거나 짧은 기구는 통과할 수 없는 아주 작은 수술창을 통하여 수술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biomaterials를 환부에 도포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흔히 발생한다.
이러한 수술 환경적인 요인 이외에도 최소 침습적 수술시 상기 복합 소재(biomaterials)를 환부에 이송 및 부착시키기 어려운 이유는 크게 biomaterials 자체의 문제와 수술 환부의 문제 때문이다.
먼저, biomaterials 자체의 문제에 대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예를 들자면,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는 지혈용 biomaterials인 Surgicel®은 셀룰로오스 폴리머가 주성분으로 물 흡수 및 유기물 흡착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주로 지혈제로 사용된다. 이러한 Surgicel®은, 수술시 도포 부위까지 그라스퍼 등의 수술용 집게에 의해 이송되는데, 사용을 위해 밀봉 상태에서 개봉되는 즉시 공기 중의 수분에 의하여 흡착력이 발생하기 시작하여 수술용 집게에조차 들러 붙어 잘 분리되지 않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Surgicel®은, 간호사나 의사에 의한 조작 과정 혹은 환부까지 이송되는 도중에 수술용 장갑, 기구 또는 수술창에 묻은 혈액이나 수분과 접촉되는 경우가 흔히 발생함에 따라, 이송 후 환부에 부착 시킨 후 집게로부터 분리되어야 함에도 들러 붙어서 잘 분리되지 않거나, 어렵게 환부에 부착 시킨 후에 집게를 환부로부터 회수할 때 집게에 일부분이 붙어 버려 원치 않게 환부에서 탈락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한편, Surgicel®과 마찬가지로 지혈용 biomaterials 중 하나인 Tachosil® 은 접착력이 강하여 우수한 지혈 능력을 가지나, 수술시 사용되는 집게와 같은 기구에도 잘 달라붙는 단점이 있고, Neoveil®은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이 주성분으로서 물에 분해되고 물 흡수성이 강하기 때문에 Surgicel®과 유사한 문제가 흔히 발생한다.
다음으로, 최소 침습적 수술시 상기 복합 소재(biomaterials)를 환부에 부착시키기 어려운 이유 중 두번째인 수술 환부의 문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리 몸의 흉강, 복강은 타원형의 단면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최소 침습적 개흉술은 주로 측와위(decubitus)의 자세로 환자가 수술대에 눕혀진 상태에서 이루어지게 되고, 최소 침습적 개복술은 바로 누운 상태에서 수술이 이루어지게 된다.
만약, 수술 중에 발생하는 출혈 병소 또는 공기 누출 병소 등의 환부가 모두 바른 평면의 기저 위치라면 중력을 이용하여 환부 위에 biomaterials를 도포하여 놓고 완전 부착까지 기다리면 되겠으나, 때로는 환부가 굴곡진 부위나 장기에 가려진 좁은 부위, 중력을 거스르게 되는 흉벽 내부나 복벽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해부학적 복잡성과 중력 때문에 환부로 biomaterials의 이송이 용이하지 않고, 어렵게 이송시킨 후에도 완전 부착이 되기까지의 시간 동안 기구를 이용하여 골고루 펴 눌러 주어야 하며, 이러한 조작 중에 biomaterials 특유의 흡착력으로 인하여 기구에 붙어서 떨어져 버리거나 뭉쳐지는 등의 어려움이 발생하여 왔다.
종래기술로는 미국공개특허 제2009-0248065호(2009.10.01) 「HEMOSTATIC DEVICE SEALING DAMAGED SITE WITH VACUUM」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과적 시술 후 환부의 지혈이나 밀봉을 위해 사용되는 생체 적합성 복합소재가 환부까지 이송되는 과정에서 그 환부와는 다른 임의의 위치에 부착됨이 없이 원하는 환부 위치까지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송될 수 있게 하고, 환부 위치로 이송된 생체 적합성 복합소재를 더욱 원활하게 환부에 부착시킬 수 있는 수술용 생체 적합성 복합소재 부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수술용 생체 적합성 복합소재 부착 장치는, 외과적 수술 중 환부의 지혈이나 밀봉을 위해 사용되는 생체 적합성 복합소재(Biomaterials, 이하 '생적합소재'라 함)를, 그 환부 위치까지 이송시킨 후 환부에 부착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수술자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조작부와 그 조작부로부터 환부 측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익스텐션부를 구비하는 어플리케이터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익스텐션부의 선단에는, 상기 생적합소재가 흡착되는 흡착부와 상기 생적합소재에 척력을 발생시키는 척력 발생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착부는, 상기 어플리케이터 본체의 내부와 외부 간의 공기 유동을 가능하게 하는 소통구멍들을 구비하고, 상기 어플리케이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흡착부의 소통구멍들에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공기의 흡인을 가능하게 하는 흡인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플리케이터 본체의 내부에는, 정전기 발생 원리에 의해 전하를 발생시키고, 그 발생된 전하를 상기 척력 발생부에 대전시키는 정전기 발생기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척력 발생부는, 중심이 볼록하고 가장자리 측으로 갈수록 평평해지는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착부의 소통구멍은, 상기 척력 발생부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방사형으로 복수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플리케이터 본체의 조작부는, 상기 정전기 발생기에 on/off 신호를 인가시켜 주기 위한 정전기 버튼; 및 상기 흡인유로를 통해 공기를 선택적으로 흡인시켜 줄 수 있도록 외부 펌프에 on/off 신호를 인가시켜 주기 위한 공기흡인 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전기 발생기는, 상기 어플리케이터 본체의 내부에서 서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롤러들과 그 롤러들에 권회된 벨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벨트 측에 대전된 전하가 그 벨트에 의해 상기 척력 발생부 측에 반복적으로 이동되게 하는 밴더그래프정전발전기(Van de Graaff electrostatic generator)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수술용 생체 적합성 복합소재 부착 장치는, 생적합소재를, 공기 흡인에 의한 흡착 방법으로 흡착부에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놓은 상태로 환부까지 이송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생적합소재의 이송 과정이나 조작 과정에서 원치 않는 임의의 위치에 생적합소재가 떨어져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과, 생적합소재를 환부까지 이송시킨 후 부착 과정에서도 정전기를 발생시켜 동일한 전하가 척력 발생부와 생적합소재에 대전되게 됨에 따라, 척력 발생부와 생적합소재 간의 척력에 의해 생적합소재를 환부에 원활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생체 적합성 복합소재 부착 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선단에 복합소재(biomaterials)가 흡착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해 이송된 복합소재가 환부에 가깝게 위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를 이용하여 복합소재를 환부에 부착시키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생체 적합성 복합소재 부착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생체 적합성 복합소재 부착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선단에 복합소재(biomaterials)가 흡착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해 이송된 복합소재가 환부에 가깝게 위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를 이용하여 복합소재를 환부에 부착시키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생체 적합성 복합소재 부착 장치는, 외과적 수술 중 환부(A)의 지혈이나 밀봉을 위해 사용되는 생체 적합성 복합소재(Biomaterials, 이하 '생적합소재(30)'라 함)를, 그 환부(A) 위치까지 이송시킨 후 환부(A)에 부착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조작부(12)와 익스텐션부(14)를 구비하는 어플리케이터 본체(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조작부(12)는, 시술자에 의한 본 실시예의 조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부분으로, 시술자의 손이 원활하게 파지될 수 있게 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익스텐션부(14)는, 상기 조작부(12)로부터 환부(A) 측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부분으로, 최소 침습적 수술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조작부(12)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는, 도 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익스텐션부(14)의 선단에 마련된 흡착부(16)와 척력 발생부(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흡착부(16)는, 도 3과 같은 공기 펌핑과 같은 원리로 상기 생적합소재(30)가 흡착되는 부분이고, 상기 척력 발생부(18)는, 도 5와 같은 정전기 발생과 같은 원리로 상기 생적합소재(30)에 척력을 발생시키는 부분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생체 적합성 복합소재 부착 장치는, 생적합소재(30)를, 공기 흡인에 의한 흡착 방법으로 흡착부(16)에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놓은 상태로 환부(A)까지 이송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생적합소재(30)의 이송 과정이나 조작 과정에서 원치 않는 임의의 위치에 생적합소재(30)가 떨어져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과, 생적합소재(30)를 환부(A)까지 이송시킨 후 부착 과정에서도 정전기를 발생시켜 동일한 전하가 척력 발생부(18)와 생적합소재(30)에 대전되게 함에 따라, 척력 발생부(18)와 생적합소재(30) 간의 척력에 의해 생적합소재(30)를 어플리케이터 본체(10)로부터 순조롭게 떨어지게 하여 환부(A)에 원활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는, 도 1 및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착부(16)에 형성된 소통구멍(16a)들과, 상기 어플리케이터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흡인 유로(16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소통구멍(16a)들은, 상기 어플리케이터 본체(10)의 내부와 외부 간의 공기 유동을 가능하게 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고, 상기 흡인 유로(16b)는, 상기 흡착부(16)의 소통구멍(16a)들과 외부 공기 펌프(미도시)를 서로 소통가능하게 연결시켜 줌으로써, 공기의 흡인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흡착부(16)에 생적합소재(30)의 흡착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는, 도 2 및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플리케이터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된 정전기 발생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정전기 발생기는, 정전기 발생 원리에 의해 전하를 발생시키고, 그 발생된 전하를 상기 척력 발생부(18)에 대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절연성이 좋은 벨트(24)로 전기를 차례차례 전극에 운반하여 고전압을 만드는 공지의 밴더그래프 정전발전기(Van de Graaff electrostatic generator)가 채용되었다.
즉, 상기 밴더그래프 정전발전기는, 상기 어플리케이터 본체(10)의 내부에서 서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롤러(22)들과 그 롤러(22)들에 권회된 벨트(24)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벨트(24) 측에 대전된 전하가 그 벨트(24)에 의해 상기 척력 발생부(18) 측에 반복적으로 이동되게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도 3과 같이 시술자에 의한 공기흡인 버튼(12b)의 조작으로 흡인 유로(16b)를 통해 공기를 흡착하여 생적합소재(30)가 흡착부(16)에 견고히 고정된 상태로 환부(A)까지 이송될 수 있게 하고, 도 4와 같이 생적합소재(30)가 환부(A)에 가깝게 위치된 상태에서는 공기 흡인을 중단하여 생적합소재(30)를 익스텐션부(14) 선단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는 상태에 놓이게 함으로써, 생적합소재(30)가 익스텐션부(14)에 임의로 들러 붙는 현상을 억제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도 5와 같이 시술자에 의한 정전기 버튼(12a)의 조작으로 정전기를 발생시켜 동일한 전하가 각각 척력 발생부(18)와 생적합소재(30)에 대전되게 함으로써 상호간 척력이 발생되게 하고, 이러한 척력에 의해 생적합소재(30)가 어플리케이터 본체(10)로부터 순조롭게 떨어지게 하여 환부(A)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부착될 수 있게 한다.
결국, 본 실시예에 의하면, 공지의 밴더그래프 정전발전기를 상기 어플리케이터 본체(10)의 내부에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시술자가 생적합소재(30)를 환부(A)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부착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외과적 시술 중 환부(A)의 지혈이나 밀봉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함에 따라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채용된 척력 발생부(18)는, 도 5의 확대부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이 볼록하고 가장자리 측으로 갈수록 평평해지는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대전된 전하가 척력 발생부(18)의 표면에 골고루 분산하여 분포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흡착부(16)의 소통구멍(16a)은, 도 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척력 발생부(18)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방사형으로 복수개 배열됨으로써, 상기 흡착부(16)에 대한 공기의 흡인이 골고루 이루어지게 함에 따라 흡착부(16)의 익스텐션부(14)에 대한 고정력을 더욱 크게 확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터 본체(10)의 조작부(12)는,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기 버튼(12a)과 공기흡인 버튼(12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정전기 버튼(12a)과 공기흡인 버튼(12b)은, 시술자가 한 손으로 어플리케이터 본체(10)를 핸들링할 수 있도록, 어느 하나는 엄지쪽에, 다른 하나는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이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전기 버튼(12a)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정전기 발생기에 on/off 신호를 인가시켜 주는 역할을 하고, 상기 공기흡인 버튼(12b)은, 흡인 유로(16b)를 통해 공기를 선택적으로 흡인시켜 줄 수 있도록 외부 펌프에 on/off 신호를 인가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0:어플리케이터 본체 12:조작부
12a:정전기 버튼 12b:공기흡인 버튼
14:익스텐션부 16:흡착부
16a:소통구멍 16b:흡인 유로
18:척력 발생부 22:롤러
24:벨트 30:생적합소재
A:환부

Claims (6)

  1. 외과적 수술 중 환부의 지혈이나 밀봉을 위해 사용되는 생체 적합성 복합소재(Biomaterials, 이하 '생적합소재'라 함)를, 그 환부 위치까지 이송시킨 후 환부에 부착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수술자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조작부와 그 조작부로부터 환부 측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익스텐션부를 구비하는 어플리케이터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익스텐션부의 선단에는, 상기 생적합소재가 흡착되는 흡착부와 상기 생적합소재에 척력을 발생시키는 척력 발생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흡착부는, 상기 어플리케이터 본체의 내부와 외부 간의 공기 유동을 가능하게 하는 소통구멍들을 구비하고,
    상기 어플리케이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흡착부의 소통구멍들에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공기의 흡인을 가능하게 하는 흡인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어플리케이터 본체의 내부에는, 정전기 발생 원리에 의해 전하를 발생시키고, 그 발생된 전하를 상기 척력 발생부에 대전시키는 정전기 발생기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정전기 발생기는, 상기 어플리케이터 본체의 내부에서 서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롤러들과 그 롤러들에 권회된 벨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벨트 측에 대전된 전하가 그 벨트에 의해 상기 척력 발생부 측에 반복적으로 이동되게 하는 밴더그래프정전발전기(Van de Graaff electrostatic generator)이며,
    상기 익스텐션부는, 최소 침습적 수술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조작부보다 얇은 두께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착부는, 흡입유로를 통해 공기를 흡입시켜 생적합소재가 흡착된 상태에서 환부에 인접하게 위치되게 하며 공기 흡인이 중단될 경우 상기 생적합소재가 익스텐션부 선단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상태에 놓이게 하고,
    상기 정전기 발생기는, 동일한 전하가 상기 척력 발생부와 생적합소재에 각각 대전되게 함으로써, 상호간 척력이 발생되게 하여 상기 생적합소재가 어플리케이터 본체로부터 떨어지게 하여 환부에 부착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생체 적합성 복합소재 부착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척력 발생부는, 중심이 볼록하고 가장자리 측으로 갈수록 평평해지는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착부의 소통구멍은, 상기 척력 발생부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방사형으로 복수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생체 적합성 복합소재 부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터 본체의 조작부는,
    상기 정전기 발생기에 on/off 신호를 인가시켜 주기 위한 정전기 버튼; 및
    상기 흡인유로를 통해 공기를 선택적으로 흡인시켜 줄 수 있도록 외부 펌프에 on/off 신호를 인가시켜 주기 위한 공기흡인 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생체 적합성 복합소재 부착 장치.
  6. 삭제
KR1020170018204A 2017-02-09 2017-02-09 수술용 생체 적합성 복합소재 부착 장치 KR101937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204A KR101937014B1 (ko) 2017-02-09 2017-02-09 수술용 생체 적합성 복합소재 부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204A KR101937014B1 (ko) 2017-02-09 2017-02-09 수술용 생체 적합성 복합소재 부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483A KR20180092483A (ko) 2018-08-20
KR101937014B1 true KR101937014B1 (ko) 2019-01-09

Family

ID=63443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204A KR101937014B1 (ko) 2017-02-09 2017-02-09 수술용 생체 적합성 복합소재 부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01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48065A1 (en) * 2008-03-26 2009-10-01 Miwatec Co., Ltd. Hemostatic device sealing damaged site with vacuum
JP2009273559A (ja) 2008-05-13 2009-11-26 Tokyo Iken Kk 止血装置
US20120224292A1 (en) * 2011-03-04 2012-09-06 Victor Mayorkis Electrostatic roller apparatus and a system for electrostatically supporting an objec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48065A1 (en) * 2008-03-26 2009-10-01 Miwatec Co., Ltd. Hemostatic device sealing damaged site with vacuum
JP2009273559A (ja) 2008-05-13 2009-11-26 Tokyo Iken Kk 止血装置
US20120224292A1 (en) * 2011-03-04 2012-09-06 Victor Mayorkis Electrostatic roller apparatus and a system for electrostatically supporting an obje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483A (ko) 2018-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26297B2 (ja) 医療デバイス
JP6559693B2 (ja) 能動的要素と吸引ケージとを備える外科用器具
CN103561672B (zh) 外科器械和包括该外科器械的外科设备
WO2015129395A1 (ja) 圧排装置およびロボットシステム
JP2008110210A (ja) 胃の陥入方法および装置
JP6355638B2 (ja) スリーブ状胃切除処置を容易にする装置および方法
EP2127606A1 (en) Holding device and holding tool
RU2008109838A (ru) Наружная система воздействия на пациента и способ ее применения
KR20170097033A (ko) 피부 절제를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JP2017525403A (ja) 気管支シーラント及び気管支を封止する方法
EP2308406A3 (en) Insulating boot for electrosurgical forceps
CN103027718A (zh) 具有限定流体内腔的超声波导的外科器械
JP2008173333A (ja) 治療用物質の運搬投与器具
JP5157689B2 (ja) 内視鏡下手術用デバイス
JP2005515013A (ja) 器官を操作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101937014B1 (ko) 수술용 생체 적합성 복합소재 부착 장치
JP2010115488A (ja) 超弾性ループ管腔外物質送達器具
JP2004167214A (ja) 血管把持具
CN220070303U (zh) 一种兼具分离功能的腹腔镜吸引器
KR101937052B1 (ko)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 및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
TWM541829U (zh) 爪型撐開式內視鏡可操作套組
EP2386270A2 (en) System for diverticulitis treatment
WO2001060260A1 (fr) Tube d'aspiration medical utilisant la capillarite
CN110074919A (zh) 一种手术用吸血垫及穿刺器系统
KR200484648Y1 (ko) 의료용 튜브 고정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